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번역 출판의 문화정치와 사회적 상상 : 1950년대 후반-1970년대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

        채웅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906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social imaginaries and the cultural politics surrounding rans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analyzing the practices and institutions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escribes the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ed books regarding the translation a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product beyond the textual and the intellectual. It focuses on two goals. One is to explore how the national imaginaries were related to cultural practices, cultural legitimacy, and cultural politics. The other is to identify how worldhood affected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study uses social imaginaries as a theoretical framework. Social imaginaries are vague understandings, connotations, and expectations of things interior and exterior of a society, shared among members of it. It constitutes a sense of cultural legitimacy and the repertory for legitimate collective actions. Translation has a mutually constitu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imaginaries in that it is a con-figuring of the other and the self, and the work of imagining and bounding the world in which a society exists in specific ways. The development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onward was driven by its imagined contribution to modernizing national cultures. In this sense, the yang-seo, the books given cultural legitimacy, became a drive for cultural practices. In particular, the World Literature Anthologies crystallized the vague imaginaries of the yang-seo. As competition for yang-seo intensifie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attempted to institutionalize translation publishing in the mid-1960s.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d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rationalized rules of the field to ensure that the yang-seo was aligned with the practices of reading public. In the national imaginaries, the yang-seo was not only a stake for which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struggled to earn, but also a cultural political object for the government to mobilize the people and a subject that constituted the discourse of the elite group. Accordingly, the center of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he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formed a conspiratorial relationship for the cultural project of the yang-seo. The ak-seo were referred to the books stripped of their cultural legitimacy, that fell outside the standards of the time. These included books with popular genre novels, books published and distributed in unethical ways, and translations of Japanese novels. The ak-seo survived in the fac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yang-seo and illegalization of the ak-seo, because the foundation and logic of the yang-seo were too unstable. The promoters of yang-seo experienced discord on cultural legitimacy. In addition, as the symbolic authority and economic expectations from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recognition of yang-seo grew, the producers of yang-seo also made books for the struggle using the methods of ak-seo. These results reveal the limits of the dichotomous logic of the cultural project of yang-seo that separates the cultural from the economic. Meanwhile,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popular ak-seo deprived of cultural legitimacy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cultures outside the national imaginaries and a view of cultural pluralism. The process of cultural modernization was not just a domestic phenomenon but accompanied by a relationship with the world. The world was imagined as a competitive field for symbolic struggle. The yang-seo was a symptom of this imaginative geography and a weapon us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in the unequally structured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This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or participation in the world system of translation publishing, was inextricably linked to the globalization of geopolitical power. Korea, a peripheral country, endors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et by the West, sutured some critical opinions into the logic of modernization. In Korea, the connotations of translation were obsessively reduced to developing and promoting national culture.