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석란(Kim Seak r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1
암환자의 죽음인식에 따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활동이 그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여 사회복지 실천서비스로서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활동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죽음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웰다잉과 영적안녕을 종속변수로, 호스피스활동을 조절변수로 하여 변수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지역의 호스피스 간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암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28일 사이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64부를 제외한 286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확인한 결과,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수용력이 높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웰다잉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이 적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영적안녕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호스피스활동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에 긍정적인 것을 나타났으며,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 중에서 상담, 사정, 사별관리, 퇴원계획, 지역사회 자원관리 등의 직접개입관련 활동에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 웰다잉의 사이 및 죽음인식과 영적안녕 사이에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웰다잉 및 영적안녕 각각은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의 사이에서 암환자가 인지하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로 분석되어, 조절변수(호스피스활동)는 독립변수인 죽음인식과 종속변수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변수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플러스(+)로 나왔으므로 호스피스활동이 왕성할수록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웰다잉 및 영적 안녕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to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ospice care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of hospice care intervention geared toward cancer patients as one of practical social welfare services.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elected moderator variable was hospice care, and the mutual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selected cancer patients who were provided with hospice care in the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28, 2016, and the answer sheets from 286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64 data that included unfaithful answ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 more adaptive awareness of well-dying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whose financial status were more stable and were less burdened with medical expenses.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there was a more compliant attitude in the respon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in the initial stage of cancer, who were in more stable financial condition, who were under less pressure about medical expenses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death awareness and hospice care. A more immersion in death ideation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male,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se cancer was in worse condition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And the way of looking at hospice care was more positive among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offered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eath awareness on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ere better preparations for well-dying and better awareness of it among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were more receptive to it, who were usually more concerned about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And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felt less anxiety over it, who were usually more interested in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were better ready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and looked at spiritual wellbeing more favorably.
암환자의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석란(Kim Seak r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1
암환자의 죽음인식에 따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호스피스활동이 그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여 사회복지 실천서비스로서 암환자를 위한 호스피스활동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죽음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웰다잉과 영적안녕을 종속변수로, 호스피스활동을 조절변수로 하여 변수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지역의 호스피스 간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암환자 3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28일 사이에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64부를 제외한 286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인식이 웰다잉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중회귀분석을 확인한 결과,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수용력이 높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웰다잉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암환자들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불안이 적을수록, 평상시에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영적안녕에 대한 준비와 인식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호스피스활동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에 긍정적인 것을 나타났으며, 암환자는 죽음불안이 심할수록, 죽음수용이 강할수록, 생명존중 인식이 높을수록 호스피스활동 중에서 상담, 사정, 사별관리, 퇴원계획, 지역사회 자원관리 등의 직접개입관련 활동에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 웰다잉의 사이 및 죽음인식과 영적안녕 사이에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웰다잉 및 영적안녕 각각은 암환자가 인지하는 죽음인식과의 사이에서 암환자가 인지하는 호스피스활동이 조절효과로 분석되어, 조절변수(호스피스활동)는 독립변수인 죽음인식과 종속변수인 웰다잉과 영적안녕의 관계를 각각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조절변수 상호작용 항의 베타 값이 플러스(+)로 나왔으므로 호스피스활동이 왕성할수록 암환자가 인식하는 죽음인식은 웰다잉 및 영적 안녕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of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to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ospice care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of hospice care intervention geared toward cancer patients as one of practical social welfare services. The death awareness of cancer patients was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elected moderator variable was hospice care, and the mutual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selected cancer patients who were provided with hospice care in the metropolitan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to 28, 2016, and the answer sheets from 286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64 data that included unfaithful answ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 more adaptive awareness of well-dying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better educated,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whose financial status were more stable and were less burdened with medical expenses.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there was a more compliant attitude in the respondents who were female, who were older, who were Christian, who were in the initial stage of cancer, who were in more stable financial condition, who were under less pressure about medical expenses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ancer patients had influential relationships with their death awareness and hospice care. A more immersion in death ideation was found among the patients who were male,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se cancer was in worse condition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provided with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And the way of looking at hospice care was more positive among the respondents who were older, who were less educated, who had no spouses in terms of marital status, who received treatmen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who were offered more hours of hospice care a da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death awareness on well-dying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ere better preparations for well-dying and better awareness of it among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were more receptive to it, who were usually more concerned about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And the patients who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death, who felt less anxiety over it, who were usually more interested in it and who had more respect for life were better ready in terms of spiritual wellbeing and looked at spiritual wellbeing more favorably.
