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mparison of surface gloss of resin composites according to changes in surface roughness

        변지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9

        임상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합레진은 매끄러운 표면을 얻기 위하여 심미성을 개선하며 발전해왔다. 하지만 수복된 복합레진의 매끄러운 표면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강내에서 마모되면서서 거칠게 변화한다. 복합레진의 표면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는 표면 광택도이다. 광택도는 시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치과의사와 환자 모두가 쉽게 인식하고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종의 복합레진의 표면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택도를 측정하였고, control 그룹에 비하여 거칠게 변화하는 표면을 관찰하여 복합레진의 광택 유지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복합레진 GRADIA DIRECT ANTERIOR (GA), Tetric N-Ceram (TN), Ceram.xsphereTEC one (CX), Filtek Z350XT (FT), ESTELITE ∑QUICK (ES) 5개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Slide glass로 매끄러운 표면을 만든 후 무작위로 5곳을 선정하여 표면 광택도를 측정하였고, 그 평균을 시편의 대표값으로 설정하였다. 광택도 측정 후 동일한 속도와 압력으로 주수 하에 SiC paper #2400, 1200, 400으로 거칠기를 주었고, SiC paper로 거칠기를 주었을 때 마다 광택도를 다시 측정하였다. 동일한 SiC paper를 이용하여 거칠기를 준 후 복합레진 간 GU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SiC paper #2400, 1200, 400을 단계별로 사용할수록 slide glass로 만든 표면보다 점점 거칠어지는 표면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 multiple comparisons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복합레진 간 GU는 차이가 있었다. 복합레진의 표면을 slide glass로 만든 경우 TN < GA < FT < ES < CX순으로, #2400으로 거칠기를 준 경우 CX < TN < GA < ES < FT순으로, #1200으로 거칠기를 준 경우 CX < GA < TN < FT < ES순으로, #400으로 거칠기를 준 경우 FT < CX < GA < TN < ES순으로 GU가 높았다. 거친 단계별로 SiC paper를 사용할 때 마다 slide glass로 만든 표면에 비하여 점차 거칠게 변해서 gloss retention rate은 낮아졌다. GA의 gloss retention rate은 100% > 64.82% > 34.02% > 19.74%, TN은 100% > 64.53% > 48.56%> 28.74%, CX는 100% > 54.58% > 23.74% > 14.87%, FT는 100% > 94.53% > 55.37%> 14.76%, ES는 100% > 88.09% > 74.10% > 53.23%로 감소하였다 (p<0.05). 결과적으로 복합레진의 서로 다른 특성으로 인하여 복합레진 마다 GU에 차이가 있었다. 대조군과 비교 시 SiC paper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거칠기를 준 후 복합레진의 gloss retention rate은 모두 감소하였으나 그 정도는 복합레진 별로 차이가 있었다. 그 중 가장 우수한 gloss retention rate을 보인 복합레진은 ES였다. Commonly used composite resin in clinical practice, has developed by improving aesthetics to obtain a smooth surface. However, the smooth surface of the restored composite resin becomes roughly over time. One of the prima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is gloss unit (GU). Gloss can be assessed visually and is easily recognized and perceived by both dentists and patient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the gloss unit to evaluate the surface of several types of composite resins, and to evaluate the gloss retention rate of the composite resins, the roughened surface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pecimens were produced of 5 composite resins, GRADIA DIRECT ANTERIOR(GA), Tetric N-Ceram (TN), Ceram.x sphereTEC one (CX), Filtek Z350 XT (FT), and ESTELITE ∑QUICK (ES). After creating a smooth surface with a slide glass, five locations were randomly selected to measure the surface gloss unit, and the average was set as the representative value for the specimen. After measuring the GU, roughness was given to the specimen under water pouring at the same speed (150rpm) and pressure(weight 252g) with SiC paper #2400, 1200, and 400. Each time the roughness was given with SiC paper, the GU was measured again. After applying roughness using the same SiC paper, GU between composite resins was compared. In addition, as SiC paper #2400, 1200, and 400 were used step by step, changes in the surface were evaluated, which became increasingly rougher than the surface made of slide glas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used wa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 multiple comparisons test at the 95% confidence level.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in GU between composite resins. When was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resin is made of slide glass, in the order of TN < GA < FT < ES < CX, when roughness was given to #2400, in the order of CX < TN < GA < ES < FT. When roughness was given to #1200, GU was higher in the order of CX < GA < TN < FT < ES, and when roughness was given to #400, in the order of FT < CX < GA < TN < ES (p<0.05). Each time SiC paper was used in rough stages, it gradually became rougher compared to the surface made of slide glass, and gloss retention rate was lowered. GA is 100% > 64.82% > 34.02% > 19.74%, TN is 100% > 64.53% > 48.56% > 28.74%, CX is 100% > 54.58% > 23.74% > 14.87%, FT is 100% > 94.53% > 55.37% > 14.76%, ES is 100% > 88.09% > 74.10% > 53.23% gloss retention rate has decreased (p<0.05). In conclu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GU for each composite res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resi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gloss retention rate of the composite resins decreased after applying roughness in stages with SiC paper, but differed depending on the composite resins. Among composite resins, ES showed the best gloss retention rate.

