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Hierarchical Model of Good Faith Principle

        Han-Byul Choi(최한별),Jung-Han Bae(배정한),Nak-Hyun Han(한낙현),Seok-Beom Choi(최석범)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4

        연구목적: 신의성실의 원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이 도덕적 가치라는 관념적인 부분에 그 기반을 두고 있어 개념과 적용범위 등이 모호하다는 한계가 있고 이러한 한계는 여러 연구에서도 공통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러한 한계를 언급하는 정도에 그치며 신의성실 원칙의 유형화를 크게 확장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의성실의 원칙의 유형화를 위해 계층적 구조 모델을 도출하여 신의성실 원칙의 유형화를 확산함으로써 신의성실 원칙의 명확화를 제고하는 것을 그 연구목적으로 한다. 논문구성/논리: 본 논문을 총 5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은 서론으로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목적을 기술하고 있으며 제2장은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도모하고 있다. 제3장은 신의성실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있는 이론 적 근거와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있다. 제4장은 신의성실 원칙의 계층적 구조모델을 도출하고 있다. 제5장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결과: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신의성실의 원칙의 이론적 토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과 그 한계를 검토하여 신의성실 원칙의 계층적 구조모델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계층적 구조모형에 근거하여 신의성실의 원칙과 하위원칙인 실효의 원칙, 모순행위금지의 원칙 그리고 사정변경의 원칙에 대한 법 명제를 도출하였다. 독창성/가치: 본 논문은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신의성실의 유형화를 위한 계층적 구조모델을 개발하고 그러한 모델에 입각하여 신의성실의 원칙과 하위원칙인 실효의 원칙, 모순행위금지의 원칙 그리고 사정변경의 원칙에 대한 법 명제를 도출하여 그러한 법 명제에 입각한 판단을 도출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도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창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Purpose: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t suffers from certain limitations, such as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and the application of good faith. The concept is based on the notions of moral value, and these limitations are commonly referred to in many studies. However, most studies have only mentioned these limitations and have not significantly expanded the categorization of the aforementioned princip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clarity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by building a hierarchical structural model for the classification and propagation of the principle. Composition/Logic: Section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section 2 seeks to differentiate this stud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Section 3 outlines the rationale of good faith and its problems by conducting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good faith. Section 4 presents a hierarchical structural model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ection 5 provides concluding remarks. Findings: To confirm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various theories and their limitations were reviewed to derive a hierarchical model of the principle. On the basis of this model, the legal propositions of the principles of being lapse, estoppel, and change of circumstances were derived. Originality/Value: This study is novel in that it first develops a hierarchical model for the categorization of good faith and draws up the legal propositions of the principles of good faith, in particular, the principles of being lapse, estoppel, and change of circumstances.

      • KCI등재

        조세법률주의와 신의성실 원칙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규림(Kim Kyulim),이재강(Lee Jaekang) 한국세법학회 2013 조세법연구 Vol.19 No.2

