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DMS 복합분리막을 이용한 프로필렌/질소 분리에 관한 연구 : Propylene/nitrogen Separation by PDMS Composite Membrane

        Andrew Rubio Premacio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Composite membranes consisting of PDMS were coated unto polyethylene sheet as support membrane for the separation of propylene over nitrogen gas. In order to enhance the selectivity and permeance of propylene over nitrogen gas, hydrophobic nanosized silica particles were embedded into the rubbery PDMS polymer at 10% and 20% loading. SEM images and TGA analysis determined the morphological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membranes. Pure gas tests were done on several manufactured membranes with nitrogen, oxygen, and propylene at pressures form 3 to 6 bar and temperatures 25, 35 and 45 °C. Addition of hydrophobic TS-720 increased the permeances of PDMS for all three gases without an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ectivity. The mixed gas performance of silica-filled and unfilled PDMS were evaluated with a 15% of propylene/nitrogen mixture. It was observed that PDMS with TS-720 silica increased the mixed gas propylene permeance and propylene/nitrogen selectivity, while permeance and selectivity of mixed gas were respectively lower than each of pure gas. As with pure gases, the propylene permeance and propylene/nitrogen selectivity decreased with temperature in both pure PDMS and PDMS-filled with TS-720.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S-720 silica on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propylene in PDMS due to the increase in the available free volume in the PDMS polymer. 질소가스에서 프로필렌 가스 회수를 위하여 지지체막인 PE 막 위에 고무상 고분자인 PDMS 복합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질소에서 프로필렌 가스 투과도 및 선택도 증가를 위하여 10% 및 20%의 소수성 나노 실리카 입자인 TS-720을 PDMS 고무상 고분자에 충진하였다. SEM 과 TGA 열분석기를 사용하여 제조된 분리막의 구조와 기계적 열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복합분리막을 이용하여 3 에서 6 bar의 유입압력, 25۫, 35, 45۫C의 온도에서 질소, 산소, 프로필렌의 순수가스 투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소수성 TS-720 silica를 채운 PDMS막과 채우지 않은 PDMS막을 15% 프로필렌/질소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투과실험을 실시하였다. Fumed silica를 첨가한 PDMS의 투과도는 세가지 가스 모두 증가하였지만 선택도는 향상되지 않았다. 혼합가스의 투과도와 선택도는 순수가스보다 더 낮았지만 fumed silica를 첨가한 막은 프로필렌의 투과도와 프로필렌/질소 선택도가 순수 PDMS막보다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TS-720 silica를 채운 PDMS 분리막에서 자유부피도 증가로 인하여 프로필렌 용해도의 PDMS 분리막에의 증가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icone-acrylic hybri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박희웅 Gre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improving the properties of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s. In this study, polydimethylsiloxane (PDMS)-based materials were introduced by controlling various methods to overcome technical limitations of acrylic adhesives. This thesis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in which Chapter 1 and Chapter 5 are “Introduction” and “Conclusions,” respectively. In Chapter 2, to overcome the limitation due to the phase separation that occurs during direct blending of PDMS, a PDMS-based oligomer that can form hydrogen bonds with acrylic polymers was designed and added. An oligomer containing a urethane-based methacrylic group using PDMS as a soft segment were synthesized and added. Further, the oligomer was compared to a PDMS macromer containing a bifunctional methacrylic group without a urethane functional group. When PDMS without a urethane group was added, the adhesion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eteriorated due to phase separation. However, PDMS urethane oligomers of similar molecular weight significantly improved the adhesive properties due to suppressed phase separation. Moreover, the surface energy of the adhesive tape also decreased, thereby significantly enhancing the adhesion on the low-surface-energy substrate. Further, three types of oligomers were synthesized based on the amount of the urethane group that was introduced into the silicone urethane oligomer and were added to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prepare an adhesive tape. Depending on the number of moles of the urethane group, the phase separation was relieved to improve the adhesion properties compared with control, and a tap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could be manufactured through additional ultraviolet (UV) curing. In Chapter 3, silicone–acrylic block copolymers were synthesized using a PDMS-based initiator.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initiator, the adhesive strength of modified acrylic PSA tape was reduced due to the effect of the PDMS block; however, the surface energy of tape decreased, and the adhesive strength on the low-surface-energy substrate was significantly improved. Moreover, the heat resistance of the adhesive tap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PDMS block content, the modified adhesive behavior at high temperatu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acrylic adhesive. To overcome the degradation of the modified tapes of adhesion properties due to the microphase separation, the silicone urethane oligomer was add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oligomer, the phase separation was reduced, and the adhesive tape with enhanced adhesion and heat resistance in the low-surface-energy substrate could be manufactured through an additional UV-curing process. In Chapter 4, acrylic copolymers grafted with PDMS were prepared using a methacrylate functional group terminated PDMS. Since the surface energy of the prepa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reduced due to the addition effect of PDMS, it was observed that the adhesive strength in the low-surface energy substrat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dhesion properties of silicone grafted PSA tapes significantly changed with respect to the chain length of copolymerized PDMS. In the case of a short-chain PDMS-grafted adhesive, the phase separation did not occur and thus showed a relatively high adhesion tendency; however, the improvement in heat resistance was not large. In the case of a long-chain PDMS-grafted adhesive, heat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a high-temperature adhesion stability was observed. Owing to the surface phenomenon caused by the addition effect of PDMS,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was significantly reduced, whic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dwelling time. As a result, the initial adhesive strength was low, the adhesive strength on the low-surface-energy substrate was improved, and the adhesive tap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could be manufactured. Using the results of our stu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rylic adhesive tape manufacturing route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and improved adhesion in low-surface-energy substrates in the high-functional adhesive manufacturing process.