죽음준비교육 참여 노인의 죽음인식 변화와 관계회복 과정 연구
최형숙,허정무 한국에듀테인먼트학회 2024 에듀테인먼트연구 Vol.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 과거 해석 인지, 죽음에 대한 인식, 관계 회복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분석함에 있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 4명을 분 석의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에 참가할 당시에는 죽음 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터부시하였지만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자신과 가까운 곳에 존재하는 죽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죽음을 인식하게 되면서 자신이 주체적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 을 세우고 주변을 잘 정리하면서 오늘의 소중함을 깨닫고 최선을 다해 주변 사람들을 도와주면서 살아가기 위 한 다짐을 하게 되었다. 참가자들은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죽음을 인식하게 되면서 관계의 변화 과정을 경험하 였다.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이 먼저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대하려고 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죽음을 의 식하며 살아감으로써 주변 사람들에게 관대해졌으며 다른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변화 가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인 인식이나 관계 회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죽음준비교육 을 통해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past interpretation cognition, perception of death, and perception of relationship restoration among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o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right after the end of the w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did not seriously think about death and regarded it as a taboo at the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ut through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hey became aware of death that existed close to them. Second,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process of changing relationships as they became aware of death throug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is a program tha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lderly's perception of death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perceptions such as fear of death or perceptions of the need to restore relationships can be changed through death preparation education.
김혜숙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death among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P area. It analyzes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scariest thing when thinking about death', and 'the contents of emotions related to death'. In additi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related education programs and the intention to apply for rejec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advance a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face-to-face survey method called 'Naver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the Good Death Perception score of the college student group was 3.1. When thinking about death, 35.2% of the students said they were most afraid of the "remaining family." Next, 32.8% of 'Pain Before Death', 20.8% of 'End Fear', and 8% of 'Unfulfilled Dreams'. Well-dying reduces the psychological burden related to death not only to oneself but also to the remaining family members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In additi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necessary because it enhances the meaning and active attitude of current lif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developing an operation model for related programs support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s presented. 본 연구는 P지역 소재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와 죽음을 생각할 때 가장 두려운 것과 죽음 관련 감정 및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향과 사전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는 비대면 조사 방법으로 네이버 폼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좋은 죽음인식 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학생 집단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1점으로 나타났다. 죽음 관련하여 가장 두려운 것은 ‘남아있는 가족’이라는 응답이 전체 35.2%로 가장 많았고, ‘죽기 전의 고통’이 32.8%, ‘생이 끝났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20.8%, ‘못 이룬 꿈’이 8%로 나타났다. 좋은 죽음 인식과 호스피스·완화의료 관련 교육프로그램 참여 의향과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 여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좋은 죽음인식 점수가 높을수록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연명치료 거부 신청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웰다잉은 자신뿐 만 아니라 남은 가족에게도 죽음과 관련된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며, 삶의 질과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죽음준비 교육은 대학생들의 현재의 삶에 대한 의미와 능동적 태도를 높이기 때문에 인격 함양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죽음준비 교육을 지원하는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 모델을 구축하고 운영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죽음인식교육의 방향성 연구-중학생 대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백미화,우버들,최진,김규미,신창호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empirical data that can be a cornerstone for future development of death awareness education program, program content, and death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program. To this end, a death awareness education program for 9th grade student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on formal instruction at a middle school in Seoul.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four distinguishable levels: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and valuational. The data gathered from the classroom activity shee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four dimensions. As a result, death awareness education for adolescents should be developed for reducing death anxiety, helping cope with grief caused by death or loss. Educators must be qualified, both academically and emotionally for this challenging topic.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guideline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죽음인식교육의 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향후 죽음인식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교육내용의 방향을 제시하고, 죽음교육 교수자 역량교육에 초석이 될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죽음교육전문가에 의해 죽음인식교육 프로그램이 기획되어 서울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회에 걸쳐 정규수업과정에서 시행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가치적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책임 있고 주체적인 가치관과 인생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생명존중사상을 함양하여 도덕적 내면화 형성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상실 경험과 이별의 아픔을 직접 대면하고 성찰하여 성장의 계기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본 수업 중에 사용한 죽음인식, 상실인식, 인공임신중절, 자살 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가치관에 대한 활동지의 답변을 분석한 내용이며, 해당 죽음인식교육 프로그램과 교수자들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보고한 것이다. 그 결과 청소년 죽음인식교육은 올바른 죽음관을 형성하여 죽음불안을 낮춰줄 수 있어야 하고, 죽음이나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어야 하며, 생명존중사상에 입각한 죽음의 윤리적 가치관을 확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죽음교육 교수자의 역량과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제언도 논의되었다.
