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現代日本語の付帯状況と逆接を表す「ながら」に関する研究

        누마타 히로미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603

        本研究は動詞や形容詞、名詞に接続して複文の従属節を構成する形式ナガラの意味用法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よく知られているように、ナガラには付帯状況と逆接の2つの意味用法があるが、先行研究では「ナガラ節のアスペクト的意味」、もしくは「ナガラ節と主節の意味関係」に注目し、2つのナガラが表す意味や用法に関する下位分類が試みられてきた。しかし、現状ではそれぞれの研究で示されたナガラの各類型が相互にどのように関連しているのかが見えてこないという問題がある。そこで、本研究では「ナガラ節のアスペクト的意味」および「ナガラ節と主節の意味関係」のいずれの観点をも反映させた分析を行い、付帯状況と逆接のナガラの意味用法について包括的に説明できる下位分類の提示を試みた。さらに、大規模コーパスを用いて収集した用例を対象に、各類型の分布状況を調査することで、付帯状況および逆接のナガラ文はどのような類型の出現頻度が高いのか、その傾向を明らかにした。 第1章では本研究の目的や方法について述べた。第2章では先行研究の成果および問題の所在について述べたうえで、本研究の意義を示した。 第3章では付帯状況のナガラ節が表わすアスペクト的意味ついて考察し、付帯状況のナガラ節が表す〈継続性〉を<動作継続>、〈心理状態の継続〉、〈結果継続〉、長期的な〈動作継続〉の4つに分類した。第4章では逆接のナガラ節が表すアスペクト的意味について考察し、逆接のナガラ節をアスペクト的な特徴から、〈継続性〉を表すもの、〈動作パーフェクト〉を表すもの、および、ナガラ節が時間のなかでの展開性のない(アスペクト性をもたない)「静態的出来事」を表すものの3つに分類した。 第5章ではまず付帯状況のナガラ文におけるナガラ節と主節の意味関係について考察し、付帯状況のナガラには付加用法、限定用法、期間用法の3つの用法があることを確認した。次いで、上記の3つの用法に該当するナガラ文のナガラ節が表すアスペクト的意味を調査した結果、付帯状況のナガラ文に関しては「付加用法で、かつ、ナガラ節のアスペクト的意味が〈動作継続〉であるもの」「付加用法で、かつ、ナガラ節のアスペクト的意味が〈動作継続〉であるもの」など9つの類型が抽出できることを確認した。 第6章では逆接のナガラ文におけるナガラ節と主節の意味関係について考察し、逆接のナガラには「不相応さ」を表す用法と「消極的容認」を表す用法があることを確認した。次いで、上記の2つの用法に該当するナガラ文のナガラ節が表すアスペクト的意味を調査した結果、逆接のナガラ文に関しては「不相応さを表す用法で、かつ、ナガラ節のアスペクト的意味が〈動作パーフェクト〉であるもの」「消極的容認を表す用法で、かつ、ナガラ節のアスペクト的意味が〈動作パーフェクト〉であるもの」など5つの類型が抽出できることを確認した。また、 「不相応さ」を表す用法について、ナガラ節と主節が表す事柄を属性、行動、言動、心理、状況に分類することで、ナガラ節と主節の対立の諸相を類型化して提示できるようにした。 第7章では付帯状況のナガラと逆接のナガラの連続性について考察した。そのうえで、付帯状況から逆接に至るナガラの「意味の拡張」には同一時点に成立・展開する2つの事態を描述する付帯状況のナガラ文から、表現主体の認識により2つの事態の両立は不相応であると捉えられている文を介して、2つの事態の両立は常識的な観点から不相応であると判断される逆接のナガラ文に至る連続性が見いだせるとの見解を提示した。 第8章では本研究の研究結果を総括し、今後の課題について述べた。 以上の考察および調査を通じて、付帯状況および逆接のナガラ文について先行研究では示されることがなかった「ナガラ節のアスペクト的意味」と「ナガラ節と主節の意味関係」の二つの視点を反映させた包括的な類型を提示することができた。また、量的な分析を通じて、どの類型の出現頻度が高いのかを明確に示すことができた。 본 연구는 동사나 형용사, 명사에 접속하여 복문의 종속절을 구성하는 형식 ナガラ의 의미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ナガラ에는 부대상황과 역접의 두 가지 의미 용법이 있는데 선행연구에서는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 혹은 ‘ナガラ절과 주절의 의미관계’에 주목하여 두 가지의 ナガラ가 나타내는 의미나 용법에 관한 하위분류가 시도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각각의 연구에서 제시된 ナガラ의 유형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 및 ‘ナガラ절과 주절의 의미관계’의 두 가지 관점을 반영한 분석을 수행하여 부대상황과 역접의 ナガラ절의 의미용법에 대해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하위분류 제시를 시도하였다. 아울러 대규모 코퍼스를 이용하여 수집한 용례를 대상으로 각 유형의 분포상황을 조사함으로써 부대상황 및 역접의 ナガラ문은 어떤 유형의 출현빈도가 높은지 그 경향을 밝혔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의 성과 및 문제의 소재,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부대상황의 ナガラ절이 나타내는 아스펙트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부대상황의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인 <계속성>을 <동작계속>, <내적상태의 계속>, <결과계속>, 장기적인 <동작계속>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4장에서는 역접의 ナガラ절이 나타내는 아스펙트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역접의 ナガラ절을 아스펙트적인 특징에서 <계속성>을 나타내는 것, <동작 퍼펙트>를 나타내는 것, ナガラ절이 시간 속에서의 전개성이 없는(아스펙트성을 갖지 않는) ‘정태적 사상’을 나타내는 것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제5장에서는 먼저 부대상황ナガラ문에서ナガラ절과주절의 의미관계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부대상황인 ナガラ에는 부가용법, 한정용법, 기간용법의 세 가지 용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상기 세 가지 용법에 해당하는 ナガラ문의 ナガラ절이 나타내는 아스펙트적 의미를 조사한 결과 부대상황의 ナガラ문에 관해서는 ‘부가용법이면서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가 <동작계속>인 것’, ‘부가용법이면서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가 <동작계속>인 것’ 등 아홉 가지 유형을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6장에서는 역접의 ナガラ문에 있어서 ナガラ절과 주절의 의미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역접의 ナガラ에는 ‘불상응함을 나타내는 용법’과 ‘소극적 용인을 나타내는 용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상기 두 가지 용법에 해당하는 ナガラ문의 