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존재론적 범주와 아동-로봇 상호작용 연구의 이해*

        김민경(Kim, Min Kyu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2

        과학기술의 발달로 지능형 로봇이라는 범주 경계선적 대상이 등장하였고, 로봇의 대중화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이 연구에서는 인간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특히 아동과 로봇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영역인 CRI 연구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아동과 로봇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할 때 로봇이 아동에게 미칠 영향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아동이 로봇을 어떠한 존재로 인식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의인화된 과학기술이 아동 발달에 적합한 방향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아동을 연구 하는 연구자들의 통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아동-로봇 상호작용에 대한 선 행연구를 고찰하고, 아동의 로봇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에 대한 이론적 관점 및 로봇에 대한 아동의 존재론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요약하면, 아동과 로봇의 상 호작용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쟁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아동-로봇 상호작용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논하였다. Stemming from recent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intelligent robots which are the objects in category boundaries have emerged in everyday life. This study delv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child-robot interaction(CRI) study is discussed, the research are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robots. In order to discuss the effect of robots on the child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hildren’s perceptions about robo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on child-robot interactions, and the theoretical viewpoints on children’s ontological perceptions about robots as well as factors affecting child’s ontological perceptions. In addi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bout child-robot interactions and suggests new insights into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the use of robots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for a new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ontological perception in children. In sum,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CRI research by examin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stemming from child-robot interactions.

      • KCI등재

        자율로봇의 드로잉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

        김태희 ( Tae Hee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본 눈문에서는 실험된 자율로봇에 의한 드로잉을 사람의 드로잉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펜이 장착된 Khepera II 소형 실험용 로봇이 적외선 센서와 충돌회피 행동에 의존하여 여백에 선을 그림으로써 오브젝트에 대한 드로잉을 시도한다. 로봇은 센싱을 이용하여 자발적 행동을 실현하므로 자율적 개체이며 그가 생산한 드로잉은 자율성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이므로 사람의 드로잉과 비교될 수 있다. 로봇이 드로잉을 하는 과정에서 센서의 위치와 몸의 구조, 그리고 로봇과 오브젝트와의 관계에 의한 상황성이 하나의 결과 드로잉을 특정하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모두 포함하여 드로잉을 실시하는 본 자율로봇의 ``보는 시스템``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봇 드로잉에서 로봇은 몸과 상황이 개입된 센싱과 행동의 관점에서 사물을 추상화 한다는 점을 여기서 분석한다. 나아가서 로봇과 사람의 드로잉을 비교 분석함에 있어서 관찰자의 관점에서 사물을 추상화하는 메카니즘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며 그 전개 과정에서 프리트버그가 제시한 산만한 주관성(discursive subjectivity)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제3의 관찰자가 바라보는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정체성에 관하여 논의한다. 이를 기초로 자율로봇의 드로잉에 대한 존재론적 지위를 그 산만성에서 찾는다. in this paper, I analyze drawings of an autonomous robot in comparison with a human drawing. A Khepera II small scale robot is instructed to draw objects using its infrared sensors and a programmed obstacle avoidance behavior. This robot is equipped with sensors that help behaviors to be successfully demonstrated in order for its autonomy to result in the final drawing. Such autonomous feature can be contrasted to that of human. The mounting position of sensors, the structure of body and the situation that is contextur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bot and the objects contribute to the resulting drawing. Thus, all these attributes can together be regarded as the ``system of looking`` of the robot. I analyze the robot drawing such that the robot can carry out an abstraction of objects by sensing and behaviors assisted by the contribution of the body and the situation of the robot. Since the drawing processes require a definition of a mechanism of abstraction of objects, I introduce Friedberg`s discursive subjectivity concept in order to discuss the issues of determining identity in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by a third party observer. Given this, the position of the ontology of the drawing by the autonomous robot is suggested to be of discursive characteristic.

      • KCI등재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 로봇 존재론으로부터

        고인석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5 No.4

        로봇은 생명 없는 사물이고 인간의 도구지만, 그 자체로 지각과 판단과 행위의 능력을 지닌 주체처럼 행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철학적 관심의 대상이 된다. 이 논문은 로봇을 설계, 제작, 관리하고 사용하는 우리가 이런 특수한 인공물을 다룸에 있어서 어떤 원칙들을 적용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를 토론함으로써 로봇윤리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다. 로봇을 움직이는 것은 그것을 설계, 제작, 관리하는 자들의 외화된 정신이며, 인간의 대리 행위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특수한 유용성과 더불어 인간의 능동적 정신을 분유하는 데서 비롯되는 고유의 위험을 내재하고 있는 로봇을 현명하게 다루기 위한 원칙의 핵심은 로봇시스템에 대한 인간의 통제력을 유지하는 데 있다. 여기서 도출되는 로봇윤리의 첫 번째 원칙은 로봇이 제작 목적에 부합하는 구조와 작동 특성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도록 설계, 제작,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이 원칙은 로봇의 기능과 작동 특성이 명확히 규정되고 충실히 준수되어야 한다는 실천 규범을 요청한다. 로봇윤리의 두 번째 원칙은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도출되며, 로봇이 사용자와 그 사용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안전과 건강, 그리고 자연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과 로봇기술의 개발과 적용이 인간 정체성에 혼란을 야기하지 않는 방식으로 제한되어야 한다는 것을 명령한다. Though robots are lifeless objects, they appear to be agents with capacities to perception, judgment, and action, which make them unique to the philosophical viewpoint. Intelligent robots would play the role of various forms of surrogate of human agents, which implies their irreplaceable utility and unique risk at the same time. They are even told to be artificial moral agents. This paper discusses the question of what normative principles are to be applied when we deal with such unique artefacts, thereby suggests a set of basic principles of robot ethics. For this purpose, it investigates the ontology of robot. It reveals that a robot is physical realization of externalized mind, of its designers, manufacturers, and administrators. In order to deal with the risk of such intelligent artefacts, it is of highest importance to retain the clear context of human control over them. This requires further that the purpose, functions, and relevant properties of the robotic system be explicitly defined and consistently observed through all the processes of its manufacturing, maintenance, and application. Another part of the basic principles of robot ethics concerns the principle of sustainability.