김지은 한국교방문화학회 2025 교방문화연구 Vol.5 No.1
본고는 여느 기생들과는 달리 황진이만큼이나 자아의식이 강한 매창을 중심으로 그녀의 시문학이 지닌 미학적 특징 중에서 특히 ‘죽음’에 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삶과 죽음은 곧 하나로 귀결되기 때문에 매창의 시작품에 드러난죽음 인식을 구명하는 작업은 곧 그녀의 삶의 궤적을 되짚어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 대체로 기생들의 삶을 기구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유독 매창의 작품에서는우울함의 정서가 결국에는 죽음으로 이어지는 구도를 포착하게 되는데 이러한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자신의 기생이라는 처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녀의 시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고매한 기품을 발견할 수 있다. 실제 그녀의 신분과의 괴리감을 형성함으로써 그녀 스스로 세상과 거리를 두려고 했던 모습도 포착되기 때문이다. 둘째로 그녀가 정말 사랑했던 유희경과의 이루지 못한 사랑 때문이다. 결국 그녀가 해결하지 못한 두 가지 큰 문제들은 매창의 시세계를 통해 알 수 있다. 이후 매창은 이러한 감정 상태에서 육체의 병까지얻게 된 이후에는 매창의 시 여러 작품을 통해서 그녀의 자유-절망-병-죽음의사고까지 확장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그녀의 시에 드러나는 죽음에 대한 인식은 두 가지로 확인할 수 있다. 첫째는 고독사의 비극적 인식과 현실적 수용이다. 죽음과의 거리감을 좁혀감으로써 죽음을 인식하고는 있지만 이 시에서는 죽음 이후의 내세적 소망이나 염원 등은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녀는 자신의 임박한 죽음을 처참하고 비극적으로, 그리고 현실적으로 인식할 뿐이다. 둘째는 죽음을 도가적 초월성을 기반으로 한 회귀적이고 순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이다. 매창은 다시 태어나고 싶을 만큼 고통스런 현실을 벗어나 평화롭고 아름다운 삶을 살고 싶어 했다. ‘타세(他世)’라는 신선 세계를 간절히 동경하는 모습을 보면서 매창이 얼마나 슬픔과 회한에 시달리고 살았는지 충분히 가늠할 수 있다.특히 주목할 것은 위에 제시한 시들에서 공통적으로 신선이 살고 있는 천상계 · 선계의 설정이 드러나고 있는데 매창에게 있어 죽음이 지금 지상계의 삶과 완전히 단절된 것이라기보다는 근원으로 回歸하는 것으로 죽음의 본질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aechang’s poetry, especially her perception of ‘death’, focusing on Maechang, who, unlike other gisaengs, had a strong sense of self-awareness, similar to Hwang Jin-i. Since life and death are soon resolved into one, the task of elucidating Maechang’s perception of death revealed in her poetry is no different from tracing back the trajectory of her life. In general, the lives of parasites can be said to be strange, but in Maechang’s works in particular, the emotions of depression are captured as a structure that eventually leads to death. There are two main reasons for this. One is that it comes from her own situation as a parasite. We can find the noble spirit that can be found throughout her poems. This is because we can also capture the way she tried to distance herself from the world by creating a sense of alienation from her actual status. Secondly, it is because of the unfulfilled love with Yoo Hee-kyung whom she truly loved. Ultimately, the two major problems she could not solve can be seen through Maechang's world of poetry. Afterwards, Maechang became physically ill from this emotional state, and it is worth noting that through her various poems, she expanded her thoughts on freedom-despair-illness-death. Thus, the perception of death revealed in her poetry can be confirmed in two ways. First, the tragic perception of death in loneliness and realistic acceptance. Although death is recognized by narrowing the distance from death, it can be confirmed that no other worldly hopes or wishes are found in this poem. She only recognizes her imminent death as miserable, tragic, and realistic. The second is that death is perceived as regressive and cyclical based on Taoist transcendence. Maechang wanted to escape the painful reality to the point of wanting to be reborn and live a peaceful and beautiful life. Looking at the way he yearns for the immortal world called ‘the other world’, we can sufficiently gauge how much Maechang suffered from sadness and regret.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the poems presented above commonly reveal the setting of the heavenly world and the celestial world where immortals live, and we can confirm that Maechang recognizes the essence of death as a return to the origin rather than a complete severance from life on earth.
