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배드민턴 학생 선수가 지각된 코치 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자기조절동기와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장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42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coach behaviors, coach trust,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of badminton players in Hebei Province university, to valid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o construct a good coach-athlete relationship,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thletes' sport continuous execut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606 college badminton athletes from Hebei Province, China,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coach behaviour, coach trust,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Validating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using AMOS 23.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affected coach trust. That is, the more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match their own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ir trust in their coache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affected the sports continuous execution. That is, the more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match their own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 sports continuous execu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affected the self-regulation motivation. That is, the more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match their own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 self-regulation motivation. Fourth, it was verified that Hebei Province college athletes' trust in their coaches positively influenced sport continuous execution. That is, the more college athletes trusted their coaches, the higher the sport continuous execution. Fifth, it was verified that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influenced sports continuous execution. That is, the higher the self-regulation motivation of college athletes, the higher the sports continuous execution. Sixth, it was verified that coach behavior perceived by Hebei Province college athletes, were not only a direct influence on the continuous execution of the sport, but also that coach trust was an important variable between coach behavior and the continuous execution of the sport, which was verified to have a mediating role. Seventh, it was verified that self-regulation motivation is an important variant with a mediating effect between coach behavior and sports continuous execution. Eighth,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 behavior, instructor trust,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ports continuous execution among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Coach trust and self-regulation motivation played multiple mediating effects between coach behavior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When both coach trust and self-regulation motivation were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 behavior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was positive. 本研究旨在查明河北省大学羽毛球运动员感知到的教练行为、教练员 信任、自我调节动机、运动持续行为之间的结构关系,验证变量之间的关 系,构建良好的教练-选手关系,为提高选手的运动持续执行提供基础资 料。 为此,对中国河北省606名大学生羽毛球运动员进行了问卷调查,分 析了教练行为、教练员信赖、自我调节动机和运动持续进行之间的结构模 型。采用SPSS23.0进行频率分析信度分析、探索性因子分析、相关性分析 和回归分析,采用AMOS23.0进行确证因子分析和结构方程模型分析。分 析结果如下。 第一,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对教练员信任产生了积极影 响。也就是说,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自由性越高,对教练的信任就越 高。 第二,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对自我调节动机产生了积极影 响。也就是说,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自由性越高,自我调节的动机就 越高。 第三,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对运动持续执行起到了积极作 用。也就是说,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自由性越高,运动持续执行就越 高。 第四,河北省大学生的教练员信任对运动持续执行产生了积极影响。 也就是说,大学生越信任自己的教练,运动持续执行就越高。 第五,中国大学生的自我调节动机对运动持续执行产生了积极影响。 也就是说,大学生自我调节的动机越高,运动持续执行就越高。 第六,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不仅是直接影响运动持续进行 的因素,而且指导信任是教练行为与运动持续进行之间的重要变因,被验 证具有媒介作用。 第七,自我调节动机被验证为教练行动和运动持续执行之间重要的变 因,具有媒介效果。 第八,河北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教练信任、自我调节动机与运 动持续执行之间存在结构关系。教练信任和自我调节动机在教练行为和运 动持续执行之间起到多重媒介效果。教练的信任和自我调节的动机都很高 的时候,教练的行动和运动持续执行的关系可以说是积极的。 대학 배드민턴 학생 선수가 지각된 코치 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자기조절동기와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전공 장 현 지도교수 서연희 본 연구는 하북성 대학 배드민턴 선수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 지도 자 신뢰, 자기조정동기, 운동지속 간의 구조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 이다.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양호한 코치-선수 관계를 구축하여 선수의 운동지속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하북성 대학생 배드민턴 선수 606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여 코치 행동, 지도자 신뢰, 자기조절동기 및 운동지 속 사이의 구조 모형을 분석했다.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 분석 및 회귀 분석을 수행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은 AMOS 23.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북성 대학생들은 지각된 코치 행동이 지도자 신뢰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이 지각된 코치 행동은 자 유성이 높을수록 지도자 신뢰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이 자기조절동기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 은 자유성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동기가 높다는 것이다. 셋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이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은 자 유성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이 높다는 것이다. 넷째, 하북성 대학생들의 지도자 신뢰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자기의 코치를 신뢰할 수록 운동지속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가 높을수록 운동지속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여섯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은 운동지속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지도가 신뢰가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 사이에 중요한 변인(變因)으로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 증되었다. 일곱째, 자기조절동기는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 사이에 중요한 변인 (變因)으로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여덟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 지도자 신뢰, 자기조 절동기와 운동지속 간에 구조 관계가 있다. 지도자 신뢰와 자기조절 동기는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 간에서 다중매개효과를 작용한다. 지도자 신뢰와 자기조절동기가 모두 높을 때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의 관계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주요어: 대학생 선수, 코치 행동, 지도자 신뢰, 자기조절동기, 운동지속

