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보건의료계획에서 우선순위선정 방법에 대한 분석과 함의

        김재희(Jae-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

        지역보건의료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사회 요구에 기반한 우선순위과제가 선정되어 추진되고 있으나, 선정방법의 체계적인 사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순위선정 방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81개의 지역보건의료계획에서 사용된 우선순위선정에 대해 방법 및 기준의 빈도를 파악하고, 각 방법이 제시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사용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우선순위선정을 위한 분석대상으로 건강문제가 아닌 사업 자체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가장 많이 사용된 우선순위 선정 방법은 Basic priority rating 이었으며 다음은 우선순위화 매트릭스이었다. 우선순위기준 중 문제의 크기를 보면, 만성질환에서는 유병률, 건강행위에서는 주로 건강문제를 가진 사람의 비율이 지표로 사용되고 있었다. 문제의 크기를 비롯하여 심각성, 중재 효과 등의 우선순위선정 기준이 객관적 자료 없이 평가되고 있었으며, 점수화기준도 명확하지 않았다. 우선순위선정의 분석대상을 건강문제로 한정하고, 건강문제 영역별로 점수화 기준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While the method of prioritization has been practicing in the community needs-based program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ommunity health planning, i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used. This study aims to suggest more sophisticated method of prioritizing. Based on the analysis of 81 community health plans which adopt prioritizing metho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ir methods and criteria and evaluate their adequacy. In the prioritization process, projects themselves, rather than health problems, were commonly adopted for the subject of the analysis. The most used was the Basic priority rating, followed by the Prioritization matrix. Looking at the size of health problem among the prioritization criteria, the prevalence for chronic diseases and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health problems for health behaviors, mainly were used as indicators. Along with the size of health problem, other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seriousness of health problem,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have been used as the criteria of prioritizing, not fully supported by objective data base and the clear standard of scoring. In the prioritization, the analysis need to be limited only to health problems, and the scoring criteria for each health problem area be presented.

      • KCI등재

        의료기술평가를 이용한 근거중심 의사결정제도

        안정훈 ( Ahn Jeonghoon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7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23 No.2

        우리나라는 아시아 국가들 중 최초로 2007년 신약등재에 경제성평가를 통한 선별등재제도와 신의료기술평가를 통한 근거중심의 유효성과 안전성평가를 도입함으로써 의료기술평가를 선진적으로 제도화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종설에서는 의료기술평가와 관련된 여러 개념들을 명확히 정리하고 특히 의료기술평가를 통한 근거중심 의사결정제도를 위한 방향설정을 위하여 국내외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국외의 제도가 반드시 옳다고 볼 수는 없으나 보건의료 의사결정의 정당성을 위하여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널리 인용되는 Daniels(2008) 의 해명책임(accountability for reasonableness)의 개념들이 우리나라 제도에서도 반영되는 것이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생각된다. 의료기술평가는 의료기술의 유효성, 안전성, 비용효과성에 관한 다학제적인 종합적 평가연구로 의사결정 자체가 아니라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제공을 의미한다. 과학적인 연구를 통한 Assessment와 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의사결정에 이용하는 appraisal 은 구분될 수 있고 각 과정에서 투명성 등 해명책임의 증대를 통하여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달할 수 있다. Korea is the first country to legislat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stem by introducing positive listing for new pharmaceuticals and new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for new procedures and diagnostics since 2007. This review tried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s related to th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Especially, for setting a direction of evidence based decision making system using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n Korea,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system and overseas system were compared. Though the overseas system may not be always correct but improving accountability in the current Korean system seems to be a future direction considering the accountability for reasonableness (A4R) argument by Daniels (2008).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is a multidisciplinary synthetic evaluation research on clinical effectiveness, safety, and cost-effectiveness of the health technology. It is not a decision making itself but a provision of helpful evidences to a rational decision making. Assessment process of scientific research and critical appraisal of the results to use in decision making process can be distinguished. Increasing transparency in these processes can improve accountability for reasonableness in Korea and hence, warrants a rational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