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인 소외로 인한 억압으로부터의 상호해방 : 헤겔 '화해' 개념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하여

        정진우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937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oday’s anti-religious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Divine-Human Relation explained in Hegel’s philosophy and to lay a new foundation for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y in philosophy of religion to realize the authentic religious idea, The two greatest contradictions appearing in the religion of our Times are the tendency of idolatry in which religious representations or religious symbols take the place of God and the tendency of religious blindness through which religion, originally intended for human liberation, becomes a tool to enslave human being. After the declaration of Kant’s philosophy which announces the intellectual severance of God and human being,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Enlightenment is split or differentiated into two opposite poles. The first is the secular (atheistic) trend which no longer seeks intellectual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 and vows to relate only to the physical realm which it can intellectually engage with. The second is the religious (theistic) trend which seeks alternative forms of faith to continue the divine-human relation. This religious trend is also divided into ‘subjective Religion’ which seeks the union with God in subjective emotion, not objective intellect and ‘positive Religion’ which mistakenly serves religious symbols or representations as God. However, subjective religion which anthropomorphizes God falls into idolatry in which human emotion arbitrarily distorts God (the distortion of God by human) and positive religion where human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creates blind faith that enslaves human freedom (the enslavement of man by God). These two ways of unification do not create a tension relation where freedom and truth are intersubjective. They rather produce a relation of unilateral domination or submission in which man dominates God arbitrarily (the negation of God by human) and God oppresses man forcefully (the negation of human by God). The anti-religious phenomena which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is problematizing and fighting fiercely to eliminate all kinds of distortion and oppression and to recover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re the idolatry derived from subjective religion and the blind faith derived from positive religion. If it is true to affirm that going beyond blind faith toward reflective faith though doubt and inquiry is what the life of human Jesus tried to demonstrate as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nd if it is the mission of philosophy of religion to recover this life of Jesus here and now through our living, then the most genuine task of philosophy of religion is to critically reflect on ‘idolatry’ and ‘blind faith’, the two sources of every religious absurdity. In this sense, the Title of this study is ‘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 Here, ‘Divine-Human Alienation’ means the relation through which religious idolatry produced by human’s self-absolutization distorts the authenticity of God and blind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enslaves human freedom. ‘Oppression’ means the very religious reality triggered by the contradiction found in the religious relation described above. The subject matter corresponds to the concluding declaration of this study which maintains that freedom which makes God true and truth which makes human free are the two genuine ideas of Christianity. This can be also considered as a new principle of reconciliation for mutual liberation of God and human being. To explain and justify the ground of this declaration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t is also the philosophical process this study has to faithfully demonstrate. Among all the thought projects in philosophy of religion beneficial to this aim, our study has chosen the philosophy of Hegel, especially his approach taken in ‘the theory of Divine-Human Reconciliation’ as our key. If theology is human’s questioning about God and the questioning comes from the urgent demands of human life, the essence of theology must be the perception of God and the essence of perceiving God must be the perception of Divine-Human Relation. Another reason why Divine-Human relation is the core matter in philosophy of religion is that it is absolutely crucial in determining how an idea of religion and a form of faith mutually shape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separ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wholly Other completely unapproachable to human being. Since human being cannot be unified with such a transcendent being, human being will consider the blind enslavement to God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On the contrary,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absolute reconcili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agent of love who tries to communicate with humans unceasingly and humans will consider being born again to be the free divine agents in the reconciliation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Therefore, Divine-Human Relation is not only crucial in determining a form of faith but it is also the ultimate standard by which a form of religion is judged. The reason why this study revisits Hegel’s thought to criticize today’s religion and engage in