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무용인류학의 연구관점과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재리 한국무용기록학회 2003 무용역사기록학 Vol.5 No.-

        본 연구는 초기무용인류학자 조안 킬리노호모쿠(Joann, W. Kealiinohomoku)와 에드리언 케플러(Adrienne Kaeppler)의 주요 논문과 저서를 중심으로 이들의 연구경향을 분석함으로써 무용인류학의 다양한 관점과 방법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연구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킬리노호모쿠는 무용인류학의 개념정립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무용인류학의 학문적 영역에 다양한 이론을 제공하였다. 또 다른 무용인류학자 케플러는 무용인류학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킬리노호모쿠와 케플러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서구적 시각에서의 무용을 비판 하였으며 문화적 맥락 안에서 무용을 연구할 것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은 연구관점을 가질 것을 주장한 것이었다. 이들이 제시한 무용의 인류학적 연구의 관점은 문화상대론적 관점, 경험주의적 관점, 저제적인 연구의 관점, 비교문화 연구의 관점 등이었으며 이러한 관점들은 초기경험주의 인류학자 보아스(Franz Boas)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두 무용인류학자들은 무용인류학 연구의 핵심이 되는 현지조사를 수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자신들만의 독특한 방법론을 개발하고 발전시켰으며 이는 무용인류학의 중요한 연구 방법론이 되기도 한다. 먼저 킬리노호모쿠는 현지조사 안내서인 자신만의 체크 리스트(Check List)를 만들어 발전시켜 나갔으며 큐라스의 기록법(Kurath's Notation)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기록하였다. 그녀는 무용을 분석할 때 다른 학문과 연계를 강조하였으며 유전적인 특징을 연구하는 비교분석의 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무용을 연구할 때 다른 문화의 요소까지 연구해야 한다는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캐플러는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을 이용하여 춤을 구조화시켰으며 무용을 분석할 때 언어학적 유추의 방법을 사용하여 무용의 구조와 사회의 구조의 관계를 파악하는 독특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용이 갖는 가치와 의미를 그 무용이 행해지는 민족의 시각에서 찾아야 한다는 민족의미론적(Ethno-Semantics) 연구를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연구를 분석해본 결과 무용인류학에서는 무용의 다른 학문 분야와는 달리 독특한 연구 관점과 다양하고 실질적인 연구방법론이 제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초기 무용인류학자들의 관점과 방법론을 토대로 하여 무용인류학의 이론에 대하여 알아보는 과정이었으며 분석을 통한 방법론들과 관점들로 무용인류학의 다양한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 various point of view and methodology about Dance Anthropology by analyzing the study point of Joann, W Kealiinohomoku and Adrienne Kaeppler. What I found out by analyzing their papers is as follows. Kealiinohomoku's study had a great influence on establishment of the fundamental notion about the early Dance Anthropology and presented various ideas to the study field of Dance Anthropology. And then Kaeppler' study presented a new methodology of Dance Anthropology.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ir study are that both of them criticized looking dance from western viewpoint and emphasized the study of dance in cultural context. They studied Dance Anthropology in the context of cultural relativism, empirical approach, holistic approach, cross cultural comparison approach and so forth. Their study like this was influenced by Boas who is early empiric anthropologist. What I found ou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thodology they used when they performed field work is as follows. Firstly, Kealiinohomoku recorded movement using Kurath's notation and made her own check list. She stressed analysis associated with other sciences and presented comparison analysis methodology which study hereditary characteristic. she also put forward cultural approach to dance. Kaeppler analyzed movement by structurizing dance using Labanotation and presented unique methodology through which the relation between dance and society structure can be grasped by using linguistics analogy. She also emphasized Ethno-semantics study that the value and meaning of dance should be sought from the viewpoint of people who perform it.

