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Normal-family-ideology) 비판 : 구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최일성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3293

        페미니즘에 제기되는 근본적인 질문은 그것이 가부장제, 즉 억압구조를 변화시키는데 얼마나 적합한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역사의 탈가부장적인 미래를 고대할 때 우리는 현재의 페미니스트들이 전적으로 적합한 모델들만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가 여성과 그들의 문제에 관심을 가질 때 무엇을 알고자 함인가 우리가 여성과 그들의 문제에 대해서 알게 될 때 무엇이 변하는가. 이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한결같은 대답은 여성들의 억압상태를 알고자 함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여성들의 해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단정은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 국내의 페미니스트들도 많은 부분에서 유용한 정보를 우리에게 제공해 주었다. 현대 한국인의 의식을 강하게 규정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유교와 관련하여, 그것의 여성 억압성을 들춰내고 비판할 수 있었던 것도 사실은 그들의 업적이었다. 그러나 그들만이 탈가부장적인 미래 비젼을 제시할 수 있다는 생각은 지양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페미니스트들이 전제하는 '주체'와 '객체'의 문제를 재고하도록 요청한다. 그들이 해방이라고 부르짖을 때 그 주체는 여성이었고, 반대로 그 객체는 남성이었다. 이러한 논리는 '남성-지배', '여성-억압'이라는 남녀 이분 대립적 사고로 표면화된다. 그러나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도 얼마든지 피지배자가 될 수 있으며, 여성도 얼마든지 지배자가 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여성과 그들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은 가부장제에 의해 억압된 인간에 대한 고민인 것이며, 우리가 여성과 그들의 문제에 대해서 알게 될 때 변화시켜야 하는 것은 '가부장제' 그 자체이다. 이러한 논리는 '구조-가부장제'와 '주체의 행위'라는 대립들을 전제로 한다. '구조'와 '주체의 행위' 문제에 관심을 가질 때 우리는 이데올로기의 문제로 나아가야 한다. 왜냐하면 이데올로기의 문제는 바로 이런 구조와 행위가 교차하는 핵심지점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 주채들의 갈등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를 이야기하지 않고 우리는 구조를 이야기할 수 없다. 이러한 이론적 전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교적 가부장제'를 연구주제로 삼고 있는 국내 페미니스트들의 연구성과들을 일별하며, 그들의 연구가 드러낼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적하며, '유교적 가부장제'를 보다 명확히 분석해 낼 수 있는 이론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그러한 작업은, 국내의 페미니스트들이 분석해낸 여성 억압적 기제들을 이데올로기라는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유교 사상이 내포하고 있는 여성 억압적 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 졌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교적 가부장제의 여성 억압적 기제는 이른바 유교적 '정상가족 이데올로기'(normal-family-ideology)라고 칭할 수 있음을 밝혔다. The fundamental question asked about feminism, is how effective it is in changing the oppression structure of the patriarchal system. We have to keep in mind that when we look to escape from the patriarchal system, the feminists don't always provide the appropriate answers. What do we want to know when facing the problems of women? What is changed when we learn about the women and their problems? The same answers given by the feminists are, to know the oppression state of the women and thus liberating them. But such assumption must be taken carefully. The domestic feminists have also provided us with useful information. It was them that were able to criticize the oppression of confucianism that was the prevailing cultural tradition of Korea. But the thinking that they are the only ones with the vision to escape the patriarchal system must be avoided. In this research I ask the feminists to revise their theory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their theory men were always the object and the women the subject. This kind of theory concludes in dichotomy that men are the oppressors and the women are the oppressed. But in this patriarchal society men can be the oppressed, and women can be the oppressors. In that regard the reason we are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women is, because it is the problem of the entire human race that is oppressed by the patriarchal system. The more we find out about them, we know that we need to change is the system itself. This argument assumes the conflict between the 'structure-patriarchal system' and the 'acts of the subject'. When we are interested in the 'structure' and the 'act of the subject' we should proceed to the problem of the ideology. Because the problem of the ideology is placed between the cross sec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act. We can not discuss the structure without discussing the ideology which is the expression of conflict between the subjects. Under these assumptions this research is focusing on the achievements of the domestic feminists that are taking 'confucianist patriarchal system' as the subject, and discussing the limits of their achievements and come up with the logic that can better define the 'confucianist patriarchal system'. Specificly this process involves reinterpreting the women oppressing theories that the feminists have come up with and analyzing the oppressing ideologies in confucianism. By these standard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oppressing theory in the confucianism patriarchal system can be called the normal-family-id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