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EEDOM AND THE STATE : REDEFINING THE GENERAL MODEL OF FREEDOM

        이재훈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2003 해외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두 가지 종류의 자유, 즉 경제적 자유와 정치적 자유의 필수적인 결합의 긴요성에 대한 이해를 재정립하는데 주 목적이 두어졌다. 자유주의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개발 도상국에서 이 두 종류의 자유의 일관성에 대한 필요는 그동안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 논문은 강한 국가는 자유를 유지하고 영속하는데 필요한 조건임을 보여주며, 불간섭 방임주의 (Laissez faire)에 아직도 젖어 있는 자유주의 학자들의 믿음을 반박하고 있다. von Hayek, Freedman등으로 이어지는 자유주의 학파는 나날이 점증하고 있는 사회 각 부문의 대한 국가의 개입에 미심쩍은 눈길을 보내왔다. 그들의 주장은 점증하는 국가의 권력은 자유의감소로 이어진다는 논리에 기초해 있다. 그렇지만, 전통적인 자유주의학파는 불간섭 방임주의의 종언으로 논리의 궁지에 처해 있는 것이 또한 사실이다. 더욱이, 오늘날의 자유와 인권은 폭넓게 해석되고 있으며, 이는 점증하는 국가권력의 경제부분에 대한 개입을 사회 복지라는 개념으로 정당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 논문은 두 종류의 자유의 일관성과 국가권력의 결합을 네 가지 가설 위에서 실험하고 있다. 약 70개국에 달하는 데이터를 통계 분석한 결과, 전기하는 두 가지 자유의 균형과 조화가 개발도상국에서조차 바람직한 것임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두 자유의 균형과 강한 국가는 국가의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결과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의 이같은 결과는 전통적인 자유주의학파들에게 강한 국가라는 것이 결코 자유에 대한 방해요소가 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신시키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의 정책입안자들이 따르기 쉬운 독재적이고 권위주의적인 개발 모델이 아닌, 균형이 이루어진 자유와 함께 강한 국가 권력의 결합이 더 높은 경제성장을 이루는 길임을 보여준다. 이것이 이 논문의 가장 중요한 발견이며, 사회에 대해 많은 책임을 지고 있는 21세기의 개발도상국 정부에 자유와 국가의 힘에 대한 균형 있는 조화가 국가 경제 발전의 조건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define a general understanding of freedom.particularly the coherence of political freedom and economic freedom. The necessity of consistency of the two kinds of freedoms in developing countries has long been in a state of controversy even in the liberal circle. This dissertation demonstrates that strong state power is necessary for the continuity and maintenance of freedom. This may contradict most liberals who yet embrace the notion of freedom along the line of the laissez faire tradition. Indeed, liberals have long been suspicious about a growing level of state intervention in all spheres of society. Their fears about state power stand on the logic that an increasing magnitude of state power is directly reflected as a decreasing level of freedom. The dilemma of classical liberals, however, is that laissez faire is already dead. Furthermore, the notion of freedom and human rights is now widely interpreted, which legitimates augmented state intervention in the economic sphere in the name of social welfare. Four hypotheses are presented to test for the relevancy of the coherence of the two freedoms and state power in reality. The results drawn from statistical analyses on the data for some 70 developing countries evidence that the balance between political freedom and economic freedom.that is, the consistency of the level of democracy and free market economy.is desirable even for developing countries. But, they also demonstrate the positive impact of the interplay of the balance of freedom and strong state power on the level of national development. The findings would assure classical liberals that state is not a hindrance to freedom. They would also enhance the faith of policy-makers of the developing world, who are often tempted to follow the authoritarian developmental model, that the coherence of economic freedom and political freedom in association with strong state power is an effective way to attain a higher level of national development. This is perhaps the most important promise that the findings in this dissertation can offer to the governments in the developing world that stand on the dawn of the 21st century with extended responsibilities yet loaded on their shoulders.