        조세는 국민으로부터 반대급부 없이 강제적으로 부과·징수하는 것이므로 국민의 재산권에 중대한 제한을 가져온다. 따라서 민주국가의 헌법은 조세법률주의를 규정하여, 조세의 부과·징수에 관한 사항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의회가 법률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정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사법의 영역에서 출발한 신의성실의 원칙은 오늘날 공·사법을 아우르는 일반적인 법원칙으로 정착하였고, 우리나라는 국세기본법 제15조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조세영역에서의 신의성실의 원칙을 인정하고 있다. 결국 조세영역에서 조세법률주의와 신의성실의 원칙은 어느 것도 경시된다고 보기 어렵고, 이는 신의성실의 원칙이 조세법률주의의 허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일방적인 과세권 확대의 도구로서 제한 없이 활용되어서도 안 된다는 측면으로도 인식된다. 이 글은 조세법의 영역에서 신의성실 원칙의 적용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출발하여, 특히 신의성실 원칙이 납세자에게 조세를 부담시키는 방향으로 적용된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며 적용요건을 재정립함으로써 신의성실 원칙을 통한 과세권의 확대가 조세법률주의의 헌법 정신을 침해하지 않는 방안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판례와 학설은 대체로 납세자가 일정한 행위를 통하여 과세권자에게 신뢰를 형성시켰고 이에 기초하여 과세가 이루어졌는데, 납세자가 과거 자신의 행위에 반하는 배신행위를 한 경우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과세가 합법화되는지 여부를 집중 논의하였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 2011. 1. 20. 선고 2009두13474 전원합의체 판결은 이러한 기존 논의와 다소 다른 측면의 논의를 촉발시켰다. 즉, 위 판례는 납세의무자의 부가가치세법상 매입세액 공제·환급의 요구에 대하여 ‘보편적인 정의관과 윤리관’에 비추어 용납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신의성실 원칙을 적용, 매입세액 공제?환급 요구를 배척할 수 있다는 취지로 판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이 설시하고 있는 신의성실 원칙의 적용 요건에 대하여 심도 있게 검토하여, 향후 조세법 영역에서 납세자의 일정한 요구 또는 권리행사가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하여 제약받는 경우 그 한계선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한편 신의성실 원칙은 일반원칙으로서 일정한 사안을 해결하는 도구로서는 다소 추상적이라는 문제를 지니므로, 되도록 보충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 바, 이 글에서는 매입세액 공제?환급 문제에서 중요한 요소인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 의 논의를 통하여 신의성실 원칙의 보충성 측면에서 과연 다른 해결방안이 없는지도 생각해보고자 한다. Taxes are levied and collected by compulsion without any consideration from people, thus imposing massive constraints on their property rights. In a democratic nation, the Constitution prescribes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assures that tax levy and collection should be carried out via law by the National Assembly representing the people. Today the principle of good faith has settled down as a general legal principle encompassing public and private law in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South Korea, Article 15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explicitly recognizes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realm of taxes. Neither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no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s neglected in the realm of taxes, which can be understood in that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hould compensate for the blind spots in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not be used as a tool to expand the right to tax one-sidedly with no limitations. Starting with the issue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area of tax laws, this study examined the precedents of the principle being applied to reduce the tax burdens on taxpayers, reviewed its validity, and reestablished the conditions of its application. The study thus aimed to find a way for the expansion of the right to tax through the principle of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spirit of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ccording to the existing precedents and theories, taxpayers generally formed trust in the holders of right to tax through certain acts, and tax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m. The study concentrated discussions on whether taxation would be legal or no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en taxpayers engaged in an act of betrayal against their past acts. The Supreme Court"s grand bench decision of 2009 Du 13474 sentenced on January 20, 2011, however, stirred somewhat different discussions from that of older ones. The precedent above gave a decision with the intent that a demand for input tax deduction and refund could be exclud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ccording to the value added tax act because it could not be tolerated by the “universal view of justice and ethics”. The study reviewed the application conditions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carried out by the majority voice of grand bench decisions in-depth and drew a clear boundary for a case in which taxpayers" certain demands or exercise of right in the realm of taxation acts would be limited by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s a tool to resolve certain cases with a general principle and should be applied as complementary as possible for its rather abstract nature. Based on the conclusion, the study also looked into whether there would be other solutions in the complementary aspect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by discussing “tax invoices different from fact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deduction and refund issue of input tax.

      • KCI등재

        조세법률주의와 신의성실 원칙의 적용에 관한 연구―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김규림,이재강 한국세법학회 2013 조세법연구 Vol.19 No.2