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was narrowed down to adopt the Western order and obtain cultural leadership worldwide. Nevertheless, some translation practices emerged on the periphery of the domestic translation publishing field to reflect on global boundaries and power relations appropriating texts across regional differences. Through a media socio-cultural history of translation publishing from the late 1950s to the 1970s, this study discusses the effects of the social imaginaries on the legitimacy of cultural practices and products, as well as the limits and fissures of it, and the unintende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ose deviated from it. This thesis shows that translation fulfills an ideological function as an effect of global power relations but also has the power to make us reflect on those power rel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번역서와 번역 출판 실천, 담론, 제도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상상의 작동 양상과 초국적 문화 교류를 둘러싼 문화정치를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텍스트주의적·지성사적 접근에서 벗어나 번역서의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기술하고자 한다. 분석의 주요 목표는 두 가지다. 하나는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 문화적 정당성, 문화정치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는지 탐구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번역 출판 장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에서 ‘세계적인 것’이 가져온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글은 사회적 상상을 이론적 틀로 삼아 논의를 전개한다. 사회적 상상이란 사회 구성원 사이에서 공유되는, 사회 그리고 사회 내외부의 존재에 대한 막연한 이해, 의미 부여, 기대를 가리킨다. 그것은 집단적 실천의 틀과 문화적 정당성에 대한 감각을 제공한다. 사회적 상상은 사회 구성원에게 일반적으로 공유되지만, 균질적인 강도와 형태로 공유되지는 않는다. 한편 번역은 타자와 자기 자신에 대한 쌍형상화로서, 타자와 자기 자신, 그리고 둘이 공존하는 세계를 일정한 방식으로 상상하고 경계 지으려는 작업이자 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사회적 상상과 상호 구성적 관계를 맺는다. 1950년대 후반부터 국내 번역 출판 분야가 급격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그것에 부여된 상상적 의미 작용 덕분이었다. 민족 문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상상에 따라 문화적 정당성을 부여받은 책은 ‘양서’로 불렸고, 그것은 번역 출판 장 내외부의 실천을 이끄는 동력이 되었다. 당대 제작된 세계문학전집은 모호했던 ‘양서’에 대한 상상을 구체화했다. ‘양서’를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자 번역 출판 장에서는 1960년대 중반 제도화를 시도했다. 정부는 ‘양서’가 대중 독자의 실천과 연계될 수 있도록 장의 합리화된 규칙을 법적·제도적으로 뒷받침했다. 민족적 상상에 의거한 ‘양서’는 번역 출판 장에서 상징 투쟁의 내기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정부가 국민을 동원하기 위한 문화정치적 대상이었고, 또 문인과 지식인의 담론을 구성하는 주제였다. 이에 따라 번역 출판 장의 중심부, 정권, 그리고 문인과 지식인은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을 중심으로 한 공모 관계를 형성했다.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한 책들을 가리키던 ‘악서’는 몇 가지 정당성 기준을 벗어나 있었다. 통속적인 내용을 담은 책, 비윤리적인 방법으로 출간 및 유통된 책, 일본 번역 도서가 그것이다. 제도화 단계 이후로도 ‘악서’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양서’의 토대가 불안정했기 때문이었다. ‘양서’가 무엇인지 합의되지 않은 채 진행된 제도화는 정부와 번역 출판 장의 불화를 야기했고, 정부의 제도적 인정이 주는 상징적 권위와 그에 따른 경제적 기대 효과가 커지자 ‘양서’의 생산을 위해 ‘악서’의 방법을 사용하는 부조리가 벌어졌다. 이는 문화적인 것에서 경제적인 것을 분리하려던 ‘양서’라는 문화적 기획의 이분법적 논리의 한계를 드러낸다. 그런 가운데 문화적 정당성을 박탈당했던 대중적인 번역물의 생산과 수용은 민족적 상상을 벗어난 문화의 가능성과 문화적 다원성에 대한 시야를 열어두고 있었다. 국내 번역 출판의 문화적 근대화 과정은 대내적인 것을 넘어서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양서’는 국제화와 전 지구화가 얽히며 빚어낸 효과였다. 즉 그것은 국내 번역 출판 장과 정부가 불평등하게 구조화된 번역 출판의 세계 체제에서 국제적 상징 투쟁을 위해 내세운 무기이면서, 전 지구적 정치경제적 권력 작용을 승인한 결과였다. 이데올로기적 상상 지리가 강화되면서 국내에서 번역이 지닌 내포도 민족 문화의 창달과 세계로의 진출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국내 번역 출판 장의 주변부에서는 제3세계론의 번역을 통해, 지역적인 차이를 넘어서 텍스트를 전유하고 세계의 경계와 권력관계를 성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번역의 정치성은 이처럼 ‘초국적인 것’에 대한 지향에서 발아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195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번역서에 대한 미디어 사회문화사를 통해 사회적 상상이 문화적 실천과 생산물의 정당성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사회적 상상의 한계, 즉 사회적 상상으로부터 벗어나는 실천이 지닌 의도치 않은 문화정치적 의미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번역이 전 지구적 권력 작용의 효과로서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권력관계를 성찰하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OMG! reaction videos on YouTube : meanings to fandom and to K-Pop community

        Jeremiah, Estela Magoncia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843

        This study pioneers a discussion of a recent YouTube phenomenon called reaction videos. Since the subject matter is relatively new, the study aim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reaction. It also explains the meaning of reaction videos to fandom and to the whole K- Pop community. With the use of YouTube’s very own search engine, the study mapped out 200 reaction videos of different kinds and 50 more reaction videos that are specifically made by K-Pop fans. Using online participant observation, four themes of reaction videos were identified; Viral videos, TV Shows-Movies, Games, and Music. Except for the Viral videos, the other three themes are all fandom related leading to a conclusion that reaction videos are mainly a fandom activity. The study also found out that reaction videos are presen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kind