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mmuting Destinations and Mode Choices of New Towns and Mini-New Towns in the Rapid Growing Metropolitan Area : 성장하는 대도시권 내 신도시와 미니신도시에서의 통근목적지와 수단선택에 관한 연구: 서울 대도시권을 대상으로 :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

        Thanousorn Vongpraseuth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943

        In the late 1980s, to overcome problems of housing shortage in Seoul,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a housing solution scheme called “Two Million Housing Construction Program.” This scheme has delivered through the first generation five new towns (Bundang, Ilsan, Pyeongchon, Jungdong, and Sanbon) in five cities (Seongnam, Goyang, Anyang, Bucheon, and Gunpo) of the SMA. With regard to the high land prices and the inadequacy of lands in Seoul, five new towns were located further from Seoul, which were categorized into two main locations: 1) Bundang and Ilsan were located beyond the greenbelt, and 2) Pyeongchon, Jungdong, and Sanbon were designated in between greenbelt of Seoul. After development of the five new towns, problems of housing shortage have been tackled. In addition, infrastructure and public facilities have been provided in both new town and other surrounding areas. Nevertheless, many scholars and planners have debated on the new town development strategy. Some of them claimed that new towns have been characterized as bedroom community with car dependency in the suburban areas and lack of self-sufficient conditions. However, from the urban development strategy, government believed that new town development would be a key instrument to encourage funding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s. Along with new town developments, the second choice of suburban development was mini-new town, which could provide housing to the suburban areas in the efficient approach. The Korean government considered that this approach would be a strategy for preserving agricultural lands, as well as sufficient use of space. This alternative has served only small housing developments scheme without huge revenue and other supported infrastructure. Mini-new town developments have been developed along with main infrastructures of new towns. This alternative would confront directly the public transport issues and trip interactions with Seoul. According to various problems on new town and mini-new town developments, it is necessary to monitor and evaluate the conditions of new towns in current circumstance. This study aims mainly to evaluate transportation conditions in the first stage five new towns, mini-new town, and existing areas with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1) large scale new towns (Bundang and Ilsan), located beyond the greenbelt, and 2) smaller-scale new towns (Pyeongchon, Jungdong, and Sanbon), which were designated in between the greenbelt. To evaluate the transportation conditions, commuting patterns have been considered by emphasizing mainly on the commuting mode choice (modal split) and destination of commuters. In order to identify these issues,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from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KOTI) were used; recent data of O-D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2010 were adopted in the analysis processes. With regard to the analysis processes, this study has adopted both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level models in this step. The descriptive analyses such as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ost-Hoc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trip destinations with 7,186 samples of 127 Dongs), t-test and Chi-squared test (examining the differences of mode choices with 19,511 samples with 127 Dongs)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common intuition of commuters in the five cities. For the later approach, the processes of multilevel logit and multinomial logit models were developed to explain the tendency of commuters’ behavior on the commuting patterns in new towns, mini-new towns, and existing towns regarding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onditions. From the process of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level analysis, findings illustrated clearly within two main implications regarding commuting destinations and mode choices. First, the variable of commuting destinations could be indicated various perspectives regarding individu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commuters in new towns illustrated diverse directions on workplaces; it was not only central Seoul areas, but also the other surrounding industrial regions. However, the highest flow on workplace was found on trips to Seoul rather than other areas. Second, the commuting mode choice attribute illustrated that commuters in new towns were likely to choose public transportation modes rather than those who reside in mini-new towns. The finding also showed that commuters who reside in large-scale new towns (Bundang and Ilsan) have higher percentage on public mode selection than those who reside in smaller-scale new towns (Pyeongchon, Jungdong, and Sanbon). Regarding these key findings, the study could conclude that public transport utilization in new towns are better than in mini-new towns. The most frequent trip-to-work is to the central business areas of Seoul. These evidences would be proved that large-scale new town development could be a key instrument to improve public transportation utilization. However, new towns would take time to achieve the self-sufficient status. Thus, the schemes of housing development policy should consider the links between jobs and housing locations as strategies of commuting time reduction. Furthermore, the balanced growth between new towns, mini-new towns, and already developed area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decisions on the development, planning, and urban growth management policies.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trends of other developing countries, new town development directions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stages of urban development dramatically. Thus, this study could provide key implications on transportation issues in suburban development, which are not only for South Korea but also for the other developing nations as well.

