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통적용 가능한 Bluetooth 플랫폼 설계 연구 : 안드로이드 AOSP 기반 환경에서

        이병호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스마트폰이 전 세계에 보급 된 지 5년, 특히 안드로이드 기반의 폰들이 많이 보급 되면서 그와 더불어 수많은 주변기기 들이 출시되었다. 그중에 특히 Bluetooth 기술을 이용한 액세서리 장치 들이 광범위 하게 개발 되었다. Bluetooth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산업 표준이며 에릭슨이 최초 개발하였다. Bluetooth는 개발하기 쉽고 확장성이 용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안드로이드 기반의 폰에 적용되는 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스마트 폰 제조사 들은 구글의 AOSP 구조를 각 제조사 시나리오에 맞게 변경함에 따라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Bluetooth 장치들 간의 호환성 이슈들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스마트 폰 제조사는 제조사별로 이에 따른 패치를 구현하여 적용해야 하고 Bluetooth 기기 개발업체 또한 마찬가지로 이슈에 대해서 보완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제조사별로 AOSP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개발 할 수 있는 설계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고 Bluetooth 기기와의 연결 및 세부 동작에 대해서 호환성 이슈를 보완하고 공용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t has been five years since Smartphones have supplied in all over the world. In relation to the increase supply of the Android Smartphones, the manufactures of Smartphone-related accessories also have been increased. Among the many Smartphone accessories, the ones using Bluetooth tech. are the mostly developed. Bluetooth is the standards for the remote wireless communication, and Ericsson is the founder of the Bluetooth system. Because Bluetooth system is very simple and easy to develop; Therefore, Bluetooth is applied to many other accessories. With their accessibility, recently the accessories using Bluetooth system for Android Smartphones have been increased. The Smartphone manufactures have to face problems such as changing their scenarios to fit into Google’s AOSP system, so the compatibility between Bluetooth system and devices has become an issue on the market. In order to prevent these problem, Smartphone manufactures should develop their own patch so they can apply themselves. In addition, the Bluetooth device manufactures should also update their system regarding to this issue. In this study, I will address the idea of how to develop blueprint for each of the manufacture as maintaining AOSP system. I will also suggest the publication plan as well as compatible issues regarding to Bluetooth’s connectivity in small details of descriptions.

      • Bluetooth broadcasting VLSI system 설계

        배준철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에서는 Wireless Communication 규격인 Bluetooth를 이용하는 Broadcasting System을 제안하였고, 이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Bluetooth Specification 1.1에 대해 연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Bluetooth Module의 control 방법을 Bluetooth Development Kit으로 확인 하였으며, Wire Communication을 통한 Data 및 information 중계 방안, HCI command와 event의 처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안에 따라 전체 아키텍쳐 및 상하위 아키텍쳐를 설계하고, Bluetooth Development Kit과 VHDL coding을 통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coding된 VHDL을 바탕으로 Controller에 대한 FPGA chip으로의 구현을 진행하였다. A Broadcasting System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Spec. was presented. For the system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 Control Module was presented. Based on the presented Controller Module, Overall Architecture and Low Level Architecture was designed and verified with VHDL code simulation. And Hardware implementation by FPGA chip was progressed. Also the board design through schematic and PCB drawing was progressed.

      • Bluetooth 통신을 이용한 LAN Access에 대한 연구

        박현영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블루투스(Bluetooth)는 기기간을 연결하는 복잡한 전선이 없이도 실시간 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 네트워크 규격이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의 여러가지 활용 모델들 중 LAN Access Point에 대해서 연구했다. OpenBT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한 Bluetooth LAN Access Point용 Embedded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1대1 LAN Access Point를 구현했다. 블루투스 카드를 장착한 PC가 인터넷에 연결된 LAN Access Point와의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로 무선 접속할 수 있었다. 1대1 LAN Access 응용 프로그램은 여러 대의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동시에 접속하는 또 다른 LAN Access Profile에 활용할 수도 있고, DHCP 서버 기능이나 Handoff/Roaming 기술을 추가로 구현하는데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Linux를 기반으로 작성된 공개 소스인 OpenBT stack을 이용해서 블루투스 제품을 개발하는 하나의 방법을 제시한다. Bluetooth has been regarded as a promising solution to an inexpensive wireless connection. Although initial application of Bluetooth technology has been focused mainly on replacing cables between hand-held devices, general wireless telecommunication such as public Internet access via a Bluetooth-equipped device is expected to be one of the most popular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Bluetooth applications provide LAN Access for a single Bluetooth device using PPP networking over serial cable emulation. The applications use OpenBT protocol stak and Korwin API. The PPP connection is carried over RFCOMM, which is used to transport the PPP packets and provide flow control of the PPP stream. We show the Data Terminal can use Web browsers, FTP, Telnet services as if it were connected to the LAN via dial-up networking.