      • KCI등재

        프랑스의 역사인류학

        장클로드슈미트 ( Jean Claude Schmitt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3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32

        프랑스 역사인류학의 역사적, 학문적인 연원은 마르크 블로크와 뤼시앵 페르브가 『아날』지를 창간하면서 주창한 역사학을 중심으로 한 학제간 협동연구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역사인류학적 연구인 블로크의 『기적을 행하는 왕』(1924년)은 출판 당시에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했고, 1970년대에 역사인류학이 학문적 방법론으로서 성장, 발전하던 시기에 다시 출판되어 재조명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의 변화는 당시 학계에서는 지식인들이 겪고 있었던 탈식민지화의 충격과 그로 인한 문화적 상대주의, 사회적으로는 도시화와 산업화, 그리고 텔레비전 보급에 의한 도시 문화와 표준어의 헤게모니 확산 및 지방색의 소멸 등과 같은 당대의 사회적, 문화적인 맥락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었다. 사회의 변화는 과거 농촌의 “민중문화”에 대한 대중적인 향수를 불러일으켰고, 학문적으로는 농민문화에 대한 연구와 이론적인 쇄신이 이루어졌다. 당시 피에르 자케즈 엘리아스의 『교만의 말』과 엠마뉘엘 르루아라뒤리의 『몽타이유』는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기도 하였다. 역사인류학은 여러 발전 단계를 거치며 성장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민속”과 “민중문화”에 대한 연구는 1960-1970년대에 새롭게 부흥하였다. 역사학자들은 아르놀드 방 즈넵의 “통과의례” 이론과 같은 민속학의 연구방법론을 역사학에 적용하였고, 블라디미르 프로프나 미하일 바흐친 같은 “민중문학” 전문가들의 연구로부터 크게 영감을 얻었다. 장 피에르 베르낭, 피에르 비달 나케, 마르셀 데티엔의 고대 그리스 신화 연구나 자크 르고프와 엠마뉘엘 르루아라뒤리의 멜뤼진 설화 연구, 그리고 필자의 성 긴포르 연구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학문 발전과정에서 역사학과 인류학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인류학은 시간적인 요인을 중시하면서 일종의 “역사화” 과정을 겪었다. 역사학이 인류학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에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역사학자들은 인류학으로부터 “구조”이라는 측면을 고려하면서 사회조직들의 변화 논리를 공시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웠다. 둘째, 역사학자들의 문제의식이 확장되었으며, 신화와 전설의 구조적 분석, 가족과 친족관계 연구, 의례와 의식, 음악과 전례 연구 등으로 연구대상의 폭이 확대되었다. 역사학자들은 인류학자들과 같은 대상을 연구하기 시작하였고, 이것은 상호 대화와 학제적인 협동연구를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이러한 확장된 연구들이 제기하는 질문의 배후에는 문화권에 따라 변화하는 몸의 표상과 역할에 대한 거대한 질문이 도사리고 있다. 몸에 대한 연구는 이미 초창기의 인류학 및 “몸의 테크닉”에 대한 마르셀 모스의 선구적인 연구에서부터 근본적인 문제로 제기되었다. 특히, 중세사학자들에게는, 그리스도의 육화(肉化)가 그리스도교 세계의 종교와 문화의 핵심이기 때문에, 몸은 명백히 중심적인 문제이다. 또한, 자연과 문화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류학자 필립 데스콜라의 연구는 중세사학자로 하여금 자신의 연구대상에 대해서 생각하고 그것을 다른 문화들과 비교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서구의 유대-그리스도교 문화에 뿌리 깊게 박혀있는 자연론적인 태도를 감지하는데 기여하였다. 넷째, 역사학자들의 “표상” 연구는 그들이 몸과 자연의 생물학적인 존재와 물질성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릴 수 있는 위험성을 제기하였다. 그렇지만, 최근 미국과 유럽에서는 감정의 역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오랫동안 특수한 독립 연구분야로 인식되어오던 과학사와 의학사에서 사회사와 문화사에 귀 기울이고 있다. 또한, 이미지의 인류학적 역사 역시 몸에 대한 연구와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인류학자 앨프리드 젤의 연구는 이미지가 스스로의 의도를 가지고 있으며, 감정을 일으키고, 행동을 유발하고,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인 관계를 수립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역사학자와 중세사학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인류학적인 연구가 지니는 타당성은 무엇보다도 서구의 유비론적, 자연론적인 문화를 세계의 다른 존재론들 및 문화들 사이에서 상대화시킨다는 점에 있다. 역사인류학의 발전에서 보이는 것처럼 역사학에서의 문제제기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으며, 서로 다른 학문분야 간의 대화에 의해서 새로운 문제와 새로운 방법론, 새로운 연구대상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A great deal of French historical research has been plac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under the category and banner of historical anthropology. The expression comes from a strong interdisciplinary development that fused historiography and the social sciences at the end of the last century. At stake was, as far as historians were concerned. the merging of methods and questions of ethnologists and social anthropologists. In other words, this was a historical appropriation on the understanding of methods, questions, and objectives concerning the fields of ethnology and anthropology.

