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용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불안, 분노, 우울 및 용서에 미치는 효과

        이재숙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2

        본 연구는 용서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용서, 불안, 분노,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용서 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둘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분노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셋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넷째, 용서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가? 이다.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위치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정신장애인 중 용서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대상자, 총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집단 배치는 무선으로 8명이 실험집단, 10명이 통제집단으로 배치되었다. 2022년 06월 13일부터 2022년 07월 4일까지 주 2회씩, 총 7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1회기당 시간은 총 120분이며 중간에 쉬는 시간을 5분을 두었다. 실험집단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오영희(2008)가 개발한 한국인 용서척도(KFS), 상태 분노검사, 상태-특성 불안검사, 전겸구와 이민규(1992)가 번안한 Radoloff(1977)의 우울검사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용서 정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불안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분노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용서프로그램은 정신장애인의 우울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용서 프로그램이 스트레스와 대인관계에 취약한 정신장애인의 용서 정도가 증진되고, 분노와 우울이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이 용서과정을 통해 상처, 갈등을 건설적으로 다룰 수 있게 도와주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상처를 수용하고 극복함으로써, 심리적 재활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forgiveness program affects forgiveness,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of the mentally disable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specific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First,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degree of forgiveness of mentally ill patients significant? Second,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anger of mentally ill people significant? Third,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anxiety of mentally ill people significant? Fourth, is the effect of the forgiveness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mentally ill patients significant?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18 subjec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forgiveness program among the mentally disabled registered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In the group deployment, 8 people were deployed wirelessly as experimental groups and 10 as control groups. From June 13, 2022, to July 4, 2022, h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wice a week for seven sessions, with a total of 120 minutes per session and five minutes of rest in the middle. During the progra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Korean forgiveness scale (KFS) developed by Oh Young-hee (2008), the status anger test, the status-characteristic anxiety test, and the depression test of Radoloff (1977), adapted by Jeon Gyeom-gu and Lee Min-kyu (1992), were used as tools.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d corresponding sample t-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forgiveness program effectively improved the degree of forgiveness of the mentally disabl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orgiveness program did not reduce anxiety in the mentally disabled. Third, the forgiveness program effectively reduced the anger of the mentally disabled. Fourth, the forgiveness program effectively reduced depression in the mentally disabled.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orgiveness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degree of forgivenes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reducing anger and depress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 in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by helping the mentally disabled deal with wounds and conflicts constructively through the forgiveness process and accepting and overcoming wounds in a desirable direction.

      • 분노수용 프로그램이 분노반추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박미선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 of anger acceptance program of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ACT) model approach for adults. Participates were 24 university students and adults. The treatment group(n=12) was treated with anger acceptance program as an experiment group while the attention-placebo control group(n=12) as a comparison group had group activity and group discussion. The anger acceptance program comprised 8 sessions 120-minute per session twice a week.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STAXI-K), Korean Version of the Anger Rumination Scale(K-ARS), Heartland Forgiveness Scale(HF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MLQ) for all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This study used paired t-test and ANCOVA in order to compare pre-and post- treatment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nger expression in the anger acceptance program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other. Second, the using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coping strategies in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ird, the level of forgiven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eaning in lif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 group but no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revealed that the anger acceptance program was effective in declining anger level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범죄피해자의 용서에 관한 형사정책적 고찰

        장석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605

        용서 개념은 오래 전부터 여러 문헌에서 자주 표현되고 논의되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용서의 기능과 역할이 언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최근에야 사회과학의 연구가 시작되면서 이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용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은 용서개념에 대한 정의(definition)와 연구, 용서의 법철학적 이해, 용서의 모델, 용서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분석, 정치적 범죄에 대한 용서, 용서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등으로 본격화되고 있다.지금까지 이루어진 용서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연구들은 용서가 범죄로 말미암아 입은 부당한 상처를 치료하여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며, 바람직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이루어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개념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내적 성장과 정서적 건강 및 대인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인간적 능력으로 인정되는 용서가 교육적·치료적 적용을 통하여 증진될 수 있는 형사 피해자학적 목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사람들의 용서 형태에 차이가 있고 이러한 차이에 따라 용서하는 방식이 달라지며 이러한 용서 형태가 발달해 나간다는 주장과 이에 대한 경험적 지지는 사람들이 진정한 용서를 통해 상처를 치료하고, 내적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용서 형태를 점검하고 성숙한 용서 방법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용서교육을 받기 전에는 사람들이 범죄 피해로 말미암은 문제해결을 위해 용서를 가능한 해결전략으로 고려조차 못하는 점과 상처를 경험한 사람이 용서를 하겠다고 말하거나 용서하기로 결심한다고 해서 용서가 저절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범죄피해자 지원 차원에서 용서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진다.용서 프로그램은 일회적·단기적 대처와는 달리 보다 근본적인 범죄피해자 원조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범죄피해자들에게 용서의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용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적용될 필요가 있다. 정의로운 판단과 더불어 돌보고 베풀어 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용서는 정의로운 판단에 기초하되 범죄의 상처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용서가 개인 내적인 변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지만 그러나 그러한 변화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외부 환경요건의 영향을 결코 무시할 수가 없다. 용서과정을 촉진시키는 개인 외적 환경요인을 강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의 현행 형사사법제도는 용서를 위한 실제적인 공간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본질상 우리의 형사소송절차는 가해자들이 자신들의 범죄를 어떻게든 부인하게끔 만들고 있으며 피해자와 가해자를 분리시켜 적대적인 관계를 지속시킬 뿐만 아니라 발생한 범죄사건에 대한 공통된 이해와 건설적인 해결책 모색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신체범 피해자나 유족이 가해자로부터 손해배상금 또는 합의금을 수령한 후에는 공포감 또는 가해자를 중벌에 처해야 한다는 보복감정이 완화되고, 용서하는 마음을 갖게 된다고 한다. 심지어 합의 또는 손해배상에 관하여 가해자와 대화하는 것만으로도 용서의 감정이 싹튼다고 한다. 재산범의 경우에도 피해금품의 반환이 피해자의 보복감정과 증오심을 완화하고 용서의 감정을 갖게 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배상과 화해는 피해자의 경제적 손실을 회복하는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그가 입은 심리적 외상의 회복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용서과정을 촉진시키는 개인 외적 환경요인으로써 법제도적 차원에서 피해자에 대한 배상과 화해를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는 회복적 사법(restorative justice)의 형사사법체계로의 적극적인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