of fandom. In the Music theme, the number of K- Pop fan made reaction videos exceeds that of non K-Pop fans, making it mainly a fandom activity for K-Pop fans. After an extensive observation of 50 K-Pop fan made reaction videos, ten observational dimensions are revealed in this study: background, reactioner, activity, music video screen, appearance, time, goal, feeling, detail, and language. These dimensions are then analyzed in the lens of three theoretical frameworks; Participatory Culture, Gift Economy, and Self-Presentation (Extimacy, Dramaturgical Theory, and Performance Theory). This study also concludes that K-Pop fandom and the whole K-Pop community per se have special connection to reaction videos. In K-Pop reaction videos serve as a tool for legitimacy. K-Pop being still considered a minority in the global music scene, uses reaction videos to establish an image of a fun, passionate and wholesome kind of fandom and music. Reaction videos also function as a venue for fans to establish their own careers and gain recognition not just from the K-Pop community but also from the outside world. Having said that, making and watching reaction videos are considered main fandom activities for K-Pop fans. It also serves as a space that caters to the essentials of being a fan, like fan interaction, sharing knowledge and more. 이 연구는 최근 등장한 유튜브의 ‘리액션 비디오’ 현상에 대한 파이어니어적인 연구이다. 이 현상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했기 때문에, 본 연구는 리액션 비디오의 맥락을 설명함과 동시에 이를 상세히 정의하고자 한다. 또한 유튜브의 리액션 비디오 현상이 케이팝과 특별한 연관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관계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하고자 한다. 유튜브 관찰, 검색 후, 본 연구에서는 200 종의 서로 다른 리액션 비디오와 케이팝 팬들에 의해 만들어진 50 종의 리액션 비디오를 추가로 분석했다. 온라인 상의 참여관찰을 통해 리액션 비디오는 바이러스형 비디오, TV 쇼와 영화, 게임, 음악 등 네 종류의 주제로 파악되었다. 바이러스형 비디오를 제외하고 다른 세 주제의 비디오는 팬덤과 관련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리액션 비디오는 주로 팬 활동의 일부라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또한 리액션 비디오는 팬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음악을 주제로 한 경우 케이팝 팬들이 만든 리액션 비디오의 수가 유의미 하게 많았고 대부분 케이팝 팬들의 활동이었다. 케이팝 팬들이 제작한 50 개의 리액션 비디오를 다음 열개의 차원에 따라 심층분석하였다: 배경, 반응하는 사람, 활동, 뮤직 비디오 화면, 등장, 시간, 목표, 감정, 세부 사항, 언어. 분석결과는 참여문화, 선물경제, 그리고 외밀성과 극적 수행이론의 차원에서 해석되었다. 이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케이팝 팬덤과 커뮤니티는 리액션 비디오를 통해 대중 문화 속 케이팝의 정당성을 추구함을 알 수 있었다. 케이팝은 아직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는 영향력이 크지 않으나, 이러한 영상들을 통해 재미있고, 열정적이며 유익한 팬덤과 음악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리액션 비디오는 팬들에게 자신의 사회생활과 케이팝 커뮤니티 뿐만 아닌 외부 세계에서 인정받는 창구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액션 비디오를 만들고 감상하는 것은 케이팝 팬들에게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신중한 팬 활동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또한 팬이 되기 위한 필수 요건, 즉 팬 상호작용, 지식 공유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키워드: 리액션 비디오, 유튜브, 문화적 정당성, 참여문화, 선물경제, 자기표현, 온라인 참여관찰

      • 한국영화의 성장과 산업정책의 제도적 성과 : 시장, 조직, 그리고 정부 정책의 역할

        김미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8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the market, organizations and government policies in the path of Korean film industry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since 1999. Drawing on the neo-liberalism and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theory, it address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conomic efficiency and the social legitimacy. As time passed,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and policy went through the institutional pressure of social legitimacy, which brought about a change and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field. Korean movie policy regime wa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trade protectionism in the 1960s, and then transformed into market-oriented one due to the film market opening and deregulation moves since 1985. Both the social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e political ideology of neo-liberalism in the 1990s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new policy measures, and the film policies took a turn. The important two pillars of the film policy were the industry booming and the cultural diversity since the 2000s. Budgeting and policies were actually based on the economic value rather than cultural one, and vertical isomorphism emerged as they were complied with political ideologies and policy regime. At the time the growth of Korean film market was due to the burgeoning number of movie-goers which had been made possible by the advent of multiplexes and nation-wide distributors. Hollywood movie businesses were the epitome for Korean industry to follow and emulate in terms of efficiency. But the Korean film industry had its own limits in the market size and business prowess, while having