      • KCI등재

        예술인류학과 마음의 작용-≪나카자와 신이치의 예술인류학≫-

        박선경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2 No.-

        예술인류학은 예술과 인류학이라는 두 방면의 종합적인 사고이다. 예술인류학은 문자가 없던 원시 사회나 문명 전 사회를 연구하기도 한다. ≪나카자와 신이치의 예술인류학≫도 이와 같다. 본서는 인간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하여, 라스코 동굴 벽화에 주목한다. 동굴 벽화의 예술을 가능하게 했던 이유 속에서, 인류학적 전환의 포인트를 언급한다. 그것을 “마음의 작용”이라는 견해로 피력한다. 즉 인간의 마음에 대한 고찰을 이야기하고 있다. 예술 자체를 뛰어넘어 더 넓은 의미에서의 인류에 대한 내용이 바로 저자가 말하는 예술인류학이다. 저자는 유동적인 마음의 작용을 본질로 하는 인간의 마음과, 이와는 다른 언어의 논리적 구조를 연결시킨다. 그는 무의식의 영역에서 작동하는 지성의 작용을 ‘대칭성 논리’로 부르고 있다. 이 대칭성의 논리는 모든 사물의 카테고리를 분리 하지 않고 연결시키려고 한다. 결국 인류의 마음은 합리적인 언어의 구조와 ‘유동적인 마음’의 흐름으로 이루어진 대칭성의 논리에 따라 움직이는 층이 하나로 결합된 ‘복(复)논리’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한다. 그 중에서 예술은 ‘복논리’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저자는 예술인류학과 복논리를 통해서, 새로운 사고 영역을 개척하고자 한다. 구조인류학은 언어가 갖는 구조성에 초점을 맞춰 발달해왔다. 하지만 저자는 마음의 본질을 이루는 유동적 지성을 출발점으로 삼고자 했다. 그래서 저자가 구상하는 학문에 대해 대칭성의 지성을 기본 틀로 삼는 학문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결국 구조 인류학의 상대적 개념으로서 대칭성 인류학이라는 명칭을 붙였다. 저자는 예술학과 인류학의 창조적 융합을 제창하며 대칭성 인류학보다는 예술 인류학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예술이란 무의식의 깊숙한 곳으로 밀려나버린 야생의 사고의 복권을 가능하게 하는 지성의 활동이라는 의미를 갖는다고 한다. 따라서 사람의 마음속 깊숙한 곳에서 유동하고 있어 표면으로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는 ‘무의식’의 영역에 초점을 맞춰 인간을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학문이 곧 예술 인류학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현대의 새로운 대안으로 예술 인류학을 주창하므로, 이를 실천적 영역으로 제시한 학문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 책은 독립된 글을 모은 책이어서 각 소제목들 간의 연관성과 논리적 구성이 결여된 점과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는 책인 만큼 개념 정리가 정확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예술 인류학에 대한 인류학적 현지 조사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진다면 좋겠다. 저자는 예술인류학이 대칭성 인류학을 초석으로 자신이 창안해 낸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예술 인류학은 이미 인류학의 분야에서 계속해서 연구되어오는 학문이다. 비록 예술 인류학이 저자가 창안한 새로운 이론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저자의 정의에 대해서는 그의 독특성과 예술인류학적 연구에 공헌한 부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nthropology of Art is the holistic thinking of the art and anthropology. It has studied the society of the primitive ages or pre-civilization when had no written letters. ≪Nakazawa Shinichi's of Arts in Anthropology≫is also the same. This focuses on the mural of Grotte cave(Grotte de Lascaux) to explain the working of the mind. It mentions the point of view in anthropological changing through the causes of making the mural of cave possible. It is explained as the term of the working of the mind that is talking about the introspection of human beings'. The Anthropology of Art is the concept including of the mankind in the larger viewpoints behind the art. Nakazawa Shinichi is connecting human's mind that is essence of the working of the mind with logical structure of the language. This is called "symmetry logic" that is working the intelligence in the area of unconsciousness. This symmetry logic is trying to connect the every category of things without separating. Consequently, human being's mind is explained that it consist of the logic of duplication. It is made of one being fluid layer by the symmetry logic. The art is one of the typical types of the logic of duplication. He would like to explore the new thinking by the anthropology of art and the logic of duplication. Structural anthropology has been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the language. He tries to start being fluid intelligence that is composed of essence of human's mind. As a result the term of symmetry anthropology is named as a relative concept of structural anthropology. He has used the term of art anthropology more than symmetry anthropology to support the creative convergence between art and anthropology. The art has the meaning of the intellectual activity that makes the thought dried up from the depth of unconsciousness possible. Thus, the art anthropology is the academy that tries to understand the depth of human's mind getting along with focusing on the area of unconsciousness that rarely appear on the surface. Because he insists art anthropology as the new alternatives, this is highly evaluated as the practical area. I suggest that this book be needed to add more logical organization and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s. As well more research will be needed on the point of view in the art anthropology.

