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대중음악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에 대한 연구 : '실용음악'의 대학제도 진입과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장혜원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38

        이 논문은 근대적 의미의 국내 대중음악계가 형성된 이후 대중음악이 문화적으로 정당화되어가는 과정을 대중음악의 학제화 발전 과정의 역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불과 20여 년 전만 해도 실용음악과라는 언표는 일상의 차원에서 회자되는 종류의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대중음악이 사회적·제도적으로 위상의 변화를 겪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서울예술대학교에 처음으로 설립된 실용음악과는 이제 대중음악계의 주된 주체로 존재한다. 일부 대중음악 평론가를 비롯한 연구자들과 대중음악 현장에서는 실용음악과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대중음악의 권력을 획득해가는 양상이 경제적인 논리에 의한 것이라는 해석을 한다. 그렇다면 이전까지는 학교에서 배척되어 오거나 경제적 이득을 보장해 줄 수 없었던 대중음악은 어떻게 학교에 진입하거나 자본을 담보해 주는 종류의 것이 되었는가? 본 연구는 이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실용음악과의 발전을 문화산업의 측면을 넘어 대중음악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이 시도는 대중음악이 대중예술로서 자리 잡아 가는 과정 속에서 대학 제도에 진입한 사건을 문화적 정당화의 일부로 본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용음악과의 제도화 과정이 국내 대중음악계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 지를 탐구했다. 이를 위해 예술제도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 관점을 전제로 하여 문화적 정당화 개념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용음악과가 발전해 나간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역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보았다. 특히, 바우만의 문화적 정당화 과정에 관한 이론을 차용하여 각각 학과 외부의 환경과 내부의 구조 변화, 그리고 관련 주제를 보도하는 신문 기사의 경향성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으로는 정부 산하 기관의 자료와 대중음악 무크지, 실용음악과가 개설된 학교에서 공개한 자료와 학보를 비롯하여 단행본과 신문이 해당되었다. 1980년대 이루어진 대중음악 해금정책은 대중음악의 사회적 위상이 높아지는 긍정적 계기로 작용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자율적인 음악생산과 소비기술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중음악을 ‘학습’한 일부 전문적 인력이 등장하면서 대중음악 산업이 발전한다. 대중음악이 하나의 ‘작품’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중음악 평론은 하나의 제도로 정착한다. 이 가운데 대학 설립이 자유로워지면서 실용음악과가 문화적 가치를 지닌 신생학과로 대학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후 대중음악은 국내에서 대학이 지니는 제도적인 특수한 힘을 힘입어, 대학이라는 기관을 거친 뒤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훈련된 대중음악인’의 이미지를 확보하기에 이른다. 이와 동시에 학과 내부에서도 대중음악을 오락의 한 종류가 아닌 대중예술로, 실용음악과를 전문 음악인 양성기관으로 정체화 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서 대중음악은 보다 예술적인 차원에서 회자되기 시작한다. 그 과정 중에 대중음악은 산업과 정책 담론에서 더 구체적으로 하나의 대중예술로서 언급되며, 이후에는 대학원에서도 실용음악과가 설립되면서 학위 논문들이 배출되고 실용음악과가 학문 공동체로서의 성격을 부여받는 등 대중음악의 학문화가 심화되기도 한다. 2008년 이후 성행하기 시작한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은 실용음악과 재학·졸업생들이 대중음악계에 진입할 수 있는 통로로 기능했고, 이를 통해 실용음악과 출신의 음악인들은 K-Pop으로 대변되는 기존 음악과 차별성을 띠며 신진세력으로서 장 내 위계를 점유해나가고 있다. 이러한 국내 대중음악의 학제화 전개양상은 대중음악이 점차 학술·예술 차원에서 하나의 대중예술로 인식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중음악을 문화적 정당화의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이 연구는 대중음악의 경제적인 가치를 논하는 일련의 주장들에 더하여 그것이 가진 문화적 위상을 톱아보는 시도가 되었다.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process of cultural legitimation of Korean pop music. The Korean Pop music scene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the process of academic development in Korean pop music. The concept of ‘Practical Music’ was not discussed in everyday life more than 20 years ago. However, since the 1980s, Korean pop music went through social/institutional changes. The ‘Practical Music’, which was first developed by Seoul Institute of the Arts, became a main agent of bringing into existence pop music. Some critics of pop music in Korea, including researchers of pop music, interpret that