faith reflection is tha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Hegel struggled with share the homeogenous source with our problems. Hegel thought the philosophical demand of his age had its root first in the vulgar secularity, produced by the severance in Divine-Human Relation and secondly in the painful differentiation within life, caused by oppositions and contradictions from empty religiosity. Hegel considered the ultimate task of his philosophy to be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of science through which every human being can be intellectually reconciled with God. This study will utilize Hegel’s philosophy which has its own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as our philosophical mirror to critically reflect on our times’ anti-religious culture. It will definitely guide our pursuit to find a new alternative way of thought to overcome both the religious culture based on agnosticism toward the possibility of perceiving God and various forms of dogmatism found in religious fundamentalism which are also reactions to the agnosticism. This study additionally aims to rediscover the radical nature of Hegel’s thought and its insightful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by reinterpreting and restructuring his philosophy through using ‘Divine-Human Relation’ as our major hermeneutic tool.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 철학에 나타난 ‘신-인 관계론’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현실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로부터 진정한 종교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종교철학의 이론적-실천적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해 보는 것이다. 오늘날 현실종교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모순이라면 인간의 자유를 위한 종교가 도리어 인간억압의 도구로 전락해 버린 ‘맹목종교’의 경향과 인간의 욕망이 빚은 갖가지 종교적 망상들이 신의 자리를 대신해 버린 ‘우상숭배’의 경향을 들 수 있다. 이 두 가지 종교문화는 계몽주의의 정상에서 일어난 신-인 소외의 문화가 빚어낸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이다. 신과 인간의 지성적 단절을 선언한 칸트의 비판철학 이후, 계몽주의의 종교문화는 인간이 신을 지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면, 더는 신과의 지성적 화해를 염원하지 않고 다만 지성이 관여할 수 있는 물질세계와만 관계하겠다는 세속적인 문화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과의 관계를 이어갈 대안적인 믿음의 형태를 모색하는 반지성적인 종교문화로 분열된다. 나아가 이러한 종교적인 문화는 또 다시 우리에게 객관적으로 주어진 종교적 표상들을 신 자체로 숭배하는 ‘실정종교(Positive Religion)’와 주관적인 심정 안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주관종교(Subjektive Religion)’로 분열된다. 하지만 인간이 신의 표상들에 복종하는 ‘실정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맹목신앙’을 낳게 마련이며(신에 의한 인간의 억압), 신을 인간의 내면으로 동화하는 ‘주관종교’는 신을 인간의 자의에 따라 왜곡하는 ‘우상숭배’를 낳게 마련이다(인간에 의한 신의 왜곡). 이 두 가지 화해의 방식은 신과 인간 혹은 진리와 자유의 역설적인 공존 혹은 상호주관적인 긴장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신을 왜곡하거나(인간에 의한 신의 부정), 인간을 억압하는(신에 의한 인간의 부정) 일방적인 지배와 예속의 방식에 그칠 따름이다. 오늘날 종교철학이 현실 그리스도교계에 안겨진 온갖 왜곡과 억압이라는 타락상에 맞서 진정한 그리스도교의 이념을 성찰하고 또 그 이념을 복원하고자 문제 삼는 현실의 수많은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은 바로 이러한 주관종교의 ‘우상숭배’와 실정종교의 ‘맹목신앙’이라는 두 줄기에서 자라난 썩은 가지들이다. 맹목적인 신앙을 넘어, 의심과 물음을 거쳐, 성찰적인 신앙으로 거듭나는 것이 그리스도교의 참 신앙이라는 것을 가르치고자 세상의 박해를 무릅썼던 것이 인간 예수의 삶이자 그가 보여준 그리스도교의 참된 이념이라면, 그리고 그러한 예수의 삶을 ‘지금’ 그리고 ‘여기’라는 현재의 실존적 터전에서 늘 새롭게 복원하고자 하는 것이 그리스도교 종교철학의 학문적 사명이라면, 그 모든 종교적 부조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맹목신앙’과 ‘우상숭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야말로 종교철학의 가장 본원적인 사유작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논문의 주제는 ‘신-인 소외로 인한 억압으로부터의 상호해방(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이다. 여기서 ‘신-인 소외’란 신-인의 지성적 단절 이후의 종교문화, 즉 인간의 자기 절대화가 낳은 종교적 우상이 신의 본래성을 왜곡하고, 종교적 표상에 대한 맹목적 복종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적 관계의 모순을 의미하며, ‘억압’이란 바로 그러한 종교적 관계의 모순이 유발하는 종교적 이념과 종교적 현실의 모순을 의미한다. 이는 신을 진리하게 하는 자유와 인간을 자유하게 하는 진리야말로 그리스도교의 진정한 이념이라는 이 논문의 결론적 선언에 따른 것으로, 그것이 곧 신과 인간의 ‘상호해방’을 위한 새로운 화해의 원리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선언의 근거를 해명해 나가는 것이 이 논문의 철학적 과정이자 그 궁극적 목적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종교철학적 사유기획을 이끌 다양한 사상적 틀 가운데 헤겔의 철학, 그 중에서도 그의 사상 전체를 태동시키고 또 끊임없이 역동케 했던 화두로서의 ‘신-인 관계론’을 그 접근과 해결의 열쇠로 삼고자 한다. 신학이 곧 신에 관한 인간의 물음이라면, 그리고 그 물음의 원천이 인간 삶의 절박한 요청에서 비롯한 것이라면, 신학의 본질은 곧 신에 대한 인식이요, 신에 대한 인식의 본질은 곧 ‘신-인 관계’에 대한 인식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신-인 관계에 관한 탐구가 종교철학에서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곧 종교의 이념과 신앙의 형태를 구분하는 결정적인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분리로 본다면, 신은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미지의 초월자가 될 것이고, 인간은 그러한 초월자와 하나 될 수 없음에 그의 맹목적인 노예가 되는 것을 최고의 신앙으로 여길 것이며, 반대로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화해로 본다면, 신은 인간과 끊임없이 소통하는 사랑의 주체가 될 것이며, 인간은 신과의 영원한 화해 속에서 자유로운 신적 주체로 거듭나는 것을 최고의 신앙이자 신앙의 궁극목적으로 여길 것이다. 따라서 신-인 관계는 신앙의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사안일 뿐만 아니라 종교의 형태를 결정하는 최종적인 준거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논문이 우리 시대의 종교비판과 신앙성찰을 위해 ‘헤겔(G. W. F. Hegel)’이라는 근대의 사상가를 이 시대의 절망 속에 새롭게 소환한 이유는 현재 우리가 가진 문제의식과 당시 그가 가졌던 문제의식이 이백 년이 넘는 긴 시간의 간격에도 불구하고 동질적인 근원을 갖는다는 데 있다. 그는 그 시대의 철학적 요청과 철학적 욕구의 근원을 신과 인간의 지성적 분리로 인한 저속한 세속성과 공허한 종교성의 대립과 모순 그리고 거기에서 싹튼 삶의 분열과 고통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는 충만한 내용을 갖춘 학문적 형식을 통해 누구나 신과 지성적으로 화해할 수 있는 공교적인 체계구축을 자기 철학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이 논문은 그러한 종교문화의 배경에서 등장하고 자라난 그의 철학적 진리내용을 오늘날 우리시대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사유의 척도로 삼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신 인식불가론의 종교문화나 거기서 비롯하는 모든 독단적인 종교형태를 극복하는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것이다. 동시에 이 논문은 그의 전체 철학체계를 ‘신-인 관계’라는 틀로 재구성하고 재해석함으로써 그의 사상에 깃든 갖가지 오해들로부터 그를 변론하고, 그 안에서 이제껏 숨겨져 왔던 그의 급진적인 사상의 진면목을 들춤으로써, 그의 사상이 오늘날 우리의 종교철학적 사유에 주는 신선한 통찰들을 다각적으로 발굴해 보고자 한다.

