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uman rights and bureaucratic relations : examining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the formation of human rights policy in the case of Sweden

        Åsa Söderholm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Sweden has a long history of civil society involvement in public affairs, and considering this it’s hardly surprising to find that civil society participates in the formation of human rights policy. Sweden also has a reput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strong human rights protection. This may lead one to assume that Sweden’s reputation with regards to human rights is a result of civil society participation. The argument of whether or not stakeholder participation leads to increased efficiency is as of yet not settled. This paper aim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in the case of Sweden, participation leads to increased efficiency in terms of stronger human rights protection. In order to shed light on the intricacies of human rights protection,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the human rights policy formation process is explored using two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efficiency. The first perspective argues that participation leads to decreased efficiency, and the second that participation increases efficiency.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of efficiency, this paper uses qualitative method in the form of a case study. It does this by utilizing different stages in the Swedish National Action Plan policy creation, which have different levels of stakeholder involvement. As is shown in the analysis, stakeholder involvement increases with each step, yet the human rights record shows no improvement. On the contrary, protection for human rights has suffered more and mor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Sweden’s trajectory towards a leadership position in human rights, and examine how it has since faltered. It does this by demonstrating how the government’s opinion on the proper role for civil society has evolved as stakeholder involvement has increased, and argues that this has enabled the government to gradually shift its human rights responsibilities onto civil society actors. The result of this is that human rights protection has decreased as participation has increased. This paper will thus produce relevant implications for the advancement of human rights promotion and protection. These implication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genuine political will when involving stakeholders in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By extension, it also shows the detriment of increasing stakeholder involvement in mere fulfilment of formal requirements or in an effort to shift the responsibility onto actors which are not equipped to shoulder this burden.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case of Sweden’s human rights policy formation, efficiency is decreased as participation increases, and that this is due to a lack of political will. As a result of this, Sweden’s reputation as a champion for human rights may no longer be entirely deserved. 스웨덴에서 시민사회가 사회문제에 참여한지는 꽤 오래됐다. 이 점을 고려하면 스웨덴 시민사회가 인권정책형성에 참여하는 모습이 놀랍지 않다. 또한 스웨덴은 국제사회에서 인권보호가 강한 나라로 알려져 있다. 스웨덴이 인권분야에서 이런 명성을 갖게 된 데에는 시민사회참여의 역할이 크다고 미뤄 짐작할 가능성이 있다. 시민들의 사회참여가 효율성향상을 가져오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스웨덴의 경우 시민사회의 참여가 인권보호강화의 효율성을 높였는지 여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권보호 과정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를 설명하고자, 참여와 효율성 사이 관계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을 활용해, 인권정책형성 과정에서 시민사회참여의 기능을 분석할 수 있다.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참여가 효율성을 떨어트리는 원인이 된다. 반면, 두 번째 70 관점에 따르면 참여가 효율성을 높인다.효율성에 관한 질문에 답하고자, 사례연구 형식의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했다. 스웨덴 국가정책기본계획이 형성된 다양한 단계를 참고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각 단계별로 시민참여 정도가 다르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단계가 올라갈수록 시민참여가 증가하지만, 인권보호 정도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인권보호에는 점점 더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이 연구는 인권분야 리더로 성장한 스웨덴의 과정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이후 인권분야 리더로서의 스웨덴의 위상이 흔들린 과정 분석에 기여한다. 이를 위해 시민참여가 증가하면서, 시민사회의 적절한 역할에 대한 스웨덴 정부의 견해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살펴봤다. 그리고 스웨덴 정부가 인권에 관한 책임을 시민사회참여자들에게 조금씩 전가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시민참여가 증가할수록 인권보호수준은 떨어졌다는 점을 파악했다. 이 연구는 인권신장과 인권보호 발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시민들이 정책형성단계에 참여할 때 진심이 담긴 정치적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단순히 형식적 요구 충족이나,준비가 안된 시민들에게 인권에 관한 책임을 전가하고자 시민참여를 늘리면 어떤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나는지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 필자는 스웨덴 인권정책형성 사례의 경우, 참여가 증가하면 효율성이 떨어지는데, 그 원인이 정치적의지 부족에 있다고 주장한다. 때문에 스웨덴이 인권보호가 강한 나라로서의 명성을 계속 누리기에는 스웨덴의 현 수준이 충분하지 않다고 볼 수도 있다.

