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중 e-스포츠 참여자의 몰입도가 참여만족 및 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중국 비교연구

        유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of Korea's and China's e-Sports participants' engagement on satisfaction and sporting attitude, to investigate the engagement of the two countries, satisfaction level, and the difference in sporting attitude. The study has also attemp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the result drawn from the research. For the research, players of ‘League of Legends’, an e-sports game, in Korea and China,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 total of 543 cases (272 cases from Korea, 271 cases from China) of adults between the age of 20s and 40s participated in extracting samples. A total of 500 cases (250 cases from Korea, 250 cases from China) were analyzed, excluding 43 cases (22 cases from Korea, 21 cases from China) that were filled out with false or partially omitted information and therefore were less reliable. The study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using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materials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by using SPSS 26.0 version and has execu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 α-value calculation,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below have been drawn from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mentioned previously. First, ➀ Korean and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engagement, and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were shown to experience a level of engagement higher than Koreans. ➁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Korean and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Koreans about participating in the e-sports games. ➂ Korean and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attitude from the sub-factors of sports attitude, and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were shown to recognize the emotional attitude higher than Koreans did. Second, Korean e-sports participants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terms of behavioral commitment from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which are the two sub-factors of engagement. Also,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terms of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Third, the Korean e-sports participants a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attitude from the sub-factors of sports attitude, which are social and emotional attitude, for cognitive commitment, the sub-factor of engagement; and the behavior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ocial and emotional attitude. Also,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ocial and emotional attitudes in terms of cognitive commitment only. Fourth,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Korean e-sports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ocial and emotional attitude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sports attitudes. Also,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Chinese e-sports participants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social and emotional attitudes.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attempts to propose a plan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sports  industry as follows: First, the engagement created through participation in e-sports affects the satisfaction level of e-sports participation. Engagement is ultimately created through a game of e-sports, and the positiv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eventually lead to the re-participation or recommendation to others, which is why diverse games with worldwide appeal should be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e-sports industry. Second, the level of engagement created through participation in e-sports affects sports attitude, which is a psychological reaction. As mentioned in the beginning, engagement is ultimately created through playing e-sports games. Engagement affects the sporting attitude, which is a psychological reaction, and therefore various e-sports games should be provided as well as opening different types of e-sports competitions at which the general public can participate. Also, it is important to induce positive sports attitudes in participants through competitions and ensure that they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e-sports culture. Third,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felt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e-sports affects the sporting attitude, which is a psychological reaction. Satisfaction in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contains a positive meaning unlike other factors, which is why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attitude. Therefore, developing products related to e-sports, such as PC peripherals (multi-function printer, keyboard, Bluetooth speaker), game peripherals (gamepad, console, magic mirror), etc., and providing various services would be important along with developing many types of e-sports games, so that the e-sports participants can feel higher participation satisfaction.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e-스포츠 참여자의 몰입도가 참여만족 및 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양국의 몰입도, 참여만족, 스포츠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e-스포츠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 e-스포츠 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 참여 경험이 있는 사람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은 20대 이상 ~ 40대 이하 성인으로 총 543부(한국 272부, 중국 271부)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작성되었거나 일부가 누락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 43부(한국 22부, 중국 21부)를 제외한 총 500부(한국 250부, 중국 25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표집방법으로 비확률 표집방법 중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작성은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version을 사용하여 연구 목적에 맞도록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 α값 산출,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독립 T-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➀ 한국과 중국 e-스포츠 참여자는 몰입도의 하위요인 중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e-스포츠 참여자가 한국 e-스포츠 참여자보다 몰입도를 더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➁ 한국과 중국 e-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e-스포츠 참여자가 한국 e-스포츠 참여자보다 e-스포츠 게임 참여에 대해 더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➂ 한국과 중국 e-스포츠 참여자는 스포츠 태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태도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 e-스포츠 참여자가 한국 e-스포츠 참여자보다 정서적 태도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e-스포츠 참여자는 몰입도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중 행위몰입만 참여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e-스포츠 참여자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참여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e-스포츠 참여자는 몰입도의 하위요인 중 인지몰입은 스포츠 태도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 중 정서적 태도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은 사회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e-스포츠 참여자는 인지몰입만 사회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e-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만족은 스포츠 태도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e-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만족은 사회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e-스포츠 산업 발전의 전략수립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e-스포츠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몰입도는 e-스포츠 참여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몰입도는 결국 e-스포츠라는 게임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며, 참여자의 긍정적인 만족은 이후 게임에 재참여하거나 타인에게 추천하는 등의 행위로 이어지기에 e-스포츠 산업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다양한 e-스포츠 게임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e-스포츠 참여를 통해 형성되는 몰입도는 심리적 반응인 스포츠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서두에서와 같이 몰입도는 결국 e-스포츠라는 게임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몰입도가 심리적 반응인 스포츠 태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양한 e-스포츠 게임 제공과 함께 일반대중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e-스포츠 대회가 개최되어야 한다. 또한 대회를 통해 참여자의 긍정적인 스포츠 태도를 형성시켜 e-스포츠 문화와 발전에 도움이 되게끔 해야 할 것이다. 셋째, e-스포츠 참여를 통해 느끼는 참여만족은 심리적 반응인 스포츠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참여만족의 만족은 다른 요인들과 다르게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어 스포츠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e-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만족을 더 높게 느낄 수 있게끔 다양한 e-스포츠 게임을 개발하고 더불어 PC주변기기(복합기, 키보드, 블루투스 스피커), 게임주변기기(게임패드, 콘솔, 매직미러) 등과 같은 e-스포츠 관련 파생상품 개발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와 의사소통 만족 및 조직효과성의 관계

        정용승 경기대학교 1998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직장인의 생활체육활동과 의사소통만족 및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하여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유형과 정도에 따른 의사소통만족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과제를 분석하였다. 첫째, 사회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의사소통만족 및 조직효과성의 차이, 둘째, 생활체육 참가유형과 의사소통만족의 관계, 셋째, 생활체육 참가유형과 조직효과성의 관계, 넷째, 생활체육 참여정도와 의사소통만족과 관계, 다섯째, 생활체육 참가정도와 조직효과성의 관계, 여섯째, 의사소통만족과 조직효과성의 관계, 일곱째, 생활체육 참가유형에 따른 참가정도와 의사소통만족 및 조직효과성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보기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1998년 현재 충청북도에 소재한 500인 이상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IMF의 영향을 덜 받고 직장내 생활체육 동호인 활동이 활성화되어있는 직장을 중심으로 표집틀을 작성한 다음, 각 종목별로 개인스포츠 참가자 200명, 대인스포츠 참가자 300명, 단체스포츠 참가자 300명 총 80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법(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표집하였으며, 실제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이중기입 하거나 무기입된 146명의 자료를 제외한 654명 이었다. 이 연구에서 통제하고자 한 배경변인은 성,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주관적 건강정도, 근무경력, 직무유형, 직위 등으로 제한하였으며,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은 생활체육과 조직효과성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의사소통만족도를 설정하였다. 