      • 포이에르바하의 종교비판 연구

        문신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889

        독일 고전 철학의 정점인 헤겔 철학에 대한 반동으로 새로운 미래 철학을 향한 포이에르바하의 ‘인간학적 유물론’은 철학과 신학에 있어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맞이하게 하였다. 그는 시대적 요청에 잘 부합하여 그의 이름이 암시하는 바대로 루게(Arnold Ruge), 바우어(the Bauers), 맑스(Karl Marx), 바그너(Richard Wagner), 엥겔스(Friedrich Engels)를 포함한 많은 사상가들이 그의 열정에 사로잡혀 얼마간은 그들 모두가 포이에르바하주의자가 되게 하였다. 이런 시점에 포이에르바하는 그가 최고의 종교로 생각한 기독교를 대상으로 종교비판을 수행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그의 종교 비판은 현대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 우리에게도 <기독교의 본질>에서 잠시 언급하였듯이 더욱 깊게 그 가치가 드러난다.포이에르바하가 그의 저서 <기독교의 본질>을 통해 말하고자 하였던 바는 한마디로 요약하면 ‘신학은 인간학이다’임을 폭로하기 위함이다. 그는 헤겔 철학이 말하고 있는 ‘신 개념’에 대한 도전으로 ‘절대정신’은 다름 아닌 인간 본성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정직하게 고백할 것을 요구하면서, 헤겔 철학의 변형으로 ‘신 개념’에 새롭게 인간의 ‘감성’을 투사하고 ‘존재’의 우위를 주장한다. 즉, 데카르트의 말대로 생각하는 것이 먼저가 아닌 존재하는 것이 먼저라는 것이다. 그 이면에는 인간의 이성보다는 인간의 육체의 발생적 우선권을 주장함으로써 신과 인간의 주어와 술어의 관계를 뒤바꾸어 궁극적으로 신학을 인간학으로 해소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이러한 관점에서 ‘포이에르바하의 종교비판 연구’는 현대 기독교 비판으로 이어진다. 포이에르바하가 지적한 대로 기독교 안에 존재하는 무수히 많은 신관은 인간본성의 투사에 지나지 않은 ‘신 개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신 개념’으로부터 이제는 벗어나야 하며 해방되고 자유해야할 중요한 시점에 놓여있다. 이는 그동안 자행되어져 온 교권주의의 폭력 앞에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앞에서,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앞에서, 신이 아닌 모든 우상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킨다. 그의 인간학적 본질로서의 신 개념 분석은 그리스도라는 이름으로 자기숭배의 오류에 빠져 있었던 기독교 신앙을 정직하게 돌아보고 반성하게 하며 따라서 신앙의 진정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물꼬를 트여주는 역할을 한다.사실상 현대 기독교는 보이는 것만으로는 많은 번영과 성공을 이루었을지 모르지만 보이지 않는 측면에 있어서는 내면적 갈등과 심각한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포이에르바하와 같은 맥락에서, 기독교는 ‘예수’보다는 ‘그리스도’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의 신앙과 구원만을 강조한 나머지 인간이 신격화되어 자기 숭배의 오류에 빠져온 경향이 적지 않다. 더 이상의 우상은 우리를 기독교인이게 할 수 없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신앙을 ‘인간학적 해석’의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분석해보고 스스로 깨달아야 할 시점에 왔으며, 잘못된 신앙관으로부터 탈피해 이에 상응하여 ‘그리스도’보다는 ‘예수’에게로 돌아가 기독교인으로서 참된 신앙을 회복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시점에 포이에르바하의 종교비판 연구는 꼭 행해져야만 하며 시대적 책임을 가진다. 나아가 종교학적 본질로서의 종교비판과, 신학적 본질로서의 종교비판에 관한 그의 해석의 진위여부를 밝혀내고 신학에 기여하는 바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작업이 촉구된다. The ''Anthropological Materialism'' of Feuerbach which turns toward the new philosophy of the future, actually it is a reaction against the philosophy of Hegel which is a summit of German classical philosophy, has confronted philosophy and theology with a Copernican revolution. Speaking to the requests of his times, as the meaning of his name indicates, he made most of thinkers such as Arnold Ruge, the Bauers, Karl Marx, Rechard Wagner, Friedrich Engels falling in love with his passion and be Feuerbachians. At that point in time, he could not but practice the criticism of religion through christianity which he considered as the highest value in religion. Furthermore, his criticism of religions is revealed to be far more valuable for us getting along these days as like he mentioned above in the essence of christianity.What Feuerbach would like to say through his work, the essence of christianity, with summarizing in only one phrase, is to disclose ''theology is anthropology''. He insist that ''the concept of divine'' as the invert of the philosophy of Hegel must be projected by human''s ''sensibility'' renewedly and in correspond to that, ''being'' must lie in the predominant position by claiming that we must confess honestly ''the Spirit of perfect'' is nothing more than the human nature, and actually it is just challenge to the ''concept of divine'' which is stated in the philosophy of Hegel. In other words, in contrast to the primacy of ''thought'' in Descartes, Feuerbach gives priority to ''being'' as such. This implies his intention of ultimately annulling theology as anthropology through inverting the relation between subject and predicate of divine and human by asserting the spontaneous priority of human flesh rather than human reason.In terms of this ''a study on the criticism of religion in Feuerbach'' leads to the criticism of modern Christianity. As Feuerbach indicates, the variety of thought about divine in Christianity is nothing more than ''the concept of divine'' which is nothing but the projection of human nature. We have come to a significant point where we should be liberated from such a ''concept of divine''. This make us release from all of the idol, which is not divine, before the violence in hierarchical doctrinism, before the patriarchal ideology, before the ideology of capitalism. His analysis of the concept of divine as the anthropological nature makes the christian faith reflect itself honestly and therefore leads it to be open-minded about recovering the authenticity of the faith.In fact, modern Christianity has accomplished great flourish and success at the visible point, but on the other side has fallen into serious dilemma and inner conflict at the invisible point. On the same point of view with Feuerbach, Christianity has tended to fall into its own fallacy because of self-worshiping as a result of deifying human being, but more important reason is that Christianity has focused exclusively on ''Christ'' rather than ''Jesus'' emphasizing only personal faith and salvation. We cannot be christian through such idols any more. We are reached to analyze our faith in terms of the anthropological interpretation more logically and to awaken ourselves. Furthermore we have to recover the true faith as Christians returning to ''Jesus'' rather than ''Christ'' and liberated ourselves from a false understanding of faith. In this moment a study on the criticism of religion in Feuerbach must be performed and it has a certain responsibility of this generation. Moreover, it is imperative for us to carry out the work of testing the authenticity of his interpretation about the criticism of religion in terms of both the essence of religion and the essence of theology and to critically accept the contributions of his thought to theology.