      • '自由'와 敎育的 意味 考察

        윤병훈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5

        대부분의 대안학교의 기본적 입장은 기존 학교교육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시도하는 이들은 근본적인 문제가 학습자를 통제하고 구속해온 교육환경에 있다고 보고 이러한 외적 구속과 통제를 제거한다면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자율적 인간을 기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이러한 주장이 과연 정당하게 수용될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본 논문은 '자유'의 개념 분석을 통하여 자유의 의미를 검토하고, 교육의 목적인 자율성의 개념과 대비를 통하여 자유의 교육적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유의 개념을 검토하기 위해 벌린(I .Beriln)의 구분을 바탕으로 자유를 두 가지의 측면, 소극적인 측면과 적극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밀(J. S. Mill)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 자유의 소극적 측면은 외적 통제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개인이 원하는 바를 허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구성원인 개개인은 본질적으로 사회로부터 독립적일 수 없기 때문에 외적 통제의 배제만으로 자유를 이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한계는 자유의 또 다른 측면, 즉 적극적인 자유의 측면에 대한 고찰을 요구했다. 벌린과 베렌손(F. M. Berenson)의 논의를 중심으로 검토된 자유의 적극적인 측면은 외적 구속이나 통제의 배제를 넘어서 개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삶의 목적을 설정하고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교육적 맥락에서의 자유는 이제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자율적 판단능력, 자율성과 동일시 될 수 있겠다. 자유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하여 디어든(R. F. Dearden)의 자율성의 개념에 관한 논의가 검토되었다. 그에 의하면 자율성이란 스스로 사고하고 행위하는 능력이지만 일정한 기준에 적합하게 선택하고 결정하는 지적인 사고와 행위가 전제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율성 신장을 위하여서는 외적 제약으로부터의 자유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퀸(V. Quinn)의 논의에 대해 자율성은 기본적으로 지적인 능력을 바탕으로 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외적 통제와 구속의 배제만으로 형성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디어든의 논의가 타당한 것이라면, 교육적 의미에서 강조되어져야 할 자유는 적극적인 자유의 측면이며 소극적인 측면의 자유는 이를 위한 수단이 됨이 논의되었다. 교육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자유는 오직 지적인 사고와 판단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자유임이 듀이(J. Dewey)와 베렌손의 견해를 검토함에 의해 주장되었다. 자유는 교육적 실천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질 때 외적인 통제와 구속의 不在라기 보다는 세계에 대한 이해로서 일정한 행위의 방식이 이해되어져야 한다는 점도 주장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외적 통제나 구속의 배제라는 측면의 자유를 무조건적으로 강조하는 논의는 타당성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습자 개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보다 더 적극적인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교사에게는 이성적 사고와 실제적인 삶의 체험을 확대시켜 줌으로써 품어 안은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생의 목적을 설정하고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이 형성되도록 도와야만 할 책임이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freedom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ways of education for the educational goal to raise a autonomous and intrinsic human being. Most of alternative schools have started from the needs to solve the problems of conservative schooling. They have commonly believed that traditional schooling has a problem of regimentation of students and educational conditions. They try to accomplish the educational aim of raising a autonomous and intrinsic human being by eliminating the outer regimentation and constraint. So it is needed for a effective education to solve the question whether this thesis is true or not. The first step in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meaning of freedom, the delineation of the views of Berlin and Berenson. The main points of their argument could be summerized as follows: freedom has two concepts; one is negative freedom which is to do whatever one wants without outer regimentation and the other is positive freedom which is to pursue one's certain goal by itself above the idea to eliminate the outer regimentation and constraint. Freedom, in this respect, is involved with the autonomy which has ultimate educational value. The second step is the criticism of Dearden's autonomy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freedom which has the value of education. In his argument, it is concluded that a person is autonomouse to the degree that what he thinks, and does cannot be explained without reference to his own activity of mind. He made a critique against to Quinn and his conception that freedom, free from the outer constraint, is a necessary condition of the development of autonomy. Freedom which can be allowed in actual educational situation should be positive freedom and the means for that is a negative freedom. Finally, through the convincing arguments of Dewey and Berenson's view, freedom needed in education is only a freedom which has connection with intellectual thinking and judgement to make a growth. Freedom, when it is applied in practical education situation, should be to understand and obtain the social rules and certain ways of behavior rather than to eliminate the outer regimentation and constraints. It must be needed that to control and hold the impulse and desire has priority over to do whatever one wants. It can be hoped that the effort offered in this study to make a specific delineation of the concept of freedom can be the clue for the problems which can be happen in the actual educational circumstance and help the concept of freedom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accurate education theory.

      • A THEOLOGICAL ANALYSIS OF KARL BARTH'S FREEDOM OF OBEDIE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CHRISTIAN FREEDOM AMONG THE CHIN PEOPLE IN MYANMAR

        Lian, Lal Pek Torch Trinit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4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oncept of Christian freedom through Karl Barth’s freedom of obedience. Barth’s theology of freedom is examined in its political, theological, and ethical formulations. Barth presents God as the center and source of freedom. He places Jesus as the center for understanding God and human freedom. To Barth, the sole possibility of human freedom is the freedom of obedience as it is the God-given freedom to obey the Creator.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Chin’s concept of freedom in lights of its historical, political, theological and ethical implications. Although the Chins do not have a clear concept of inherent freedom, they have been struggling to understand freedom through Christianized and politicized concepts of freedom. The third part of the study discusses points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between Barth and the Chins’ concept of freedom.