      • 유산균 발효유가 복합레진 표면에 미치는 영향

        김영선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mercially available fermented milk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The effects of fermented milk decomposition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were evaluated in the following groups: pure fermented milk (Group 3),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3% calcium (fermented milk + 3% Ca; Group 4), specimens coated with fluoride and then treated with fermented milk (fermented milk + 2% NaF; Group 5), specimens coated with fluoride and then treated with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calcium (fermented milk + 3% Ca + 2% NaF; Group 6), mineral water (Group 1), and carbonated beverage (Group 2). A total of 72 specimens with 12 in each group were prepared using the composite resin (Filtek TM Z350 XT; 3M ESPE, St Paul, MN, USA). The prepared specimens were immersed into the experimental solution for 1, 3, 5, 10, 15, and 30 minutes, respectively, to analyze the diverse effects on the surface of composite resin specimens. The degree of micro-hardness on the specimen surface was measured subsequent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1. The pH values of the experimental solutions used in the present study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Group 2 (2.34±0.08), Group 3 and Group 5 (3.45±0.03), Group 4 and Group 6 (4.04±0.06), and Group 1 (7.72±0.17).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different groups in the level of micro-hardness of the composite resin surface measured before and after immersion in experimental solutions. The micro-hardness of the composite resin surface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s in the levels of micro-hardness (△VHN) measured before and after immersion in the experimental solution in the following order: -11.48±1.45 (Group 2), -9.54±1.15 (Group 3), -9.21±1.21 (Group 4), -8.14±0.84 (Group 6), -8.10±0.92 (Group 5), and -1.71±0.57 (Group 1) (P<0.05). The differences in micro-hardness between the group coated with fluoride and the group coated with fluoride as well as calcium appeared smaller than in other groups except for the negative control.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 intake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calcium resulted in a decrease of micro-hardness of composite resins coated with fluoride compared with the intake of fermented milk alone. 3.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indings of composite resin surfaces in Groups 5 and 6 revealed smooth surfaces similar to those in Group 1, the negative control group, while the Groups 3 and 4 showed rough surfaces with severe cracks between crystals similar to those of Group 2, the positive control group. Based on the foregoing results, the intake of fermented milk may attenuate the surface micro-hardness of the composite resin. Thus, coating the composite resin surface with fluoride, and the intake of fermented milk supplemented with calcium can be used to slow down the decrease in micro-hardness of the composite resin surface following the intake of fermented milk. 본 연구는 시판 유산균 발효유가 복합레진 표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군으로 유산균 발효유군(Fermented milk, 이하 3군), 복합레진의 표면 분해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유산균 발효유에 3%의 칼슘을 첨가한 군(Fermented milk + 3% Ca, 이하 4군), 시편에 불소를 도포 후 유산균 발효유를 적용한 군(Fermented milk + 2% NaF, 이하 5군), 시편에 불소 도포 후 칼슘을 첨가한 유산균 발효유를 적용한 군(Fermented milk + 3% Ca + 2% NaF, 이하 6군), 그리고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군으로 각각 생수군(Mineral water, 이하 1군)과 탄산음료군(Carbonated beverage, 이하 2군)을 선정하였다. 시편은 복합레진(Filtek TM Z350 XT; 3M ESPE, St Paul, MN, USA)을 사용하여 각 군당 12개씩 72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복합레진 시편의 표면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건전한 시편을 1분, 3분, 5분, 10분, 15분, 30분 동안 실험음료에 침지하였다. 침지 후 시편의 표면미세경도(VHN, Vickers hardness number)를 측정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표면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실험된 음료의 pH 측정 결과 2군(2.34±0.08), 3·5군 (3.45±0.03), 4·6군(4.04±0.06), 1군(7.72±0.17) 순으로 나타났다. 2. 음료 침지 전과 후의 복합레진의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한 결과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음료가 복합레진의 표면미세경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음료 침지 전과 후의 표면미세경도차(△VHN)는 2군 (-11.48±1.45), 3군(-9.54±1.15), 4군(-9.21±1.21), 6군(-8.14±0.84), 5군 (-8.10±0.92), 1군(-1.71±0.57) 순이었으며 각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불소를 도포한 군과 불소를 도포하고 칼슘을 첨가한 군의 경우 음성대조군을 제외한 다른 군들보다 미세경도차가 적게 나타나 사전에 불소를 도포하거나, 불소가 도포된 상태에서 칼슘이 첨가된 유산균 발효유를 섭취하는 경우 유산균 발효유만 섭취하는 것보다 복합레진의 표면경도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시편 표면을 관찰한 결과 5군과 6군은 음성대조군인 1군과 유사하게 표면이 매끄러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군과 4군은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결정 사이에서 심한 균열을 보여주어 양성대조군인 2군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유산균 발효유 섭취 시 복합레진 표면의 미세경도가 약화될 수 있으며, 유산균 발효유 섭취 시 사전에 불소를 도포하고 칼슘을 첨가하여 섭취하는 것이 복합레진의 유산균 발효유에 의한 표면미세경도 약화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5급 와동수복에서의 composite resin과 glass ionomer의 결합강도 비교