ナガラ절이 나타내는 아스펙트적 의미를 조사한 결과 역접의 ナガラ문에 관해서는 ‘불상응함을 나타내는 용법이면서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가 <동작 퍼펙트>인 것’, ‘소극적 용인을 나타내는 용법이면서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가 <동작 퍼펙트>인 것’ 등 다섯 가지 유형을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상응함을 나타내는 용법’에 대해 ナガラ절과 주절이 나타내는 사항을 속성, 행동, 언행, 심리, 상황으로 분류함으로써 ナガラ절과 주절이 대립되는 현상을 유형화하여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7장에서는 부대상황의 ナガラ와 역접의 ナガラ의 연속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부대상황에서 역접에 이르는 ナガラ의 의미의 확장에는 두 가지 사태의 양립이 표현 주체의 인식에 의해 부적당하다고 여겨지는 문을 통해 상식적 관점에서 부적당하다고 판단되는 역접문에 이르는 연속성을 찾을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제8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상의 고찰 및 조사를 통해 부대상황 및 역접의 ナガラ문에 대해 선행연구에서는 제시된 바가 없었던 ‘ナガラ절의 아스펙트적 의미’와 ‘ナガラ절과 주절의 의미관계’의 두 관점을 반영한 포괄적인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양적인 분석을 통해 어떤 유형의 출현빈도가 높은지에 대해 명확히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siders the semantic usages of the nagara form, which connects to verbs, adjectives, or nouns to compose dependent clauses in complex sentences. As is well known, nagara has two semantic usages that indicate attendant circumstances and contradictory conjunction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aspectual meanings of nagara clauses and the semantic relationships of the nagara clause and the main clause, attempting subcategorization of the two meanings and usages of nagara. However, the problem as of now is the lack of clarity on how the various nagara types shown in these studies relate to one another. Therefore, this study has conducted analyses reflecting both the aforementioned viewpoints to present a comprehensively explanatory subcategorization of the semantic usages of nagara with regard to attendant circumstances and contradictory conjunctions. Further, by surveying the distribution of each type using examples gathered from a large-scale corpus, the paper clarifies the frequency trends of each type of nagara sentence (attendant circumstances and contradictory clauses). Chapter 1 describes the purposes and methodology of this study, and chapter 2 presents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hapter 3 considers the aspectual meanings of the nagara clause denoting attendant circumstances and classifies them into four categories. Chapter 4 considers the aspectual meanings of the nagara clause representing contradictory conjunctions and classifies contradictory conjunctions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aspectual characteristics. Chapter 5, by considering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nagara clause and the main clause in the nagara sentences representing attendant circumstances, identifies three usages in the nagara clause with regard to attendant circumstances: supplemental usage, limited usage, and durational usage. And by studying the aspectual meanings of the nagara clause in the nagara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three usages, it was found that nine types can be identified with regard to the nagara sentences of attendant circumstances. Chapter 6 considers the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nagara clause and the main clause in the nagara sentences representing contradictory conjunctions and finds that there are usages representing either unsuitability or passive acceptance in the nagara sentences representing contradictory conjunctions. By surveying the aspectual meanings of the nagara clause in the nagara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above two usages, it was found that five types can be identified in the nagara sentences indicating contradictory conjunctions. By