      • 都市間通勤에서 家口特性에 따른 通勤類型決定에 關한 硏究 : 光州 都市間通勤圈에 對한 經濟的 接近

        김채옥 全南大學校 1995 국내박사

        RANK : 2940

        일반적인 都市間 通勤理論에서는 개인의 同質性 가정 위에서 도시간의 賃金差異와 距離 要因에 의하여 도시간 통근의 樣相이 결정된다고 한다. 현실에 있어서는 이와같은 요인 이외에도 個人의 特性差異와 選好差異도 관내통근을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도시간 통근을 선택할 것인가하는 도시간 通勤類型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個人의 所得과 選好에 있어 존재하는 差異가 通勤類型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命題를 檢證하기 위하여, 양방향의 交叉通勤이 발생하고 있는 광주와 화순지역을 事例로하여 연구하였다. 職場이 우선 결정되는 구조에서, 개인의 소득과 개인의 선호에 따라 광주와 화순의 두 地域 중에서 하나의 거주지를 선택함으로써 통근유형을 선택한다고 보고, 광주거주-광주직장, 광주거주-화순직장, 화순 거주-광주직장, 화순거주-화순직장의 네개의 도시간 通勤類型集團을 선택하여, 家口特性과 居住地選擇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시간의 교차통근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광주-화순을 하나의 가격 결정범주로 보고, 特性勘案價格函數를 추정하였다. 특성감안가격함수를 행정구역단위로 추정하지 않고, 通勤圈單位로 추정함으로써 지역간의 公共財 水準差異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해 낼 수 있어서 설명책을 높일 수 있었다. 추정결과 물리적 특성, 공공재 수준, 자연적 특성, 접근성3(도심에서 거리의 세제곱 값) 변수가 통계적으로 意味있는 說明變數로 나타났다. 조정된 결정계수는 0.8103을 나타내어서 주택가격에 대한 추정결과로서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각 계수에 대한 추정치를 해석하면, 물리적특성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격이 249.75만원 상승하고, 공공재수준이 한 단위 상승하면 6.8813만원, 자연적특성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격이 7.4888만원 증가한다. 한편 접근성3의 한단위 증가는 가격을 0.31399만원 감소시킨다. 여기서 접근성변수에 세제곱을 함으로써 도심에서의 거리가 점점 멀어질수록 가격이 보다 크게 하락하게 되는데 이는 限界非效用遞增을 반영한다. 集團別 推定의 結果는 집단의 결합에 따라 係數推定値에서 差異가 발생하여, 간접적으로 집단별 특성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관내통근집단과 비교할 때 域外通勤 集圈이 접근성3의 증가에 따른 가격의 하락이 적었고, 물리적 특성의 증가에 따른 가격의 상승은 컸다. 가구특성이 거주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생애주기, 월소득, 교육중요도를 설명변수로 하여 광주-화순간 거주지 선택에 대한 判別函數를 추정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표본집단에 대하여 分類를 하여본 결과, 74.09%의 설명력을 나타내서, 생애주기, 월소득 그리고 교육중요도에 의해서 광주거주집단과 화순거주집단을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구특성이 거주지 선택의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로짓模型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로짓모형은 광주를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을 종속변수로 하고, 가구특성을 설명변수로 하였다. 가구특성에 의한 거주지 선택확률의 변화를 추정한 결과, 월소득, 교육정도, 생애주기의 변수가 1%의 유의수준에서 의미있는 변수로 나타났고, 월소득의 증가, 가구주 교육정도의 증가, 생애주기 단계의 증가가 거주지로서 광주를 선택하는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生涯週期를 더미變數로 처리한 결과 생애주기에 따라 광주를 선택하는 확률에 有意的 差異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혼초기에서 첫아이 국민학교 입학 전까지의 가구는 화순을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이 높고, 첫아이 국민학교 입학에서 막내대학교 졸업까지의 가구는 광주를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이 높고, 막내대학교 졸업 이후의 가구는 화순을 거주지로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集圈別로 로짓模型을 사용하여, 광주를 거주지로 선택하는 확률에 대한 추정을 한 결과, 집단별 결합에 따라 추정치에 유의적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집단별 특성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職場이 決定된 後의 광주와 화순간의 居住地 決定은 通勤類型 選擇의 意味를 갖는다. 특성감안가격함수의 의미를 거주지 선택과 연관을 지어 해석해 볼 때, 서구의 27평아파트에 거주하는 표본평균의 특성을 가진 거주자가 화순읍의 27평아파트로 이주하게 되면 거주지 환경차이에 의하여 1706만원의 주택가격지출을 절약할 수 있고, 같은 예산이면 약 7.8평 정도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거주지결정은 ① 높은 공공재 수준-가까운 도심거리-낮은 녹지비육-낮은 가격(좁은 면적)의 代案과 ② 낮은 공공재 수준-먼 도심거리-높은 녹지비율-낮은 가격(넓은 면적)의 代案 사이의 소비자 선택문제가 되며, 家口特性에 따라 特定地域을 居住地로 더욱 선호하게 된다. 광주에 직장을 두고 화순에 거주지를 션택하는 것은 都市間 通勤을 의미 하는데, 결혼 초기의 젊은 세대가 도시간 통근을 할 확률이 높다. 