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약속 화행 연구

        엄은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the corpus what strategies are chosen the most for promissive speech act in modern Korean spoken language, and to identify the prototype of promissive using the felicity conditions of promissive. In the precedent study on the promissory sentence and the promissive method, the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on the statement with the ending ‘-마(ma)’, and mainly on proving the independent position of the promissory sentence. However, the ending '-ma' is rarely used in modern Korean spoken language, especially when it is used to express the promise. As the sentence and speech act did not match, and the ending of declarative sentence was brought as the main ploy of the promissive, the interest in the promissives itself was also lowered. In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ending of declarative sentence, which replaces "-마(ma)," maintain the base structure and prototypicality of the promissive sentence, and confirmed that the utterances expressing the promissive using the endings of declarative sentence and maintain the prototypicality of the promissive. For extracting target utterances from the corpus, this paper set a own standar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missive utterance with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speech act as tool. At the center of the prototypicality of the promissive, it is confirmed that all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were met, and that the purpose of the purpose was not elsewhere, but that it was the promise itself. At this time, '-eulge(을게)' and '-get-(겠)' were used as the main strategies, and the underlying features of the promissory sentence were maintained. In addition, the use of adverbs to supplement the promise was also confirmed, and the direction of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 promissive was directed from the speaker to the listener, which led to the use of verbs and auxiliary verbs such as ‘juda(give)’. In order to faithfully convey the information of the speech act, the subject, object, and contents of the promise were processed as necessary and revealed in the cita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unlike the declarative,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 promissive are informally important factors in the promise statement. The promissive could be structured into six typ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ther speech acts. Between them, they continue with unclear boundaries, showing a set construction in which the regions overlap with each other. Type 1 corresponds to the center of high prototypicality that meets all the felicity conditions of the promissive and maintains the underly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missory sentence. Right away from the type 1, type 2 is located in violation of sincerity conditions among the felicity conditions. The speaker's intention is not willingly enough, but it is still a promise that must be made for various reasons, such as social hierarchy. Next, type 3 is a violation of the preparatory condition, or essential condition of the felicity conditions. A promise that violates the preperatory condition is a promise that the listener is not capable of fulfilling, but assumes it, or the promise of unwanted behavior. Promissive that violates essential condition is the promise that obligations do not fully arise from the utterances so the illocutionary force of the utterance is weakened. Type 4 is a case in which promissives are conventionally used to achieve purposes besides promise. These include the sequence or progress of the program, promissive used to serve guests at the service site, or greetings made by promising to meet again when say au revoir. Finally, two types of promissive sharing regions with different speech acts could be found. Type 5 shares the regions with response speech act, replacing the promise with the response(such as yes or no) and confirming that the details are omitted. Type 6 is the part where declarative and promissive share areas, and the more unclear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peech acts, the more diverse the use of the endings of the will and plan other than ‘-eul(을)’.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romissive that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in speech acts in Korean, and the prototypical characteristics of promissive were identified, analyzed away from existing studies centered on non-realistic patterns. 본고는 현대 한국어 구어에서 약속 화행을 위해 가장 많은 선택을 받는 책략이 무엇인지를 말뭉치를 통해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이용하여 약속 화행이 갖는 원형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약속문, 약속법에 관한 연구에서는 ‘-마’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를 중심으로 약속문의 독자적인 위치를 증명하는 데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대 한국어 구어에서 ‘-마’문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특히나 이를 이용하여 약속 화행을 표현하는 경우 역시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문형과 화행이 일치하지 못하고 평서문의 어미를 주요 책략으로 가져와서 사용하게 되면서 약속 화행에 대한 관심 역시 낮아지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마’를 대체하는 평서문의 어미들이 약속문의 기저 구조와 원형성까지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 평서형 어미가 사용되어 약속 화행을 표현한 발화들이 약속 화행의 원형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적정 조건과 함께 확인해보았다. 본고는 말뭉치에서 대상 발화를 추출하기 위한 기준을 세우고, 추출한 발화들을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도구로 원형성을 판단해가며 약속 화행의 화행적 특징을 분석해보았다. 약속 화행의 원형성의 중심에는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모두 충족하며 발화의 목적이 다른 데 있지 않고, 약속 그 자체에 있는 발화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주요 책략으로는 ‘-ㄹ게’와 ‘-겠-’이 사용되었으며 약속문의 기저 특징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약속 내용을 보충하는 부사의 쓰임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약속 화행의 언표 내적 힘의 방향이 화자에서 청자로 향하고 있어서 ‘주다’와 같은 방향성을 지닌 동사, 보조동사의 쓰임이 많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피인용문으로 표현된 약속 화행은 화행의 정보를 충실히 전달하기 위해 약속 화행의 주체, 대상, 내용 등이 필요에 따라 가공되어 인용문에서 드러나기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약속 화행에서는 진술 화행과 달리 언표 내적 힘의 방향과 내용이 정보적으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의 충족 수준과 다른 화행과의 구별 정도에 따라 약속 화행을 여섯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구조화할 수 있었다. 이들 사이는 명확하지 않은 경계를 두고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서로 영역이 겹치기도 하는 집합 구성을 보인다. 유형 1은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을 모두 충족하며 기존 약속문의 기저 특성도 유지하고 있는 높은 원형성의 중심에 해당하는 유형이다. 여기에서 벗어나면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 중 성실 조건을 위반하는 유형 2가 위치하고 있다. 화자의 의사가 충분하지 않으나 사회적인 위계 등 여러 이유로 해야 하는 약속이 해당한다. 다음으로 유형 3은 약속 화행의 적정 조건 중 준비 조건, 혹은 본질 조건을 위반하는 경우이다. 준비 조건을 위반한 약속은 청자가 원하지 않는 행동에 대한 약속, 혹은 약속을 이행할 능력이 없지만 이를 가정하여 하는 약속이다. 본질 조건을 위반하는 약속은 발화로 인한 의무가 생기지 않는 유형이며 언표 내적 힘이 약화된 형태이다. 유형 4는 약속 화행이 관습적으로 쓰임이 굳어져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이다. 프로그램의 순서나 진행, 서비스 현장에서의 손님 응대를 위해 사용되는 약속 화행, 혹은 헤어질 때 다시 만남을 약속하며 이루어지는 인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화행과 영역을 공유하는 유형은 두 가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유형 5는 응답 화행과 영역을 공유하며, 약속의 발화를 응답으로 대신하고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형 6은 진술 화행과 약속 화행이 영역을 공유하는 부분이며, 두 화행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발화일수록 ‘-ㄹ게’ 외의 여러 의지, 계획의 어미들이 다양하게 쓰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화행적으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약속 화행을 대상으로 하여, 실재성이 없는 문형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약속 화행의 원형적 특징을 실재적인 자료에서 확인하고, 분석했으며 이를 구조화해서 정리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형용사 명령문의 서술어 특성과 화행 기능 연구

