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환경재난 보도 프레임 연구 : 한⋅중 신문의 미세먼지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조박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37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미세먼지 보도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관심으로 출 발했다. 미세먼지는 지금 전 세계적인 환경문제로 한·중 양국이 공통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가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면서 미세먼지는 단순한 환경문제가 아닌 인간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환경재난으로 봐야 한다. 이에 따라 한·중 양국 신문보도를 통해 한국과 중국에 미세먼지가 어떻게 발현하고 있으며 양국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를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미세먼지 발생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크게 한·중 양국 미세 먼지 관련 기사의 보도특성, 한·중 양국 미세먼지 보도의 차이, 한·중 양국 미세먼지 보 도의 주요 정보원별 프레임 유형 등 3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한 국의 <조선일보>, <한겨레>, <부산일보>, <경인일보>, <한라일보>와 중국의 <인민일 보>, <중국청년보>, <북경만보>, <신민만보>, <하북일보>로 총 10개 신문을 선정하였 다. 본 연구의 연구 기간은 2005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로 설정하였으 며 기사유형, 정보원, 프레임 등의 유목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신문의 기사유형의 경우 스트레이트 기사 위주로 나타났다. 하지만 2시기에 들어가면서 스트레이트 기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시기보다 감소하였고 단신기사의 건수는 1시기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원의 경우 정부관련 정보원 이 많이 등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전문가 등 지식인 관련 정보원이 많이 나 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두 시기에 가장 많이 나타난 프레 임 유형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과 '발생현황 프레임'이었다. 이어서 발생원인 프레임, 경제 프레임, 미세먼지 위험/피해 프레임 등의 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 신문의 기사유형의 경우 두시기에 보도 건수의 차이가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은 2013년 이전에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1시기의 기사유형 중 스트레이트 기사가 절대적인 비율을 차지하였고, 2시기에 들어가면서 스트레이트 기사의 건수가 많이 나타났지만 해설/기획 기사의 건 수가 1시기보다 대폭 증가하였으며 스트레이트 기사와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정보원의 유형을 보면 1시기에 등장한 정보원은 정부관련 정보원 위주로 나타났으며 2 시기에도 주요 등장한 정보원 유형이 1시기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국 신문의 프레임 유형을 분석한 결과, 1시기의 주요 프레임 유형은 발생현황 프레임으로 확인되었으며 2시기에 들어가면서 발생현황 프레임이 많이 나타났지만 다른 프레임 유 형도 1시기보다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한·중 양국 전체 신문이 보도한 미세먼지 관련 기사를 비교한 결과는 중국의 해설/기획 기사의 건수가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 중에 사설이 없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중 양국 신문의 정보원을 보면 중국 신문 중에 환경부, 일 반 시민, 학자 등 정보원이 많이 등장하였으며, 한국 신문 중에 정부 기타 부문, 기업인 /기업, 학술 단체 등 정보원들이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한·중 신문의 프레임 유 형은 주요 프레임 유형 간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 신문 중에 발생현 황 프레임은 전체 프레임 유형 중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중국 신문의 경우 발생원인 프레임과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의 건수는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났다. 넷째, 한·중 중앙지 신문의 보도 기사를 비교한 결과 1시기에 한국 중앙지 신문의 기 사 건수가 중국 신문보다 많았다. 모든 기사 유형에서는 한국 신문이 많이 나타난 것으 로 확인되었으나 전체 기사 유형을 보면 한·중 중앙지 신문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중 중앙지 신문의 정보원 유형을 비교한 결과, 양국 신문이 모두 정부 관련 정보원이 많이 등장하였다. 이 중에 1시기에 해당하는 중국 중앙지 신문의 건수가 많지 않아 한국 중앙지 신문보다 정보원 유형이 단일화 된 것을 확인하였다. 2 시기의 경우에는 양국 중앙지 신문에 정부 관련 정보원이 공통적으로 많이 등장하였지 만 한국 신문은 사회단체가 더 많이 등장하였고 중국 신문은 일반 시민이 더 많이 나 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양국 신문의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는 1시기에 정부대응 정책 프레임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 중은 미세먼지 대응 제품/홍보/기술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신문은 경제 프레임, 국제 미세먼지 위기 프레임 등 유형이 더 많이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한·중 지방지 신문을 비교한 결과는 한국 신문이 주로 스트레이트 기사 위주 로 보도하였지만 중국 신문은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해설/기획 기사가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정보원의 경우에는 한국 신문 중에 정부 기타 부문, 기업인/기업, 학술 단체 등 정보원 유형들이 많이 등장한 반면, 중국 신문의 경우 환경부, 일반 시민, 의료 전문가 기상청 등의 정보원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한·중 지방지 프레임을 비교한 결과, 한국 신문 중에 미세먼지 대응 제품/홍보/기술 프레임, 경제 프레임 등 유형이 중국 신문보 다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 신문은 발생원인 프레임, 책임 프레임이 한국 신문 보다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한·중 신문의 주 정보원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한 결과는 환경부와 관련 한 프레임 유형을 보면 한국 신문보다 중국 신문 중에 발생원인 프레임이 더 많이 나 타났다. 한국 신문 중에 발생현황 프레임과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 더 많이 나온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 신문 중에 등장한 기업인/기업 정보원이 중국 신문보다 많이 등장한 것이었기 때문에 관련 프레임 유형도 중국 신문보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국 신문 중에 등장한 정보원 유형도 다양하였지만 모든 정보원이 관련한 주요 프레임 유 형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한·중 중앙지 신문의 주 정보원과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하였다. 그 결 과, 한국 신문은 기업인/기업 정보원이 경제 프레임 기사에 자주 등장하였지만, 중국 신문 중에 기업인/기업과 관련한 프레임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많 이 나타났다. 그리고 중국 신문과 한국 신문의 공통점으로 모든 프레임에서 가장 많이 연관성이 있는 정보원은 정부 기타 부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 신문의 '정부 중심 적' 보도의 특성이 한국 신문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여덟째, 한·중 양국 지방지 신문의 주 정보원과 관련한 프레임 유형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한·중 신문 중에 등장한 정부 기타 부문과 관련 한 프레임은 정부 대응 정책 프레임과 발생원인 프레임, 경제 프레임 등 유형으로 확인 되었다. 이외에 중국 신문은 책임 프레임이 한국 신문보다 많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 다. 그리고 한국 신문은 미세먼지 위험/피해 프레임의 경우 정보원이 없는 기사가 많았 지만, 중국 신문은 환경 전문가가 정보원으로 많이 등장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중 중앙지와 지방지가 보도한 미세먼지 관련 기사를 분석하여 한·중 양 국 신문이 미세먼지 같은 환경재난을 보도할 때 어떤 차이성이 있는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15년 동안 보도한 기사를 표본 추출 방법을 통해 분석 유목 중에 정보원과 프레임을 주·부로 분류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전에 시 도되지 않았던 한·중 미세먼지 등의 환경재난 관련 비교연구의 부족을 개선하였으며 중 요한 참고자료가 됐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하는 바는 미세먼지 등 전 지구적 환경문제는 각 국가들 간에 대립이 아닌 공동적으로 대응 협력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originates from an interest in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their reports on particulate matter (PM). Particulate matter is now a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 and both South Korea and China pay attention to the issue. Meanwhile, a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signated PM 2.5 as a first-class carcinogen, particulate matter should be viewed as an environmental disaster that can present threats to human life, not just an environmental problem.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how particulate matter arises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how both countries respond to i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report characteristics of PM-related article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difference of PM report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and the frame type by main sources of PM reports from South Korea and China were established as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In addition, the <Chosun Ilbo>, <Hankyoreh>, <Busan Ilbo>, <Gyeongin Ilbo> and <Halla Ilbo> of South Korea, and the <People’s Daily>, <China Youth Daily>, <Beijing Evening News>, <Xinmin Evening News> and <Hebei Daily> of China were set as research targets. The research period of this study ranged from January 1, 2005 to December 31, 2019, and the types of category (such as article types, information sources and fram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rticle types in Korean newspapers, straight articles were dominant. However, towards the second period, the proportion of straight articles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brief news articles increased further from the first period. In the case of information sour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was the highest in Korean newspapers, followed by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intellectuals, such as expert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frames found that the most common frame types in both periods were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 and occurrence status frame, followed by the occurrence cause frame, economic frame, and PM risk/damage frames. Second, the article types of Chinese newspaper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ports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uggests that China was rarely interested in particulate matter before 2013. In the first period, straight articl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Towards the second period, the number of commentary/planning article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and the difference from the straight articles was not larg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were most dominant in the first period, and the dominant information sources that appeared in the second perio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first period.