      • 중국 수영 지도자의 멘토링이 지도자 신뢰,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효동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315

        중국 수영 지도자의 멘토링이 지도자 신뢰,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효 동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지도교수 조 현 철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수영 지도자의 멘토링에 따른 지도자 신 뢰, 자아존중감 및 운동지속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 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국 허난성, 허베이성, 후베이성, 광시성, 윈 난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 소재의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수영선 수로 편의표집추출법을 통해 총 700부를 배포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680부의 설문 자료를 결과 분 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수영지도자의 멘토링은 지도자 신뢰에 부분적으로 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영지도자의 멘토링은 자아존중감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셋째, 수영지도자의 멘토링은 운동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 신뢰는 자아존 중감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째, 지도자 신뢰는 운동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은 운동지속의도에 부분 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내 수영지도자들은 선수들의 훈 련과 대회 참여도를 높이고, 선수들의 잠재력을 극대화하며, 긍정적 인 지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ntoring by Chinese swimming coaches on coach trust, self-esteem, and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A total of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 swimmer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Henan, Hebei, Hubei, Guangxi, Yunnan, and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of China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after excluding 20 questionnaires with non-responses, 680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Ver 23.0 programme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follows. First, swimming instructor mentoring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instructor trust. Second, swimming instructor mentoring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Third, swimming instructor mentoring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Fourth, leader trust had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Fifth, leader trust has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Sixth, self-esteem has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These findings will help swim coaches in China improve their athletes' participation in training and competition, maximise their potential and provide positive guidance.

      •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가 지각한 코치 신뢰와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운동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양개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2170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들의 감독에 대한 신뢰,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과 운동만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변수들 사이에 직접과 간접의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더 검증하는 것이다. 중국대학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훈련 방법과 운동 성적의 향상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국 배드민턴 스포츠에 참고할 수 있는 경험 모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중국의 여러 대학교의 468명의 배드민턴 학생선수를 선정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18부를 제외한 450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코치 신뢰를 독립변수로,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SPSS 25.0과 Amos 24.0 소프트웨어를 통한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Bonferroni 사후검정(post-hoc), 탐색적 요인분석, Amos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코치에 대한 신뢰의 차이는 연령, 학년 및 운동경력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았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높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운동에 대한 자신감은 연령, 학년, 주당 운동 횟수 및 운동 경험에서 모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어린 집단이, 고학년 집단보다 저학년 집단이, 주중 운동 횟수가 적은 집단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 경험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많았다. 운동몰입에 대한 결론에 의하면 연령, 학년, 운동 경력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학년이 높은 집단보다, 운동 경력이 많은 집단이 연령이 적은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만족도 역시 연령, 학년, 운동 경험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어린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학년이 낮은 집단이 연령이 많은 집단보다, 운동을 많이 한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코치 신뢰 하위요인 감성적 신뢰, 인지적 신뢰, 행동적 신뢰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몰입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신체 및 정신적 준비, 코치지도력, 사회적 지지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배드민턴 학생선수의 운동몰입 하위요인 인지몰입, 행위몰입 성향이 운동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스포츠자신감, 운동몰입,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은 코치 신뢰와 운동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중개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preliminary research between coach trust, sports confidence, sports engagement and sports satisfaction. Specifically based on this research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 trust and sports confidence, sports flow, and sports satisfaction in Chinese badminton players. It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the training method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Chinese college badminton players,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empirical model for Chinese badminton sports. To this end, 468 badminton players from many universities in China were selected. After data verification, 450 samples were finally analyzed. In this study, coach trust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exercise confidence, exercise engagement, and exercise satisfaction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hrough SPSS 25.0 and Amos 24.0 software,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verification.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trust of coache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Groups with more sports experience are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e conclusions on sports confidence and confidence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weekly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upper-grade group, the group with less weekly exercis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more,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group with less. The conclusion of sports investmen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higher grade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than the younger group. The conclusion of sports satisfaction shows that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sports experience. The younger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the lower grade group is higher than the older group, and the group with more exercise experience is higher. For groups with little sports experience. Secon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elf-confidence. Third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the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Fourthly, it shows that perceptual trust, cognitive trust and behavioral trust tendencies of coach trust sub-factors of badminton playe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Fif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investment. Sixthly, the confirmation of badminton players' sports self-confidence sub-factor ability, physical and mental preparation, coach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tendency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Seventhly, it shows that cognitive investment and behavioral investment tendency of badminton players' sports investment sub-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sports satisfaction. Eighthly, Sports confidence, athletic immersion, sports confidence and athletic immersion have a partial intermediation effect between coach trust and athletic satisfaction.