      • KCI등재

        체계적인 로봇윤리의 정립을 위한 로봇 존재론, 특히 로봇의 분류에 관하여

        고인석(Ko, In-Sok)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70 No.4

        로봇윤리를 구체적인 규범의 차원까지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그 적용 대상인 로봇이라는 존재 범주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특히 그것의 적절한 분류학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려는 일단의 시도다. 이 논문은 먼저 로봇의 분류라는 문제의 의미를 음미하고(1절), 분류체계가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조건들을 분석한 후에(2절), 로봇윤리 관점의 로봇 분류라는 문제의 특수성을 염두에 두면서 로봇 분류의 가능한 원칙들을 검토한다(3절). 이어 4절에서 필자는 기존의 로봇 분류체계에 해당하는 몇 가지 사례를 2절에서 논한 중첩 금지, 전포괄성, 분류원칙의 체계성 등의 관점에서 검토, 평가함으로써 이 논문의 문제의식을 충족시키는 로봇의 분류체계가 아직 만들어져야 할 과제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5절에서 합리적인 로봇의 분류체계를 구성하는 데 적용할 만한 분석의 두 차원을 제시한다. 로봇은 인간의 도구지만 특정한 방식으로 제한된 수준의 자율성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라는 점에서 여느 인공물과 다른 고유의 지위를 지니며, 인간과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상호작용하는 존재자의 특성을 지닌다. 이런 까닭에, 로봇윤리와 유관한 로봇의 분류는 이와 같은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의 특성을 분석의 주된 축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분석은 로봇시스템이 구현하는 인공지능의 양상에 대한 분석과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구조에 대한 분석의 합으로 구성될 것이다. In order to get a practical system of roboethics up to its details we need a systematic ontology of robotic beings, especially a reasonable taxonomy of them. This paper looks into some basic questions on the taxonomy of robotic beings by discussing qualifying conditions of a taxonomy in general and some unique aspects of the classification of artifacts. No-overlap, exhaustiveness, and consistency are analyzed to be essential conditions for an effective classification. It reviews then several examples of robot taxonomy from this evaluative viewpoint. None of the examined examples proves to satisfy all three basic conditions. The paper investigates some peculiar difficulties of robot classification which were the background of the unsatisfactoriness of the given examples, then proceeds to suggest a set of basic classificatory principles for systematics of robotic beings. Considering the target, to provide systematic ontological foundation of roboethics, the mode of human-robot interaction(HRI) should be the core taxonomic principle. The analysis of HRI in this respect includes inquiry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alized by the robotic system and that of the structure of HRI.

      • KCI등재

        AI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예비적 고찰

        김상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7

        This paper is a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the question of the moral status of AI robots, which aims to ethically criticize the three positions on this without giving a direct answer. To this end, I will first clarify where AI robots are located on the classification of robot ethics and the ethical topography of moral status. This analysis will reveal that the question “Can AI robots be moral agents?” is a key question about their moral status. There are three approaches regarding this question: a hermeneutic approach, an ontological approach, and a relational approach. These approaches imply important truths about the standard of moral status that can be applied to new artificial agents. In other words, these approaches fundamentally deny the moral status of an artificial agent, but for new AI robots with considerable autonomy, we must explore the moral status question with an open mind that they can be a member of the moral community. Because morality can no longer be exclusive to human beings. In particular, we obtain the truth that, under the ontological approach, intrinsic attributes of the object, and under the relational approach, verifiable phenomenal elements, not metaphysical elements, should be at the heart of moral status. It is a task for me to philosophically develop a new approach that meets this requirement. 이 논문은 AI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예비적 고찰로서, 직접적인 답변을 제시하지 않고 이에 관한 세 입장을 윤리학적으로 비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먼저 로봇 윤리학의 분류 및 도덕적 지위에 관한 윤리학적 지형도에서 AI 로봇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명확하게 해명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AI 로봇은 도덕 행위자가 될 수 있는가?”의 물음이 로봇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핵심 물음이라는 것을 밝혀줄 것이다. 이 물음에 관한 세 입장은 해석학적 접근법, 존재론적 접근법 그리고 관계론적 접근법이다. 이 세 접근법은 새로운 인공 행위자의 도덕적 지위를 부인하지만, AI 로봇에게 적용될 수 있는 도덕적 지위의 기준에 관해 중요한 진리를 함의하고 있다. 즉, 이러한 접근법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상당한 자율성’을 지닌 로봇은 도덕 공동체의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열린 마음을 갖고 우리는 그 도덕적 지위 물음을 탐구해야 한다. 도덕은 이제 더 이상 인간의 전유물일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존재론적 접근법에 따르면 대상이 가진 외래적 속성이 아닌 본래적 속성이, 그리고 관계론적 접근법에 따르면 형이상학적 요소가 아니라 객관화 가능한 현상적 요소가 도덕적 지위의 핵심이 되어야한다는 진리를 우리는 얻는다. 이 요건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접근법을 철학적으로 모색하는 일이 필자에게 주어진 앞으로의 과제이다.