      • 신자유주의에서 신공화주의로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김형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4

        From Neo-Liberalism to Neo-Republicanism - Focusing on the concept of Freedom - In this paper, we criticized the idea of neo-liberalism based on the concept of freedom and examined the alternative prospect of neo-republicanism. In particular, we drew a new philosophical foundation of neo-republicanism not limited to political aspect but also from the economic aspect, focusing on ‘freedom’ as a central concept. In the history of Western political ideas, the idea of freedom has not been a neutral concept. It was in itself normative. However, in the Western history since the Ancient Greece, no matter how it was defined, it was a concept to be pursued. For example, freedom was only a term that belonged to civilian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olitical activities in Athens. On the other hand, it became common to everyone in medieval times. However, it was limited to inner freedom as freedom of conscience before God, not as a political idea. In modern society, freedom is expressed negatively, where individuals establishing their own freedom in realistic approach to resist oppression of its sovereign ruler. Like this, freedom wa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time period, and it played a major role in defining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way of life of the particular era. The ideology of neo-liberalism that is dominating our lives today is based on the negative freedom of modern liberalism. It assumes a society simply as a collection of isolated individuals and that each individual's freedom can only be earned outside the public domains. According to this idea, the individuals could only be free in the private domain by participating in the market which is free of any government's interference. The government’s interference and intervention had to be strictly banned for the idea of freedom. But the 'freedom of choice' given by the neo-liberalism is merely superficial freedom. By just taking the given choices as difficulties of life, instead of creating choices, we were only satisfied by the fact that we had the freedom to choose. But this neo-liberalism eventually l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individuals are subordinate to those in power with capital. Neo-liberalism is insisting not freedom for all, but freedom for those with more capital. However, they are also slaves in faithfully serving the self-propagating principle of the capital. The fall of neo-liberalism seemed to be coming due to a growing global resistance and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However, it still is dominant in our society because outwardly there is no political economy alternative, and more fundamentally due to an absence of the concept of freedom to lead the new era. Thus, we have focused on the neo-republicanism that seeks to find a way after neo-liberalism, based on the new interpretation of freedom called 'non-domination freedom'. Expressed as 'freedom from the possibility of being subject to the arbitrary intervention of others', non-domination freedom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concept of freedom overcoming the dichotomous scheme of negative-positive freedom. In other words, non-domination freedom is achieved through the balance of power, which is a term referring to civil equality as the basic premise of republican tradition. Non-domination freedom overcame the long confrontation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in that while it emphasized the role of community, it still set limits on national roles and accepted pluralism. Furthermore, by applying the idea of such non-domination to the realm of economy, we can finally respond to the pain of those who are subordinate to capital power by political thoughts. The basic premise of the economic philosophy of neo-republicanism is 'market as a Republic'. Not only in political domain, but also