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frame types of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the main frame type of the first period was the occurrence status frame, and the number of other frame types increased from the first period although the occurrence status frame was still dominant towards the second period. Third, a comparison of PM-related articles i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mmentary/planning articles in Chinese newspapers was higher than that in Korean newspapers, and there were no editorials among Chinese newspape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formation sources such a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general citizens and scholars recorded a high percentage in Chinese newspapers, whereas information sources from the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businessmen/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constituted a large percentage in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main frame typ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The occurrence status frame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e total frame types in Korean newspapers, but the number of occurrence cause and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was higher in Chines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Four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reports of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in the first period, the number of articles in metropolitan newspapers was higher in South Korea than in China.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in all article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Regarding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were dominant in both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Meanwhile, it was found that as there were not many metropolitan newspapers in China during the first period, the type of information sources was further unified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newspapers of South Korea. In the second period, many government-related information sources appeared i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of both countries. However, more social groups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whereas more general citizen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frames of papers in both countries confirmed that in the first period, many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a smaller number of PM response product/promotion/technology frames, while Korean newspapers showed a larger number of economy and international PM-related risk fames in comparison. Fif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confirmed that the Korean newspaper reports were mainly on straight articles, but Chinese newspapers had more commentary/planning articles than straight articles. Meanwhile, more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businessmen/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appeared as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newspapers, while such information sources as the Ministry ofEnvironment, general citizens, medical experts and meteorological office most commonly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e comparison of frames in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revealed that a higher number of PM response product/promotion/technology frames appeared in Korean newspapers, whereas there was a larger number of occurrence cause and responsibility frames in Chinese newspapers. Sixth, the results of a comparison of frame types related to main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showed that in relation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re occurrence cause frames were found in Chinese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Meanwhile, more occurrence status and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among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since there were more information sources such as businessmen/ corporations, and academic organizations in Korean newspapers than in Chinese newspapers, the related frame types were also more diverse in Korean newspapers. However, although the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that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were diverse, the main frame type related to all information sources was identified as th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 Seventh, the frame types related to the main information sources of metropolitan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follows. In Korean newspapers, such information sources as businessmen/corporations frequently appeared in economic frame articles. However, even in articles related to businessmen/corporations among Chinese newspapers, more government response policy frames appeared than in Korean newspapers. In addition, the most relevant information source in all frames was found to be government, except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a common point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centered' reports in Chinese newspapers were not found in Korean newspapers. Eighth, there was a difference in frame types related to the main formation sources of local newspapers in South Korea and China. First of all, the frames related to government and other sectors that appeared in Korean and Chinesenewspapers included the government response frame, occurrence cause frame and economic frame. Next, more responsibility frame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than in Korean newspapers.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case of PM risk /damage frames, there were many articles without information sources in Korean newspapers, but many environmental experts appeared in Chinese newspapers as information source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wspapers in reporting environmental disas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M-related articles in both metropolitan and local newspapers. With respect to articles reported for 15 years, information sources and frames were classified as the main and sub-categories of analysis using a sampling method to derive objective results. In situations where there were few attempts to conduct comparative studies related to environmental disasters such as particulate matter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because it can serve as important reference data for future research on environmental disaster reports in South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e implication of research results is tha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particulate matter, should be addressed through cooperation among countries, not confrontation between countries.