      • 블루투스 환경에서의 무선LAN에 의한 전파간섭 영향에 관한 연구

        전찬욱 群山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943

        This paper shows measurements and analysis of the following three cases for influences of radio interference by using BER of Bluetooth : (1) no interference sources, (2) increase in number of Bluetooth equipments, and (3) existence of interference with wireless LAN. In the first case, BERs of transmitting signals in all packet types such as DH1, DH3 and DH5 are below 0.001. This means that there are few errors in them and we can get the expected communicating speed in all types. In the second case, comparing with the first case, we could notice that BERs increase clearly in all types and the longer the length of payload is, the higher BER is and the more frequent errors occur. Thus, the communication using DH5 and so forth shows higher transmitting speed but higher noise and errors. In the third case, errors often occur due to higher BERs. This is caused that formating methods of hopping pattern and hopping time are different in IEEE802.11 and Bluetooth. And the occurrence of errors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case. From the results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influence by radio interference will become an issue.

      • Improving the Bluetooth and Wi-Fi Coexistence Issue using a Canceller : Canceller 를 이용한 Bluetooth 와 Wi-Fi 성능 향상

        전원홍 DGIST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Bluetooth and Wi-Fi are two common wireless technologies today and are especially prevalent in smart phones. Although these two technologies are convenient, if the two are used simultaneously, performance degradation, such as throughput and communication valid distance, occurs.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and effective solution for resolving the in-device coexistence problem between Wi-Fi and Bluetooth. The main idea is to introduce a canceller in the circuit to cancel out the in-device interference when Wi-Fi and Bluetooth radios operate simultaneously in one device. Based on the testbed, extensiv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olution gives substantially better performance than existing methods. Our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provides more isolation to use AFH mechanism in small devices than current techniques. Our proposed approach, entitled the hybrid arbitrator,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both of Wi-Fi and Bluetooth. 최근 스마트폰과 같이 한 단말기에 Wi-Fi 와 Bluetooth 기능이 공존하는 기기가 많다. Bluetooth 와 Wi-Fi 는 같은 2.4GHz ISM band 를 사용하는데 동시에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면 상호간섭으로 인하여 통신 유효거리, 통신속도 등 성능저하가 일어 난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EEE 802.15.2 표준이 있다. 이 표준에서는 PTA, AWMA, DSE, APSS, AFH 기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중 AFH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AFH 방법은 Bluetooth 가 channel hopping sequence 를 결정할 때, 전체 채널의 noise level 을 검색하여 noise 가 많은 채널은 bad channel 로 등록하고 hopping sequence에서 제거하는 방법 이다. Wi-Fi 의 한 개 채널당 bandwidth 는 20MHz 이기 때문에 Bluetooth 가 사용하는 전채 bandwidth: 83.5MHz 에서 20MHz 를 뺀 나머지를 사용하면 될 것 같지만, 실제로 한 단말기내에서는 공간이 부족하여 Wi-Fi 와 Bluetooth 안테나가 가까이에 있어 Wi-Fi 가 송신신호를 내보낼 때, sideband lobe 가 영향을 주어 Bluetooth SINR 이 내려간다. 반대로 Bluetooth 가 송신신호를 내보내고 Wi-Fi 가 수신상황일 때도 Bluetooth 의 송신신호가 영향을 주어 Wi-Fi 수신 감도가 내려가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Canceller 를 이용하였다. 송신신호를 Coupler를 통하여 1%의 cancel 신호와 99% 송신신호로 나누어 송신 신호는 안테나를 통하여 방사 시킨다. 이때 cancel 신호는 위상 반전 및 delay 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의 위상과 반대되는 신호로 가공하고 수신안테나를 통하여 들어오는 자기 간섭신호와 합해져 간섭신호를 제거한다. 본 연구의 성능 검증을 위하여 실제 하드웨어를 설계하고 상용제품에 적용하여 적용전 후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송신성능의 저하 없이 수신성능이 Bluetooth 의 경우 약 50%, Wi-Fi 의 경우 약 20% 성능향상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술은 공간적으로 작게 설계가 가능함으로 상업적으로 즉시 사용이 가능하며,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간섭제거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 Bluetooth와 IEEE 802.11의 기술비교와 성능평가