in economic domain is where social relations are formed. It is our claim that free competition, contracts, and creativity could be possible when each economic entity can face each other equally. In this paper, we defined neo-liberalism and neo-republicanism as an opposition pair, and negative freedom and non-domination freedom as another and explained the appropriateness of neo-republicanism. The idea of non-domination is the idea that can bring back the concept of citizen and the essence of our nation that has long been forgotten. Our argument is not that the state is the solution to all problems. The state we dream of is maintained only by the abundance of the spirit or belief in love that allows us to put ourselves down in our encounter with each other. But here we wanted to reclaim the essence and key of national-level political thought and to restore civil equality. The way to a true state of encounter, the state of love, would be only the next step. Key words : freedom, neo-liberalism, neo-republicanism, republicanism, non-domination freedom, Philip Pettit, negative freedom, Isaiah Berlin, Friedrich A. von Hayek, Karl Polanyi 신자유주의에서 신공화주의로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 우리는 본 논문에서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사상을 비판하고 신공화주의의 대안적 가능성을 엿보았다. 특히 신공화주의의 정치적 측면만 아니라 경제적 차원에서의 새 철학적 기초를 ‘자유’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그려보았다. 서양 정치사상사에서 ‘자유’는 단순히 중립적인 단어가 아니었다. 자유는 그 자체로 규범적인 개념이었다. 즉 고대 그리스 이후 서양사에서 자유는 그것이 어떻게 정의되던지 간에, 하나의 추구되어야할 이상이었다. 가령 고대 아테네에서 자유는 오직 정치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의 전유물이었다. 그리하여 고대 아테네는 참여를 중시하는 민주적 이상이 추구되었다. 반면 중세에서 자유는 모든 인간에게로 보편화되었지만, 이는 정치적 이상이 아닌 신 앞에서의 양심의 자유로 내면적 자유로 그쳤다. 근대에 이르러서 추구된 소극적 자유는 전제군주의 압제에 반발하여 개인의 자유를 현실적으로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자유는 시대별로 다양하게 해석되었으며 그 시대의 정치체제와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오늘날 우리네 삶을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사상은 근대 자유주의의 소극적 자유를 토대로 지금의 사회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사회를 고립된 개인들의 단순 집합체로 상정하고, 개인들의 자유가 공적 영역의 바깥에서만 구해질 수 있다고 전제했다. 그에 따르면 개인들은 사적 영역, 즉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시장의 경제 활동을 통해 자유로울 수 있었다. 자유라는 이상을 위해 국가의 간섭과 개입은 엄격히 금지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사상이 우리에게 쥐어준 ‘선택의 자유’는 피상적인 자유에 불과했다. 주어진 선택지를 어쩔 수 없는 삶의 어려움이라고 자위하면서 우리는 선택지 그 자체를 구성하기보다, 선택할 자유에 만족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사상은 결국 개인들이 자본을 가진 권력자에게 예속되는 현상을 야기했다. 신자유주의가 주장하는 자유는 모든 이를 위한 자유가 아닌 더 많은 자본을 가진 자들의 자유를 보장할 뿐이었다. 하지만 그들 또한 자본의 자기 증식 원리에 충실히 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노예였다. 이런 신자유주의는 세계 각지에서 발발하는 저항운동과, 2008년 금융위기를 맞이하며 몰락의 길을 걷는 듯 했다. 그러나 여전히 신자유주의는 우리 사회를 굽어보는 지배적인 구조로 자리하고 있는데, 그 까닭은 겉으로는 정치‧경제적 대안의 부재이며 속으로는 새 시대를 견인할 자유 개념의 부재였다. 그리하여 우리는 ‘비지배 자유’라는 자유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신자유주의 이후를 모색하는 신공화주의에 주목했다. ‘타인의 자의적 간섭을 받을 가능성으로부터의 자유’로 표현되는 비지배 자유는 소극적-적극적 자유의 이분법적 도식을 극복하는 자유 개념으로 주목받았다. 쉽게 말해 비지배 자유는 공화주의 전통의 기본 전제인 시민적 동등성을 일컫는 말로 권력의 균형을 통해 성취된다. 비지배 자유는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국가 역할의 한계를 설정하고 다원주의적 이상을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오랜 대립을 극복해냈다. 나아가 이러한 비지배의 이상을 경제의 영역에 적용할 때, 우리는 비로소 자본 권력에 예속된 자들의 아픔에 정치사상으로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신공화주의 경제철학의 기본 명제는 ‘시장의 공공화’이다.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적 공간 역시 사회적 관계가 맺어지는 공간으로, 각각의 경제주체들이 서로 동등하게 마주볼 수 있을 때 자유로운 경쟁도, 계약도, 창의성의 발현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그렇게 우리는 본 논문에서 신자유주의와 신공화주의, 소극적 자유와 비지배 자유를 각각 대립쌍으로 설정하고 신공화주의의 현대적 적실성을 설명하였다. 비지배 자유의 이상은 오랫동안 망각해왔던 우리네 국가의 본질과 시민의 개념을 다시금 이끌어낼 수 있는 사상이다. 우리의 주장은 국가가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꿈꾸는 참된 만남의 나라는 오직 너와의 만남 속에서 자기 자신을 스스로 내려놓을 줄 아는 정신의 넉넉함 혹은 사랑에 대한 믿음으로만 유지된다. 다만 여기서 우리는 국가적 차원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그 본질과 핵심을 되찾고 시민적 동등성을 회복하자는 것을 주장하고자 했다. 우리가 꿈꾸어온 참된 만남의 나라, 사랑의 나라로 가는 길은 오직 그 다음의 일일 수 있다. 열쇠어 : 자유, 신공화주의, 신자유주의, 공화주의, 비지배 자유, 소극적 자유, 필립 페팃, 이사야 벌린, 하이에크, 칼 폴라니