      • Engineering Spirituality: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Spirituality of Scholar Engineers

        Lommel, John Mark Kaiser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Azusa Pacific Univ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844

        The findings of thi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study describe how Christian engineering faculty members experience their spirituality (divine-human transformational relationship) and how their discipline and spirituality affect one another. Discoveries resulting from 10 interviews with Christian scholar engineers indicateD they use their discipline to understand God and their spirituality and vice versa. Participants understood their faculty role as working for God and mentoring students beyond the discipline. Spiritual struggles exist when lived experiences do not align with participants’ spiritual understanding.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insight into spirituality and faculty members, specifically the spirituality of engineering faculty members. The outcomes of this study may provide institutional leaders ideas to promote connections between the spirituality of engineering faculty members and their discipline.

      • THE SIGNIFICANCE OF THE DIVINE SPEECHES IN JOB 38-41 IN THE CONTEXT OF LITERARY TRADITION

        안근조 Boston University 2003 해외박사

        RANK : 2687

        욥기 38-41장은 하나님의 공평치 못한 세상 다스리심에 저항하는 욥의 탄식어린 질문에 대한 하나님의 답변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의 직접적인 응답의 장면은 고대설화나 예언문학에서 흔히 나타나지만, 인간의 관찰과 경험을 중시하는 지혜문학에서는 별종이다. 과연 어떠한 문학전승적 배경으로부터 욥기의 신언설이 형성되었는가가 이 논문의 출발점이다. 이제까지 욥기 해석자들은 본문의 문학적 특이성을 지적해 왔지만 정작 문학전승사적 입장에서 이 신언설이 욥기이 바탕이 되는 지혜문학층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는 이상하리만치 소홀히 해왔다. 네가지 사이한 비교문학연구를 통해, 본 논문이 밝히고 있는 것은 욥기의 신언설이 그 문학적 형성에 있어서 고대중동지방의 지혜문학이나 고대 이스라엘의 특정한 문학층에 지배적으로 영향받은 것이 아닌 그 자체의 독특한 문서 라는 사실이다. 물론, 신언설의 저자는 당시의 모든 문학전승들을 총체적으로 섭렵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문학적 자료들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 아니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켜서 자신의 의도에 부합하는 독창적인 하나님 담화를 탄생시켰던 것이다. 본문 자체에 대한 전승사 연구 (TRADITION HISTORY) 와 문학적 읽기 (LITERARY APPROACHES)는 이 신언설이 욥의 도전적 질문에 대한 하나님의 꾸중도, 대재판관의 선고도, 또는 구원 선포도 아닌, 욥의 지혜적 해방 (Sapiential Liberation)을 위한 하나님의 교육적 강화 (Didactic Lessons) 이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욥기 신언설의 저자가 예전문학의 하나님의 구원계시, 예언문학의 논쟁과 심판계시, 시가문학의 야웨 찬양시, 지혜문학의 잠언과 교훈들 등 히브리 문학전승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총동원시킨 가운데, 지혜적 계몽을 위한 하나님의 지혜강의를 작성해 놓았다는 사실이다. 고대 이스라엘의 지혜써클의 배경을 지닌 신언설의 저자는 당시의 전통적인 지혜전승에 대한 반항아였으며, 한 발 더 나아가 자신의 지혜적 배경을 넘어서려 하고 있다. 또한 그는 욥기의 서론과 결론의 산문체 설화와 본론의 운문체 토론의 내용들 전체를 아울러 현재의 정경적 형태를 이루어 놓은 당사자로 보인다. 욥기 신언설의 이 새로운 교육적 읽기 (didactic interpretation)는 욥의 항변과 하나님의 답변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 가운데 지혜문학으로서의 욥기의 문학적 성격과 가장 가까운 해석이라 하겠다. Job 38-41 contain divine speeches from the whirlwind in response to Job's complaints about the injustice of God. Direct divine discourse appears frequently in prophetic literature in the Hebrew Bible. However, it is rare in wisdom literature, to which the book of Job belongs. Whence does the poet of the theophanic speeches draw his material? Commentators have commonly pointed to the innovative form of the text, yet they have seldom discussed how the divine reply is related to the tradition of wisdom literature. Through four comparative studies, this dissertation discovers that neither ancient Near Eastern wisdom literature nor a dominant Israelite literary tradition plays a major role in the composition of God's response. The Joban poet emerges as both an inheritor and an innovator of Israelite literary traditions. A detailed study on the nature, function, and purpose of the divine discourses, however, demonstrates that they are divine pedagogic lessons intended to bring Job to a sapiential enlightenment. This dissertation maintains that the poet of the divine speeches in Job 38-41 composed a sapiential teaching of God, armed as he was with knowledge of a wide variety of literary traditions: cultic oracles of divine salvation, legal judgments, prophetic disputations, hymnic praise, and didactic wisdom. Since nothing lay beyond the interests of the wise, the sapiential poet could freely utilize any such traditions. Moreover, the poet appears to be the final editor of the book, who arranged extant materials (prologue-epilogue and dialogues) under the overarching theme of Job's sapiential liberation. This reorientation to the nature of the text enriches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ine reply and Job's laments.