화순에 직장을 두고 광주에 거주지를 션택하는 것도 도시간 통근을 의미한다. 소득이 높고, 교육 정도가 높고, 생애주기가 높은 중년의 가구가 자녀교육 등의 환경을 위해 광주에 거주하면서 도시간 통근을 할 확률이 높다. 한편 전체집단과 개별집단의 通勤行態를 확인하여 본 바, 실제의 통근에서는 通勤距離 最小化라는 기준이 별로 지켜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구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지역에 居住地를 選擇한다는 結論을 뒷받침한다. 이상의 분석결과, 생애주기의 단계, 교육중요도, 소득, 교육정도의 家口特性에 었어서의 差異가 居住地 環境을 구성하는 각 要素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유발하고, 이에 따라 가구특성에 따라 特定地域을 거주지로 選好하게 된다. 이 특정지역의 선호가 都市間 通勤을 유발시킨다. 화순은 교육의 부담이 없는 젊은 世帶와 노년 世帶가 선호하고, 광주는 교육문제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는 中年의 世帶가 선호한다. 이는 앞으로의 都市開發의 方向에 있어서 두 계의 지역이 서로 다른 方向을 志向하여야함을 제시하고 있다. In the general intercity commuting theory, the wage differenc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ities decide the intercity commuting pattern. But in reality, it seems that the differences in household characters and preferences cause change in intetrcity commuting pattern. In this thesis, I test the proposition that the differences in household characters and preferences cause change in intercity commuting pattern with the cross commuting sample occuring between Kwangju and Hwasoon. I estimate the hedonic price function in Kwangju intercity commuting boundary, which include Kwangju and Hwasoon where occuring intercity commuting. The fact in these regions occurs intercity commuting means the price determining factors work simultaneously. Estimating hedonic function in intercity commuting boundary raise R-square by explaining the price difference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public goods level As a result of the estimating, we find the four variables - Physical characters, Public goods level, natural characters and accesibility the third power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e estimating by group combination, we find indirectly the group characters expressed by the differences in variable selection and the differences in estimates. With logit model, I estimate the probability change in residential choice according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find the increase in monthly revenue, the degree of householder's academic achievment and life-cycle stage, cause the increase the probability choosing Kwangju as a residential location. With logit estimation by group combination, I confirm the differences in estimates and group characteristics. I estimate the discriminant function on residential choice with the explaining variables - life cycle stage, monthly revenue and education impotance. When I classify the sample by the estimated discriminant fuction, I have the result 74.09% of the samples are correctly classified. So I conclude life cycle stage, monthly revenue and education importance decide the residential location between Kwangju and Hwasoon. I observe their commuting behavior and find that they don't appreciate the mininum commuting distance principle as other factors such as goo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paciousness of apartment. So I conclud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cause different preference on regions in the views of residential choice. That different preference make people select intercity commuting. This fact suggests two cities where intercity commuting occures, pursue different goals in urban planning.

