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입법부-행정부의 관계가 행정입법의 입법 자율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김향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878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a statute by which the executive branch based on legislative delegation of the legislature. The principle-agent relation is formed between act of the legislature and administrative legislation of the administration. The legislature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that disabling or circumventing the purpose of law through administrative legislation by the administration, while the administration has incentive to avoid control of the legislature through administrative legislation which allows simpler procedure and wider discretion(Kang et al., 2016). As a result, the possibility that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will affect administrative legislation has been steadily raised(Cho, 2003; Cha, 2012; Shin and Hong, 2017), but previous research, especially by scholars of law, has tended to concentrate on the control to the administrative by the legislature or the judiciary(Kim, 2004; 2012; Oh, 2013; Kang et al., 2016 etc.), while there has been insufficient empirical research in the administrative academic circles. Traditionally, there is tension between managerial approach and political approach to public administration(Rosenbloom, 1983). Svara(2001) catego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ian and administrator based on the level of politician's control over administrator and the degree of administrator's independence from politician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administrators and politicians would reconcile themselves with mutual respect and trust. In Korea, where the tradition of administrative superiority was established during the age of the development state, the managerial approach to public administration was somewhat dominant even after the democratization. Based on the categorization of Svara(2001), we can predict the politician-administrator relationship in the background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ccording to its hierarchy. In enforcement decree(시행령 in Korean), the legislative and the administration are the main actors and there will be 'bureaucratic autonomy' type of relation between them, while the 'political dominance' type will be appeared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at the level of enforcement rule(시행규칙 in Korean). The National Assembly has low incentive to impose direct and effective enforcement on Article 98-2 of the "National Assembly Act", which is the system of external control over administrative legislation, whil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he internal control agency of the administration, tends to be taken over by the President as a government organization belonging to the central government. So it is expected that each control institution will reinforce the relation of 'bureaucratic autonomy' in enforcement decree and the relation of 'political dominance' in enforcement rule. Based on the theoretical predictions above, this study set eight hypotheses in four major aspects concerning the factors in the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legislative autonomy in administrative legislation. First, i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the form of government', which refers to whether the government is divided or not, and the degree of 'the separation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ruling party', which is related with presidential power over the ruling party. Second, in the aspect of incentive to use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e term of