      • 샌드박스(Sandbox) 게임의 사용자 자유도에 관한 연구

        김명호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4

        The degree of user's freedom in the game is determined by numbers of choices and activities which player can choose in a game. And according to this degree, user can experience diverse enjoyments. In addition, there are many argument about the degree of freedom in sandbox game among users. There are no clear definition about the degree of freedom in game. Accordingly, there are lots of argument about the degree of freedom such as 'this game has some degree of freedom /or not, this game's degree of freedom is high/low, what is the degree of freedom?' In this master thesis,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term 'the degree of freedom', i gathered up usages of the term in related researches and game communities and categorized the result into two major class. 'The degree of freedom inside the game' and 'The degree of freedom outside the game.'and each major class classified more specifically. And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i classified currently released sandbox games and picked some cases with high degree of freedom. Depend on the degree of freedom, users continuously bring new and diverse consequences in limited space and condition and it will be interesting experience, this will be important matter which cause not only improvement in quality of games but also improvement in user's loyalty, concentration, and satisfaction. 게임의 자유도는 플레이하는 사용자가 할 수 있는 선택과 행동의 가짓수에 따라 다양한 재미를 경험하게 해준다. 특히 이런 자유도가 돋보이는 샌드박스 게임에서는 사용자 사이에서 자유도를 주제로 쟁점이 되는데, 게임에서 말하는 자유도가 확실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아 게임의 ‘자유도가 높다/낮다, 자유도가 있다/없다, 자유도란 무엇인가?’와 같은 주제로 논쟁이 끊이질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의 자유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관련 연구와 게임 커뮤니티에서 언급된 자유도의 의미 및 해석을 종합하여 크게 ‘게임의 내적 자유도’, ‘게임의 외적 자유도’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다시 세부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류한 유형을 기준으로 출시된 샌드박스 게임의 적용사례를 살펴보았다. 게임의 자유도는 사용자가 제한된 공간과 조건 내에서 계속해서 새롭고 다양한 결과를 가져오는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해줄 것이며, 게임의 질적인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물론 게임을 플레이하는 사용자에게 몰입감, 충성도,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 OPERATIONALIZING DEVELOPMENT AS FREEDOM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DEVELOPMENT : A CASE FOR EL SALVADOR

        Aida Maria Portillo HANKUK UNIVERSITY OF INTERNATIONAL STUDIES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4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Development and its adequacy to achieve development. The study uses as a baseline for measurement the concept of Amartya Sen, who states that development is a constant process of winning real freedom. Following this logic, the priorities established in foreign aid policies and domestic development policies should intend to either provide or expand the freedom of the citizens of a nation, thus affording them a better future. With El Salvador being ranked the most violent country in the world outside of warfare, the need for development is evident; as at the root of all the issues we can find a Salvadoran that doesn’t have enough opportunities or means to live a dignified life and reach their potential. If we adhere to the concept of development as freedom, it is fair to say that Salvadorans are prisoners of their own circumstances, their history and their leaders.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funding for development policies in El Salvador, and so, this study will use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projects, their goals, solutions and sectors targeted, to determine if they have an impact on either obtaining or expanding freedoms; evaluating their efficacy before the issues affecting the country’s social fiber at the moment. If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one of the sources available to remedy this situation,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best way to utilize this aid, so that it effectively impact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n the long term; and thus the search for this answer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thesis.

