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PSS를 이용한 중학교 1학년 SPSS를 이용한 중학교 1학년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안엄지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increase the demand for professionals involved in the handling and analysis of big data. In 2015,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the use of engineering tools and reorganized statistical content in real life. In this study, we selected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and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ed the statistical teaching material of 14 courses i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n the first class and second class, we talked about using SPSS. I developed a total of 30 problems from the third class to the 14th class, and I have included 5 questions that I can find and solve on the Internet so that my students can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statistical education in real life. And the six questions explained how to use the program. Included teaching materials were provided in the appendix to the fifth less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teaching guidance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현재 우리는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는 가치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이 중요해짐에 따라 빅 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에 관련된 전문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공학적 도구의 활용을 강조하고 실생활을 중심으로 통계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통계 교육은 수학의 어느 분야보다 실생활과 접목하여 교육이 가능하며 학생들에게 흥미 있는 영역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통계 교육은 실생활에서 비롯된 자료를 공학적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표현하며 이해하는 과정이 포함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를 선정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SPSS로 분석이 가능한 학습내용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습 내용에 대하여 총 14차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1차시와 2차시는 SPSS 사용에 대해 설명하였고, 3∼14차시는 각 차시마다 2∼3문제를 만들어 총 30문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5문제를 포함시켜 학생들이 통계교육이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도록 하였으며 6문제에 대하여 프로그램 사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실제 현장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5차시에 대한 수업 지도안을 수록하고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학생 활동지를 부록에 수록하였다.

      • 통계 지도를 위한 SPSS의 활용에 관한 연구

        허남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by using SPSS. The study is organized by frequency distribution and a graph, representative value, degree of scattering, and statistical estimation which are analyzed based on textbook revision for the 2007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earning theory by using SPSS for students. Next, by using SPSS, students save time in making frequency distribution and representative value so then they can better focus on data analysis and concepts. Finally, students recognize the SPSS form the examples of the data for practical use in the real world. 본 연구는 전문적인 통계 분석프로그램인 SPSS의 활용에 중점을 두어 교사들이 수업에 직접 적용 가능 하도록 각 단원별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 하였다. 연구 영역은 2007년 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도수분포와 그래프, 대푯값, 산포도, 통계적 추정 순으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지도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SPSS 실행 과정을 학생들에게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학습내용의 개념과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SPSS를 활용함으로써 도수분포를 작성하는 시간, 대푯값을 구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개념의 특징 이해 및 자료 해석 활동에 더 중점을 둘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SPSS를 활용하여 실생활 자료들을 예제로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이 통계의 필요성과 실용성을 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SPSS를 이용한 컴퓨터 교육의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 전라남도 지역 실업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신영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79

        Application field improving progress of utilization technique and making rapid progress is broadened today, an enterprise, a government office and an educational office has utilized by certainly means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idea decision in possible. At the time, our government regularly has being to take effect computer education at a high school by order which educational foundation reorganized educational curriculum by 286th in 1971. But, the computer education was not obtain, if passed many time, reliable result to differed with the beginning enforcement object. According to, this experimental analysis has proposed methods of effective computer education more then a past that substitutable the future informational societies to be analyze present conditions of computer education of a technical high school in Chnnam State. By the method, this study was analyzed to set out the questionnaire to 50 person of teacher and 300 person of student and then analyzed to use SPSS withdrew 76% in the teacher and 86% in the student. These results were look into that; 1. the theoretical educational course by reason of lacking specific knowledge of responsive teacher and educational institution, 2. the insufficiency of concern mind of a responsible person of computer education, 3. the problem by reason of anti-major of computer education teachet, 4. the insufficiency and old of practical instruments, 5. the reality lacking of accomplishment tests of computer. and may suggest that the several specificity device to solve the problem. First, each species package and communication educations were must be strengthening usable at industrial spot at the same time graduation to develop computer teacher with specific knowledge and educational instruments. Second, the joint with student and teacher was must be strengthening to make a point of necessary of computer education to computer administration persons. Third, the computer teacher must be receiving specific knowledge from reeducation and specialized education was must be carry as to adopt teacher that majored computer science. Finally, the accomplishment test about computer must be occurring new license also supply content to demand as necessary at informational society.