multi-layered organizational field with the social legitimacy pressure. In order to verify whether organizational structure selection is an empirically efficient result for Korean film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the connection between multiplex chains and vertically aligned distributors to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films. The vertical integration of movie distributors and theaters is seen as an efficient vehicle that can increase revenue by reducing transaction costs and increasing price competitiveness. On the other hand it is condemned in that affiliated distributor films have more access to the theaters and longer screen duration, resulting in unfair playing fields for oth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rean films released from 2001 to 2019, whether the film distributor is a company affiliated with theaters or a general distributor is differential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film.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vertically integrated distributors (distributor's market share) is not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movie's performance(admissions), and the increase in the size of the general distributors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film's performance. Also, the increase in screen numbers of affiliates is negatively related to film performance. In other words, hierarchical apparatus that stems from the vertical integration hinders the efficient program selection of theaters, and the distributor is more likely to make unfavorable choices on the film's performance by making repetitious mediocre decisions that barely satisfy the aspiration level in the investment market. As such, the vertical integration of the film organization needs to be reviewed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rather than social equity. On a policy level, it analyzes how the allocation of investment resources of government-invested Audio-Visual Investment Fund is affected by institutional and economic factors.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is a policy tool which the government provides funds to attract private capital and is operated by venture capital to transfer the responsibility and expertise of the government to the private sector. Government investments not only expand the size of the fund but also have certification effects on the market, which enjoy the crowding-in effect of attracting additional private investment. In addition, it is effective in inducing policies in that it can make institutional demands on government investment. This paper shows that the investment decisions are influenced by the institutional pressures to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 even though the Fund itself is supposed to be financially-motivated. The Investment Fund is conformed to coercive pressure of the government and the experts also play a normative role. Furthermore, it is empirically proven that Fund’s allocation of resource is more affected by the relations to investors than the expected profi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dynamics of Korean film industry’s growth and government policies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neo-liberalism and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 theory. It seems that political regime and general policies is affecting the film policies vertically while the movie industry is trying to learn and emulate the successful model of Hollywood business. An organizational structure may employ mythical values that are recognized as efficient in the market, independant of practical efficiency.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s have made decisions that conform to the pressure of institutions, though the decisions are not in line with the organization’s purported goal. Therefore, what policy goals the government pursues and which direction it exerts institutional pressure can be a key driver of the industry policy. 한국 영화산업은 지난 20년간 어떻게 비약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한국 영화의 성장 과정에서 시장, 조직, 그리고 정부 정책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하였다. 신자유주의와 제도주의 조직이론을 기반으로 시장, 조직, 정책의 역할을 경제적 효율성과 사회적 정당성의 상호작용에 따라 조절된 행위선택의 결과로 분석하였다. 정책의 효율성은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적 정당성의 제도적 압력을 더 강하게 받게 되며 이는 조직장(organizational field)의 변화와 재구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국 영화정책 체계는 1960년대 이후 발전국가(developmental state)에서 정부 주도적(government-led) 제도 규제와 보호무역 정책을 근간으로 형성되었으며, 1985년부터 시작된 시장개방과 규제의 완화에 따라 시장 주도적 (market-led) 질서로 전환하였다. 1987년 사회 민주화와 1990년대 신자유주의 정치이념의 확산은 영화정책의 제도적 전환(institutional transformation)을 가져왔고 새로운 정책수단이 도입되는 배경이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영화정책의 핵심적인 두 축은 ‘영화산업 활성화’와 ‘문화적 다양성 확대’였다. 