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부모의 의사소통,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수학 흥미: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임혜성 ( Im Haes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의사소통,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질과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유아의 수학 흥미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4-5세 유아의 부모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 흥미가 높았으나,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질(과정 지향형 vs 성취 지향형 상호작용)은 유아의 수학적 흥미를 예측하지 못했다. 둘째, 기관-부모의 의사소통은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예: 간단한 덧셈하기, 숫자 이름 익히기 등)에 직접 효과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기관-부모의 의사소통이 많을수록 부모들은 유아와 수학적 상호작용을 빈번하게 하였고, 이러한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유아의 수학 흥미를 완전 매개하였다. 논의에서는 부모의 수학적 상호작용 및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ath interest.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how preschool-parent contact is associated with children’s math interest mediated by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A total of 204 parents of children aged 4-5 years completed a parental survey.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frequenc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i.e., learning simple sums, and naming written numbers) predicated children’s math interest, but the qualit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did not predict children’s math interest. Furthermore, the frequency of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ath interest.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system that supports preschool-parent communication and par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놀이치료 진행단계에 따른 부모상담 내용 연구

        조미영 ( Cho Mi-young ),김광웅 ( Kim Kwang-wo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놀이치료 숙련자가 경험한 놀이치료 진행단계에 따른 부모상담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상담경력이 5년 이상이며, 슈퍼비전 경험이 80회 이상인 놀이치료 숙련자 34명이다. 조사방법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자료보완을 위해 추가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치료 진행단계에 따른 부모상담 내용을 부모상담 형태(회기별 부모상담, 독립된 개인 부모상담)별로 분석한 결과, 각각의 형태에서 동일하게, 놀이치료 초기는 ``사례개념화``, ``라포형성``, ``부모역할수행``의 범주로 분류되었고, 놀이치료 중기, 말기는 ``상담을 통한 변화탐색``, ``부모역할수행``, ``상담동기 유지``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놀이치료 종료시기는 ``상담을 통한 변화의 일반화``, ``부모역할수행``, ``상담종결 후 자립``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또한 회기별 부모상담과 독립된 개인 부모상담 모두에서 동일하게 놀이치료 초기는 ``사례개념화``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놀이치료 중기는 ``부모역할 수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놀이치료 말기는 ``상담을 통한 변화탐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놀이치료 종료시기는 ``부모역할 수행``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ent of parent consultation provided by skilled play therapists in the different stages of play therap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4 selected skilled play therapists who had five years or more of counseling career and gained 80 times or more of supervision experiences.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therapists were interviewed to obtain additional data. A content analysis was made after the data were gathe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content of parent consultation during play therapy by the typess of counseling(sessional parent consultation and separate personal parent consultation), what parent consultation was about in the initial stage of play therapy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ase conceptualization," "rapport building" and "parental role performance." In the middle and late stages of play therapy, that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 well: "exploring how to change through counseling," "parental role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counseling motivation." In the termination stage of play therapy, that also was classified into three: "generalization of the changes caused by counseling," "parental role performance" and "post-counseling self-reliance." When the content of parent consultation was analyzed by the stages of the two different types of Parent consultation, "case conceptualization" was most frequently exhibited in the initial stage of play therapy in both types of parent consultation, In the middle stage of play therapy, parental role performance was most frequently covered in both types of parent consultation, In the late stage of play therapy, "exploring how to change through counseling" was most frequently dealt with in both types of parent consultation. In the termination stage of play therapy, "parental role performance" was most frequently covered in both types of parent consultation.

      • KCI등재

        부모의 관계적 기독교 영성과 그들의 자녀 양육 방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유치원생 연령의 자녀를 둔 복음주의 기독교인 부모들을 중심으로-

