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퍼스 기반 구어체 학문 영어의 메타담화표지 연구

        원호설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303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화자는 청자의 이해와 상호작용을 돕기 위해 다양한 언어 장치를 사용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메타담화이다. 메타담화는 화자 혹은 저자의 관점을 표현하고 텍스트, 화자/저자 및 청자/독자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중요한 언어적 장치이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메타담화의 분포와 기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주로 문어체 학문 영어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구어에서의 메타담화의 기능도 최근 학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Halliday(1973)의 <언어의 메타기능> 이론에 기반하여 Hyland(2005a)가 제안한 <대인관계 메타담화 모델>을 활용하여 구어체 학문 영어 말뭉치를 분석하였다.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분석한 자료는 영국의 두 대학에서 인문학, 생물학, 물리학, 사회과학 분야의 강의와 세미나를 녹음하고 전사한 British Academic Spoken English(BASE) 말뭉치이며 약 170만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말뭉치 분석은 양적 및 질적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1) 구어체 학문 영어에서의 메타담화 표지의 전체적인 분포와 기능; (2) 메타담화 표지의 학문간 유사성과 차이점; (3) 구어와 문어에서의 메타담화 표지의 유사성과 차이점.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한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Hyland(2005a)가 제시한 두 가지 유형의 메타담화 표지 중 구어에서는 인터렉셔널 (interactional) 표지가 인터렉티브(interactive) 표지보다 더 자주 사용되었는데, 이는 Hyland가 문어체 학문 영어 분석에서 관찰한 것과는 반대되는 양상이다. 여러 메타담화 표지가 함께 사용되어 다양한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도 빈번히 관찰되었다. 강의는 강의자가 청중에게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형식이지만 강사와 청중의 상호작용을 돕는 장치로 메타담화가 활발하게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메타담화 표지 중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된 것은 논리어(transitions)인데, Hyland 의 문어 자료 분석에서도 동일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구어와 문어에서 메타담화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정보의 전달을 촉진하기 위해 텍스트를 논리적이고 일관되게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네 학문 분야에서 메타담화의 사용 양상도 차이가 있었다. 물리학 강의에서 인터렉티브 표지가 가장 많이 사용되어 다른 세 학문 분야와 차이를 보였으며, 인터렉셔널 표지의 사용빈도는 인문학, 물리학, 생물학, 사회과학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학문 분야를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으로 이분할 수 있는 특징은 관찰되지 않았다. 구어와 문어 담화에서 인터렉티브 메타담화의 경우 구조어(frame markers)를 제외하고 빈도의 순위가 차이가 없었다. 인터렉셔녈 표지 중 참여어(engagement markers)는 구어에서, 유보어(hedges)는 문어에서 가장 빈도가 높았다. 구어와 문어의 차이는 인터렉셔널 표지의 사용에서 더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구어에서 청중과의 상호작용을 위해 2인칭 대명사를 다수 사용한 것에 기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진행 중인 구어에서의 메타담화의 기능에 대한 이론적 논의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실용적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 영어 교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교수자는 학생들이 구어의 메타담화의 특징에 주목하도록 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영어로 강의를 하는 비원어민 교수자도 학문 분야별 구어체 영어에서 메타담화의 특징에 대해 인지함으로써 학문 분야의 특성에 부합한 방식으로 효과적인 강의를 수행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Metadiscourse, referred to as ‘discourse about discourse’ (Mauranen, 1993b), is linguistic material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dimension of language use. It is utilized to expresses the speaker/writer’s viewpoints and to build a relationship among the text, the writer and the reader (Hyland, 2000). Over the past decades,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behaviour of metadiscourse, mostly focusing on academic written texts. Though the distribution and functions of metadiscourse in spoken academic discourse has recently been gaining scholars’ attention, there still are not enough studies to help us understand the functions of metadiscourse in spoken academic language, possible disciplinary variation, and convergence and divergence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 The present corpus-based study was conducted to fill such a gap in research. The framework adopted by this study is Hyland’s (2005a) interpersonal model of metadiscourse, which builds on Halliday’s theory of metafunctions of language (1973). In order to achieve our research goals, the British Academic Spoken English (BASE) corpus was analysed apply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BASE corpus is comprised of 1,734,710 tokens compiled from transcripts of lectures and seminars recorded at two universities in the United Kingdom. This corpus is evenly divided into four disciplines, Arts and Humanities, Life Sciences, Phys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The corpus analysis was undertaken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1) the overall distribution and the functions of metadiscourse markers in spoken academic English; (2) cross-disciplinary variation in the use of metadiscourse markers; (3) convergence and divergence between spoken and written academic discourse in the use of metadiscourse markers.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 Of the two types of metadiscourse markers posited by Hyland (2005a), interactional metadiscourse markers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interactive markers in spoken language, a pattern opposite to what was observed in an analysis of written academic textbooks (Hyland, 2005c). Clusters of metadiscourse were also quite common in the spoken lectures, collaborating to serve as pedagogical tools. It appears then that though the lecture discourse is identified as one-directional monologic communication, it still involves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peaker and audience much more than the written academic discourse. The lecturers’ engagement with the audience may have been facilitated by the employment of interactional metadiscourse. Among all the sub-categories of metadiscourse markers, none is more pervasive than transition markers. The same pattern was observed in the written academic texts as well (Hyland, 2005a). This seems to indicate that the main function of metadiscourse markers both in spoken and written academic discourse is to help construct logical and cohesive texts in order to facilitat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e four disciplines exhibited diverse patterns. The speakers of Physical Science produced the highest number of interactive markers, behaving differently from the speakers in the other three disciplines. With the interactional markers, Arts and Humanities speakers produced the highest numbers, followed by Physical Science, Life Science, and Social Science. The expected division between the soft and hard sciences was not observed in the use of metadiscourse markers. The comparison of spoken and academic discourse showed that the two language modes did not differ much in the frequency order of the interactive markers except for the frame markers. Among the interactional markers, engagement markers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spoken corpus while hedges were most commonly used in written texts. The two language modes differed more prominently with the use of interactional markers than interactive mak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ongo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the functions of metadiscourse in spoken academic discourse as compared to written discourse. On the practical side, our findings may be of interest to teachers of academic English. By drawing students’ attention to the features of metadiscourse in speech, teachers may help students become competent communicators of academic spoken English. Non-native speaking instructors and lecturers would also be benefited from our observations. By paying attention to the usage patterns of metadiscourse in the different disciplines, they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ability to interact with their audience in ways specific to their academic community.