      • A Poly(dimethylsiloxane) Microfluidic Channel Coated with Poly-p-xylylene for Nanocrystal Growth Applications : 나노입자 성장을 위한 Poly-p-xylylene이 코팅된 Poly(dimethylsiloxane) 미세유체 장치

        임희진 DGIST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Applications of microfluidic device fabricated in poly(dimethylsiloxane) (PDMS) have been limited to water-based analysis rather than nonpolar solvent based chemistry due to PDMS swelling problem occurring by absorption of the solvents. The absorption and swelling causes PDMS channel deformation in shape and changes the cross sectional area, making it difficult to control the flow rate and concentrations of solution in PDMS microfluidic channels. We propose that poly-p-xylylene polymers (parylenes) were chemical vapor deposited on the surfaces of PDMS channels to alleviate the effect of solvents on the absorption and swelling. The parylene coated surface sustains 3hours with a small volumetric change (less than 22% of PDMS swelling ratio). By generating an air-nonpolar solvent interface based on droplets in PDMS channel, we confirmed poly-p-xylylene coated PDMS microfluidic channels have the potential to be applicable to nanocrystal growth using nonpolar solvents. Poly(dimethylsiloxane) (PDMS)로 만들어진 미세유체 장치는 무극성용매가 PDMS 내부에 흡수되어 PDMS의 부피를 팽창시키는 성질 때문에 무극성용매를 사용하는 화학분야에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PDMS의 흡수와 팽창하는 특성은 PDMS 미세유체 장치의 내부변형과 단면적의 변화를 일으켜서, PDMS 미세유체 장치 내에서의 유체 제어와 용액의 농도 조절을 어렵게 한다. 우리는 무극성용매에 의해 발생하는 PDMS의 흡수하고 팽창하는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비다공성 성질을 가진 poly-p-xylylene (parylene)을 증기 화학 증착법으로 코팅한 PDMS 미세유체 장치를 제안한다. Parylene이 코팅된 PDMS 표면은 무극성용매인 톨루엔 환경내에서 낮은 부피 변화(코팅이 되지 않은 PDMS의 팽창률 보다 22% 낮음)로 약 3시간동안 본래의 형태를 유지한다. PDMS 미세 유체 채널 내에 방울 기반의 공기-무극성용매 계면을 발생시킴으로써, poly-p-xylylene이 코팅된 PDMS 미세 유체 장치가 무극성용매를 사용하는 나노입자 성장 분야에 응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MS기반의 고원형 신경 접속 전극 구조 설계 및 구현