the aspects of rapid increase in the ‘Practical Music’ and the acquisition of the power in the Korean pop music is by economic logic. Then how could the Korean pop music that was isolated in schools with fields of ‘Practical Music’ and with no guarantee of any economic profit enter into the academic field when the Korean pop music had become the one that guaranteed money? This study begins with knowing this aspect of the problem. This trial looks at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Music’ through the perspective of cultural legitimation of Korean pop music. It sees the occurrence of the Korean pop music’s academic entry as a part of a cultural legitimation in the midst of popular music coming to settle in the popular arts. Thus, the research is done to seek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have between the institutionalism of the ‘Practical Music’ and the Korean pop music. In order to do this, I analyzed the concept of cultural legitim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analyzing the art institution in a sociological way. Therefore, I look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improvement of the ‘Practical Music’ by putting foundation of historical flow in three big steps. I analyzed the external atmosphere, the internal structure change and the tendency of a press report of the related thesis by using Baumann’s cultural legitimation theory. By ending the policies that banned some Korean pop songs that were established in the 1980s, Korean pop music’s social status increased positively since then. Following this, people were able to produce music more freely and yield easier consumption technology. During this period, professional workers who focused their study on pop music developed the Korean pop music industry. As the Korean pop music began to be accepted as a ‘piece’, Korean pop music critic field became a kind of institution. While more colleges became established and created, the atmosphere that the ‘Practical Music’ could be a new major with an important cultural value could be settled. Since then, the Korean pop music by getting special help those colleges has in Korea, achieved a new image of well-trained pop musicians through formal education after institutions such as college. At the same time, the Korean pop music has started to be seen in an artistic dimension by being acknowledged not by a type of entertainment, but by a form of pop art, trying to identify the ‘Practical Music’ as an institution of training professional musicians. Through that process, the Korean pop music was being mentioned as a form of more detailed pop art in the industry/policy discourse. Later on, the ‘Practical Music’ was established even in the graduate schools, and it received characteristic as an academic community. Music audition programs that started and prospered since 2008 functioned as a channel for the formal/current students of ‘Practical Music’ to enter the Korean pop music scene. By this, the alumni from the ‘Practical Music’ are occupying the status in the field of Korean pop music as a new agent by differentiating from other music represented as K-Pop. This process shows that the Korean pop music gradually became acknowledged as a pop art in the dimension of academic/artistic status. Thus this study, trying to translate the Korean pop music as a perspective of cultural legitimation, was an attempt to watch the status of Korean pop music by adding the opinions from which discuss the economic value of Korean pop music.