      • 한국어 구어의 동사구문의 실현에 대한 연구

        백해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2283

        In this paper, abridgement of freedom and components of the word order verb phrase in the spoken language is defined in the existing drilled through features of the spoken language look to see through the spoken language corpus to achieve surface, were examined issues such as the omission of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t is therefore, requires a spoken language corpus analysis is actually an analysis of the corpus used in the base study. Therefore, in this paper, were constructed analysis corpus is baked using the 1 million clause spoken language morphological analysis corpus of which has been deployed in the "21st Century Sejong Plan".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particularity of the spoken text, was adopted analysis method by the "sensitive grammar."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for the verb phrase queries implemented surface, depending on the type of syntax representing the company, although classified exampl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compiled corpus-based "Yonsei Korean Diction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Gyokuto~uru information gathering to the syntax elements, they are classified into 15 types of. Chapter 3, using the analysis corpus of spoken language that was built, verb phrase inquiry was classified in Chapter 2 was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of each type actual implementation. The company,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sufficient example, was described only about the frequency more than 1000 of the verb. From what has been described in Chapter 3, the subject and Busao it looks the high frequency case being omitted, object indicates a high frequency of being realized without being omitted cases. In addition, it may take the other case markers, bu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s not high. Thus, with reference to the Gyokuto~uru that is set to standard "Yonsei Korean Dictionary", verb phrase queries implemented colloquially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no big difference. Finally, in Chapter 4, the omission of realizat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word order that is drilled through a feature of colloquial in the existing colloquial research, I was examined for the omission of the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example used in the normal word order it was confirmed to exhibit a higher frequency. Subject and Busao in omission of components are frequently be omitted I was confirmed to be displayed more frequently object is being implemented. Finally, the example study showed a higher frequency than the example realized, case particle was realized particularly from two or more of all the elements of the components verb clauses that are implemented in the omission of the study, which show a low frequency It was confirmed. 이 논문에서는 구어에서 동사구문이 실현양상에 대하여 구어말뭉치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기존에 구어의 통사적 특징으로 규정되는 어순의 자유로움과 성분의 생략, 조사의 생략 등 문제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사용된 언어자료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구어구문분석말뭉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1세기 세종계획”에서 배포한 100만 어절의 구어형태소분석말뭉치를 사용하여 구어구문분석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구문분석의 방법은 구어 텍스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의존문법”에 의한 구문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또 동사구문의 실현양상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동사가 나타내는 구문유형에 따라 용례를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의 기준은 말뭉치 기반으로 편찬한 『연세한국어사전』의 격틀정보 수집하여 구문 구성 요소의 종류에 따라 15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3장에서는 구축한 구어구문분석말뭉치를 사용하여 제2장에서 분류한 동사구문의 각 유형별 실제 실현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동사는 충분한 용례의 수를 고려하여 빈도 1,000이상의 동사에 대하여서만 살펴보았다. 제3장에 살펴본 바에 의하면 주어와 부사어는 생략된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이지만 목적어는 생략되지 않고 실현된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인다. 그 외에 다른 격조사를 취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출현빈도는 높지 않다. 이로부터 『연세한국어사전』에서 표준으로 설정하고 있는 격틀을 기준으로 할 때 구어에서 동사구문의 실현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기존의 구어연구에서 구어의 통사적 특징하고 있는 어순의 실현과 성분의 생략, 조사의 생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상적인 어순으로 쓰인 예가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분의 생략에 있어서 주어와 부사어는 빈번하게 생략되지만 목적어는 실현되는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의 생략에 있어서 조사가 실현된 예가 더 높은 빈도를 보였고 특히 두 개 이상의 성분이 실현된 동사구문에서 모든 성분에서 격조사가 실현된 예는 낮은 빈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A) corpus-based study on English phrasal verb lists on specific purposes : focused on spoken and written genres in COCA

        한지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270

        정보화와 세계화의 흐름은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연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오늘날의 영어 학습자들은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영어 입력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일상에서 영어와 마주하게 되는 가능성이 높아지는 시대이기 때문에(Street, 1997), 영어를 마주치는 특정 맥락 속에서 특히 자주 사용되는 표현을 연구할 필요성도 높아졌다. 교육부도 이런 시대 상황에 맞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일상 회화를 하는 상황이나 디지털 문맥(digital context)에서 주로 사용되는 고빈도 구동사의 목록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 영어 코퍼스(corpus)인 COCA(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의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COCA에는 여러 장르(genre)가 있는데, 그 중 TV/영화(TV/Movies)와 일반-웹(Web-genl) 장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의 빈도 데이터(data) 및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선택된 두 장르는 각각 구어 및 문어를 대표하는 코퍼스이기 때문이다. 분석한 구동사의 총 개수는TV/영화 장르가 654개, 일반-웹 장르는 666개였다. 구동사가 얼마나 자주 사용됐는지는 백만 단어당 빈도인 PM (per million words)값에 의해 결정되었다. PM 값에 따르면 TV/영화 장르에서 더 많은 구동사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come on”은 비공식적인 표현이 많은 TV/영화 장르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로 주로 명령형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웹 장르에서는 “go on”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구동사의 빈도 차이는 일반-웹 장르 코퍼스에서 사용되는 비공식적인 스타일의 두 가지 예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장르의 구동사 분석 결과에 따라 실제적인 구동사(APV) 목록이 제작되었다. 이는 빈도가 높은 구동사 즉, PM 값이 높은 구동사부터 내림차순으로 목록화하였다. 본 연구의 구동사 목록은 Gardner와 Davies(2007), 그리고 Liu(2011)가 작성한 구동사 목록들과 비교했을 때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선행 구동사 목록들은 모두 일반적인 맥락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구동사를 찾는 것이 목표였다. 하지만, APV 목록은 특정 문맥 즉, 일상 회화와 디지털 문맥에서 자주 사용되는 구동사를 포함하는 것이 목표였다. “sign up”은APV 목록에는 포함되었지만, 두 목록에서는 제외된 구동사였다. 이는 특정 목적으로 사용되는 구동사의 목록을 제작하는 것의 중요성을 입증한 예이다. Liu(2011)의 구동사 순위와 비교한 결과, 구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구동사들이 문어에서 자주 쓰이는 구동사들보다 시간의 흐름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의 새로운 문해력(new literacy)을 향상시키고 싶어하는 다양한 사람들, 예를 들어 학습자, 교사, 그리고 교과과정과 교과서 개발자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APV목록은 웹에 익숙한 구동사뿐만 아니라 다른 일반적인 문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고빈도 구동사를 소개하는 용도로 쓰일 수 있다. The flows of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have affected many social contexts and research fields. These days, it is easy to be exposed to English input over the internet using various digital devices. As the possibilities where learners can encounter English input are on the rise (Street, 1997), it is necessary to study expressions which often occur in those contexts.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affected by the flows and set the appropriate goal.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list of high-frequency phrasal verbs (PVs) that are mainly used in communicational and digital contexts. The analysis consists of utilizing data from the world largest American English corpus,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 and combining this with frequency data and characteristic patterns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hrasal verbs in each genre of TV/Movies and Web-genl. Those genres represent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respectively. A total of 654 PVs, from the TV/Movies genre and the 666 Web-genl PVs were analyzed. How frequently a phrasal verb was used was decided by the PM value, a frequency of occurrence per million words. According to their PM value, more phrasal verbs were used in the TV/Movies genre. Of these, “come on” was the most highly frequent phrasal verb in the TV/Movies genre, where it was mostly used in imperative informal contexts. Meanwhile, for the Web-genl genre, “go 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the phrasal verb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two cases of informal style used in Web-genl genre corpus. The authentic phrasal verb (APV) lists were compil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high-frequency phrasal verbs, being those phrasal verbs with higher PM values, are listed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The resulting lists were compared to the previous phrasal verbs lists made by Gardner and Davies (2007), and Liu (2011). Both lists were created to find the high-frequent PVs in general contexts. By contrast, the APV lists included high-frequency PVs used in specific contexts in a recently updated frequency order, conversational and digital contexts. For example, “sign up” was a phrasal verb with a high ranking in the WEB APV list, but not featured in the aforementioned two lists. This proved the importance of making a list of PVs according to a specific purpose. The result of comparing ranks of PV can be interpreted that PVs used frequently in spoken language are more sensitive to the time change than in written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ess utility for various people, including learners, teachers, course designers, and textbook developers. Indeed, anyone who wishes to learn authentic English expressions will find it useful. The two APV lists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not only web-familiar phrasal verbs but also high-frequent phrasal verbs that can be used in other contexts as well.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헤지(hedge) 표현 연구 : 사용 양상과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XIA, WAN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2250