      • 서울 대도시권 통근 패턴 식별 및 변화 원인 분석 : 2006-2016년 변화량을 중심으로

        윤현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38

        OECD 국가 중 최장의 출퇴근 시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우리나라의 서울 대도시권은 특히 심한 통근의 문제로 고통받고 있다. 직주의 균형은 통근 패턴과 초과 통근을 논할 때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는 변수 중 하나이다. 서울 대도시권에서는 고용의 탈중심화와 다핵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직주의 공간적 균형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보다 맞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개인 또는 가구의 사회경제적 요소가 통근 거리에 영향을 주고, 신도시와 같이 대규모의 주택이 단기간에 공급되는 지역이 존재하므로 서울 대도시권의 통근 패턴은 유형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지역별 통근 패턴의 차이를 규명한 연구는 명시적인 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 분석한 연구가 다수였는데, 데이터를 통해 현상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유형을 분류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에 관해서는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대도시권의 2006년-2016년의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Python 기반 지리적 분석과 K-Means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유형화하고, 신도시와 같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특이 통근 패턴 지역이 식별되는지 확인하며, 2006년에서 2016년의 변화량에 대한 다중 회귀 분석 수행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터를 이용한 군집분석 결과 비교적 짧은 최적 통근 거리를 가지면서도 긴 거리를 통근하는 패턴이 식별되었고, 인천지역의 변화가 특히 도드라졌다. 둘째, 군집분석 결과 신도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당해 지역에서 먼 곳에 집중하여 통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10년간의 신축 아파트들이 보다 최근에(2016년) 많이 지어졌을수록 통근 거리와 통근 집중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명시적 기준으로 수행된 연구 결과를 현상적 기준에서도 검증할 수 있었고, 신규 아파트 분양과 같은 요소가 통근 패턴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규 아파트 분양이 통근 거리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명확한 매커니즘까지는 밝히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한편 분석 결과 인천지역의 통근 패턴 변화가 특징적이었는데, 인천지역에 대한 보다 면밀하고 집중적인 조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eoul Metropolitan Area is suffering from extensive and severe commuting problem. Balance between housing and employmen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luable explaining commuting pattern and excess commut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spatial balance between the two is known to be changing into more balanced way, as employment is being more decenteralized and polycentric. It can be analogized that the commuting pattern of Seoul Metropolitan Area can be categorized using machine learning based clustering analysis, because not only personal or family’s socioeconomic factors affect commuting distance, but also there are regions including new towns where a large amount of housings are suppli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Also, a majority of studies which investigated difference in commuting pattern by regions used nominal areal categorization, such as new town or non-new towns. A verification on wheter the similar result could be achieved from the viewpoint of phenominon itself and with quantitative measurement. Thus, the study aimed to categorize commuting pattern of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household transit survey from 2006 to 2016. Whether regions with distinct commuting pattern could be verified is also studi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change in commuting pattern between 2006 and 2016. First, K-Means clustering analysis revelaed a commuting pattern which have a comparatively long commuting distance, notwithstanding short optimal commuting distance. Also, a distinguishing alternation of commuting pattern was found in Incheon area. Second, the clustering analysis confirmed that new towns are tend to commute intensively to regions located far away from themselves. Third, the more apartments were constructed recently(2016), the commuting distance and commuting concentration leve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tudy verified that the results of the studies under nominal classification were in line with the results from quantitative and phenomenal approach. Also, factors such as newly sold apartments were found to be affecting commuting pattern change significantly. However, the study could not suggest a precise mechanism how the former affects the latter. Meanwhile, the result showed that commuting pattern change in Incheon area was distinctive, which is required to be examined by further studies.

