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측 원판형 연골 손상의 치료 결과 분석

        안지용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578

        슬관절 원판형 연골 중 특히 외측 반월상 연골의 치료로써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 후 추시를 통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1997년 3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로 진단 받고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260명중 최소 24개월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168명 17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의무기록,방사선 검사소견 및 수술중 촬영한 관절경 사진으로 전례에 걸쳐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72예에 대해서는 전화 인터뷰를 통한 질의 응답을 시행하였다. 질의 응답은 비교적 전화 결과 판독에 문제 없는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한 연골 파열의 통증 지수와 Lysholm 점수,Ikeuchi 등급(grade)을 조사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8.9개월(24-113)이었다. 남자가 77예, 여자가 102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35세(5-70)이었다. 임상증상 발현에서부터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9.2개월(1-300) 이었다. 성별,나이,증상발현부터 수술시까지의 기간,연골파열의 형태, 그리고 Watanabe 분류에 의한 원판형 연골의 완전성 여부,수술방법,수술 전 관절운동 범위에 따라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결과를 통계적학적으로 연관성을 분석 하였다. 수술 방법은 전절제술이 16예,아전절제술이 30예,부분절제술이 123예, 봉합술이 1예, 부분절제술과 봉합술이 동시에 이루어진 예가 3예였으며 6예에서 관절경적 검사만 이루어졌다. 임상적 기준으로 반월상 연골 파열의 통증지수(visual analogue score),Lysholm 점수(Lysholm knee scoring scale),그리고 Ikeuchi(15) 등급(grade)을 이용하여 수술 전,후를 비교하였다. 방사선학적 기준으로 114예에 대하여 술 후, Rosenberg 에 따른 체중부하상 전,후면을 기준으로 환측과 건측을 비교하여 외측 관절선의 협소 여부(lateral joint line narrowing)를 관찰하고 관절 간격을 측정하였다. 반월상 연골 파열의 통증 지수는 술전 평균26.점에서 술후 평균 12점으로 향상되었으며 Lysholm 점수는 술 전 평균 72.3점에서 술 후 평균 88.7점이었다. 추시상 Ikeuchi(15) 등급(grade)은 술후 우수(excellent)가 104예, 양호(good)가 51예, 보통(fair)이 23예 였으며, 불량(poor)의 결과를 보인 예는 없었다. 성별,나이,증상발현부터 수술시까지의 기간에 따라 술후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측 원판형 연골의 파열 형태나 Watanabe 분류에 의한 완전성 여부, 수술 술기, 술 전 관절 운동 범위에 따른 치료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0대 이상의 나이와 12개월 이상의 증상 발현 기간은 예후에 영향을 주었다. 향후 보다 장기적인 추시가 필요하며 수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들의 세밀한 분석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perative long-term results of children and adults treated arthroscopically for symptomatic discoid lateral menisci. From March 1997 and September 2005, of 260 patients with an arthroscopic surgery of discoid lateral meniscus, 179 symptomatic discoid lateral meniscus tears in 168 patients were analyzed at an average follow up 48.9 months (range: 24-113 months) with a minimal follow-up of 24 months. Data were collected by the review of medical records, radiographical finding and intra-operative arthroscopic finding in all cases. Telephone interviews were performed on 72 cases to evaluate clinical outcome. Visual analogue score (VAS),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Ikeuchi grade scale of which results were not relatively influenced by telephonic interview were examined. There were 77 men and 102 women,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35 years (range: 5-70 years) with a mean preoperative duration of symptoms of 29.2 months (range: 1-300 months). This study compared with the long-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ccording to prognostic factors, such as sex, age, duration of symptoms, type of meinscal tear, Watanabe’s classification, type of arthroscopic meniscectomy,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statistically. Total meniscectomy was performed on 16 knees, subtotal meniscectomy on 30, partial meniscectomy on 123, arthroscopic repair on 1, partial meniscectomy combined with meniscus suture on 3, and arthroscopic examination on 6. Visual analogue score (VAS), Lysholm knee scoring scale, and Ikeuchi grade scale were assessed clinically. The 45 degree flexion weight-bearing posteroanterior computed radiography was used to evaluate lateral joint line narrowing in comparison to the opposite knee on 114 knees. The mean visual analogue score improved from 26 points preoperatively to 12 point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Lysholm score improved from 72.3 points preoperatively to 88.7 points at the last follow-up. According to the Ikeuchi rating system, 104 cases were rated as excellent results, 51 cases were rated as good results, and 23 cases were rated as fair result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ex, age, duration of symptoms and clinical results.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discoid lateral meniscus, type of meniscectomy, Watanabe’s classification, preoperative range of motion and the clinical or radiographic results. Age and duration of symptoms could b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n treatment of discoid lateral meniscus tear. VAS and Ikeuchi grade scale could be significant parameters for evaluation of clinical results after treatment of symptomatic discoid lateral meniscus. The long-term follow up is required to analyz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the arthroscopic treatment of the torn discoid lateral menisc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