      • 구기 종목 지도자의 멘토링이 지도자 신뢰, 긍정적 감정, 자아존중감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15994

        본 연구는 대학 구기 종목 지도자의 멘토링을 경력개발, 심리사회, 역할모형 기능으로 구성하여 지도자의 멘토링 요인 중 어떠한 부분이 지도자 신뢰, 긍정적 감정, 자아존중감 및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 구기 종목 지도자 멘토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21년 현재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경남, 전북 등의 10개의 대학에서 농구, 배구, 야구, 축구와 같은 구기 종목 선수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각 학교별 40부씩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391부의 유효자료가 최종 결과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구기 종목 지도자의 멘토링 요인 중 심리사회 기능, 경력개발 기능, 역할모형 기능 순으로 지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구기 종목 지도자의 멘토링 요인 중 경력개발 기능은 긍정적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구기 종목 지도자의 멘토링 요인 중 심리사회 기능, 경력개발 기능, 역할모형 기능 순으로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구기 종목 지도자의 멘토링 요인 중 경력개발 기능은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구기 종목 지도자 신뢰, 긍정적 감정, 자아존중감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구기 종목 지도자의 긍정적 감정은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기 종목 지도자 멘토링을 통한 지도자 신뢰, 긍정적 감정, 자아존중감, 경기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여 대학에서는 선수와 지도자의 멘토링을 위한 실질적이고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며, 지도자의 경우, 해당 종목의 지속적인 멘토링을 이루어진다면 이를 통한 대학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 신뢰, 긍정적 감정, 자아존중감, 경기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도자 신뢰, 긍정적 감정, 자아존중감 중 긍정적 감정이 경기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지하여 선수들의 긍정적 감정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이를 통한 대학 선수들의 경기력은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how university ball sports coaches' mentoring influenced trust, positive emotion, self-esteem, and performance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psychological factors, and role model functions.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study participants included ball sports players, such as basketball, volleyball, baseball, and soccer, at ten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Chungbuk, Chungnam, Gyeongbuk, Gyeongnam, and Jeonbuk provinc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400 responses, and the final 391 copies of valid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final results.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The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mentoring variables of university ball sports coaches, psychological function, career development function, and role model function impacted the coach's trust. Second, among the mentoring variables, career development significantly impacted positive emotions. Third, among the mentoring variables, psychological, career development, and role model function significantly impacted self-esteem. Fourth, the career development function significantly impacted performance. Lastly,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rust, positive emotions, and self-esteem on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coach's positive emo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all sports players'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y coaches' effective coaching can increase trust, positive emotions, self-esteem, and performance. Thus, Chinese universities need diverse support for university ball sports coaches' mentoring process. It was concluded that if continuous university ball sports coaches' mentoring is carried out, trust, positive emotions, self-esteem, and performance can be enhanced. In addition, if Chinese universities can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can increase positive emotion in university ball sports coaches, then positive emotions among trust, positive emotions, and self-esteem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players' performance. Thus, the performance of college sports players can be enhanced through effective coach mentoring.

      • 평가효과성과 피드백환경에 대한 고찰 : 직무열의 및 조직신뢰에 대한 성과코칭과 과업상호의존성의 영향에서 매개역할

        박수연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146

        조직과 평가자 입장에서 보던 평가효과성의 관점이 피평가자의 평가에 대한 반응으로 옮겨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피평가자의 평가 반응을 평가효과성으로 두고 그동안 다양하게 측정되어온 평가에 대한 반응이 평가효과성이라는 하나의 고차요인으로 존재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러한 평가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상사의 성과 코칭을 고려하였고, 개인의 직무와 조직에 대한 태도로서 평가효과성이 직무열의 및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평가효과성이 성과코칭과 결과변인들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평가 맥락을 팀 수준에서 고려하여 팀의 과업상호의존성이 팀 피드백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피드백환경이 교차수준에서 직무열의와 조직신뢰에 나타내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피드백환경이 과업상호의존성과 결과변인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교차수준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29개 팀에서 214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개인수준에서 평가효과성은 성과코칭과 직무열의 및 조직신뢰를 매개하였으며 피드백환경은 과업상호의존성과 직무열의 및 조직신뢰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평가효과성의 고차요인을 검증하고 개인수준과 팀 수준에서 통합적인 매개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mediation effects of performance appraisal effectiveness and feedback environment in the team context. The study examined mediating effect of appraisal effectiveness at individual level and feedback environment at cross-level on the job eng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trust from performance coaching at individual level and task interdependence at team level.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test individual and team level mediation simultaneousl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4 employees in 29 team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HLM and LISREL. In order to verified higher-order factor of appraisal effectiveness, it was examined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n this study, Mulit factor(6 factor) model was identified the best fit model among the competing models of appraisal effectiveness. But higher-order factor model was also good fit as well as multi-factor(6 factor) model.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es showed that there was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appraisal effectiveness on th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from performance coaching at individual level. At team level, the cross-level direct effect of the feedback environment on th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there was significant cross-level mediating effect of feedback environment on the job engagement and the organizational trust from the task interdependence.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team management and appraisal effectiveness.

