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상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3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92 childcare teachers who are team teaching at childcare centers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measure teacher efficacy, this study utilized a scale that Shin Hae-Young(2004) modified Enochs and Riggs(1990)’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scale. The evaluation scale of Villa et al.(2004) devised by Lee Geum-sun(2017) was used to measur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To measure principal leadership, this study utilized the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developed by the Covey Leadership Center(CLC) in the United States, the scale developed by Spreitizer(1995), and the MLQ-6S developed by Bass& Avolio(1992). which was referring to the 4RL evaluation scale produced by Lee et al(2004) was used to suit the sit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s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eral trend of measurement variables, the average question of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was higher than usual.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generally recognized the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principal leadership, and teacher efficacy. Second,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perceived by team teaching child care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ly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In conclusion,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affect teacher efficacy.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teacher efficacy by improving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improve policies, and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team teaching teachers and principal leadership. 본 연구는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팀티칭 중인 보육교사 292명이다. 교사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의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번안 및 수정한 신혜영(2004)의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팀티칭 교사 간 협력을 측정하기 위해 이금선(2017)이 번안한 Villa 등(2004)의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원장의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미국 CLC(Covey Leadership Center)의 4Roles of leadership profile, Spreitizer(1995)의 척도, Bass와 Avolio(1992)의 척도인 MLQ-6S를 바탕으로, 이소희, 강경자와 김주아(2004)가 우리나라 유아교육 상황에 알맞게 개발한 4RL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팀티칭 교사 간 협력, 원장의 리더십, 교사효능감의 문항평균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즉, 본 연구 대상인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들은 팀티칭 교사 간 협력, 원장의 리더십, 교사효능감을 대체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팀티칭 학급 교사가 인식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사효능감 또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향상시켜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팀티칭 교사 간 협력과 원장의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개선과 교육 프로그램 실시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보수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혜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99561

        Recently, as the public interest in childcare service has been increasing, the expectation on the performance of daycare teachers has been increasing as well, as it is the key factor in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makes daycare teachers achieve successful performances is to reinforce their expertise and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through the educational experience. Based on this background,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however, there are still concerns about the low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which remain below the expectations of society, regardless of the increased number of childcare institu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the expertise of daycare teachers has to be reinforced through high-quality in-service education. The challenge is to help daycare teachers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through the education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roles as day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s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in-service education on the self-efficacy of daycare teachers with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elf-efficacy of daycare teachers in childcare service sites. In order to do so, the study reviews previous studies on the quality of in-service education and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sets the antecedent variables of daycare teachers’ self-efficacy as quality of service,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Using the variables, the study perform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 of the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daycare teachers who have received in-service education was collected,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data. As the result, firs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which includes faculty, education program, and administration, positively affected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faculty and education program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Third,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positively affected the self-efficacy of the teachers. Fourth,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positively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Fifth,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self-efficacy of the teachers. Lastly, faculty, education program, and administra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the teachers through providi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quality in-service education, offered in an in-service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s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through reinforcing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Moreover, it shows that high-quality in-service education positively affects the self-efficacy of the teachers. This research holds academic significance as it suggests an expanded version of the theoretical model that is based o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paths that show how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in an in-service education environment leads to the self-efficacy of teachers. Also, this research holds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a fundamental resource that can aid increasing the expertise and capability of daycare teachers through in-service education service in this moment, when the expectation on daycare 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s successfully in childcare service sites are increasing. 최근 보육의 공공성이 확대되면서 보육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서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기대 또한 증대되고 있다.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가 성공적으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하여 교사효능감을 고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보육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실행되고 있지만, 보육기관의 양적 증가에 비해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은 사회적 요구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우려 또한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보육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높은 품질의 보수교육서비스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교사효능감을 고취시켜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것이 당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고취시키고자, 보수교육 서비스품질이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보수교육 및 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선행변인으로 보수교육 서비스품질,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교육만족도를 제시하고, 이들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수교육을 경험한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서비스 품질로서 교수진, 교육프로그램 및 행정서비스는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진과 교육프로그램은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몰입은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몰입은 교육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만족도는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진, 교육프로그램 및 행정서비스는 가지주도학습, 학습몰입 및 교육만족도를 통하여 교사효능감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보수교육환경에서 높은 수준의 보수교육서비스는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및 학습몰입을 강화하여 교육만족도를 제고하고, 나아가 교사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수교육환경에서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사효능감에 이르는 구조적 경로를 규명하여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확장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학술적 의의라 할 수 있다. 또한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보수교육서비스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을 제고시킬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실무적 의의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