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위험산모와 일반산모의 산후 6주간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 연구 : 일개 한방병원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산모를 중심으로

        정종관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80

        목적 : 산후 6주 동안의 증상을 고위험군과 일반군을 구분하여 관찰하고, 치료 시 적용된 KCD 코드 분석, 삶의 질, 산후우울을 측정하여 산모의 증상 변화를 객관화 하고, 삶의 질 및 우울 변화를 전향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7년 9월 27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출산 후 우석대학교부속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전공의인 두 연구자 (KPH, KMY)가 연구등록당일(산후 1주차)부터 6주차까지 매주 1회 문진을 통하여 주요 산후 증상 VNRS를 기록하고, 초기 산욕기 2주간 외래를 방문하여 한의치료를 받을 때마다 적용된 KCD코드를 수집하였다. 또한 산후 1주차, 산후 2주차, 산후 6주차에 각각 부종지수, 삶의 질, 산후우울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저자는 2017년 9월 27일부터 2018년 1월 5일까지 분만 후 우석대학교한방병원 한방 부인과 외래에서 한의치료를 받은 27명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산후 6주간의 증상에 대한 전향적 관찰연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27명의 산모 중 고위험 산모가 17명(63.0 %), 일반 산모가 10명(37.0 %)이었다. 고위험군의 평균 연령은 35.12±3.66세였으며, 일반군의 평균 연령은 30.30±2.45세였다. 산후 2주일간 외래진료를 받은 27명의 환자의 총 치료횟수는 184회이며, 1인당 평균 6.81±1.88회의 치료를 받았다. 고위험 환자들의 치료횟수는 6.76±2.11회, 일반 환자들의 치료횟수는 6.90±1.52회로 나타났다. 두 군 간의 치료횟수는 통계적으로 차이나지 않았다(p=0.899). 2. 1주차에 평균 VNRS가 가장 높은 것은 부종이었으며, 2~6주차에는 관절통이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위험군의 요통의 회복이 일반군에 비해 더디다. 3. 2주간 외래진료에서 사용된 상병코드는 35가지로 총 343회 사용되었으며, 다빈도 상위 10개 상병코드 중 가장 많이 사용 된 코드는 총 47회로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이었고, 나머지 9개의 코드 중 R601(전신부종), U684(비양허증)을 제외하여 7개의 코드가 모두 M코드(근골격계통)였다. 고위험군에서는 R601(전신부종-28회)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일반군에서는 M2557(관절통, 발목 및 발-29회)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4. ECW/TBW는 전체 대상자들에서 산후 1주차 평균 0.399±0.011에서 산후 2주차 0.385±0.0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01), 산후 2주차 0.385±0.008에서 산후 6주차 0.383±0.00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85). 산후 1주차와 2주차 사이 고위험군(0.403±0.011→0.387±0.006)과 일반군(0.393±0.070→0.383±0.01)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고(p<0.05), 산후 1주차 고위험군은 평균 0.403±0.011으로 부종 상태였고 일반군은 산후 1주차 평균 0.393±0.070으로 부종 전 단계였다. 5. EQ-VAS는 고위험군에서 산후 1주차 64.12±13.941에서 산후 2주차 69.35±18.15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34). 일반군은 산후 1주차 62.50±21.763에서 산후 2주차 74.00±9.66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6. EPDS는 전체대상자들에서 모두 시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9점 이상인 환자는 1주차에 고위험군에서 6명(35.29%), 일반군에서 1명(10%)이며 2주차에는 고위험군에서 8명(47.06%), 일반군에서 1명(10%)이고 6주차에는 고위험군에서 5명(29.41%), 일반군에서 2명(22.22%)이었다. 결론 : 1주차에 평균 VNRS가 가장 높은 것은 부종이었으며, 2~6주차에는 관절통이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위험군의 요통의 회복이 일반군에 비해 더디다. 근골격계 코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고위험군에서는 R601, 일반군에서는 M2557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산욕기 초기 고위험군의 부종지수가 일반군에 비해 높다. 또한, EQ-VAS는 일반군이 산후 2주간 유의하게 증가함에 비해, 고위험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EPDS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위험군이 일반군에 비해 산욕기 초기 2주간 2점 이상 큰 수치를 보였고 9점 이상인 비율도 산욕기 2주간 2배이상 높았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women's postpartum symptoms, KCD codes that were used when participants were treated,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nd depression scale EPDS over the first six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 postpartum women that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cology, at Korean Medicine Hospital of Woosuk University, from September 27th, 2017 to January 5th, 2018. The collection method of the postpartum numerical rating scale was to interview each participant once a week, who treated by Korean medicine by two residents (KPH, KMY) at Woosuk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from the research registration day(first week) to 6th week after childbirth. During the first 2 weeks, the residents investigated the KCD codes when the participants were treated by Korean medicine. Also the residents evaluated edema index ECW/TBW, the quality of life (by EQ-VAS) and depression scale EPDS at 1st, 2nd and 6th week after childbirth, and compared the averages. Results: 1. There were 17 high risk participants(63.0 %) and 10 normal participants(37.0 %). The average of high risk group was 35.12±3.66 and the average of normal group was 30.30±2.45. Over the first two weeks of postpartum period, the number of 27 patients` treatment was 184 and mean value was 6.81±1.88. The mean value of high risk group`s treatment was 6.76±2.11, and the mean value of normal group`s treatment was 6.90±1.52.