      • 중-한 문화소 번역의 포스트에디팅(PE) 연구 : 기사 번역에서 기계번역의 활용 방법을 중심으로

        맹아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875

        This study is a post-editing study of Chinese-Korean Cultureme translation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translation articles and machine translation.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37 Chinese articles with various topics such as international,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which were most recently published in Chinese media between March 2021 and August 2021. The Cultureme PE objects that appeared in the Google translation of the selected articles and the Naver Papago translation results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Lee Geun-hee (2005)'s Cultureme categorization. And the Post-editing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Venuti (1995)'s localization and foreign translation strategies.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do machine translation post-editing for learners who are learning Chinese-Korean transla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among 276 Cultureme, the number of PE subjects of Google Translator and Naver Papago Translator was 93 and 103. And the selection rates were not low at 33.70% and 37.32%. Looking at the selection ratio of PE targets based on the total number of Cultureme in Google Translator, Idioms (39.44%) > Vocabulary related to a specific culture within the source culture (37.33%) > Vocabulary related to a specific event or person within the source culture ( 31.58%) > proper nouns (28.71%) > weights and measures (20.00%) in the order of units. In addition, Naver Papago Translator uses weights and measures (70%) > idioms (47.89%) > vocabulary related to a specific culture within the source culture (46.67%) > vocabulary related to a specific event or person in the source culture (36.84%) > proper nouns (19.80) %) in the order of units. Also, looking at the PE method used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ranslation strategy was in the order of localization (37 times) > foreignization (24 times). Among them, the frequency of use of the lower-level method among the localization translation strategies was in the following order: the paraphrase (phrasing) method (32 times) > the method of using a substitute word (2 times) > the method of translating into a higher language (2 times). Among the foreign translation strategi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ub-method was in the following order: transliteration method (12 times) > direct translation into Chinese characters (10 times) > method of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words/native languages (2 times). Looking at the translation strategies, the localization strategy was used relatively frequently, and the paraphrase (spelling) method was found to be the most used among them, and the method using an alternative word appeared to be the least frequently used. This study was able to find out through statistical figures how accurate machine translation was for the Chinese-Korean Cultureme shown in newspaper article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Chinese-Korean translation learners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Cultureme when conducting post-editing practice. In addition, this study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Chinese-Korean translation learners to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perform post-editing at the Cultureme. It can be a resource in the field of post-editing education and research, which helps to cultivate more post-editing talents, which are in increasing demand in the translation market.

      • 가독성 제고를 위한 신문사설 중한 번역전략 연구

        안양양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860

        For a long time, China and South Korea have share close geographical relations and built deep friendships. Under the guidance of the “Go Global" policy, many famous news sites have opened a Korean language section in order to let people from South Korea know more about the situation and claims of China,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Korean translation. Newspaper editorial, as one of the basic genres of news, is highly valued by the news media. Therefore, it is often regarded as the heart of newspapers. Such a genre of news has its unique linguistic features and irreplaceable roles. People's Daily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newspapers in China and the newspaper editorials on it have attracted many readers with their distinct opinions, deep analysis and global viewpoints. It is of practical significance to tell the story of China and to create a good image of China through newspaper editorial translation. However, low-quality translation will adversely affect the reading experience, and even more destroy th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Readability is one of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quality of translation, so improving the readability of newspaper editorial translation is a task worth studying in depth.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ewspaper editorial translation and explains the study background and purpose. Also it sorts out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translation of newspaper editorial and readability theory. Chapter Two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t summarizes the translation status of newspaper editorial and systematically introduces the readability theory. The Third chapter translates 20 newspaper editorials about social phenomenon into Korean by using the readability theory. Chapter Four puts forward 8 corresponding translation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readability of newspaper editorials from vocabulary and syntax aspects. The last chapter is the ending of the study, pointing out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 중국 신문의 ‘삼성 갤럭시 노트 7’ 보도 분석