      • 인간의 자유와 종교해방 : 베르쟈예프의 자유에 대한 케노시스적 해석을 통하여

        이대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4

        Abstract Human Freedom and Religious Liberation - through the kenotic interpretation of the notion of freedom by N. Berdyaev - Lee, Dae Chul Dept. of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cover human freedom through the liberation from the distorted and idolized religion. For this, the thesis interprets the notion of freedom by Berdyaev as the kenotic freedom and then discovers the meaning of the freedom in the emergence of new creations through sufferings from self-emptying. The creation of this newness become an event that liberates religion from it's own self-contradiction of idolizing and isolating itself. In this context, human freedom and religious liberation are interconnected. In the first part the thesis critically examines the structure of God-human-religion of the notion-objectified existencecentrism, a traditional and fundamental notion, through the notion of freedom by N. Berdyaev. Since the view of God, human, and religion are more engaged each other than expressed independently, the right and wrong of one view causes a chain reaction to the other two. This circulation accelerates to lead each view more to extremes for inertial-forces. Therefore, the right and wrong of one view affects to the right and wrong of the other two. The traditional God-human-religion relations can be the relations of the notion-objectified existencecentrism.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ructure of the relations discloses the non-relational structure which oppresses and distorts human through the long history of human mentality i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and modern times. This thesis determines that the traditional God-human-religion structure was the one that suppressed and distorted human through the problem of the notion-objectified existencecentrism thoght. Also the thesis points out that in this structure human freedom can be oppressed and human can be subjected to the religion. And then the thesis will find out that the suppression of human freedom in specific expresses into compulsion by self obsession and illusion by addiction to others in religion.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freedom of rebound and resistance against the existence. By analysing the meaning of meonic freedom by N. Berdyaev, the thesis points out the meaning of the freedom of rebound and resistance against the existencecentrism thoughts dominated in the mental history of western all the while. The notion of N. Berdyaev's freedom is meonic freedom which is the root of all existence and also nonbeing as the possibility of all existence. In this context nonbeing means not just absence of being. It is what has possibility of having the existence. The freedom of the rebound and resistance against existence, or the freedom as nonbeing is also the source of creativity. God’ creation is possible because the possibility of nonbeing implements in the dynamic of Unground. Then this paper examines kenosis as continuous activities of Godhead through the vision of N. Berdyaev on the emergence of Godhead in Unground and seeks the possibility of kenotic freedom with it. What the paper finds through the symbol of Unground is the dynamics of the kenotic freedom that realizes a creation by self-emptying. Because the coincidence of Godhead and meonic freedom in Unground is a dynamic event which reveals through the kenotic co-relationship. This kenotic freedom was realized by Godman Jesus Christ, and given to human with its practicality. Nevertheless the freedom of human is difficult to get due to the tragedy underlying in the freedom. The thesis analyses the created freedom and uncreated freedom by N. Berdyaev, studying the tragedy of freedom and then looking through the analysis of human freedom and the feasibility of freedom through Godman to propose the kenotic freedom as a possible way to realize human freedom. The third part seeks a ways to resolve the problems of objectified and idolized religion today, saying the dynamic self-emptying as a new way for divinity and humanity to meet each other by restructuring the correlative relations of divinity and humanity with the kenotic freedom. In other hands the paper reinterprets the freedom by N. Berdyaev and then tries to prospect and see how human has to respond in detail to realize the liberation of God-man-religion. As N. Berdyaev