        김준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복잡한 표면 굴곡을 갖는 신경 조직과 효과적으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PDMS기반의 유연한 평판형 미세전극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기록전극 측면에서, 기존의 요철형 전극 구조를 탈피하고 고원지형 모양의 전극을 특징으로하는 플라토(plateau)전극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다른 생체적합성 폴리머인 폴리이미드나 패럴린으로 제작된 다채널전극은 낮은 적합성(conformability)과 신경조직과 비교하여 높은 영률 그리고 뉴런과 전극 사이에 공기 갇힘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전극의 요철 구조는 뇌와 같이 부드러운 신경 조직에서는 재분포(repopulation)현상으로 문제가 완화되지만 척수와 같이 신경 다발로 이루어진 조직에서는 신호 열화의 주된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사용한PDMS는생체적합성폴리머중가장신경조직과의영률이유사하고 뛰어난 적합성을 가지고 있어 기록용전극의 재료로 적합하다. 그러나 다른폴리머와 유사하게 PDMS의 소수성 특성으로 인하여 전극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공기 갇힘현상이 두드러지게 발생하였고 이로인하여 실험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개발된 플라토전극은 신경조직과의 적합성 및 공기 갇힘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신뢰성있는 동물실험을 수행할 수 있었다. 자극전극 측면에서, 기존 수직형 벽면 전극의 전류 밀도 분포는 전극의 가장자리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 조직을 균일하게 자극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전극의 벽면 모양에 따라 전극의 표면에 유기되는 전류 밀도 분포가 변하는 것을 확인하고 PDMS기반의 경사벽면을 갖는 전극 제작 기법을 제안하고 제작하였다. 경사각을 제어하기 위해서 음성감광제의 노광에너지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과소노광정도와 마스크와 감광제의 간격에 따라 감광제 기둥의 경사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이를 이용하여 전극 벽면의 경사를 제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수직 벽면 전극, 경사벽면 전극, 표면 부착형 전극구조에서 전류 밀도 분포를 검증하기 위하여 COMSOL을 이용해 전류 밀도 분포를 시뮬레이션하였다. 다층 기판 제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층간연결 기법을 기존의 수직형 층간연결에서 경사형 층간연결로 대체함으로써 도금공정없이 다층기판을 제작하는 공정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층간연결 과정에서 PDMS와 금을 연결하기 위한 티타늄을 배제하는 공정을 제안함으로써 층간연결에서 발생하는 저항을 효과적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PDMS기판의 인장 및 굽힘시험을 수행하여 인장비율이4%이내에서는 단선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3000회의굽힘 실험 동안에 성능의 열화가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8개의 층간연결과 5회의 도선 교차가 발생하는 양면 기판을 제작하여 제안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방식으로 제작한 오목한(recessed) 전극과 제안한 플라토 전극을 이용하여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 오목한 전극에서는 공기 갇힘 현상으로 인하여 신뢰성 있는 신호 기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플라토 전극에서는 공기 갇힘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효과적으로 생체 신호를 기록할 수 있었다. 동물 실험은 두가지 환경에서 진행하였는데, 한 실험은 설치류의 회음부를 물리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발생하는 척수신경 신호를 기록함으 로써 자극의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다른하나는 2가지의 냄새물질을 설치류의 코에 주입한 후, 뇌의 후각망울에서 그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자극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摩擦電氣에 의한 未結合 殘存 PDMS 重合體의 抽出 特性 硏究