        이아청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857

        언론의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는 각종 사안에 대한 여론을 형성하는 것이다. 기업 혹은 상품에 대한 여론 또한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대한 여론은 사람들의 소비 관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차원에서 최근에 발생한 ‘삼성 갤럭시 노트 7’ 폭발 사건과 관련하여 언론사들이 이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민일보>, <광명일보>, <중국청년보>, <법제일보>, <신경보>, <경화시보> 등 중국의 대표 신문이 ‘삼성 갤럭시 노트 7’ 관련 보도를 어떻게 프레이밍 했는지 분석했다. 분석기간은 ‘삼성 갤럭시 노트 7’을 출시한 2016년 8월 2일부터 관련 사건이 종료된 2016년 11월 30일까지이다. 분석대상 기사는 해당 신문사의 홈페이지에서 ‘三星 NOTE 7(삼성 노트 7)’을 검색하여 나온 기사들에 한정하였다. 수집된 기사는 총 109건이며, 그 가운데 관련이 없는 기사 33건을 제외한 총 분석대상 기사는 76건이었다. 분석유목은 보도건수, 기사유형, 게재면, 정보원, 프레임 등이다. 분석결과, 중앙신문과 지방신문의 삼성 갤럭시 노트 7 관련 보도건수에는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중앙신문의 경우, <인민일보> 4건, <광명일보> 7건, <법제일보> 8건, <중국청년보> 4건으로 총 23건이 보도되었다. 반면, 지방신문의 경우에는 <경화시보> 32건, <신경보> 21건으로 총 51건이 보도되었다. 정보원에서는 삼성 정보원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으며, 이어 언론, 중국민용항공국,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 소비자협회, 항공사, 소비자, 기타, 무 정보원, 정부, 기업 등의 순으로 자주 등장했다. 모든 신문사에 삼성 정보원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프레임의 경우에는 ‘리콜(배상) 및 태도 프레임’ 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이어 ‘안전 프레임’, ‘폭발 사건 프레임’, ‘폭발 원인 프레임’, ‘삼성 이익/손해 프레임’, ‘출시 프레임’, ‘시장경제 프레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앙신문인 <인민일보>와 <법제일보>, 그리고 지방신문인 <경화시보>에서 ‘리콜(배상) 및 태도 프레임’을 가장 많이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 프레임’, ‘폭발 사건 프레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프레임은 비슷한 비율로 등장했다. 결과적으로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삼성 갤럭시 노트 7’에 대한 중국 중앙신문과 지방신문 간의 보도특성에는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the media is to form public opinion on various matters. The same is applicable to companies or products. For instance, public opinion on a specific product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notion of consumption. In this regard, it can be concluded that examining how the media deals with the explosion of ‘Samsung Galaxy Note 7’ carries with it great significance. Thus, this study has analyzed how representative Chinese newspapers, such as <People’s Daily>, <Guangming Daily>, <China Youth Daily>, <Legal Daily>, <The Beijing News>, <Beijing Times>, etc., time framed the reports on the ‘Samsung Galaxy Note 7’. The period of analysis was from August 2, 2016, when the ‘Samsung Galaxy Note 7’ was launched, to November 30, 2016, when the case concluded. The articles chosen for analysis were limited to those searched by the keyword ‘三星 NOTE 7 (Samsung Note 7)’ on the websites of each newspaper. There were a total of 109 articles collected, and 76 of these were analyzed so as to exclude 33 articles that were not related to the subject. The categories of analysis included the number of reports, type of article, published page, informant, and frame. Up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ports related to Samsung Galaxy Note 7 in central government newspapers and district newspapers. With respect to central government newspapers, a total of 23 articles were published with 4 articles by <People’s Daily>, 7 articles by <Guangming Daily>, 8 articles by <Legal Daily> and 4 articles by <China Youth Daily>. In contrast, a total of 51 articles were published by district newspapers, with 32 articles by <Beijing Times>, and 21 articles by <The Beijing News>. Samsung sources were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informants, followed by the media, the 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General Administration of Quality Supervision, Inspection and Quarantin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onsumers’ Association, airlines, consumers, other, no informants, the government, and finally companies. In all the newspaper reports, Samsung informants were the most frequently displayed. With respect to frame, ‘recall (compensation) and attitude frame’ was the one that most frequently appeared. This frame was followed by the ‘safety frame’, ‘explosion case frame’, ‘explosion cause frame’, ‘Samsung profit/loss frame’, ‘launch frame’, and ‘market economy frame’. In particular, the central government newspapers, < People’s Daily> and <Legal Daily>, and the district newspaper <Beijing Times> emphasized ‘recall (compensation) and attitude frame’ the most. Furthermore, the ‘safety frame’ and ‘explosion case frame’ were relatively highly displayed, while the other frames appeared in similar proportions. Conclusively, it was displayed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porting characteristics between Chinese central government newspapers and district newspapers regarding the ‘Samsung Galaxy Note 7’ and that it is dependent on the disposition of the newspaper.

      • 사회주의 시장화에 따른 신문 지면편집 변화에 관한 연구 : 연변일보 정치기사, 스포츠기사, 광고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양춘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655

        Chinese newspaper had not been a kind of enterprise but a tool of the china communism party before 1978. Therefore Chinese newspaper company depend on subside from Chinese government and was under control of the government. But since 1978, the subside has been reduced and Chinese newspaper has been industrialized. The way to edit newspaper has been changed.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what were being changed in editing newspaper as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decreased focusing on the industrial change of newspaper companies. Chinese newspaper industry is in relatively unique situation that is the newspaper should serve as a tool of public opinion for the party and make a profit to survive as well. Previous research about the government’s control on the Chinese newspaper and the socialism market economy of the newspaper industry is in the 2nd and 3rd chapter.In order to know how much the controls of Chinese party have been reflected to edit the newspaper and the editing way was changed, the number and the area of political articles, sports articles, and advertisement in theyan bian ri bao in 1977 and 2004 were researched.As a result, while the political articles decreased, the sports articles and the advertisement increased in 2004 compared with those in 1977.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proved that the subside from the government was decreased and the Chinese newspaper was industrialized, interviewing four Chinese newspaper reporters.The Chinese newspaper has been industrialized naturally because of the decrease in the subside from the government. So this reform is from top to bottom, and also accepts the control from the government. In other words, Chinese newspaper still play a role for the communism party, intending the socialism market economy as well. Therefore, it’s not simple to analyze the Chinese newspaper with capitalism or communism. 1978년 이전 중국의 신문은 대표적인 정당 신문으로서 신문의 도구적 역할만 강조하였으므로 신문이 산업이라는 점은 묵살되었다. 신문사의 운영은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하에 있었으며 국가의 재정보조금에 전적으로 의존하였었다. 하지만 1978년부터 이러한 상황은 변화되어 신문사에 대한 국가의 보조금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었고 신문의 산업적 측면도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신문의 산업적 측면이 부각되면서 신문지면의 편집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과거 신문전면을 차지하던 정치기사는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중시를 받지 못하던 광고와 스포츠 기사 등이 신문지면에서 점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신문산업의 변화를 주목하였고 또한 중국의 언론 연구에서 당과 정부의 통제가 신문지면의 편집에서 어느 정도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하므로 이 문제를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중국의 신문산업을 조망할 이론적인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현재 중국의 신문산업은 그 자체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당의 지도하에서 당의 여론도구로 기능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산업으로써 이윤을 창출하여 시장에서 살아남아야 하게 되었다. 하여 제2장에서는 당이 언론에 대한 지도가 정치적, 경제적, 조직적 등 면에서 어떻게 체현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고 제3장에서는 개혁개방 이후 신문이 산업으로 되면서 신문이라는 특수한 상품이 시장에서 어떻게 이윤을 창출하고 자본축적을 하는지를 자본주의 생산기업의 논리와 신문산업의 특수한 경제적 구조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신문산업의 시장화 특성이 어떻게 신문산업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 놓았는지를 설명하였다. 제4장에서는 연구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제5장에서 구체적으로 1977년과 2004년 정치기사, 스포츠기사, 광고의 건수와 면적을 조사하여 보았다. 결과 2004년 정치기사는 1977년에 비하여 그 건수와 면적이 대폭 감소하였고 스포츠 기사와 광고는 그 건수와 면적이 대폭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제6장에서는 인터뷰를 통하여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국가의 재정보조금의 감소로 인한 신문사의 시장화 지향에서 기인하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마디로 중국 언론의 시장화는 국가의 재정보조금의 감소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일어난 것이며 위로부터 아래에로의 개혁이다. 때문에 이런 시장화는 근본적으로 당의 언론에 대한 통제를 부인하지 않는다. 즉 여전히 당의 언론도구로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언론이 시장화를 지향하고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단순한 시장성 논리로 중국의 언론을 분석할 수 없으며 마찬가지로 정당지로의 작용만을 한다고 단언하기도 어렵다. 그런 점에서 중국의 언론은 사회주의 선전도구이자 시장경제의 실천자이다.