      • 통근소요시간과 우울감 간의 관련성 : 근로환경조사자료(2011-2017)를 이용하여

        정수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923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epressive symptom in Koreans. The 3rd, 4th and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was used to analyze workers who regularly commute from their residence to work. Workers working less than 3 days of weekly work were exclud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epressive symptom. Among a total of 108,309 workers (53,926 men, 54,383 women), 1.35% of men and 2.14% of women had depressive symptom. After correcting for socio-statistic factors such as workplace size, weekly working hours, shift work, work-life balance, job satisfaction, education level, and income, depressive symptom was analyzed by commuting time. As a result, the group with 30-45 minutes commuting time for both men and women has the lowest risk of experiencing depressive symptom. In the case of the group of less than 30 minutes, the shorter the commuting time, the more depressed.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lack of separation between the residential and working areas of the self-employed group.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ith more than 45 minut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eeling of depressive symptom even if the commute time increased. This study found that commuting tim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problems,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self-employed and waged workers had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 In particular, it is emphasized that workers' commuting time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can have a close influence over a wide area of life such as the daily life of commuters.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통근 시간과 우울감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제3,4,5차 한국인 근로환경조사자료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를 이용하여 주거지에서 근무지로 통근이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했고 주간 근무 3일 미만 일하는 근로자는 제외하였다. 통근 시간과 우울감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총 108,309명의 근로자(남자 53,926, 여자 54,383) 중 남성의 1.35%와 여성의 경우 2.14%에서 우울감을 확인하였다. 사업장 규모, 주당 근로시간, 교대근무 여부, 일과 삶의 균형, 직업만족도, 교육수준, 소득과 같은 사회 통계학적 요인을 보정한 후 통근시간 대별로 우울감을 분석해본 결과 남녀 모두 30~45분의 통근 시간을 가지는 집단이 우울감을 경험할 위험도가 가장 낮았다. 30분 미만 집단의 경우 통근시간이 짧을수록 우울감이 점점 높아졌고, 이는 자영업자 집단의 주거지와 근무지간 분리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45분 이상 집단의 경우 30-45분 통근시간을 가지는 집단 대비 우울감이 높았으나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여주진 않았다. 연구 결과, 통근 시간은 정신 건강 장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자영업자와 임금근로자간 다른 형태로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근로자의 통근 시간은 통근자의 일상생활 등 삶의 넓은 영역에 걸쳐 밀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 THE EFFECT OF HOUSING MARKET SEGMENTATION ON COMMUTING : A GEOGRAPHICAL ANALYSIS

        황성순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2005 해외박사

        RANK : 2908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공간구조가 통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도시구조의 포괄적 범위를 상기할 때, 도시공간구조를 그 구성요소로 나누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택시장분화를 공간구조의 구성요소로 간주하여, 그것이 각 도시별 통근길이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본다. 미국 85개 대도시에서의 주택시장분화와 통근길이의 관계에 대한 경험적 분석에 따르면, 주택시장분화가 가속화될수록 통근길이가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는 것은 교통수요를 예측하는데 뿐만 아니라 통근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가중되는 교통문제 (가령 교통체증, 안전 및 공해)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한 단서가 된다. 이 연구는 도시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주택시장분화현상이 그 도시의 통근길이 연장에 과연 기여를 하는지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한다. 도시별 주택시장분화현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연구는 주택시장분화지표를 정의한다. 지표는 주택하위시장형성에 기여하는 변수를 기반으로 하여 각 도시별 주택하위시장을 도출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이에는 퍼지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이 적용되었다. 퍼지클러스터링이 적합한 방법론인지 검증하기 위해 기존의 블린 연산에 기초한 클러스터링으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였고, F 테스트는 이 점을 확증해 주었다. 통근길이가 모든 통근모드에 해당되는 경우, 통근길이와 주택분화현상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두드러지지 않은 반면, 차량에 국한되어 정의된 경우 주택분화현상이 통계적으로 현격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점은 주택분화현상 (또는 주거분리현상)이 지속가능한 교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써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urban spatial structure on commuting. Among the many forces that constitute the dimensions of urban structure, it is focused on the fragmentation of a metropolitan area into distinct housing submarkets. The study refers to this phenomenon as “housing market segmentatio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market segmentation and commute length in 85 metropolitan areas shows that housing market segmentation (as a component of urban spatial structure) lengthens commute distances. The operationalization of the IHMS rests on the definition of housing submarkets, which are derived by means of a fuzzy c-means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fuzzy clustering is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k-means methods. An F-test confirms that fuzzy clustering outperforms hard clustering. Fuzzy clustering is shown to be of great use in the classification of housing markets based on census data. The index of housing market segmentation is measured for 85 metropolitan areas. Housing market tends to be more segmented in large metropolitan areas while housing market segmentation is not correlated with geographic region. Complexity of industrial structure and racialized process of residential development seems to contribute to a high degree of housing market segmentation. Regression analysis of metropolitan-wide commute length shows that commute time is affected by labor market scale (e.g., the number of workers), labor market structure (e.g., composition of industry, specialization or diversification), labor market performance (e.g., unemployment), socioeconomic variables (e.g., income, age, ethnic composition), modal split, and urban form features (e.g., housing density). When commute length is defined in terms of vehicle miles, housing market segmentation is found to be an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The study indicates that disparity between residential neighborhoods (i.e., housing market segmentation as a component of urban structure) can impose negative impact on sustainable transportation.