        신승범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0 No.-

        This quantitativ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Christian spirituality and parenting styles among evangelical Korean Christian parent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70 parents from 20 churches belonging to the denomination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from 5 cities across South Korea.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used the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 (PSDQ) to measure parenting styles, the Spiritual Assessment Inventory (SAI) to measure relational spirituality, and the Asian Values Scale-Revised (AVS-R) to assess individual’s cultural values. This study found that parents who were aware of God’s presence in their lives 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to teach children spiritual disciplines in the home, to believe that their spiritual maturity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to exercis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and parental discipline more reasonably. This study also found that parents who recognized God based on who he is, not on what he does,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to teach children spiritual disciplines in the home and to believe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God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Parents who had a desire to make a positive impression on God were more likely than other parents who did not to teach children Christian practices in the home, to believe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God could impact their parenting, and to exercise an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could help parents recognize that their spiritual growth was related to their parenting. Additionally, pastors and Christian educators could help parents develop their spiritual maturity and Christian parenting by offering intentional programs or other resources. 본 연구의 주목적은 유치원생 연령의 자녀를 둔 복음주의 기독교인 부모들의 영성과그들의 자녀 양육 방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영성은 하나님과의 관계로 정의되었다. 하나님은 삼위일체의 관계적 존재이시기에 그분의 형상대로 창조된 인간 역시 관계적 존재이다. 관계적 존재로서의 인간은 스스로를 넘어 다른 사람과, 창조의다른 모든 부분들과, 그리고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계적 관점에서 부모의 영성을 이해하고, 부모의 영성, 즉 그들의 하나님과의 관계가, 그들의 자녀 양육 스타일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표본은 5개의 도시(서울, 대전, 전주, 부산, 춘천)로부터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 속한 20개의 교회로부터 추출되었다. 650개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601개가 회수되었다(회수율=92.46%). 이들 가운데 연구의 기준에 적합한 570개의 표본이 연구에사용되었다. 부모들의 영성을 측정하기 위해 Spiritual Assessment Inventory (SAI)가 사용되었고 그들의 양육 스타일을 평가하기 위해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s (PSDQ)가 사용되었다. 또한, 한 개인이 문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는지를 측정하기 위해Asian Value Scale-Revised(AVS-R)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영성이 그들의 자녀 양육 스타일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는 부모들은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자녀양육을 하는데 있어 그들의 영성, 즉 하나님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실제로, 가정에서 자녀들의 영성을 개발하는 데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양육방식에 있어서도 이러한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더 권위형(authoritative) 양육스타일을 사용하며, 훈육에 있어서도 더 이성적으로 자녀들을 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연구는 또한 좋지 않은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과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모들이 그리고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나아가는 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부모들보다 더 기독교적인 관점에서의 자녀양육에 관심이 많은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발견들은 그들의 영적인 성장이 그들의 자녀양육 방식과도 관련이 있음을 인지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발견을기반으로, 목회자들과 기독교교육가들은 부모들이 그들의 영성을 계속해서 개발하도록 그리고 바른 기독교적 자녀 양육에 대한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자료들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장애부모에게서 자란 비장애 자녀들의 심리,사회성 변화 궤적-잠재성장모형의 적용

        김소진 ( So Jin K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4

        이 연구는 장애부모에게서 자라는 비장애 아동들의 심리 및 사회성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한 것이다. 특별히, 분석은 비장애부모에게서 자라는 아동의 심리 및 사회성과의 격차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초점이 두어졌다. 분석을 위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자료(1, 4, 7차년도)를 활용한 잠재성장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장애가 아동의 초기 심리및 사회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부모의 장애는 아동의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아동의 사회성 문제로 이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아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장애부모를 둔 아동과 비장애부모를 둔 아동의 심리 및 사회성 격차도 상당부분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화가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변화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시간이 지나더라도 장애부모를 둔 아동들의 심리상태는 여전히 비장애부모를 둔 아동보다 불안정하게 나타났다. 이는 장애부모를 둔 아동의 심리문제에 대해서는 실천적 개입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분석과정에서 심리적 변화의 크기가 사회성 변화의 크기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져 장애부모를 둔 아동의 심리문제에 대한 실천적 개입은 아동의 사회성을 한층 더 호전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sychology and sociality of non-disabled children of disabled parents changes overtime. By using Korea Welfare Panel``s data to set a Latent growth model, the sociality and psychology of children with disabled parents was explored. The results shared it was obvious that the disability af the paren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hild``s early sociality and psychology. Specifically, the disability of the parent has an adverse impact on the children``s psychology, thus resulting in child``s sociality. However, the discrepancy of sociality and psychology between children with disabled patents and those who do not has reduced during a child``s growth. These changes were determined to have statistical value. However still the psychology of children with disabled parents were relatively unstable compared to the psychology of children who do not have disabled parents. This shows that it is inevitable to practical intervene with psychological problems of children who have disabled parents. Moreover, since, it was revealed during the analytical process that the amount of Psychological changes leads to the amount of change in social changes, practical intervention on the psychology of children with disabled parents would be fruitful in improving the child``s sociality as well.

      • KCI등재후보

        한부모가정의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향성 탐색

        조선화 ( Seon Hwa Cho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의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1995년부터 2012년까지 한부모와 관련된 119편의 연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주제별 특징으로서 한부모가정, 한부모, 자녀, 한부모로서의 적응, 지원에 대한 요구, 거시적체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시기별 특징으로서 2011년과 2012년에 한부모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한부모를 명명으로 하고 있는 연구가 가장 많이 활성화되어 진행되고 있었다. 넷째, 연구방법별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 및 프로그램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부모 가정의 부모를 위해서는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부모상담이 필요하고, 자녀를 위해서는 연령에 따른 개인상담 및 놀이치료를 통해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한부모로 생활하는 가정의 부모와 자녀가 심리적 안정과 치유가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rectivity for the therapeutic approach towards single-parent families. 119 papers published from 1995 to 2012 on single-parent famil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research was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ingle-parent families, single-parents, children, the adaptation of single-parent children, request for support, and macroscopic system. Second, certain time specific features revealed that the research for the single-parents was activated between 2011 and 2012. Third, single-parents were the main object of the research. Four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and program research methodologies were actively used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ain methodology. Fifth, in-depth and continuous counseling was necessary for parent of single-parent families. Moreover, individual counseling according to age and play therapy were helpful for the children concerned. These methods helped parents and children to recove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