        심기섭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2.4GHz 대역의 무면허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밴드에서 동작하는 대표적인 무선통신 프로토콜로서 Bluetooth, IEEE 802.11, 그리고 HomeRF등이 있다. 최근 이러한 프로토콜을 이용한 기기들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에 주파수의 한계에 도달하면 기기간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현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또한, 이런 현상은 기기들이 전송을 위해 대기해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며, 데이터 전송률의 저하도 초래한다. 현재 앞서 열거한 프로토콜을 이용한 제품들이 상용화 되고있는 가운데, 동일한 환경에서 어떤 프로토콜이 더 적합한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와 IEEE 802.11의 기술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 노트북 또는 이동전화에서의 성능을 비교 평가한다. 그리고 Bluetooth와 IEEE 802.11의 간섭에 의한 프로토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한다. Bluetooth, IEEE 802.11 and HomeRF are representative protocols of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are operating in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with 2.4GHz bandwidth. If machines use those protocols in the same bandwidth upto limit of frequency then it is possible to lead to interference phenominon between machines. Recently, this kind of researches are active. The interference phenominon raises several problems such as waiting transmission between machines or degradation in data transmission. There exists off-the-shelf products using those protocols at present and it is a valuable research that which protocol is appropriate in the same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 technical features of Bluetooth and IEEE 802.11 are presented and based on it,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aptop or mobile phone are depicted. Finally this paper analyze the result of simulation about the protocol performance by interference between Bluetooth and IEEE 802.11 and presents the future work.

      • Bluetooth LAN Access Profile 설계 및 구현

        박우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논문에서는 현재 무선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술인 Bluetooth를 사용한 LAN Access Profile에 대하여 연구하여 다른 모든 무선으로의 대안들 보다 우월한 기술인 Bluetooth를 소개하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구현 방안을 제시한다. 아울러 Home network에 Bluetooth를 적용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제시하며,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방법을 제시하여 본 시스템 구현의 당위성을 소개한다. 이를 위하여 Bluetooth 프로토콜 전체 스택에 대해서 살펴본 후에 Windows CE로의 이식을 고안하고 이에 필요한 함수들을 제안하고 LAN Access Profile을 구현하는데 사용한 중요 기술들을 설명한다. 또한 본 논문의 설계에서 사용한 개발 환경과 Target Board 지원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 초기, 중기, 후기의 각 개발 단계별 최적의 설정을 소개한다. Windows CE 개발에 필요한 Target Board로는 Intel의 Assabet Board를 사용하며 이 Board의 활용에 대한 Solution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상기의 설계 방안에 따라 LAN Access Profile을 구현한 후 구축한 시스템의 동작 상황, 성능 분석 결과를 보임으로써 본 논문의 연구 내용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며 결론에서 Bluetooth 차기 버전으로의 이식 문제와 RTOS(Real Time Operating System)로의 이식을 고려해본다. This thesis proposes an effici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method for LAN access profile using Bluetooth, which is an important technique in a wireless environment. It shows that Bluetooth is superior to all the other wireless counterproposal. In addition, it suggests some home-networking and various wireless applications with the Bluetooth, which leads to the reason of system embodiment in this thesis.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the whole stack of Bluetooth is examined, transplant to Windows CE is conceived, and some important techniques used to implement the LAN access profile is explained. It also introduces optimal development environment and target board software. These have been shown according to the first, the middle, and the final development phases. The Intel Assabet board has been used to develop the Window CE and a solution to utilize this board is also suggested. Finally, the LAN access profil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oposed technique is verified with the viewpoint of operability and performance criteria such as connection time. Transplanting to the next version of Bluetooth and transplanting to a real-time operating system should be continued as future studies.