      •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특성이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권세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875

        1990년대 들어, 미국에서는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고려할 때 밀도와 같은 지역특성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하고 실제 연구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밀도에 의해 통행수단선택이 영향을 받음을 알아냈다. 미국의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에서도 통행수단선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때 지역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1996년과 2002년, 수도권을 대상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가 이뤄진 이후에 개인 및 가구의 특성만을 고려하여 통행수단선택에 관한 연구들을 진행하였고, 이 외에 인구밀도와 고용밀도와 같은 지역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밀도, 고용밀도와 같은 ‘지역특성’이 통행수단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특성이 개인 및 가구의 특성과는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알아본 후, 기존 통행수단선택연구들에서 선택한 변수들이 통행수단선택에 대해 설명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자 한다.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위해 2002년 서울시에서 실시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표적 첨두시통행인 출근통행과 비첨두시통행인 쇼핑통행에 해당하는 개인 및 가구의 사회경제적특성과 지역특성이 지하철, 버스, 승용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수행하였다.그 결과, 출근통행에서는 지역특성 중에 ‘출발지 인구밀도’, ‘도착지 고용밀도’, ‘도착지 도심관련여부’, ‘출/도착지 지하철역 존재여부’, ‘도착지 강남관련여부’ 변수가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개인 및 가구 특성변수들 중에서는 ‘배우자여부’, ‘연령’, ‘운전면허보유여부’, ‘미취학아동존재여’부, ‘차량소유여부’, ‘성별’이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다. 지역특성을 제외한 모형에서는 가 0.162, 지역특성을 함께 분석한 모형의 는 0.190으로서 지역특성이 분석의 설명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것은 통행수단선택시에 개인 및 가구 특성이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고 지역특성이 모형의 설명력을 높여주는 것을 의미한다.쇼핑통행에서는 지역특성 중에 ‘출발지 지하철역 존재여부’ 변수가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개인 및 가구 특성변수들 중에서는 ‘세대주여부’, ‘배우자여부’, ‘차량소유여부’가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다. 지역특성을 제외한 모형에서는 가 0.452으로서 높은 편이지만, 지역특성을 함께 분석한 모형의 는 0.500으로서 지역특성이 분석의 설명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종합적으로 분석하자면, 출근통행과 쇼핑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간의 차이가 있었고 이는 두 목적통행의 주 통행자의 차이를 비롯하여 통행발생시간대 등의 차이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변수간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추후 교통정책 수립시에 다양한 목적통행의 특성을 반영하는 정책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적절한 교통정책의 시행을 위해 통행수단선택에 관한 연구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보다 정확한 수요예측을 위해 통행수단선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에 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가 교통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현실을 더욱 구체적으로 반영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impact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ur.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e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y of the region, local accessibility and services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so for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raveler's mode choice - private car, bus, and subway - by developing multinomial logit model for commuting and shopping trips respectivel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Household Travel Diary Survey of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was carried out in 2002. The subset of 2,521 cases of commuting trip and 506 cases of shopping trip were used in the model.Through comparisons of the results between commuting and shopping models, this study finds out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affect the traveler's mode choice. The commuting trip model results show that several regional variables are - population density, employment density, the variable regarding whether jobs are located in the urban center and whether work places are in Gangnam-gu where there are many high income jobs, and the accessibility of subway station in the residential and work places. In addition, 6 variabl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mmuters' mode choice. On the other hand, the shopping trip model results show that only one regional variable - the accessibility of subway station in the residential places -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raveler's mode choice.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commuting trip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fluencing shopping trips, therefore planners should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patterns of various trips when they make a transportation plan. The research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on the individuals' travel mode choice are challenging but interesting issues which need to attract more attention from transport planners. It has been suggested in the thesis that further study c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modelling approach which can take into account more detailed regional characteristics.

