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 활성화 방안 질적 연구 :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 사례를 중심으로

        엄소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3931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explore the solution in revitalizing th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rts in regional level for the elderly via case studying the '6090 Youth Choir' in Wonju, Gangwondo, which is a selected program as a part of the ‘Culture and Arts Supporting Scheme’ by Korean Culture and Arts Centers Association (KOCACA).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ositive factor of participating in culture & arts educ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2. How has the form of participation in culture & arts for the elderly been changed in regions over time? 3. What are the current issues in order to achieve revitalising culture & arts education and what is the solution? In order to fulfil the questions above, the researcher acquired the basic date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executed with 36 members of '6090 Youth Choir' along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gram on April 21, 2021. Then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for 3 weeks between April 28, 2021 and May 19, 2021 with 6 voluntary interviewees among the 36 participants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tarts from the passion for arts education along with longings for arts. It tends to have a virtuous cycle that the pri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leads to the next participation in such education. The elderly gain their confidence and self-esteem through this education which creates the desire of enjoying more culture and art. This then leads them to maintain the health and energy which improves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by curating the elderly focused culture and art education, it is shown that the elderly start to create their own work participating in regional culture and arts events with it. It means that the role of the elderly in society can grow as well as accomplishing revitalizing their arts and culture.  However, as Korea is already experiencing an aging society,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has not achieved the milestones of the positive changes. Especially in Gangwon-do region where the percentage of the elderly is relatively high yet lacking the culture and arts policy has rather serious problems.  Through the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6090 Youth Choir', an issue was addressed that there was a lack of a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of culture and arts, thus not enough opportunities were given to them, which can result in a preconception of how to enjoy culture and arts as an elderly. In the same manner, the need for intensive improvement was suggested since there was a lack of finding ways to participate in regional cultural events for the elderly as well as lack of thoughtful consideration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elderly in managing the program of '6090 Youth Choir'.  The aim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to maintain stable progra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which provide consistent support and developing new programs that are established based on understanding the role and effect of the elderly for the society participating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urthermore, through building the system that education can lead to regional revitalization, more elderly should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cultural and arts and their role needs to be expanded as a consumer and creator of cultural business by making their own contents.  I expec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basic data that helps local authorities pay attention to participants' needs in order to manage the elder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systematically, incorporating each region's character as well as finding the solution to develop governments' supports and policies. 본 연구는 노인의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참여의 활성화를 위해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의 ‘문예회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선정 프로그램인 강원도 원주시 ‘6090청춘합창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긍정적 변화의 요인은 무엇인가? 2. 노인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노인의 지역 문화예술 참여의 형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 현재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1년 4월 21일 ‘6090청춘합창단’ 교육 참여자 36명과 사업담당자 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지를 통해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2021년 4월 28일부터 5월 19일까지 3주간 2회에 걸쳐 36명의 교육 참여자 중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6인을 대상으로 1차, 2차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문화예술교육 참여는 예술에 대한 동경과 예술교육에 대한 열망으로 시작되고 이전의 문화예술교육 참여가 다음 문화예술교육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구조를 띄고 있다. 노인은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으로 자신감과 자존감이 증가하고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욕구가 생성되며 이로 인하여 건강과 활력을 유지하고 삶의 질이 상승하는 변화를 나타냈다. 노인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노인은 지역의 문화예술 행사에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변화를 보였으며 그 형태는 문화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역할의 다양성으로 나타났고 노인의 사회적 역할의 증대가 문화예술 활성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우리나라에서 한정된 노인문화예술교육은 모든 노인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노인 복지의 측면에서도 성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노인 인구 비율은 높으나 문화예술 정책이 부족한 강원도 지역은 시스템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6090청춘합창단’ 참여자의 경험에서 강원도 원주시의 노인을 위한 문화예술 정보 제공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참여의 기회를 가지지 못하고 이에 따른 노인의 문화예술 향유 방법에 대한 선입견이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마찬가지로 ‘6090청춘합창단’ 프로그램과 운영에 있어서 노인의 특성을 배려하지 못한 진행 방식과 적극적인 지역의 문화행사 참여 방법을 모색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심도있는 개선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노인에게 있어 문화예술 참여의 사회적 역할과 효과를 인지하고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이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 안정된 프로그램 유지를 이루는 것이 노인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갈 지향점이다. 또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보다 많은 노인이 지역의 문화예술에 참여하고 그들의 콘텐츠가 생성되어 문화산업의 소비자이자 생산자로서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 노인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현장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확대 운영될 수 있도록 광역센터와 기초단위가 참여자의 요구에 귀를 기울이고 정책적 지원과 제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 결과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The) effects of public arts introduction to Gamcheon culture village regeneration