      • KCI등재

        저소득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 대상부모역할프로그램 효과성과 지역사회활용방안

        김연수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여성연구 Vol.97 No.2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양육하는 저소득 가족을 위해 개발된 부모역할프로그램의 효과성을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충청, 전라, 경상, 강원 및 수도권의 전국 10개 복지기관에서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참여자인 저소득 청소년기 자녀 어머니 123명과통제집단 92명을 대상으로 한 유사실험설계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자 1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참여 이후 변화경험이 무엇인지에 관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전과 종료 후 비교 시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에서 부모역할 자신감과 만족감 등 부모역할자긍심과 부모자녀의사소통, 가족관계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 자녀양육스트레스의 유의미한 감소가 검증되었다. 수입, 학력, 사전점수를 통제한 공분산분석결과에서는부모역할 자신감과 만족감을 포함한 부모역할자긍심과 부모자녀의사소통에서 프로그램참여의 주효과가 유의미하게 산출되어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프로그램 참여 이후 변화에 관한포커스집단 인터뷰 내용분석 결과에서는 부모로서 자신에 대한 인식 증가, 자녀를 바라보는 시각의긍정적 전환,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관계의 친밀감 증진, 긍정적 정서 증진, 그리고 자신의 변화로인한 자녀와 가족의 긍정적 변화 등이 주요 변화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양육하는 저소득 가정의 어머니들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역할프로그램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및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의 도전과 과제

        황매향(Hwang, Mae-Hyang),하혜숙(Ha, Hye-Suk),유정이(Ryu, Jeong-Yi)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3

        이 연구는 아동기 진로발달의 특성,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행동과 부모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해 아동기 진로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부모교육의 방향성과 내용 및 방법이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부모진로교육 구성의 근거가 될 수 있는 미래사회 변화와 진로발달이론을 검토하여 아동기의 진로발달과업과 이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진로교육의 목표를 도출하였다. 아동기 진로발달의 가장 중요한 환경 변인인 부모의 영향력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부모대상 진로교육의 실태를 파악하여 부모 진로교육의 현실을 점검하였다. 다음으로는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는데, 아동기 부모진로교육의 내용, 형태, 운영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부모진로교육에서 고려할 문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parental behaviors influencing career development, and the status of parent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s, contents and methods of parent education that promotes the career development of children. First, we defined the foundational elements of parent career education such as the goal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and the tasks of childhood career development. Second, we reviewed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ar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 in the development of childhood career,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parent career education in Korea. Third, we discussed the ways to promote parent career education, focusing on its contents, frames, and management. Finally, we address issues to consider in parental career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만 3-5세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최영미 ( Choi Youngmi ),이희영 ( Lee Heeye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5세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 부모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고, 자녀양육 시 실천할 수 있는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맞벌이 부모 18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1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Cronbach's α 산출, 만-위트니 유 검정(Mann-Whitney U 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 기술통계(평균, 표준 편차), 빈도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참여자의 인터뷰를 함께 전사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만 3-5세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맞벌이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올바른 훈육방식 형성, 부모-자녀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 부모-자녀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 부모역할 만족도에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선행연구와 달리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저소득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with children ages 3-5 and developed systematic and specific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when raising children, and verified the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bility to control the emotions of parents by focusing on emotional support by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and to help the parents develop friendly and intimat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dual-earner parents of low-income family with 3-5 year olds(the experiment group, n=8, and the control group, n=1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SPSS 23.0 Windows program, analyzed using Cronbach's α calculation, Wilcoxon Signed Rank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of non-parametric statistics, Descriptiv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Also interviews of participant were recorded together.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parental disciplinary styl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as parent education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and intimate parent - child relationship, cultivat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low-income and dual-earner parents.