그러나 영화의 문화적 가치를 강조하면서 실질적으로는 경제적 가치를 중심에 둔 정책 프로그램과 예산편성은 문화정책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한국 영화산업이 극장 시장의 한국영화 수요 확대를 중심으로 성장한 것은 영화산업에 진출한 대기업이 멀티플렉스와 전국 단위 배급사를 통해 유통망을 조직한 점이 산업적 맥락으로 작용했다. 한국의 영화 회사들은 글로벌 영화기업의 조직구조와 전략을 효율성에 관한 규범으로 삼아 모방적으로 학습했다. 본 연구는 멀티플렉스 체인과 배급사를 수직적으로 결합한 조직구조가 효율적인지 검증하기 위해 배급사의 조직형태와 영화의 흥행 성과가 맺는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영화 배급사와 상영관의 수직결합은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여 극장매출이 증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직형태로 평가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서는 상영관이 계열 배급사 영화에 더 많은 스크린 수를 배정하고 상영 기간을 더 길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어 불공정한 경쟁구조라는 비판이 오랜 정책 논제였다. 2001년부터 2019년까지 개봉한 한국영화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멀티플렉스와 계열 관계의 배급사가 배급한 영화와 일반 배급사가 배급한 영화의 흥행 성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수직계열 배급사의 조직 규모(배급사 시장점유율) 증가는 영화의 성과(전국 관객수) 향상과 연관성이 없으며, 일반 배급사의 조직 규모증가는 영화의 성과 향상과 강한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다. 또한, 계열사의 스크린 수 증가는 영화 성과와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즉, 수직결합 조직은 위계적 요구는 상영관의 효율적 프로그램 선택을 저해하고, 배급사가 투자시장에서 적정한 기대수준(aspiration level)을 만족하는 진부한 선택을 반복하여 영화의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증가한다. 영화산업의 수직계열화는 사회적 형평성의 측면에서보다 경제적 효율성의 측면에서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정책적 차원에서는 정부출자 영상전문투자조합의 투자 재원 배분이 제도적, 경제적 요인에 어떻게 영향받는지 분석하였다. 영상투자조합 정책은 정부가 재원을 공급하여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창업투자회사가 운영하는 조직으로, 정부의 책임성과 전문성을 민간에 이양하여 집행하는 정책수단이다. 정부출자는 정부 투자분의 증가로 인한 조합의 규모 확대뿐만이 아니라 시장에 주는 인증 효과(certification effects)가 있어 민간자본을 추가로 유치하는 밀집(crowding-in) 효과를 누린다. 또한, 정부출자를 조건으로 산업합리화를 위한 제도적 요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유도 효과가 있다. 영상투자조합은 경제적 동기가 강하게 작용하는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압력이 재원 배분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합은 정부의 강제적 압력에 순응하며 전문가의 규범적 역할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조합의 재원 배분은 투자대상의 수익성 평가보다 출자자와의 관계에 더 많이 영향받는다는 사실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 성장기 산업과 정책의 역동성을 신자유주의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주의 조직이론을 토대로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상위 정치이념과 정책체계는 영화정책에도 수직적으로 확산하는 양상으로 보이며, 영화산업 구조는 시장에서 효율적이라고 인정된 조직구조를 실질적인 효율성과 독립적으로 채택하기도 한다. 영상투자조합은 수익성에 반할지라도 제도적 압력에 순응하는 의사결정을 한다. 따라서 정부 정책이 어떤 정책목표를 추구하며 어떤 방향의 제도적 압력을 행사하는 유인구조를 만들지가 산업정책에서 핵심적 지점이다.

      • Creating Resilient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s: A Study of China Shanghai International Arts Festival from the Legitimacy Perspective

        Xu, Yifan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Ohio State Uni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649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This dissertation research concerns the secrets behind the longevity of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Festivals (IPAFs), a popular cultural policy instrument. Highlighting the interaction between festivals and their changing festival environment, festival legitimacy bears conceptual advantages to investigate IPAF management and adaptation over their long-term development. This research thus investigates festival resilience, conceptualized as the dynamics of IPAFs to maintain long-term operation in response to both gradual and sudden changes in the festival environment. Specifically, this study scrutinizes how IPAFs maintained resilience by adjusting festival legitimacy to a mixture of challenges from important stakeholders.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vestigation of IPAF resilience through legitimacy is developed via a grounded approach, to identify major festival legitimacy sources and criteria, as well as key concepts and perspectives mediating IPAF legitimacy and resilience dynamics. Based on this framework, an embedded case study of China Shanghai International Arts Festival (CSIAF) is given in-depth investigation, particularly the dynamics of CSIAF resilience through legitimacy in the 2010s. Given the pragmatic consideration of data collection approaches,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important CSIAF stakeholders and an online CSIAF perception survey were conducted, alongside archival data, policy documents, media reports, and festival programs. By cross-examining three other IPAFs with CSIAF resilience, this research discovers the relationship between festival legitimacy maintenance and IPAFs resilience. The in-depth case study of CSIAF resilience uncovered two trends that the festival applied to sustain its long-term operation. CSIAF strategically programmed the core artistic programs to gain more legitimacy to the city branding and urban regeneration agendas in Shanghai, as well as to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trends. It