      • 한국성결교회 신유론의 역사적 고찰 : 신유론의 배경과 전통을 중심으로

        최명훈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685

        이 연구에서 한국성결교회 신유론의 역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I장 서론에서는 한국성결교회 신유론의 연구 범위와 인물과 교단의 신유론을 문헌중심으로 연구하였다. II장에서는 신유론 개념 이해를 위하여 신유론의 정의를 성경을 중심으로 구약과 신약을 조사하였고. 신유론에 관한 종류와 견해도 다루었다. 신유는 성경전 체에 기록되어 있는데 원어적 의미로 볼 때 신유는 육체의 치료 뿐만 아니라 정신적, 영적인 온전한 치유를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II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 신유론의 배경을 연구하기 위해 19세기 신유운동,기독교연합선교회(C&MA)의 심프슨의 신유론과 동양선교회의 나까다와 킬보른의 신유론을 조사하였다. 한국교회의 신유론은 18세기 웨슬레의 전통보다는 19세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신유 운동가들에게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A. B. 심프슨의 신유의 직접적인 체험과 「사중복음」의 저술을 통하여 한국교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IV장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신유론을 정착시키고 발전시킨 김상준, 이명직,김응조등의 인물을 중심으로 각각의 신유론의 특징과 발전과정을 연구하였다. 이들의 신유론은 한국성결교회의 신유론을 정립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 V장에서는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신유론과 기독교 대한 성결교회의 신유론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VI장에서는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의 신유론과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신유론이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을 보이는지를 헌장과 헌법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기독교대한성결교회는 신유론의 전통을 약화시켰다. VII장 결론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신유론과 신유론의 정체성과 전통을 계승해야 할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앞으로 한국성결교회는 정신적이고, 육체적인 신유뿐만 아니라 문화와 환경에 이르는 치유가 필요한 부분까지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임을 논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한국성결교회의 신유론에 대한 역사를 이해하고, 신유론의 정체성과 전통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thesis about historical study of Divine Healing of Korea SungKyul Church. Chapter 1: In introduction, I set a scope of study about Diving Healing of Korea SungKyul Church and researched documents about Divine Healing of prominent thinker and of Jesus Korea SungKyul church Chapter 2: I researched the definition of Divine Healing in the Scripture through the Old and New Testamen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ivine Healing. I also studied different kinds and theories of Divine Healing. Chapter 3: To understand Korea Holiness Church background of the study of Divine Healing, I tried to research the theories of Divine Healing from 19th Century Healing Movement, A. B. Simpsons C&MA (Christian and Missionary Alliance) and J. Nakada, and E. A. Kilbournes OMS(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Korea Holiness Church study of Divine Healing was more deeply influenced by leaders of Healing Movement from America and Europe in 19th century than Wesley succession in 18th century. Especially, Korean Holiness Church was directly impacted by A. B. Simpson experience of Divine Healing and his book The Four Gospel. Chapter 4: I researched peculiarity and development of each Divine Healing theory from Kim Sang-Jun, Lee Myung-Chik, and Kim Eung-Jo who planted and establish Korea Holiness Church study of Divine Healing. These men studies gave a great impact upon establishing theory of Divine Healing in Korea Holiness Church. Chapter 5: I researched the Church Constitution and By-Laws between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Korea Evangelical SungKyul Church. Chapter 6: I researched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Church Constitution and By-Laws between Jesus Korea SungKyul Church and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has weakened the tradition of Divine Healing theory of Korean Holiness Church. Chapter 7: In this conclusion, I tried to define what the theory of Divine Healing of Korea Holiness Church is and suggested the right way to succeed the identity and tradition of Divine Healing theory. I discussed that Korea Holiness Church must expand the meaning of Diving Healing from physical and mental healing to cultural and environmental healing This study of the Diving Healing will help you understand the history of Divine Healing theory of Korea Holiness Church and expand your knowledge on the identity and tradition of Divine Healing.