      •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교 통계지도에 관한 연구

        정미경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79

        우리가 살고 있는 정보화 시대에는 많은 정보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적절한 판단을 내리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학교 수학으로서의 적절한 통계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 학교 통계 교육은 조작된 자료를 가지고 표를 작성하고 그래프를 그리는 등으로 그치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계산기와 컴퓨터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통계지도에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써 교육방법을 개선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관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 교육에 대해 조사, 분석하고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활용한 통계프로그램은 엑셀(Excel)과 SPSS를 활용하여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중학교 7-나 교과의 도수분포표와 그래프, 상대도수와 누적도수와 9-나 교과의 통계에 대한 지도에 엑셀과 SPSS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조작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개념과 과정을 아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학습활동은 도수분포표 구하기, 히스토그램 그리기, 도수분포 다각형 그리기, 상대도수와 누적도수 구하기, 상대도수와 누적도수 그래프 구하기 등이다. 이러한 엑셀과 SPSS를 활용한 수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엑셀을 활용한 통계 수업할 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각적인 모델을 제시하게 되어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통계처럼 수많은 자료를 분석해야 하는 경우 엑셀을 활용하면 자료 를 분석하고 분포를 쉽게 알 수 있고 비교를 할 수 있다. 셋째, 수학문제 해결과정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넷째, 수로 나타난 여러 변수들의 관계를 다양한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학생들에게 시각적 효과를 높여준다 다섯째, 자료를 도수 분포표나 히스토그램과 같은 그래프로 정리할 수 있 게 해주므로 복잡한 자료에 대한 분석에 효과적이다. 여섯째, 엑셀을 활용한 수업은 학생이 스스로 수학을 하는 교실을 만드는 데에 있다. SPSS를 활용한 통계 수업할 때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SPSS를 활용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SPSS는 프로그램이 정형화되어서 그 형식만 잘 따르면 학생들도 간 단한 분석은 쉽게 할 수 있다. 셋째, 원하는 통계량을 선택을 통해 쉽게 출력할 수 있다. 넷째, SPSS를 활용하면 많은 자료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다섯째, 고등학교 통계 수업까지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다.

      • 實驗計劃法의 電算處理方法 : 統計Package SAS와 SPSS의 比較

        문영길 慶星大學校 産業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676

        本 硏究의 目的은 實驗計劃法의 代表的 分析方法인分散分析法을, 統計 Package SPSS와 SAS를 使用하여 16 Bit Micro Computer 에서 그 結果를 導出하고, 이들 統計 Package들이 結果를 處理하는 過程에서 각 統計 Package가 가지고 있는 제반 統計的 特性 및 기타 問題點을 比較 檢討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typical method of analysis of the Experiment Design after deriving ou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varience meothod in the 16bit micro computer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and SAS. And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other problem of the two packages in treating the results.

      • 設問調査資料의 電算處理方法 : 統計Package SAS와 SPSS의 比較

        심현숙 慶星大學校 産業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676

        本 硏究는 設問의 設定方法, 標本의 設定 및 크기 決定, 調査方法 等이 정상적으로 遂行되었다는 假定下에서 設問調査된 統計資料를 處理別 差異分析, 平均置 差異分析, 回歸分析, 相關分析 等에 關하여 統計패키지 SPSS와 SAS를 利用하여 比較分析함으로써 分析하고자하는 問題解決에 더욱더 合理的이고 적절한 統計패키지의 選澤과 調査된 統計資料에 對한 최적의 分析方法을 提示하는데 硏究의 目的을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and SAS about the treatment difference analysis, the mean difference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on the assumption that the following was normally carried out the establishment method of a question, establishing samples, deciding sample size and examination method. And this study is to show rational and appropriate the selection of statistical package and optimum analysis method about statistical data which was surveyed.