the National Assembly' for legislators who seeks re-election will affect, while 'the term of the President' will be to the President who is under time constraint that 5 years of single-term presidency. Third, in the aspect of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gislations, 'public salience' of a act, 'technical complexity' of a administrative legisla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Gormley, 1986) can be influencable. Forth, in the aspect of the hierarchy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s, the impact of each independent variable on legislative autonomy will be also different depend on the hierarchy. This study constructed an unbalanced panel data with time gaps as data on the 1235 revision cases of acts, enforcement decrees, and enforcement rules. The criterion of law were 82 acts(38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44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have existed during 29 years from the Roh Tae-woo government(started on February 25, 1988), to the Park Geun-hye government(ended May 9, 2017). Data of the legislative autonomy,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site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nd was measured by R/L ratio(Meier, 1980). As a result of testing the hypotheses through the random effects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three asp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the incentives of main acto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gislations- on the legislative autonomy in administrative legislation were mos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Most of hypotheses were sup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enforcement rule, whil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hypotheses about 'the separation between the administration and ruling party' and parts of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tatutes at the level of enforcement decree. The government has interpreted acts of the legislature according to its own intention and proceeded enforcement decree, based on 'bureaucratic autonomy' relation to the legislature, while external political environment of government has been influenced on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through the President at the level of enforcement rule, based on 'political dominance' relation between them. In Korea, the superiority of the administration to the legislature has been established in the Constitution(Hong, 2000), and the legislative system as a whole has been structured to insulate the ex-post control of the legislature over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a result of this institutional arrangement, the administration enjoys autonomy and is not so influenced by the change of the external political environment at the level of enforcement decree. On the other hand, at the level of the enforcement rule, the bureaucracy of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is subordinate to the President, legislates in support of the President's policy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parliament and the President at the time. In the end, the key actor in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the President, who connects the politics outside and the bureaucracy inside of the administ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performing an empirical analysis over legislative autonomy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focusing on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in perspective of public administration. By the analysis, this study has expanded the horizon of the study of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ower