      • KCI등재

        연구논문 : 과학기술인류학과 자연의 정치; 문화상대주의와 총체성을 넘어서

        이강원 ( Kang Won Lee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인류학이 과학을 연구한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1960년대 이후 인류학자가``근대사회``의``자문화``를 연구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독 과학기술은 인류학자의 연구대상으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다. 필자는 이 연구에서 과학기술인류학이 전개되어 온역사와 그 범위를 추적하고 과학과 인류학의 미묘한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왜 인류학이 과학을 연구하기까지 그리 오랜 시간이 걸렸는지, 왜 여전히 과학 연구가 인류학 내에서 활발하지 못한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과학기술인류학은 그 이유로 인류학이 핵심적 원리로 받아들이고 있는``문화``, ``상대주의``, ``총체성``이 문화/자연, 상대주의/절대주의, 총체성/환원론을 나누는``서구 근대적``이분법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필자는 과학기술인류학의 논의를 리뷰하면서 기존의 인류학이 다른 분과학문들과 마찬가지로``자민족 중심주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을 드러내고, 과학기술인류학의 연구들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활용한 새로운 접근들을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치에서 인류학자의 분과 학문적 위치와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 전망한다. It is only a short time since anthropology took up the stud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though anthropologists started researching one`s ``own culture`in ``modern society`since the 1960`s, science and technology themselves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as subjects of anthropological inquiry. In the present work I show why it took such a long time for anthropologists to begin to pay atten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 and why the ``study science and technology`still has not become established as an active and vibrant research field of anthropology. I address this question in the form of a review of the history and scope of anthrop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AST), and I explore the subtl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anthropology. Tracing this relationship offers anthropologists an interesting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opportunity, as well as a chance to turn away from the traditional yet modern dichotomies of the cultural and the biological, relativism and universalism, reductionism and holism. In this sense, anthropology also has not been free from`` western ethnocentrism`just as other disciplines have not been free from it. AST research offers new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to be used in overcoming this modernist dichotomy. For anthropologists, tracing AST opens up new political spaces and strategies to make new roles and positions for anthropology among current disciplines, and for manage the problems which humankind faces.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조선인류학회와 이석락(1895~1968): 계몽과 여운