        Taxes are levied and collected by compulsion without any consideration from people, thus imposing massive constraints on their property rights. In a demo- cratic nation, the Constitution prescribes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assures that tax levy and collection should be carried out via law by the National Assembly representing the people. Today the principle of good faith has settled down as a general legal principle encompassing public and private law in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In South Korea, Article 15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explicitly recognizes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realm of taxes. Neither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no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s neglected in the realm of taxes, which can be understood in that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hould compensate for the blind spots in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not be used as a tool to expand the right to tax one-sidedly with no limitations. Starting with the issue of apply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he area of tax laws, this study examined the precedents of the principle being applied to reduce the tax burdens on taxpayers, reviewed its validity, and reestablished the conditions of its application. The study thus aimed to find a way for the expansion of the right to tax through the principle of violating the Constitutional spirit of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ccording to the existing precedents and theories, taxpayers generally formed trust in the holders of right to tax through certain acts, and tax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them. The study concentrated discussions on whether taxation would be legal or no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en taxpayers engaged in an act of betrayal against their past acts. The Supreme Court's grand bench decision of 2009 Du 13474 sentenced on January 20, 2011, however, stirred somewhat different discussions from that of older ones. The precedent above gave a decision with the intent that a demand for input tax deduction and refund could be exclud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ccording to the value added tax act because it could not be tolerated by the “universal view of justice and ethics”. The study reviewed the application conditions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carried out by the majority voice of grand bench decisions in-depth and drew a clear boundary for a case in which taxpayers' certain demands or exercise of right in the realm of taxation acts would be limited by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s a tool to resolve certain cases with a general principle and should be applied as complementary as possible for its rather abstract nature. Based on the conclusion, the study also looked into whether there would be other solutions in the complementary aspect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by discussing “tax invoices different from fact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deduction and refund issue of input tax. 조세는 국민으로부터 반대급부 없이 강제적으로 부과․징수하는 것이므로 국민의 재산권에 중대한 제한을 가져온다. 따라서 민주국가의 헌법은 조세법률주의를 규정하여, 조세의 부과․징수에 관한 사항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의회가 법률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정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사법의 영역에서 출발한 신의성실의 원칙은 오늘날 공․사법을 아우르는 일반적인 법원칙으로 정착하였고, 우리나라는 국세기본법 제15조를 통하여 명시적으로 조세영역에서의 신의성실의 원칙을 인정하고 있다. 결국 조세영역에서 조세법률주의와 신의성실의 원칙은 어느 것도 경시된다고 보기 어렵고, 이는 신의성실의 원칙이 조세법률주의의 허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일방적인 과세권 확대의 도구로서 제한 없이 활용되어서도 안 된다는 측면으로도 인식된다. 이 글은 조세법의 영역에서 신의성실 원칙의 적용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출발하여, 특히 신의성실 원칙이 납세자에게 조세를 부담시키는 방향으로 적용된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타당성을 검토하며 적용요건을 재정립함으로써 신의성실 원칙을 통한 과세권의 확대가 조세법률주의의 헌법 정신을 침해하지 않는 방안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판례와 학설은 대체로 납세자가 일정한 행위를 통하여 과세권자에게 신뢰를 형성시켰고 이에 기초하여 과세가 이루어졌는데, 납세자가 과거 자신의 행위에 반하는 배신행위를 한 경우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과세가 합법화되는지 여부를 집중 논의하였다. 그런데 최근 대법원 2011. 1. 20. 선고 2009두13474 전원합의체 판결은 이러한 기존 논의와 다소 다른 측면의 논의를 촉발시켰다. 즉, 위 판례는 납세의무자의 부가가치세법상 매입세액 공제․환급의 요구에 대하여 ‘보편적인 정의관과 윤리관’에 비추어 용납될 수 없다는 이유를 들어 신의성실 원칙을 적용, 매입세액 공제․환급 요구를 배척할 수 있다는 취지로 판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 전원합의체 판결의 다수의견이 설시하고 있는 신의성실 원칙의 적용 요건에 대하여 심도 있게 검토하여, 향후 조세법 영역에서 납세자의 일정한 요구 또는 권리행사가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하여 제약받는 경우 그 한계선을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한편 신의성실 원칙은 일반원칙으로서 일정한 사안을 해결하는 도구로서는 다소 추상적이라는 문제를 지니므로, 되도록 보충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는 바, 이 글에서는 매입세액 공제․환급 문제에서 중요한 요소인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의 논의를 통하여 신의성실 원칙의 보충성 측면에서 과연 다른 해결방안이 없는지도 생각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민법상 일반원칙인 ‘신의성실의 원칙이나 형평의 원칙’에 의한 변호사 보수의 감액 여부