      •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 감사성향의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우창미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74

        본 연구는 중년 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중년위기감 감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는 대도시(특별시·광역시), 중소도시(시·군·구), 농촌(읍·면 지역)에 근무하는 40~65세 중년층 직장인을 대상으로 2022년 5월부터 6월까지 4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대상자 수는 313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PC+ Window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1을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평균비교분석인 t-test와 일원배치 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 석을 실시하였다.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bootstrap 검증 시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였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는 평균 중심화하였고, 조건부 효과분석을 위한 조건은 M±SD와 M으로 하였으며, 유의성 영역은 Johnson-Neyman의 조명등 분석법(floodlight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직 불안,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중년위기감은 중년 직장인의 성별, 연령, 결혼 상태, 근무년수, 학력,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퇴직 불안은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관계, 중년위기감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감사성향은 퇴직 불안과 중년위기감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과 중년위기감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다섯째, 자아존중감은 감사성향과 중년위기감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은 퇴직 불안 → 감사성향 → 중년위기감의 경로를 조절 매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중년직장인의 퇴직 불안이 감사성향을 경유하여 중년위기감에 이르는 부적(-)인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조직에서 중년 직장인의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중년직장인들의 중년위기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실험연구를 통해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등 상담 관련 변인들의 실질적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그리고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를 후속연구로 제언한다.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reducing the crisis sense by identify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in the influenc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retirement anxiety on the midlife crisis sense via the gratitude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or 4 weeks from May to June 2022 for middle-aged office workers aged 40 to 65 who work in large cities (special cities/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edium cities (si/gun/gu), and rural areas (eup/myeon areas). The number of subjects used for analysis was 313,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C+ Window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4.1.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performed using SPSS PC+. And by using PROCESS macro,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analyzed.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condition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the number of samples was set at 5,000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at 95% during the bootstrap verification. In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derating variable were average-centered, and the conditions for conditional effect analysis were M±SD and M, and Johnson-Neyman's floodlight analysis was used for the significance area tes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age, marital status, years of servi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Second, retirement anxie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self-estee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midlife crisis sense. Third, gratitud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xiety and midlife crisis sense. Fourth, self-esteem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xiety and midlife crisis sense. Fifth, self-esteem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middle-aged crisis sense. Sixth, self-esteem moderated the path of retirement anxiety → gratitude disposition → midlife crisis sens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elf-esteem decreases the negative (-) effect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retirement anxiety leading to a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via gratitude tendency.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rganization should prepare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the gratitude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office workers, develops a counseling program that can reduce the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workers by improving the gratitude and self-esteem, and conducts experimental research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s of counseling-related variables, such as gratitude and self-esteem, and an expanded study targeting various groups.