        The concept and approach of this study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the depiction of frequently utilized hedging expressions in the spoken Korean language. The objective was to use a large learner corpus to identify the pattern and error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use of Korean hedging expressions by grad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usage patterns of Korean native speakers, the characteristics and errors of Chinese learners' use of hedging expressions by grade were also addressed, laying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hedging expression teaching for Chinese learners. Hedging expressions impacts both the conversion of the propositional content's truth value into semantics as well as the speaker's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the utility of the propositional item they have just spoken with. By using hedging expressions correctly, the speaker can contribute to the clarity of verbal communication. Hedging expressions are frequently used in spoken Korean, but they can be challenging for non-native speakers, and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concerning such issues. By analyzing corpus data from Chinese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tterns and error patterns in the usage of hedging expressions in spoken Chinese. It also seek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hedging expressions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utilization of hedging expressions. Chapter 2 will present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for this investigation. The chapter began by reviewing preceding literature on hedging expressions, specifically the factors that led to the selection of the corpus data to be examined, the properties of the data, and the analysis process. In Chapters 3 and 4, the use of hedging phrases by Chinese language learners by grade will be extensively presented. In addition, we sought to illustrate similarities and discrepancies in the use of hedging expressions among Korean speakers. By analyzing Chinese learner corpus data, Chapter 3 classifies the hedging expressions applied to ‘within the content of the proposition’ by grade as ‘changing the degree applied’ and ‘approximate the range of numbers’. First and foremost, advanced learners can employ the hedging expression ‘changing the degree of application’ as frequently as native speakers when discussing ‘varying the degree of application’, whereas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use it less frequently. ‘ ’ or ‘ ’ is commonly used 좀 조금 by Chinese language learner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word ‘보 통’ was then ranked second. There were numerous instances of words such as ‘ ’, ‘ ’, and ‘ ’, as well as expressions including ‘ ’, ‘ 거의 여러 가지 어떤 얼마 여 러 몇 ’, and ‘ ’. A great variety of expression was employed frequently by advanced learners. When compared to other hedging expressions representations with equivalent functions, the learner's chosen expression was relatively limited and tended to favor only specific expressions. In ‘approximate the range of amounts’, all students, regardless of grade, most frequently used the word ‘ ’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uffix ‘- 정도 쯤 이상 한 ’ has appeared regularly in examples, words including ‘ ’ and ‘ ’ are more commonly used. This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learners' transfer of Chinese vocabulary from their native Chinese to their second language, Korea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it is a demanding task to teach expressions such as ‘- ’ and ‘ ’ since learners rarely use them. 쯤 한 Overall, it is evident that native speakers are able to use hedge representations with advanced learners, but beginner and intermediate learners are far more inclined to use them. Hedging phrases were addressed in Chapter 4 with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osition content and speaker’. This study analyzed the usage pattern of each function by classifying them into one of six categories: ‘indicating possibilities’, ‘guessing’, ‘approaching’, ‘subjecting’, and ‘objectify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employed more possibility expressions, such as ‘-( ) ’, than 으 ㄹ 수 있다 native speakers; however,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how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employed hedging expressions through the use of ‘-( ) ’. 으 ㄹ 수 있다 There was an absence of variety in the learners' use of hedging language when they were ‘ ’. Additionally, it is notable that Chinese students 아마 choose the word ‘ ’. In conclusion, the use of hedging idioms by 아마 Chinese students varied considerably by grade. The implementation use cases for advanced learners were particularly overwhelming. Compared to the speaker in ‘close’, it appears that the learner was incapable of using the ‘close’ hedging expressions. Subjectification served the purpose of expressing the speaker's own ideas, and cognitive verb syntax was most frequently employed. Similarly, the learner's usage pattern is repetitive. Although there is a significant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 ’ and other cognitive verbs, there are 생각하다 numerous instances in which students are inclined to use ‘ ’. 