      • 스웨덴의 대북한 외교정책 연구 : 규범적 관여 외교와 평화 중개외교

        이정규 북한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diplomatic relationship Sweden, an advanced country in the Western camp, has maintained with North Korea, an underdeveloped communist country in Asia, for a long period of half a century. As a high-ranking diplomat served in Sweden from 2018 to 2021, this researcher became interested in Sweden's foreign policy towards North Korea, witnessing Sweden's peace intermediary diplomacy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weden is the first country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among Western countries. Swedish Prime Minister Goran Persson visited North Korea in 2001 as President of Council of European Union, becoming the first Western leader to visit North Korea. Prime Minister Persson's visit to North Korea marked a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Sweden-North Korea relations as well as EU-North Korea relations. Since establishing diplomatic ties with North Korea in 1973, Sweden has been actively engaged with North Korea providing humanitarian aid, elite capacity building projects, and frequent high-level exchanges for half a century. Since the mid-1990s, Sweden has provided an average of about 4 to 5 million dollars in humanitarian aid every year, and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has been implemented regardless of the political situation. Since Prime Minister Persson's visit to North Korea in 2001, Sweden also implemented a capacity-building project for North Korea based on an agreement with North Korean leader, Chairman Kim Jong-il. This was a knowledge transfer project consisting of a program to educate North Korean elites such as scholars and officials on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and to visit the sites of reform and opening. Sweden played the role of a facilitator in support of North Korea-U.S. dialogue. Sweden's peace intermediary diplomacy for North Korea-US dialogue had the effect of facilitating dialogue and resuming dialogue when dialogue was in a lull due to blocked communic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United States. Unlike an active 'mediator' that directly participates in negotiations or presents negotiation proposals, Sweden roled as an 'intermediary' in the form of facilitator, helping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learly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providing a place for dialogue, or arranging negotiations. The Swedish embassy in Pyongyang, as a representative of the Interests Section of the United States negotiated with North Korea for the lease of American citizens held in North Korea, and this contributed to creating an amicable atmosphere for the first North Korea-US summit. Behind Sweden's role as an intermediary in the North Korea-US dialogue was a pragmatic diplomatic purpose of strengthening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Since Sweden was exposed to potential and permanent security threats due to its geopolitical proximity to Russia, and because of its neutralist policy, Sweden reserved its membership in NATO, Sweden was keen in strengthening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that Sweden has earned trust from North Korea through long-lasting implementation of its normative engagement policy towards North Korea, such as providing humanitarian aid and hosting capacity-building projects, exchanges of high-level delegations over a long period of half a century. Normative engagement diplomacy towards North Korea was based on a long tradition of Sweden being an international political actor as a normative force. This research covers the period beginning from 1973 when Sweden and Nor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to the present. The establishment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re still in an incomplete state. It is worth researching Sweden’s foreign policy towards North Korea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meaningful and necessary if a like country Sweden that has long-standing ties and trust with North Korea, can act as an honest intermediary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이 논문은 북미대화가 한창이던 2018-2019년에 스웨덴이 어떻게 갈등과 대립 관계에 있었던 북한과 미국 사이에서 평화 중개외교를 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다. 연구의 결론부터 말하면 스웨덴은 50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대북한 인도적 지원, 역량강화사업과 빈번한 고위급 교류 등 대북한 규범적 관여 외교를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북한의 신뢰를 얻었고, 북한으로부터 얻은 신뢰를 기초로 북미 대화를 촉진하는 평화 중개외교를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대북한 규범적 관여 외교는 스웨덴이 규범 세력으로써 중립노선에 기초하여 공산 진영에 속한 북한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고, 평화 중개외교는 국제분쟁의 평화적 조정을 통한 평화 조성이라는 스웨덴의 오랜 전통에 기초한 것과 더불어 대미국 관계 강화라는 실리적 외교 목적을 위해 행한 것이다. 스웨덴의 대북한 규범적 관여는 북한과 수교한 이래 반세기라는 긴 기간 동안 인도적 지원, 엘리트층 대상 역량강화사업, 고위급 교류의 형태로 이루어졌다. 스웨덴은 대북한 인도적 지원을 1990년대 중반 이래 매년 평균 약 400만-500만 불 수준으로 유지하였고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순수한 인도적 차원에서 시행하였다. 스웨덴은 2001년 요란 페르손 총리 방북 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합의에 따라 대북한 역량강화사업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 사업은 북한의 학자나 관리 같은 엘리트층을 대상으로 시장경제 원리를 교육하고 개혁·개방 현장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지식 전달사업이었다. 스웨덴은 1973년 서방 국가 중에서 북한과 가장 먼저 외교 관계를 수립한 국가이다. 페르손 총리는 2001년 유럽연합 각료이사회 의장국 대표 자격으로 방북하여 북한을 가장 먼저 방문한 서방 지도자가 되었다. 페르손 총리 일행의 방북은 북한이 자유세계에 문호를 개방하는 의미가 있었고 스웨덴-북한 관계 발전뿐 아니라 유럽연합-북한 관계 발전에도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스웨덴은 대북한 관여 덕분에 북한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었고, 북한의 신뢰와 북한 고위층과의 인적 유대감을 활용하여 북미 대화를 지원하는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스웨덴의 북미대화 촉진자 역할의 성격은 협상에 직접 참여하거나 협상안을 제시하는 협상 ‘중재자(mediator)’가 아니라 북한과 미국에 상대의 입장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대화 장소를 제공하거나 협상을 주선하는 형식의 협상 ‘중개(good offices)’ 역할이었다.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은 미국의 이익 대표부로써 북한과 협상하여 북한에 억류된 미국 국민을 1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직전에 석방시켰고, 이는 우호적인 회담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스웨덴의 북미 대화 중개외교는 북미 사이에 소통이 막혀 대화가 소강상태에 빠져 있을 때 대화 촉진과 대화 재개의 돌파구를 여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스웨덴의 북미대화 중개 역할의 배경에는 대미국 관계 강화라는 실리적 외교 목적이 있었다. 스웨덴은 강대국 러시아에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다는 지정학적 이유로 인해 상시적인 안보 위협에 노출되어 있었다. 더욱이 중립주의 노선을 선택했기 때문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도 스스로 유보하여 자신의 안보를 위해 강대국 미국과의 안보협력이라는 ‘안보 우산’이 필요하였다. 연구의 대상 시기는 스웨덴과 북한이 수교한 1973년부터 현재까지 약 50년이다.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한 화해 협력은 미완성 상태이다. 스웨덴같이 북한과 오랜 유대를 통해 신뢰를 얻은 국가가 한반도 평화를 위해 도움이 되는 평화 중개자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이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는 관점에서도 본 연구는 연구 가치가 있다.