        이양희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5

        변호사와 의뢰인이 약정한 변호사 보수액이 부당하게 과다한 경우 민법상 일반원칙인 ‘신의성실의 원칙 및 형평의 관념’에 의하여 제한할 수 있는지에 여부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약정 보수액이 부당하게 과다하여 신의성실의 원칙이나 형평의 관념에 반한다고 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적당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내의 보수액만을 청구할 수 있고, 다만 이러한 보수 청구의 제한은 어디까지나 계약자유의 원칙에 대한 예외를 인정하는 것이므로 법원은 그에 관한 합리적인 근거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라고 하여 신의성실의 원칙 및 형평의 관념에 의한 변호사 보수 청구의 제한을 긍정하여 왔다. 이에 대해 법률에서 제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는 한 사적 자치 및 계약자유의 원칙상 계약 내용대로 그 효력을 인정하여야 하고, 법률행위의 무효사유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 민법 제2조의 신의성실의 원칙 또는 민법에 규정되어 있지도 않은 형평의 관념은 당사자가 계약으로 정한 변호사 보수를 제한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신의성실의 원칙 및 형평의 관념에 의한 변호사 보수를 감액을 반대하는 견해가 없지 않았다(별개의견). 이에 대법원은 이번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기존의 위와 같은 법리가 현재에도 여전히 그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임을 명확히 하였고, 그 근거로 다음과 같은 사정 등을 들었다. 즉 사법(私法)의 기본원리인 사적 자치와 계약자유의 원칙도 아무런 제한 없이 절대적으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법질서 전체를 관통하는 일반 원칙인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단순히 급부의 교환에 그치는 매매와 같은 계약과 달리 당사자 사이의 신뢰관계를 기초로 상대방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는 데에 목적이 있는 위임이나 신탁과 같은 계약에서는 신의성실의 원칙과 형평의 관념이 강하게 작용한다. 또한 영리추구가 목적인 상인의 영업활동과 달리 고도의 공공성과 윤리성이 요구되는 변호사 직무의 특성상 소송위임계약에서 신의성실의 원칙과 형평의 관념은 더욱 강하게 작용하고, 변호사 보수가 반드시 일반적인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적정 수준으로 결정되고 있다고 볼 수도 없다. 한편 법원이 적정한 결론을 도모한다는 구실로 신의성실의 원칙에 기대어 당사자 사이의 계약 내용을 함부로 수정·변경하는 것은 당연히 경계하여야 하는데, 대법원은 변호사 보수 청구 제한의 법리를 발전시켜 오면서 이러한 법리가 계약자유의 원칙을 제한·수정하는 예외적인 것이므로 그 적용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고, 보수 청구를 제한하는 경우 그에 관한 합리적 근거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판단해 왔는바, 이로써 변호사 보수에 대해 신의칙을 적용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우려는 해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In the subject case pertaining to whether an attorney’s claim for remuneration can be limi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and the concept of equitygeneral rules under the Civil Actwhere the fee agreed between the attorney and his/her client is unduly excessive, the Supreme Court held as follows: “When taking account of such various factors as ordinary attorney-client relationship; degree of effort on the part of the attorney; value of the subject-matter of lawsuit; specific gains that the client is to incur if winning the case; and other matters revealed during the pleading, if there exist extenuating circumstances to deem that an unduly excessive agreed-upon attorney fee in remuneration for an attorney’s handling of delegated duties contravenes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or the concept of equity, then the attorney may only claim remuneration for a fee within a scope considered reasonable and appropriate. However, given that such limitation on the claim for remuneration grants an exemption to the freedom of contract doctrine, courts shall provide a clear rationale thereto.” Two Justices expressed their concurrence as to the above ruling: “[The] Civil Act merely stipulates that the exercise of rights and the performance of duties shall b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and that no abuse of rights shall be permitted (see Article 2(1)-(2)), and does not prescribe it as grounds to deem juristic acts null and void. Therefore, neither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as prescribed under Article 2 of the Civil Act nor the concept of equity that is not even stipulated in the same Act can serve as the basis to declare an agreement concluded between the parties null and void.” In the en banc Decision, supra, the Court expounded as to why the aforementioned legal doctrine still holds true today: (a)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private law, the private autonomy doctrine and the freedom of contract doctrine forms the basis for regulating juristic legal relationships, but such doctrine is not unlimited and absolute. Private autonomy and freedom of contract may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good faith principle. (b) The underlying purpose of delegation or entrustment agreements i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a counterparty based on trust between the contractual parties. As such,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the concept of equity are even more stringently applied compared to sales agreements that mainly center on payment and consideration. (c) While allowing attorneys to monopolize the entire legal profession, the Attorney-at-Law emphasizes the high level of public nature and ethical standards demanded of the attorney’s profession by declaring that the mission of any attorney shall be to defend fundamental rights and realize social justice and that each attorney shall perform his/her duties independently and freely as a legal professional of public nature. The fact that an attorney’s performance of duties is starkly different from that of a merchant’s commercial activities seeking to generate profit ought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applying the good faith principle to a retainer agreement. (d) An attorney’s fee cannot be necessarily deemed as being decided at an appropriate level according to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Meanwhile, on the pretext of deriving a reasonable conclusion courts should as a matter of course refrain from rashly changing and revisingon the basis of the good faith principledetails of a contract concluded between two parties. However,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the legal doctrine of limitation on attorney fees, the Supreme Court has consistently underlined the need for prudence when applying such doctrine inasmuch as it falls under an exceptional case of placing constraints on the freedom of contract, and has expressed the need to provide a clear rationale in cases of limiting attorne...