의사소통만족도는 Downs와 Hazen(1977)의 의사소통만족척도(Communication Satisfaction Scale)를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그외 변인인 직무만족은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1967)를 유성식(1991)이 수정보완한 직무만족척도(Satisfact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몰입척도는 강현희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조직몰입은 Mowday, Porter와 Steers(1979)의 조직몰입척도를 유성식(1991)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분석 기법은 변량분석, 공변량분석, 중분류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를 통한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에 따른 자료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의 사회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만족은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많을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직무유형은 생산기능직 보다 사무관리직이, 직위는 부장급 이상이 높다. 조직효과성은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연령은 높을수록, 교육수준은 대졸이, 소득수준은 높을수록, 건강이 좋을수록, 근무경력은 많을수록, 직무유형은 생산직보다 사무관리직이, 직위는 부장급 이상이 높다. 둘째, 직장인의 의사소통만족은 대인스포츠에 참가하는 직장인이 개인이나 단체스포츠에 참가하는 직장인보다 높다. 셋째, 직장인의 조직효과성은 대인스포츠에 참가하는 직장인이 개인이나 단체스포츠에 참가하는 직장인보다 높다. 넷째, 직장인의 의사소통만족은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참가하는 기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참가의 강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 다섯째, 직장인의 조직효과성은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참가하는 기간이 길수록 높았으며, 참가의 강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다. 여섯째, 직장인의 의사소통만족은 조직효과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조직효과성 하위변인인 직무만족은 조직적 통합성, 조직적 전망, 개인적 피드백, 상사와의 관계, 의사소통의 질이 높을수록 높다. 또한 직무몰입은 조직적 전망, 상사와의 관계, 의사소통의 질, 부하와의 관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조직몰입은 조직적 통합성, 개인적 피드백, 의사소통의 질, 부하와의 관계가 높을수록 높다. 일곱째, 직장인의 생활체육 참가정도와 의사소통만족은 조직효과성의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대인스포츠에 참가하는 직장인은 조직효과성에 대해 의사소통만족을 통한 간접효과는 없으나 직접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과 단체스포츠에 참가하는 직장인은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으나 의사소통만족을 매개로하여 간접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직장동호인의 생활체육 활동은 조직효과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나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의사소통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직효과성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of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has developed a working model between sports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ere communication satisfaction functions as an important mediator between the two. Seve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orth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 the model. (1) Are ther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the sports participants? (2) Are ther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atisfaction by different patterns of participation? (3) Are th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different patterns of participation? (4) Are ther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atisfaction by different degrees of participation? (5) Are th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different degrees of participation? (6) Do different degree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fferently? (7) Are the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port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from different sports clubs in workplaces located in Chung-buk area. There were 200 individual sports participants, 300 dual sports participants, and 300 team sports participants. After incomplete answers were discarded, the number of subjects were 141, 274, and 239 respectively. The survey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for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d been developed by Down and Hazen(1977)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The questionnaire for job satisfaction had been developed by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1967) and used by Yoo(1991). And The questionnaire for job involvement had been developed by Kando(1982) and used in korean language by Kang(1996). The questionnaire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been developed by Mowday et al.(1979) and standardized in Korean language by Yoo(1991).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ANOVA, ANCOVA, MCA and multiple regresst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f sports participants mak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atisfaction. Males show greater satisfaction than females. Those who are relatively older, with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more healthy, and of longer employment history showed great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White color workers showed greater satisfaction, especially, those who are in high ranking positions. The same pattern was repeated in relation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e., males, older employees, higher educated, etc showed greate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dual sports participants show great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an individual or team sports participants. Third, the patterns of sports participation mak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ual sports participants show greate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participants of other types. Fourth, those who participate more frequently, for longer duration showed greater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participation intensity made no difference. Fifth, the same pattern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degre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ix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the employees is partly responsible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one indicator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s high positive relation with organizational integration, corporate perspective, personal feedback, relation with supervisor, and communication quality. Job involvement, another indica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corporate perspective, relation with supervisor, communication quality, and relation with subordinat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third index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integration, personal feedback, communication quality, and relation with subordinate. Finally, participation degree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mployees who participate in dual sports have a high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ving not show indirect effect through communication satisfaction, but showing direct effect. Employees who participate in individual and group sports have no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show indirect effect through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sum, employee's sport activities influence directl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directly through increasing their communication satisfaction

      • 스포츠이벤트품질이 참가자의 참여만족과 스포츠몰입,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생활스포츠이벤트를 중심으로

        서효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3

        현대 사회의 스포츠 패러다임은 엘리트 스포츠에서 생활 스포츠로 그 초점이 변화하고 있으며, 생활 스포츠의 참여율은 매년 크게 증가하여 여가 스포츠 활동의 황금기 시대를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생활체육진흥을 위해 다양한 생활스포츠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스포츠이벤트는 강력한 마케팅원동력이며 스포츠에 대한 지역 또는 국가의 관심 증가, 소비 증가를 통한 경제성장, 일자리 창출, 관광목적지 수입 증가 등 지역개발의 장기적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직접적인 스포츠이벤트와 스포츠참여에 대한 지속의도나 스포츠몰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이벤트품질이 참가자의 참여만족, 스포츠몰입, 지속의도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성공적인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방향을 제시하고, 국민생활체육진흥을 위하여 스포츠이벤트와 국민생활체육 참여행동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목표로 하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과 자료를 수집하고 스포츠이벤트품질, 참여만족, 스포츠몰입, 지속의도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연구하여 이론적 검증을 통해 변수를 추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9년 10월 26일부터 총 2일간에 걸쳐 생활스포츠이벤트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에는 500부의 설문지 중 유효설문지 453부(90.6%)가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코딩을 거쳐 IBM SPSS Statistics v26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물리적환경품질,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은 참여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상호작용품질과 결과품질은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상호작용품질과 결과품질은 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참여만족의 공익적 기여와 개인적 성취는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참여만족의 공익적 기여, 사회적 인정, 개인적 성취는 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이론적인 부분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대상이 스포츠이벤트에 참가하는 선수 입장의 연구이거나 관람에만 참여하는 관람객 입장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대상적 한계점을 극복하고 두 대상의 성격을 통합하여 중복된 특성을 가진 참가자, 즉 선수와 관람객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 대상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에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져 학문적 가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입증되어 온 통합서비스품질의 연구모델인 SERVQUAL 모델이 아닌 본 연구의 목적과 부합하도록 일부 수정한 SERVPERF 모델을 활용하여 뚜렷한 모델 적합성을 증명하며였고, 특히 결과품질요인의 중요성을 재입증하였으며, 결과품질은 참가자의 참여만족과 스포츠몰입, 지속의도까지 모든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의 참가자 입장에서 참여만족이 스포츠몰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스포츠이벤트 참가자의 참여만족이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설정에 있어서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나 본 연구결과를 통해 그 이론적 근거를 더욱 명확하게 해주었으며 기존 연구들과 차별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서비스품질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며 많은 학자들이 제시했던 향후 연구 방향은 산업군 별로 세분화된 맞춤형 서비스품질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재도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서비스품질요인을 변경 구성하여 연구에 사용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향후 연구에 생활스포츠이벤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 시 적합한 품질변수를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스포츠이벤트품질의 요인 중 결과품질의 중요성이 부각 되어 나타났다. 결국 참가자의 경험평가는 전반적인 변수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중심이 되고 있으며, 이는 참가자의 참여만족 향상을 위해 물리적 환경요인인 흥미로운 프로그램과 쾌적한 환경, 상호작용요인인 전문적인 운영과 운영요원의 전문성 등을 기반으로한 품질 요인은 더 이상 괄목할 만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점을 시사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체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스포츠이벤트의 방대한 관광효과를 발생하는 특성으로 보아 스포츠이벤트를 중심으로 관광학 분야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하고 진행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과 다른 관점에서 연구하였다는 차별화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후속 연구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들 수 있다. 