생각하다 The most prevalent form of strategy expression in ‘objectification’ was exceptionally diverse compared to other types of strategy. The improper use of hedging statement in spoken Chinese by students is discussed in Chapter 5. In Chapter 5, an attempt was made to identify the errors that Chinese language learners make when employing hedging phrases. Chinese students made a disproportionate amount of ‘birthday blunders by neglecting air limitations’. Both ‘error caused by omitting hedging expressions in situations where hedge expression is required’ and ‘error caused by excessive use in situations where hedge expression is not required’ occurred frequently. The majority of ‘five forms’ errors were made by medium and high-level learners. The ‘surplus error of employing hedge representation’ is a common mistake made by advanced learn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paucity of research on hedging expressions in spoken Korean discourse and the systematic teaching of hedging expression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hrough the study, it can be asserted that hedging expressions education can and should be effectively implemented for Chinese learne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inappropriate use of hedging expressions by Chinese language learners.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헤지(hedge) 표현에 주목하여 그 개념 및 유형을 정립하였다. 대규모 학습자 말뭉치를 사용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등급별 한국어 헤지 표현 사용 양상 및 오류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사용 양상과 비교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등급별 헤지 표현 사용 특징 및 오류를 제시하고 향후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헤지 표현 교육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헤지 표현은 의미론 면에서 발화된 명제 내용의 진릿값이 변환하는 효과, 화용적 면에서 화자가 발화된 명제 내용에 대한 확실하지 않는 심리 태도에 있어서 역할을 한다. 구어 담화에서 화자가 헤지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 수행하는 데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헤지 표현이 빈번하게 사용되지만 외국인 학습자가 사용하기는 어려운 부분이며 지금까지 한국어 헤지 표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말뭉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들이 구어 담화에서 헤지 표현을 사용 양상과 오류 패턴을 파악하고자 하며 다양한 구어 상황에서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가 헤지 표현을 사용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여 향후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헤지 표현 교육 연구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할 것이다. 우선, 헤지 표현과 관련한 기존 연구의 논의와 이론을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할 말뭉치 자료의 선정 이유, 자료의 특성 및 분석 절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3,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등급별로 중국인 학습자의 헤지 표현 사용 양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모어 화자의 헤지 표현 사용 양상과의 비교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 말뭉치 자료를 분석을 통해 등급별 중국인 학습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명제 내용 내부’에 적용하는 헤지 표현들이 ‘적용된 정도 변동하기’와 ‘수량의 범위를 근사치화’로 나누어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선, ‘적용된 정도 변동하기’에서는 모어 화자와 비교할 때 고급 학습자가 모어 화자를 못지않게 ‘적용된 정도 변동하기’의 헤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초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의 사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중국인 학습자가 ‘좀’/‘조금’의 사용 빈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그다음으로 ‘보통’의 사용 빈도가 2위로 차치하였다. ‘거의’, ‘여러 가지’, ‘어떤’ 등의 용례가 많았고 이외에 ‘얼마’, ‘여러’, ‘몇’ 등의 다양한 표현들이 사용되었다. 고급 학습자의 경우 다양한 표현들을 사용하였고 각 표현별 사용 빈도도 높다. 그러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헤지 표현을 비교해보면 학습자가 선호하는 표현이 상대적으로 단일하며 특정 표현만 선호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수량의 범위를 근사치화’에서는 학습자의 등급과 상관없이, 모든 학습자가 ‘정도’를 가장 많이 빈번하게 사용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접미사 ‘-쯤’의 용례가 종종 있었지만 관형사 ‘이상’, ‘한’ 등의 표현들은 사용 빈도가 매우 낮다. 이는 학습자들의 모국어인 중국어에서 ‘정도’에 대응되는 표현인 ‘程度’에 대한 지식이 한국어 사용에 전이된 결과로 추측된다. 학습자들이 ‘-쯤’, ‘한’ 등의 표현을 잘 활용하지 못한다는 점으로 보아 한국어교육에서 해당 표현들을 교수하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고급 학습자가 모어 화자와 유사하게 헤지 표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초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는 사용 빈도가 매우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4장에서는 ‘명제 내용과 화자의 관계’에 적용하는 헤지 표현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성 표시하기’, ‘추측하기’, ‘근접하기’, ‘주체화하기’, ‘객체화하기’로 나누어 각 기능별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가능성 표시하기’에서는 모어 화자와 비교하면,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는 모어 화자보다 ‘-(으)ㄹ 수 있다’를 비롯한 가능성 표현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으)ㄹ 수 있다’를 통해 모어 화자와 학습자가 헤지 표현을 사용하는 데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추측하기’에서는 학습자가 헤지 표현을 사용함에 있어서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가 ‘아마’를 많이 선호하는 것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등급별로 보면 중국인 학습자가 헤지 표현을 사용하는 데에 차이점이 컸다. 특히, 고급 학습자가 구현된 용례는 압도적이었다. ‘근접하기’에서는 어 화자와 비교해 보면 학습자가 ‘근접하기’ 기능의 헤지 표현을 사용하는 부족하다고 보였다. ‘주체화하기에서는 주체화는 화자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기능으로 인지 동사로 구현된 구문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학습자의 사용 양상이 단조롭다. 학습자가 ‘생각하다’만 선호하고 다른 인지 동사로 구현된 용례가 종종 있지만 ‘생각하다’와 빈도 차이가 컸다. ‘객체화하기’에서는 형태별로 전략류의 표현이 가장 많고 다른 전략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였다. 5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구어 담화에서 헤지 표현의 사용에 나타나는 오류를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헤지 표현을 사용하는 데에 범하는 오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공기 제약 무시하여 생신 오류’는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서 ‘헤지 표현이 필요하지 않는 상황에서 과잉 사용하여 생긴 오류’와 ‘헤지 표현이 필요한 상황에서 헤지 표현을 생략하여 생긴 오류’는 유사한 빈도로 나타났다. ‘오형태’의 오류에서는 중·고급 학습자의 오류 위주로 나타났다. ‘헤지 표현 사용의 잉여적 오류’는 고급 학습자를 위주로 범하는 오류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나타나는 헤지 표현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고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도 헤지 표현의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 착안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헤지 표현의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헤지 표현 사용 오류를 분석하였다는 점도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 Linguistic alignment classification and generation with deep learning in Spanish conversation