      • KCI등재

        납세의무자에 대한 신의성실의 원칙의 확대 적용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양창근,권형기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8 세무와 회계 연구 Vol.7 No.1

        This study deals with a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limit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ich is derived from a relationship between substance-over-form and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o a taxpayer by going through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Even if substance-over-form begins by the tax authorities to restrict tax evasion, now the taxpayer also claims substance-over-form to get out of the injustice of tax imposition. The tax authorities protest the claim of the taxpayer's substance-over-form by trying to apply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hich was narrowly accepted by the supreme court. The supreme court sometimes depends on substance-over-form in the process of making a decision whethe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should be applied to the taxpayer or not. The limit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o the taxpayer should be extended beyond the principle of estoppel to recover the identity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from the substance-over-form. For example, it is meaningful to introduc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by considering not only economic substance but also other factors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9Du13474 which was decided on January 20, 2011. However,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has been used to apply only gold bullion trade so far. In order to expand the range of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to not only the principle of estoppel but also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it is necessary to search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in the tax law territory which is different with the Civil Law. This paper has a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to suggest the need and grounds of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abuse of rights. 본 연구에서는 실질과세원칙과 신의성실의 원칙의 관계에서 비롯된 납세의무자에 대한 신의성실의 원칙의 확대 적용의 필요성에 대해서 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실질과세원칙은 납세의무자의 조세회피 행위를 제재하기 위해 과세관청의 주장으로 시작되었지만, 이제는 납세의무자도 부당한 부과처분을 벗어나기 위해 실질과세원칙을 주장하고 있다. 납세의무자의 실질과세원칙 주장에 대하여 과세관청은 신의성실의 원칙으로 항변하지만, 법원은 납세의무자의 신의성실의 원칙 위반을 매우 제한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때 법원은 납세의무자의 신의성실의 원칙 적용을 판단하는 과정에서 실질과세원칙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납세의무자에 대한 신의성실의 원칙 적용이 실질과세원칙으로부터 독자성을 회복하기 위해 금반언의 원칙을 넘어서는 신의성실의 원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법원 2011.1.20. 선고 2009두13474 전원합의체 판결은 권리남용금지원칙을 도입함으로써 납세의무자의 경제적 실질 외의 요소를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권리남용금지원칙은 현재까지는 금지금 변칙거래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법리처럼 활용되고 있다. 신의성실의 원칙의 적용 범위를 금반언의 원칙을 넘어서 권리남용금지원칙까지 확대하기 위해서는 조세법상 권리남용금지원칙을 적용함에 있어 일반 민사법에서의 적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요건을 탐색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논의의 시작점으로서 권리남용금지원칙의 도입의 필요성과 근거를 정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우수등재

        국제물품매매계약(國際物品賣買契約)에 관한 국제연합협약(國際聯合協約)의 신의성실(信義誠實)의 원칙의 적용범위

        김인호 ( In Ho Kim ) 법조협회 2006 法曹 Vol.55 No.9

        신의성실의 원칙은 국가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은 다를 수 있으나 대륙법계나 보통법계를 불문하고 당사자 간의 매매계약관계에 적용되고 있다. 이는 신의성실의 원칙이 당사자 간의 법률관계에서 실천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은 협약의 해석에서 국제거래상의 신의성실의 원칙의 준수를 증진할 필요성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신의성실의 원칙이 협약의 해석에만 적용되고 당사자 간의 매매계약의 성립이나 그 이행에는 적용이 없는 것인지가 다투어진다. 신의성실의 원칙은 협약의 기초가 되는 일반원칙의 하나로서 협약의 해석은 물론 당사자 간의 매매계약의 성립이나 그 이행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신의성실의 원칙을 국제거래에서 적용함에 있어서 국내법에서의 내용과는 다른 통일된 내용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는 각국 법원이나 중재재판부는 국제매매계약에 관한 선례를 참고하여 신의성실의 원칙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통일을 기하여야 한다. 궁극적으로 이는 협약을 제정한 목적의 하나인 통일된 협약의 해석·적용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전통 법문화에서 信의 윤리와 현대적 의미