      • Essays in Urban and Health Economics

        Wadsworth, Allyssa Ann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West Virginia Univ 2022 해외박사(DDOD)

        RANK : 2847

        Chapter 1 analyzes the impact new hospital construction has on neighboring residential real estate prices. In 2017, the Oishei Children’s Hospital was built in downtown Buffalo, New York, representing a new era for women and children’s medical facilities. Individuals working at the old facility now faced the decision of whether to move closer to the new hospital or have a longer commute. Using property sales data, I analyze how Oishei impacts residential property prices with a difference-in-differences hedonic price model while utilizing three unique time treatments and two distance treatments. The opening of Oishei gene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centage increase in sale prices within a 1- and 2.5-mile radius, suggesting employees may be purchasing houses with shorter commutes. Chapter 2, written with Dr. Heather Stephens, focuses on the expectation that retirees, especially those with higher incomes, relocate to locations that offer more medical facilities and urban and natural amenities. To test this hypothesis, we examine the impact of health care and amenity employment on the population changes of both working age and retirement age groups. Despite the common perception, it appears that working age people are moving in advance of retirement to places with nicer climate and other natural amenities as well as healthcare. After retirement, any additional migration appears to be driven primarily by places with more entertainment type amenities. This suggests that locations that want to attract retirees should focus on attracting middle-aged people well before they retire. Chapter 3 uses the National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NELS:88), I analyze the impact risky adolescent behavior, previous sexual experiences, and opinions on sexual encounters have on early adulthood decisions to use birth control using a probit model framework. Risky adolescent behavior is known to be connected to heightened risky decisions during early adulthood. Females who smoke tend to follow medical advice and are likely to reduce birth control use; while those who use alcohol are more likely to increase use. Both males and females who engage in sexual activity later in adolescence have an increased probability to use birth control. These results support an argument for early sex education, which can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teens who are already engaging in sexual activity and risky behaviors.

      • SPATIAL DIMENSIONS OF WORKPLACES AND THE EFFECTS ON COMMUTING : THE CASE OF METROPOLITAN DALLAS-FORT WORTH

        Shin, Sang Young Texas A&M University 2002 해외박사

        RANK : 2684

        There has been a lively debate over using land use strategies to reduce automobile dependence over the past decade. As a part of the issu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ound workplac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commuting made by the employees in metropolitan Dallas-Fort Worth. The tool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re utilized to measure workplace environs. Several statistical methods are applied to analyze commuting behavior. This study finds that low-density suburban workplaces are associated with shorter vehicle travel times but more drive-alone trips. While major suburban centers attain some level of compact development in terms of local activity mix and regional accessibility, employees in these centers are far more automobile dependent than employees in older centers in the central city. In the suburban locations, workplaces in residence-based centers and master planned communities with a mix of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less drive-alone commuting and more carpooling. Workers take advantage of the abundance of activities, as larger and denser centers are associated with more non-work activity stops after work. Yet, the trip chaining is overwhelmingly driven by automobile use. This study also finds that spatial factors are significant in explaining commuting behavior. Yet, the importance of spatial factors varies with the aspect of travel. Spatial factors do a better job in explaining travel times than in explaining travel mode and trip chaining. The way a particular spatial factor affects commuting also varies with the aspect of travel. For instance, land use intensity factors are associated with longer travel times but less drive-alone trips. While this study suggests that concerted planning may affect travel, some socioeconomic variables, including income and automobile ownership, are strongly related to more automobile travel.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and use strategies to cope with transportation and air quality problems, such as new urbanism and jobs-housing balance, would be a viable option in and around employment locations. But, such strategie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of spatial factors with travel outcomes and the trade-offs between travel outcomes with a particular spatial factor.