      • 북한-스웨덴 외교관계의 성격 변화 연구

        김규동 북한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942

        본 논문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북한)과 스웨덴 간 외교관계와 그 동인을 살펴본다. 북한과 스웨덴은 1973년 정식으로 수교하였으며, 이는 북한과 서방 국가 사이의 가장 오래된 외교관계이다. 또한 중립국으로서 스웨덴은 대부분의 서방 국가와 달리 북한과 특별한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스웨덴 관계에 대한 논의는 학계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1973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스웨덴 외교관계를 일별하고, 그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 2차 자료를 통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양국 관계의 가장 중요한 변화시점을 1995년으로 파악하며, 그 변화과정과 결과를 분석하는 데 특히 주목하였다. 1995년을 기점으로 북한-스웨덴 관계는 기존의 경제적 상호이익 관점보다 정치적, 인도주의적 의제가 중심이 되는 관계로 전환되었다. 두 가지 요인이 특히 두드러지는데, 첫째, 미국이 자국의 이익대표 역할을 스웨덴에 요청한 것과 둘째, ‘고난의 행군’ 시기 시작된 스웨덴의 대북지원을 계기로 들 수 있다. 1970년대 초반 북한은 경제 개발을 통해 공산권 진영을 넘어 국제사회로 외교역량을 높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북한은 자신들과 유사한 산업구조를 가지며 중립외교정책을 펼치던 스웨덴의 올로프 팔메(Olof Palme) 정부에 접근했다. 당시 새로운 경제 협력 파트너와 무역을 통한 경제적 이익을 기대했던 스웨덴은 대북 수출량을 늘려나갔다. 하지만 1975년 북한이 상호 무역에서 발생한 채무 상환 능력이 없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두 나라의 관계는 내리막길을 걷게 됐다. 이후 1976년에는 북유럽 주재 북한 외교관의 술, 담배, 마약 밀수사건이 불거지며 관계는 더욱 악화됐다. 결국 1995년 여름 스웨덴은 평양에 개설한 대사관의 폐쇄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폐쇄 결정 후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아, 미국이 스웨덴에 자국의 이익대표 역할을 요청하면서 북한-스웨덴 관계에도 반전이 일어나게 되었다. 대사관이 다시 개관하고, 같은 해 스웨덴은 당시 심각한 식량난을 겪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시작하였다. 오랜 외교관계를 바탕으로 스웨덴은 1990년대 말부터 북한과 국제사회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2001년에는 예란 페르손(Goran Persson) 스웨덴 총리가 유럽연합 이사회 의장국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해 서방 국가의 지도자로는 처음으로 북한의 김정일 위원장과 만남을 가졌다. 이는 국제사회와 북한의 관계 증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스웨덴은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 관련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동참하면서도,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이렇게 다른 서방 국가들이 핵실험 등을 이유로 북한과의 교류를 점차 줄여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웨덴은 여전히 북한과 국제사회 간 중개자 역할을 맡고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or North Korea) and Sweden,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 Despite the fact that the DPRK-Sweden relations represents North Korea's longest-standing relations with a Western country (dating back to 1973), this unique relationship is vastly underrepresented in the academic literature. This study attempts to fill this gap and complement the existing literature by taking a historical look at the DPRK-Sweden relations from 1973-2019. The research is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including expert interviews. Most significantly,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t shift in the nature of the bilateral relationship. Initially, the bilateral relations had an economic focus as the two countries sought to develop their trade. This changed in 1995 when the main aspect of the relationship shifted to become political- and humanitarian-focused following 1) the United States' request for Sweden to be its protecting power in the DPRK and 2) the beginning of Sweden's humanitarian assistance to the DPRK during North Korea's 'Arduous March' period (in the 1990s). In the early 1970s, North Korea wanted to develop its economy and expand its diplomatic outreach to the (western) world. The DPRK saw Sweden as a state that could help execute these ambitions, as Sweden under the Olof Palme administration held a policy of neutrality, declared an 'ani-Imperialist stance', and shared similar industries. With the high hopes of generating revenues with this new upcoming economic partner, Sweden increased its exports to North Korea. However, the relations faced a downturn in the mid-1970s when Sweden realized North Korea could not afford its investments or pay its debt to Sweden. The situation worsened in 1976 after North Korean diplomats in Nordic countries were caught smuggling and selling alcohol, cigarettes and narcotics. By summer 1995, Sweden decided to close its embassy in Pyongyang. But just two months after this decision, the embassy was re-opened when Sweden became the US' protecting power in the DPRK. In the same year, Sweden began its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in response to the critical food shortages in the country. Since then Sweden has been steadily active in providing humanitarian assistance and capacity building to North Korea despite numerous tension-raising provocation related to Pyongyang's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On account of its longstanding relations, Swede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intermediary between the DPRK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2001, Swedish prime minister Goran Persson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European Union met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n Pyongyang, becoming the first Western leader to ever meet Kim. Sweden agrees with and partakes in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temming from the latter's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provocations), nevertheless Sweden continues to voice its opinion on 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rough peaceful talks. While other Western governments have minimized their official contact with North Korea for various reasons, Sweden has maintained its role as an unofficial intermediary in issues concerning the DPRK.

      • 북미 문제에 있어 스웨덴의 중개자 역할 형성요인 연구

        오세준 북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940

        본 연구의 목적은 스웨덴이라는 특정 국가가 북미 문제의 중개자 역할을 맡게 된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북한 문헌, 외교부 간행물과 비밀해제 문서 등 국문 자료 그리고 스웨덴 언론 기사를 포함한 다양한 해외 자료를 활용한다. 중개는 제3자가 직접 최종 결정을 내리는 중재와 달리 갈등 당사자의 협상 태도를 바꾸도록 설득하거나 각종 편의를 제공하고 협상을 유지 및 진전시키기 위해 소통창구 역할을 하는 등의 개입방법이다. 결정의 구속력이 없다는 점에서 중재와 큰 차이가 있다. 스웨덴은 지난 북미 협상 과정에서 편의를 제공하거나 양국의 대화를 촉진하는 등의 노력을 했다. 국내 언론이 스웨덴을 중재자로 규정한 것과 달리 실제로는 중개자 역할을 수행한 것이다. 이러한 중개자 역할은 스웨덴이 비동맹 중립주의 정책을 유지하고 북·미 양국과 특수한 관계를 맺고 있기에 가능했다. 첫째, 스웨덴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비동맹 중립주의 정책을 고수하면서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진영경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나토 비가입국이자 비사회주의권 국가인 스웨덴은 갈등 당사자인 북미 양국과 이해관계로 얽혀 있지 않기 때문에 공평한 존재로 신뢰받을 수 있었다. 둘째, 스웨덴은 북미 양국과 특수한 관계를 맺고 있다. 스웨덴은 냉전기 서방국가로서는 최초로 1973년에 북한과 수교를 했다. 북한과 스웨덴의 관계는 네덜란드,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 등 유럽 주요 국가와 비교해 20년 이상 앞선 것이었다. 스웨덴은 다른 유럽국가와 달리 채무불이행, 외교관 밀수 문제 등에도 불구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북한과의 접촉을 확장하고 관계를 지속해왔다. 동시에 스웨덴은 1995년 미국의 요청에 따라 북한 내에서 이익대표국 역할을 맡으면서 미국과의 특수관계를 형성했다. 스웨덴은 미국을 대신해서 억류자들의 신변을 보호하고 석방을 위한 협상을 지원했으며, 북미 간 대화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스웨덴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중개역할은 북미 양측으로부터 높이 평가받고 있다. 대화와 결렬을 반복한 북미 협상의 역사를 돌이켜 볼 때 향후 협상의 재개와 지속을 위한 중개자의 개입은 필수적이며 이 역할은 두 형성요인으로 인해 북미 양국의 신뢰를 받는 스웨덴이 계속해서 맡을 것으로 보인다. 스웨덴의 중개자 역할의 귀추가 주목된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forming Sweden's role as a mediator in the North Korea-U.S. conflict. To that end, this study analyzes North and South Korean materials such as declassified documents and publications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a variety of Swedish and English sources. Contrary to arbitration where a third party makes a final decision, mediation is a third-party involvement in which a neutral third party helps the individuals work through conflict and find an appropriate solution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meetings, facilitating discussions, and acting as a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In other words, the key difference between arbitration and mediation lies within the power of making legally binding decisions and providing recommendations. Sweden has never made any legally binding decisions, but instead provided convenience to North Korea and the U.S. and facilitated dialogue in the process of the previous negotiations between them. That is, Sweden took the mediator's role in practice, rather than the arbitrator's role as South Korean media reported. Sweden was able to act as a mediator in the North Korea-U.S. conflict due to its neutrality and non-alignment and the special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nd the U.S. This is because Sweden maintained the policy of neutrality and non-alignment during the Cold war and avoided picking the side in conflicts between the western nations and the communist state. As the non-NATO and non-socialist state, Sweden could be trusted as an impartial presence because of not being linked with any of the two countries by interest. Furthermore, Sweden has had a unique relationship with both countries. Sweden is the first western country to establish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in 1973.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Sweden is more than 20 years ahead of major European countries, including Germany, Spain, and Italy. Unlike other European countries, Sweden has maintained stable relations with North Korea despite the diplomatic scandals, such as non-payment of debt and smuggling problems. Instead, Sweden has furthered contacts with North Korea through political engagement in various sectors, including humanitarian assistance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Sweden als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assisting the U.S. in North Korea by working as a Protecting Power for America in the country since 1995, which includes providing consular responsibility for U.S. citizens. On behalf of the U.S., Sweden has protected detained citizens in North Korea and supported negotiation for releasing them. Sweden has also contributed to holding N. Korea-U.S. summits. Both North Korea and the U.S. regard Sweden's continuous active mediation highly. The mediator's involvement has been essential to resume, continue, and advance dialogue considering the history of negotiations between two countries. Sweden, which is considered reliable due to the two factors, is likely to take on this role continuously .