생명윤리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 인식, 죽음 태도,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
이윤정,김윤수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2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생명의료 윤리 의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생명의료 윤리의식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간호대학 재학생 253 명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사망에 대한 태도, 생명의료 윤리에 대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및 서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비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중립적 수용이 더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죽음에 대한 접근적 수용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죽음에 대한 탈출적 수용, 중립적 수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죽음 회피, 죽음 공포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신생아 생명권, 장기이식 영역에서 생명윤리교육 이수군의 생명윤리 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 종교, DNR 교육 여부, 죽음 경험, 가족에게 DNR을 시행여부, 본인에게 DNR을 시행 여부에 따라 생명의료 윤리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의 형성, 생명의료 윤리의식의 향상을 위한 생명 윤리 교육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유의미한 종교, 죽음에 대한 태도, DNR 찬성 여부가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ioethics education on death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5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tools measuring perception of death, attitude to death, awarness of biomedical ethics were us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t-test,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In the perception of death, the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 on bioethics were more positive about death (p=.014). In the attitude towards death, the non -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neutral acceptance for death (p=.022). In the right to life of fetus (p=.040), artificial arbortion (p<.001), right to life of newborn (p=.021), organ transplantation (p=.049), the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the higher awareness of the biomedical eth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depending on grade, religion, DNR education, death experience, whether DNR will be administered to the family, and will DNR would be administered to them.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d the need to take bioethics education to form positive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death and improve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Suggest that the bioehtics education program needs to include religion, attitude toward death, and opinion about DNR on terminal patients.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길태영,조원휘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7 미래사회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총 8회기(주 2회, 각각 120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박미란 한국교육인류학회 2009 교육인류학연구 Vol.12 No.1
죽음은 삶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 살아감과 죽어감은 동전의 양면과 같기에 삶을 고양하는 교육은 동시에 죽음을 살필 필요를 가진다. 이런 의도에서 죽음과 비교적 가까이 있다고 여겨지는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과 이에 대한 교육적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관찰과 면담, 문화적 자료 수집을 병행하였고 자료수집 후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거쳐 문화주제와 유형 찾기를 시도하였다.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은 시간, 공간, 관계, 신체의 틀을 통해 보는 “늙으면 죽어야지!” “살아도 사는 게 아냐!” “이게 다 팔자지!”의 문화주제로 나타난다. “늙으면 죽어야지!”는 다시 그 주제를 인정하는 경우, 부정하는 경우, 표현하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동시에 시간, 공간, 관계, 신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죽음에 대한 인식을 만들어 감을 볼 수 있었다. “살아도 사는 게 아냐!”는 ‘죽음을 살아가기’로 이해되며 살아가는 죽음은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 체제적, 문화적 죽음을 살아간 후 신체적 죽음으로 종결된다. “이게 다 팔자지!”는 살아옴을 요약하는 주제면서 동시에 죽음을 설명하는 기능을 하는데 다시 체념과 관성과 희망으로 분류되고 있다. 한편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은 영성과 죽음수용성을 축으로 하여 불가지형, 허무형, 적극형, 소극형의 네 영역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양로원 할머니들의 죽음인식은 교육의 지점과 교차하는데 영성, 희망과 감사가 죽음을 인식하게 하면서 동시에 교육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동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Death does not divided from life, because living and dying both sides of a coin,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with death. For this purpose I tried to interpretate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cognition of death among female senior citizens in a home for the aged. After observation, interviews, collection of cultural themes, I have done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find cultural themes and patterns. Cultural themes about Death recognition through the frames of time, space, human relations, and activities of these women in a home for the aged include “we should die as we get older!”, “I'm not living even though I live!” and “All that I've lived is fate!” “we should die as we get older!” is categorized in three parts: agreeing to that cultural theme, denying that cultural theme, and silence due to fear of death. The frames of time, space, human relation, and activities of these senior women are working together at the same time, enabling recognition of death. “I'm not living even though I live!” can translate “living dying” is about mental death, social death, systematical death, psychical death, cultural death, and physical death as the last dying step. “All that I've lived is fate!” is explains a life resigned to the unknowable, emptiness, positive and passive according to the axis of spirituality and death receptivity. The recognition of death among these senior women living in a home for the aged is cross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Spirituality, hope, and gratefulness are derived from recognizing that death is inevitable for aged women in a home.
유아죽음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현,김영보,박미자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유아죽음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근거로 소규모 현장적용 연구를 통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G시, J도, K도, N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22명이며, 연구도구는 3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유아 죽음교육 관련하여 교사들의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담당하는 학급의 연령이 높은 교사가 유아죽음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및 유아죽음교육에서 유아교사의 역할 태도, 유아죽음교육관련 교사 일반 효능감, 수업 효능감, 유아죽음교육 환경에 대한 태도, 유아죽음교육의 교사교육 태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유아죽음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유아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소규모 현장적용 연구를 실시한 결과, 교사의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죽음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의 인식 변화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