      • 신적 본질로서의 사랑 : 판넨베르크 신학을 중심으로

        이경훈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685

        본 논문은 신적 본질로서의 사랑을 판넨베르크 신학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랑이 신적 본질로서 가장 확실한 성서적 정당성과 이성적 타당성을 지님을 논증하고, 신적 사랑의 다차원적인 의미와 관련 쟁점들을 파악함으로써, 산재한 신학적 논의들의 일치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의 여섯 가지를 주목한다. 첫째로 신적 본질의 신학적 위치와 개념의 변천사를 추적하여 신적 본질의 통일성의 기능과 세 위격과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한다. 둘째로 신적 본질을 인격성 여부에 따라 세 모델로 분류하는 시도를 할 것이다. 셋째로 신적 본질의 내용을 탐구하는 방식에 있어서 철학적, 이성적이면서도 계시적, 성서적인 양방향적 접근방식으로 통전적 이해를 추구할 것이다. 넷째로 신적 본질로서의 사랑의 의미를 다차원적으로 체계화하여 신적 사랑의 풍요로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다. 다차원적이라 함은 계시적-성서적 차원의 신적 삶의 계시로서의 사랑, 철학적-논리적 차원의 참된 무한으로서의 사랑, 심리적-영성적 차원의 인격의 신비로서의 사랑, 역사적-현상적 차원의 생명의 영으로서의 사랑, 통일적-체계적 차원의 신적 통일성으로서의 사랑을 의미한다. 다섯째로 사랑을 신적 본질로 규정할 때 생기는 세 가지 문제를 포착하여 비판적 대화를 시도할 것이다. 세 가지 쟁점은 사랑의 언어적 한계 문제, 신적 본질의 인격성 여부 문제, 사랑과 자유의 긴장 문제가 될 것이다. 여섯째로 사랑을 신적 본질로 규정하는 한 신학은 철저히 사랑의 신학으로 규정되어야 마땅함을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목회 실천적 기여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ove as a divine essence with a focus on Pannenberg’s the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gue that love possesses the most definite biblical justification and rational validity as a divine essence. It aims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 meanings of divine love and related issues, thereby presenting a cohesive direction for disparate theological discussions. To achieve this, the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six aspects. Firstly, the paper seeks to trace the theological positioning and evolution of the divine essence, aiming to understand the unity function of the divine esse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Trinity. Secondly, an attempt will be made to classify the divine essence into three models based on its personhood. Thirdly, the paper aims to pursu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rough a philosophical, theological and revelational, scriptural bidirectional approach in exploring the content of the divine essence. Fourthly, the paper aims to systematize the meaning of love as the divine essence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seeking to discover the rich significance of divine love. The multidimensional aspect involves the revelational, scriptural dimension of love as the revelation of divine life, the philosophical, logical dimension of love as true infinity, the historical, phenomenological dimension of love as the spirit of life, the psychological, spiritual dimension of love as the mystery of personality, and the unifying, systematic dimension of love as divine unity. Fifthly, the paper will attempt a critical dialogue by identifying three issues arising when defining love as the divine essence. These three points of contention include the problem of linguistic limitations in expressing love, the question of personhood in the divine essence, and the tension between love and freedom. Sixthly, the paper will argue that a theology defining love as the divine essence should be thoroughly characterized as a theology of love. Furthermor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he paper intends to add practical insights for pastoral applicationl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이콘에 표현된 가시적인 빛과 비가시적인 빛에 대한 연구 : 판토크라토르와 축일이콘을 중심으로