      • 병렬말뭉치 기반 한 중 사동표현의 대조 연구 : 유표지 사동을 중심으로

        이문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632

        目前韩·中使动和中·韩使动表现主要是以理论性对比研究为主,利用实际生活中的语言资料来对韩·中使动表现对比关系进行分析的研究还很少。因此本文的研究目的是双方向阐述韩·中使动和中·韩使动表现在日常生活中的实际使用现象和对应关系,为此构建了170万语节的韩·中平行语料库,由同规模的报纸平行语料库和电视剧本平行语料库构成。本文利用平行语料库和对比的研究方法,对语料库中韩·中使动表现的类型和结构上进行细致的分析研究,并从韩·中和中·韩两个对比方向来全面详细的阐述他们之间的对比关系。平行语料库中的韩语使动表现8,191个例句,中文使动表现7,188个例句。全文共分为七章。 第一章绪论部分介绍了研究目的及必要性,研究资料及研究对象,研究方法及研究过程。以及分析先行研究,提出了新观点。 第二章是介绍了平行语料库,对照分析的理论背景,并阐述了韩·中使动表现,特别对韩·中学界使动表现的类型和结构进行了分析,确定了本文使动表现类型和结构的研究基准。 第三章对平行语料库中8,191个韩语使动表现例句和7,188个中文使动表现例句进行了类型和结构上的分析,并对此结果进行了分析对比。特别针对书面语和口语中出现频率高的使动词进行了阐述,并和韩语教材上的使动词进行了比较分析。 第四章是韩·中对比方向的研究。针对韩语的第一使动,第二使动,第三使动的类型和结构分别与中文的哪些表现相对应进行了分析研究,其中,着重阐述了他们之间的对应关系和趋向性,并针对为什么会出现这种对应现象进行了解释说明。韩语使动表现不仅与中文的使动相对应,还与中文的被动,一般句子相对应。另外,分析研究的结果显示,韩语的第一使动,第二使动,第三使动与中文表现的对应存在一定的对应趋向性。其中,在书面语和口语中他们之间的对比关系也存在着差异。 第五章是中·韩对比方向的研究。针对中文有标志使动(让,使,令,叫,把,给)的类型和结构分别与韩语的哪些表现相对应进行了分析研究,其中,着重阐述了他们之间的对应关系和趋向性,并针对为什么会出现这种对应现象进行了解释说明。中文的有标志使动不仅与韩语的使动相对应,还与韩语的被动,一般句子相对应。另外,分析研究的结果显示,中文有标志使动(让,使,令,叫,把,给)与韩语表现的对应存在一定的对应趋向性。其中,在书面语和口语中他们之间的对比关系也存在着差异。 第六章综合阐述分析了韩·中和中·韩双方向使动表现对比结果的相同点和相异点。韩·中使动对比结果中出现了韩语使动表现分别与中文的使动表现,被动表现,一般表现相对应的现象。中·韩使动对比的结果中也出现了中文使动表现分别与韩语的使动表现,被动表现,一般表现相对应的关系。其中,在书面语和口语中他们之间的对比关系也存在着差异。由此可见,韩·中和中·韩的对比结果存在着相同点。另外,韩·中和中·韩的对比结果的差异是中文的使动有有标志使动和无标志使动,而韩语的使动都是有标志使动。因此韩·中对比的现象比中·韩对比更复杂,更多样化。另外,在结构对比上韩语使动结构对比的现象比中文的更复杂,更多样化。 第七章是结论部分着力阐述了本文双方向对比研究结果的差异性及其原因。并详细阐述了用本文研究结果可以对先行研究结果的局限性进行补充完善。 本论文的研究意义在于运用了平行语料库,对韩语使动表现与中文表现,中文使动表现与韩语表现进行了双方向全方位系统的对比。研究出了不同于先行研究的结果。先行研究的结果是韩·中使动是单一的一对一的对比关系,而本论文的研究结果韩·中使动是多对多的复杂的对比关系,并对此进行了细致的分析论证。他们之间的对比关系是韩语的使动表现存在着与中文的使动表现,被动表现,一般表现相对应的关系;中文的使动表现存在着与韩语的使动表现,被动表现,一般表现相对应的关系。综合分析了韩·中和中·韩使动双方向的对比结果,比较了使动表现的类型和结构分别与对方语言对比结果的相同点及相异点。阐述了韩语使动或中文使动表现与对方语言对应各种表现中‘一般表现’对应趋向最高的新观点。另外,本论文不仅对韩语和中文使动表现的类型进行了全面细致的对比,而且对韩语和中文使动表现的结构也进行了全面细致的对比。因此,这种运用全新的实际生活语言资料来全方位,各角度对韩中使动表现对应现象的深层次研究,就更进一步提高了本论文的研究深度和意义。 지금까지 한국어와 중국어의 사동표현에 대해 주로 이론적 측면에서 대조분석이 이루어져 왔으나 실제 언어 사용 양상을 통해 대응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직접 구축한 한·중 병렬말뭉치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어 사동표현과 중국어 사동표현이 각각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모습과 그 대응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한 규모의 신문과 드라마 병렬말뭉치로 이루어진 약 170만 어절 규모의 병렬말뭉치에서 한국어 사동표현 용례 8,191개, 중국어 사동표현 용례 7,188개를 추출한 뒤 한국어 및 중국어 사동표현의 유형과 격틀 구조를 분석하고 그들 간에 대응 관계를 기술하였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혔다. 또 연구 자료와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하였다. 그리고 한·중 사동표현에 대한 기존 연구를 개괄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의 배경을 소개하고 한국어 학계와 중국어 학계의 기존 연구를 통하여 각 언어의 사동표현의 유형과 격틀을 살펴보았으며 양 언어의 사동표현의 유형과 격틀 구조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할 한·중 사동표현의 유형과 격틀 구조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약 170만 어절 말뭉치에서 쓰인 한국어 사동표현 8,191개 용례, 중국어 사동표현 7,188개 용례를 추출하였다. 동일한 규모의 글말과 입말의 말뭉치로부터 한국어 및 중국어 사동표현의 유형과 격틀 구조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술할 때에는 특히 입말과 글말 각각에서 고빈도로 사용된 사동사들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한국어 교재의 사동사 목록과 비교하였고 교재에 불 포함된 사동사를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한·중 대조 방향으로 제1사동, 제2사동, 제3사동의 유형과 격틀에 따라 대응되는 각각의 중국어 표현의 경향성을 분석해 보았다. 특히 한국어의 사동 유형, 격틀과 중국어의 대응 표현 간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한국어 사동표현은 중국어 유표지 사동과 무표지 사동뿐만 아니라 중국어 피동표현으로 대응되기도 하고 ‘대응 없음’도 있었다. 분석 결과 한국어 제1사동, 제2사동, 제3사동 각각은 중국어 표현과의 대응 양상에 있어서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 을 확인하였다. 또한 글말과 입말에 따라 대응 양상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중·한 대조 방향으로 중국어 유표지 사동(让,使,令,叫,把,给)의 유형과 구조에 따라 대응되는 각각의 한국어 표현의 경향성을 분석해 보았다. 특히 중국어의 사동 유형, 구조와 한국어의 대응 표현 간에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어 사동표현은 한국어 사동표현과 피동표현뿐만 아니라 한국어 ‘대응 없음’으로 대응되기도 하였다. 중국어 유표지 '让, 使, 令, 叫, 把, 给 ‘让' 사동은 각각의 한국어 대응 표현이 비교적 일정하게 나타났다. 또한 글말과 입말에 따라 대응 양상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4장과 5장에서 살펴본 양방향의 대응 관계를 종합하여 병렬말뭉치에 나타난 한국어 사동표현과 중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 중국어 사동표현과 한국어 표현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중 대조에서 한국어 사동표현과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은 주로 ‘사동표현, 피동표현, 대응 없음’으로 나타났고 중·한 대조에서 중국어 사동표현과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도 ‘사동표현, 피동표현, 대응 없음’으로 똑같은 대응 관계를 밝혔다. 이에 덧붙여 글말과 입말에 따라 대응 양상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살펴보았다. 글말과 입말에 따른 대응 양상의 차이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중국어 사동표현에는 유표지 사동과 무표지 사동의 두 가지가 존재하므로 한·중 대조는 중·한 대조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다. 격틀 대조에서도 중국어 사동표현의 대조보다 한국어 사동표현의 격틀이 더 복잡하고 다양한 종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조 연구에 말뭉치를 활용한 실증적인 연구이며 이를 통하여 한국어 사동표현에 대응되는 중국어 표현과 중국어 사동표현에 대응되는 한국어 표현을 양방향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양 언어의 사동표현이 기존의 연구 결과처럼 단순한 일대일의 대응관계가 아니라 다대다의 복잡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 언어의 사동표현은 상대 언어의 사동표현에만 대응되지 않고 피동표현, 대응 없음까지도 다양하게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중, 중·한의 양방향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사동표현의 유형과 격틀 구조에 따른 상대 언어의 표현의 특성, 공통점과 유사점을 검토한 결과 사동 범주 간의 대응보다 ‘대응 없음’으로 대응되는 경향이 가장 높음을 발견하였다. 유형 대조뿐만 아니라 격틀 구조까지 대조를 하여 사동 대조의 전반적인 논의를 이끌 수 있었던 점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Existing contrastive studies on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are predominantly focused on theoretical dimensions. However, studies on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rough an analysis of actual language usage aspect have been exceptional.