focused on human for his thoughts of religious philosophy, this study ultimately focuses on human. By raising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being human, the vision can be proposed for human, living as a main agent to have cooperate responsibility with God. First reconciling the divinity and humanity in kenotic dynamics, the feasibility of freedom will be determined and then God-manhood religion will be mentioned as a alternative for the objectified religion. Lastly the God-manhood religion will be referred to a religion for human as kenotic religion which destroys idols. The thesis tells that the freedom of human only can be reached with the kenotic religion, the religion that breaks idols. It reveals that the meaning of the religion is in it and that the liberation from the distorted religion hereby is the first significant yet difficult step toward the human liberation. key-words: meonic freedom, Ungrund/Unground, nonbeing/nothing, spirit, spirituality, Godhead, creativity, kenosis, kenotic freedom, created freedom, uncreated freedom, Godman, personality, the religion of God-manhood, Sobornost, religious liberation, kenotic religion 본 연구는 왜곡되고 우상화된 종교로부터의 해방을 통해 인간의 자유를 다시 회복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베르쟈예프의 자유를 ‘케노시스적 자유’로 해석하여 자유의 의미를 자기비움의 고통을 통한 새로움의 창조에서 발견한다. 이러한 새로움의 창조는 자기 소외와 자기 우상화로 인해 종교 스스로 빠져 있는 자기 집착적 종교의 굴레로부터 종교를 끌어내는 해방의 사건이 된다. 이런 맥락에서 인간의 자유와 종교해방은 상호 공속적이다. 제 1부에서는 베르쟈예프의 자유를 통해서 전통적으로 종교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었던 개념-대상화된 존재중심주의적 신-인간-종교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신관과 인간관과 종교관은 어느 하나의 관점이 단독적으로 표명되는 것이라기보다는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상호 순환적 연관성을 지니는 것이기에 하나의 관점의 정(正), 위(僞)에 따라 다른 두 관점 또한 연쇄적인 반응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순환성에 의해 가속적으로 각각의 관점을 더욱 극단으로 몰고 가는 관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관점을 어떻게 정위시키느냐가 다른 두 관점을 정위시키는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신-인간-종교의 관계는 개념-대상화된 존재중심주의적 관계라 할 수 있으며, 그러한 관계의 구조는 고 · 중세를 거쳐, 근세를 지나 현대에 이르는 인간 정신사의 긴 여정 속에서 결국 인간을 억압-왜곡하는 비관계적 구조를 노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개념-대상화된 존재중심주의적 사유의 문제점을 통해 전통적인 신-인간-종교의 구조가 한편으로는 인간을 억압-왜곡하는 예속의 구조였음을 밝히고, 이러한 구조 속에서는 인간의 자유는 억압되어 인간이 종교에 예속될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인간의 자유의 억압은 종교에서는 구체적으로 자기집착에 의한 강박과 타자중독에 의한 환상으로 드러남을 밝힐 것이다. 제 2부에서는 존재에 대한 반동/저항으로서의 자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베르쟈예프의 상대무적 자유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서구정신사를 지배해왔던 존재 중심의 사유에 대한 반동/저항으로서의 자유의 의미를 드러내려는 것이다. 베르쟈예프의 자유는 상대무적인 자유로서 모든 존재의 근원이 되며, 모든 존재의 가능성인 비존재라 할 수 있다. 여기서의 비존재는 단순히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를 가능성으로 품고 있는 비존재이다. 이러한 존재에 대한 반동/저항으로서의 자유, 즉 비존재로서의 자유는 또한 창조성의 원천이기도 하다. 신의 창조가 가능한 것도 바로 이 자유, 즉 비존재의 가능성이 무근저의 역동성 안에서 실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근저에서의 신성의 발생에 대한 베르쟈예프의 비전을 통해 신성의 영원한 활동으로서의 케노시스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케노시스적 자유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무근저의 상징을 통해 밝혀지는 것은 자기를 비움으로써 창조를 실현하는 케노시스적 자유의 역동성이다. 이러한 케노시스적 자유는 신인(神人)인 그리스도 예수를 통해 실현되었고, 또 인간에게 실현가능성으로 부여 되었다. 그럼에도 인간의 자유가 어려운 것은 자유에 내재하고 있는 비극에 기인한다. 베르쟈예프가 말하는 창조된 자유와 창조되지 않은 자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유의 비극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 인간의 자유에 대한 분석과 신인을 통한 자유의 실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케노시스적 자유가 인간을 자유의 실현으로 인도하는 구체적인 가능성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 3부는 오늘날 대상화되고 우상화된 종교의 문제들을 케노시스적 자유를 통해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즉 케노시스적 자유를 통한 신성과 인성의 상관적 관계의 재구성을 통해 자기비움이라는 역동성이 신성과 인성이 만나는 지평이라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신-인간-종교의 해방을 이루기 위해 인간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응답해야 할지를 베르쟈예프의 자유에 대한 해석을 통해 확인하고 전망해 보려는 것이다. 베르쟈예프가 자신의 종교철학사상의 초점을 인간에 두었던 것처럼 이 연구에서도 궁극적인 초점은 인간에게 놓여 있다. 즉 인간됨의 의미와 가치를 고양시킴으로 신과의 공동-책임적인 주체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인간(종교적 인간)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우선 케노시스적 역동성 안에서 신성과 인성의 일치를 통한 자유의 실현 가능성을 밝히고, 대상화된 종교의 대안으로서 신-인(God-manhood)의 종교를 말하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신-인의 종교가 바로 비종교(kenotic religion, 卑宗敎)로서 우상을 부수는 종교, 다시 말해 인간을 위한 종교임을 밝히고자 한다. 종교 스스로가 우상을 부수는 종교, 즉 비종교일 때만이 종교가 도달하고자 하는 인간의 자유의 실현에 이를 수 있음을 말하고, 거기에 또한 종교의 의미가 있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로써 왜곡된 종교로부터의 해방은 인간의 자유를 향한 힘겹지만 의미 있는 첫 걸음이 됨을 알게 될 것이다.