      • 직장 내 괴롭힘, 인권인지능력 및 직무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권옹호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은경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7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human rights advocacy awarenes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human rights cognitive ability and job stress,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and basic data to decrease suicidal ide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August to October 2019 targeting employees working at 17 workplaces located in D and S cities, Chungcheongnam-do. The number of subjects used for the analysis was 513, and the data analysis was SPSS PC+ Window ver. 25.0 and SPSS PROCESS macro ver. 3.4 was used. The statistical methods by SPSS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ediation effect, moderation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In addition,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the number of samples was designated as 5,000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to 95% when verifying the bootstrap. 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moderation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oderating variable were average-centered, conditions for conditional effect analysis were M±SD and M, and Johnson-Neyman's floodlight analysis was used for the significance area of conditional effec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orkplace bullying,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job stress, human rights advocacy awareness, and suicidal ideation, differed according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bullying,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job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ird,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mediated in the link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suicide ideation. Fourth, job stres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suicide ideation. Fifth,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and job stres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suicide ideation. Sixth, the human rights advocacy aware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and job stress. Seventh,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human rights advocacy awareness was verified in the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on suicide ideation through human rights advocacy awareness and job stres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are as follows. A study on the role of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besides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and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suicidal ideation is proposed. In addition, an in-depth study on human rights advocacy awareness, a subdivided study targeting occupational groups, specific genders and age groups, a national comparative study by region, and an in-depth qualitative study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이 인권인지능력,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권옹호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켜 줄 이론적 기반과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충청남도 D와 S시에 소재하는 17개의 직장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2019년 8월부터 10월까지 2개월 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대상자 수는 513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PC+ Window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3.5를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평균비교분석인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하였다.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bootstrap 검증 시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였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또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시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는 평균중심화하였고, 조건부 효과분석을 위한 조건은 M±SD와 M으로 하였으며, 유의성 영역은 Johnson-Neyman의 조명등 분석법(floodlight analysis)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직장 내 괴롭힘, 인권인지능력, 직무스트레스, 인권옹호의식 및 자살생각은 조사대상인 직장인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장 내 괴롭힘과 인권인지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자살생각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인권인지능력은 직무스트레스, 인권옹호의식 및 자살생각 간, 직무스트레스는 인권옹호의식과 자살생각 간, 인권옹호의식은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인권인지능력은 직장 내 괴롭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직장 내 괴롭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다섯째, 인권인지능력과 직무스트레스는 직장 내 괴롭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여섯째, 인권옹호의식은 인권인지능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일곱째, 인권옹호의식은 직장 내 괴롭힘이 인권인지능력과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직장 내 괴롭힘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인권인지능력과 직무스트레스 외에 다양한 심리변인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인권옹호의식에 대한 심층 연구, 직업군이나 특정한 성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여 세분화된 연구, 전국 단위의 지역별 비교 연구, 그리고 심도 있는 질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 직장인의 무례함, 자아존중감 및 희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구혜정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5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in the effect of office worker's incivility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and hop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hree-week survey of office workers located in D city, Chungcheongnam-do. The number of subjects used in the analysis was 339,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ver. 3.5 and SPSS PC+ Window ver. 25.0. A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were performed using SPSS PC+. In addition, PROCESS macro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to 95%, and the number of samples was designated as 5,000 during bootstrap verification. When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independent variables and moderating variables were averaged, and the condition for conditional effect analysis was M and M±SD, and Johnson-Neiman's floodlight analysis was used for the significance area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incivility, self-esteem, hope, growth mindset, and life satisfa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office workers. Second, the incivility of office worker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hope,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ope, growth mindset and life satisfaction, hope with growth mindset and life satisfaction, and growth mindset with life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ffice workers’s incivility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hope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ffice worker's incivility and life satisfaction. Fifth, self-esteem and hope doubl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ffice workers' incivility and life satisfaction. Sixth, the growth mindse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hope. Seventh, the growth mindset was verified to hav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office worker's incivility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steem and hope. Through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made. Various psychosocial variables can mediate and moderate between incivility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research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by applying positive psychology-related variables such a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divided research targeting various occupational groups and age groups on growth mindset, and in-depth qualitative study were proposed.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직장인의 무례함이 자아존중감과 희망을 경유하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삶의 만족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와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는 충청남도 D시에 소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2019년 5월부터 3주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대상자 수는 339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PC+ Window ver. 25.0와 PROCESS macro ver. 3.5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test 및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고, bootstrap 검증 시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들인 직장인의 무례함, 자아존중감,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삶의 만족은 조사대상 직장인들의 다양한 특성들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장인의 무례함, 자아존중감,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삶의 만족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무례함은 자아존중감,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삶의 만족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 희망, 성장 마인드셋 및 삶의 만족 간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직장인의 무례함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넷째, 희망은 직장인의 무례함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매개하였다. 다섯째, 자아존중감과 희망은 직장인의 무례함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하였다. 여섯째, 성장 마인드셋은 자아존중감과 희망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일곱째, 성장 마인드셋은 직장인의 무례함이 자아존중감과 희망을 경유하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무례함과 삶의 만족 간에 다양한 심리 사회적 변인들이 매개 및 조절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인을 탐색할 연구, 긍정 심리자본 등 긍정심리학 관련 변인을 적용하여 삶의 만족감을 증진시킬 연구, 직장인을 대상으로 성장 마인드셋에 대한 다양한 직업군,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여 세분화되고 심층적인 질적 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