        정용주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PDMS(polydimethylsiloxane)는 탄력성, 광학투명성, 화학적으로 유연한 표면, 물에 대한 낮은 침투성 그리고 낮은 전기전도도 같은 유용한 물리적•화학적 성질을 가진 중합체이다. 따라서 PDMS는 소프트리소그래피(soft lithography) 공정을 이용한 마이크로채널(microchannel)과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를 제작하기 위한 패턴(pattern)과 몰드(mold)의 재료로 유용한 물질이다. PDMS로 제작된 마이크로장치(microdevice)는 고가의 시약 및 생산되는 폐기물이 감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미세유동장치는 생화학 분석, 화학 반응, 생물의학 및 세포 분석을 위한 세포 독성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PDMS의 결합을 이루지 못한 중합체는 장기간 수용액 환경에 노출될 경우 특정 세포를 배양함에 있어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PDMS의 결합을 이루지 못한 중합체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DMS의 결합을 이루지 못한 중합체의 분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리는 PDMS 경화 후에도 여전히 남아있는 미확인 잔존 물질을 관찰하였다. 이 관찰은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시작점이 되었다. 실험 과정에서 두 가지 경우에 의해서 마찰전기가 발생하였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째, 배양접시 뚜껑에서 발생한 마찰전기를 중심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찰전기가 발생하는 지점과 PDMS 표면 사이의 거리, PDMS 경화 온도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마찰전기 발생 지점과 PDMS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PDMS의 반응이 크게 일어나고, PDMS의 점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생한 마찰전기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함으로써 배양접시 뚜껑은 (-)로, PDMS는 (+)로 대전되어 인력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PDMS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혼합 물질에 따라 PDMS 자체에 대전되는 전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PDMS를 유리 막대와 플라스틱 컵으로 혼합할 경우, 나무 막대와 종이컵 보다 PDMS 자체 대전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리된 중합체를 푸리에 변환 적외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이후 FT-IR로 표기) 중에서 감쇠 전반사(attenuated total reflection, ATR, 이후 ATR로 표기) 모드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DMS 베이스와 같은 성분의 물질이었다. 따라서 마찰전기에 의해 PDMS 중합체가 분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마찰전기에 의한 PDMS의 중합체 분리현상을 이용함으로써 PDMS 장치 제작시 결합을 이루지 못한 PDMS 중합체를 채널에서 멀리 이동시켜 세포 배양 환경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화학적 처리 없이 몰드 제작 과정에서 수행하기 때문에 채널의 붕괴에 대해 염려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마찰전기에 따른 PDMS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치를 고안하는데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Polydimethylsiloxane (PDMS) is a soft polymer with attractiv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ity, optical transparency, flexible surface chemistry, low permeability to water, and low electrical conductivity. PDMS is very useful material for molding and patterning microdevices by soft lithography, such as microchannels and microarrays in a controlled manner. PDMS microdevices offer several advantages of reduced use of expensive reagents and low by–product wastes in a miniaturized format. Specifically, microfluidic devices are widely used to study biochemical analysis, chemical reactions, and cell toxicity tests for biomedical and cellular assays. However, uncrosslinked oligomers could potentially affect when exposed in long–term aquatic environment. Therefore, the study for removing uncrosslinked residual PDMS base from fully–cured PDMS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report a direct observation for separation of PDMS polymer during fabrication by frictional electricity. We observed unknown material of PDMS that still remains after its full curing time. This observation was the starting point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Frictional electricity was generated by the two cases of the course for the experiment. We conducted experiments in each case. First,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frictional electricity that generated at the lid of Petri dish. We changed several parameters, such as curing temperature and the gap between PDMS and the lid of Petri dish. As a result, the biggest reaction of PDMS occurred by the smallest interval between PDMS and surface of frictional electricity. Further, the viscosity of the PDMS affected for the reaction of PDMS.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frictional electricity generated, the lid of Petri dish was negatively charged, and the PDMS was positively charged. Therefore, the attraction force was generated with each other. Secondly, we measured electrification of PDMS by the mixing materials, such as paper vessel, plastic vessel, wooden stirrer and glass stirrer. As a result, electrification of PDMS was bigger than paper vessels with wooden stirrer when mixing the PDMS by the plastic vessel with glass stirrer. In addition, component of extracted polymer was similar with PDMS base from the result of FT-IR analysis. Therefore, uncrosslinked residual PDMS polymer was extracted by the frictional electricity. Overall, we believe this finding will be potentially helpful to researchers who aim to enhance neural cell research using PDMS device with reliable data, and also to establish a new protocol for full detoxification of PDMS without chemically destructing delicate structures associated with micro/nanofluidic network structures during its fabrication. We also expect that this approach can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fabrication device from the characterization of PDMS electrification.