      • 한국, 미국, 중국의 실용음악대학교육과정 비교 연구

        리나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11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is a new discipline and is becoming a new field of music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field of practical music is not only promising, but also a great challenge for music education in China. The history of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is not long, but in recent years, new disciplines have been set up in various music and art colleges, comprehensive universities, teacher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China, with the goal of cultivating practical music talents.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status quo of pop music majors in Chinese universities that are constantly striving and developing. There is no systematic curriculum system for pop music in China's universities, so it is urgent to research and develop an educational system suitable for China's current situa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situation of pop music education in four national representative universities, including the post-modern music major of Kyung Hee University in Korea, Berkeley Conservatory of Music in the United States, MI Modern Conservatory in the United States, and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in China, and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pop music education courses, educational facilities, teachers' status and quality in Chinese universities. The researcher worked as a leading teacher of pop music in Chinese universities. Most of the teachers of practical music in universities in China rely on their own experience to teach, which makes the students' style cut across the board and has no personality. It can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actual pop music experts that the society wants. Therefore, the researchers first analyzed the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by comparing the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that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investigated and studied it from the aspects of development status, education status, teaching materials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describe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as well as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music education and pop music education conduc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third chapter is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pop music education curriculum in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China and other countries. It has learned about the teaching materials and curriculum analysis, teachers' status and professional facilities of pop music department in universities in three countries. From the six aspects of development status, professional education status, professional teaching materials status,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and puts forward the professional curriculum of pop music and vocal music that conforms to the actual situation of universities in China. The researcher thinks w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the process of pop music vocal music teaching, and puts forward the teaching strategy of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op music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in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its research content,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urses, it is found that the current situation of pop music courses offered by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of University of China is not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number of lectures and the proportion of professional lectures offered by thre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Second, in terms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pop music departments of three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re higher than those of Kyung Hee University in South Korea.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teachers in the pop music department of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in China is large, but the quality is far lower than that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some pop music education courses of professors in the pop music department of Sichuan Conservatory of Music, University of China,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completed and lack professionalism in the field of pop music. Finally, the fifth chapter, as a conclusion, makes an in-depth discussion on the systematic talent training,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construction of pop music development in universities in China.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the researchers put forward in-depth suggestions on systematic talent training,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construction for practical music education courses that meet the actual situation of universities in China.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교육은 신설학과이면서 새로운 음악교육영역으로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에 실용음악 분야는 발전적 전망을 가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중국음악교육의 커다란 도전과제이기도 하다. 중국대학에서의 실용음악교육 역사는 길지 않지만, 이 근래에 이르러중국의 각종 음악 및 예술대학, 종합대학, 사범대학 등에서 새로운 학과로신설되었으며, 실용음악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끊임없는 노력과 발전을 하고 있는 중국 대학 내 실용음악 전공의 현황을 알아보고 분석하는데 그 중점을 두었다.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은 아직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구축되어 있지 않고 중국 현재 상황에 맞는 교육체제의 연구와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경희대학교포스트모던음악전공, 미국의 버클리 음악대학, 미국MI현대음악대학,중국의 사천음악대학 등 네 나라의 대표적인 대학 내 실용음악전공의 교육현황을 살펴보고, 중국 대학 실용음악교육 커리큘럼, 교육시설, 교원 현황및 자질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중국대학에서 실용음악 보컬 교사로 재직 중에 있다. 중국 내 대학 실용음악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신의 경험에 의존하여 교수하는데, 이로 인해 학생들의 스타일은 획일적이고 개성이 없으며 그것은 현재사회가 원하는 실질적인 실용 음악 전문가의 요구에 적응할 수 없다. 따라서 연구자는 우선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 교육과 미국, 한국 등의 실용음악 교육과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 교육을 분석을 해보고, 발전현황, 교육현황, 수업 교재 현황, 교육의 중요성 등 가지 측면을통해 고찰 및 연구를 하였다. 제 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 목적과 의의 및 연구 내용과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은 선행연구를 통한 음악교육과 실용음악 교육을 고찰해보았다. 제 3장은 한국, 미국, 중국, 실용음악 교육과정 분석 연구로 세 나라의대학 내 실용음악과 교육 교재 및 커리큘럼 분석, 교수진현황과 전공시설을 알아보았다. 중국 대학의 실제 현황에 맞는 실용 음악 보컬전공 교육과정을 발전현황, 전공교육 현황, 전공 수업 교재 현황, 교육의 중요성등 여섯 가지 측면에서 고찰 및 제안하였다. 연구자는 실용음악 보컬 교수 과정에서 중시해야 할 문제는 무엇이며, 또한 중국대학의 실용음악 교육과 미국, 한국 등의 실용음악 교육과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 대학 내 실용음악 교육의 교학 전략을 하고자 한다. 그 연구 내용을 토대로 결론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커리큘럼을 통해 비교분석한 결과, 중국대학 사천음악학원의실용음악 커리큘럼 개설 현황은 미국 · 한국 3개 대학의 강좌 수나 전공강좌 비율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교육시설은 중국과 미국 셋 대학의 실용음악과가 한국의 경희대학교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세 번째, 교원 수는 중국 사천음악학원 실용음악과의 교원 수는 많지만그 질적 부분은 한 · 미 양국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중국 대학인 사천음악학원 실용음악과 교수 중 일부 실용음악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이수하지 못하는 등 실용음악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제 5장은 결론으로서 중국대학 내 실용음악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인재 양성, 교재 개발 및 과정 구축을 심층적으로 논의하며,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필자는 중국 대학 실정에 맞는 실용음악 교육과정을 위해 체계적인 인재 양성, 교재 개발, 교과과정 구축 등에 대해 심도 있는제의를 하고자 한다.