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899). 2. The VNRS of edema i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and the VNRS of joint pain is the highest from the second week to the sixth week in all patients. The lower back pain score of high risk group restored slower than normal group. 3. 35 kinds of code were used and the total number of used KCD code was 343 times. The most used KCD code in the first 2 weeks was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47 times). Of the remaining 9 codes, all seven codes were M codes (musculoskeletal system) except for R601( Generalized oedema-40times), U684(Pattern of spleen yang deficiency-18times). R601(Generalized oedema-28times) was most used in high risk group and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29times) was most used in normal group. 4. During the first 2 weeks of postpartum period, the ECW/TBW of all participant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399±0.011 to 0.385±0.008(p<0.001). From the 2nd week to the 6th week, the ECW/TBW decreased from 0.385±0.008 to 0.383±0.006,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585). The ECW/TBW of high risk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403±0.011 to 0.387±0.006(p<0.05) in the first 2 weeks. The ECW/TBW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0.393±0.070 to 0.383±0.011(p<0.05) in the first 2 weeks. The mean of high risk group in the first week of the postpartum period was 0.403±0.011 and they were edema. The mean of normal group was 0.393±0.070 and they were pre-edema.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high risk group and normal group in the first week(p<0.05). 5. The EQ-VAS of high risk group increased from 64.12±13.941 to 69.35±18.155(p<0.05) in the first 2 week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234). The EQ-VAS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62.50±21.763 to 74.00±9.661(p<0.05) in the first 2 weeks. 6. The difference of EP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first week and the sixth week in every participants. In the first week, there were 6 people(35.29%) in high risk group and 1 person(10%) in normal group that got more than 9 points. In the second week, there were 8 people(47.06%) in high risk group and 1 person(10%) in normal group. In the sixth week, there were 5 people(29.41%) in high risk group and 2 people(22.22%) in normal group. Conclusion: The VNRS of edema is the highest in the first week, and the VNRS of joint pain is the highest from the second week to the sixth week. The lower back pain score of high risk group restored slower than normal group. The musculoskeletal system and connective tissue code was most used in all participants, R601(Generalized oedema-28times) was most used in high risk group and M2557(Pain in joint, ankle and foot-29times) was most used in normal group. The edema index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igh risk group and normal group in the first week(p<0.05). The EQ-VAS of norm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p<0.05) in the first 2 weeks but high risk group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The difference of EPD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first week and the sixth week in every participants. But high risk group was 2 points higher than normal group in the first 2 weeks. The ratio of 9 points or more of high risk group was more than twice than normal group in the first 2 weeks in the postpartum period.