연구결과 실무적인 부분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포츠이벤트 참가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업군의 불균형이 발견되었다. 이는 생활스포츠이벤트참여가 가능한 직종이 편중되고 있다는 해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국민생활체육진흥을 위하여 저 참여 직종을 고려한 스포츠이벤트의 홍보/마케팅과 실질적인 생활체육참여를 위하여 지역 농,림,어,축 협회 또는 유관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조사대상의 연령에서는 40대가 186명(41.1%), 50대가 139명(30.7%)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매우 무족한 20~30대의 참여율을 독려하기 위하여 젊은 층의 선수가 쉽게 가입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생활체육동호회의 홍보 활동에 체육회 등 유관기관이 집중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결과품질요인은 참여만족에 뚜렷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다. 현재 다수의 생활스포츠이벤트는 이미 참가자에게 제공하는 성과를 중시하는 운영을 해오고 있는데 주기적으로 개최하는 생활스포츠이벤트들이 대부분 종합순위 외에도 참가하는 모든 팀이 팀별 성과를 가져갈 수 있도록 분야를 세분화하여 참가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결과품질의 중요성을 토대로 생활스포츠이벤트 참가자에게 참가종목안에서 분류를 세분화하고 그에 따라 상장이나 트로피를 수여하여 선수들의 경험적 가치에 더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넷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은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활스포츠이벤트의 참가자는 대부분 대회 당일 뿐 아니라 준비하는 과정부터 모두 대회에 대한 참가로 인식하고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참가자의 스포츠에 대한 직접적인 행동을 관여하는 스포츠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역시 결과품질의 중요성이 부각된 결과이며 선수와 더욱 밀접한 상호작용을 위해 관련 종목의 생활체육 참여자로 구성된 운영요원이 참가자와 상호작용하여 스포츠몰입에 기여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생활스포츠이벤트에 참가하는 참가자의 숙박률이 68.8%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직접 경기에 참여하는 시간 외 경험적 활동이 시간적으로 가능하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최 측에서 숙박, 식사 또는 지역관광지의 관광프로그램까지 고려하여 대회를 준비한다면 참가자의 경험적 가치를 높여 참가자가 대회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팀 단위로 참여하는 생활스포츠이벤트의 참가자 특성은 소속된 지역이나 동호회를 대표하여 참가한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을 때 참여만족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도출해 내어 대회프로그램 외에도 팀원들이 서로 유기적인 역할이 가능한 참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입하여 참여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참여만족요인이 참가자의 운동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며 이 중 공익적 기여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입증되었다. 따라서 팀 단위의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예: 지역별 응원 현수막, 지역별 유니폼 등) 제작물을 고려하여 제작하고 노출 시켜 자긍심을 고취하고 참여지속의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포츠이벤트품질이 참가자의 참여만족, 스포츠몰입, 지속의도간의 영향 연구는 향후 더욱 효과적이며 생산적인 생활스포츠이벤트의 개최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민생활체육증진에 대한 학문적 접근뿐만 아니라 실무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sports paradigm of the modern society is shifting from elite sports to life sports, and the participation rate of life spor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every year, thus spending the golden age of leisure sports activities. As a result, local governments and other local governments are holding life sports events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people's sports, and even companies are trying to hold life sports events for the purpose of marketing. Sporting events are a powerful driving force for marketing and are an effective means of strengthening the long-term found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including increased regional or national interest in sports, economic growth through increased consumption, job creation, and increased income as tourist destinations. However, studies on sustained intention or sports commitment to direct sporting events and sports participation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event quality, participa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sports commitment, and intention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ccessful sports events, and the effects of sports events and sports participation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national sports An attempt was made to verify the relationshi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and data were collected and theories and components of sports event quality,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sports commitment, and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sustained intention were studied. The variabl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verification, an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sports event quality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sports event quality and sports commitment, sports event quality and persistence intenti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sports commitment,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tention, sports commitment a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staining intention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preliminary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urvey was conducted at the Gyeongsangnam-do Life Sports Festival for a total of two days from October 26, 2019. In the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453 (90.6%) of the 500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valid samples.The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o the participants at the event site where the sporting event was held. The data is collected by self-writing, and then coded,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26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hypothesis was tested. Since then, hypothesis testing has been carried out.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interaction quality, and outcome quality of sports ev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cond, the interaction quality and outcome quality of sports event quality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ports commitment. Third, the interaction quality and the outcome quality of the sport event quality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staining intention. Fourth, the public contribution and personal achievemen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commitment. Fifth, public contribution, social recognition, and personal achievemen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staining intention. Lastly, it was analyzed that cogni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of sports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sistence intention. The implications from the theoretical par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most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researches on the part of the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sporting events, or mostly on the part of the viewers who participated in the viewing process.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es by overcoming these object limitations and integ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subjects to select participants with overlapping characteristics, that is, subjec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thletes and visitors at the same time. Second, in this study, the SERVPERF model was proved using the SERVPERF model, which was partially modifi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rather than the SERVQUAL model, which is a research model of integrated service quality that has been proven in previous studies. The importance of quality factors was reaffirmed, and the outcome quality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variables such as participation satisfaction, sports commitment, and intention of participants, which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subsequent studies. Third, the direct impa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sports immersion was ver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cipants of the sporting event. Although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very lacking in the hypothesis that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ports event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ports commitment, this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ports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been made clearer and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for subsequent studies that yield meaningful results that differ from existing studies. Fourth, service quality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suggested by many scholars are that customized service quality standards that are broken down by industry are needed. As the service quality factors have been changed and used in the research in a comprehensive sense at present, they are frequently used in research. It can be used as data. Fifth, in this study, sport ev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outcome quality among the outcom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was highlighted. This is a result that indicates that most of the existing similar researches have additional implications on the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outcome quality factors excluded. Eventual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 evaluation is centered on the result of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overall variables. This suggests that quality factors based on interesting programs, pleasant environments, and interactions with professional operations and expertise of operating personnel are no longer expected to achieve remarkable growth in order to enhance participants' satisfaction. Finally, most previous studies similar to this study have been done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Sports events are a powerful marketing force if the basic elements of sports can be combined with the image of the venue, and their importance is increasing every year. This is an effective means of strengthening the long-term found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The positive effects that lead to the local community's self-esteem and economic effects through increased consumption, job creation, income as tourist destinations, new facilities, and improved sports infrastructure, including increased local or national interest in sports. Effects occur. In other words, since it is the point that research in the field of tourism is necessary for the sporting