separation institutions and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the legislative decision making within the administration. The study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needs to be more focusing on decision making by the administration rather than merely controlling it. Furthermore, the study can be a basis of theory about the role of elected politicians and administrators in decision making and the desirable form of relationship to be established among them. Strategic behaviors that can arise among key actors about legislative autonomy in administrative legisl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islature and the administration, needs more attention from public administration. 행정입법은 입법부에서 심의·의결한 법률로부터 입법을 위임받아 행정부가 법률을 해석하여 제정하는 법령으로, 모법인 법률에 대해 주인-대리인 이론적인 긴장 관계를 형성한다. 입법부에서는 행정부가 행정입법을 통해 법률의 취지를 무력화하거나 우회할 가능성을 염려하는 한편 행정부는 법률보다 입법 절차가 간단한 행정입법을 통해 입법부의 통제를 피하고 국정 운영에서 보다 넓은 재량을 행사할 유인이 있다(강명세 외, 2016). 때문에 입법부와 행정부의 정치적 관계가 행정입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되었으나(조정관, 2003; 차동욱, 2012; 신현재·홍준형, 2017), 선행연구는 법학계를 중심으로 입법부 또는 사법부의 행정부 통제 방안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며(김용섭, 2004; 2012; 오봉근, 2013; 강명세 외, 2016 등등), 행정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실증연구가 미진한 경향이 있었다. 행정에서는 전통적으로 효율성과 합리성 등의 행정가치를 지향하는 관리적 관점과 대표성, 정치적 대응성, 그리고 책무성 등의 행정가치를 지향하는 정치적 관점 간에 긴장이 있다(Rosenbloom, 1983). 전자의 관점에 보다 중점을 두는 직업관료 등의 행정인과 후자의 관점에 보다 중점을 두는 정치인이 상호존중과 신뢰를 통해 조화될 가능성을 생각한 Svara(2001)는 행정인에 대한 정치인의 통제 정도와 정치인에 대한 행정인의 독립 정도를 기준으로 정치-행정 간의 관계를 유형화했다. 발전국가 전략으로 정당화된 권위주의 국가에서 행정부 우위의 전통이 구축된 한국의 경우 민주화 이후에도 행정에 대해 관리적 관점이 다소 우세했다. 행정입법의 위계에 따라 그 배경에 등장할 정치-행정의 관계를 Svara(2001)의 유형으로 예측해보면, 시행령 차원에서는 권력분립기관으로서 입법부(국회)-행정부(대통령+중앙 정부부처) 간의 ‘관료적 자율성’ 유형의 관계가, 시행규칙 차원에서는 행정부 내부에서 형성되는 대통령-중앙 정부부처 간의 ‘정치적 지배’ 유형의 관계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국회에서는 행정입법에 대한 대외적 통제 제도인 「국회법」 제98조의2에 직접적이고 실효적인 강제성을 부여할 유인이 낮은 가운데, 행정부의 대내적 통제 기관인 법제처는 중앙 정부부처에 속하는 정부조직으로서 대통령에게 장악되어 있기에, 각각의 제도는 시행령 차원의 ‘관료적 자율성’ 관계와 시행규칙 차원의 ‘정치적 지배’ 관계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상의 이론적 예측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입법부와 행정부 사이의 정치적 관계에서 행정입법 차원의 입법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해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8개의 가설을 설정했다. 첫째, 입법부와 행정부라는 권력분립기관 간의 관계 측면에서 ‘정부 구성 형태’가 단점 또는 분점 정부인가의 여부, 그리고 여당에 대한 대통령의 지배력과 관련된 ‘당정 분리’의 강도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둘째, 입법자들이 행정입법을 활용할 유인 측면에서 재선을 중시하는 입법부 의원이라면 ‘국회의 임기’, 5년 단임제라는 시간적 제약 아래 국정을 장악하여 정책의제를 추진해야 하는 대통령이라면‘대통령의 임기’가 각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셋째, 개별 법령이 지니는 특성 측면에서 법률이 그 시기에 지닌 ‘공적 현저성(public salience)’과 행정입법이 그 시기에 지닌 ‘기술적 복잡성(technical complexity)’, 그리고 두 요인의 ‘상호작용(Gormley, 1986)’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넷째, 행정입법의 위계가 시행령이냐 아니면 시행규칙이냐에 따라 그 배경에 놓이는 정치-행정의 관계 유형이 다르므로 각 독립변수들이 입법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역시 행정입법의 위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1988년 2월 25일 시작된 노태우 정부부터 2017년 5월 9일 종료된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29년간 고용노동부 및 환경부가 관할한 법령 중 82개의 법률(고용노동부 38개, 환경부 44개)을 기준으로 수집한 총 1235건의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개정 사건에 관한 자료로 시간 갭이 있는 불균형 패널 자료를 구축했다. 