        전경수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3

        It seems to be necessary for us to concer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as far as we are doing anthropology. This article aims at a por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 was, as a matter of fact, an academic organization concerned about anthropology in Seoul in May, 1946 and it was named as the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Some members of US military government also participated into it. The first chairman was Dr. Lee, Kuk-no who left for Pyongyang in April, 1948 and the second one was Prof. Sohn, Jin-tai who was obviously kidnapped by the North Koreans right after breaking the Korean War in 1950.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Association, Mr. Lee, Suk-nak who was a christian pastor had a role of an executive director for the organization to the end. He was educated in Kyesung School at Taegu which was a mission school and entered next into the Presbyterian School at Pyongyang to become a pastor. He seemed to have learned some tones of the evolutionary scheme of anthropological ideas with the Christian ideology from the missionary at Kyesung School. The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published several different kinds of publications for public enlightening and all most all of them was published by the name of Lee, Suk-nak. I would hereafter like to introduce four of them in this paper in order to verify his activities for enlightening anthropology in this country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ism. He, then furthermore, had a central role of establishing the branch of the academic organization at Taegu in 1947 and tried to widen anthropology in the area of Kyungsangdo (Youngnam). After the Korean War, he made an introductory text book titled as <General Anthropology> (1953) in the form of print and started to open a course of Introduction to Anthropology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54). His “book”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anthropology book ever since published in this country and his effort might be able to be extended potentially to the Youngnam Anthropology for the future. 본고는 해방 직후 결성되었던 조선인류학회와 그 주역을 담당하였던 이석락에 관한 논고이다. 그 조직은 1948년 정부수립과 함께 대한인류학회라 고 개명하였고,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그 활동은 종말을 맞았다고 생각된다. 그 조직의 전무위원을 담당하였던 이석락은 대구의 계성학교와 평양신학 교 출신으로서, 어떤 연유로 미군정과 연결이 잘 되었던 사람이었다. 그는 목사직을 수행하기도 했으며, 후일 천주교로 개종하였다. 그가 인류학적인 생각을 시작한 것은 이미 계성학교에 재학할 시절에 작성하였던 한시에서 기독교 중심의 진화론적인 사상의 표현에서 드러나고 있다. 그가 인류학이란 학문을 전공하였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으나, 조선인류학회의 활동 속 에서 그의 인류학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다. 그가 인류학적인 연구를 수행 한 흔적은 전혀 없다. 그러나 그는 해방조선에서 인류학을 계몽하는 작업을 하였음에 분명하였다. 이 논고에서는 그가 주축이 되어서 제작하였던 조선인류학회 명의의 출판물들을 네 가지 소개한다. 그는 조선인류학회 경상북도지회를 결성함에 있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영남지방의 여 러 곳을 대상으로 인류학 강연회도 개최하였다. 한국전쟁 후, 그는 대구의 경북대학교에서 1954년부터 인류학개론을 강의하였으며, 1953년에는 <인 류학개론>이라는 서적을 제작하였다. 물론 이 서적은 유인본으로써 정식의 출판과정을 밟은 것은 아니고, 목차와 내용을 비교해볼 때, 미완성으로 끝 이 난 것으로 파악된다. 일본서적들과 미국서적들을 참고해서 제작된 그의 <인류학개론>의 내용이 지향하는 바는 대체로 프란츠 보아스류의 인류학 을 소개하는 정도이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이 땅에서 이 땅의 사람에 의해 서 발간되었던 최초의 인류학 서적으로 간주된다는 점이다. 조선인류학회 가 체질인류학부, 문화인류학부, 고고학부로 구성되었던 조직과 그의 <인 류학개론>이 보여주는 구성이 거의 비슷하게 드러나고 있다. 대구를 배경 으로 했던 그의 활동으로부터 영남인류학의 창발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실재에서 실천까지: 의료의 인류학과 의료 관련 인류학의 경계를 넘어

        김태우 ( Kim Taewo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2

        의료인류학에서 연구하는 의료는 무엇인가? 의료인류학은 의료를 어떻게 연구하는가? 의료인류학에서 의료와 인류학의 관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본질적 질문을 위해 본 논문은 의료인류학의 연구 분야를 의료의 인류학과 의료 관련 인류학으로 나누어 논의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구분은 잠정적 구분이며, 분류를 위해서라기 보다는 그 구분을 넘어서는 의료인류학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기 위한 노력이다. 그동안의 의료인류학에서 의료 관련 인류학이 주를 이루었던 것은 인류학의 형이상학적 전제와 관련이 있으며 자연과 문화의 분리가 의료 내부와 의료 주변의 인류학으로 의료인류학을 나누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구분을 넘어서는 의료인류학을 위해서는 실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실재에 대한 논의는 데스콜라의 “확인(identification)”과 몰의 “연행(enactment)”의 개념의 접점을 통해 논의 가능하다. 생의학과 한의학에 대한 현지조사 자료들은, 실재는 그 의학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실재에 연결된 사회적 정치적 실천의 논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코비드-19 팬데믹 이후 더 많은 의료인류학적 논의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의료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실재와 실천을 연결하는 연구와 토론의 기여 가능성은 열려있다. What is medicine in medical anthropology? How does medical anthropology approach medicine? What is the relationship of medicine and anthropology in medical anthropology? Considering these fundamental questions for the basis of this paper, we categorize the themes of medical anthropology as anthropology on medicine, on the one hand, and anthropology related to medicine, on the other. Rather than aiming to divide the research areas, this categorization is for moving beyond the boundary. To date the majority of medical anthropolog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nder the purview of anthropology related to medicine, influenced by the separation of nature and culture. To overcome this separation and its consequential division of research as either inside or outside of medicine, medical anthropology should examine the issue of reality. Combining Descola’s concept of “identification” and Mol’s “enactment,” the investigation of reality can be fulfilled. The juxtaposed field data of biomedicine and Korean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exploration of reality opens up discussion of both the inside of medical knowledge and social and political practices around medicine. The examination and discussion which can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as well as the reality and practice of medicine, will contribute to medical anthropology as a discipline that will be in high demand in the post-Covid-19 era.