        이인숙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650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light in the icon and a theological consideration of the light that is expressed on the icon. The light expressed in the icon is the visible expression of of the divine nature of Christ who was incarnated by the word (logos). The Bible presents the light of God and the light of Christ in the New Testament and the Old Testament. The Church proclaimed officially at the Nicaea in AD325 by the divine testimony that Christ is acknowledged as the divine same nature of God and Christ is in divine position as the light. This means that the divine position of Christ is the transcendental reality under the influence of ontological thinking method of Platonism philosophers who regards the light as the metaphysical symbol of the transcendental reality. The meeting of the Aesthetics of light of the Middle Ages and the Christian theology made the transcendent reality visible in the icon through a figurative image. It express the abstraction of God that could not be expressed visually then and the divine nature of Christ and the incarnation of the Christ visible. The start of the transcendental reality shows the Christ as the light directly. It represent the incarnation of Christ and his divine nature of Christ as the light. It is confirmed that Christ testified in the original text John 8-12 that the light in the Old Testament is the Christ, the light of the New Testament, 〈Annunciation〉,〈Navity〉,〈Baptism of Christ〉,〈Transfigura- tion〉,〈Resurrection,〉 among 12 Feast Icon of Christ biography focused on the liturgy in the Orthodox Church and 〈Pantocrator〉 that was the image of Christ were used to study the light in the icon in this thesis by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expression of light and in the classification of types through which the light is expressed. The visible light of the geometric type is classified since or before the 〈Baptism of Christ〉, the light of in the 〈Annunciation〉, 〈Nativity〉 is a passive light of Old Testament coming from the sky, it visualize Christ who incarnated as a Word. The light expressed in 〈Transfiguration〉 and 〈Resurrection〉 is the active from and the light emitted directly from Christ, It expresses that the divine nature of Christ is visualized by light. This shows that the light is revealed in the Old Testament is completed in the light of the New Testament. As such, the eternity of Christ is symbol- ized and is the mediator of salvation through 〈Pantocrator〉 which is the image of the Incarnation of Christ. 〈Pantocrator〉 is the first icon that expressed the image of Christ. It is a prototype of the theology of light representing the symbol of transcendental existence. of Christ who was incarnated as the light. Therefore, the icon is the reflection on the eternal divine world through light, it is different from ordinary art that reflect the ge- neral ideology of the era. It provide a reason for not accepting the change and evolution of the varying methods of the human world. This is the reason why the Orthodox Church keep its authenticity to draw literally icon model based on various types of icons that are handed down in monastery Icon Manual since the 10th century. The icon in the Orthodox Church is not an artistic creature, but it is reality of God in human form, the body of Christ as a part of Church. It is a tool of prayer and contemplation and the organism of whole Church with the effects and functions like the holy things in the church. The Orthodox Church teach that icon like a role of the immu- table Bible must adhere to the theological meaning that the image has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Church and by the following fai- thfully the traditional norms of icon art of drawing. 본 논문은 이콘에서 표현되고 있는 빛에 관한 연구로서, 이콘에서 상징되는 빛의 신학적 고찰이다. 이콘에서 표현되고 있는 빛은 말씀(logos)으로 육화한 그리스도의 신적 본질에 대한 가시적 표현이다. 성경은 신약과 구약에 하느님의 빛과 그리스도의 빛을 제시한다. 교회는 그것에 대하여 325년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그리스도가 하느님과 동일본질인 신적 본성으로 인정하며, 그리스도가 빛으로 신적 위치에 있음을 신앙인들이 고백하는 신조를 통해, 공식 선포한다. 이는 빛을 초월적 실재의 형이상학적 관점으로 본 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의 존재론적 사고의 영향으로, 그리스도의 신적 위치는 초월적 실재를 의미한다. 중세 시대인 빛의 미학과 그리스도교의 신학의 만남은 이콘을 통해 가시적으로 표현될 수 없었던 신의 추상성을 그리스도의 육화와 그리스도의 신적 본성을 가시화하는 구상 이미지를 통해, 초월적 실재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초월적 실재의 시작은 말씀이 사람이 된 그리스도의 육화와 그의 신적 본질을 빛으로 표현하며, 그리스도가 빛임을 직접 보여준다. 그것은 구약에 계시된 빛이 신약의 그리스도 스스로, 자신이 빛이라고 증언한 요한복음 8장 12절을 원문으로 확인된다. 본 논문에서는 동방 정교회에서 그리스도의 일대기를 전례축일에 맞춘 12축일 이콘 중 〈성모영보〉, 〈성탄〉, 〈세례,〉 〈그리스도의 변모〉, 〈부활〉과 그리스도 형상의 이미지인 〈판토크라토르〉에서 빛이 표현되고 있는 형태의 분류를 통해, 이를 고찰하였다. 기하학적 형태의 가시적인 빛은 〈그리스도의 세례〉를 전 후로 분류되는 데, 〈성모영보〉, 〈성탄〉에서 빛은 하늘로부터 오는 수동적인 구약의 빛으로, 말씀으로 육화하는 그리스도를 가시화 하고, 〈그리스도의 변모〉와 〈부활〉에 표현된 빛은 그리스도에게서 직접 발하는 능동적 형태를 띠며, 그리스도 신적 본질이 빛으로 가시화되는 것을 표현하며, 구약에 계시된 빛이 신약의 빛으로 완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듯 그리스도의 영원성은 빛으로 상징되며, 육화한 그리스도의 형상의 이미지인 〈판토크라토르〉를 통해, 인간 구원의 매개체가 된다. 〈판토크라토르〉는 최초의 이콘인 그리스도의 형상을 표상한 이미지로서, 빛으로 육화한 그리스도의 초월적 존재의 상징을 표현하는 빛의 신학의 원형이다. 따라서 이콘은 빛을 통하여, 시간을 초월하여 존재하는 영원한 신적 세계의 반영으로, 예술성에서 시대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일반적인 미술과는 차별되며, 인간 세계의 가변적인 기법의 변화나 진화를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를 제공한다. 이는 동방정교회가 10세기 이후 수도원에서 전승되고 있는 이콘 규범집(Painter’s Mannuel)의 다양한 유형에 따라, 이콘 모델을 그대로 모사(模寫)하며, 그 정통성을 오늘날까지 지키는 이유이다. 때문에 동방 정교회는 이콘을 예술적인 창조물이 아니라, 인간의 형상 안에 있는 신의 현전으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일부이자 기도와 관상의 도구이고, 교회의 성물(聖物과 같은 효력과 기능을 지닌 교회 전체의 유기체로 보는 것이다. 동방교회는 이콘을 불변의 성서와 같은 역할로서, 교회의 전승에 기초하고, 이콘 도상 화법의 규범을 충실히 따름으로서 그 이미지가 갖는 신학적 의미에 충실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 Envisioning a Sacralized World: Toward a Pneumatological Configuration of Materiality