classifying the meanings of the nagara clause and the main clause, with regard to the usages representing unsuitability, into property, behavior, words & action, and situation, this study categorizes and presents the phenomena in which the nagara clause and the main clause confront each other. Chapter 7 considers the continuity of the nagara clauses representing attendant circumstances and contradictory conjunctions. Chapter 8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puts forward suggestions. Based on the above considerations and surveys, this study presents the comprehensive types reflecting the aspectual meanings of the nagara clause and the semantic relationships of the nagara clause and the main clause which preceding studies didn’t explore with regard to the nagara sentences representing attendant circumstances and contradictory conjunctions. In addition, this study clearly presents the frequency trends of each type of nagara sentence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 한국어 학습자의 {-었-} 사용 양상 연구

        장기남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601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학습자가 한국어의 시간 표현(Time Talk), 즉 시제(Tense)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그동안 제2 언어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분야에서는 제2 언어 학습자가 시간 표현(과거나 미래 표현)을 어떻게 습득(Acquisition)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지속하여 왔다. ‘시상가설’(Aspect Hypothesis)은 그 대표적인 사례로서 많은 언어에서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져 범언어적인 현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맥을 같이 하는 시도로서, 한국어를 제2 언어로 학습하는 경우에도 ‘시상가설(AH)’이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여, KSL 학습자의 한국어 시간 표현 사용 양상을 다양하게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작성한 문어텍스트(작문)를 자료로 하였으며, 과거 표지 {-었-}이 출현해야 할 모든 용례를 추출하여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 조사하고, 이러한 양상이 학습자의 수준, 시간부사(temporal adverbial)의 출현 여부, 용언의 의미 특성, 통사적 위치(종결형과 연결형) 등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시간 표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다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제(tense)를 ‘직시적 범주(deictic category)로서 사건(event), 과정(process), 상황(state)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내는 문법 범주’로 정의하였으며,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현재:미래’의 삼분 대립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한국어에서는 ‘과거:비과거’의 이분 대립으로 보이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시간부사어와 시제 간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이어서 학습자가 시상 형태소를 습득할 때 용언의 의미 특성이 습득 양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시상가설을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종결형에서 과거 표지 {-었-}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논의하였다. 정확도, 결합 용언의 다양성, 시간부사어의 출현 여부에 따른 차이, 그리고 용언의 의미적 특성에 따른 차이 등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종결형에서 과거시제 표지 {-었-}의 사용 양상을 조사한 결과 상위 그룹은 89.75%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하위 그룹은 30.61%의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상위 그룹은 238가지 동사(type)에 {-었-}을 총 710회(token) 사용하여 하나의 동사에 대해 평균 2.98회 사용한 반면, 하위 그룹은 83가지 동사 종류(type)에 {-었-}을 총 259회(token) 사용하여 하나의 동사에 대해 평균 3.12회 사용함으로써, 상위 그룹이 type 및 token 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type 당 token 수는 적게 나와, 하위 그룹에 비해 다양한 동사에 {-었-}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위 그룹의 경우 출현 빈도가 높은 80개 동사의 누적 빈도가 74.08%에 그쳤지만 하위 그룹의 경우에는 98.84%에 달했다는 사실, 그리고 1회만 출현한 동사의 수가 상위 그룹은 전체 동사의 55.4%에 이른 반면, 하위 그룹은 40.9%에 그친 점에서도 뒷받침된다. (2) 시간부사어(temporal adverbial)의 출현은 {-었-} 사용의 정확도에 다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간부사어가 있을 때의 정확도는 66.37%이며, 출현하지 않았을 때는 60.89%로서, 시간부사어의 출현이 {-었-} 사용의 정확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수준별로는 상위 그룹의 경우 시간부사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정확도 차이가 2.95%, 하위 그룹의 경우에는 시간부사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정확도 차이가 3%를 보여,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에서는 차이가 적었으나, 중위 그룹에서 시간부사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정확도 차이가 8.63%를 보였다. 