      • KCI등재

        중년자녀의 시각을 통해서 본 노부모와 중년자녀 간 교환관계에 관한 연구

        김은정(Eunj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4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부모와 중년 자녀 간 관계를 상호성을 중심으로 한 교환관계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6-60세의 중년남녀 15명(남성 5명, 여성 10명)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중년 자녀의 시각을 통해서 본 노부모 자녀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부모와 중년 자녀 간 교환관계에서는 보상과 비용이 동시적으로 진행되기보다는 매우 장기적인 시간을 통해서 그 상호성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노부모와 중년 자녀 간 관계는 장기간의 생애과정을 걸쳐서 일어나는 보상과 비용 관계이므로 라이프코스 퍼스펙티브를 기반으로 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었다. 셋째, 한국 사회의 젠더관계는 부모 자녀 관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비혼 여성 자녀의 경우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부모 부양의 주체로 간주되고 있어서, 비혼화와 고령화가 함께 가면서 젠더 관계가 여성에게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노부모-중년 자녀 간 관계는 당사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족 전체와 연관되면서 일어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중년 자녀는 노부모와 자녀에 대한 이중 돌봄의 책임을 맡게 되면서 갈등과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이로 인해 노부모 중년 자녀 관계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는 일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넷째, 노부모와 자녀 간의 교환관계는 부모의 연령이 높아지고 건강이 악화됨에 따라 부모가 자녀에게 크게 의존하게 되면서 교환관계의 균형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어 간다. 이 경우 자녀들은 가족 외 돌봄을 택하면서 교환관계를 약화 또는 교환 관계로부터 퇴각하게 된다. 고령화 사회에서 가족 외 돌봄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므로, 향후 가족 외 돌봄에 대한 질 개선 및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aging parents and their middle-aged children in amazingly fast aging Korean society. 15 subjects (10 females and 5 males) aged 46 through 60 were interviewed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d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First, the exchange of resources between ag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has take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us, the life course perspective, which addresses the long term development in a family, needs to better understand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enerations. Second, the patriarchal customs had an adverse impact on the unmarried female children; They were considered and pressured to be primary caretakers for their aging parents by not only the parents but also their married siblings. Forth,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parents and their children needs to be understood in a family as an organized whole rather than in a specific parent-child dyad. For example, middle aged children who had experienced the struggles from the double burden of care for both their own young children and elderly parents, would have decreased the amount of care for their parents to meet the needs of their own children. Forth, as parents were getting old and fragile, they became depend on their children, and thereby weak/vulnerable in the exchange relationship. The children tended to withdraw from the exchange relationship by adopting the non-family care, which had been long stigmatized in Confucian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e change of views on the non-family care to deal with the incredibly fast growing aging population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의 전환적 배움

        최해옥,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5 미래교육연구 Vol.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들이 가정 내 갈등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부모교육프로그램 이수자의 전환적 배움은 무엇이며, 배움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은무엇인가였다. 연구대상은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자발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 참여자를 공개적으로 구해서 연구 참여자A와 연구 참여자B를 선정했다. 연구방법은 면담을 실시하고 녹음하여 녹취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첫째,원 가족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독특한 경험이 내가 부모역할을 하는데 영향을 준다. 둘째, 가족 내에서의 등의 원인이 ‘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셋째, 경청의 중요성과 성실한 ‘나’표현법의 효과를 알았다. 넷째,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부모역할의 이해가 필요하다. 다섯째, 배움으로 갈등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여섯째, 전환적 배움의 실천에 있어 한계도 있었는데, 이수자 스스로가 배운 대로 실천이 마음먹고 의도한대로 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상황이 방해하는 경우도 있고, 이수자가 필요한 순간에 자기감정 잘 조절하지 못하기도 하고, 부모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많지 않고, 교육형태가 대규모의 집단강의보다는 소규모 집단으로 다양한 시간에 진행되기를 원했고, 교육의 대상이 아버지와 조부모, 자녀도 함께 참여하는 교육으로 다양해지기를 원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모교육프로그램은 만남-배움-성장-나눔의 기쁨과 부모로서 ‘배움’의 교육적 의의가 있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내에서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전환적 배움은 행복한 가족관계를 위한 대책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give a help for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to solve their conflicts in family.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is what the transformative erudition of participan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is and which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their practice of learning.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explained to two groups which engaged in voluntary study circles after comple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were publicly asked and then, the participant-A and the participant-B were selected. As a research method, interview was conducted and recorded; and an analysis was done on the tape-recording. Results through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eculiar experience received from the original parents gave influence to my role to be a parent. Second, I came to know the cause of conflict in family was 'I'. Third, I came to know effect of importance of an attentive hearing and faithful expression of 'myself. Four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parent role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 Fifth, it is necessary to solve conflicts through learning. Sixth, there was a limit in practicing transformative learning; it was not easy for the graduates to practice as per their learning and intention; sometimes, situation interrupted practice; the graduates failed to control their emotion at the time when they needed the control;there were not enough opportunities to get parent education; they wanted to have education style to be performed during many hours in a small group lecture rather than a large group lecture; and,they also wanted fathers, grandparents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As a result, parent education program proved that it had pleasure of meeting-learninggrowth-sharing and educational meaning of 'learning' as parents and that transformative erudition to solve conflicts in family through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had measures for happy family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