      • 네덜란드 및 스웨덴 극우 정당의 성장과 한계 : 선거시장이론 기반 비교 분석

        문승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25

        This study was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Netherlands and Sweden. The two countries have similarities in terms of their political system, election system, flexible party establishment requirements, social-democratic political culture, similar economic conditions, and the degree of anti-immigrant party votes due to immigration. The two countries also shared the commonality of having no radical right parties institutionalised before 2000 that had entered the national parliament and the radical right party's sudden growth after 2000. However, after 2010, the Dutch radical-right party(PVV) showed a decline, whilst the Swedish radical-right party(SD) showed consistent growth. The reason for thes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came to be questioned. Therefore, my research question is "why, after 2010, does the Swedish radical right party(SD) continue to grow, and the Dutch radical right party(PVV) decline?"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Dutch and Swedish radical right parties are essential because they provide analysis and predictions for extremism in other European countries. In order to ge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 focused on Pippa Norris' "Electoral Market Theory". The electoral market theory was adopted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nalyse a wide range of variables for the growth and decline of radical right parties.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various causal variables. However, now, rather than finding the causative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analyse competition theory. That is why the electoral market theory can be considered meaningful. Pippa Norris completed the electoral market theory based on political parties from the 1970s to 2005. She argued that there are regulated electoral markets, supply factors, and demand factors in the growth of radical right parties. However, this may not entirely fit the Dutch and Swedish radical right parties' case, which have grown since 2000. Therefore, I established two research hypotheses within the frame of the electoral market theory. If the credibility of established politics is low, the radical right party grows, and if the credibility increases, the radical right party declines. Regulated electoral markets account for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s for the growth of radical right parties. Norris explains that the radical right party can grow based on a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a legal environment that guarantees relatively unconstrained party establishment, and a political culture that leans to social democracy. The regulated electoral markets in Sweden and the Netherlands were characterised by a constitutional monarchy,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the guarantee of the relatively unconstrained party establishment, and a social-democratic political culture. In the electoral market theory, there are two supply factors. One is the criterion for the type of party supply in the regulated electoral market, and the other is the criterion for the competition structure among parties. The Swedish radical right party's supply pattern changed from the secular dealignment supply to the critical realigning supply type in 2002. The supply type of the Dutch radical right party was converted from the deviating supply type to the critical realigning supply type in 2006. The party competition in Sweden and the Netherlands have in common that left-wing and right-wing parties with social democratic party tendencies formed a cartel. In the electoral market theory, there are three demand factors. Firstly, a new socio-economic cleavage, caused by a sharply deteriorating unemployment rate, income growth, and economic situation. Secondly, exclusionism against immigration and Muslims. Thirdly, the anti-establishment politics that is against the European Union and existing domestic political forces. The new socio-economic cleavage and exclusionism in Sweden and the Netherlands did not show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radical right parties' growth related to entering the national parliament in its nascent stage. EU scepticism in Sweden and the Netherlands was not the cause of the growth of radical right political parties. However, the decline in the credibility of established politics was a significant cause of growth. The reason was simple. The lower the credibility became, the more the radical right party grew. Likewise, the higher the credibility increased, the more the radical right party showed a decline. When the PVV, which had grown in 2006 due to a decline in the credibility of established politics in the Netherlands, failed to play its role in the coalition government from 2010 to 2012, the public began to withdraw its support. In addition, the credibility in the established political forces began to be restored. As a result, the decline of the PVV began after the formation of a coalition government in 2010.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radical parties in Sweden and the Netherlands can be summarised into four categories. Firstly, the hypothesis that the PVV in the Netherlands and the SD in Sweden grew amidst the low credibility in established politics is consistent with the actual analysis results. Secondly, the exclusionism was not the initial factor of the growth in the radical right parties. However,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politicians in radical right parties deepened the problem of exclusionism and dragged public attention more than before. Thirdly, the PVV in the Netherlands, which grew in 2006 due to a decline in the credibility in established politics, fail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established political parti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alition government in 2010. After the credibility in established politics in the Netherlands was restored, the PVV began to decline.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if the radical right political parties join in the coalition government, the growth engine of anti-established politics which helped radical parties grow can be lost. After that moment, supporters who stand for radical right parties start to move to other parties. In the end, radical right parties start to decline faster than before and unprecedently. Lastly, Norris suggested the viewpoint that the more relevant factors such as economic difficulties, exclusionism, and anti-established politics increase, the more growth rate and power of the radical right party increase. However, a clear temporal order was found among these factors. In a country where the radical right parties did not grow in the twentieth century after the anti-established politics appeared in 2000, other factors started promoting the growth of the radical right par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proposes a new and diverse perspective against the conventional wisdom and revisions to the theori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a broader implication could be discussed in that after 2000, the radical right parties' growth and decline factors have been evolving. 본 연구는 네덜란드와 스웨덴 비교를 기반으로 했다. 두 국가는 정치체제, 선거제도, 유연한 정당설립 요건, 사민주의적 정치문화, 유사한 경제적 여건, 이민에 따른 반이민정당 득표 정도라는 유사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북서유럽 국가들과 달리 2000년 이전 원내에 진출하고 제도화된 극우 정당이 전혀 없었지만, 2000년 이후 갑자기 극우 정당이 성장했다는 공통점 또한 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네덜란드의 극우 정당(PVV)은 쇠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스웨덴 극우 정당(SD)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질문으로 “왜 2010년 이후 스웨덴 극우 정당은 왜 계속 성장하고, 네덜란드 극우 정당은 쇠퇴하는가?”에 방점을 두었다. 21세기 유럽내 극우 정당의 성장 추세가 이전과 달리 급격해지고 있는 시점을 고려하였을 때, 네덜란드와 스웨덴 극우 정당의 성장과 쇠퇴에 대해 주목하는 것은 다른 나라의 정당에도 나타날 수 있는 극단주의 현상의 성쇠에 대해 새로운 고찰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해 피파 노리스의 ‘선거시장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하고자 했다. 선거시장이론을 선택한 이유는 극우 정당의 성장 동력과 그 동력 상실에 따른 쇠퇴 요인에 대해 도식화내에서 광범위하게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연구자에 따라 경제난, 지도자의 카리스마, 유럽회의주의 등 다양한 생성 원인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제는 주요 원인변수를 찾는 개별연구보다는 경쟁이론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어떠한 원인이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인지를 가려내어야 할 시점이다. 선거시장이론은 이전 선행연구에서 다룬 성장 동력에 대한 이론들을 모두 포괄하여 설명함으로써, 극우 정당을 분석함에 있어서 빈틈없이 논리성을 구축할 수 있다. 노리스는 1970년대부터 2005년까지의 정당 사례를 바탕으로 극우 정당이 성장한 동력을 선거시장이론으로 정리했다. 그녀는 극우 정당을 성장시킴에 있어서 규제된 선거시장, 공급요인, 그리고 수요요인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존재해온 극우 정당의 사례에만 부합하고, 2000년 이후 성장한 네덜란드와 스웨덴 극우 정당의 사례에는 완전히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선거시장이론틀內에서 국내 기성정치의 신뢰도가 낮으면 극우 정당이 성장하고, 신뢰도가 높아지면 극우 정당이 쇠퇴한다는 2가지의 연구가설을 세웠다. 규제된 선거시장은 극우 정당의 성장을 위한 환경적 요건을 설명한다. 노리스는 의원내각제, 비례대표제, 자유로운 정당 설립이 보장된 법률적 여건보장, 그리고 사민주의에 편중된 정치문화에 기반하여 극우정당이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규제된 선거시장은 입헌군주제, 개방형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자유로운 정당 설립 보장, 그리고 사민주의적 정치문화라는 특성을 보였다. 선거시장이론에서 공급요인은 2가지로 구성된다. 하나는 규제된 선거시장내 정당의 행위라는 공급 유형을 띄는지에 대한 기준이고, 또 다른 하나는 역사적으로 어떠한 당간 경쟁구도가 존재해왔는지에 대한 기준이다. 스웨덴 극우 정당의 공급유형은 탈(脫) 주류 노선적 공급유형에서 2002년을 기점으로 재편성 공급 유형으로 변화했다. 네덜란드 극우 정당의 공급유형은 탈선적 공급유형에서 2006년 재편성 공급 유형으로 전환되었다.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당간 경쟁구도상 위치는 귀결적으로 사민주의 계열의 정당들이 전통적으로 장기간 집권해왔고, 우익 정당 또한 사민주의의 성향을 내재하여, 비사민주의적 정당에 대한 카르텔이 구성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선거시장이론에서 수요요인은 3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이전과 다른 급격히 악화된 실업률, 소득증가율, 경제적 상황에 의해 발생하는 새로운 사회경제적균열. 둘째, 이민과 무슬림에 반대하는 배타주의. 셋째, 유럽연합과 기존 국내 정치세력에 대해 반감을 띄는 반기성정치이다.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새로운 사회경제적 균열과 배타주의는 극우 정당의 초기 원내 진입과 관련한 성장과 인과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스웨덴과 네덜란드 모두 반기성정치 중 유럽연합 회의주의가 극우 정당의 성장 원인이 아닌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국내 기성정치에 대한 신뢰도 하락은 성장 원인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성정치에 신뢰도가 하락할수록 극우 정당이 성장하게 되었고, 신뢰도가 상승할수록 극우 정당이 쇠퇴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2006년 국내 기성정치 신뢰도 하락으로 성장한 네덜란드 자유당이 2010년부터 2012년간 참여한 연립정부 내 제 역할을 못 하자, 국민은 지지를 철회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기존의 전통적 정치세력에 대한 신뢰도를 회복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2010년 연립정부 구성 이후 네덜란드 자유당의 쇠퇴가 시작되었다. 스웨덴과 네덜란드 극우 정당 비교에 대한 분석 결과는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네덜란드 자유당과 스웨덴 민주당은 국내 기성정치에 대한 신뢰가 낮아질수록, 성장세가 커진다는 가설은 실제 분석 결과와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타주의는 극우 정당의 초기 성장 동인은 아니지만, 정치가 사회문제를 읽고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정치가 선거를 통해 배타주의라는 문제를 심화하고 국민이 이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효과를 보였다. 셋째, 2006년 국내 기성정치에 대한 신뢰도 하락으로 성장한 네덜란드 자유당은 2010년 연립정부 참여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 정치세력과 차별화에 실패하여, 국내 기성정치에 대한 신뢰도는 회복되고, 자유당은 쇠퇴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극우 정당이 연립할 경우, 반기성정치라는 성장동력이 상실함으로써, 지지층의 이탈이 커지고 쇠퇴가능성이 커짐을 알 수 있다. 넷째, 노리스는 경제적 어려움, 배타주의, 그리고 반기성정치 등 관련 영향요인들이 많이 작용할수록 극우 정당의 성장속도와 세력이 커진다는 관점을 제시했다. 그러나 그러한 요인들 간에 선후관계가 분명히 드러났는데, 20세기 극우 정당이 성장하지 않던 국가에서 2000년 들어서 반기성정당이라는 선행요소가 나타나고 이후 다른 영향들이 극우 정당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제시한 이론에 대한 수정과 사회적 통념에 대해 새롭고 다양한 시각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그리고 2000년 이후 극우 정당의 성장과 쇠퇴 요인 또한 진화한다는 차원에서의 광범위한 의미성을 내재한다고 볼 수 있다.