이는 시간부사어(temporal adverbial)의 출현이 {-었-}의 정확도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었-}의 사용 수준이 높아지는 중간 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동사의 의미 특성은 {-었-}의 사용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어 학습자들의 경우, ‘완성동사(accomplishment)>성취동사(achievement)>행위동사(activities)>심리동사(psych verb)>상태동사(states)’의 순서로 {-었-} 사용의 정확도가 높았다. 완성동사와 성취동사의 경우는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의 정확도 차이가 42% 정도이며, 행위동사 및 상태동사의 경우는 60% 이상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행위동사와 상태동사일 때 {-었-}이 더 늦게 습득됨을 시사하며, 한국어 시제 표지 {-었-} 습득의 경우에도 시상가설(AH)과 유사한 양상이 나타남을 말해 준다. 다만, ‘시상가설(AH)’에서는 과거시제 습득이 ‘성취동사’로부터 시작하여 점차 ‘상태동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완성동사와 성취동사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심리동사는 상태동사보다 정확도가 높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여 준다. 4장에서는 연결형(접속문)에서의 과거시제 표지 {-었-}의 사용 양상을 다루었다. 연결형에서는 {-었-}의 출현이 불가능한 경우와, 출현 여부가 의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 출현 여부에 따라 의미가 다른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는 각각의 경우 {-었-}의 출현 Ph. D. Thesis A Study on the KSL Learners’ Use of Korean Past Tense Marker ‘-었/əss/-’ Gi-nam Ja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Dong-ju Choi) Abstract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learners of KS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use the time-based expression (“Time Talk” or Tense). Most studies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rea have focused on how second language learners come to recognize time-based expressions (or tense). Aspect hypothesis (hereafter “AH”)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representative case in many languages to be understood as a cross linguistic phenomenon. The concept of this study is similar with AH, and focuses on the issues involved if AH is adopted by learners of KSL, and how they use time-based Korean expressions in multiple points of view. The data of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articles written by KSL learners and all data were examined to assure proper application.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examined cases were differently adopted according to learners’ levels,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meaning or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and syntax structure (conclusive type and connective type).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oretical discussion on temporal expression was dealt with in Chapter Two. This study specifically defined the term of tense as a grammatical category that shows a temporal position of event, process, and state as a role of deictic category. Although trichotomous antagonism of past, present, and future tenses was shown in some cases, it was regarded as a dichotomous antagonism of past, and ‘non-past’ from the reference of earlier research. In addition, this study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adverb and tense, introducing AH, in which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affects learners’ acquisition in learning Aspect (past tense expression of ‘-었/əss/-’). Chapter Three dealt with the issue of how learners of KSL use the past tense expression ‘-었/əss/-’. Accuracy, diversity of connective predicate, the different uses by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and the difference of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were addressed in this chapter.