        노은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236

        인접 호응(linguistic alignment)은 대화에서 상대방이 직전에 말한 문장에 대해, 맥락에 맞는 말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 소통에서, 화자는 상대방의 의견을 수락하거나 지지하기 위해 발화의 스타일을 변경하고, 상대방의 발언에 따라 의사 전달의 요지를 변경한다. 인접 호응 구조는 실생활에서 자주 발견되지만, 선행연구에 명확한 기준이 없었기에 먼저 어학적으로 이 문제를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인접 호응은 직전 발화의 맥락에 맞춰 대화를 이어가는 구조를 가리키며, 상대방의 앞선 발화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경우, 그리고 앞에 나온 말을 반복하는 경우에 성립한다. 한편, non-alignment에는 앞에 나온 주제가 바뀌거나 대화의 흐름이 끊기고 더 이어지지 않거나 전혀 무관한 말을 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이 현상은 여러 상황에서 관찰되며 다양한 사회적 요인 및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것은 일종의 적응이나 수용 행동으로, 웹 상에서의 대화와 대면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된다. 분명 존재하나 실제로 규정하기 어려운 문제라는 점에서 전통적인 규칙기반 방식으로 인접 호응 구조를 분석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그 해결책으로서 최신 딥러닝 방식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언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신규성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인접 호응을 탐지하고 분류하기 위해 최초로 딥러닝을 적용하였다. 둘째, 최초로 스페인어에 인접 호응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스페인어 인접 호응 코퍼스와 인접 호응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었다. RNN과 CNN, Siamese network 모델을 설계하여 스페인 준구어 코퍼스에서 인접 호응 구문의 언어적 이론적 기준을 수립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셋째, 스페인어 어휘 표지자(marker)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스페인어는 어휘 요소가 풍부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대용어 등의 문장 성분이 명시적으로 다양하게 드러난 언어다. 우리는 어휘와 범주 특성에 따라 주요 표지자를 추출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서울대학교 학부 대상 교과서 4권과 주제별 웹 트위터 데이터를 크롤링하여 수집하였다. 트위터 대화를 수집하기 위한 크롤러를 만들고, 수집한 스페인어 준구어 코퍼스에서 인접 호응이 발생하는 언어적 이론 기준을 정립하여 정답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특정 표지자에 의존하지 않는 모델을 위하여 문장 전체를 고려하는 딥러닝 방식을 적용하였다. 각각 RNN과 CNN, Siamese network 기반의 인접 호응 여부를 예측하는 분류기를 만들어 적합한 표지자를 추출하고 검증하였다. 실험을 통해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특정 어휘 요소에 기반하여 스페인어 문장을 구분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접 호응 분류(alignment classification)를 학습하기 위해서 트위터 대화와 서울대학교 스페인어학습 교재 대화문을 사용하였다. 정립한 인접 호응 기준을 바탕으로 트위터 2,000쌍과 교재 1,384쌍 데이터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데이터를 1:1 비율로 증대(augmentation)한 8,400여 쌍(교재 alignment 1,960쌍, non-alignment 1,960쌍; 트위터 alignment 2,250쌍, non-alignment 2,250쌍) 데이터로 분류기(classifier)를 학습시켰다. 분류기의 성능은 이론에 기초하여 예상한 베이스라인(표지자가 답변 문장에 존재하면 인접 호응으로 분류)의 성능 35-55% 보다 높은 70-80%로 상당히 fair한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학습한 인접 호응 분류기(alignment classifier)를 통해 총 50,000쌍(alignment 27,449쌍, non-alignment 22,551쌍)의 unlabeled 데이터를 분류하도록 하였고, 분류된 27,449쌍의 인접 호응 대화문을 이용하여 생성모델을 만들었다. 그 결과 labeled data만으로 생성을 하려 했던 것보다 양질의 인접 호응 문장 생성이 가능하였다. 이는 학습된 분류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확보하는 방법을 통하여 사람의 노동력을 상당량 경감시키면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우리는 대량의 분류된 스페인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커 검증을 하였고, 사람이 예상한 것 외의 마커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를 통해 언어학 연구에도 딥러닝 기술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인접 호응 코퍼스 및 모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입력에 맞춰 맥락에 맞는 응답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실제 언어 상황에서 발견되는 인접 호응 현상에 대한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쉽사리 규정하기 힘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학습시켜 딥러닝을 통해 검증한 최초의 연구이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인접 호응 구문을 탐지하고 모델을 만들어 표지자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으며, 인접 호응에 성립하는 답변을 생성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지적한 문제는 현재 실무적으로도 어려우면서도 필요한 기술이며, 모델의 성능이 높지 않은 것은 문제 자체의 난이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응답할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준 및 연구 방법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In general communication, the speaker changes the style of speech in order to accept or support the opinion of the other person, and changes the point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interlocutor's speech. Here we constructed a tagged corpus for alignment, as well as a model for predicting the linguistic alignment markers. In this study, the alignment refers to the reaction or attitude of recognizing previous speech and the strategy of choosing words according to the context. This phenomenon is observed in many different contexts and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social factors and causes. It is a kind of accommodation or adaptation behavior, commonly observed in web-based conversations as well as face-to-face situations. Therefore, it can be used to infer the social dynamics that are potentially difficult to directly observe the immediate response. Until now, however, there was no standard method for measuring the aligned response. Its mechanism is unclear whether it is based on the structural level, or the purpose of the conversation.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try to use the Deep Learning Prediction Model to find the alignment structure. Although alignment structure is often found in real world, there was no clear standard in previous studies, we started to define it theoretically. Alignment response refers to a structure that continues conversation in line with the context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utterance. It affirms or rejects the utterance of the other party, and repeats the preceding statement. On the other hand, non-alignment refers to cases in which the above-mentioned topics are changed or the flow of the conversation is interrupted, and the words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t all. Linguistic alignment is observed in many situations and can vary depending on various social factors and causes.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alignment response structure in a conventional rule-based method in that it is a problem that is obviously existent but is difficult to define in practice. Therefore, we tried to analyze and utilize the state-of-the-art deep learning method as a solution. This study has three novelties. Firstly, we applied deep learning for the first time to detect and classify linguistic alignment. Secondly, we applied the concept of alignment response to Spanish for the first time. We design RNN, CNN, and Siamese network models to propose a method for establishing theoretical criteria of alignment sentences in Spanish quasi-spoken corpus. Thirdly, we validated the Spanish vocabulary markers. Spanish has a very well developed vocabulary structure with lots of explicit lexical elements. We analyzed the vocabulary and category characteristics with four textbook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crawled web Twitter data. We created a crawler for collecting Twitter conversations, and constructed the correct answer data by establishing the linguistic theoretical criteria in which the alignment responded in the collected corpus. For a model that does not depend on a specific marker, a deep learning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whole sentence is applied. We developed a classifier for predicting the alignment using the RNN, CNN, and Siamese networks. Experiments have shown that it is difficult to classify Spanish sentences based on specific vocabulary tokens. In order to train alignment classification, we analyzed the twitter conversation and the dialogues in Spanish textbook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ased on the established response criteria, we classify 2,000 pairs of twitters and 1,384 dialogue pairs in textbooks, and validated the quality of training using the valid loss model selection method. The classifier was trained by 8,400 pairs of augmentation of each data at 1: 1 ratio (1,960 pairs of alignment, 1,960 pairs of non-alignment in L2 acquisition materials; 2,250 pairs of alignment and 2,250 pairs of non-alignment in Twitter conversion). The performance of the classifier was fairly good (70-80 %), and higher than 35-55 % of the baseline (classified as alignment response if the markers existed in the answer sentence) based on the theory. The unlabeled data of 50,000 pairs (alignment 27,449 pairs, non-alignment 22,551 pair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trained classifier, and we made a generation model using 27,449 pairs of alignment-classified dialogues. As a result, we could generate various responses with better quality from the classified data than those from labeled data. This shows that using the trained classifier is a useful way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data and reduce human labor. We also validated markers based on classified Spanish data, and found unexpected markers. We confirmed that deep learning can be very useful in linguistic research, and it is possible to design a system that generates a context-sensitive response, depending on the user 's input. This is the first study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linguistic alignment and to validate the markers by deep learning to solve this difficult problem. We have tried to verify the markers by detecting the aligned response syntax and modeling them through various experiments, and achieved the desired purpose of generating an answer to the alignment response. The problem we mentioned is very important in practice, and the lack of high performance of the model reflects the difficulty of the task itself. We are expecting this to be a basic deep learning methodology for linguistic research and developing a system that will solve the data shortage and respond appropriately to users.