events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that generate a large amount of tourism effect, it has a differentiation that it was studied from a different viewpoint than most related studies. It can be used as theoretical basis of data. The implications from the prac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Gyeongsangnam-do Sports Festival, the disparity of occupation group was fou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biased occupations in which sports participation is possible, so in order to promote the actual national sports promotion, promotion / marketing of sporting events considering low-involved occupations and practical involvement in local sports activities There is a need to build networks. Second, the age of the survey subjects was 186 (41.1%) in their 40s, 139 (30.7%) in their 50s, and 82 (18.1%) in their 30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participation of the first participant in the sporting event is relatively steady. In order for athletes to easily join and participate in activities, it is necessary for intensive support such as sports associations to promote sports clubs. Third, the sport event quality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the outcome quality factors showed a clear influence relationship. At present, many life sports events have already put emphasis on the achievements provided to the participants. Most of the life sports events held regularly are divided into fields so that all participating teams can achieve the performances by teams. Inducing. Therefore,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results,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classification in the sporting event participants and to award the awards or trophies accordingly. Fourth, sports event quality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ports commitment. Participants in life sports events have the characteristic that they are recognized as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from the time they prepare the competition.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of results was highlighted in order to improve the sports commitment involved in the participants' direct actions on sports. Stressed the need to contribute to sports commitment. Fifth, it was analyzed that sports event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staining in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uration of exercise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the life sports event was 40.2% less than 5 years, 31.3% from 6 years to 10 years, and 28.5% from more than 10 years.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particip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to maintain the participation, participants should re-enter the sporting event based on the conclusion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quality of the sport eve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plan for effective attraction was presented. In addition, 68.8% of the participants stayed more than 1 night, including 55.6% of 1 night 2 days and 13.0% of 2 night 3 days. This means that after-hours experiential activities in direct competitions are possible in time. Also, the longer the venue is, the longer the stay will be, so if the organizer considers accommodation, meals, or even tourism programs in some local tourist destination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will be positive for the competition. It is judged that it can provide an experience image. Sixth, participation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ports commitment. Participant characteristics of life sports events that take part in teams are that they participate on behalf of their region or club. As a result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alysis, 80.4%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as a group / club in the category of companions, and 61.8% of sports associ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9.1% of sports leaders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life sports event. It is found to have monopoly over 70%.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 sports events participating as a team, it was concluded that the team became the most immersive when it was helpful to the team and felt a sense of belonging and accomplishment together. .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competition program,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participation satisfaction by developing and introducing participation programs in which team members play an organic role. Lastly,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ustaining intention. All participants 'satisfaction factors affect the participants' exercise intention, and the public contribution is prov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is indicates that participant satisfaction in group sports keeps the movement as a whole due to the nature of the sporting ev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rrange and expose productions that can be immersed in a team with a sense of belonging of a team (eg, regional cheer banners). The study of the impact of the sport event quality suggested by this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participation, sports commitment, and sustained intention suggests various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more effective and productive strategy for life sports events.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be a useful resource not only for the academic approach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life, but also for the practical aspects. 현대 사회의 스포츠 패러다임은 엘리트 스포츠에서 생활 스포츠로 그 초점이 변화하고 있으며, 생활 스포츠의 참여율은 매년 크게 증가하여 여가 스포츠 활동의 황금기 시대를 보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국민생활체육진흥을 위해 다양한 생활스포츠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스포츠이벤트는 강력한 마케팅원동력이며 스포츠에 대한 지역 또는 국가의 관심 증가, 소비 증가를 통한 경제성장, 일자리 창출, 관광목적지 수입 증가 등 지역개발의 장기적 기반을 강화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직접적인 스포츠이벤트와 스포츠참여에 대한 지속의도나 스포츠몰입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이벤트품질이 참가자의 참여만족, 스포츠몰입, 지속의도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여 성공적인 스포츠이벤트 개최의 방향을 제시하고, 국민생활체육진흥을 위하여 스포츠이벤트와 국민생활체육 참여행동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목표로 하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과 자료를 수집하고 스포츠이벤트품질, 참여만족, 스포츠몰입, 지속의도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연구하여 이론적 검증을 통해 변수를 추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보완하였으며, 본 조사는 2019년 10월 26일부터 총 2일간에 걸쳐 생활스포츠이벤트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실증분석에는 500부의 설문지 중 유효설문지 453부(90.6%)가 사용되었으며 데이터 코딩을 거쳐 IBM SPSS Statistics v26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물리적환경품질, 상호작용품질, 결과품질은 참여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상호작용품질과 결과품질은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상호작용품질과 결과품질은 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참여만족의 공익적 기여와 개인적 성취는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참여만족의 공익적 기여, 사회적 인정, 개인적 성취는 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스포츠몰입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지속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이론적인 부분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분석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대부분의 연구대상이 스포츠이벤트에 참가하는 선수 입장의 연구이거나 관람에만 참여하는 관람객 입장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대상적 한계점을 극복하고 두 대상의 성격을 통합하여 중복된 특성을 가진 참가자, 즉 선수와 관람객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 대상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에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져 학문적 가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입증되어 온 통합서비스품질의 연구모델인 SERVQUAL 모델이 아닌 본 연구의 목적과 부합하도록 일부 수정한 SERVPERF 모델을 활용하여 뚜렷한 모델 적합성을 증명하며였고, 특히 결과품질요인의 중요성을 재입증하였으며, 결과품질은 참가자의 참여만족과 스포츠몰입, 지속의도까지 모든 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의 참가자 입장에서 참여만족이 스포츠몰입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스포츠이벤트 참가자의 참여만족이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설정에 있어서 선행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나 본 연구결과를 통해 그 이론적 근거를 더욱 명확하게 해주었으며 기존 연구들과 차별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서비스품질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며 많은 학자들이 제시했던 향후 연구 방향은 산업군 별로 세분화된 맞춤형 서비스품질기준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재도 포괄적인 의미에서의 서비스품질요인을 변경 구성하여 연구에 사용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향후 연구에 생활스포츠이벤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 시 적합한 품질변수를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 스포츠이벤트품질의 요인 중 결과품질의 중요성이 부각 되어 나타났다. 결국 참가자의 경험평가는 전반적인 변수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에 중심이 되고 있으며, 이는 참가자의 참여만족 향상을 위해 물리적 환경요인인 흥미로운 프로그램과 쾌적한 환경, 상호작용요인인 전문적인 운영과 운영요원의 전문성 등을 기반으로한 품질 요인은 더 이상 괄목할 만한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점을 시사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와 유사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체육학 분야에서 이루어져 왔다. 스포츠이벤트의 방대한 관광효과를 발생하는 특성으로 보아 스포츠이벤트를 중심으로 관광학 분야 관점에서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하고 진행하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과 다른 관점에서 연구하였다는 차별화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후속 연구의 이론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들 수 있다. 연구결과 실무적인 부분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스포츠이벤트 참가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업군의 불균형이 발견되었다. 이는 생활스포츠이벤트참여가 가능한 직종이 편중되고 있다는 해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국민생활체육진흥을 위하여 저 참여 직종을 고려한 스포츠이벤트의 홍보/마케팅과 실질적인 생활체육참여를 위하여 지역 농,림,어,축 협회 또는 유관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조사대상의 연령에서는 40대가 186명(41.1%), 50대가 139명(30.7%)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매우 무족한 20~30대의 참여율을 독려하기 위하여 젊은 층의 선수가 쉽게 가입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생활체육동호회의 홍보 활동에 체육회 등 유관기관이 집중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의 결과품질요인은 참여만족에 뚜렷한 정(+)의 영향 관계를 나타내었다. 