continued to proactively respond to national cultural agendas and actively adapted international arts and festival management conventions when facing local and national cultural policy changes and Shanghai’s growing integration in the global cultural market in the 2010s. IPAFs practitioners should apply a proactive and positive mindset towards changes in festival environments and take big events as opportunities for festival legitimacy adjustments. Meanwhile, this research finds that expertise-informed strategic festival programming, including artistic programming and program design, facilitated IPAFs’ quick response to legitimacy challenges from the changing environment. Diversifying the IPAF program portfolio and building legitimacy to urban cultural agendas are strategies festival managers are recommended to apply to sustain IPAF resilience, if local political contexts and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re well-considered. Furthermore, IPAF organizations engaging in various policy learning activities empowered professional expertise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informed and strategic festival legitimation approaches for IPAFs to sustain “festival legitimacy coalitions” inclusive of important IPAF stakeholders, or legitimacy sources. Besides th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to make resilient IPAFs by using festival legitimacy as an effective instrument for festival management, this dissertation research also advances resilience studies in the context of arts and festival management. The festival resilience through legitimacy framework addresses the field’s increasing recognition of festivals to survive cri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국내 대중음악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에 대한 연구 : '실용음악'의 대학제도 진입과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장혜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617

        이 논문은 근대적 의미의 국내 대중음악계가 형성된 이후 대중음악이 문화적으로 정당화되어가는 과정을 대중음악의 학제화 발전 과정의 역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불과 20여 년 전만 해도 실용음악과라는 언표는 일상의 차원에서 회자되는 종류의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대중음악이 사회적·제도적으로 위상의 변화를 겪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서울예술대학교에 처음으로 설립된 실용음악과는 이제 대중음악계의 주된 주체로 존재한다. 일부 대중음악 평론가를 비롯한 연구자들과 대중음악 현장에서는 실용음악과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대중음악의 권력을 획득해가는 양상이 경제적인 논리에 의한 것이라는 해석을 한다. 그렇다면 이전까지는 학교에서 배척되어 오거나 경제적 이득을 보장해 줄 수 없었던 대중음악은 어떻게 학교에 진입하거나 자본을 담보해 주는 종류의 것이 되었는가? 본 연구는 이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실용음악과의 발전을 문화산업의 측면을 넘어 대중음악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이 시도는 대중음악이 대중예술로서 자리 잡아 가는 과정 속에서 대학 제도에 진입한 사건을 문화적 정당화의 일부로 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용음악과의 제도화 과정이 국내 대중음악계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지를 탐구했다. 이를 위해 예술제도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 관점을 전제로 하여 문화적 정당화 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용음악과가 발전해 나간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보았다. 특히, 바우만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에 관한 이론을 차용하여 각각 학과 외부의 환경과 내부의 구조 변화, 그리고 관련 주제를 보도하는 신문 기사의 경향성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으로는 정부 산하 기관의 자료와 대중음악 무크지,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학교에서 공개한 자료와 학보를 비롯하여 단행본과 신문이 해당되었다. 1980년대 이루어진 대중음악 해금정책은 대중음악의 사회적 위상이 높아지는 긍정적 계기로 작용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자율적인 음악생산과 소비기술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중음악을 ‘학습’한 일부 전문적 인력이 등장하면서 대중음악 산업이 발전한다. 대중음악이 하나의 ‘작품’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중음악 평론은 하나의 제도로 정착한다. 이 가운데 대학 설립이 자유로워지면서 실용음악과가 문화적 가치를 지닌 신생학과로 대학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후 대중음악은 국내에서 대학이 지니는 제도적인 특수한 힘을 힘입어, 대학이라는 기관을 거친 뒤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훈련된 대중음악인’의 이미지를 확보하기에 이른다. 이와 동시에 학과 내부에서도 대중음악을 오락의 한 종류가 아닌 대중예술로, 실용음악과를 전문 음악인 양성기관으로 정체화 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서 대중음악은 보다 예술적인 차원에서 회자되기 시작한다. 그 과정 중에 대중음악은 산업과 정책 담론에서 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대중예술로서 언급되며, 이후에는 대학원에서도 실용음악과가 설립되면서 학위 논문들이 배출되고 실용음악과가 학문 공동체로서의 성격을 부여받는 등 대중음악의 학문화가 심화되기도 한다. 2008년 이후 성행하기 시작한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은 실용음악과 재학·졸업생들이 대중음악계에 진입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했고, 이를 통해 실용음악과 출신의 음악인들은 K-Pop으로 대변되는 기존 음악과 차별성을 띠며 신진세력으로서 장 내 위계를 점유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국내 대중음악의 학제화 전개양상은 대중음악이 점차 학술·예술 차원에서 하나의 대중예술로 인식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중음악을 문화적 정당화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이 연구는 대중음악의 경제적인 가치를 논하는 일련의 주장들에 더하여 그것이 가진 문화적 위상을 톱아보는 시도가 되었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process of cultural legitimation of Korean