      •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f Chinese University Tennis Coaches on Athletic Performance

        ZHANG MENGTIAN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66862

        College sports coaches play an important and far-reaching role in improving the special qualities and achievements of college athletes and cultivating talents at numerous different levels in various sports as leaders of physical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ccording to sports training and sports psychology research, coaches have control over the training process,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ultivating excellent athletes and improving the level of sports skills and tactics, an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athletic players' competitive performance. Coaches play the roles of decision makers and implementers in organizing and mobilizing athletes to participate in sports training and competitions, as well as motivating them to strive for excellent results and achieve successful competition goals. The effectiveness of the coach's leadership is directly related to the sports team's accomplishments and the athletes'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training and competition. As a result, in order to improve the management level of Chinese college sports coaches and scientific organization training, promote the healthy development of ordinary college sports projects, cultivate sports talents, and carry forward and spread sports culture, a thorough research of the current situation of Chinese college sports coaches' leadership behaviors, analysis, and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coaches' leadership behaviors and their effectiveness, has been conducted. This paper develops a theoretical model of authentic leadership on the sports achievements of tennis players. It based on the theoretical analysis of grit, trust, and regulation focus.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conducts empirical tests of the nine hypotheses proposed by this research using the recovered 368 valid samp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trust, grit, adjustment focus, and tennis player accomplishment were confirmed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strongly support the influence models of authentic leadership of coaches proposed in this study. Empirical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 that: (1)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athletic performance; (2) Trust has a positive impact on movement results; (3)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rust; (4) Trust serves as an intermediary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athletic performance; and (5) Grit has a positive impact on athletic performance. (6) The real force has a positive impact on grit; (7) Grit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campaign outcomes; (8) Promotion focus positively mod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trust; and (9) Promotion focus positively mod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grit. The integration model demonstrates the way and path of authentic leadership of college tennis coaches on the achievements of tennis players. In the field of sports social psychology research, it has always been a sports leadership issue as an important topic to discuss the interpersonal interaction between coaches and athletes. Currently, relevant research has only clarified that the effectiveness of coaches' leadership behavior is related to factors such as leader quality, leader style, situational factors, and leader characteristics.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behaviors generated by the interactions of these factors is limited. This study bridges the gap between coaches' authentic leadership behavior and the mutual influence mechanism of their trust and athlete perseverance on the playing field. Moreover, it can make up for the gap between the influence of the coach's leadership behavior on the athletic performance in the research direction of this topic and mak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aches' leadership behavio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and the athletic performance, which has certain theoretical significance. This study also attempts to attract the attention of scholars and related experts in the Chinese tennis field, so that the influence of coaches' leadership behavior on athletes' athletic achievements can develop in a more diverse direction. In the future, the coaches aim to make a modest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China's sports cause by giving some theoretical reference in the methods and strateg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 and athletic performance.

      •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지도자 신뢰, 스포츠몰입 및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만만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66810