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varied use of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in everyday life. In order to do so, it directly utilized the constructed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The researcher abstracted analogous texts from newspapers and dramas on a similar scale. In total, there were approximately 1,700,000 syntactic words extracted. From this sample, 8,191 were examples of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while 7,188 were Chinese were examples of causative expressions. In doing so, their respective types and case-frame structures were analyzed and th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se types and structures were described. Chapter 1 presented the purpose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 also introduced in details the sources, subjects,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Moreover, it synthesized the previous studies on Korean·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and identifie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such studies. Chapter 2 examined the types and case-frames of the existing studies in the Korean and Chinese academia. It then synthesized these types and case-frames from these researches. In doing so, a structured analysis framework which examined the forms and case-frames of the Korean·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was presented. Out of a total of approximately 1,700,000 syntactic word-corpus, there were 8, 191 and 7,188 examples of written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respectively that were extracted and examined in Chapter 3. This chapter further compared the scrutinized forms and case-frames of the Korean and 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which were obtained from both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of the parallel corpus on a similar scale. After which, commonly-used causative verbs with the highest frequency obtained from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were tabulated and presented. Moreover, causative verbs listed 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also examined and the lists obtained were classified as well. In terms of Korean·Chinese contrastive direction, Chapter 4 analyzed the trend of the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according to three parts based on forms and case-frames, namely, Section 1 Causative Form, Section 2 Causative Form and Section 3 Causative Form. Specifically, it delved into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causative forms and case-frame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If there is, factors that could have caused such correlation were deemed to be determined.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could correspond not only with Chinese marked and unmarked causative forms but with Chinese passive expressions as well. Moreover, a case of ‘no correspondence’ could also emerge. Furthermore, since results revealed that the each section of Korean causative forms (Sections 1, 2 and 3) has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this chapter verified whether there indeed exists a regular trend. Also, it investigated whether differences in the corresponding aspects based on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exist between the two. In terms of Chinese·Korean contrastive direction, Chapter 5 analyzed the trend of corresponding Korean expressions based on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Chinese marked causative forms (让, 使, 令, 叫, 把, 给).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inese causative forms and structure and their corresponding Korean expressions. If there is, factors that could have caused it would be identified. It should also be bore in mind that 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could also have ‘no correspondence’ not only with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but also with their passive expressions as well. It is revealed in this chapter that the Chinese marked causative forms (‘让, 使, 令, 叫, 把, 给) correspond with Korean expressions comparatively well in general. Moreover, this chapter considered whether differences in corresponding aspects based on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exist between the two. Chapter 6 synthesized the examined trend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 found in chapters 4 and 5. After which, the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were scrutinized and vice versa. Results revealed that in the Korean·Chinese contrastive aspect, there emerged a ‘causative expression, passive expression, and no correspondence’ between the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and their corresponding Chinese expressions. In the same manner, these can also be found in the Chinese·Korean contrastive aspect between the Chinese causative expressions and their corresponding Korean counterparts. Moreover, it was also discovered that differences in the corresponding aspects in both written and spoken languages existed. Also, Korean·Chinese contrasts are more complicated and varied than Chinese·Korean contrasts.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re exists a broad category of Chinese marked and unmarked causative forms. Similarly,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can be said to be more complicated and varied compared with their Chinese counterparts in terms of case-frame contrastive aspect. This is a substantiated study which utilized a parallel corpus. Through this, an analysis of the trend of the Korean causative expressions and their Chinese counterparts were carefully analyzed and vice versa. Based on the results, the causative expressions of both languages are not merely one-to-one corresponding relations as claimed by the existing studies. Rather, this study contends the opposite. Corresponding relations in terms of causative expressions between the two languages are many-to-many relations and are such varied and complicated. Furthermore, passive and even ‘no correspondence’ relations exist between the two language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no correspondence’ relations emerged the highest among the features of the two languages’ respective causative expressions based on forms and case-frames, examined results in similarities, and causative category. Guided by the causative contrast framework all throughout,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a meaningful contribution in contrastive studies specifically not just in contrastive forms but also in case-frame contrasts.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 기사문의 NIE 활용 중심으로