pop music. The Korean Pop music scene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process of academic development in Korean pop music. The concept of ‘Practical Music’ was not discussed in everyday life more than 20 years ago. However, since the 1980s, Korean pop music went through social/institutional changes. The ‘Practical Music’, which was first developed by Seoul Institute of the Arts, became a main agent of bringing into existence pop music. Some critics of pop music in Korea, including researchers of pop music, interpret that the aspects of rapid increase in the ‘Practical Music’ and the acquisition of the power in the Korean pop music is by economic logic. Then how could the Korean pop music that was isolated in schools with fields of ‘Practical Music’ and with no guarantee of any economic profit enter into the academic field when the Korean pop music had become the one that guaranteed money? This study begins with knowing this aspect of the problem. This trial looks at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Music’ through the perspective of cultural legitimation of Korean pop music. It sees the occurrence of the Korean pop music’s academic entry as a part of a cultural legitimation in the midst of popular music coming to settle in the popular arts. Thus, the research is done to seek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ve between the institutionalism of the ‘Practical Music’ and the Korean pop music. In order to do this, I analyzed the concept of cultural legitim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analyzing the art institution in a sociological way. Therefore, I look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improvement of the ‘Practical Music’ by putting foundation of historical flow in three big steps. I analyzed the external atmosphere, the internal structure change and the tendency of a press report of the related thesis by using Baumann’s cultural legitimation theory. By ending the policies that banned some Korean pop songs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1980s, Korean pop music’s social status increased positively since then. Following this, people were able to produce music more freely and yield easier consumption technology. During this period, professional workers who focused their study on pop music developed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As the Korean pop music began to be accepted as a ‘piece’, Korean pop music critic field became a kind of institution. While more colleges became established and created, the atmosphere that the ‘Practical Music’ could be a new major with an important cultural value could be settled. Since then, the Korean pop music by getting special help those colleges has in Korea, achieved a new image of well-trained pop musicians through formal education after institutions such as college. At the same time, the Korean pop music has started to be seen in an artistic dimension by being acknowledged not by a type of entertainment, but by a form of pop art, trying to identify the ‘Practical Music’ as an institution of training professional musicians. Through that process, the Korean pop music was being mentioned as a form of more detailed pop art in the industry/policy discourse. Later on, the ‘Practical Music’ was established even in the graduate schools, and it received characteristic as an academic community. Music audition programs that started and prospered since 2008 functioned as a channel for the formal/current students of ‘Practical Music’ to enter the Korean pop music scene. By this, the alumni from the ‘Practical Music’ are occupying the status in the field of Korean pop music as a new agent by differentiating from other music represented as K-Pop. This process shows that the Korean pop music gradually became acknowledged as a pop art in the dimension of academic/artistic status. Thus this study, trying to translate the Korean pop music as a perspective of cultural legitimation, was an attempt to watch the status of Korean pop music by adding the opinions from which discuss the economic value of Korean pop music.

      • Organizational Logics: Bridging the Gap between Personal and Institutional Logics

        Weller, Scott M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The Pennsylvania S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574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 미얀마의 외교전략에 관한 연구 : ‘지정학적 중간국’의 관점에서

        최신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568