      • 성 주류화 관점에서 본 스웨덴 양성평등의 국내정책과 ODA정책의 관계분석

        심소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11

        성 주류화 관점에서 본 스웨덴 양성평등의 국내정책과 ODA정책의 관계분석 본 연구는 성 주류화 관점을 토대로 스웨덴 양성평등의 국내정책과 ODA정 책의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는 정책에 대한 현장감을 보여주기 위해 부가적으로 두 가지 양성평등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이론적 분석틀로 삼고 있는 성 주류화는 스웨덴의 주요 양성평등 전략으로 기 존의 사회의 권력 구도를 재편하여 제도적으로 양성평등을 보장하고자 하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 국내적으로 스웨덴은 양성평등에 대한 오랜 정치·문화적 배경 아래 1980년 대 이전에는 의회를 중심으로 그 이후에는 정부를 중심으로 양성평등정책을 형성해왔다. 1995년에 스웨덴 정부가 성 주류화를 공식적으로 채택하면서 모 든 정부 부처와 정책 영역에 양성평등관점이 통합되었다. 그리고 이는 2004년 “성 주류화 계획”을 통해 본격적으로 가시화되었다. 이에 따라 모든 정부 부 처와 정책 영역에 성 인지적 관점이 통합되면서 국가 예산안과 운영지침서와 같은 행정기관의 주요 문서에도 양성평등 관점이 적용되었다. 2006년에는 스 웨덴 정부의 모든 정책에 성 인지적 예산이 적용되어 제도적으로 성 주류화가 정착되었다. 한편, 스웨덴은 ODA정책에 있어서도 특히 양성평등 이슈에 주목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스웨덴 개발원조 기구인 Sida는 성 차별을 개발도상국의 빈곤 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ODA정책에 있어서 양성평등 이슈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스웨덴 국내 양성평등정책과 마찬가지로 Sida는 1995년에 ODA에 성 주류 화를 도입했다. 이에 따라 Sida는 성 주류화 모델을 개발하고 특별히 “여성과 남성, 소녀와 소년의 권리 강화”와 “권력 구조와 관계”의 두 가지 분야에서 우 선 전략을 갖고 ODA정책을 추진했다. 이후 스웨덴 정부는 2003년 세계개발정 책과 2007/08년 법안을 통해 양성평등을 우선주제로 선정하여 개발원조의 모 든 분야에 있어서 양성평등 이슈를 고려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스웨덴이 국내정책의 외연화 과정으로 ODA정책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불평등한 젠더 구조 해체를 위해서 스웨덴은 성 주류화 를 중심으로 양성평등을 정부 정책으로서 가시화하고 있었고, 이는 ODA정책 에 있어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이에 따라 스웨덴의 국내 그리고 ODA의 모든 정책 영역에서 양성평등이 주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mestic policy of Swedish gender equality and ODA policy based on gender mainstreaming perspective. And the study examines two gender equality cases to show the sense of realism in policy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gender mainstreaming as a theoretical analysis framework can be regarded as a relatively high level strategy to reorganize the power structure of the existing society and secure the gender equality systematically by the main gender equality strategy of Sweden. Domestically, Sweden has formed a gender equality policy based on the parliament before 1980s and the government after 1980s under the long polit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gender equality. As Swedish government formally adopted gender mainstreaming in 1995, gender equality perspectives incorporated into all government departments and policy areas. This was fully realized in 2004 through the “Gender Mainstreaming Plan". As gender cognitive perspective have been integrated into all government departments and policy areas, gender equality perspectives have been applied to key documen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such as the national budgets and operational guidelines. In 2006, gender mainstreaming was institutionalized by applying gender cognitive budgets to all policies of the Swedish government. Sweden, on the other hand, is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gender equality issues on its ODA policy. Sida, the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considers gender equality issues in ODA policy important because it considers gender discrimination a major cause of poverty in developing countries. Similar to the Swedish domestic gender equality policy, Sida introduced gender mainstreaming in ODA in 1995. Accordingly, Sida developed a gender mainstreaming model and promoted ODA policies with a priority strategy in two areas of “strengthening the rights of women and men, girls and boys" and “power structure and relationship". Since then, the Swedish government has selected gender equality as the preferred stock in the 2003 World Development Policy and 2007/08 Act, taking gender equality issues into consideration in all areas of development assist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weden deals with ODA policy as a process of externalizing domestic policy. Sweden has a very high degree of instituting gender equality into government policies. Especially, Sweden has institutionalized gender equality and visualized it as a government policy to dismantle the unequal gender structure centered on gender mainstreaming, which also showed the same pattern in ODA policy. Accordingly, both Sweden's domestic and ODA policy emphasis on gender equality in all policy areas.