        이명진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2317

        1. 목 적 5급 와동의 수복물의 탈락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그 중 치아에 작용하는 반복적인 교합력 또한 수복물의 탈락을 야기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급 와동의 수복에 가장 자주 사용되는 composite resin과 glass ionomer 에 대해 결합 강도를 측정해보고자 한다. 인공적으로 와동을 형성한 규격화된 시편을 이용하여 GI와 composite resin의 정확한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시편에 반복하중을 가해 재료간의 반복 하중이 미치는 영향 또한 확인 할 수 있다. 2. 방 법 소의 치아를 가로 7mm, 세로 2mm, 높이 15mm크기의 직육면체 형태로 잘라 시편을 준비한다. 크게 GI 수복과 comosite resin 수복의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반복 하중을 가하지 않는 통제 변인군, 반복하중을 가하는 군의 두가지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는 시편을 8개씩 배정한다. (Group 1, Group 2, Group 3, Group 4; 총 32개의 시편) 시편의 높이 7-8mm되는 지점에 지름 3mm의 반원형의 와동을 형성한다. 와동에는 GI 와 compoiste resin 의 두가지 종류로 수복한다. 시편에 가하는 Load의 크기를 정하기 위하여 상악 소구치가 30도 각도의 load를 가했을 때 소구치가 휘어져 나타나는 LVDT를 측정한다. 소구치에서 측정된 LVDT 값을 보이는 힘의 크기를 정하여 Group2, 4 시편에 반복하중을 Instron을 통해 가한다. 하중을 가한 후에는 와동에 수복된 수복물에 힘을 가해 수복물이 탈락하는 시점의 강도를 비교하여 수복물의 탈락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본다. 3. 결 과 Group 1,2,3,4 의 결합 강도 측정결과 Group 1의 평균 결합 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Group 4 의 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 (Group 1: 73.91N, Group 4: 12.01N) Composite resin의 결합강도가 Glass ionomer의 결합강도 보다 높았으며(p<0.05), 반복 하중을 가한 후의 결합강도 측정 결과 반복하중을 받은 Group에서 결합강도가 줄어들었다.(p<0.05) 또한 two-way ANOVA 분석 결과 수복 재료와 반복하중간에 교호작용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p<0.05) 4. 결론 composite resin의 결합 강도가 glass ionomer의 결합강도보다 높으며, 반복하중을 주었을 경우에는 composite resin과 glass ionomer 모두에서 결합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복하중에 대한 저항력은 composite resin 과 glass ionomer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반복 하중을 주는 횟수를 늘린 장기간의 실험과 thermocycling test를 추가로 병행한다면 좀더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1. Objectives Failure of Class V restorations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Among the factors, repeated occlusal force is also have effect.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are popularly used for class V resto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onding strength of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in class V restor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that repeated load had on the bond strength. 2. Material and Methods Samples were made by cow`s tooth (size:7mm*2mm*15mm). Hemi-circle shaped cavity was formed at 7-8mm height of sample and diameter was 3mm. Samples divided by four groups. Group I; Composite resin restoration, no repeated load cycle. Group II; Composite resin restoration, repeated load cycle. Group III; Glass ionomer restoration, no repeated load cycle. Group IV; Glass ionomer restoration, repeated load cycle.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restoration were performed by conventional method. Bond strength was measured by universal machine and fatigue test machine was used for load cycling. Indipendent t-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 analysis. 3. Results Compared to the group I,II,III,IV, bond strength of Group I was highest and that of Group IV was lowest(Group I; 73.91N Group IV; 12.01N). The presence of repeated load cycling was reduced the bond strength of restoration(p<0.05). And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was higher than that of glass ionomer(p<0.05). Between restoration material and load cycling, there were interaction(p<0.05). 4.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presence of an repeated occlusal force reduced the bond strength of restoration, which in exert tension around the buccal class V cavity. No difference resistance for load cycling between composite resin and glass ionomer restoration.

      • 유동성 복합레진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연구

        김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316

        최근 유동성 복합레진은 빠르고 간편하며 우수한 접근성으로 임상에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각 제품간 그리고 혼합형 복합레진과의 물리적 성질이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Filtek Flow, Tetric Flow, Revolution, Palfique Esthelite LV high flow)의 압축강도, 상대적 유동성, 방사선 불투과성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재료의 압축강도는 각 군당 10개의 시편을 국제 인증 규격(ISO 9917)에 따라 제작하고, 혼합형 복합레진(Z-100, 3M, USA)을 대조군으로 하여 만능 물성 실험기(Instron 4302,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대적 유동성은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과 sealant(TeethmateF-1, Kuraray, Japan)를 미국 표준 학회 규격(ADA flow test)에 따라 일정 부피(53 ㎣)를 30초간 가압 후 광중합하고 나타난 단면적을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Image-Pro Plus, Media Cybernetic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상대적 방사선 불투과성의 평가는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과 법랑질, 상아질의 각 시편(n=5)을 동일한 조건하에 촬영하여 Aluminum step wedge 두께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이상 3가지의 물리적 성질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압축강도에 있어서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 각 제품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동성 복합레진이 혼합형 복합레진(Z-100, 3M, USA)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p<0.001). 2. 각 제품간의 상대적 유동성은 Palfique Esthelite LV high flow, Revolution, Filtek Flow와 Tetric Flow순으로 높았고(p<0.001), Filtek Flow와 Tetric Flow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모든 제품은 TeethmateF-1(Kuraray, Japan) 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01). 3. 유동성 복합레진 4종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측정된 모든 유동성 복합레진은 상아질과 유사하거나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고 각 제품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그 중 Tetric Flow와 Filtek Flow는 법랑질과 유사하거나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다(p<0.001). 이상의 실험 결과는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은 혼합형 복합레진 보다 낮은 압축강도를 가지므로 임상에 적용 시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고려하여야 하며, 각 제품간 유동성의 유의한 차이는 시술 시 재료의 선택에 고려사항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의 방사선 불투과성은 모두 국제인증규격에 합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the clinical uses of flowable composite resins have increased because of fast, convenient and excellent accessibility, but little has been reported about physical properties of flowable res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compressive strength, relative flowability, relative radiopacity) of 4 comtemporary flowable composite resins(Filtek flow, Tetric Flow, Revolution Palfique Estelite LV high flow). To measure the compressive strength, flowable composite resins and conventional hybrid composite resin(Z-100, 3M, USA) were used. The specimens(n=10) were fabricated according to ISO 9917 and measured by Instron 4302. To measure the relative flowability, 4 flowable composite resins and sealant(TeethmateF-1, Kuraray, Japan) were used. Specimens(53㎣) were fabricated according to ADA flow test and pressed with 18g load for 30 seconds, then light cured. The surface size were measured by Image analyzer program(Image-Pro Plus, Media Cybernetics, USA). To measure the relative radiopacity, 2 mm thickmess specimens of 4 flowable composites, enamel and dentin specimens were used. The radiopacity was measured by transmission densitometer(Nuclear Associates, Division of victoreen, USA) then compared with calibration curve of Aluminum step wed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4 flowable composite resins in compressive strength, but all were lower than that of traditional hybrid composite resin(p<0.001). 2. The relative flowability were increased in order of Palfique Estelite LV high flow, Revolution, Filtek flow, Tetric Flow and sealant(p<0.001),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iltek flow and Tetric Flow.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lowable composite resins in relative radiopacity and they showed similar or higher radiopacity than dentin(p<0.001), especially Tetric Flow and Filtek Flow showed higher radiopacity than enamel(p<0.001).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stress of application area have to be considered since flowable composite resins have lower compressive strength than hybrid composite, and the differences of flowability between these flowable composite resins can be considered when they are selected. All tested flowable composite resins showed optimal radiopacity to ISO's recommend.