현재 다수의 생활스포츠이벤트는 이미 참가자에게 제공하는 성과를 중시하는 운영을 해오고 있는데 주기적으로 개최하는 생활스포츠이벤트들이 대부분 종합순위 외에도 참가하는 모든 팀이 팀별 성과를 가져갈 수 있도록 분야를 세분화하여 참가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결과품질의 중요성을 토대로 생활스포츠이벤트 참가자에게 참가종목안에서 분류를 세분화하고 그에 따라 상장이나 트로피를 수여하여 선수들의 경험적 가치에 더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넷째, 스포츠이벤트품질은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활스포츠이벤트의 참가자는 대부분 대회 당일 뿐 아니라 준비하는 과정부터 모두 대회에 대한 참가로 인식하고 있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참가자의 스포츠에 대한 직접적인 행동을 관여하는 스포츠몰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역시 결과품질의 중요성이 부각된 결과이며 선수와 더욱 밀접한 상호작용을 위해 관련 종목의 생활체육 참여자로 구성된 운영요원이 참가자와 상호작용하여 스포츠몰입에 기여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생활스포츠이벤트에 참가하는 참가자의 숙박률이 68.8%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직접 경기에 참여하는 시간 외 경험적 활동이 시간적으로 가능하다는 해석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최 측에서 숙박, 식사 또는 지역관광지의 관광프로그램까지 고려하여 대회를 준비한다면 참가자의 경험적 가치를 높여 참가자가 대회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팀 단위로 참여하는 생활스포츠이벤트의 참가자 특성은 소속된 지역이나 동호회를 대표하여 참가한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을 때 참여만족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도출해 내어 대회프로그램 외에도 팀원들이 서로 유기적인 역할이 가능한 참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입하여 참여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든 참여만족요인이 참가자의 운동지속의도에 영향을 주며 이 중 공익적 기여가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입증되었다. 따라서 팀 단위의 소속감을 느낄 수 있는(예: 지역별 응원 현수막, 지역별 유니폼 등) 제작물을 고려하여 제작하고 노출 시켜 자긍심을 고취하고 참여지속의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포츠이벤트품질이 참가자의 참여만족, 스포츠몰입, 지속의도간의 영향 연구는 향후 더욱 효과적이며 생산적인 생활스포츠이벤트의 개최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민생활체육증진에 대한 학문적 접근뿐만 아니라 실무적 측면에서도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스포츠 센터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서비스 만족이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창열 원광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소비자의 사회 인구 통계학적 특성,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 만족, 소비자 구매 후 행동의 관계를 규명하여 효과적인 스포츠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스포츠센터 소비자의 사회 인구 통계학적 특성이 라이프 스타일과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둘째,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 만족, 소비자 구매 후 행동(재구매 의도, 구전 의도)의 관련을 규명하고, 셋째, 라이프 스타일이 스포츠 시설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넷째, 라이프 스타일이 소비자 구매 후 행동(재구매 의도,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섯째, 서비스 만족이 소비자 구매 후 행동(재구매 의도, 구전 의도)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5대 광역시(인천, 대전, 광주, 대구, 부산)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다단계 유층집략 무선 표집법(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867명의 임의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하고 설문지를 자기기입법으로 작성하게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787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PC+/SAS 8.12를 이용하여 요인 분석(factor analysis), 다변인 분산분석(MANOVA),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는 Duncan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제시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요인 분석 결과 라이프 스타일은 스포츠 인자, 유행 인자, 허무주의, 성취 인자, 자기 확신, 개성 인자, 건강 관리, 생활 배려, 안전 인자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소비자의 서비스 만족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서비스 만족은 물적 서비스, 시스템적 서비스, 인적 서비스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 스타일은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소득 수준, 스포츠 시설 이용 시간, 건강 정도에 따라 다변인 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p<.05)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이프 스타일, 서비스 만족, 소비자 구매 후 행동에 대한 상관 분석에서 라이프 스타일과 서비스 만족, 라이프 스타일과 소비자 구매 후 행동, 서비스 만족과 소비자 구매 후 행동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라이프 스타일이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 라이프 스타일은 물적 서비스 만족, 시스템적 서비스 만족, 인적 서비스 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라이프 스타일이 소비자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 라이프 스타일이 소비자 구매 후 행동(재구매 의도와 구전 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서비스 만족이 소비자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서비스 만족은 소비자 구매 후 행동(재구매 의도와 구전 의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서비스 만족에는 라이프 스타일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비자 구매 후 행동에는 라이프 스타일이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고 서비스 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스포츠센터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특성과 서비스 만족은 소비자 구매 후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써 스포츠센터 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특성을 고려한 소비자 서비스 만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스포츠 센터 재구매를 고려하는 고객 중심의 원칙에 입각하여 모든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을 추진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스포츠센터 운영을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센터 소비자의 세분화된 시장 중에서 표적 시장을 선정해 집중적으로 시설, 서비스, 가격, 홍보 등의 마케팅 전략 요인을 활용하여 가장 효율적인 이미지를 소비자들로부터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스포츠 센터 소비자의 변인간 관계성은 스포츠 마케팅 차원에서 분석되고, 수정·보완되어 스포츠 센터 소비자의 참여율을 증진시키고 생활 체육 복지정책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대중적이고 건전한 스포츠 센터 시설 이용을 활성화 시켜 스포츠에 대한 여가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시설 개발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특히 스포츠 센터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 품질 개발을 통해 다양화, 차별화 전략을 수익성과 고객 중심의 마케팅 전략으로 운영해야 한다. This dissertation was focused on finding an effective strategy in term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 style characteristics, servic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 of customer after making use of a sport cent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was to examine as follows: 1) The influence on the life style and service satisfaction of sport center custom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The relation of life style, servic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 after a customer's purchase(the intention of repurchase, spoken purchase intention) 3) The influence on a service satisfaction of sport facilities of customer's life style 4) The influence of a life style on a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the intention of repurchase, spoken purchase intention) 5) The influence of a service satisfaction on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the intention of repurchase, spoke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1) The subjects chosen for this experimental study were 867 adults in Seoul including the megalopolis (Incheon, Daejon, Gwanju, Daegu, Busan)by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2) They were investigated and answered to the questionaries by themselves. 3) Among the received questionaries, 787 subjects excluding those answering insincerely were selected. 4) PC+/ SAS 8.12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M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Duncan method was used for final verification. The test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life style showed sport factor, vogue factor, nihilism factor, accomplishment factor, self assurance factor, personality, health care, life care, safety factor as consequences of analysis for sport customer's life style factor. Second, the service satisfaction showed material service, systematic service, human resource service as consequences of analysis for sport customer's service satisfaction. Third, the life styl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d meaningful difference(p〈.05) by Manova in terms of sex, age, educational level, income level, sport facilities, time available, health status. Fourth, in terms of life style, service satisfaction, correlation analysis for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it showed that life style and service satisfaction, life style and the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service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had meaningful correlation. Fif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ffect on service satisfaction of life style showed a meaningful influence on material service satisfaction, systematic service satisfaction, human resource service satisfaction. Sixth, the consequenc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effect on the behavior of customer's purchase in terms of life style (the intention of repurchase and spoken purchase intention) showed that the life style didn't have a direct influence on customer's behavior(the intention of repurchase and spoken purchase intention). Seventh, the consequenc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ervice satisfaction having an effect on the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showed that service satisfaction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the intention of repurchase and spoken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have suggested that life style could have a direct effect on service satisfaction. However, life style didn'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behavior after customer's purchase, but had an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service satisfaction. Judging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life style characteristics of sport center customer and the service satisfac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behavior after the purchase.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o sport center business effectively is that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customer life style characteristics. Also establishing all the marketing strategies and accomplishing them on the basis of customer's viewpoint that he(or she) wants to be the customer of a sport center should be conducted competitively. These results have suggested for successive study as follows: First, a target sport center market could be chosen of its kind and the most effective image should be created from the customer by making use of marketing strategy factors, such as facilities, service, price, public information. Second, the relation between variables in sport center customer from this research should be analyz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in terms of sport marketing. After that, it should be theoretical basis for increasing sport center customer's participation and bettering social sport welfare policy problem. Third, facility development and service quality should be improved for settlement of sport leisure culture by activating popular and sound sport center facility use. Especially, diversifying and differentiating strategies for increasing sport center participation rate through service quality development should be conducted as a profitability and customer centered marketing ones.