종속변수인 행정입법 차원의 입법 자율성은 Meier(1980)가 관료의 권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R/L 레이시오 방법을 사용해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 사이트에서 수집한 법령 본문의 글자 수 자료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패널회귀분석 중 랜덤효과 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정한 결과, 입법부-행정부의 정치적 관계, 입법자의 유인, 개별 법령의 특성이 행정입법 차원의 입법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행정입법의 위계에 따라 대부분 달라지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시행규칙 차원에서는 독립변수가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설을 지지한 반면 시행령 차원에서는 ‘당정 분리’ 변수와 법령의 특성 측면에 속하는 일부 변수만이 가설을 지지했으며 나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역대 행정부들은 시행령 차원에서는 입법부에 대한 ‘관료적 자율성’ 유형의 관계 위에 자신의 의도대로 법률을 해석하여 행정입법을 추진했지만, 시행규칙 차원에서는 대통령과 중앙 정부부처 사이의 ‘정치적 지배’ 관계 가운데 대통령을 통하여 행정부 외부의 정치적 환경이 행정입법에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한국에서는 헌법 차원에서부터 입법부에 대한 행정부의 우위가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있는 가운데(홍준형, 2000) 입법에 관한 제도 전반이 입법부가 행정입법에 사후적으로 실효적인 통제를 가할 가능성을 차단하도록 구성, 유지되었다. 이로 인해 시행령 차원에서는 대통령으로 대표되는 행정부가 정치의 통제로부터 높은 자율성을 누려 행정부 외부의 정치적 환경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시행규칙 차원에서는 행정부 내부에서 대통령에 종속적인 중앙 정부부처의 직업관료가 당시 국회와 대통령의 정치적 관계에 대응하여 대통령 측의 정책방향을 지지하는 입법을 지향해온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행정입법에 있어 핵심적인 행위자는 행정부 외부에서 벌어지는 정치와 행정부 내부의 직업관료를 연결하는 대통령이다. 행정입법이 법률을 우회하거나 법률 차원의 정치적 압력을 우회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이른바 대리인 문제(agency problem)를 일으킨다면, 첫째로 중앙 정부부처의 직업관료에게 행정부 외부의 정치를 전달하는 대통령으로부터 문제를 찾아야 한다. 이 문제는 더 나아가 당정 분리가 정치 관행으로 정착한 시대에도 역할에 혼란을 겪고 있는 여당과 반대를 위한 반대를 지향하는 야당의 국회가 대통령과의 정치적 관계에 있어 상호신뢰와 존중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구축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중앙 정부부처의 직업관료 역시 국회를 신뢰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이요, 5년 단임의 시간적 제약이 걸린 대통령에 대해서도 계서제에 따라 복종하지만 그 대통령의 정책과 입법이 지속되리라는 신뢰 하에 “좋은” 정책을 만들기보다는 5년 단위로 정책이 무산되고 누군가는 희생양으로 몰리리라는 위기감 속에서 보신에 주력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민주화 이후 30여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드러나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은 1987년 민주화와 더불어 제9차 개헌을 겪은 현행 헌법에서 권위주의 시절의 영향이 남은 강력한 대통령제를 중심으로 구축된 통치구조를 재해석하고 재설계함으로써 고쳐가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입법과 관련된 여러 학문분야에서 행정입법의 입법 자율성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가운데 행정학적 관점에서 입법부와 행정부의 정치적 관계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두 권력분립기관 간의 정치적 관계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입법 분야에서 확장했으며, 행정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입법 차원의 정책결정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했다. 행정입법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행정부에 대한 통제에 머물기보다는, 관련 있는 다양한 관련 학문분야에서 축적된 연구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는 가운데 행정부의 정책결정에 중점을 둠으로써 행정부가 외부의 정치적 환경에 대응하여 정책을 해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하는 행정학적 연구가 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행정입법에 대한 연구는 정책과정에서 특히 행정입법과 관련하여 입법부와 행정부에 속한 주요 행위자들의 역할과 각 행위자들 사이에 구축되어야 할 바람직한 관계 형태에 대한 이론의 바탕이 될 수 있다. 입법부-행정부 사이에서 구축되는 관계 형태와 행정입법에 대한 행정부의 입법 자율성 행사를 둘러싸고 입법부와 행정부의 주요 행위자들 사이에서 벌어질 수 있는 전략적 행태에 대해서는 다른 어느 학문 분야보다도 행정학의 관점에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간 국내의 행정학계에서 연구가 미진했던 주제에 대해 선구적으로 실증 분석한 만큼 여러 한계를 지니고 있다. 먼저 자료와 변수의 선정 및 측정에 한계가 있다. 분석 대상이 고용노동부 및 환경부의 소관 법령에 한정되므로 관할하는 정책분야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 다른 중앙 정부부처의 소관 행정입법에 나타나는 입법 자율성에도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또한 행정입법의 입법 자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Meier(1980)의 R/L 레이시오는 입법의 해석과 관련하여 정량적인 규모를 상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기에, 입법 자율성이 다차원적인 개념일 경우에는 결과가 혼재되어 해석에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행정입법의 입법 자율성 개념에 대해서는 별도로 사례분석을 통한 질적 접근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분석은 행정입법 중 시행령과 시행규칙 차원에서 각각 행정부가 입법 자율성을 행사하는 경향이 어떠한지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는 데서 그친다. 행정입법이 법률의 위임 목적에 충실하게 대응하여 구성된 것인지 아니면 도리어 법률을 우회하거나 무력화하기 위해 악용된 것인지의 여부를 정치적·역사적 맥락을 통해 추정할 뿐 통계적으로 확인하는 데 미치지는 못했다. 이러한 측면에서도 다양한 사례분석의 축적을 통한 질적 연구가 절실하다. 행정입법은 행정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주제로 관심을 갖고 접근할 가치가 있다.