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aspect of past tense expression ‘-었/əss/-’ in the conclusive type, the advanced-level group shows an accuracy of 89.75% while the lower-level group shows an accuracy of 30.61%. Advanced learners used ‘-었/əss/-’ 710 times with 238 different verbs (which means 2.98 times with one verb on average), while lower-level learners used ‘-었/əss/-’ 259 times with 83 different verbs (which means 3.12 times of use with one verb on average). Advanced learners used ‘-었/əss/-’ in more verbs, more times, but less times per one verb, indicating they use ‘-었/əss/-’ in a greater variety of verbs. These results can be supported by the survey showing that cumulative frequency on 80 high frequency verbs was 74.08% in advanced learners, and 98.84% in lower-level learners. The proportion of verbs used once was 55.4% in advanced learners compared to 40.9% in lower-level learners. (2)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seemed influential in accuracy of using ‘-었/əss/-’. The accuracy rate was 66.37% with temporal adverbial and 60.89% without temporal adverbial, which shows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has a positive influence in the accurate use of ‘-었/əss/-’. Advanced learners and low-level learners have an accuracy gap of 2.95% and 3% respectively, while the intermediate level has an 8.63% gap.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ppearance of temporal adverbial is not influential to the accuracy of ‘-었/əss/-’ overall, but it can be influential to intermediate learners whose language pro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beginners. (3)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verbs can affect the use of ‘-었/əss/-’. The learners of KSL showed high accuracy in using ‘-었/əss/-’ in order of accomplishment verbs, achievement verbs, activity verbs, psych verbs and state verbs. There was a 42% gap in accuracy between the advanced group and the beginner group in the case of accomplishment verbs and achievement verbs, and there was a gap of over 60% in the case of activity verbs and state verbs. This result shows that learners may acquire the proper use of ‘-었/əss/-’ later with activity verbs and state verbs. The acquisition of Korean temporal expression of ‘-었/əss/-’ has similar aspects with AH. AH predicted that the acquisition of past tense can be acquired in order of accomplishment verbs and state verbs,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similar accomplishment degree with those two verbs. Additionally, the learners showed higher accuracy in using psych verbs than with state verbs. Chapter Four dealt with the aspect of how the past tense expression of ‘-었/əss/-’ was used in a conjunctive sentence. There were three kinds of case studies because the appearance of ‘-었/əss/-’ has varied meanings. The ‘first case’, when the use of ‘-었/əss/-’ is not allowed; the ‘second case’, when there is no difference of meaning regardless of ‘-었/əss/-’; and the ‘last case’, when there is a difference of meaning with or without ‘-었/əss/-’. (1) In the ‘first case’, there were 38 uses of ‘-었/əss/-’ even though the use of ‘-었/əss/-’ was ungrammatical. These errors were caused by the failure to acquire the restrictions on the use of ‘-었/əss/-’ in the conjunctive sentence. However, it is a different case without ‘-었/əss/-’ in the past tense. In the ‘second case’, it is difficult to notice the difference, for the case is always correct regardless of ‘-었/əss/-’. Acc

      • 형용사 명령문의 서술어 특성과 화행 기능 연구

