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pects of Korean morphology

        Kim,Young Seok University of Texas 1985 해외박사

        RANK : 2591

        본 논문에서는 국어의 제 현상에 비추어 최근의 형태이론을 살펴보았다. 우선 굴절 (inflection)과 파생(derivation)은 둘다 어휘부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자는 여 러학자들의 견해를 재고찰하면서 이 두가지 과정사이에 많은 실질적인 차이가 있음에 주목한다. 국어는 굴절어미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그것으로 문장내 어떠한 문법기능도 띌 수가 있다. 그렇지만 굴절이 의무적이기 때문에 국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동사어간 만으로는 단어가 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존칭(honorific)이나 겸양(humble) 어미들은 결코 맨 오른쪽 위치에 나타나지 못한다. 그러므로 Williams(1981)가 말한 "통사적 관련성(syntactic relevance)의 개념은 국어에서의 존칭화를 설명하지 못한다. 또한 국어의 동사체계는 Aronoff(1976)의 단어 어기 형태론(word-based morphology)을 가지 고는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없는 것임이 드러났다. 전통적인 "자리분류"(Position class)의 개념은, selkirk(1982)가 제안하듯, 굴절어미의 계층순서에 의하기 보다는 (이 분지가 아닌) 편평한(flat)구조로써 포착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접사첨가(affixa tion)를 다루기 위한 "층위배열"(level-ordering)이론, 즉 어휘 형태론(lexical morph ology)은 국어의 경우에 잘 듣지 않으며, 국어에서 합성(Compounding)은 접사첨가에 선행하기도 하고 후행하기도 하여 결국 합성어와 접사가 뒤섞기는 결과를 낳게 됨을 보였다. 끝으로 형태소(morphemes)는 분절음보다 적은 자질들(features)로 구성될 수 도 있다는 견해를 받아들여, McCarthy(1981,1983)의 운율형태론(prosodic morphology) 의 틀속에서 국어의 모음조화(vowel harmony)와 자음강화(consonant intensification) 를 심도있게 다루었다. 그리고 나서 국어와 여러 다른 언어의 중첩사상(reduplicative phenomena)을 토대로 Marantz(1982)의 이론을 근본적으로 수정하는 새로운 중첩이론의 시안을 내놓는다.

      • 형용사 명령문의 서술어 특성과 화행 기능 연구

        부춘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87

        본고는 명령문 형용사의 특성과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2장에서 명령문 형용사가 가지는 특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명령문 형용사의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명령문 형용사의 조어론적 특성과 결합 분포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큰 차이가 없으나 세부적인 측면에서는 몇 가지 차이가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결합 분포의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와 일반 형용사 그리고 명령문 구성에 쓰인 일반 동사의 경우를 상호 비교하였는데 이를 통해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 분포는 일반 형용사보다는 오히려 일반 동사와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사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가, 보족어, 기본 문형, 그리고 부정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령문 형용사는 통사적 측면에서 일반 형용사와 비슷한 모습도 있지만 대부분 동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의미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주체 의도], [+동작성]/[-상태성], [+긍정]의 특성을 주목하였다. 이로 해서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달리 동사와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을 분석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실제 맥락 안에서 다양한 화행을 수행한다는 점을 밝히기 위하여 각 화행의 적절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 동사 명령문처럼 형용사 명령문 역시 다양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구조와 수행하는 화행의 다양성을 규명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수행하는 화행을 명령 화행, 요청 화행, 충고 화행, 경고 화행, 허락 화행, 금지 화행, 기원 화행의 일곱 가지로 구분하고 이들이 어떤 상황에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베트남 문학의 한국어 번역전략 연구 : “응우옌녓아인”의 수필을 중심으로