        金池洙(Kim, Jisu)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40 No.-

        본고는 오륜의 끝 조목인 붕우유신을 중심으로 전통법문화에서 믿음의 윤리가 어떻게 펼쳐지고 발전하며, 근대법의 신의성실의 원칙과 어떻게 이어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우선 역사 속에서 붕우유신의 윤리가 출현하는 사회배경을 더듬어 보고, ‘朋友’의 문자학적 어원과 ‘有信’의 필요성을 궁리해본다. 이어서 공자와 유가를 중심으로 믿음의 철학을 살펴본 뒤에, 믿음의 대표적 법규범의 하나로 당률상의 혼인절차 규정을 정리하여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붕우유신이 근대법의 신의성실의 원칙으로 부활한 과정과, 특히 ‘信’이 ‘信義’로 바뀌는 이유를 탐구해보고, 상거래의 신의에 대해서도 언급한 다음, 믿음의 원칙에 대한 예외를 밝혀보기 위하여 사정변경의 원칙과 결부해 ‘大信不約’을 소개한다. 인간의 사회현상과 정신현상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상통하는 일반보편성이 강하다. 인민 상호간의 대등한 거래영역인 민상사 분야에서 사적 자치의 원리를 바탕으로 싹튼 믿음의 윤리가 점차 신의성실의 법원칙으로 확립된 역사발전의 자취도 동서양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본고는 그러한 가정과 전제에서 전통법문화에서 믿음의 윤리규범을 크게 윤곽 짓는 定礎작업으로서 이루어졌다. 앞으로 뜻 있는 동학 및 후학 諸賢의 연구가 꾸준히 이어져 동서고금의 법문화에서 믿음과 신의성실의 기본원칙이 더욱 소상하고 체계적으로 밝혀지길 기대한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nter-friendly Confidence among Five Human-Relations Ethics in Ancient East Asia and its development in traditional & modern legal system. At first, this paper describes various social backgrounds of the appearance of Inter-friendly Confidence on the historical stage, and explains the etymological origin of Chinese characters of friend & the reason why the confidence is necessary between friends. Secondly, this paper studies the philosophy of the confidence around Confucius & Rujia(儒家) i.e. Confucianism, and introduces several representative legal norms of the confidence in marriage law of Tang-lu(唐律). Thirdly, this paper treats of the revival of Inter-friendly Confidence in the modern civil law and the reason why the confidence should be the just & right confidence, and mentions the principle of faithfulness & sincerity in the commercial transactions. Lastly, this paper deals with a proposition that the great confidence never promises nor binds, which means an exception against a general rule of Inter-friendly Confidence similar to the principle of change of important conditions in the modern law. There are strong universal generality in human social & spiritual phenomena across the ages and countries of the world. So there may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stern & western historical development from ethics of confidence to the principle of faithfulness & sincer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private self-government in the branch of civil & commercial law which rule mutual transactions between equal partner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form the groundwork for sketching outlines of the ethics of Inter-friendly Confidence in traditional legal culture, and the author hopes that this paper become a small priming water of pump which may induce interest of readers, so that the promising young may accomplish further more broad & deep study on the principle of faithfulness & sincerity in eastern & western legal cultures.

      • KCI등재

        行政上 法律關係에 있어서의 消滅時效의 援用과 信義誠實의 原則 (대상판결: 대법원 2008. 9. 18. 선고 2007두2173 전원합의체 판결)