      • 방송의 내적 자유에 관한 탐구 : 2008년 이후 공영방송 KBS 사례를 중심으로

        이택순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3

        A study on the internal freedom of broadcasting This study was discussed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in KBS since the regime was replaced in 2008. The concept on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is regarded as the fundamental right for broadcast employees to realize the freedom of speech to broadcast execu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for the subject and institution to enjoy the fundamental right of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on conflict of Unions and Executive of KBS.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is derived by the concept of broadcasting freedom. Conceptual understanding of broadcasting is based on the publicness and public interest of broadcasting, Fairness, public service broadcast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adcasting freedom is the rights with the dual nature of the subjective right and objective norms.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recognized the duality of broadcasting freedom and interpreted the positive rights in order to achieve real freedom of broadcasting. The subject of broadcasting freedom is rgarded as broadcasting company, auxiliary broadcast employee and an ideological people. Broadcast employee have the dual status as a subject of media freedom and the workers. The right of broadcast employee in opposition to for the management has been interpreted legal principle of the Three Labor Rights and media freedom.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is understood as subjective concepts and discussed in various opinions. This research was adopted as a variable-orient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tilizing the documentationis. Broadcast employee with union membership eligibility was defined as the whole staff KBS as well as to journalists and PD directly involved in the program. Broadcast fairness of union claims were regarded as comprehensive rights of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Unions are central realized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The private broadcasting employee enjoy fundamental principals because they have professional ethics. Collectively functional groups may have the supplementary nature. Unions and Executive should be interpreted contrary to the duality of broadcasting freedom. Confrontational composition of the two sides are in different judicial interpretations. Management have controlled unions, functional groups and individual employee with company regulations. The new KBS Union founded in 2010 is more emphasis on the public accountability that media is having. Regulations for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by KBS has agreed to the terms of the Collective Agreement committed unions and the company. The Collective Agreement i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right to labor. Broadcast fairness article of the KBS Collective Agreement is composed declarative rules for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of the broadcast, co-decision by fairness broadcast commission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rough the personnel involved. Broadcasters Unions was seeking legislation in order to guarantee production autonomy. As a result, the Broadcasting Act 4 paragraph 4 was amended included broadcast Organizing Conventions in 2000. The KBS enacted Broadcasting Code of Conduct in a voluntary regulations for keeping the faith and duty of the journalist in 1990. Followed the specific guidance Code of Ethics and broadcast Production Guidelines are established. The limitations of the internal broadcasting freedom and institutionthe is a point that Unions and the Company decided to lead the force. If one is neglected, particularly in the company-side there is no adjustment device. The Union is a collective action against the company. The internal broadcast freedom is weak in the legal protection of Unions. Therefore, KBS Labor Union relies on legally enforceable constitutional Labor 3 Rights. Organising Committee of the Convention and various Regulations is weak, and tinged the ancillary nature of the Collective Agreement. Interpreting the factors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that are currently occurring in KBS narrowed to only broadcasting executives and employees is limited. Broadcast requires a structured approach because it reflect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nterest are the product of various forces including society's political, capital, civil society, etc. Structural approach is to leave to future research. 방송의 내적 자유에 관한 탐구: 2008년 이후 공영방송 KBS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2008년 정권 교체 이후 공영방송 KBS에서 발생한 대·내외적인 대립과 갈등 상황을 방송의 내적 자유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방송의 내적 자유는 방송 종사자가 방송 사업자나 경영진에게 언론의 자유를 실현할 권리를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KBS 사례를 통해, 방송 내적 자유의 향유 주체와 성격, 그리고 방송 내적 자유 관련 제도 규정을 탐구하는 것이었다. 우선, 본 연구는 방송의 자유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방송의 개념적 이해는 방송의 공적 특수성을 바탕으로 공공성, 공익성, 공정성, 공영방송, 방송과 통신의 차이를 포괄하는 것이었다. 방송의 자유는 주관적 공권과 객관적 규범의 성격을 가지는 이원적 기본권으로 규정된다. 방송의 자유의 주체는 방송사업자, 보조적 주체로 방송 종사자, 이념적으로는 국민으로 규정된다. 방송 종사자는 근로자인 동시에 언론자유의 주체로서의 이중적 지위를 가진다. 경영진에 대한 방송 종사자의 대항력은 노동3권과 언론의 자유의 법리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문서 자료를 활용한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자료는 1. KBS노동조합 노보(새노조, 기업노조), 2. 직능 단체 협회보, 3. 공정방송위원회 회의 자료, 4. 법원의 판례, 5. 일간지 등이다. 자료의 수집 기간은 주로 이명박 정권이 출범한 2008년부터 현재까지이다. 보충자료로 1988년 노동조합 설립 시기가 참고 되었다. 방송 종사자는 방송 프로그램과 직접적인 관여하는 기자, PD 이외에 노동조합 가입 자격이 있는 KBS 사원 전체로 규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의 내적 자유 향유 및 구현에는 노동조합이 중심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개별 방송종사자는 직업적 윤리가 반영된 근원적 향유 주체이며, 집단적 직능단체는 보조적 성격을 띠고 있다. 둘째, 노동조합과 경영진은 방송의 자유를 상반되게 해석함을 알 수 있었다. 양측의 대결적 구도에는 방송 자유의 이중성에 기반된 법리적 해석의 논리가 차용되고 있었다. 경영진은 사규상의 징계 수단을 동원하여 노동조합, 직능단체, 개별 종사자를 통제해 오고 있었다. 셋째, KBS에서 방송 내적 자유에 대한 규정은 노·사간의 약정인 단체협약서에 합의되어 있으며, 단체협약은 헌법적 노동권에 근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BS의 단체협약 내용 중 공정방송 조항은 방송의 자유와 독립에 대한 선언적 규정, 공정방송위원회를 통한 공동 결정권,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에 의한 인사 참여의 내용으로 정리가능하다. 넷째, 방송사 노동조합은 제작 자율성을 수호하기 위하여 실정법 형태의 입법을 추구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로 2000년 개정된 방송법 4조4항에 편성규약 제정 조항이 추가되었다. 또한, 언론인의 신념과 본분을 지키기 위한 자율 규정으로 방송 강령이 1990년 KBS에서 제정되었고, 이어서 구체적 지침인 윤리규정, 방송제작가이드라인이 제정되었다. 다섯째, 내적 자유를 구현하는 제도는 노·사간 힘의 우위로 결정되며, 한쪽이 특히 사측에서 해태하는 경우 별다른 조정적 수단이 없어 노·사간의 실력 행사를 동반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언론의 자유로서 방송의 내적 자유는 노동조합의 보호 법리로 실익이 약하다. 따라서, KBS 노동조합은 헌법적 노동 3권의 법적 강제력에 의존하고 있다. 편성 규약의 편성위원회나 각종 규정은 대항력이 약하며, 단체협약의 보조적 성격을 띠고 있다. 현재 KBS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립과 갈등의 요인을 경영진과 방송 종사자에게만 좁혀 해석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방송은 사회의 정치, 자본, 시민사회 등 제반 세력의 이해관계가 반영되는 역사적·문화적 산물이기 때문에 구조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로 한다. 구조적 접근은 향후 연구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