        공치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6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need for classes using newspaper articles in Korean reading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needs of the learners and to present the method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using newspaper articles. Newspaper articles are very useful in providing up-to-date information on Korean society as a whole in real time. Newspapers are especially useful in Korean reading education, because there were shown accurate and rich vocabularies with various genres of writing. For this reason, the discussion of reading education using newspaper articles was bris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mprove practicality and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cannot be met in textbook-oriented reading classes. proposing educational measures in this study will arouse learners' interest and enhance learning effectiveness for reading Korean.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using newspaper articles were presented and the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using newspaper articles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relevant prior researches. Chapter 2 shows that, through reading education and prior researches on NIE, NIE will be valuable in improving reading skills and established an effective NIE enabled reading education model. Chapter 3 will also analyze learners’ various requirements for NIE by conducting a survey to find out how NIE is being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 survey of 120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atus of NIE reading education in China and the pattern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demands of reading newspaper articles. I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e survey, learners showed high expectations for NIE, recognized the value of newspaper articles as educational materials, and read newspaper articles mainly for the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and cultural understanding. Chapter 4 proposed practical NIE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Chapter 2) and realistic requirements (Chapter 3), as a key part of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 methods, the teaching model was designed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newspaper articles as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each step, such as pre-reading, in- reading and after-reading steps. As a conclusion, Chapter 5 will briefly summarize the contents of this study.