      • 디지털 복제 시대 문화 생산과 향유에 대한 연구 : 1998-2007 한국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이충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277

        This thesis is an ethnography on Cultural Production and Enjoymentin the Era of Digital Reproduction. Over the past decade, digital technologies have permeated(undermined) the music industry. The Interet is bringing new key players and business models into the music industry.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emergence of industry standards is accelerating such changes. Music has been encoded in digital form and stored on CDs, laser discs, and digital versatile discs.Recent technological innovations allow internet users to access and trade digital music files without paying those who have produced music. The new technologie are turning recorded music into a public good, since no one can be prevented from enjoying and inexhaustible supply of digital copies. With no costs of manufacturing packaging, shipping, or retailing CDs, downloads can be offered at a marginal cost of virtually zero and can be enjoyed by music fancs at the cost of just a few minutes of computer times. Internet music trading thus represents a tremendous potential efficiency gain in music distribution. And Web's liberating potential by radically accelerating toward narrower market segmentation and more fine-grained product. The prevalence of technologies supporting specific industry standards also facilitates development of the new music distribution paradigms. 이 논문은 최근 10년간의 한국 대중음악이 디지털 복제 및 전송이라는 신기술로 인한 산업 인프라의 이행기를 맞아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음악산업은 비물질적 재화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비물질노동에 속하며, 편곡과 연주, 녹음 과정에서 디지털 기기의 비중이 크다. 또한 비물질 상품의 형태를 지니며 유통 및 최종소비도 비물질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음악산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다가오고 있는 비물질 노동 및 산업의 성격에 대해 대강이나마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연구들은 작가론이나 수용자론, 혹은 이데올로기로서의 음악에 집중하고 있어 한 시대의 지배적인 기술적 환경 및 그것과 시장 주체들간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잘 분석해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복제기술이 소비뿐 아니라 유통과 생산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기술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공통점과 연관성을 밝혀내려 하였다.

      • Network effect on creativity and organization formation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korean popular musician network before and after the drug investigation in 1975

        전천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987

        Researches on collaborative relationship and creativity suggest that certain structural position is beneficial for creativity based on the idea of knowledge transfer and combination via collaborative ties. However, most of studies pay less attention to conditions that can hinder this positional benefit. Also, some network conditions can shape network dynam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existence of high status actors affect topological benefit and network dynamics. This study examine affiliation network of Korean popular music band and solo artists, especially before and after the momentary drug investigation of popular music artists (The Ninth Emergency Act in 1975) in order to test whether sudden elimination of high status actors in the network can enables network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and combination on creativity. The analysis pop music band network and musician network suggests that positional benefit does not function under the existence of strong high status actors, whereas it does after their elimination. Also, this study shows that collaboration between distant actors in terms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prior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form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under the presence of high status actors. This study highlights importance of historical condition of interorganizational structure in studying collaboration and its effect.

      • K-Pop의 영향을 받은 중국 대중음악(C-Pop)산업의 고찰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저우잔쉬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00558