      • 독일 기업과 스웨덴 기업 간 사회적 책임활동(CSR) 비교연구

        김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11

        본 연구는 독일 기업과 스웨덴 기업 간 사회적 책임활동을 비교분석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는 자본주의 산업사회와 함께 등장했다. 경제적으로 윤택해졌지만 시장실패에서 비롯된 빈부격차, 실업 문제, 환경오염과 같은 문제들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세계화 이후 자본주의의 부정적 측면이 확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업에 책임을 부과하는 움직임이 확산되었다. 그런데 기업의 책임은 각 사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 기업은 기업이 속한 사회에서 각 국의 역사, 문화, 제도에 따른 합의의 틀(codified ethics)을 갖게 되며, 이 안에서 사회로부터의 요구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서구 국가의 사회적 가치와 제도적 특성은 크게 영미형 자유주의, 유럽 대륙형 보수주의, 스칸디나비아형 사회민주주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보수주의 국가인 독일과 사회민주주의 국가인 스웨덴을 비교함으로써 각국의 문화와 제도적 특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독일 기업들은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사회 지향적 CSR과 지역 사회에 초점을 맞추는 특징을 보인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스웨덴 기업들은 사업과 관련된 이익 지향적 CSR을 추구하며 글로벌 차원에서 활동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양 국의 문화적, 제도적 특성에서 기인한다. 독일 사회와 제도 저변에는 봉건제, 길드 및 가톨릭 전통에서 비롯된 사회 계층화, 질서 자유주의, 조합주의, 보수주의와 같은 가치들이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이념들은 독일 사회와 제도에 영향을 끼쳐 공동선과 법률 및 질서를 강조하는 사회적 시장 경제를 낳았고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중소기업을 육성시켰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의 기업의 책임은 공동선을 추구하고 법률과 규칙을 준수하며 기업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었다.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CSR 기준과 국가 CSR 정책이 수립되면서, 독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 지향적 CSR(prosociality CSR)과 지역 사회 중심적인 특징을 보인다. 반면, 스웨덴은 적은 인구와 험한 자연환경에서 비롯된 공동체 의식과 자유주의 이념, 산업화 이후의 평등주의는 높은 생산성과 분배를 동시에 추구하는 복지 자본주의 체제를 낳았다. 이에 따라 스웨덴 대기업은 높은 법인세와 기업 경쟁력을 통한 완전 고용을 달성함으로써 복지국가의 기둥 역할을 감당해왔다. 따라서 스웨덴 사회에서의 기업의 책임은 경제적 생산성과 관련 있으며 국가 소관인 사회 산업이나 사회 문제와는 연관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계적 흐름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요구되면서, CSR은 스웨덴의 맥락에 맞게 형성되었다. 결과적으로 스웨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전 세계의 환경, 빈곤 퇴치, 양성 평등 및 인권과 관련하여 발전해 왔으며, 주로 사업과 관련된 이익 지향적 CSR의 특징이 나타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합리적 행동은 문화와 제도에서 기인한 사회적 틀 속에서 제약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Discourses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have emerged with the capitalist industrial society. Instead of economic affluence,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unemploy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market failure. Especially after the globalization, the negative side of capitalism have been spread, and the movement to impose responsibility on companies have been around the globe. However, CSR is differently interpreted according to society. It is because the corporation has the codified ethics originated in the history, culture and the system of each country the corporation belongs. And the company is influenced by demands from society. Social value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Western countr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glo-American liberty, European continental conservatism, and Scandinavian social democracy.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ffect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by comparing Germany, a conservative state, and Sweden, a Scandinavian country. For this, I examine various aspects through ideological differences, CSR policy, public awareness toward CSR, and examples of compan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German companies appears to have prosociality CSR which is participatory related to social issues and to focus on local community. In contrast, Swedish companies pursue profit-seeking CSR which is related to core business and focus on global level. These differences stem from the cultur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At the base of German society and institutions, underlie ideologies such as social stratification, order liberalism, Statism, corporatism, and conservatism stemmed from feudalism, guild, and Catholic traditions. Based on ideologies, the social market economy that emphasizes the common good and law and order influences the German society and the system, and it fostered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growing together with the community. Thus, The responsibility of corporation in Germany was to pursue common good, to obey laws and rules, and to seek the company growth. Since the 2000s with global CSR standards and national CSR policies, the corporate responsibility in the German society appears to have the prosociality CSR and to concentrate on local communities. In Sweden, on the other hand, high community sprit emerged from a small population and harsh natural environment, liberal ideology and egalitarianism resulted in a welfare capitalist system that pursues high productivity and high distribution also. Thus, Swedish large companies have been thought to be a pillar of the welfare state by achieving full employment, paying high corporate tax and seeking economic profits through business competitiveness. Therefore, the responsibility of the enterprise in the Swedish society have been meant economic benefits, and it did not relate to social works or social problems which rests with the state. However, after pursu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in accordance with global trends, CSR of sweden has been formed in line with the Swedish context. Sweden's CSR consequently has been developing toward the environment, poverty eradication, gender equality and human rights all over the world, and it has been taking profit-seeking CSR mainly in connection with the business. This result imply that the rational action of firms as actors in the market conditioned within social framework originated from culture and institutions.

      • 르완다에서의 OECD DAC 회원국의 성평등원조(ODA) : 미국, 스웨덴, 한국을 중심으로

        강민형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07

        UN은 2015년에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하였고 ‘모두를 위한 평등 (Leave no one behind)’을 기본 원칙으로 삼고 여성과 여아를 포함한 사회의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는 것을 강조하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도 개발과 젠더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며 성주류화(Gender Mainstreaming) 관점을 적극 수용하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에 ‘성주류화’와 ‘여성 역량 강화’라는 ‘Two-Track 접근법’을 적용하도록 권고하였다. OECD DAC는 2006년 이후 회원국의 성평등 ODA가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회원국의 개발 원조 정책과 전략에 성평등을 우선순위로 채택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국제사회의 다변화하는 젠더 이슈와 개발논의는 개발도상국의 성평등 정책과 제도 법제화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세계 곳곳에서 성차별과 불평등은 계속되고 있으며 개발사업 수행에서도 여러가지 어려움이 확인되고 있다. 사회, 문화적인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한 젠더 이슈에 대하여 단순히 경제발전 차원으로만 접근하거나 부족한 재원으로 인하여 성평등 달성의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성평등을 목표로 하는 국제사회의 다양한 의제와 개발협력에 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소되지 않는 성불평등 문제, 개발 사업의 한계에 관해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개발도상국 가운데 르완다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르완다는 1990년대 초반 대규모 종족 분쟁 이후 최저 빈곤국이었다가 현재 중저소득국으로 진입을 목표로 적극적인 경제발전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국가이다. 