      • 효율적 질병분류를 위한 지식기반 모델

        김미정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15979

        이 연구는 효율적 질병분류를 위한 지식 모델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순환기 계통의 다빈도 질병을 대상으로 질병명의 상세한 수준에 따라 KCD-7 코드가 부여되는 질병분류모델과 부여된 코드들의 오류를 검토하는 질병분류 규칙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식모델의 활용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지식기반 시스템을 구현하고 모델의 커버리지를 평가하였다. 질병분류 지식과 질병명의 구조 분석 결과 KCD-7 코드는 해당 질병명이 가진 고유한 속성에 따라 달라지거나 질병명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 달라졌다. 질병명의 속성에 따른 코드변화는 질병명을 최소 단위의 기본개념과 속성, 속성값으로 구조화하여 질병분류코드를 할당하는 BAVC(Base concept, Attribute, Value and Code) 모델을 통해 공식화하였다. 질병명 이외의 요인에 의한 코드변화는 IF-THEN 규칙으로 정의하였다. 개발된 BAVC 모델은 총 27개이며, 기본개념 27개, 속성 14개, 유효한 속성값 138개 그리고 KCD-7 코드 186개가 사용되었다. 모델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에는 SNOMED CT 코드를 매핑하여 요소마다 의미를 부여하였다. BAVC 모델에 따라 최종 290개의 인스턴스를 작성하였다. 질병명 이외의 코드변경 요인에는 동반코드 유무, 산과환자 여부 등이 해당되어 규칙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지식 모델을 시스템으로 구현한 결과 질병명별 선택적 속성 제시에 따라 상세한 수준의 진단명 입력이 유도되었으며, 이로 인해 질병분류의 정확성과 일관성이 보장되었다. 모델의 타당성 검증에 사용된 임상현장의 진단명은 지식 모델에 의해 88.9% 커버되었고, 커버되지 않은 나머지 11.1%의 진단명은 시스템 독립적인 지식관리 도구에서 해당 모델에 속성을 추가하는 간단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 용어를 100% 수용할 수 있었다. BAVC 모델에 의해 저장된 KCD-7 코드들은 사전에 정의한 IF-THEN 규칙에 의해 자동 검토되어 오류가 있을 경우 자동 재분류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사용자 진단명의 코드화나 질병분류코드의 누락 방지에 의미를 두었다면, 본 연구는 후조합 개념에 의한 질병분류모델과 규칙을 제시함으로써 질병분류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함은 물론 속성 단위의 의미적 검색과 지식의 재활용 등 정보의 활용성을 강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nowledgebased model for efficient classification of diseases. The disease classification model, which the KCD-7 code is given according to the detailed level of name of disease and the disease classification rules, which review the errors in the code given, were developed with the circulatory diseases having high morbidity rate. To test the applicability and the validity, the knowledge-based system was constructed and the model coverage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of the disease classification knowledge and the disease name, 27 BAVC (Base concept, Attribute, Value and Code) models, which are the knowledge-based model of this study and the rule were developed. BAVC model was summarized in 27 basic concepts, 14 attributes, 138 valid attribute values and 186 KCD-7 codes. Meaning was given to all the terms used by mapping with SNOMED CT code. According to BAVC model, 290 instances were developed finally. In the results of constructing the knowledge-based model as a system, the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disease classification code were secured by inducing the input of the diagnosis according to the suggestion of the attribute by step for the disease name. The diagnosis in the clinical site used in the test were covered 88.9% by the knowledge-based model and the whole coverage could be improved to 100% in a simply manner that for the rest 11.1% of the diagnosis, the attributes are added to the relevant model in the independent knowledge management tool of the system. The KCD-7 codes stored were reviewed by the rules and classified again automatically. While the existing researches focused mainly to assign the interface terminology to code of standard terminology or to prevent the omission of disease classification code, this study has a meaning that it ensures the consistency and accuracy of the KCD-7 code by the independent knowledge -based model by suggesting the disease classification model and rule by the concept of post-coordination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information was enhanced by allowing the semantic search of attribute un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