        부춘련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69

        본고는 명령문 형용사의 특성과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2장에서 명령문 형용사가 가지는 특성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명령문 형용사의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명령문 형용사의 조어론적 특성과 결합 분포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큰 차이가 없으나 세부적인 측면에서는 몇 가지 차이가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결합 분포의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와 일반 형용사 그리고 명령문 구성에 쓰인 일반 동사의 경우를 상호 비교하였는데 이를 통해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 분포는 일반 형용사보다는 오히려 일반 동사와 비슷한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사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결합가, 보족어, 기본 문형, 그리고 부정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령문 형용사는 통사적 측면에서 일반 형용사와 비슷한 모습도 있지만 대부분 동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의미적 측면에서는 명령문 형용사의 [+주체 의도], [+동작성]/[-상태성], [+긍정]의 특성을 주목하였다. 이로 해서 명령문 형용사는 일반 형용사와 달리 동사와의 유사성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화행 기능을 분석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실제 맥락 안에서 다양한 화행을 수행한다는 점을 밝히기 위하여 각 화행의 적절성 조건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 동사 명령문처럼 형용사 명령문 역시 다양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형용사 명령문의 구조와 수행하는 화행의 다양성을 규명하였다. 형용사 명령문이 수행하는 화행을 명령 화행, 요청 화행, 충고 화행, 경고 화행, 허락 화행, 금지 화행, 기원 화행의 일곱 가지로 구분하고 이들이 어떤 상황에서 화행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