      • 委任立法의 統制에 關한 硏究

        이장희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877

        In most states today legislators delegate at least some of their tasks for the sake of efficiency. The executive delegates are in charge of the regulations and laws that require specialized knowledge in the most scientific and technical areas. The delegation of legislative power has become increasingly in need as the society changes into a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one. It is therefore imperative that the delegates work with flexibility and efficiency. Yet, appropriate supervision and control over them is a rising issue and the central discussion in this dissertation. The need for supervision is without question. However, there are only few conceivable and practical ways of control. The difficulty in finding more appropriate control comes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egislative delegation's role in the legislative system. We have been unable to break out of the outdated conception that legislative delegation is similar to and thus should operate as administrative delegation. However, administrative delegation was based on the executive power and dates back to the times of constitutional monarchy. Unlike, administrative delegation, the necessity and the operation of legislative delegation must be understood as an additional means for the State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constitutional rights of the People and to implement the values of democracy. The State should not use legislative delegation as an end itself, with coercion or in a way that disturbs the balance of power. The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branches work together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What frustrates their unique given roles touches upon the very basis of democracy and the legitimacy of the powers that the People conferred to their own State. From this perspective, legislative delegation is merely a functional specialization. The Congress and the Government work jointly to work it out. While the Congress carries out its role as the central legislative body, the government is having its shares in the rule-making process. The Congress makes the laws of fundamental constitutional importance. And it is up to the delegated executive body to take care of the more detailed and meticulous legislative tasks. This way, legislators are not overburdened and can devote themselves to more critical matters. On the other hand, increased legislative delegation may weaken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Congress and ultimately, undermine the legitimacy of a democratic government. The trend to delegate the legislation in specialized areas was accelerated as the government become more actively involved in social welfare. By allowing legislative delegations, the ideal of democracy, that of self- government via an elected representative body, is sacrificed for laws are legislated by a non-elected body. The request and need of the People can be neglected more easily. Therefore, figuring out an efficient yet controlled system of legislative delegation is ultimately a question of restoring the weakened democratic link between the legislative body and the People and making the People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uch a delegation. Put it another way, it is a matter of blending democratic and constitutional values into legislative delegations so that nothing is sacrificed at the end. One influential way of controlling legislative delegations is through the judiciary. Judicial review is based on the fundamental judicial power: reviewing constitutionality and lawfulness of the regulations and preventing arbitrary and unfair application of the laws. Because the judiciary's passive nature, judicial review is possible only in limited circumstances. Time-consuming and complex formal procedures may also be an obstacle to efficient control. Small delays can have an remarkable impact. Therefore, while judicial control is an important way of control, it works only to supplement other means for it has its own limitations. The executive must exercise self-control. It has the duty to correct problems stemming from legislative delegations before the Congress or the Court steps in. Self-control can free it from external interruptions, which, as a result, may allow them to improve efficiency and ultimately to preserve its independence. Nevertheless, internal control has its drawbacks as well: it is based on autonomy and might give away prudence to efficiency. The level of control the Congress can have over legislative delegations cannot extend beyond the frame of the separations of powers. Independence of another limits one's power. The separation of powers is ba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branches. Congress, by allowing legislative delegations, parts with some of its own legislative power. By doing so, it chooses to respect the autonomy of executive delegates in terms of deciding what and how to create specialized regulations. However, this is not to say that the executive should be left without any supervision from the Congress. On the contrary, the whole issue presented here deals with the need and ways to implement democratic and efficient ways to control it because the system is not fully trustworthy. Control by the Congress is the most logical and efficient way of supervising legislative delegations. However, it was the Congress's own limitations, its lack of knowledge in certain specialized areas, that necessitated legislative delegations. One way out of this dilemma is to resolve the very lack of professional and technical knowledge of the Congress members. Building smaller committees to scrutinize over the issues that need to be delegated, increasing self-consciousness of its own lack of knowledge and the problems embedded in legislative delegations and asking an external private organization for help can be strongly suggested. At the end, whatever ways of control we can conceive, they must be evaluated in light of the Constitution. They can exist if and only if they are constitutional and further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 주택법상 주택관리에 관한 위임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광영 충북대학교 법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877

        This thesis is suggested for Housing Act's controversial point and the improvement scheme as the principle of law reservation and the principle of delegated legislation prescribed in the Housing Act. To correspond to rapid social change flexibly, the National Assembly legislates the Law that reaches to the nation's right and obligation importantly and the Law needs to be delegated to the Administration on definite contents not having legislate as the Law. Although the delegated legislation will be possible, but it isn't broken away from general rule of constitutionalism, sovereign power, and parliamentarism. In the present,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is a matter of concern and an interest of our nations because 64 percent of our nation's inhabitants is living in the Multifamily Housing and the Multifamily Housing is 71 percent of total house. The Housing Act managing Multifamily Housing was come under fundamental law as the public law. But in the Housing Act, qualification and terms of the members of a delegation of occupiers, the duration of warranty, the obligation of manager, management method to the delegation of occupiers, are being delegated. These delegated legislations will deviate from a limit of the delegation because these legislations isn't only definite authority in the higher law but also the delegated contents is a very comprehensive. Specially without definite authority in the delegation law, contents limiting the freedom of contract severely were being regulated by administrative rule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 is imposing penalty when the people violated the rules. This thesis investigated constitutional limit of the delegated legislation and legal characters of the supplementary legislation to resolve the same problems as above mentioned. And this thesis was suggested for improvement plans by the researching on the Housing Act's clause which violated delegated legislation's limit and the legislation system.