      • SrF_(2)계 충진재를 함유한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특성

        김희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32314

        이상적인 충전재는 심미성과 저작기능의 회복을 위한 적절한 물리화학적 성질, 생체친화성, 내구성과 항우식성 등이 요구된다. 변연누출로 인한 수복물 주위의 이차우식증이 복합레진을 재수복하는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런 변연누출 부위에 저농도의 불소가 존재한 경우 이차우식증이 감소되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 최근 불소를 방출하는 복합레진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데 이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복합레진에서 적절한 양의 불소가 오랜 기간동안 방출된다면 이상적인 수복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소함유 복합레진에서의 불소방출량은 글래스 아이노머 시멘트보다 매우 적고 항우식 효과도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불소방출 복합레진보다 많은 양의 불소를 방출시키기 위해 총 복합레진 중 불소의 함량이 각각 8, 16, 24 wt%가 되도록 SrF_(2)계 충진재를 첨가하여 3 종의 수복용 불소방출 복합레진 시험군(VF8, VFl6, VF24)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 및 불소방출량을 기존의 복합레진 제품인 Heliomolar(HE), Veridonfil(VE), Z100(ZE), Aelitefil(AE) 등의 대조군과 비교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험군의 3점 굽힘강도는 ZH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다른 대조군인 AE, VE와 비슷하였고, HE보다는 우수하였으며, 시험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p<0.05). 2. 시험군의 표면경도는 ZH보다 낮았고, AE, VE와 유사하였으며, 불소 방출 대조군인 HE보다는 높았다(p<0.05). 시험군 중에서는 VFl6, VF24가 VF8에 비해 표면경도가 높았다(p<0.05). 3. 시험군의 마모도는 대조군인 HE, ZH보다 낮았으며, 시험군 중에서는 VFl6, VF24가 VF8에 비해 낮은 마모도를 나타내었다(p<0.05). 4. 시험군의 물흡수도는 대조군인 HE, VE, AE와 유사하였으며, ZH보다는 낮았다(p<0.05). 시험군의 용해도는 대조군인 HE와 유의차가 없었으며, VE, ZH, AE보다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p<0.05). 5. 시험군은 대조군인 HE보다 9∼23배 많은 양의 불소를 방출하였으며, 시험군의 불소방출량은 SrF_(2)계 충진재의 함유량과 비례하였다. 6. 시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약한 정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SrF_(2)계 충진재를 첨가한 불소방출 복합레진 시험군의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은 기존의 복합레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소방출량은 기존의 불소방출 복합레진보다 현저히 높아 이차우식증에 대한 항우식효과도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luoride release and some mechanical properties including 3-point bending strength, amount of abrasion, surface hardness, water sorption/solubility and cytotoxicity of the newly developed composite resins containing 8, 16, 24 wt% SrF_(2) glass filler (VF8, VF16, VF24) and four commercially available composite resins, Heliomolar(HE), Verdonfil(VE), Z100(ZH) and Aelitefil(AE). To investigate cytotoxic effect, agar overlay assay was done. Amount of fluoride released into distilled water was measured over a 62-days period from VF8, VF16, VF24 and 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showed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to commercial composite resins, but 3-point bending strength and surface hardness of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were inferior to ZH. 2. Over a 62-day period,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d was ordered: VF24>VF16>VF8>HE. In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d was 9-23 times greater than HE and seemed to be proportional to the content of SrF_(2) glass filler. 3.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and all control composite resins showed mild cytotoxicity.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fluoride release from newly developed composite resins than control(HE) and addition of SrF_(2) glass filler did not decrease mechanical properties or increase cytotoxicity of composite resi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mply that newly developed composite resin have adequate mechanical properites, mild cytotoxicity and some potential for secondary caries prevention.