        부춘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87

        본고는 명령문 형용사의 특성과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2장에서 명령문 형용사가 가지는 특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명령문 형용사의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명령문 형용사의 조어론적 특성과 결합 분포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큰 차이가 없으나 세부적인 측면에서는 몇 가지 차이가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결합 분포의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와 일반 형용사 그리고 명령문 구성에 쓰인 일반 동사의 경우를 상호 비교하였는데 이를 통해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 분포는 일반 형용사보다는 오히려 일반 동사와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사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가, 보족어, 기본 문형, 그리고 부정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령문 형용사는 통사적 측면에서 일반 형용사와 비슷한 모습도 있지만 대부분 동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의미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주체 의도], [+동작성]/[-상태성], [+긍정]의 특성을 주목하였다. 이로 해서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달리 동사와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을 분석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실제 맥락 안에서 다양한 화행을 수행한다는 점을 밝히기 위하여 각 화행의 적절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 동사 명령문처럼 형용사 명령문 역시 다양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구조와 수행하는 화행의 다양성을 규명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수행하는 화행을 명령 화행, 요청 화행, 충고 화행, 경고 화행, 허락 화행, 금지 화행, 기원 화행의 일곱 가지로 구분하고 이들이 어떤 상황에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면서' 구문 연구 : 관점상(viewpoint aspect) 기능을 중심으로

        조아남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71

        본 연구는 시간 관계 연결어미에 내재해 있는 관점상의 기능에 주목하여, 사태의 상적 특성이 동시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인 '-면서'의 의미 기능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밝혀 상적 관점에서 '-면서' 구문이 갖는 통사·의미적 특성을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시간 관계 연결어미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상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1장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면서' 연구의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고 기존 논의에서 존재하는 한계점을 제시하였다.2장과 3장은 이 연구의 진행에 대해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2장에서는 문장의 상적 의미에 기여하는 두 요소인 상황상과 관점상의 개념 및 분류 체계에 대해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상 개념과 '-면서' 구문이 갖고 있는 의미적인 상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4장은 사태의 상적 특성이 '-면서'의 의미 기능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보이기 위해, 사태의 상황상의 유형에 따라 '-면서' 구문을 '상태-상태', '상태-사건', '사건-사건' 류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시키고 유형별로 '-면서' 구문이 갖는 통사·의미적 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5장에서는 4장에서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면서'의 의미 기능 및 전체 접속문에서 보이는 통사 제약 현상에 대해 상적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우선 '-면서'가 문장에서 갖는 의미 해석은 '상태-상태', '상태-사건', '사건-사건' 이 세 가지 유형에서 각각 '중첩 나열', '대립', '동시'로 실현됨을 보였다. 그리고 '사건-사건' 류 구문에서 '-면서'가 '동시'로 해석되는 것은 사태의 상적 특성에 따라 달리 실현되는 '-면서'의 관점상의 기능에 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면서' 구문에서 보이는 통사적 제약 현상은 역시 사태의 상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었다. 주어 제약 현상은 달성 상황상이 후행하는 경우나 순간적인 두 사태가 '-면서'로 이어지는 유형의 접속문에서, 서법에 따른 제약은 선·후행절의 사태가 모두 지속적인 것으로 해석되는 유형의 접속문에서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제에 따른 제약은 '상태-사건' 류 '-면서' 구문에만 없음을 알 수 있었다.6장에서는 '-면서' 외에 전형적인 시간 관계 연결어미로 여겨진 '-고서', '-자마자', '-다가'를 대상으로 이들 연결어미에서 보이는 상에 따른 제약을 논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결어미가 가지는 시간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과 관점상의 기능 간에 맺고 있는 관련성을 밝히고, 시간 관계 연결어미에 관한 연구에서 상적 관점 도입의 필요성을 보였다.마지막 7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