        Current popular music is in the spotlight as a cultural content and a promising cultur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popular music, which is popular among young people such as teenagers and 20s, has a growing cultural and social influence, and its industrial scale is also higher than other artistic genres. In the 1990s, a massive development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took place in the Chinese pop culture. This was trigger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karaoke industry, the introduction of an advanced star management system, and the entertainment of media (media). However, current popular songs in the Chinese continent lack creativity, related laws and systems are not complete, piracy is often prevalent, and their music style is also in a state of stagnation.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Chinese pop song market was the current Korean pop song, that is, K-Pop. K-Pop is rapidly developing and becoming the main body of the cultural industry. In addition, Korean music not only mass-produced large-scale Chinese fandom, but also changed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Chinese popular music. Although the new Korean Wave centered on K-Pop is the same Korean cultural product, it is accompanied by a ripple and change of the trend that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Wave centered on existing dramas. New Hallyu, which has been born as a characteristic phenomenon of a new Hallyu combining tradition and modernity, has resulted from the longing and interest of Hallyu audiences beyond their interest in popular stars, affecting various fields, including tourism, products, and popular culture to Korea. Until the 2000s, Korean Wave research centered on Korean dramas was the center, but from the 2010s, academic interest in the new Korean Wave targeting K-Pop is newly required.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development trends of K-Pop, which have affected C-Pop, and analyzes the impact of K-Pop on C-Pop to suggest ways to develop C-Pop, which is in a slump.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nalysis are K-Pop and C-Pop from the late 1990s to 2010.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Chinese pop music in the future and suggest ways to develop Chinese pop music by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spread in Asia and around the world, analyzing the popular phenomenon in China, and investigating the impact of Korean pop music on Chin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tus of popular song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development model and growth direction of popular so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limiting the background of a specific era. In particular, there are no studies using theories related to sociology and propagation as well as theories in the field of musicology in research methods.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d the K-Pop propagation process in China,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K-Pop and C-Pop, and based on this, pointed out the strengths and problems of K-Pop influences in China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f the person who received it. Therefore, the research of this paper will not only have theoretical innovation but also have practical leadership meaning. 현재 시점의 대중음악은 21세기의 전도유망한 문화콘텐츠이자 문화 산업의 일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10대와 20대를 포함한 젊은 층에서 유행하는 대중음악은 문화적, 사회적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산업의 규모도 다른 예술 장르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크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국 대중문화계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대적인 발전이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는 노래방 산업의 신속한 발전과 선진적인 스타 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도입, 그리고 미디어(매체)의 엔터테인먼트화 등에 힘입어 촉발되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대중음악은 여전히 창작력이 부족하고 관련 법과 제도가 완전하지 못하다. 이뿐만 아니라 불법 해적판이 유통되는 경우도 잦을 뿐만 아니라 음악 스타일 또한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중국 대중음악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지금의 한국의 대중음악, 즉, K-Pop이다. K-Pop은 그동안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전 세계 문화산업의 주류가 되고 있다. 게다가 한국 음악은 거대한 중국 팬덤 양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중국에서 유행하는 음악의 특징과 발전 방향까지도 바꿔 놓았다. K-Pop을 중심으로 한 신한류는 동일한 한국의 문화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드라마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류와는 다른 양상으로 유행의 파급과 변화를 동반하고 있다. 전통과 현대가 결합한 새로운 한류의 특징 중 하나로 태동하게 된 신한류는 한류 소비자들의 대중스타들에 관한 관심을 넘어선, 한류에 대한 동경과 관심의 확대에서 비롯되었고, 이는 한국으로의 관광, 상품,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0년대까지는 한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하는 한류 연구가 중심이었다면, 2010년대부터는 K-Pop을 중심으로 하는 신한류에 관한 학문적 관심이 새롭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C-Pop에 영향을 준 K-Pop의 발전 과정과 현황에 대해 고찰하고, K-Pop이 C-Pop에 준 영향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침체일로에 있는 C-Pop 산업에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의 대상은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K-Pop과 C-Pop 산업이다. 본 연구는 한국 대중문화를 대표하는 K-Pop이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대중가요 전파의 발전사를 알아보고, 한국 대중가요의 중국 내의 유행 현상에 관해 분석한 후, 한국 대중음악이 중국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려 한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중국 대중음악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중국 대중음악 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정 시대를 배경으로 한정하여 한중 대중음악의 발전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고, 양국 대중음악의 발전 모델과 성장 방향을 제시한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연구 방법 측면에서 음악학 분야의 이론뿐만 아니라 사회학 및 전파학과 관련된 이론까지 활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K-Pop과 C-Pop 모두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고, 대중문화 전파의 복잡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중국에서의 K-Pop 전파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K-Pop의 주요한 성취가 C-Pop의 발전사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돌아보았으며, 전파를 받은 측의 문화적 시각으로 중국에서의 K-Pop 영향의 강점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한 걸음 더 발전해 나가기 위한 해법을 C-Pop의 발전 방향으로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는 이론적인 혁신을 꾀할 뿐만 아니라, 실천적인 지도적 의미도 동시에 지닐 수 있을 것이다.