      • KCI우수등재

        로봇은 살아 있을까?

        현은자(Eun Ja Hyun),손수련(Soo Ryun Son)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a teacher assistant robot, IrobiQ. in a kindergarten classroo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6-year-olds attending to G kindergarten located in E city, Korea, where the teacher assistant robot had been in operation since Oct. 2008. Each child responded to questions assessing the child`s perceptions of IrobiQ`s identity regarding four domains: it`s biological,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identity. Some questions asked the child to affirm or deny som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robot and the other questions asked the reasons for the answer giv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majority of children considered an IrobiQ not as a biological entity, but as a machine, they thought it could have an emotion and be their playmat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wo folds: firstly, they force us to reconsider the traditional ontological categories regarding intelligent service robots to understand human-robot interaction and secondly, they open up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sign of teacher assistant robots for use with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공각기동대』다시 읽기-로봇의 존재론을 위하여-

        심희찬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4 일본사상 Vol.- No.46

        이 글은 그간 의미와 해석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던 오시이 마모루와『공각기동대』를 이야기를 배제한 ‘애니메이션=철학’ 및 존재의 관점에서새로 읽을 것을 제안한다. 우선 질 들뢰즈의 영화론을 바탕으로 오시이가움직이는 그림이라는 애니메이션의 본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통해 그의 작품이 철학적 사유의 토대를 견지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이어서하이데거의 존재론과 유사한 문제의식이 오시이의 사상 전반을 관통하고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이 존재 그 자체를 표현하는 일에 중점을 두고있다는 사실을 검토한다. 이와 같은 오시이 ‘애니메이션=철학’의 집대성으로서『공각기동대』를 분석하고, 특히 유령, 응시, 총괄, 죽음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로봇의 존재론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존재론을 사유할 수 있는 지렛대로 삼는다. This paper proposes to reread Mamoru Oshii and “GHOST IN THE SHELL,” which have been studied mainly in terms of meaning and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nime = philosophy” and existence without a story. First, based on Gilles Deleuze’s discussion of cinema, I will discuss how Oshii’s work was underpinned by a foundation of philosophical thought by capturing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essence of animation in the form of moving pictures. I will also examine how Oshii’s thought in general was informed by a problematic consciousness similar to that of Martin Heidegger’s ontology, and how his works were dedicated to the depiction of existence itself. This paper analyzes Ghost in the Shell as a synthesis of Oshii’s “anime=philosophy” and introduces how the concepts of ghosts, gazing, totality, and death are represented. Through such work, I will provide clues to consider a new ontology, an robotics ontology.

      • KCI등재

        신유물론자의 기계: 레비 브라이언트의 기계지향존재론과 1920년대 로봇

        이재준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39 No.-

        Machine-Oriented Ontology (MOO) challeng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object’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machine’, advocating for a posthuman media ecology that emphasizes the interactions and interdependencies between humans and non-human machines. MOO also puts forth correlational presuppositions that consider machines as tangible entities, intentionally designed artifacts, and hybrid forms of instrumentality. This paper examines R.U.R. (1920), significant narrative showcasing correlations, and explores how it aligns with MOO. In R.U.R., robots initially conform to humans’ narcissistic mirror logic but ultimately attain liberation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this mirror. The concept of the “power to work” establishes a horizontal ontology, placing humans and non-human robots on equal footing. Humans who do not engage in work are deemed unproductive and self-destructive. As working robots dissolve the instrumental relationship that centers around humans in all productive interactions, a paradigm shift occurs. Concurrently, Eric and Televox, the actual robots of R.U.R.’s era, challenge traditional humanistic relationships by interacting with humans beyond their predetermined design while also engaging in an instrumental relationship with them. This subversion of the expected human-robot dynamic introduces a disruptive element. The unexpected behaviour of actual machines operating outside their designated roles and contrary to human intentions creates a crack in the humanist mirror. As humans attribute materiality to the machines themselves, interspecies connections and transitions with non-humans become apparent. These relationships suggest an interconnected assemblage of machin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MOO, this discussion opens up possibilities for a community that encompasses both human and non-human mach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