      • Bluetooth를 이용한 무선 인터폰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오영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최근에 개인용 컴퓨터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급속도로 발진함으로써 가정에서도 정보를 찾고 이용하려는 시도가 늘어가고 있다. 이런 상황을 가시화 하듯이 현재 사이버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기존의 아파트를 사이버 아파트로 변경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아파트의 경우 유선 인프라로 시공시 막대한 공사비가 들어간다. 이에 대한 대안이 현재 급속히 발진하고 있는 근접 무선데이터 통신일 것이다. 근접 무선데이터통신은 HomeRF, WirelessLAN 그리고 블루투스(Bluetooth)등이 있고 이들은 비교적 근거리의 무선 링크를 구성하여 장치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블루투스는 공개된 규격으로 케이블 없이 고정 또는 휴대 기기들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FH(Frequency Hopping)방식을 사용하고 주파수 도약율이 1600hops/s으로 고속이어서 특히 페이딩과 간섭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저전력 으로 동작하므로 휴대용 기기에 적합하다. 블루투스는 기기간의 편리한 연결에 중점을 두고 만들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려운 조작없이 블루투스가 탑재된 다양한 기기와 접속하여 통 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사이버 아파트등에서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인터폰을 구현 하였다. 송신부에서는 카메라에 MPEG 인코더와 비디오 디코더로 영상 처리 블록을 만들고 영상 처리 블록이 CPU와 인터페이스 하도록 FPCA를 사용하여 제어신호 및 FIFO 기능을 구현하였다. 블루투스 모듈이 80196 CPU에서 동작하도록 블루투스 L2CAP 계층과 블루투스 HCl 계층 프로토콜 스택을 프로그래밍하고 또한 영상 처리 블록을 위한 드라이버 프로 그램을 개발하였다. 수신부는 PC에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블루투스 모듈이 Windows 98 OS 위에서 동작하도록 블루투스 L2CAP 계층과 블루투스 HCl 계층 프로토콜 스택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신된 MPEG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하여 MPEG 디코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Recently, it is rapidly developed that personal computer, Internet, Communication and etc. This developed technology enables many people interested in Home Automation. Demand of intelligent apartment increases rapidly and it is frequent that old apartment change new intelligent apartment because of this interest. It is much costly that Old apartment change new intelligent apartment using wired network. Alternative against wired network is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ing low-cost technologies such as HomeRF, HomePNA, and Bluetooth, they will use wireless links to both access wide-area communications and exchange data among themselves. In particular, Bluetooth is an open specification technology for short-range radio link intended to replace the cable(s) connecting portable and/or fixed electronic devices. Bluetooth uses FH(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techniques. Bluetooth robust multi-padding channel and interference, because the frequency hopping rate is fast by 1600hops/s. Bluetooth is suitable to be use in portable devices because of low consumed power. The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also allows users to make effortless, wireless and instant connections between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desktop and notebook computers. In this paper, we implement wireless video door phone using the Bluetooth for intelligent house. Transmitter is consisted of camera, image processing block, CPU, FPGA and Bluetooth module. Image processing block is made of MPEG encoder and video decoder. FPGA makes control signal and supplies FIFO function so that Image processing block may interface with CPU. We program protocol stack of L2CAP layer and HCl layer in Bluetooth so that Bluetooth module acts in 80196 CPU. We also make driver program for image processing block. Receiver is made of PC and bluetooth module. We program protocol stack of L2CAP layer and HCl layer in Bluetooth so that Bluetooth module acts in Windows 98 OS. Also, we make MPEG decoder program to reconstruct received MPEG data. Keyword

      •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 홈오토메이션 테스트베드 구현

        이광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Recently, the idea of a home automation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many literatures and home appliances companies. Home automation is a house or living environment that contains the technology to allow devices and systems to be controlled automatically. An Internet access to a home area network could let one use a locally and remotely access to the home control, the central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opening the curtain, lighting control systems, ventilating, and turning on/off an appliance. It could control many devices which are working together to keep home comfortable and to support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people. The interface supports the browsing, the navigation of network devices, context structures, and the user can interact with individual devices on the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interface can access to control the context structures and the state of objects within these devices. The interface can be used to access a local home automation network from a standard desktop PC with attached hardware for a device module and Bluetooth. It can provide access and control services to the home network from any computer with an Internet connection. Bluetooth attempts to provide significant advantages over the other data transfer technologies, such as IrDA, Home RF, and Wireless LAN. Home automation is one of the major applications of Bluetooth technology. It was designed primarily as a cable replacement technology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and data communication that uses short-range radio links to operate in the 2.4 GHz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band. Moreover, it is a recently developed technology that uses radio frequency(RF) transceivers to provide point-to-multipoint wireless connectivity within a personal space. Frequency-hop spread spectrum techniques applied with a high hopping rate and short packet lengths (1600 hops for single slot packets) for noise immunity. The Bluetooth was designed for both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at low power-unit costs while consuming little power. To achieve the cost and power goals, Bluetooth limits connectivity to a sphere of about 10 meters radius(Class 1 versions can stretch the effective range up to 100 meters) while providing a maximum data rate of 723 kbps. Thus, the Bluetooth technology is quite suitable for a home wireless networking environmen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mote control system,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home electrical appliances over the Bluetooth network in the home. The need for a physical connection to the devices is removed by using the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to control a home appliance over the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This thesis describes the hardware for devices and software for the considerations of the home automation system. Possible developments of Bluetooth wireless technologies have been discussed. Home automation uses a PC which is based on intelligence to integrate and to control electronic products in the home. Home appliances consist of many devices interconnected with different ways. Sensors communicate a measured data, and actuators communicate simple data collection units (I/O) and an order. They basically communicate through the interface board in the PC. The interface board for home automation systems is implemented through PC interfaces such as the parallel, serial, or USB port. In addition, the interface board connects the devices which are interfaced with the PC via a transceiver, and transfers via the Bluetooth module. The device can be controlled both manually via the local switches and remotely via the Bluetooth. Simulation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the Bluetooth home network have been conducted. Furthermore, the software program is developed using the visual C++ language. The way how to operate between the server PC controller and the several client devices through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ling has been also shown in this thesis.