      • Effects of application methods of dentin bonding agents & Eugenol containing temporary cement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 상아질 접착제의 적용방법과 유지놀 함유 임시 합착제에 따른 미세인장강도

        조유나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3 국내박사

        RANK : 232314

        전부도재관이나 고식적 전장관등 고정성 보철치료 시 유지력의 증가를 위해서, 또는 최근의 심미 보철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전부 도재관등 심미 보철물의 접착을 위해 사용되는 composite resin cement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유지놀이 함유된 치과용 임시 접착제는 물성이 좋고 치수진정작용을 가지는 등 여러 장점으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임시 접착제이나, Composite resin cement과 같이 사용할 시에는 composite의 중합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유지놀 함유 임시 접착제를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퍼미스로 제거하고 산부식 처리 후에는 유지놀에 의한 효과를 줄일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으나 임시 접착제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은 힘이 들기 때문에, 유지놀의 composite resin 중합 방해 작용을 방지하게 위해 유지놀이 함유되지 않은 임시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상아질 접착제의 도포법을 다양화하는 방법이 그 동안의 많은 연구를 통하여 소개되어졌다. 이 연구는 상아질과 composite resin cement의 결합시 상아질 결합제의 적용법을 달리 하였을 때,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micro tensile tester 를 이용하여 치질과 composite resin 사이의 인장강도를 측정 하였다. 상아질 접착제로는 one-bottle dentin bonding agents 인 One-Step (Bisco. Inc. Schaumburg, IL, USA)이 사용되었다. 상아질 접착제의 도포방법은 대조군에는 임시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아질의 처리 직후 상아질 접착제와 composite resin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일반적 보철 치료에서는 임시 보철물을 필요로 하고, 임시 보철물은 임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1주일 이상의 사용기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실험군은 임시접착제를 사용하는 1 주일 동안의 저장 기간을 설계하였다. 1군은 Temp-Bond^(R) 도포 후 1주간의 저장 후 이를 제거하고 상아질 접착제 도포 후 composite resin을 축성하였고, 2군은 상아질 집착제를 도포하고 Temp-Bond^(R)를 도포 한 후 저장 기간 후에 composite resin을 축성하였다. 3군은 임시 접착제 사용 없이 저장 기간 전 후로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였으며, 4군은 Temp-Bond^(R) 전, 후로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는 dual application 방법을 사용하였고, 5군은 4군과 과정은 같으나 amphiphilic copolymer를 두 번째 상아질 집착제 전에 사용하여 두 상아질 접착제 간의 결합력을 증진하고자 하였다. 모든 군의 상아질 면은 임시 접착제 제거를 위해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pumice와 chlorehexidine으로 닦아내었다. 결과는 대조군과 3군이 가장 높은 인장강도를 보였으며, 2군은 가장 낮은 인장 강도를 가겼다. 2군에서 사용된 상아질 처리방법은 1군에서 사용된 통상적인 도포방법에 비해 매우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므로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추천될 만 하지 않으며, 4군에서 사용된 one-bottle dentin bonding agents의 dual application 방법은 상아질과 composite resin의 결합강도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5군에서 사용된 amphiphilic copolymer 의 작용은 실험상에서 확인할 수 없었다. 유지놀 함유 임시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 레진의 결합강도가 저하되었는데, 이는 유지놀의 효과인지 임시 접착제의 잔사에 의한 것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 Due to the recent elevated of interest in esthetic restorations, the clinical use of metal free restorations such as all-ceramic is increased. This trend has led to a frequent use of composite resin cements, which are esthetic, and have good mechanical properties. When resin cements are used with indirect restoration, some problems may lie especially in eugenol containing temporary c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methods of dentin bonding agents(DBAs) on bond strength between composite resin and dentin. Micro-tensile bond strength(μ-TBS) was measured. One-Step (Bisco. Inc. Schaumburg, IL, USA) for DBAs and Temp-Bond^(R) (Kerr corporation. Orange CA, USA) for temporary cement were used. Surface treatment and application of DBAs were fresh dentin as it is(Control), DBAs following Temp-Bond(Group 1), pre-treatment of DBA and then Temp-Bond(Group 2), dual application without temporary cement(Group 3), dual application of DBA with intermediate use of temporary cement(Group 4), dual application of DBA and amphiphilic copolymer(Group 5). Temporary cements were applied and then specimens were stored for 7 days in distilled water. The dentin surfaces of all groups were cleaned with pumice (non fluoride) and chlorhexidine. Control and Group 3 had higher μ-TBS than other groups, and Group 2 had lowest values. By the results, method of Group 2 not recommended. Within the limits of this experiments, dual application of dentin bonding agent could not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composite resin and dentin. Function of amphiphilic copolymer cannot be ascertained because of insufficient storage time. Eugenol containing temporary cements lowered the μ-TBS of composite resin and dentin. In this experiment, accurate cause can not be distinguished.