      •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와 참여만족이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풍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43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experiential value on the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participants in ice and snow sports through "Study on the effects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satisfaction on their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positive emotions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l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the effect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empirical value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e effect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empirical value on emotional response, and the effect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empirical value on behavioral intention Influence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emotional response,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s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emotional response on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is, ice and snow sports propose an efficient value recognition plan for experiential value and seek concrete measures for their value to provide practical action intentions. The subject and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500 participants in ice and snow sports, and used the final 475 valid questionnaires,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discussion.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is study was processed in the following way using the SPSS 24.0 program for Window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all the questionnaire items used in this study, such as experiential value, participation satisfaction,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reliability.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ical value of participants in ice and snow sports in China, participation satisfaction,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multicollinearity between each variable. Four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experiential value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their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xperiential value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experiential value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the consumer utility factor, service excellence factor, and fun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aesthetic value factors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xperiential value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on emotional response,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 utility factor, service excellence factor, and fun value among the experiential value factors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and aesthetic value factors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xperiential value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on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 factors of experiential value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the consumer utility factor, aesthetic value factor, and fun valu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response.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factor had no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on emotional response,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factor and the physical satisfaction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otional response, the social satisfaction factor was found to have no effect.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factors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satisfaction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emotional response on behavioral intention, the emotional response of Chinese ice and snow sports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본 연구는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와 참여만족이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해 경험적 가치가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에 따라 선행연구 및 문헌 검토를 기반으로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만족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만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빙설스포츠가 경험적가치 위한 효율적인 가치인식 방안을 제시하고 그들의 기가치의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 가능한 실무적 행동의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 및 자료처리는 빙설스포츠 참가자5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고 최종475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 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면, 논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용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 참여만족, 감정반응과 행동의도 등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설문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에 대한 신뢰성을 파악하고자 신뢰도분석(reliability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참여만족,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 간의 관계 및 각 변인 간의 다중공선성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넷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와 참여만족이 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에 대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참여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 요인 중 소비자효용 요인, 서비스우수성 요인, 재미가치가 참여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가치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 요인 중 소비자효용 요인, 서비스우수성 요인, 재미가치가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적 가치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가치 요인 중 소비자효용 요인, 심미적 가치 요인, 재미가치가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우수성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만족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빙설스포츠 참여자의 참여만족 요인 중 심리적만족 요인, 신체적만족 요인이 감정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만족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빙설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만족요인은 심리적 만족요인, 사회적 만족요인, 신체적 만족요인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중국 빙설스포츠 참가자의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국 빙설스포츠 참가자의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민석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sports leaders'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 to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and effective human management using psychological capital to improve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sports leaders in a changing sports environ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population working as sports-related classes, sports center employees, and life sports leaders at sports sites and sports sites in Seoul and Gyeonggi-do. 400 people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which a total of 362 copies were analyzed as final data, excluding surveys that were unable to analyze due to insincere responses. For data analysis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irwise comparis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using SPSS 2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job performance. Fifthly,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ixthly, it was found that the job performance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number of significant managerial implications are provided. Firstly, since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affects on job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sports leaders (self-efficacy, optimism, hope, and resilience). Sports leaders should maintain their status and role as teachers, leaders, and coaches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guide sports so that they can become leaders with high self-efficacy through stable sports guidance with hope. A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which future-oriented and optimistic plans can be made to maintain sports guidance as a job, and an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reach their goals by planning and pursuing life.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establish and assist the treatment and safety net of sports leaders who can recover quickly even in difficulties in sports guidance should be established. Secondly, sports leaders' psychological capital is found to affect job performance, and job performance is linked to work and direct development, and so the higher the salary of sports leaders,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the better the psychological capital. Thirdly, sports leaders' psychological capital has been found to affec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capital, the more influential they are to help colleagues, comply with workplace tasks and rules, and participate in addition to prescribed task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orientation, a regular-time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in which age and career can be recognized and maintained stably. Fourthly,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affects job performance, so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and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Fifthly, it i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cordingly,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support of various program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sports leaders are linked to positi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o that many participants in sports can have a great influence on high-quality guidance, positive sports, and people's health. Sixthly, the higher the job performance of sports leader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f job performance is recognized and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is established, sports leaders will be responsible for job performance and also mor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ill be achieved.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화하는 스포츠환경에서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조직시민행동의 향상을 위해 심리적자본을 활용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인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스포츠현장, 생활체육현장에서 스포츠 관련 수업이나 스포츠센터 직원, 생활스포츠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모집단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에 400명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분석자료가 불가능한 설문을 제외한 총 362부를 최종자료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처리는 SPSS 21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쌍대비교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성과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스포츠지도자들의 심리적 자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스포츠지도자들이 스포츠를 지도하는 환경에서 교사, 지도자, 코치로서의 지위와 역할을 유지하여 희망을 갖고 스포츠지도라는 업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자기효능감이 높은 지도자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스포츠지도를 직업으로 유지할수 있다는 미래 지향적이고 낙관적인 계획을 세우고 삶을 계획하고 추구하여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포츠지도에 있어 어려움에 처하더라도 빨리 회복할 수 있는 스포츠지도자들의 처우 및 안전망을 구축하고 조력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는 직장의 업무 및 직접적인 발전에 연계되기 때문에 스포츠지도자의 연봉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았던 결과와 같이 연봉과 승진 등의 제도를 마련하여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스포츠지도자의 심리적 자본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자본이 높을수록 동료를 돕고 직장의 업무와 규칙을 준수하고 규정된 업무 이외에도 참여하는 영향력을 보이므로 심리적 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장 내에서 사회적 관계에 있는 동료와 직장과 연계된 업무 성과급 등의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조직지향이 높다는 결과와 같이 연령과 경력이 안정되게 인정 되고 유지될 수 있는 정규직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직무성과가 높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연령이 높을수록 연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안정된 직장에서 경력을 인정받으면서 업무에 준하는 대우와 연봉계약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다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스포츠지도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지원은 긍정적인 조직시민행동으로 연계되어 많은 생활체육에 참여자는 사람들은 수준 높은 지도와 긍정적 생활체육의 확대, 국민들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스포츠지도자의 직무성과가 높을수록 조직시민 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점으로 직무성과를 인정하고 적합한 보상체계가 이루어진다면 스포츠지도자는 직무성과를 책임감 있게 완수하고 결과적으로 조직시민행동도 더욱 많이 이루어 질것이다.

      •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참여동기, 몰입, 여가만족 및 참여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여민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94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참가자의 참여동기, 몰입, 여가만족 및 참여지속의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변수들 사이에 직접과 간접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중국 e-스포츠산업 발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과 동시에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에 참고할 수 있는 경험 모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중국 6개 행정구, 20개 학교에서 설문조사를 한다.중국의 20개 대학교의 482명의 e-스포츠 참가자를 선정하고, 불성실 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482부 자료 검증을 거쳐 482개의 표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동기를 독립변수로, 몰입, 여가만족 및 참여지속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SPSS 25.0과 Amos 24.0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 신뢰도 분석 (Cronbach’sα), 타당도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est),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Bonferroni 사후검정(Scheffe), 상관분석(Analysis of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Analysis of regression), Amo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e-스포츠 인구통계학 변인 성별에 참여동기, 몰입, 여가만족, 참여지속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라 참여동기와 몰입의 학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인구통계학 변인 참여시간, 참여빈도, 참여기간에 따라 참여동기, 몰입, 여가만족, 참여지속의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참여동기 하위요인 자기개발 동기, 대인교류 동기, 여가 동기, 동아리참여 동기 성향이 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참여동기 하위요인 자기개발 동기, 대인교류 동기, 여가 동기, 동아리참여 동기 성향이 여가만족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몰입 하위요인 행위몰입, 인지몰입 성향이, 여가만족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몰입 하위요인 행위몰입,인지몰입 성향이,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여가만족 하위요인 심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휴식적 만족, 생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 성향이,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부분영향을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 대학생의 e-스포츠 참여동기 하위요인 자기개발 동기, 대인교류 동기, 여가 동기, 동아리참여 동기 성향이 참여지속의도에 정적(+)으로 부분영향을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참여동기, 몰입, 참여지속의도와 참여동기는 여가만족과 참여지속의도 사이에서 완전매개로 매개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immers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e-sports participant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t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China's e-sports industr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n experience model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port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482 e-sports participants from various universities in China were selected, and 482 samples were analyzed through data verification of 482 copies, excluding 18 copies that responded insincerely. In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α), and validity search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4.0 software with participation motiv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articipa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Independent Sample test, One-way ANOVA, Bonferroni Scheffe, Analysis of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regression), Amo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motivation, immersion, leisur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in the e-sports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grade level of commitmen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ticipation motive, immersion, leisur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development motive, interpersonal exchange motive, leisure motive, and club participation motive tendenci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immersion. Third, it was found that self-development motive, interpersonal exchange motive, leisure motive, and club participation motive tendenci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as sub-factors of e-sports participation motive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e-sports immersion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mmersion and cognitive immers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Fifth, it was found that behavioral immersion and cognitive immersion, the sub-factors of e-sports immersion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ion continuity intention. Sixth,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e-sports leisure satisfaction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rest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endency, had a positive (+) partial effect on participation continuation intention. Seventh, it was found that self-development motive, interpersonal exchange motive, leisure motive, and club participation motive tendencies had a positive (+) partial influence on participation continuation intention. Eighth, participation motive, immersion, participation continuation intention, and participation motive have a mediating effect through complete mediation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continuation intention.