      • '그것'류 담화표지의 담화 기능 연구 : 맥락 분석을 바탕으로

        권민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discourse functions shown in the use of ‘keugeot(그것)’ based discourse markers(DMs)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n what aspect of discourse functions each form of the DMs has, as well as the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where it appears. Since Korean is a highly discursive language, much importance is laid on the meaning or function of use in actual discourse situations as well as the syntactic semantic composition of literal meaning of each word. A discourse marker is a kind of device that leads to an efficient communication by enhancing the coherence of a discourse. Not only is it important in terms of expressing in that speaking with appropriate DMs can be a way of utterance strategy, but they also appear as identical forms with the originating words, necessitating an analysis of the unique functions in discourse. In particular, when the same form of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is used but as a DM,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ose who are not native in Korean can go through hardship to understand the discourse functions and get confused with demonstration or anaphora as the original lexical meaning of it. Here, I focused on three forms, ‘keuge(그게)’, ‘keugeo(그거)’, and ‘keugeotto(그것도)’, developed from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keugeot’, to examine the cases in which they are used as DMs, enhancing coherence of each discourse. As a research method, a context analysis was conducted on real-life conversation of spoken corpus transcription data. First, based on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the main genre and qualifications of some forms of the 'keugeot' based DMs were verified. Then discourse functions in the use of the 'keugeot' based DMs were identified in the conversational corpus (2020, 1.3 version)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Other DMs near the ‘keugeot’ based ones were also put into investigation as different kinds of discourse functions of a discourse marker in general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often various DMs appear together in a row. The procedure for discussion is as the followings. In Chapter 1, the necessity, purpos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and some previous literature focusing on ‘keugeot’ were reviewed. With almost all the studies related to ‘keugeot’ focusing on Korean demonstratives and the system, there were only few discussing it as a discourse marker. No previous literature was found referring to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context of actual use and discursive usage of DMs originating from ‘keugeot’. Chapter 2 presented a theoretical discussion regarding the core concepts, establishing the study range and criteria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irstly,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DMs and discourse functions were progressed to set up the scope of ‘keugeot’ based DMs and the classification of it’s functions. The benefit of including some conventional expressions, which show a role of enhancing the coherence in a discourse and also useful to learners, as DMs was mentioned from a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Secondly, concepts of topic and focus dealt slightly different in various fields of study were discussed to set up the proper concept for study on DMs. In this thesis, topic is for a discourse topic, and focus is highlighting a certain topic or utterance by the speaker’s intention. Chapter 3 proved the ratio of some forms of ‘keugeot’ used as DMs in the corpus, and showed the results of context analysis for each form. As a result, ‘keuge’, ‘keugeo’, and ‘keugeotto’ forms were used as DMs in about 12-16% in the corpus data.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s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od, intention, utterance position, speech attitudes, in regard to the main discourse functions of each DMs was like the following; A DM ‘keuge’ was mostly used in the front of sentence when having functions of starting or switching a topic. For speech attitudes, more than the other two, a DM ‘keugeotto’ showed a comparatively distinctive result as it was used in certain attitudes with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argument or emphasizing. And in common, the DMs tend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when linguistic status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ppeared equivalent. Through the corpus analysis, I confirmed that the context ‘keugeot’ based DMs appeared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each form, and the implications from the context analysis were noted. Chapter 4 revealed how each form of 'keugeot' based DMs was realized when used as each other’s discourse function. While in some cases the three types showed individual discourse functions, through all the cases, common functions were found as well. Especially as functions of a filler and leading the listener’s participation were found as universal ones, I verified a base function of ‘keugeot’ based DMs as ‘Giving a Focus’. Plus, through the examination on co-occurring DMs, the specific and base functions of ‘keugeot’ based DMs in discourse were proven. Lastly, som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with regard to the discourse functions though the chapter were noted. Finally, in Chapter 5, all the discussions presented were summarized and concluded by noting the significance and a limitation of the study with key implications for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discourse functions of DMs developed from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keugeot’ were verified and specific functions of each form were compared in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through the main body. As an attempt for analysis of discourse functions inductively from a real-life language data, the context of the use of forms developed into DMs were clarified. The study is believed to help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keugeot’ based DMs.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담화표지의 형태별 사용 맥락과 담화 기능별 실현 양상을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그것’을 출처 어휘로 가지는 담화표지의 담화 기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담화성이 강한 언어로, 개별 단위의 통사적 합성을 넘어 실제 담화 상황에서 어떠한 사용 의미와 기능을 보이는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담화의 결속력을 높여주면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장치로 담화표지를 들 수 있다. 적절한 담화표지의 사용은 담화 구조를 결속하고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발화 전략이 될 수 있어 이해 및 표현 측면에서 중요하다. 또한 담화표지는 명제적 의미의 그 출처 어휘와 형태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개별 형태가 가지는 담화 기능에 대한 변별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어 지시대명사와 동일한 형태를 포함한 표현이 일정한 담화 기능으로 굳어져 사용될 경우, 학습자들은 담화 내에서 지시나 대용의 의미와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해당 표지의 적절한 담화 기능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고는 한국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그게’, ‘그거’, ‘그것도’의 세 가지 형태를 대상으로, 각각이 담화표지로 실현되는 경우 그 사용 맥락과 기능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어 말뭉치 전사 자료를 토대로 한 맥락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21세기 세종 말뭉치’를 토대로 ‘그것’류 형태의 담화표지 자격 및 주요 사용역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적 대화 장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남에 따라 본 연구의 자료로 ‘국립국어원 일상대화 말뭉치 2020(버전 1.3)’를 선정하여, ‘그것’류 담화표지의 용례에서 나타나는 형태별 사용 맥락과 담화 기능별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개별 담화표지의 다양한 담화 기능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필요 기능에 따라 여러 담화표지가 공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그것’류 담화표지의 주변에 사용된 담화표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논의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대상 및 방법을 소개하고 ‘그것’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것’에 관련된 논의는 주로 한국어 지시어 및 지시체계에 관한 것이었으며, 담화표지의 한 형태로 다룬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공통의 출처 어휘 ‘그것’에서 발달한 담화표지에 주목하여 그 실제적 사용 맥락과 담화 차원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2장은 핵심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서, 앞선 논의를 근거로 본고의 논의를 위한 분석 범위 및 기준을 마련하였다. 먼저 담화표지와 담화 기능에 대한 기존 논의를 토대로 본고에서 다루는 ‘그것’류 담화표지의 범위 및 기능 분류 틀을 제시하였다. 언어 교육을 위한 연구의 관점에서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담화 기능을 보이면서 담화를 결속하는 책략이 되는 굳어진 표현을 담화표지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식의 효용성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며 다소 혼용되던 화제 및 초점 개념을 정리하고 담화표지 분석에 적합한 개념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화제 개념을 담화 화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초점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화제나 발화를 부각하는 효과로 보아, 본고에서 사용된 개념들을 명확히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그것’류 형태가 일상대화 말뭉치에서 담화표지로 사용되는 비율을 입증하고, 형태별 맥락 분석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말뭉치 자료에서 ‘그게’, ‘그거’, ‘그것도’는 약 12-16%의 비율로 담화표지로 사용되었다. 각 형태별로 담화 기능 영역과 연계하여 화청자 관계, 서법, 발화 의도, 발화 위치, 발화 태도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체로 ‘그게’가 화제 시작 및 전환 기능의 담화표지로 사용될 때 문두에서 드러났으며, 화제 연결 및 디딤말 기능의 ‘그거’는 문중에서 많이 실현되었다. 화자 태도는 다른 두 형태에 비해 ‘그것도’의 경우 화자의 주장 강화 및 강조 기능에서 특정 태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한편 세 담화표지는 공통적으로 화청자의 언어적 지위가 동등할 때 빈번한 사용을 보였다. 말뭉치의 분석을 통해 ‘그것’류 담화표지는 각각의 담화 기능과 사용 맥락 간의 상관성이 높음을 확인하고, 그 함의를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세부적인 담화 기능에 따라 ‘그것’류 담화표지가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것’류 담화표지들은 각 담화 기능에 따라 개별적인 실현 양상을 보이는가 하면 공통적인 기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특히, 보편적으로 보이는 하위 기능으로 디딤말 기능과 청자 참여 유도 기능이 드러났는데, 이러한 특성을 종합하여 ‘그것’을 공통의 출처 어휘로 가지는 담화표지의 기본 기능을 ‘초점(focus) 부여하기’로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담화표지와의 공기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세부 기능 및 기본 기능의 실현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그것’류 담화표지 기능 실현의 분석을 통해 찾은 함의를 정리하였다. 5장의 결론에서는 논의를 종합하여,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한국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고는 말뭉치 분석을 통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형태들의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고, 형태별 세부 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실제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담화 기능 분석의 시도로서 공통된 출처 어휘를 가지고 담화표지로 발달한 형태의 사용 맥락을 살펴보았다. 해당 논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그것’류 담화표지의 기능 이해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 한국어 대화의 말 끼어들기 연구