      • The Pursuit of Modernity: The Evolution of Korean Popular Music in the Age of Globalization

        Kim, Young Dae University of Washington ProQuest Dissertations &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00543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various meanings of modernity in the history of Korean pop music, focusing on several crucial turning points in the development of K-pop. Since the late 1980s, Korean pop music has aspired to be a more advanced industry and establish an international presence, based on the economic leap and democratization as a springboard. Contemporary K-pop, originating from the underground dance scene in the 1980s, succeeded in transforming Korean pop music into a modern and youth-oriented genre with a new style dubbed "rap/dance music." The rise of dance music changed the landscape of Korean popular music and became the cornerstone of the K-pop idol music. In the era of globalization, K-pop’s unique aesthetics and strategy, later termed “Cultural Technology,” achieved substantial return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roughout this evolution, Korean Americans were vital players who brought K-pop closer to its mission of modern and international pop music. In the age of globalization, K-pop's modernity and identity are evolving in a new way. BTS' unprecedented success indicates that K-pop's modernity can be achieved through authentic narratives and Koreanness, not merely through cosmopolitan sounds and visual aesthetics that have eliminated nationality and locality.

      • Korean pop culture in Malaysia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South Korean music industry on Malaysian mass media

        Jailani, Intan Baizura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6 국내석사

        RANK : 184175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phenomenon of Korean popular music in the 1990s until the late of 2000s to see the significance and impact towards the reception and resistance in predominantly Malaysian Muslim society in the 2000s. In this regard, under the consideration of “Hallyu” wave spread to Malaysia, this study attempts to discover the greatest impact towards the Malaysian socie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ption and resistance of Malaysian people particularly Malaysian Muslims towards the evolution of Korean popular music culture (K-pop) in Malaysia while analyzing the impact of K-pop on Malaysian society. This study will also explore how mass media and technology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edium of environmental change within the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characteristics of K-pop) that influence its fans and the medium which is media and technology towards the elements of cultures (impact to the Muslim population in different aspects). This study demonstrates various perspectives among Muslim communities through mass media and Malaysian scholars through email interview while describes K-pop’s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found in Malaysia including generalization and conceptual perception that positively or negatively impact the society, objectify and their stereotype related to the Korean pop culture.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media has become one of the elements with the greatest impact and influence on Malaysian public opinion related to their stand towards Korean popular music. Moreover, social group such as Muslim fandom among adolescences and students are the most affected through the spreading of K-pop phenomenon in Malaysia such as its image, appearance behaviors and so on.

      • (A) competitiveness analysis on K-pop

        Liu, Wan-Ju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67518

        The raise of Korean pop music (K-pop) has drawn attention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dience since the late 2000s. As a part of the broad the Korean Wave trend, with a strategic manipulation, K-pop has replaced Korean drama’s role and become the new driving force of the Korean Wave. Compared to the previous Korean drama-led Korean waves, this K-pop driven new Korean Wave has gone beyond East Asia to the West. The recent success of K-pop is the fruit of Korean entertainment companies and music industry’s relentless efforts during the past one decade. This study adopts Diamond model to select and categorize the competitive variables by reviewing and refining the existing studies and reports from world’s prestigious media outlets. Along with a stage model which illustrates the development of K-pop industry, a rigorous and comprehensive competitiveness analysis on K-pop is demonstrated in this study and served as a case study for other countries which are interested in developing their pop culture industry.