      • Floating-on-Water 폴리머 박막 및 세포 배양용 시그마 마이크로웰 성형 기술

        김대한 中央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Polydimethylsiloxane (PDMS)는 열경화성 폴리머 재료로서 멤브레인과 미세 유체 장치, 3차원 세포 구상체(스페로이드)를 만드는 도구인 마이크로웰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PDMS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멤브레인 제작법과 새로운 형상의 마이크로웰 제작법을 다룬다. 스핀 코팅 방법이나 캐스팅 방법 등 기존의 멤브레인 제작 방법은 특별한 장비가 필요하거나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거나 대면적의 멤브레인을 제작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물의 표면에 PDMS 용액을 떨어뜨리고 경화시키는 floating on water (FoW) 방법은 매우 간단하고 특별한 장비가 필요 없고 대면적의 멤브레인을 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의 표면 위에 10 μg의 PDMS의 용액을 떨어뜨리고 경화시키면 약 3 μm의 PDMS 멤브레인이 제작되며 PDMS의 양, 물의 온도, PDMS의 온도를 조절하여 멤브레인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FoW 멤브레인이 물의 표면에서 제작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물방울 형상의 멤브레인, 이중층 멤브레인, 멤브레인 slope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멤브레인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멤브레인의 형상은 세포 배양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그마웰은 공기의 열팽창을 이용하여 제작된 그리스 문자 시그마(σ) 형상의 마이크로웰이다. 기존의 마이크로웰은 윗면이 열려있기 때문에 떠오르는 세포의 스페로이드를 배양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시그마웰은 갈고리 모양의 지붕이 있기 때문에 떠오르는 세포의 스페로이드를 배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그마웰에서 스페로이드가 잘 생성됨을 확인하기 위해서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 (hASC)을 배양했다. 시그마웰에서 하루안에 hASC의 스페로이드가 생성되었고 3일 동안 배양되었다. 시그마웰에서는 스페로이드가 분비하는 cytokine의 확산이 일반적인 마이크로웰에 비해서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이 논문에서 소개된 FoW 방법과 시그마웰은 앞으로 다양한 분야, 특히 세포 생물학, 조직공학 등 바이오 분야에서 좋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olydimethylsiloxane (PDMS) is a thermosetting polymer material that is widely used in membranes, microfluidic devices, and microwells, which are tool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cell spheroids. In this paper, novel membrane fabrication method and unique shape microwell fabrication method using PDMS's physical properties are studied. Conventional membrane fabrication methods, such as a spin coating method or a casting method, require special equipment and skilled techniques or have difficulty in fabricating large-area membranes. However, a floating on water (FoW) method which is dropping and curing the PDMS solution on the surface of the water is very simple, requires no special equipment and can easily fabricate the large-area membranes. Dropping and curing 10 μg of PDMS solution on the surface of water fabricates a PDMS membrane of about 3 μm thickness, and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can be vari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PDMS, water temperature, and PDMS temperature. In addition, using the feature that FoW membrane is fabric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various shapes of membranes such as a droplet-shaped membrane, double-layered membrane, membrane slope can be made. These various shapes of membranes can be utilized in cell culture. Sigma-well is a Greek letter sigma (σ) shaped microwell made using a thermal expansion of air. Conventional microwells could not grow the spheroids of floating cells because the top of the microwells is opened. However, Sigma-well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ultivate spheroids of floating cells because of its hook-shaped roof. Human adipose-derived stem cells (hASCs) were cultured to confirm the production of spheroids in sigma-well. In Sigma-well, the spheroids of hASC were generated in one day and cultured for 3 days. By computational simulation results, the diffusion rate of cytokine in sigma-well is lower than that in conventional microwell was verified. The FoW method and sigma-well introduced in this paper will be useful tools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in the biological field such as cell biology and tissue engineering.

      • PDMS - PMMA 블록 공중합체 막에 의한 수소, 질소 기체 투과에 관한 연구

        조아라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is research, PDMS-PMMA block copolymer was synthesized by MMA and DMS monomers after ATRP initiator synthesis.. The synthesis characterization of the PDMS-PMMA block copolymer membrane was carried out by a FT-IR, ^(1)H NMR. It was observed that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Mn) an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Mw) of PDMS-PMMA block copolymer were 185,690 g / mol and 502,690 g / mol respectively by GPC result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DMS-PMMA block copolymer was measured 86.39 ℃, this results means that it is glass polymer. The surface and cross-section of PDMS-PMMA block copolymer membrane were observed by SEM. PDMS-PMMA surface showed only black image of SEM and has not the blowholes. Therefor, I got some results that PDMS-PMMA is non-porous membrane. The cross-section of membrane was rougher than the cross-section of PDMS membrane, but it was less rough than the cross-section of PMMA membrane. The characterization of nitrogen and hydrogen gas permeability were measured below the 30 ℃ and the varied gas pressure from 2 ~ 8 kg / ㎠ condition. The results of nitrogen and hydrogen permeability were observed 1.2 ~ 1.5 barrer and 6.2 ~ 10.5 barrer,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above, selectivity of hydrogen against nitrogen were from 5.3 to 6.9 for the results. The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of PDMS-PMMA block copolymer membrane was showed lower than the PDMS membrane, but higher than the PMMA membra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