      • Effect of heat and sonic vibration on penetration of a flowable resin composite used as a pit and fissure sealant

        김해정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32314

        치면열구전색재가 교합면 우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치면열구전색재가 장기간 오래 유지되기 위해서는 침투도가 중요하고 침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열구 내 공기의 함입 및 유기잔사의 축척, 전색재의 점성 등이 있다. 그 중 점성은 필러의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면열구전색재보다 필러의 함량을 높인 flowable resin composite와 같은 레진은 기계적 성질은 우수하나 점성이 높아 침투도가 낮다. 한편 점성은 열과 진동에 의해 변화되어 침투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열과 진동을 이용하여 침투도를 평가한 선행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열과 음파 진동을 치면열구전색재로써 사용되어진 flowable resin composite에 적용 시 열구 내 침투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 바는 없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3가지 적용 방법 (conventional, heat, sonic vibration)에 따른 flowable resin composite의 침투도를 분석하고 3점굴곡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열과 음파 진동의 적용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45개의 건전한 상악 제3대구치를 실험을 위해 세 그룹으로 분배하였다(n= 15). 교합면을 브러쉬를 사용하여 세척하였고 35% 인산겔을 사용하여 20초 동안 산부식 후 세척 및 건조하였다. Conventional group은 25°C에 5분 동안 유지된 flowable resin composite를 25°C에 5분 동안 유지된 sonic vibration instrument를 사용하여 진동 없이 20초 동안 전색하였고 heat group은 50°C에 5분 동안 유지된 flowable resin composite를 50°C에 5분 동안 유지된 sonic vibration instrument를 사용하여 진동 없이 20초 동안 전색하였다. Sonic vibration group은 conventional group과 동일한 방법으로 25°C에 5분 동안 유지된 flowable resin composite를 25°C에 5분 동안 유지된 sonic vibration instrument를 사용하여 전색하였으나 진동과 함께 전색하였다. 절단 후 침투도의 분석을 위해 총 90개 절단면을 관찰하였다. 부가적으로 세 그룹 간의 3점굴곡강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sonic vibration group (98.27±4.46%)은 세 그룹 중 가장 높은 침투도를 보였고(p<0.001) heat group (86.47±12.88%)은 sonic vibration group보다는 낮으나 conventional group (73.92±15.19%)보다 높은 침투도를 보였다(p=0.003). 그러나 세 그룹 사이의 3점굴곡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연구를 통해 열과 음파 진동은 flowable resin composite의 열구 내 침투도를 증가시켰고 특히 음파 진동은 100% 가까운 가장 높은 침투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치면열구전색 시 flowable resin composite을 사용함으로 기계적 성질을 증가시킬 수 있고 높아진 점성은 열과 음파 진동에 의해 낮추어 침투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it and fissure sealants have been used as a measure to prevent dental caries within the occlusal surface. The ability of sealants to penetrate successfully into pits and fissures can ensure increased clinical longevity in sealant retention. Factors influencing sealant penetration into fissures include the entrapment of air within the fissure, accumulation of organic substances within the fissure, and viscosity of the sealant. The viscosity is typically altered by the content of filler. Pit and fissure sealants such as flowable resin composites with higher filler content than traditionally used sealants may exhibit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an increase in filler particle increases viscosity, which may reduce overall penetration. Also, viscosity is influenced by heat and vibration, which can affect penetration. Previous studies have evaluated penetration using heat and vibration methods. However, no reports are available regarding the effect of heat and sonic vibration on penetration in fissure when using a flowable resin composite as a pit and fissure sealant. Henc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penetration of a flowable resin composite into fissures using three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1) conventional, (2) heat, and (3) sonic vibration. In addition, I aimed to compare three-point flexural strength of the flowable resin composite among these methods. Forty-five sound maxillary third mola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15 per group) based on sealing system used.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teeth were cleaned with water and rotating brittle brushes. The fissure system of each tooth was then etched with 35% phosphoric acid gel for 20 seconds. The teeth were washed thoroughly and dried with oil-free compressed air. In the conventional group, flowable resin composites, stored at 25 °C for 5 minutes, were applied into fissures for 20 seconds without vibration using a sonic vibration instrument that had also been stored at 25 °C for 5 minutes. In the heat group, flowable resin composites, stored at 50 °C for 5 minutes, were applied into fissures for 20 seconds without vibration using a sonic vibration instrument that had also been stored at 50 °C for 5 minutes. In the sonic vibration group, flowable resin composites were applied into fissures for 20 second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for the conventional group, but with the addition of sonic vibration. The crowns were sectioned and a total of 90 surfaces were examin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In addition, three-point flexural strength was analyzed. The sonic vibration group (98.27 ± 4.46 %) exhibited the greatest penetration into the fissure among three groups (P<0.001). The heat group (86.47 ± 12.88 %) exhibited greater penetration than the conventional group (73.92 ± 15.19 %) into the fissure (p=0.003). However, three-point flexural strength was similar among all groups (P>0.05). So, conclusion is that heat and sonic vibration increase penetration into fissures. Notably, sonic vibration exhibited the greatest penet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mechanical properties by using flowable resin composites which have higher filler content than traditionally used sealants; increased viscosity by the addition of filler can be lowered by heat and sonic vibration, while improving penetration greatly. Therefore, heat and sonic vibration can achieve both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penetration. In particular, sonic vibration can achieve perfect penetration near 100 %.