      • 케이팝에서 훅의 사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서정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51387

        Abstract A Study on the Use of Hook in K-Pop Music and Its Meaning by SEO JEONG HWAN Dept. of Musicology & Culture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larify the concept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a hook, a prominent characteristic of K-pop music. Bot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empirical analyses of the relevant works will be provided to this end. The popular music of Korea, lately known as K-pop, has now become the center of attention both within and outside of Korea. The worldwide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often referred to as Hallyu (or 'the Korean Wave'), is gaining even more momentum as the focus of global interest is shifting from the South Korean dramas to K-pop music. Within this wider context, this study focuses primarily on the role and meaning of hooks. Despite the rising popularity of K-pop, few in-dept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use of one of its most essential components, i.e., hooks. A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will thus be bringing this relatively new area to the forefront of discussions for further studies by examining the appealing characteristics of hook songs in K-pop from musicological perspectives. A 'hook song' is a newly coined word in which 'hook' refers to the part (especially the melody) of a song that keeps recurring, sometimes repeated to the point of tediousness. A hook song is thus understood as a type of pop music with high commercial potential that 'hooks' the listener through repetition. It is sometimes defined as a song with 'hooking effect', which reaches out to the listener in ways different from other types of music in its style of expression. To understand hook songs,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their 'hook' part, as this is their essential constituent. It is not just a part of music but may have implications that go beyond the known aspects of music.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under this premise. ChapterⅠ, the introduction part, discusses the need to carry out further research on the significance of hooks in K-pop music in a wider context of cultural studies. Chapter Ⅱ reviews the general background of K-pop and hook songs. Section 1 argues that the growth of K-pop cannot be simply ascribed to the influences of American or Japanese music and proposes a more general approach that takes into account not only hooks but a much wider scope encompassing the center and periphery of K-pop and music in general. Section 2 discusses the entertainment companies that have been the primary producers of K-pop and takes a brief look at the dance music of the 1990s as a precursor of K-pop. Section 3 discusses media convergence and characteristics of hook songs. Chapter Ⅲ looks into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hooks more in detail. A hook has generally been taken as meaning 'the recurring part of a song,' but it can be understood as a more general term that goes beyond the scope of music. In this study, the term is reinterpreted to mean 'those parts of a song that we remember instantly from the moment we hear them.' The method of classifying hooks to be employed in subsequent chapters is also discussed. Chapter Ⅳ presupposes how modal techniques operate hooks, and analyzes its representative pieces. In association with the above, the second section of this chapter, titled ‘mode and harmonic hooks’, analyzes pieces with harmonic techniques of popular music into the modal harmonic perspective. The third section titled ‘modal hooks’ deals with how not only music but also lyrics and other factors relate to each other and constitute the meaning under the name of ‘hook’. Chapter Ⅴ is concerned with contents of performance in K-pop and diverse levels of hooks. Sections 1 and 2 discuss the vocal and dancing factors of K-pop. Section 3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negative hook' and classifies the styles of hook songs. A reinterpretation of hook songs is also proposed on the basis of a few example cases. To sum up,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that render K-pop music so powerful and appealing is its hooks. Or, hooks can be recognized as a factor of performance in various contexts coming from a variety of techniques found in popular music.