      • 出退勤(通勤) 災害의 産災保險 認定與否에 관한 考察

        김종욱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683

        근로자들은 사회가 점점 산업화됨에 따라 통근거리 등의 원거리화 등으로 인하여 교통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점차 증대되었다. 대부분의 근로자에게는 통근이란 행위는 사업주에게 근로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나, 그들의 노력과 상관없이 사고는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널리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또한 통근재해와 관련하여 ILO는 1964년 제121호 업무상재해급여협약 및 동 권고를 통해 통근재해를 산업재해로 정의하고 업무상재해와 동일시하거나 적어도 동일한 취급을 할 것을 공식적으로 결정하였다. 물론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ILO회원국으로, 또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어떤 형태로의 입법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현행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법’)에서는 통근재해와 관련하여 시행규칙 제35조 제4항에 의거 ① 사업주가 소속근로자들의 출퇴근용으로 제공한 교통수단의 이용 중에 발생한 사고이고, ②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에 관한 관리·이용권이 근로자 측에 전담되어 있지 아니할 것을 요건으로 제한적으로 업무상재해로 인정하고 있다.이를 타개하기 위해서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선 산업재해의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즉 “산업재해=업무상재해+통근재해”의 개념을 만들자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통근’, ‘통근재해’의 개념정의가 가능하다고 본다. 또한 성공적인 제도의 도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재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다른 나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업주의 부담금을 기반으로 할 수 밖에 없으나, 근로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고자 근로자 부담금을 일부 부과하는 방안도 고려할만 하다.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자동차보험에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구상권 행사를 통해서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문제는 구상관계를 단순화·합리화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업주의 보험료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일본의 조정제도, 독일의 분담금협정 모델은 고려할만하다.또한 통근재해의 도입이 통근행위의 업무수행성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업주의 노력으로 통근재해율을 감소시킬 수 없고, 위험부담을 사용자 책임으로 의제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보험요율의 적용에 있어 개별요율의 적용을 배제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해고의 제한 법리 등 노동법관계의 적용에 있어서도 차등을 둘 필요가 있다. Workers have been exposeded to greater hazard in commuting, due to increased demand for them to commuting from ther home to workplaces. Most of them are in need of commuting to work, but these accidents occur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recautions taken by workers. To safeguard workers from accidents, social security Act is necessary, but industrial accidents compensation law is negative to acknowledge of Commuting Injures.ILO has recommended commuting accidents be included in industrial accidents or at least treated as such in their 121st Employment Injury Benefit Conventions in 1964.According to the Labor Standard Act and Industrial Aaccidents Compensation Law, for injuries to be protected as the industrial injury, they need to be ' employment related'. Except for restricted cases where such injuries occurred while on the business trip or using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r defective facilities offered by employers, court has not acknowledged commuting injuries as industrial injuries.So, to eliminate this problem - acknowledging commuting injury as industrial injury - legistratiom is inevitable. First of all, the conception of industrial accident should be changed. That is, 'industrial accidents = occupational accidents + commuting injuries'.To protect workers against commuting injuries sucessfully, finacial supporting is required. As well as other contries, industrial accidents are on the bases of an insurance bill offered by an employers. So, to reduce burden of employers and to protect employee's moral hazzard, a portion of employee should be considered. Most of a traffic accidents are subscribed to insurance, it is possible to lessen the burden of an employer by claim for damages. Most important thing is to simplify of claim for damages . Japan's 'settlement of loss', Germany's 'agreement of a share of expenses' are considerable.Acknowleging Commuting Injures as industrial accidents is not inevitably related to responsibility of employers and 'employment related'. Employers cannot reduce rate of accidents, 'Merit or Experience Rate System' is not hamony with commuting accidents. In like manner, Restiction of dismissal confirmed by Labor Standard Act should not applied.

      • 통근시간과 통근 스트레스가 중국 근로자의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 통근 방식과 통근 활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유책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682

        중국의 도시화 과정이 깊어짐에 따라 통근시간의 증가는 중요한 사회 경제적 문제가 되고 있다. 통근시간이 길어지면 개인의 여가 시간이 단축되어 개인 삶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통근시간이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근 스트레스를 매개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이 과정에서 통근 방식과 통근활동의 조절효과를 갖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국에 근로자가 348명 대상으로 통근시간, 통근 스트레스, 일-가정 갈등 그리고 통근 방식과 통근 활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사용한 매개분석 결과 통근시간이 통근 스트레스를 통해 일-가정 갈등의 부(-)의 영향을 주는 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통근 방식과 통근 활동을 포함한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통근 시간이 통근 스트레스를 통해 일-가정 갈등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근방식과 통근 활동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s China's urbanization process deepens, increasing commuting time becomes an important socioeconomic problem. Longer commute times will shorten your leisure time and affect your persona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mmuting time of workers mediates the commuting stress i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also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ting methods and commuting activities in this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8 workers in China who asked about commuting time, commuting stress, work-family conflict, commuting methods and commuting activities. The mediation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confirmed the mediation route in which commuting time has negativ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through commuting stress. As a result of the adjusted mediation analysis including commuting method and commuting activity, commutation method and commuting activity regulated the path that commuting time leads to work-family conflict through commuting stres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