      • 티베트족 대학 축구 지도자의 리더십이 선수만족, 몰입, 열정, 정신력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유신평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9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the leadership style, knowledge stimulation, condition compensation, and so on Taking the exception management factor as the main variable, this paper specifically grasps the leadership ability of football Instructors recognized by Tibetan University football players, furth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leadership abilities and satisfaction, sports investment, sports enthusiasm, sports spirit and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and analyzes the football of Tibetan University Its purpose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direction for Instructors. Based on this purpose, the following discussion will b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football were selected players from 10 universities in Gansu Province, Qinghai Province, Tibet Province, China. After obtaining the prior permission of the football Instructors of each university, the researchers visited each school in person from December 2019 to February 2020. Using the convenient sample extraction method, 3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nally, 312 samples are analyzed. Data processing methods: SPSS program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ly,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he football Instructors in Tibet University, the order of exceptional management and knowledge pers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ulfillment of practice.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rder of condition compensation, gas field and excep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has leadership temperamen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order of exceptions,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guiding satisfaction. Secondly, the order of exceptional management, knowledge stimulation and condition compens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armonious enthusiasm, while the order of knowledge stimulation and gas field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ced enthusiasm. Thirdly, the order of exceptional management, knowledge stimulation and conditional compens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investment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ibetan University football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ditional compensa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investment. Fourth, the order of conditional compens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re to win or lose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ibet University football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order of conditional compensation, Instruction style, knowledge stimulation and exception management, the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truggle.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excep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nd the management of exception and the order of Instructor tempera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unyielding fighting spirit. Fifthly, in the leadership ability of the football Instructors in Tibet University, the competition strength of knowledge stimulation and gas field sequence has been significantly affected.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players' satisfaction, sports engagement, sports enthusiasm, sports spirit and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and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order of Instructors' guidance satisfaction,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and project execution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ognitive investment According to the order of task execu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engagement. Secondly, in the process of players' satisfaction, the order of Instructors' guidance satisfaction, subject implementation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armonious enthusiasm. According to the order of leader's directive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mpulsive enthusiasm. Thirdly, in the process of play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Instructors' guiding satisfaction and task execu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re to win or lose. According to the order of leader's guiding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uggle.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of project execu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nd the Instructors' directiv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nyielding fighting spirit. Fourth, in the process of players' satisfac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 ability of Instructors' guidance satisf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satisfaction order cognition. Fifthly, the cognitive involvement and behavioral involvement sequence of sports involve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armonious enthusiasm. Among the factors of sports involvement, the order of behavioral engagement and cognitive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bsessive-compulsive enthusiasm. Sixthly, the behavioral involvement and cognitive input sequenc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nyielding fighting spirit, and the behavioral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uggle effort. In addition, cognitive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ccording to the order of behavioral engagement and cognitive engagement,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nyielding fighting spirit. Seventh, the behavioral involvement in sports engage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Eighth, among the factors of sports enthusiasm, the order of harmonious enthusiasm and forced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sire to win or lose, and the order of harmonious enthusiasm and forced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ruggle. In addition, harmonious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endurance / perseverance, and the order of harmonious enthusiasm and forced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unyielding fighting spirit. Ninth, in sports enthusiasm, compulsive enthusia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competitive ability. Tenth,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etitive strength of the struggle effort and the order of the desire to win or lose. 본 연구의 목적은 티베트족 대학 축구지도자의 리더십을 구성하는 카리스마, 지적자극, 조건적 보상, 예외적 관리 요인을 주요 변수로 선정하여 티베트족 대학 축구 선수들이 인식 하는 축구지도자의 리더십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리더십과 만족, 운동 몰입, 운동 열정, 스포츠 정신력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분석하여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 지도자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 간쑤성 칭하성 티베트에 위치한 10개 대학의 축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선 각 대학 축구지도자에게 사전 허가를 받은 후 연구자가 2019년 12월에서 2020년 2월까지 각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각 대학별 33부씩 총 330부의 설문지를 직접 배포하여 회수하였으며, 최종 312부를 대상으로 실제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 지도자의 리더십 중 예외적 관리, 지적자극 순으로 수행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건보상, 카리스마, 예외적 관리 순으로 상호작용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카리스마, 예외적 관리 순으로 지도성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예외적 관리, 지적자극, 조건보상 순으로 조화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적자극, 카리스마 순으로 강박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예외적 관리, 지적자극, 조건보상 순으로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요인 중 지적자극, 카리스마, 조건보상 순으로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조건보상, 지적자극 순으로 승부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건보상, 카리스마, 지적자극, 예외적 관리 순으로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외적 관리는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외적 관리, 카리스마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티베트족 대학교 축구지도자의 리더십 중 지적자극, 카리스마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선수만족, 운동 몰입, 운동 열정, 스포츠 정신력, 인지된 경기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과제수행 만족 순으로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과제수행 만족 순으로 행위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과제수행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조화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강박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과제수행 만족 순으로 승부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수행 만족은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은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수만족 중 지도자의 지도성 만족, 사회적 상호작용 만족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 몰입 요인 중 인지몰입, 행위몰입 순으로 조화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 몰입 요인 중 행위몰입, 인지몰입 순으로 강박열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운동 몰입 중 행위몰입, 인지몰입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은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몰입은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몰입, 인지몰입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운동 몰입 중 행위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운동 열정 요인 중 조화열정, 강박열정 순으로 승부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화열정, 강박열정 순으로 분투노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화열정은 인내/끈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화열정, 강박열정 순으로 불굴의 투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운동열정 중 강박열정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째, 스포츠 정신력 중 분투노력, 승부욕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체험동기가 관심도, 체험만족, 가치인식 및 체험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연날리기 참가자를 중심으로

        허림해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2

        본 연구는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체험동기가 관심도, 체험만족, 가치인식 및 체험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하여 관광에서 소수민족 전통스포츠를 바탕으로 하는 상품 및 소수민족 전통스포츠콘텐츠 개발, 체험에서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활용교육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소수민족 전통스포츠와 관련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 및 문헌 검토를 기반으로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동기가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동기가 체험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가 가치인식 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가 가치인식 하위요인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가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사회적공공재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이 가치인식 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사회적공공재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가치인식이 체험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동기 위한 효율적인 가치인식 방안을 제시하고 그들의 기가치의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 가능한 실무적 체험의도 제공 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 및 자료처리는 중국 운동선수 600명에게 설문지를배포하고 최종 522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면, 논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용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연날리기 경험자의 일반적 특성은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실시하였다. 둘째, 중중국 소수민족 전통 스포츠 체험동기가 가치인식, 체험만족, 관심도 및 체험의도 등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설문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에 대한 신뢰성을 파악하고자 신뢰도 분석 (reliability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중국 소수민족 전통 스포츠 체험동기가 가치인식, 체험만족, 관심도 및 체험의도 간의 관계 및 각 변 인 간의 다중공선성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correlation analysis)을실시하였다. 넷째, 중중국 소수민족 전통 스포츠 체험동기가 가치인식, 체험만족, 관심도 및 체험의도 및 운동의욕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체험동기 다양한 변인에대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동기가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동기 요인 중 기술발달 요인, 즐거움 요인, 건강체력 요인, 사교 요인이 관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과시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동기가 체험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동기 요인 중 기술발달 요인, 즐거움 요인, 건강체력 요인, 사교 요인이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과시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개인적가치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분석결과,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 요인은 개인적가치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미학적경험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분석결과,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 요인는 미학적경험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관심도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사회적공공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분석결과,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츠 연날리기 관심도 요인는 사회적공공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개인적가치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분석결과,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 요인는 개인적가치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미학적경험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과 같다. 