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which the digital music industry prevails over the recording industry, hooks are influencing the styles and contents of popular music at various levels. In this study, the term 'hook' is reinterpreted as a broader concept that can be more readily used in productive discussions of K-pop and Hallyu. I believe this reinterpretation will also be useful in discussing the concept of musical appeal in general in further aesthetic studies. 국문초록 케이팝에서 훅의 사용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케이팝의 두드러진 특성인 훅을 대상으로 그 개념과 문화적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관련 작품에 대한 경험적 분석과 더불어 이론적 논의도 심화하려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최근 케이팝(K-pop)으로 일컫는 한국의 대중음악은 이미 한국을 넘어서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드라마를 통해 태동하였던 1세대 한류가 아이돌가수 중심의 신한류로 넘어오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케이팝의 인기와 소비에 주목하며 이것을 뒷받침하는 훅을 주목하여 그 역할과 의미를 논의의 지평으로 옮겨놓았다. 케이팝의 부상과 함께 중요한 구성요소라 할 훅과 이를 토대로 한 훅송에 대하여 주목한 연구는 거의 찾을 수 없다. 이러한 면에서 이 연구는 케이팝에서 호소력을 갖는 특성들을 음악학적인 측면에서 밝히는 한편 이 새로운 영역을 의미 있는 담론의 장으로 끌어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훅송은 ‘hook’과 ‘song’이라는 두 단어로 이루어진 신조어인데 여기서 ‘hook’은 주로 대중음악에서 때로는 지루할 정도로 반복되는 후렴구, 특히 그 멜로디를 지칭한다. 훅송은 이처럼 반복을 통해 사람의 귀를 낚는(hook) 상업성 높은 대중음악이라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후킹 효과’를 갖는 노래로 설명되기도 하는 이 훅송은 음악의 표현방식에서 이전의 음악들과 달리, 좀 더 다양한 차원에서 듣는 사람에게 접근한다. 훅송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 용어의 한 축인 ‘훅’이라는 개념에 집중해야 한다. 훅은 훅송의 본질인 동시에 음악을 구성하는 일부라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 새로운 음악적 의미를 함축할 가능성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모두 6장으로 구성되는 논문 내용 중 제Ⅰ장 서론은 케이팝을 대상으로 훅의 의미 속에 담긴 문화론적 논의를 제안하였다. Ⅱ장은 본 연구에서 언급되는 훅송과 케이팝의 전반적인 논의 배경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Ⅱ장 1절에서는 케이팝의 성장을 미국이나 일본의 영향을 강조하는 방식만으로는 한정해서 설명될 수 없다는 전제 아래 훅을 주목하고 이것을 통하여 케이팝의 중심과 주변, 음악 내⋅외부 등을 모두 아우를 것을 강조하였다. 2절은 케이팝 생산의 핵심부인 엔터테인먼트사와 케이팝의 전사(前史)인 1990년대 댄스음악을 고찰하였다. 3절에서는 미디어 컨버전스 문화와 훅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Ⅲ장은 훅의 개념 및 구조와 관련한 본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훅은 주로 ‘반복되는 후렴구’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음악을 넘어서 음악 외적인 부분까지 그 적용을 확대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 훅의 개념은 ‘우리가 어떤 하나의 곡을 듣는 순간부터 그 곡에 대해 기억하는 여러 부분들’로 재해석된다. 이후 논의에서는 훅의 체계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지 그 방법론을 서술하였다. Ⅳ장에서는 모드적 기법이 훅으로 작용하는 방식을 중심주제로 상정하고 그 대표적인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2절 ‘모드와 화성적 훅’에서는 대중음악의 화성적 기법을 모달 하모니의 관점으로 분석했으며 3절 ‘모드 훅’에서는 음악뿐 아니라 가사 등의 요소가 훅을 통해 모드와 어떻게 관련을 맺고 의미를 구성하는가를 다루었다. Ⅴ장은 케이팝에서 나타나는 퍼포먼스와 훅의 다양한 층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절과 2절의 논의를 통해 특히 케이팝의 보컬, 그리고 댄스와 관련한 퍼포먼스를 고찰하였다. 3절 ‘케이팝과 훅송’에서는 훅의 다양한 층위와 관련하여 ‘부정적 훅’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훅송의 형식을 분석하고 양식으로서 훅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후 논의에서 몇 가지 사례를 통해 훅송의 재해석을 시도했다. 이상 논의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케이팝이 사람들에게 강한 전달력을 지니는 주요인은 ‘훅’으로 설명할 수 있다. 훅은 대중음악의 여러 기법에서 비롯되는 각각의 요소들과 여러 맥락의 퍼포먼스적 요소로 인식된다. 음반시장에서 음원시장으로 매체의 주도권이 변화하는 최근의 상황 하에 훅은 다양한 층위에서 대중음악의 형식과 내용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케이팝과 한류현상을 분석하는 생산적 담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훅의 개념을 재해석하고 문화론적으로 확장했다. 대중적 호소력을 만드는 핵심적 장치로서 훅을 다양한 층위에서 재해석하는 본 연구는 음악적 호소력 일반에 대한 미학적 담론에도 일정부분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