      • Color differences between packable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of the same brand and among the flowable composite resins of different brands

        아키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03

        Color differences between packable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of the same brand and among the flowable composite resins of different brands Muhammad Akira Takashi Dharma Majoring of Head & Neck Anatomy and Imaging Scienc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Young-Seok Park, D.D.S., M.S.D., Ph.D.) Objectives: Commercial composite resins of different manufacturers seems to differ in their color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shade designation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tra-brand differences between packable and flowable composites in color parameter, and inter-brand differences of flowable composite. Methods: Five brands of flowable composite and 2 brands of packable composites were compared in this study. Color measurement was conducted using the benchtop spectrophotometer with the CIELAB models. The color differences (ΔE) were calculated using CIEDE2000 formula.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ann-Whitney, Kruskal-Wallis test, with the post hoc multiple pairwise (p = 0.05). Results: The distribution of L*a*b* coordinates demonstrat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five flowable composites among several color designation (p<0.05). The intra-brands among packable and flowable resins also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some shade designations. For the color difference pairs among various composites, 90% pairs exhibited over the acceptable threshold (ΔE00>1.8). Conclusions: The color values of the resin composite us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brands. In addition, many pairs of packable and flowable resin of the same brand also indicated the color dissimilarity in each designation using the perceptibility and acceptability threshold. Keywords: Composite resin, flowable resin, spectrophotometry, color parameter, color difference Student Number: 2022-27821 동일브랜드 고점도와 저점도 복합레진간 색상 차이 및 브랜드간 저점도 복합레진간 색상 차이 연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의과학과 구강악안면해부및영상과학 전공 (지도교수 : 박 영 석) Muhammad Akira Takashi Dharma 배경: 시중에 판매되는 복합레진은 대체적으로 유사한 색조 표기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실제 색상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목적: 다양한 브랜드의 저점도 복합레진들 간과 동일 브랜드에서 제조된 저점도 복합레진과 고점도 복합레진 간의 색상 매개변수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5가지 브랜드의 저점도 복합레진들 간의 차이와 2가지 브랜드에서 고점도 및 저점도 복합레진간 차이를 비교했다. 색상 측정은 CIELAB 모델의 탁상용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색상 차이(ΔE)는 CIEDE2000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으며, 데이터는 사후 분석은 Mann-Whitney, Kruskal-Wallis 테스트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했다(p = 0.05). 연구결과: L*a*b* 좌표의 분포는 여러 색상 표기에서 5개의 유동성 합성물 간에 통계적 차이를 보여주었다(p < 0.05). 고점도 및 저점도 수지 간의 동일 브랜드 간 차이도 일부 색상 표기에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또한 동일 색상 표기 복합레진 간 전체 비교에서 90%의 조합에서 허용 임계값(ΔE00>1.8)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용된 복합레진 간의 색상 매개 변수들은 브랜드에 따라 크게 달랐다. 또한, 동일한 브랜드의 저점도 및 고점도 레진 조합 다수에서 인지 및 허용임계값 기준을 초고하는 차이를 나타냈다. 주요어 : 복합레진, 저점도 복합레진, 분광 광도법, 색상 매개변수, 색상 차이 학번 : 2022-27821

      • 치과용 광중합형 유동성 복합재의 특성에 대한 연구

        유호남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98

        본 연구에서는 복합레진의 레진기질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Bisphenol A glycerolate dimethacrylate(Bis-GMA)를 사용한 유동성 복합레진과 Bis-GMA의 propylene glycol기를 ethoxyl기로 치환하여 점도를 낮춘 Bisphenol A ethoxylated dimethacrylate (Bis-EMA)를 레진기질로 사용한 유동성 복합레진을 비교?분석 하였다. 4가지 레진기질[Bis-GMA/TEGDMA(70wt%:30wt%), Bis-EMA(100wt%), Bis-GMA/TEGDMA/ UDMA(35wt%/15wt%/50wt%), Bis-EMA/UDMA(50wt%/ 50wt%)]을 사용하여 필러 43wt%, 레진기질 57wt%의 유동성 복합레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복합레진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2가지 제품의 중합깊이, 기계적강도(간접인장강도, 압축강도, 굴곡강도) 및 중합전환율, 중합수축률, 유변성(Rheology), Slump resistance, 수분흡수도와 용해도를 측정?비교하였다. 제조한 Bis-GMA based 유동성 복합레진과 Bis-EMA based 유동성 복합레진의 기계적 강도는 유사하였으며 UDMA를 레진기질과 혼합하여 만든 유동성 복합레진의 기계적 강도는 Bis-GMA, Bis-EMA를 단독으로 사용한 유동성 복합레진보다 15∼21% 증가하였다. Bis-EMA based 유동성 복합레진과 Bis-GMA based 유동성 복합레진은 shear rate가 증가할수록 점도가 작아지는 shear thinning 거동을 보였고 Bis-EMA based 유동성 복합레진의 점도 하락률이 더 크게 나타났다. Bis-EMA based 유동성 복합레진은 Bis-GMA based 유동성 복합레진보다 storage modulus가 높은 solid-like material의 거동을 보였으며 slump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isphenol A ethoxylated dimethacrylate(Bis-EMA) based flowable composite resins with Bisphenol A glycol dimethacrylate(Bis-GMA) based flowable composite resins. Four resin mixtures [Bis-GMA/TEGDMA(70wt%/30wt%), Bis-GMA/TEGDMA/ UDMA(35wt%/15wt%/50wt%), Bis-EMA(100wt%), Bis-EMA/UDMA(50wt%/ 50wt%)] were used as resin matrix. A fumed sillica(0.05㎛) and barium glass powder(1㎛), in which both filler surface were treated with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γ-MPS), were used as inorganic filler. Flowable composite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filler(43wt%) and the resin matrix(57wt%). Two commercial flowable resins(Charmfil, Quadrant flow) were employed as control group. Depth of cure, mechanical properties(diametral tensile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water absorption, water solubility, polymerization shrinkage, degree of conversion, slump resistance and rhe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is-EMA flowable resin were similar with those of Bis-GMA flowable res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UDMA mixed flowable resin showed 15%∼21% higher than those of Bis-GMA, Bis-EMA flowable composite resin. All flowable composite resi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exhibited pseudo plasticity; in which the complex viscos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shear rate. Bis-EMA based flowable resin has higher storage modulus and slump resistance than Bis-GMA based flowable resin.