      • Bluetooth 시스템의 채널에 따른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박래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943

        최근에 근접 무선데이터통신에 대해 많은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근접 무선 데이터 통신은 HomeRF, HomePNA 그리고 Bluetooth와 같은 저가의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링크를 구성하여 이러한 장치들간에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Bluetooth는 공개된 규격으로 케이블 없이 고정 또는 휴대 기기들간에 근거리 무선 링크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 Bluetooth는 현재 IEEE 802.15 분과인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G(Working Group)에 표준으로 제안된 상태이다. Bluetooth는 사용자가 핸드폰, 데스트 탑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 같은 다양한 통신기기들 간에 쉽고 빨리 무선 연결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음성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간섭으로부터의 보호나 데이터의 보안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Bluetooth는 FH(Frequency hopping) 방식을 사용하고 변조방식은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를 사용한다. 주파수 도약율은 1600hops/s이고 대역폭은 1 MHz이며 데이터율은 1 Mbps 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79개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도약을 하며 일본, 프랑스와 스페인에서는 23개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2 가지 종류의 FEC(Forward Error Correction)가 사용이 되는데 그 중 하나는 2/3(15, 10) 단축 해밍 코드이고 하나는 1/3 비트 반복 코드이다. 이 시스템은 동기와 비동기 링크 모두를 지원한다. 또 일 대 일 연결과 일 대 다점 연결을 이루는 네트워크를 피코넷(piconet)이라 한다. 같은 피코넷에서는 같은 도약 주파수 열을 사용한다. Bluetooth는 2.4 GHz의 ISM 밴드를 사용한다. 이 대역은 무선 LAN과 같은 대역으로 상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채널에 따른 Bluetooth 시스템의 성능을 살펴본다. 전송채널로는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페이딩(fading) 채널을 고려하고 각 FEC를 사용하였을 때의 Bluetooth 시스템의 성능을 살펴본다.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ing low-cost technologies such as HomeRF, HomePNA, and Bluetooth, they will use wireless links to both access wide-area communications and exchange data among themselves. In particular, Bluetooth is an open specification technology for short-range radio link intended to replace the cable(s) connecting portable and/or fixed electronic devices. It is proposed to be the IEEE 802.15 standard for personal area networks. The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allows users to make effortless, wireless and instant connections between variou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desktop and notebook computers. Since it uses radio transmission, transfer of both voice and data is in real-time. The sophisticated mode of transmission adopted in the Bluetooth specification ensures protection from interference and security of data. Bluetooth uses FH(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techniques. The hopping rate is 1600 hops/s and the bandwidth is 1 MHz. It covers 79 hop frequencies in most the countries and 23 hop frequencies in Japan, France, and Spain. The system gives a gross data rate of 1 Mbps and it uses GFSK(Gaussian filtered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or. Two types of FEC(forward error correction) coding are available. They are rate 2/3 shortened Hamming code (15, 10) and rate 1/3 bit repeat. The system supports both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links. A network of devices in a point-to-point or point-to-multipoint connection forms a piconet. Devices from the same piconet share the same hopping sequence whereas devices from different piconet have different hopping sequences. Bluetooth radio operates in the unlicensed ISM band of 2.4 GHz. This creates interference on the device from other devices operating in the same frequency band including microwaves and devices enabling various wireless LAN standards. This paper analyzes the BER(Bit Error Rate) performance of a Bluetooth system in the presence of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nd fading(multipath) cha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