      • KCI등재

        한국 교육인류학의 특징에 관한 일 고찰

        서덕희 ( Deok Hee Seo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2

        현재 한국 교육인류학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비전을 밝히기 위해서 교육인류학 내외의 맥락 속에서 기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형성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이 논문은 ‘형성’의 관점에서 한국 교육인류학의 현재, 즉 그 특징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 교육인류학의 형성과정을 먼저 이해함으로써 ‘통시적으로’ 한국 교육인류학의 기원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공시적으로’ 한국 교육인류학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서구 주도 아래 근대학문이 형성,발전된 맥락 속에서 한국 교육인류학은 미국 교육인류학의 ‘선택적 이식’을 통해서 생성되었지만 한국 학문공동체의 탈식민주의적 풍토 속에서 제1기 교육인류학도들은 학문의 ‘토착화’를 중요한 학자적 과제로 삼았다. 또한 교육학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교육학과의 담론적 분위기와, 인류학과 교육학의 다른 세부전공과의 긴장관계 속에서 개념정립을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고, 교육인류학의 옅은 학자층은 질적 연구와의 필연적 공생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한국 교육인류학은 성격상 학문중심적인 ‘인류학적 교육인류학’에서 출발하였으나 ‘교육학적 교육인류학’을 중심으로 점차 미시적 실천의 성격이 강한 학문적 특징을 가지게 되었고, 차이와 경계 속에서 서로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대상의 개념적 정립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한국 교육인류학은 이제 과거와 현재, 교육학과 인류학, 이론과 실제, 그리고 미시와 거시의 변증법적 관계를 딛고 토착적이지만 세계적인 학문으로 도약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Based upon the problem that it is urgent to understand the formative process of Korean anthropology of education (KAE) from its origin to the present within its historical context in order to shed light on its futu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AE from the historical anthropology perspective of ``formation``. In particular,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in the US, the study aims tocompare it presently with KAE, as well as to understand historically the origin of KAE. Like all the modern sciences, KAE is generated by transplanting the US anthropology of education in the Korean academe, in particular,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wever, the postcolonial atmosphere of the Korean academe urged the first Korean anthropologists to settle KAE in a different institutionalized academic framework from that of the US. Also, a very small number of education anthropologists and their students has caused the group to search for symbiosis with qualitative researcher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KAE started from theory-oriented ``anthropological`` AE but had taken on the character of practice-oriented ``educational`` AE in time. Encounters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ad also caused KAE to deepe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phenomena researched (culture and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identities of each other in overlapping studies.