        즈엉 응옥 프엉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72

        Since the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established between South Korea and Vietnam, Korea has became Vietnam’s forth-largest trading partner with two-way trade totaling about 68 billion dollars in 2018. In addition to close political and economic associations, two countries has continued to expand and develop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 through non-governmental exchanges such as studying abroad, migration for labor and marriage, the Korean Wave(K-pop, K-Drama, K-Fashion), and etc.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set conditions to enhance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interest from people in both countrie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keep constant improvement of governmental and private ties is to exchange literary works which are so-called ‘culture’ including language, ideology, tradition and custom. However, it is very limited to find bilateral translations of literature and most of translators might even feel difficult to translate due to various grammatical differences, for instance Vietnamese is an isolating language, whereas Kore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us, this paper will be focused on studying and suggesting the strategy to deal with these issues. The study will draw translation strategies with contrastive analysis on grammatic differences between Vietnamese and Korean through translations of five greatest works of Nguyen Nhat Anh who is a most famous writer of modern literature in Vietnam. It particularly concentrate on contrastive analysis in the aspects of morphology and syntax of both languages, and then aims to suggest universal translation strategies which are available to be utilized by more people.

      • 한국어교육에서의 시간 표현 연구 : 용언과 결합하는 시간 표현의 오류분석을 중심으로

        장채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69

        이 연구는 시간 표현 오류를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시간 표현의 문법 내용에 대한 쟁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의 시간 표현은 용언과 결합하는 형태로 제한한다. 본고는 두 가지 연구 문제에서 출발한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한국어 교육의 학습 내용으로 제시되는 시간 표현을 찾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이며, 이와 관련하여 2장과 3장에서 논의되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학습자들의 중간 언어에 나타난 시간 표현 오류 양상이 표면적인 측면과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문제이며, 이와 관련하여 4장과 5장에서 논의되었다. 2장에서는 시간 표현의 분류를 위한 이론적 논의를 위해 국어학 및 언어학에서 논의된 시제와 상 이론을 한국어교육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법 사전에서의 여러 시간 표현들을 분류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상의 하위 범주에 해당하는 시간 표현을 문법 사전에서 추출하여 기술하였다. 추출된 시간 표현들은 5장의 오류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한편, 4장과 5장에서는 오류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5장에서 본격적으로 오류분석을 진행하기에 앞서, 4장에서 시간 표현에 관계된 오류만을 따로 살피기 위한 오류분석의 참조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은 기존의 논의를 반영하되, 시간 표현의 국어학적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세부적인 면들을 고려한 것이다. 4장의 ‘시간 표현 오류분석의 참조 틀’은 다른 오류분석 연구에서 제시되지 않은 것으로, 5장에서의 학습자의 시간 표현 오류분석을 좀 더 심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발판이 되었다. 5장의 오류분석은 오류 유형별 오류분석 내용과 시간 표현별 의미에 따른 오류분석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오류 유형별 오류분석에서는 대치 오류 유형이 가장 빈번히 나타났는데, 이는 학습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부분은 하나의 시간 표현에 내재된 다양한 의미와 쓰임을 인지시키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는 다음의 시간 표현별 의미에 따른 오류분석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 타당성을 제공해 준다. 즉, 하나의 시간 표현에 여러 개의 의미와 쓰임이 있는데, 이러한 다의성에 바탕을 두고 오류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시간 표현별 의미에 따른 오류분석에서는 ‘-?-’, ‘-었-’, ‘-고 있-’, ‘-어 있-’, ‘-게 되다’, ‘-어지다’, ‘-겠-’, ‘-ㄹ 것이다’, ‘-ㄹ 거예요’, ‘-ㄹ게요’와 같은 시간 표현의 다의성을 고려하여 오류의 원인을 밝혔다. 특히 ‘-?-’과 ‘-었-’은 시제와 상에 걸쳐 다양한 의미를 가지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었다. 위와 같이 실시된 오류분석 결과의 공통적인 함의를 간추려 보면, 글의 종류 및 담화나 화행 기능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특정 시간 표현의 용법을 가르쳐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과 시간 표현과 결합되는 연결어미나 동사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양상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는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는 학습자의 오류를 보면, 모국어에서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목표어인 한국어의 체계 내에서 혼란을 겪는 경향이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여러 시간 표현들을 체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게 도와주는 학습 내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