        이 논문은 ‘지정학적 중간국’(geopolitical middle ground states)으로서 미얀마 외교전략의 특징과 그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이다. 지정학적 중간국이란 세계적, 때로는 지역적 패권을 다투는 강대국들 사이에 ‘끼어있는 국가’, 또는 ‘지정학적 단층대(geopolitical fault line)’에 위치한 국가를 말한다. 인도차이나반도 서쪽 끝에 위치하여 인도와 중국, 두 거대 문명의 영향을 받아 온 미얀마는 지정학적 중간국의 한 전형이었다. 1948년 영국의 식민 지배에서 독립한 이후에도 미얀마는 냉전 시기에는 미·소 양극 체제 경쟁, 탈냉전 이후에는 미국과 중국의 지역 패권 경쟁의 영향 속에 놓여있었다. 게다가 미얀마는 그 속에서 미얀마 역대 정부는 국가의 생존, 자주, 번영을 위한 외교전략을 개발하여 구사했다. 그렇게 개발한 외교전략의 기본특징이 무엇인지, 그것이 시간의 흐름과 조건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변화의 동인은 무엇이고 동인과 결과 사이에 인과적 관계는 어떠한지가 이 논문의 기본 내용이다. 지정학적 중간국들의 외교전략 선택지에는 균형, 편승, 중립, 헤징 등이 있다. 중간국들이 이러한 전략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하여, 국제정치학의 지배적 패러다임인 신현실주의(Neo-Realism)자들은 국제구조적 요인을 결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반면,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자들은 국제구조적 요인이 중요한 요소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므로 국내적 요인도 외교전략의 결정에 주요한 요인으로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독립 이후 미얀마의 역대 정부들이 어떠한 외교전략들을 선택해 왔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신고전적 현실주의’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모델을 구성하였다. 이 모델에서 독립변수는 국제구조적 요인인 양 강대국 사이의 권력 배분과 그들 사이의 관계이다. 매개변수는 국내적 요인인 ‘미얀마의 전략문화(Strategic Culture)’와 ‘정치지도자의 정당성(Leader’s Legitimacy)’이다. 이 모델을 사용하여 종속변수인 중간국 미얀마 역대 정부의 외교전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냉전 시기 미얀마의 외교전략은 중립주의로 요약된다. 미얀마의 전략문화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중립주의가 강대국들의 양극 경쟁과 이웃 중국으로부터의 안보 위협 등 국가의 제반 취약성과 복잡한 안보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여 두 강대국 블록 사이에서 등거리 입장을 취하게 하였다. 냉전기 우 누 총리는 높은 수준의 절차적, 성과적, 카리스마적 정당성을 보유하였다. 이는 그의 외교정책에서 높은 적극성을 가져오게 하였으며, 따라서 우 누 정부의 외교전략은 ‘적극적 중립(positive neutrality)’ 전략으로 구현되었다. 이에 반해 쿠데타로 집권한 네윈은 저조한 절차적, 성과적 정당성으로 인해 고립적이고, 반응적인 ‘소극적 중립(negative neutrality)’ 전략의 행태로 나타났다. 탈냉전 이후 국제구조적으로 냉전이 끝나가는 시점인 1988년 친위 쿠데타로 SLORC 정권이 등장하였다. 미국은 신군부 정권이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였고, 1990년 총선거에서 승리한 민주민족연맹(NLD)에게 정권을 이양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정권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군부 정권에 대해 가혹한 제재를 가하면서 정권교체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정치적, 외교적, 경제적으로 군사 정권을 지지했고 미얀마와 매우 긴밀한 관계를 형성했다. 이러한 이유로 SLORC/SPDC 기간 미얀마의 외교전략은 중국에 ‘편승’이었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하지만 미얀마의 비동맹 중립주의 선호의 전략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미얀마의 정치지도자들이 자국의 주권과 자율성을 침해당할 수 있는 완전한 편승을 선택하는 것은 수용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얀마가 중국에 완전히 편승(pure bandwagoning)하거나, 정치적·외교적 자율성을 상실한 적이 없으며, 오히려 이익을 위한 ‘제한적 편승’(limited bandwagoning)의 외교전략을 구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USDP 정부 출범 당시 미얀마에서 점증하는 중국의 영향력으로 인해 미얀마에 반중국 정서가 촉발되었고, 중국의 내정 간섭에 대한 우려도 커지게 되었다. 미국에서 오바마 행정부가 등장하면서 미국의 정책이 종전의 고립과 제재로부터 ‘실용적 관여(pragmatic engagement)’ 접근 방식으로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미얀마의 외교전략적 선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결정적인 ‘구조적’ 전제 조건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국제 환경의 변화는 미얀마가 전략문화의 중심 교리를 유지하면서 외교전략을 재구성하도록 이끌었다. 그것은 중국과의 우호적이고 건설적인 상호작용은 유지하면서 미국, 일본, 인도와의 긴장된 관계를 정상화하면서 정교한 ‘헤징’ 전략의 공식화로 이어졌다. 떼인세인 대통령은 재임기간 중 국내외의 예상을 뛰어넘는 개혁 개방 정책을 통해 정치적 민주화와 경제발전의 많은 진전을 이루었다. 그 결과 절차적, 성과적, 카리스마적 정당성이 급증하면서 USDP 정부는 이전 정권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외교전략을 채택하였다. 떼인세인은 우 누 시대의 ‘적극적 중립’을 넘어 보다 적극적인 전략인 ‘헤징’ 전략으로 전환하기 위해 정치·경제 개혁을 통해 얻은 국내외 정당성을 성공적으로 활용하였다. 이상의 신고전적 현실주의적 관점을 통한 지정학적 중간국 미얀마의 외교전략에 대한 논의를 종합해 보면, 미얀마 역대 정부에서 외교전략의 지속성의 동인으로는 중립주의 선호의 미얀마의 전략문화라 할 수 있으며, 변화의 동인으로는 국제구조적 변화와 정치지도자의 정당성 유무로 설명될 수 있다. 미·중 전략경쟁이 날로 격화되고 있는 동북아에서 지정학적 중간국인 한국은 미얀마 뿐만 아니라 다른 중간국들의 외교전략에 대한 연구의 범위와 깊이를 확대해 나감으로써 장기적으로 미국과 중국에 대해 강대국 외교를 어떻게 펼쳐나가야 할지 진지하게 고민하고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Controller area network (CAN) bandwidths are currently limited when accommodating increased traffic volume due to the increase in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s (ECUs). Research is underway to develop a lossless CAN data compression algorithm that uses existing bandwidth networks to reduce the size of transmitted data while minimizing cost and reliability issues without hardware changes.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optimization of quotient remainder compression (QRC) parameters to improve the compression rati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visor, quotient remainder (QR) parameters,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ata were analyzed, and various divisor and QR parameter values were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parameter values that provide the best compression results.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using actual vehicle driving data showed that the compression rate was improved through QRC parameter optimization compared to using the existing QRC system.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applied to CAN, CAN-FD, FlexRay, and Ethernet systems to reduce the bus load rate and improve the network bandwidth avail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