      • KCI등재

        인간과 비인간 관계로서의 의료: 존재론적 인류학과 의료인류학의 접점 위에서

        김태우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3

        Medicine, as an institution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non– humans, consists of ontological knowledge and practices. Against this backdrop, ontological anthropology and medical anthropology have a potential for a mutually stimulating relationship. Ontological anthropology can contribute to medical anthropology by providing innovative discussions of human and non–human bod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diverse field data of contemporary medical practices, medical anthropology can help ontological anthropology overcome its regional limits and heavy reliance on ethnographies in the past. This paper provides an example of the encouraging linkage between medical and ontological anthropologies, by presenting East Asian medicine on the premise of analogism, one of the four ontological modes proposed by Philippe Descola. The present study employs a case study garnered by fieldwork of East Asian medicine in South Korea. In its medical practice, East Asian medicine expands the analogy network from diagnosis to treatment, along with lifestyle recommendations for patients. This analogy network penetrates heaven and earth, humans and nonhumans, in which there is no divis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This study will show that anthropology is able to provide more fascinating stories of beings and practices on the intersections of ontological anthropology and medical anthropology.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에 대한 체계로서의 의료는, 존재론적 지식과 실천의 체계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존재론적 인류학과 의료인류학은 고무적으로 만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있다. 존재론적 인류학은 각 의료의 몸과 몸 밖 존재들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 존재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논의를 추동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의료인류학은, 존재론적 인류학 논의의 국지성을 떠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보다 다양한 지금의 현지 자료를통해 존재론적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데스콜라의 존재론적 인류학에서 아날로지즘의 논의를 가져와서 동아시아의학을 논하면서, 존재론적 인류학과 의료인류학의 접점 위에서의 가능성을 예시하고자 한다. 현장자료로는, 동아시아의학에 대한 현지조사 자료 중, 환자 진료 케이스를 인용하였다. 동아시아의학은 진단에서 처방에 이르기까지, 또한 환자의 생활습관을 위한 제안에까지, 아날로지의 연결망을 확장하고 구체화하며 의료실천을 진행한다. 그 연결망을 통해 천지에서부터 인간과 비인간 존재까지 연결되며, 거기에는 어디까지를 자연이라 하고, 어디까지를 나누어 문화라고 할 경계가 없다. 존재론적 인류학과 의료인류학에는 다양한 접점이 있으며, 그 교차의 길 위에서 인류학은 더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 KCI등재

        아프리카 인류학의 지식 생산 담론: 영국 구조주의에 대한 마페제(Mafeje, A.)의 인식론을 중심으로

        장용규(Chang, Yong-kyu) 한국아프리카학회 202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9 No.-

        1970년대부터 등장한 아프리카인 인류학자의 고전 인류학 비판은 영국구조주의의 이원론적 인식론 비판에 모아지고 있다. 마페제를 필두로 아프리카인 인류학자는 영국 구조주의가 아프리카 현실을 부정한 채 자신들의 연구 목적에 맞는 대상을 ‘만들어 냈다’고 비판한다. ‘원시 부족’으로 대상화된 아프리카 사회는 아프리카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가공된 사회였는데, 영국 구조주의는 이를 이용해 아프리카의 왜곡된 이미지를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마페제는 영국 구조주의 방법론은 단순 실수가 아니라 19세기 서양의 인식론인 계몽주의와 사회진화론의 영향을 받은 탓이라고 주장한다. 결국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영국 구조주의는 방법론적 수정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그 이면에 숨어 있는 계몽주의와 사회진화론에 대한 전면적인 해체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마페제는 1980년대 이후 서양 인류학계 내부에서 진행된 포스트모던 인류학에 대한 비판도 진행한다. 마페제에 따르면 고전 인류학의 텍스트적 해체를 주장하는 포스트모던 인류학은 고전 인류학의 민족지 방법론에 대한 현상적 해체에 그치고 있다고 비판한다. 문학비평의 영향을 받은 포스트모던 인류학은 인류학 민족지를 텍스트로 이해하고 이를 해체하고 재구성하는데 관심이 있을 뿐, 인류학의 근원적 문제점에 대해서는 관용적 태도를 취한다. 아프리카 인류학의 정립을 위해 필요한 것은 텍스트 해체와 재구성이 아니라 인류학이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방법론의 문제를 해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프리카인의 내재성을 강조해야 한다는 마페제와 그 동료의 주장에 귀 기울여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A premier methodology of classical anthropology, the study of the other, has long been a subject of bitterly scholarly debates. As it had been exclusively accepted as the unique methodology among anthropologists, the study of the other has enjoyed its dominant position among Western scholarship. Designating the other in a particular manner, so called ‘traditional tribe’, Western anthropologists have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altered’ the nature of the other by posturing it into the opposite side of Western civilisation. Archie Mafeje’s vehement criticism came against this methodological failure by blaming it as Western anthropologists’ “mark of false consciousness” (Mafeje 1971:2 59). According to him, altering African people and society as passive and subjugated being are the false-reflection of African reality. Instead Archie Mafeje argues that the reflection of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of African reality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study of anthropology. Pursuing the endogeneity, for Archie Mafeje, is the alternative methodology of Western domination of anthropological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