      • 미국 대통령의 특수주의 : 보호무역 정책의 전략적 사용에 대한 연구

        양혜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45

        대통령 특수주의(presidential particularism)란 대통령이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역구나 유권자의 이익을 유권자 전체의 이익보다 중요시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보호무역 조치를 비롯하여 미국 대통령들이 의회를 우회하여 일방적으로 보호무역을 시행했던 사례들은 대통령 특수주의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특수주의와 보호무역 정책의 접점에 주목한 연구는 많은 공백을 남겨두고 있다. 본 연구는 “대통령이 시행하는 보호무역 정책의 결과로 인해 경제적 자원을 집중적으로 분배받게 되는 승자는 누구인가?” 라는 연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은 1986년부터 2018년까지의 기간에 대통령이 시행했던 보호무역 정책으로 설정한다. 대통령 특수주의와 보호무역 정책 연구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제도적 변화와 위임정치의 역설에 대한 분석을 선행한다. 나아가 예시적 사례와 통계 분석을 통해 어떠한 정치적 요소가 대통령의 보호무역 정책을 시행과 차등적으로 이익을 분배하는 선택에 영향을 미쳤는지 규명한다. 본 연구는 보호무역 정책의 영역에서 대통령의 특수주의를 이끌어내는 결정적인 요소로 대통령 선거에서의 경합주와 선거인단 투표수, 그리고 대통령과 입법 선호 유사도가 높은 의원들의 밀도를 강조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거인단 투표수가 많은 경합주일수록, 그리고 대통령과 주요 안건에 대한 입법 선호가 유사한 의원들의 밀도가 높은 주일수록 보호무역 정책의 승자가 될 확률이 높아진다고 주장한다. 위임정치의 역설과 대통령의 특수주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소들은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조치가 일회성에 그치는 현상이 아닌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전략적 선택의 결과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위임정치의 역설과 대통령의 특수주의의 결합은 대통령이 보호무역 정책을 전략적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권한을 공고히 하는 기재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특수주의 대통령의 정치적 동기가 대외 정책 시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향후 의회가 대통령의 권한을 견제하고 균형을 되찾기 위해 어떠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지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Protectionist policies implemented by the US presidents, including President Trump's decision to increase tariff in 2018, are typical cases of presidential particularism. Presidential particularism refers to the tendency to prioritize the needs and economic benefits of targeted constituents over national constituents. As a result of the protectionist policies, highly targeted states can be rewarded while sacrificing voters' general well-being. Despite the multiple implementations of protectionist policies by the US president, however, there has been a void between the research of presidential particularism and protectionist polic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s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Who is the winner of the disproportional allocation of rewards as a result of the presidential protectionist policy? Exploring the presidential protectionist policies from 1986 to 2018, this paper argues that (1) the number of electoral college votes of swing states and (2) the density of co-partisan legislators with high similarity in legislative preferences with president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being the winner of presidential protectionism. In order to develop the particularistic president theory on protectionist policies, this research also defines the 'paradox of delegation.' By exploring the paradox of delegation, this paper explains how the dynamics of check-and-balance regarding trade authority establishes room to maneuver of the president. This paper has two contributions. First, by defining the paradox of delegation, this paper develops the theoretical groundwork of particularistic presidents and expands to the cases of protectionist policies. Secon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s of electoral, partisan, and coalition building incentives on presidential protectionist policies. In particular, this paper emphasizes the roles of the swing states, especially with many votes, and the density of legislators with a higher degree of similarity with the presidents' p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