그리고 성인지헌법 제정을 바탕으로 여성의원할당제(쿼터제)와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성주류화를 시행하고 있는 르완다의 성평등 노력과 현실을 짚어보고 글로벌 젠더 의제들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지를 살펴 보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르완다에서 성평등 ODA를 수행하는 OECD DAC 회원국들과 미국, 스웨덴, 한국 3개국을 중심으로 성평등 ODA 정책과 사업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문헌 조사와 OECD DAC의 CRS 통계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르완다는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성평등을 주류화하고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SDGs 성평등 목표 이행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특정 분야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성평등을 이룬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여성에 대한 편견과 폭력, 전통적인 성역할로 인해 여성들의 사회 참여에 제한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OECD DAC 회원국들은 국제사회의 성평등 이슈를 주요 정책과 전략으로 채택하고, 수원국의 개발 우선 순위를 국별협력전략과 성평등 ODA사업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0-2019년 사이에 르완다에서 이루어진 양자간 ODA 중에서 성평등 ODA의 비중은 대략 27% 수준이었다. 그 중에서 간접사업(젠더1)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많고 성평등을 목표로 하지 않는 사업(Screened, Not Targeted)의 지출은 훨씬 더 많았다. 미국과 한국은 인구정책 및 성생식 보건, 생산분야/농업개발, 건강보건, 멀티섹터/범분야에 대한 지원이 많은 반면 스웨덴은 거버넌스, 공공행정 및 시민사회 지원에 집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권기반접근과 평등을 중요시하면서 성평등 관련 NGO와의 파트너십을 중요시하는 스웨덴의 성평등 ODA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자간 ODA 중에서 성평등과 여성역량강화를 직접 목표로 하는 직접사업(젠더2)을 포함하여 성평등을 목표로 하는 ODA의 비중을 더 많이 늘리고, 보다 폭넓은 분야에 골고루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농업 기반 사회이면서 가부장적인 문화와 정부 주도(Top-down)방식의 거버넌스가 많이 나타나는 르완다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산업 기반을 활성화하고, 시민사회의 역량 증진과 여성들의 경제적, 사회적 역량을 강화하는 성평등 ODA 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UN adopt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2015 and upheld "Leave no one behind" as its basic principle, thereby attempting not to alienate vulnerable groups in society, including women and girls.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OECD DAC) also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gender equality and actively accepted the Gender Mainstreaming perspective. It, further, recommended applying the Two-Track approach, which consists of gender mainstreaming and empowering all women and girls, to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OECD DAC announced that, since 2006, ODA promoting gender equality has been increased and the agenda of gender equality has become a foremost important priority in policy and strategy making for development assistances in its donor countries. Gender issues and discussions on development in the diversifying international community also affected gender equality policies and legisl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However, gender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still, remain around the world and are identified as various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development project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gender issues that require a social and cultural multi-dimensional approach are dealt only in terms of economic development or that they are facing the limits of achieving gender equality due to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In this study, it was recognized that despite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various agendas and endeavor to cooperate for development, ultimately aiming at gender equality, gender inequality issues were not resolved and had some limitation issues involving development projects. To understand how this inconsistent consequence has been derived, Rwanda was selected among various developing countries as a focus country in this study. Rwanda has been the poorest country since the massive ethnic conflict in the early 1990s, but is currently implementing an active economic development policy with the aim of entering a mid- to low-income country. It would be meaningful to examine efforts to pursue gender equality and how they are reflected on the reality of Rwanda, where the quota system of allocating assemblywoman and gender mainstreaming are practiced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s a whole, based on the enactment of constitution sensitive to gender. Furthermore, the gender equality in Rwanda is studied in relations to international community’s agendas. ODA policies and projects involving gender equality were compared, centering on the United States, Sweden, Korea, and OECD DAC donor countries that conduct gender equality ODA in Rwanda,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various literature reviews and the analysis of statistical data from OECD DAC's Creditor Reporting System (CRS). This study’s results confirmed that Rwanda is integrating gender perspectives throughout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nd promoting the implementation of SDGs gender equality goals through various partnerships. However, although it seems to have achieved a very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in certain areas, women's participation in society seems to be still limited due to prejudice, violence, and traditional gender roles against women. In addition, it was identified that OECD DAC donor countries have adopted gender equality iss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major policies and strategies and that the recipient countries’ priorities in development were reflected in national cooperation strategies and gender equality ODA project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bilateral ODAs made in Rwanda between 2010 and 2019, the proportion of gender equality ODAs was approximately 27%. Among them, the proportion of the significant category (gender marker 1) was absolutely great and expenditures for projects (Screened, Not Targeted) that were not aimed at gender equality were much higher. Specifically, the U.S. and Korea were identified to focus on widely supporting the sectors of population policy and reproductive health, production or agriculture, health, and multi-sectors/cross-cutting whereas Sweden was found to concentrate on supporting the sectors of governance, public administration, and civil society. This finding seem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weden's gender equality ODA, which value human rights-based approaches and equality as well as partnerships with NGOs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exists a ne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gender equality ODA among bilateral ODAs and the size of the principal objective category (gender marker 2) which directly aim to strengthen gender equality and women's competency while evenly supporting a wider range of fields to prevent being biased to only a few sectors. Considering Rwanda's characteristics of an agricultural-based society, patriarchal culture, and top-down governance,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gender equality ODA projects that revitalize various industrial bases, enhance civil society capabilities, and strengthen women's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s.