        본 연구는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이 지도자 신뢰와 스포츠몰입 및 경기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중국 남부(광동성, 광시성, 하이난성, 홍콩, 마카오)의 중, 고등학교 테니스 선수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612부의 설문지를 배포했다. 재회수된 설문지 중 신빙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12부를 제외하고 모두 60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의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 지도자 신뢰, 스포츠몰입 및 경기수행능력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지도자 신뢰가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 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지지 행동, 긍정적 보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스포츠몰입이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의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 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지지 행동, 긍정적 보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경기수행능력이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의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 행동, 사회적 지지 행동, 긍정적 보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 행동과 권위적 행동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지도자 신뢰는 스포츠몰입이 지도자 신뢰의 하위요인인 성실성, 개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성, 일관성, 이타성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지도자 신뢰는 경기수행능력이 지도자 신뢰의 하위요인인 성실성, 능력성, 일관성, 개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 테니스 지도자의 스포츠몰입은 경기수행능력이 스포츠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 몰입과 행동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테니스 지도자의 리더십 행동은 청소년 선수의 지도자 신뢰와 스포츠몰입 및 경기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테니스 지도자들이 자신의 팀에 맞는 리더십 행동을 찾아 지도한다면 청소년 선수들에게 있어 훈련 및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경기수행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nese tennis coaches' leadership behaviors on youth players' leader trust, athletic commitment,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total of 61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 and high school tennis players in southern China (Guangdong, Guangxi, Hainan, Hong Kong, and Macau)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Using the sampling method, 6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except for 12 questionnaires that were deemed unreliable, and 60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subjected to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Chinese tennis coaches' leadership styles, leader trust, athletic commitment, and playing ability differ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leadership styles of Chinese tennis coaches showed that trus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ubfactors of coaches' leadership styles: training and directing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Third, the leadership styles of Chinese tennis leaders showed that athletic commit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ubfactors of leader leadership styles: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Fourth, as for the leadership styles of Chinese tennis leaders, athletic compet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ubfactors of leader leadership styles: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The effects of democratic and authoritarian behavi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Chinese tennis coaches' athletic commit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rust subfactors of loyalty and openness. The effects of competence, consistency, and altruism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Chinese tennis coaches' athletic 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 subfactors of loyalty, competence, consistency, and openness. Altruism, on the other h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nth, Chinese tennis coaches' performance 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which are sub-factors of athletic commitment.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tennis coaches' leadership styles influence youth athletes' trust in their leaders, athletic commitment, and performance. Therefore, if tennis coaches can find the right leadership style for their teams, it will not only have a positive impact on youth athletes' training and daily life, but also improve their performance.

      • 내·외부 코칭유형에 따른 코칭리더십이 개인 및 조직 직무차원의 성과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3409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oaching leadership affects job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and structurally examine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on customer orientation. Furthermore, the coaching type was divided into internal coaching department, supervisor coaching, and external coaching, and logically establish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luence between each coaching typ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competence development, accountability, and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Also, it is that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t the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efficac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is means that the coaching leadership is helpful it is to increase their personal and organizational job performance. The coaching types also were divided into three and the meaning of each type was examin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supervisor coaching, it was found that the direction,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level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 level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efficacy). And, the competence development of coaching leadership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In addition, it showed that self-efficacy, organizational trust, organizational efficacy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n the case of the coaching department, it shown that the direction, competence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In addition,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t the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efficac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n the case of external coaching, it showed that the direction, competence development, accountability of coaching leadership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trust, and competence development. Also, the relationship of coaching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 Moreover, it appeared that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organizational trust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coaching activities need to be strategically approach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mpany by verifying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each coaching type. Furthermore, By comparing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in each job performance affecting customer orientation, the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job performance that leads the behavior for customer orientation can be established and the standards for what to manage and can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is proposing the necessity of systematically designing a coaching education (training) program.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이 개인적 차원과 조직적 차원에서 직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코칭리더십과 개인적 및 조직적 차원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코칭유형을 내부코칭(상사코칭, 사내코칭)과 외부코칭으로 구분하여 각 코칭유형에 따른 경로 간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논리적으로 규명하자 하였다. 연구결과,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 역량개발, 수행평가, 관계 모두 개인적 차원과 조직적 차원의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코칭을 통해 이루어진 개인적 차원의 직무만족, 자기효능감과 조직적 차원의 조직신뢰, 조직효능감 모두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구성원들이 코칭리더십을 지각할수록 개인적 차원의 직무성과와 조직적 차원의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또한 코칭 유형을 세 가지로 구분하고 각 유형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상사코칭의 경우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관계는 개인(직무만족, 자기효능감) 및 조직(조직신뢰, 조직효능감) 직무차원의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량개발은 직무만족과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 조직신뢰, 조직효능감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내 전담부서의 코칭의 경우,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 역량개발, 관계 모두 개인적 차원의 직무만족, 자기효능감과 조직적 차원의 조직신뢰, 조직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조직신뢰, 조직효능감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외부코칭의 경우,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는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량개발와 수행평가는 개인(직무만족, 자기효능감) 및 조직(조직신뢰, 조직효능감) 직무차원의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계는 조직적 차원의 조직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조직신뢰는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각 코칭유형에 따른 차별적인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코칭활동이 기업의 목적에 따라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각 직무성과가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고객지향성을 위한 행동을 이끄는 개인적 혹은 조직적 직무성과 어떤 것을 관리할 지에 대한 기준을 세우고, 조직구성원의 성과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는 코칭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설계해야하는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