      • 표면처리에 따른 gold electroformed surface의 간접 복합 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

        최성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298

        Gold Electroformed System(GES)은 우수한 변연적합성, 우수한 생체친화성, 0.2 mm의 얇고 균일한 두께로 치아 삭제량의 감소, 균일하고 높은 금속 밀도, 재료의 효율적인 이용과 기공시간의 감소 등의 장점으로 기존의 금속-도재 수복물을 대체하여 임상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GES coping에 대한 porcelain veneering의 경우 도재 소성시 가해지는 고온의 열에 의해 coping이 변형되거나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porcelain의 재료학적 특성상 chipping, fracture등의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어서 composite resin veneering이 GES coping 자체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porcelain veneering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a$$a최근에는 Synfony™, TESCERA™ 등 강도 및 심미성이 더욱 증가된 micro-hybrid composite resin이 개발되어 dental porcelain을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composite resin과 순금 표면 사이에서의 적절한 결합력이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는 adhesive failure가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a$$aGES coping과 composite resin사이의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가 제시되어 왔다. GES 표면에 bead 형상을 추가함으로써 macro-mechanical retention을 얻는 방법, GES 표면에 sandblasting이나 etching technique을 이용한 micro-mechanical retention을 얻는 방법, GES 표면에 micro-mechanical retention과 더불어 metal conditioner나 silica coating 등의 표면처치 하는 방법 등이 대표적이다.$$a$$aBead를 추가하여 얻는 macro-mechanical retention의 경우 GES에 적절한 undercut을 갖는 bead 자체를 형성하기 어렵고 bead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치아삭제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양한 표면처리가 resin과 귀금속간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발표된 바 있으나 99.9% 순금인 GES coping에 대한 resin과의 결합력에 대한 연구 발표는 미미한 실정이다.$$a$$a이 실험에서는 귀금속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표면 처리 방법인 silica coating (ex. Rocatec system (3M ESPE, Seefeld, Germany)), 귀금속용 metal conditioner(ex. Metaltite (Tokuyama Dental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GES coping을 전처치한 후 간접 복합 레진인 Synfony™(3M ESPE, Seefeld, Germany), TESCERA™(Bisco, Inc., Schaumburg, Illinois, U.S.A.)를 대상으로 각각의 shear bond strength를 sandblasting만을 처치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 비교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a$$a1. GES coping에 Rocatec system를 처치한 군과 sandblasting과 Metaltite를 처치한 군은 sandblasting 만을 처치한 군보다 shear bond strength가 높았지만(p<0.05) Rocatec system을 처치한 군과 sandblasting과 Metaltite를 처치한 군 사이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a$$a2. Rocatec system, sandblasting과 Metaltite, sandblasting만을 처치한 각 군에 있어서 Synfony™, TESCERA™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p>0.05).$$a$$a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GES coping에 대해 Rocatec system으로 처치한 군, sandblasting과 Metaltite를 처치한 군과 같은 표면처리를 동반한 경우 Synfony™, TESCERA™와 같은 간접 복합 레진과 GES coping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임상조건 하에서의 내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a$$aGES is being widely used compared to contemporary metal-porcelain restorations due to its good marginal adaptation, good biocompatibility, reduced tooth reduction due to its thin and equal thickness of 0.2 mm, equal and high metal density, reduced material use and lab time. However, contemporary porcelain veneering with GES coping due to its high temperature while porcelain furnacing could weaken and deformed the restoration.$$a$$aSuch problems were solved by utilizing resin instead of dental porcelain as the veneering material. Recently, micro-hybrid composite resin with improved strength and esthetics such as Synfony™ ,TESCERA™ were invented as replacements of dental porcelain. However, insufficien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interface of composite resin and pure gold could result in adhesive failure.$$a$$aMany suggestions have been made to improve bonding between GES and$$a$$acomposite resin. Methods such as macromechanical retention by beading on the GES surface, micro-mechanical retention by sandblasting or etching techniques, micro-mechanical retention with metal conditioners and silica coating (ex. Rocatec system) have been suggested.$$a$$aIn the case of macro-mechanical retention by adding beads, beads of adequate ubdercuts are hard to manufacture and increased tooth reduction to obtain bead space is inevitable. Even though studies on effects on bonding strength between resin and noble metal by surface treatment have been reported, studies on bonding strength between 99.9% pure gold GES coping and resin are a rarity.$$a$$aIn this experiment, following pre-treatment of GES coping with widely used surface treatment methods of noble metals such as Rocatec system, Metaltite, shear bond strength of each famous contrastive indirect composite resin Synfony™ and TESCERA™ were compared to the sandblasted control groups.$$a$$a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a$$a1. The shear bond strength of Rocatec system and Sandblasted Metaltite treated GES coping were higher compared to the solely sandblasted groups(p<0.05). Howe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to be found in the two groups(p>0.05).$$a$$a2. Rocatec system, sandblasted Metaltite and sandblasting onl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Synfony™ and TESCERA™(p<0.05).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sults, it could be said that surface treatment of GES coping with Rocatec and sandblasted Metalti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nding strength of indirect composite resin.$$a$$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