        박재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3900

        The Korean society is currently shifting into a direction to lift the designation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in deprived areas for local revitalization. Although, it is important to ultimately achieve overall regeneration including social, cultural, economic, physic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city regeneration, various projects to emphasize specific regeneration aspects are possible in the beginning stage of regeneration. The pursuit of diverse city regeneration like that is possible nationwide, however, regeneration utilizing culture for the development of a city increases actively. In a narrow sense, cultural regeneration means culture and arts. The progress process of cultural regenera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ssets,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existing resources becomes a strategy to activate the concerned reg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introduction effects of public arts in Gamcheon Culture Villag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 model having synergy effects through new culture adoption, while using existing resource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earch can be developed into analysis data that can be utilized as a specific examples of gradually increasing cultural regeneration in Korea. This research can also make contributions to the dissemination or full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regeneration policy. For research analysis, this research used contents analysis, site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This research analyzed how resource factors including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were connected and used, and how the resources were connected and utilized in the entire regener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research analyzed how external resources were fused into Gamcheon Culture Village regeneration at various dimensions, such as cultural, social, economic and physical dimensions. The Gamcheon Culture Village case made a synergy effect by turning unfavorable resources in deprived area into positive resources. Total of 33 public arts were analyzed, and these were categorized as theme, color, material, place and genre characteristics. Most public arts were awarded local identity with realistic and abstract themes, and pastel tone color is harmonized with the colors of landscape. For public art artworks, valuable color paint materials were used, and these highlight architectural beauty by using them for walls and stairs. Especially, there were many artworks, based on participation/ engagement, which is a new genre public art, and these artworks are not leading others, but cooperative. Overall, local revitalization effects of public arts introduction to Gamcheon Culture Village was positive. Especially, the effect was high for both residents and visitors with such recognition as "The village became famous," "Increasing visitors in the village," and "The village was open." The recognition of local revitalization by visitors and residents showed differences in economic revitalization and physical revitalization effects. More visitors than the local residents recognized that the village was economically revitalized, and more residents than the visitors recognized the village was physically revitalized. When regeneration activating deprived areas and easing social exclusion is highlighted, Gamcheon Culture Village case in Busan, Korea can be evaluated as successful.

      • 디지털 융복합 미디어아트 연출 : 지역 문화 프로젝트의 신기술 도입과 적용 가이드 설정에 관한 연구

        임종근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3865

        본 연구는 디지털 융복합 미디어아트가 지역 문화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지역 사회의 정체성 구축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이를 위해 융복합 콘텐츠와 디지털 미디어아트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지역 문화 프로젝트에 적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 사례 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지역 문화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기술의 효과적인 도입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digital convergence media art in regional culture projects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identity and economic revitalization. It redefines the concepts of convergence content and digital media art and analyzes the problems and solutions when applied to regional cultural project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this research promotes diversity and creativity in local culture while proposing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 「꿈의 댄스팀」 운영 사례 연구