        Bahk, MinSun Irene Garrett-Evangelical Theological Seminary ProQuest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639

        Divinization or theosis, is a goal of Christian faith and life. When the promise of divinization is extended to the holistic transformation of all creation, both humans and nonhumans, it envisages God’s redemptive actions for the whole world beyond an anthropocentric soteriology. Considering Maximus the Confessor who addresses theosis as the divine embrace of humanity within the hypostatic union of divinity and humanity in Christ in defense of the Chalcedon formula, I argue that divinization is reconfigured as the hypostatic union of divinity and the nature of the world in which the material realities are embraced by God without being mer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divine nature. When the ontologically inseparable yet distinct relation between God and the world is manifested in the enfleshment of the Holy Spirit, the pneumatological configuration of the material world does not exclude divine transcendence. Rather, divine immanence in the materiality of the Spirit leads all creatures to the divine mystery in which all beings and forms become sacred and full of life.Karen Barad’s notion of intra-actions as an ontologically inseparable yet distinct relation in which matter is redefined as vibrant, or agential, not inert, fixed, or determined breaks dualistic boundaries of individual properties or entities, connoting that individuals only exist within phenomena in which the reciprocating articulations of individuals become new and meaningful. In this regard, I argue, a Korean philosophical term, po-wol (包越 포월) envisions the entangling activities of embracing-in-keeping-differences since the term po (包) means “to embrace others,” while wol (越) means to “go beyond a limit.” Thus, the po-wol communicates the ontologically inseparable yet distinct relation between transcendence and immanence.Divinization as the po-wol of the Spirit radically materializes the sacredness of God within the existence and experiences of the material world, resisting prevailing systems of domination and exploitation which frustrate the vita-bility of all beings and forms. That is, the po-wol of the Spirit awakens the material world’s capacity to be vital and full of exuberant vigor, and therefore, to be subversive to desacralizing ideologies or practices in relation to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ies.

      • How Does God Act in the World? : How Does God Act in the World?

        최재희 장로회신학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635

        The scientific perspectives can make us think of not only general divine action but also special divine action without God violating in the natural laws. God can work without violating and manipulating directly at the micro­level and macro­level and with providing a driving force that can actualize the potentialities. When we take the method that the notion of causality applies to whole systems, we stand at the view of ‘bottom­up’ causality―that is, the effect of the properties and behaviors of its elements on the properties and behaviors of the whole system. In a different way, an influence of the state of the systems as a whole to the behaviors of its components units is called ‘top­down’ causality. The important thing we should make a shot is that ‘top­down’ causality would not detract the ‘bottom­up’ causality, even though the approaches to the events are reverse field. That's because both approaches about the divine action are the opposite direction to explain the divine action, however they explain the same divine action eventually. Thus, top­down causality and bottom­up causality would be different expression for description of one and the same divine action. It is assumed that the former fills in a space for the latter and so does the latter. God takes charge of the role of agent which a certain event actualizes. He, thus, is primary cause. The driving force is God who makes potentialities occurred. And also, we are still free to think in terms of divine action at other levels of nature, including God's interaction within humanity and God's main act of creating and sustaining the world. Therefore, they co­evolve, each to the other. We can expect how the joint work of divine action and human action co­evolve in the future. After all, looking to the future is arousing our curiosity. The future is opened due to not yet decis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