        차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231

        본 연구는 한국어 대화에 나타난 말 끼어들기 현상의 유형을 분류하고 말 끼어들기가 일어난 후의 발화 양상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대화 참여자들 사이에 부정적인 것으로만 여겨졌던 말 끼어들기가 실제 대화를 분석한 결과 대화 내에서 긍정적인 역할도 수행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대화에 나타난 말 끼어들기의 분석을 위해 21세기 세종계획 현대 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의 일상 대화와 주제 대화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언급하고 연구 방법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를 한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21세기 세종계획 현대 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에 대한 소개와 더불어 말뭉치의 전사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2장에서는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인 틀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기본 개념이 되는 대화분석과 말 끼어들기에 대한 정의 및 유형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말 끼어들기에 대한 다양한 정의 및 시각에 대해 ‘한 사람이 이미 말을 시작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을 동시에 말을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는 이원표(2001)의 정의를 토대로 다시 하위 유형들을 분류하였다.3장에서는 말 끼어들기의 유형을 말 끼어들기를 하는 화자의 의도성에 따라 청자반응신호(backchannels), 우발적 말 끼어들기, 우호적 말 끼어들기, 비우호적 말 끼어들기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말 끼어들기가 대화의 흐름에 방해가 되는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것과는 달리 한국어 대화에서 나타난 말 끼어들기는 ‘우호적 말 끼어들기’가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여 구어 말뭉치에서 발견된 말 끼어들기 유형 중 절반이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말해, 말 끼어들기가 대화 참여자들 사이에 대화 참여도를 높이고, 긴밀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게 되었다.4장에서는 말 끼어들기 현상이 일어난 후에 대화 참여자들이 어떤 방식으로 다시 대화를 이어나가는지에 대한 발화 양상을 Kennedy & Camden(1983)의 다섯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말 끼어들기 후에 대화를 이어나가는 양상은 크게 ‘발화의 지속, 주제의 재도입, 다시 말 끼어들기, 협력하기, 말순서 상실’로 나눌 수 있는데, 한국어 대화에서 ‘말순서 상실’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 유형 중에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말 끼어들기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대화의 구조에 대한 언어학적인 연구를 넘어서서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서 말 끼어들기를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좀 더 다양한 상황에서의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phenomena known as interruptions that take place in Korean conversation and inquire into utterances that take place after the interruptions, and through this reveal the positive role that interruptions, generally considered by participants in a conversation to be negative, play in conversation through the results of analysis on real conversation. For analysis of interruptions in Korean conversation, this research has used daily conversation from the 21st-century Sejong Project's Korean spoken corpus dictionary and theme-based conversation as its subjects.The first chapter references the necessity and goal of the research, and gives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methods of research. It also gives an introduction to the 21st-century Sejong Project's Korean spoken corpus and takes a look at the dictionary methods used in the corpus.The second chapter takes a look at the necessary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research. First, this research paper inquires into conversation analysis and interruptions that makes up its basic concepts and existing research on definitions and types, and presents a framework of restructured analysis of the issue. On the variety of definitions and views of interruptions,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ir types based on Lee Won-pyo's definition of them as being 'when one person begins talking after another person has begun talking'.In the third chapter, forms of interruption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speaker doing the interruption; that is, backchannels, inadvertent interruptions, favorable interruption, and unfavorable interruptions. In contrast to the negative view of interruptions as being an impediment to the flow of conversation, the most frequent type of interruptions that took place in Korean conversation were of the favorable type, and over half of the interruptions found in the spoken corpus were confirmed to be of the same nature. In other words, interruptions were shown to have carried out a role in raising the participation rate between those taking part in a conversation, and increased closeness.The fourth chapter investigates how participants in a conversation continue a conversation after an interruption has occurred, based on the five types of utterances according to Kennedy & Camden (1983). The types of phenomena that occur in a conversation after an interruption has occurred are divided broadly into the following: continuing of the interruption, returning to the subject, interrupting again, cooperation, and losing one's turn; in Korean conversations the last phenomenon, losing one's turn, was the one of the phenomena that was hardly present.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research and shows the need for research in more varied situations in order to get past the linguistic research seeing interruptions as mere parts of conversation structure, in order to be able to use interruptions in a strategic manner as a method in communication.

      • 'N+(의) +N' 구성에서 '의'의 비실현 양상 연구 : 구어말뭉치를 대상으로

        오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22

        본 연구는 ‘N+(의) +N’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의’의 실현과 비실현 환경의 규칙성과 경향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말뭉치 중심(Corpus-driven)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의 실현과 비실현의 양상이 의미와 품사에 따라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선행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국어학과 한국어 교육학에서 조사 ‘의’의 생략 또는 비실현에 대하여 주로 말뭉치 기반(Corpus-based)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가 색다른 연구 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충분히 의미 있는 시도임을 나타낸다. 3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필요한 의미의 기준들을 사전과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제시하는 21가지의 개별 의미들을 기준으로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이 되는 구어 말뭉치에서 ‘N+(의) +N’ 구성의 용례를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논하였다. 4장에서는 추출된 ‘N+(의) +N’ 구성의 용례에서 ‘의’에 대한 의미 태깅이 이루어졌고, 각 의미 항목별로 분류하여 공통적인 환경과 변별적인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먼저, 구어 말뭉치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의’가 비실현되는 환경이 많았으며 ‘대상-형성자’, ‘수량-사물’과 ‘비유·은유’의 의미 관계에서만 ‘의’가 실현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굳은 표현’이라고 칭할 수 있는 ‘의’가 비실현된 덩어리 표현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앞 체언과 뒤 체언에 놓일 품사들의 결합 양상을 통해서 ‘의’의 실현과 비실현에 있어서 변별적인 특징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의’가 주로 높은 비율로 실현되는 의미 항목들에서는 ‘의’가 실현만 되는 품사의 결합이 있었다. 반면에 ‘의’가 비실현되는 비율이 높은 의미 항목들과 수의적으로 실현되는 의미 항목들에서는 ‘의’가 실현만 되는 품사의 결합과 비실현만 되는 품사의 결합이 모두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말뭉치 중심 연구 방법을 통하여 ‘의’의 실현과 비실현의 환경에 있어서 객관적인 규칙과 경향성을 찾아보았다. 이는 기존의 말뭉치 기반 연구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배제한 객관적인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선행 연구들이 제시하는 결과들에 대한 객관적 근거 자료로써 활용 및 검토가 가능할 것이다.