분석결과,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 요인 은 미학적경험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이 가치인식 하위요인 중 사회적공공재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분석결과,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체험만족 요인는 사회적공공재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가치인식이 체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분석결과, 중국 소수민족 전통스포츠 연날리기 가치인식 요인 중 개인적가치재 요인, 사회적공공재 요인이 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학적경험재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experience products and traditional sports contents based on ethnic minority sports in tourism through 'a study on the effect of ethnic minority traditional sports experience motives on value perception, experience satisfaction, interest and experience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s related to the traditional sports of minorities, such as education on the use of ethnic minority sport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ly, based on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to experience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kite flying on the level of interest, the effect of the motivation to experience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kite flying on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and the interest in kite fly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Effect on value consciousness, the effect of interest in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flying a kite as a sub-factor of value consciousness, the effect of interest in flying a kite in the traditional sport of Chinese ethnic minority on social public good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value consciousness, experience of kite fly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ethnic minorities Effect of satisfaction on value consciousness, Effect of satisfaction of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kite flying as a sub-factor of value consciousness, Effect of satisfaction of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flying a kite on social public goods among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Traditional Chinese ethnic minority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sports kite flying value consciousness on experience intention, and based on this, we propose an effective value awareness plan to motivate the traditional sports kite flying experience of Chinese minorities, and find concrete measures for their value meaning and practical experience. Intent wishes to provide. For the subject and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600 Chinese athletes,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the final 522 valid questionnaires. After analyzing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discussion. The data processing method of this study was processed in the following way using the SPSS 24.0 program for Windows.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experienced kite flying. Seco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all questionnaire items used in this study, such as value perception, experience satisfaction, interest, and experience intention for traditional sports experience motives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Thir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perception, experience satisfaction, interest and experience intention, and multicollinearity between each variable in the motives of traditional Chinese sports experience.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various variables of motivation for experience, analyz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sports experience motives of Chinese minority ethnic groups on value perception, experience satisfaction, interest, experience intention, and exercise motiv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s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the motive of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kite flying on the level of interest. Among the factors motivating factors for the experience of kite flying, a traditional Chinese sport, it was found that skill development factors, pleasure factors, health and fitness factors, and soc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est, and external display factors had no effect.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the motive of the experience of kite flying, a traditional Chinese minority sport, on experience satisfaction. Among the factors motivating factors for the experience of kite flying, a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ethnic minorities, it was found that skill development factors, pleasure factors,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factors, and soc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perience satisfaction, and external display factors did not have an effect.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impact of interest in kite flying in Chinese ethnic minority traditional sports on personal value goods among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interest in kite flying in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ethnic minor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of personal value good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interest in kite flying, a traditional Chinese sport, on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interest in kite flying, a traditional Chinese s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of aesthetic experienc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impact of interest in kite flying, a traditional Chinese sport, on social and public goods among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interest in flying a kite in traditional Chinese cloth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of social public goods. Fourth,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impact of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kite flying, a traditional Chinese sport, on personal value goods among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of flying a kite, a traditional sport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of personal value good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kite flying experience satisfaction on the aesthetic experience factor among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in Chin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of kite flying, a traditional sport of ethnic minorities in Chin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of aesthetic experienc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kite flying experience satisfaction, a traditional Chinese sport, on social and public goods among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of flying a kite, a traditional Chinese s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 of social public goods. Fifth,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pecifically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value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al Chinese sport of flying kites on the intention to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factors of the value consciousness of Chinese minority traditional sports kite flying, the factors of personal value goods and social public goo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experience, while the factors of aesthetic experience good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 중국 대학 수영참여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자율성지지가 성취목표성향,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사경매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942

        본 연구는 수영지도자의 자율성 지지, 성취목표 성향, 운동만족, 운동몰입, 스포츠 자신감 간의 상관성과 영향력을 규명하고, 수영대학생이 감지하는 코치의 자율적 지원이 성취목표 성향, 운동만족, 운동몰입 및 스포츠 자신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는 수영 대학생의 경기력 향상을 돕고 훈련 및 경기 상황에서 높은 운동을 실현하며 대학생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한 발전을 촉진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 대학 수영 종목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한 이론적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22년 7월부터 중국 산시성 7개 대학의 대학생 수영 참가자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습니다.표본추출은 편리한 표본추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전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발행 및 회수하였다.총 525개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부정직 응답지를 제거하고 무효 설문지를 누락한 후 최종적으로 483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23.0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샘플 코딩하여 중국 수영 지도자의 자율적 지원과 성취 목표 경향, 스포츠 자신감, 스포츠 몰입 및 스포츠 만족의 영향 관계를 명확히 하였다.회수된 조사자료 중 부정직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기입자료 외에 SPSS23.0을 이용하여 코딩통계를 수행하고 연구목적에 따라 문제를 처리 및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483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영 지도자의 자율성 지지는 목표 달성 경향 하위 요인 과제의 목표 지향과 자기 목표 지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둘째, 수영 대학생의 성취목표 경향은 스포츠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즉 수영 대학생의 성취목표 경향 중 주제목표 지향과 자기목표 지향은 모두 운동선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수영 대학생의 성취목표 경향의 주제목표지향은 스포츠만족도 하위요인의 사회적 인정만족도와 외부환경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목표지향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셋째, 수영 대학생의 성취목표 성향 중 과제목표지향과 자기목표지향은 모두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수영 대학생의 스포츠 만족은 스포츠의 자신감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즉, 수영 대학생 스포츠 만족도 중 사회적 인정 만족도, 선수 만족도, 외부 환경 만족도는 모두 스포츠 자신감 중 신체적/정신적 준비, 사회적 지지, 지도자의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수영 대학생의 스포츠 만족도 중 사회적 인정 만족도와 선수 만족도는 능력 집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외부 환경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다섯째, 수영 대학생의 스포츠 투자는 스포츠의 자신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즉, 수영 대학생의 스포츠 투자는 신체/정신적 준비, 사회적 지원, 지도자의 지도력 및 능력 집중이라는 스포츠 자신감의 하위 요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칩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autonomy support, achievement goal propensity, sports satisfaction, sports investment and sports confidence.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swimming students improve their competitive level, realize high sports in training and competition condition, and promote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questionnaire survey of swimming participants from 7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China, will be conducted from July 2022.With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in the form of a network questionnaire star under the influence of the global novel coronavirus.A total of 52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83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SPSS23.0 was used to encode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support and achievement tendency, sports confidence, sports investment and sports satisfaction was clarified.In addition to dishonest or unreliable information, SPSS 23.0 was used for coding statistics, and 483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pecific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First, the autonomy support of swimming instructor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oal orientation and self-goal orientation of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econdly,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wimming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that is, the subject goal orientation and self-goal orientation of swimming college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e satisfaction.The goal orientation of swimming college students has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external environment satisfaction, but self-goal orientation has no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Third, the subject-oriented and self-oriented of swimming college students' achievement-oriented tendencie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sports input.Fourthly, the sports satisfaction of swimming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ports self-confidence.In other words, the sports satisfaction of swimming college student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mental preparation, social support and leadership ability.The satisfaction degree of social recognition and competitor's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competence concentration, but not on external environment satisfaction.Fifth, swimming college students' sports invest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ports self-confidence.In other words, the sports investment of swimming college student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hysical/mental preparation, social support, leadership ability and ability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