        김의환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09 행정판례연구 Vol.14 No.2

        민법에 규정된 소멸시효 규정은 사법관계뿐만 아니라 행정상 법률관계에도 국가재정법 제94조, 지방재정법 제82조, 다른 법률의 특별한 규정에 의하여 적용된다. 종래 대법원은 소멸시효제도의 취지와 존재이유를 존중하면서도 구체적인 사례에 따라, 소멸시효의 기산점을 뒤로 늦추거나, 소멸시효의 중단사유인 청구 등을 폭넓게 인정하는 해석론을 채택하는 방법으로 소멸시효 엄격적용의 예외를 인정하여 왔다. 한편, 대법원은 1994. 12. 9. 선고 93다27604 판결을 통하여 사법관계나 행정상 법률관계에 있어서의 기본 원칙인 신의성실의 원칙과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을 적용하여 소멸시효를 제한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위 원칙은 민법의 영역뿐 아니라 사법의 전 분야, 나아가서는 민사소송법이나 행정법, 조세법 등 모든 법 영역에 걸쳐서 적용되어야 할 법의 기본원리이다. 이와 같이 신의성실의 원칙이나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은 개념상 또는 사실상 소멸시효제도보다 상위의 법원칙이므로, 일단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 하더라도 위 원칙에 반할 때에는 소멸시효의 주장이 허용될 수 없다. 평석 대상 판결의 다수의견은 위 대법원 1994. 12. 9. 선고 93다27604 판결 이래 대법원이 밝혀온 바와 같은 4가지 유형의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채무자가 소멸시효의 완성을 주장하는 것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여 권리남용으로서 허용될 수 없다고 전제한 다음, 근로자가 입은 부상이나 질병이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요양급여 신청의 승인 여부 및 휴업급여청구권의 발생 여부가 차례로 결정되고, 따라서 근로복지공단의 요양불승인처분의 적법 여부는 사실상 근로자의 휴업급여청구권 발생의 전제가 된다고 볼 수 있는 점 등에 비추어, 근로자가 요양불승인에 대한 취소소송의 판결확정시까지 근로복지공단에 휴업급여를 청구하지 않았던 것은 이를 행사할 수 없는 사실상의 장애사유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하므로, 원고의 휴업급여청구에 대한 근로복지공단의 소멸시효 항변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여 허용될 수 없다고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소멸시효제도의 의의와 그 획일적 적용 극복을 위한 시도, 소멸시효제도에 대한 비판, 신의성실의 원칙 내지 권리남용에 의한 소멸시효의 제한과 관련된 일반론, 독일과 일본의 소멸시효 남용론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어서 소멸시효 원용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위반되어 권리남용인지 여부가 문제된 대법원 판례들을 4가지 유형별로 분류해 봄으로써 그 의미를 구체화하였다. 나아가 소멸시효 남용의 효과, 이 사건과 유사한 사안을 해결하기 위한 하급심의 다른 시도 사례를 언급하였다. “소멸시효 원용이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여 권리남용에 해당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최초의 판시를 하고 있는 대법원 1994. 12. 9. 선고 93다27604 판결은 일본 판례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최초로 ‘객관적으로 채권자가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장애사유’가 있음을 인정한 판례는 대법원 2002. 10. 25. 선고 2002다32332 판결이었는데, 평자들은 위 장애사유는 사실상 장애사유로 족하다고 설명하였다. 이 요건은 매우 추상적·포괄인 불확정 개념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의 신축적인 해석을 통하여 여러 사안에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 사건에서 근로복지공단이 소멸시효 완성 전에 원고의 권리행사나 시효중단을 ... The statute of limitation clause in the Civil Code applies not only to the legal relation in civil law, but also to the administrative case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 94 of National Finance Act, the article 82 of Local Finance Act, and the special provision of other laws. While respecting the purpose and the importance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clause,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adopted the less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clause by citing the specific precedents, under which the statute of limitation was tolled or was ceased to run by taking a legal action, such as a claim – one of legitimate grounds to cease the limitation period to run – thereby making an exception of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clause. Meanwhile, in 93 Da 27604(1994. 12. 9),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ruled that the good faith principle and the prohibition on the abuse of right principle, which ar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legal relation in civil law and an administrative case, ought to be applied to limit the applic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clause. These two principles ar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law, which sh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laws, for instance, the civil procedure, the administrative law, tax laws, etc, thereby including the Civil Code as well. Aforementioned, since the good faith principle and the prohibition on the abuse of the right principle are the higher principle of the law than the statute of limitation clause either by conceptual or de facto meaning, if the applic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is against the above two principles, the assertion of the expir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should be disregarded even though the limitation period has run out. Based on the above Supreme Court case, 93 Da 27604(1994. 12. 9), the majority opinion of the court on this issue can be summarized that in the absence of the four types of special circumstances, which are specified under the case, the assertion of the expir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is valid only if it does not contradict the good faith principle or the prohibition on the abuse of right principle. Having said that, the assertion by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that the statute of limitation has run out should be rejected since it is against the good faith principle on the decision of whether the worker’s injury or disease was work-related, the worker’s application for the medical care benefits can be approved and the worker’s entitlement to the claim of the wage replacement benefits can be determined subsequently. Given the decision on the legitimacy of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s disposition denying the medical care benefits can be a ground for the eligibility of the worker’s wage replacement benefits application,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worker had not claimed for the wage replacement benefits until the determination of the revocation litigation of the medical care benefits due to the de facto ground of impracticability. In this thesi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the attempt to overcome the outright application of it, any criticism, and the general theory in connection with the good faith principle or the restriction on the abuse of right principle are discussed. Then, by the reference to the Supreme Court cases, which applied the good faith principle and the restriction on the abuse of right principle to the claims for application of the statue of limitation issue, it has classified into the four types’ of issues and further specified their meanings. Furthermore, it mentions the effect of the abusive applic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 clause and a lower court decision dealing with similar issues. By reference to the precedent, which provides that the claims for the expiration of statue of limitation should not be against the good faith principle, the majority opinion o...