      •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 시간 표현 장치 사용 양상 연구 : 구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오세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02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 구어 말뭉치 분석을 통해 숙달도별로 나타나는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 시간 표현 장치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과거를 지시하는 문법적 시간 표현 장치 ‘-었-’, ‘-었었-’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의 사용 양상과, 이들 문법적 시간 표현 장치와 함께 등장하는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의 관련성을 학습자의 숙달도별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구축 및 연구 사업을 통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구축된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중 인터뷰 및 대화 장르의 구어 말뭉치를 사용하여 표본 말뭉치를 구성하였다. 1급부터 6급까지의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518개의 전사 자료(총 273,164어절 / 학습자 발화 180,328어절)에 대해서 과거 시간 표현 장치의 사용 양상에 대한 유사 종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 ‘학습자 구어 말뭉치에서 문법적 시간 표현 장치 ‘-었-’, ‘-었었-’의 출현 빈도와 사용되는 의미 기능은 숙달도에 따라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에 답하기 위해 학습자 구어 말뭉치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첫째, ‘-었-’의 출현 빈도는 1급에서 3급까지 점차 증가하다가 4급과 5급에서 감소한 뒤 6급에 이르러 다시 상승하였다. 본 연구는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었-’의 의미 기능이 안정화되는 과정을 겪기 때문에 이러한 출현 빈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었-’의 기본 의미 중에서 가장 많은 사용량을 보이는 것은 [과거 사태]였으며, 차례대로 [완료(지속)] > [미정의 사태에 대한 확신/단정]이 뒤를 이었다. 학습자의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었-’의 기본 의미가 확장 및 변화되는 모습은 관찰되지 않았다. 셋째, ‘-었-’은 기본 의미인 [과거 사태], [완료(지속)], [미정의 사태에 대한 확신/단정] 이외에도 [현재 사태/사실], [반복적 습관], [미래 사태], [추측]의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기본 의미 외의 의미들은 4급까지 자주 등장하였으나 5급 이상부터는 그 사용량이 많지 않았다. 넷째, ‘-었었-’은 학습자 구어 말뭉치에서 사용된 용례가 적어 숙달도에 따른 출현 빈도의 변화 양상을 분명하게 파악할 수는 없었으나 6급에서 가장 많은 용례가 사용되었다. 다섯째, ‘-었었-’의 기본 의미 중에서 가장 많은 사용량을 보이는 것은 [(강조된)과거 사태]였으며, 차례대로 [단절 과거] > [과거의 완료]가 뒤를 이었다. 기본 의미 중 하나인 [과거의 과거]는 그 용례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고는 ‘-었었-’이 사용되는 맥락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의미 기능 사용 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여섯째, ‘-었었-’ 또한 기본 의미 이외의 의미 기능으로 사용된 용례가 발견되었다. 기본 의미 외로 사용된 의미 기능의 유형은 ‘-었었-’이 ‘-었-’보다 적었으며 ‘-었었-’의 용례에서 발견된 기본 의미 외의 의미 기능들은 모두 학습자 구어 말뭉치에서 발견된 ‘-었-’의 의미 기능에 포함되는 것들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 ‘학습자 구어 말뭉치에서 문법적 시간 표현 장치 ‘-었-’, ‘-었었-’과 함께 등장하는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의 사용 양상은 숙달도에 따라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에 답하기 위해 학습자 구어 말뭉치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첫째, ‘-었-’, ‘-었었-’은 대체로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와 함께 사용되지 않고 단독적으로 사용되었다. 과거를 지시하는 문법적 시간 표현 장치 하나에 최대 5개의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가 연결되는 용례가 발견되었으나, 2개 이상의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둘째, 학습자의 숙달도가 향상될수록 ‘-었-’, ‘-었었-’과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가 함께 사용될 확률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가 사용되었더라도 사용된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의 평균적 개수는 숙달도가 향상될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고는 이러한 양상을 근거로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의 성격을 말하고자 하는 사건을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표현적 기능보다는 문법적 시간 표현 장치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대체적 기능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었-’, ‘-었었-’은 대체로 모든 유형의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와 고루 사용되었다. 또한 모든 유형의 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들은 ‘-었-’, ‘-었었-’의 의미 기능과의 관련성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나 공통적으로 ‘-었-’, ‘-었었-’의 의미 기능 중에서 시간과 관련된 의미 기능과 더 뚜렷한 관련성을 보였다. 넷째, 학습 초기에 ‘-었-’, ‘-었었-’은 주로 절대적 지시 장치, 장소 지시 장치와 함께 사용되다가 숙달도가 향상되면서 화시적 지시 장치, 조응적 지시 장치가 이를 대체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고는 기준시와 관련한 의미적 복잡성 때문에 이러한 양상이 관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 받지 못했던 학습자 구어에 대한 연구로서 학습자 구어 말뭉치를 활용하여 구어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어휘적 시간 표현 장치의 사용 양상을 구체적인 용례와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문법적 시간 표현 장치가 사용되는 양상뿐만 아니라 이들이 다른 언어 요소와 맺고 있는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형태 중심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age patterns of the past temporal expression of Korean learners, which appear by proficiency level, through learner spoken corpus analysis. This study describes how Korean learners use Korean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s '-ess-' and '-essess-' and sugg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grammatical and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by proficiency level. This study conducted pseudo-longitudinal study analyzing the Korean learner spoken corpus, especially interview and conversational genre, which was collected by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from 2015 to 2018. The corpus used was 273,164 words in total, of which 180,328 words were spoken by the learner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How do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ess-' and '-essess-' and the semantic functions used appear in the learner spoken corpu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First,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s were mostly used for semantic function to indicate the past in the spoken environment, but they were also used for various semantic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s mainly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Next, various semantic functions not included in the basic meanings were mainly used at the beginner level, and its usage reduced as learners' proficiency improved. However, no distinct pattern was observed in which the semantic function of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s '-ess-' and '-essess-' expanded from tense to grammatical aspect or grammatical aspect to tense.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How do the usage patterns of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used with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s '-ess-' and '-essess-' appear in the learner spoken corpu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level.' First, '-ess-' and '-essess-' usually are not used with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but rather used alone. It has been found that five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are connected to one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 which indicates the past, while there are not many cases where two or more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are used together. As learners' proficiency improved, the probability of using grammatical and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together decreased. Based on these observation, this study proves that the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show and alternative character to the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s. Next, '-ess-' and '-essess-' are used in common with all types of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All types of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show different aspects in relation to the semantic function of '-ess-' and '-essess-', especially they show a more pronounced relationship with the semantic function related to time. At last, due to the semantic complexity associated with the reference point, the types of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mainly used at the beginning of learning and the types of lexical temporal expressions mainly used after the improvement of proficiency appear differently. Having used the learner spoken corpus to look at the aspects of learners' usage patterns of grammatical and lexical temporal expression in a spoken environment with specific exampl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a study of learners' spoken language that has not been noticed in prior researches. Futhermore, this study supplements the limitation of form-oriented study by examining not only the usage patterns of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 but also the relationship of grammatical temporal expression '-ess-' and '-essess-' with other language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