        김지영 우석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3641

        Starting its pilot operation in 2022 and now in its second year, the "Dream Dance Team" support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s a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aimed at fostering the holistic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experiences of creating and communicating through dance, it helps them explore their values, identities, and future potential. Rather than functional learning, this program emphasizes the collaborative creation and performance of dance, fostering a sense of community, cooperation, and social growth. It aims to support socially and culturally vulnerable groups and promote community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recovery through dance team performan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experiences of the "Dream Dance Team" through case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dance directors, and to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of the "Dream Dance Team" operational cases and qualitative case studies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of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dance directors from the Jeolla Province. As a result, first, the case study of the "Dream Dance Team" in the Jeolla Province revealed that the program was planned to include various creative expression activities and field experiences based on cultural arts education for general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do not major in dance. This allowed them to understand, express, and experience dance, operating in alignment with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Second, the operational experiences of the "Dream Dance Team" dance directors highlighted: ① Exploration of creative self-expression through dance (movement exploration for creative expression, voluntary self-exploration starting from oneself, movement exploration approached through play, movement exploration applying diversity, exploration of the dance-making process), ② Exploration of regional and socio-environmental awareness through creative dance (exploration of regional life using educational resources, exploration of community issues, explor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③ Growth towards the future through dance art (responsibility and mission in cultural arts educ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to grow towards dreams), ④ Various suggestions for improving dance team operations (various issues in dance team operations, establishment of a multifaceted support system).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ream Dance Te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fosters social capabilities necessary for nurturing future-oriented talents through creative self-expression in dance, improving empathy, communication, creativity, and cognitive skills. It explored the potential for revitalizing the local culture and regenerating the healthy cultural arts ecosystem in the Jeolla region, an area experiencing population decline. Second, the "Dream Dance Team" played a role in raising awareness and improving the region, society, and environment through creative dance that reflects local unique resources, culture, and social issues rela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Third, the "Dream Dance Team" contributed to cultivating local artists and designing and transforming the futur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cultural arts education. Through these conclusions,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Dream Dance Team," it is necessary to: First, It is necessary to recruit additional personnel for smooth operation and ensure a thorough handover when there is a change in staff. Second, Flexibility in financial support to allow budgetary fluidity in project operations. Third, the "Dream Dance Team" performances should not be one-time events; instead, they should be incorporated into a repertoire and connected with youth festivals and other events, along with exchanges with other dance teams. Fourth, Pre-investigation of operational issues and sharing and communication through training sessions between operating and supporting organizations. Fifth, Increasing participation rates through revenue generation opportunities from performances, such as securing self-funding for scholarship support. Therefore, the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Dream Dance Team"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roles of the "Dream Dance Team" in the experiences and grow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s the "Dream Dance Team" enters its second year,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establishing an operational system for its continuous development and for expanding regional hub institutions. It is hoped that more children and adolescents will find happiness through dance, design their futures through dance, and ultimately grow into members of society who protect the values and unique resources of their regions as local community members. 2022년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올해 2년 차가 되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지원사업인 「꿈의 댄스팀」은 예술로 소통해 춤을 창작하는 경험을 통해 가치관, 정체성, 미래 역량 발굴 등 아동·청소년이 전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사업으로, 기능적인 학습이 아닌 춤을 만드는 과정에서 공동창작과 공연을 올리는 경험을 통해 협력, 포용 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사회적 성장을 경험하게 하고, 사회·문화적 취약계층 지원과 댄스팀 공연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소통과 관계 회복에 목표를 두고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꿈의 댄스팀」 운영 사례와 무용 감독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운영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꿈의 댄스팀」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꿈의 댄스팀」 운영 사례를 문헌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전라권「꿈의 댄스팀」 무용 감독 5인과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범주화하여 질적 사례 연구 방법으로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라권 「꿈의 댄스팀」 운영 사례는 무용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 아동·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을 기반한 다양한 창의적 표현활동과 현장 체험학습을 교육과정으로 기획하여 춤을 이해하고, 표현하고 무대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으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사업 목표 및 목적에 맞게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꿈의 댄스팀」 무용 감독의 운영 경험은 ①춤을 통한 창의적 자기표현 탐구(창의적 표현을 위한 움직임 탐구, 나로부터 출발한 자발적 자기 탐구, 놀이로 접근하는 움직임 탐구, 다양성을 적용한 움직임 탐구, 춤을 만드는 과정 탐구), ②창의적인 춤을 통한 지역과 사회환경적 의식 탐구(고유자원을 활용한 지역 생활 탐구, 지역사회의 문제 탐 구, 환경문제 탐구), ③ 무용 예술로 성장하는 미래(문화예술교육에서의 책임과 사명, 꿈을 향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 ④무용단 운영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제안(무용단 운영에서의 다양한 문제점, 다각적인 지원시스템 구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한「꿈의 댄스팀」은 춤을 통한 창의적 자기표현으로 공감과 소통하고, 그 과정에서 창의력과 인지력을 향상 시켜 미래형 인재 양성에 필요한 사회적 역량 함양을 주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역 문화 활성화와 인구소멸지역인 전라권의 건강한 지역 문화예술 생태계의 재생 가능성이 탐색 되었다. 둘째, 「꿈의 댄스팀」은 지역 고유자원과 문화, 아동·청소년 관련 사회문제를 반영한 창의적인 춤을 통해 지역과 사회, 환경을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꿈의 댄스팀」은 문화예술교육을 기반으로 한 창작 작품 활동으로 지역 예술가를 양성하고 미래를 설계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꿈의 댄스팀」의 지속 발전을 위해서는 첫째, 원활한 운영을 위한 인력 충원과 업무담당자 변경 시 확실한 인수인계가 필요하다. 둘째, 회계 지원 방식에 있어 유연화로 사업 운영의 예산 사용에 있어서 유동성이 필요하다. 셋째, 「꿈의 댄스팀」 공연을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청소년 페스티벌 등과 연계하여 레퍼토리화 하고 다른 댄스팀과의 교류가 필요하다. 넷째, 사업 운영에 있어 문제점에 대한 사전 조사 후 「꿈의 댄스팀」 운영단체와 지원단체의 연수를 통해 공유와 소통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연으로 인한 수입 창출의 기회를 통한 자부담 확보로 장학금 지원 등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참여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꿈의 댄스팀」 운영 사례 연구는 아동·청소년들의 경험과 성장에 있어 「꿈의 댄스팀」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와 역할에 대해 탐색할 수 있었으며, 「꿈의 댄스팀」의 지속 발전을 위한 운영체제 구축과 지역별 거점 기관의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더 많은 아동·청소년들이 춤으로 행복하며, 춤으로 미래를 설계하고 더 나아가 지역 구성원으로서 자기 지역의 가치와 지역 고유자원을 지키는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