      • KCI등재

        사업자 명의대여의 세법상 취급-명의대여 방지를 위한 해석론과 입법론을 중심으로-

        이중교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학 연구 Vol.26 No.3

        The registration of entrepreneur enables the taxation governmental office to establish fair taxation. However, name lending in the registration of entrepreneur is fairly widespread in the real transaction.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anctions for name lenders are light. In the case of name lending in the registration of entrepreneur name borrowers are liable to taxation based on substance over form doctrine. I think name lenders as well as name borrowers should have liability to pay taxes based on the principle of faith and trust. The infringement on the principle of faith and trust caused by a taxpayer's infidelity must be applied to a taxpayer. But the Supreme Court objects to it because the principle of faith and trust can not be applied to a taxpayer's words and actions unless there exists any special ground for exception. In addition I present legal measures to reduce name lending in the registration of entrepreneur. First, secondary tax liability should be imposed on name lenders. According to the secondary tax liability doctrine, name lenders should be secondarily liable to the taxes which name borrowers don't pay. Second, fine level for name lending should be elevated because ceiling of fine is not sufficient to curb name lending. Lastly, investigation procedure for applicants who try name lending should be strengthened. 사법(私法)관계에서 사업상 명의대여자는 상법 제24조에 따라 명의차용자와 연대하여 거래상대방에 대한 채무를 변제할 책임을 진다. 명의대여자는 자신이 실제 거래자인 듯한 외관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자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거래상대방의 신뢰를 보호하기 위하여 거래상의 책임을 부담시키는 것이다. 반면 세법(稅法)관계에서는 국세기본법 제14조에 규정된 실질과세원칙에 의하여 소득의 실질귀속자인 명의차용자가 납세의무를 부담하고 명의대여자는 납세의무가 없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국세기본법 제15조는 과세관청의 행위 뿐 아니라 납세자의 행위에 대하여도 신의성실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바, 과세관청에 대하여 실제 사업자인 것처럼 허위로 등록하여 잘못된 외관을 형성한 명의대여자가 사후에 이를 번복하는 것은 과세관청의 신뢰를 저버리는 일이기 때문에 명의대여자에게 신의성실의 원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대법원 판례는 과세관청은 납세자의 배반행위를 제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납세자의 행위에 대한 신의성실의 원칙을 극히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있고, 사업상 명의대여자에 대한 신의성실의 원칙의 적용에 있어서도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최근에 사업자등록 자필서명 의무화, 금지금 도소매업 등 일부 업종에 대한 자금출처명세서 제출 의무화 등 사업자 명의대여를 방지하기 위한 일련의 조치가 시행되었으므로 명의대여자에 대한 신의성실의 원칙의 적용을 적극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공동사업에 관한 사안에서 세무공무원에게 거짓으로 실제 사업자임을 확인하고 동업자금출처 소명자료를 허위로 제출한 명의대여자에게 신의성실의 원칙을 인정한 하급심 판결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입법론으로는 사업상 명의대여자의 제2차 납세의무를 규정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명의대여자에게 납세의무를 지우는 근거는 국세기본법 제15조에 규정된 신의성실의 원칙에서 찾을 수 있다. 명의대여자는 과세관청에 대하여 실제 사업을 하는 것처럼 허위로 등록을 하여 과세행정의 혼란을 초래한 자이므로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지우는 것이 합당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세법에서는 실질과세원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연대채무보다는 사실상 사업자인 명의차용자에게 1차적으로 과세하고, 명의차용자로부터 징수하지 못한 금액에 대하여 2차적으로 명의대여자에게 과세하는 제2차 납세의무가 보다 적절한 형태가 될 것이다. 이렇게 보면 명의대여자의 제2차 납세의무는 실질과세원칙과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과세원칙과 신의성실의 원칙을 조화시켜 실질과세원칙을 보완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명의대여행위는 조세질서범에 속하므로 명의대여자 및 명의차용자에 대한 형사처벌을 그 성격에 맞게 과태료로 전환하되, 처벌금액의 상한을 현행 50만 원에서 대폭 상향조정하여 그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과세행정상으로는 사업자등록 심사단계에서 사전에 명의대여를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사업자등록 심사시 명의대여의 혐의가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명의대여의 혐의가 있는 경우에는 금지금 도소매업 등의 업종이 아니라도 신청자에게 자금출처명세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