      • 노르딕국가의 비구속성 원조 특성 비교 연구 :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선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07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asons why Sweden and Norway, which are leading the international norms of aid, show a difference in de-facto untied aid. Norway is a country that has implemented 100% of untied aid, while at the same time achieving a 100% contract rate in developing countries. Sweden, on the other hand, maintains a ratio of untied aid at close to 100%, but it’s de-jure untied aid and de-facto tied aid, with its domestic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receiving orders reaching about 94%. In this study,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is found in the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Swedish and Norwegian aid.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weden and Norway is the structural difference expressed by the degree of centralization and the number of nod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aid policies. In Sweden, the degree of centralization is high, and the number of nodes is small. Therefore, Sweden has a vertical-hierarchical structure. In Norway, the degree of centralization is low, and the number of nodes is big. So, Norway has a horizontal-network structure. In the vertical-hierarchical structure, only the upper node with concentrated authority can exert power in the policy-making process. In Sweden, the foreign policy motive l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prevailed, creating an environment of de-facto tied aid. In the horizontal network structure, autonomy and independence of individual organizations are guaranteed, and practitioner-oriented and field-oriented tasks are performed. In the case of Norway, the realization of autonomy by aid enforcement agencies could have resulted in de-facto untied aid.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the structure of the aid operating system has an influence on whether it is de-facto tied aid or de-facto untied aid.23) 본 연구는 국제 사회의 원조 규범을 이끌어나가고 있는 스웨덴과 노르웨이가 실질적 비구속화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이유를 분석하고자 한다. 노르웨이는 비구속성 원조를 100% 실행하고 있으며, 동시에 개발도상국 수주율 100%를 달성하여 실질적 비구속화를 이루어낸 국가이다. 반면 스웨덴은 비구속성 원조의 비율을 100%에 가깝게 유지하고 있으나 자국 기업(및 공공기관) 수주율이 약 94%에 달하여 실질적으로 원조가 구속화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를 스웨덴 원조와 노르웨이 원조의 구조적 차이에서 찾고 있다.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실질적 구속화의 차이를 야기한 것은 원조 정책을 수립・실행・평가하는 과정 속에서 집권화의 정도와 노드의 개수의 차이로 발현되는 구조적 차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스웨덴의 경우 집권화의 정도가 높고, 노드의 개수가 적어 수직적 위계 구조를 띄고, 노르웨이의 경우 집권화의 정도가 낮고, 노드의 개수가 많아 수평적 네트워크 구조를 띈다. 수직적 계층형 구조는 권한이 집중된 상부의 노드만이 정책 결정 과정에 힘을 발현할 수 있어 스웨덴의 경우 외무성 주도의 외교 정책적 동기가 지배적으로 작용해 실질적 구속화의 환경이 조성될 수 있었다. 수평적 네트워크 구조는 개별 조직들의 자율성, 독립성이 보장되고, 실무자 중심, 현장 중심의 업무가 진행되기에 노르웨이의 경우 원조 실행 기구들의 자율성 발현으로 인해 실질적 구속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되었다. 결국 각 국가가 가지고 있는 원조 운영체계의 구조가 국제적 합의를 통해 창출된 규범을 진정으로 지킬 수 있는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