      • <구국신문>을 통해 본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성격과 사이공(Sài-Gòn)-쩌런(Chợ Lớn) 지역 대화교화인 선전활동

        조성미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617

        20세기 인도차이나는 제1~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으로 혼란의 시기를 겪었다. 전쟁의 핵심국가라 할 수 있던 베트남은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후 독립을 성취하였으나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마치고 나서야 마침내 통일을 이루었다. 다만,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에 비해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해왔던 것이 사실이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또한 ‘독립전쟁’이라는 단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보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독립전쟁’으로만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하나의 베트남’을 염원했던 비엣민(viet minh)이 발간한 < 구국신문 >을 중점적으로 소개 및 분석한다. 해당 연구에서 다루는 < 구국신문 >은 당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양상을 확인하고 비엣민(viet minh)의 염원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사료이다. 해당 신문의 중요성은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설명이 가능하다. 첫째 ‘구국’이라는 단어에서 드러나듯 명확한 목적성을 가지고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1942년-1955년)에 집중적으로 발행된 언론매체이다. 이 사실 하나만으로도 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 양상을 파악하기 적절한 사료로서 가치가 충분하다. 둘째 비엣민(viet minh)의 실질적인 수장이었던 호찌민이 실은 편지만 해도 수백 이 넘으며 그의 염원이 ‘하나의 베트남’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주요 사료라는 것이다. 셋째 반식민지 계열의 유일한 신문으로 현재까지도 현지에서 < 구국신문 >의 업적을 서술하고 있어 초기 비엣민의 선전활동과 현재 베트남의 연결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넷째 < 구국신문 >에는 호찌민과 비엣민이 당시 남베트남에서 막대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던 사이공-쩌런지역 화교화인에 대한 대대적인 선전활동이 실려있어 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 대화교화인 선전활동의 일면을 볼 수 있는 매우 드문 자료라는 것이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베트남 근대 화교화인이 현대로 이행한 과도기였다. 그러나 북부와 중부와는 달리 남부지역의 화교화인들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유지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었기에 남부지역에서의 전황에 주목하던 비엣민과 호찌민의 주요 선전대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배경으로 두고 남부지역에 대한 < 구국신문 >의 주요 선전활동을 개괄적으로 살펴 비엣민(viet minh)의 염원이 무엇이었고 해당 신문을 통해 어떠한 관점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대화교화인 선전활동을 하였는지에 주목하며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새로운 일면을 고찰해 본다 In the 20th century, Indochina experienced a period of turmoil due to the First to Third Indochina Wars. Vietna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country in the war, achieved independence after the First Indochina War, but was unified only after the Second Indochina War. However, it is true that research on the First Indochina War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Second Indochina War, and most studies view the First Indochina War as a 'war of independence' from a fragmentary perspective. This study seek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that moves away from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First Indochina War simply as a 'war of independence' and suggests a path to building 'one Vietnam'. The < Cứu Quốc > newspaper covered in this study is a key material that confirms the aspects of the First Indochina War and the aspirations of the Viet Minh at the time. The importance of newspapers can be largely explained in four ways. First, as revealed in the word ‘national salvation,’ it is a media outlet published intensively during the First Indochina War (1942-1955) with a clear purpose. This fact alone is valuable as appropriate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the First Indochina War. Second, the hundreds of letters published by Ho Chi Minh, the de facto leader of the Viet Minh, are key evidence showing that his wish was 'one Vietnam'. Third, it is the only anti-colonial newspaper that still describes the achievements of < Cứu Quốc > newspaper locally, allowing us to gauge the connection between early Viet Minh propaganda activities and current Vietnam. Fourth, < Cứu Quốc > newspaper contains extensive propaganda activities by Ho Chi Minh and the Viet Minh against the Overseas Chinese in the Sài-Gòn-Chợ Lớn region, which had a powerful economic power in South Vietnam at the time. This rare material provides a glimpse into the massive propaganda campaign against Overseas Chinese during the First Indochina War. The First Indochina war was a turning point for Overseas Chinese into modern times. However, unlike the northern or central regions, the Overseas Chinese in the south suffered relatively little damage and were able to maintain and develop their communities, so they were the main propaganda target of Viet Minh and Ho Chi Minh, who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situation in the southern reg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broadly examines the major propaganda activities of < Cứu Quốc > newspaper in the southern reg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First Indochina War. By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Viet Minh's aspirations for the south and exploring how newspapers engaged in propaganda activities related to Overseas Chinese, it sheds new light on the First Indochina War.

      • 인민일보에 나타난 미국과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와 뉴스 프레임 분석 연구 -우크라이나 전쟁 시기를 중심으로-

        증상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85

        이 논문은 우크라이나 전쟁 시기 중국 인민일보와 펑파이신문의 우크라이나, 미국, 러시아 관련 뉴스에 대한 분석연구이다. 웨이보에 나와있는 인민일보와 펑파이신문의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된 미국과 러시아 뉴스를 선택하여 총 인민일보 48 개, 펑파이신문 185 개를 내용분석에 이용했다. 중국언론 전체는 주제로는 외교(39.3%)와 군사(34.4%)의 비중이 높았고, 대체로 중립적(44.3%)인 보도를 하고 있으며, 정보원을 정부(85.8%)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뉴스가치는 저명성(27.9%)과 시의성(27.4%)이 높았고, 뉴스프레임은 정치대결(50.7%)의 프레임이 가장 높았다. 인민일보는 미국에 대해서 부정적(84.0%)인 태도가 높았고 러시아에 대해서는 중립적(53.8%)이거나 긍정적(46.2%)인 태도가 높았다. 반면 펑파이신문은 미국에 대해서 중립적(55.7%)이고, 러시아에 대해서는 부정적(43.8%)이었다. 인민일보는 미국 관련 기사의 경우 정치대결에 이어 책임귀인(35.4%)을 강조했지만, 펑파이신문은 경제영향(36.7%)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paper is an analytical study of the Ukraine war news related to Ukraine,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in the People's Daily and the Pengpai Newspaper of China during the Ukraine war. For the analysis, a total of 48 articles from the People's Daily and 185 articles from the Pengpai Newspaper related to the Ukraine war, the United States, and Russia, which appeared on Weibo, were selected. Overall, Chinese media focused mainly on the themes of diplomacy (39.3%) and military (34.4%), generally maintaining a neutral (44.3%) tone in their reporting and showing a reliance (85.8%) on government sources for information. The news values were primarily prominence (27.9%) and timeliness (27.4%), with the political confrontation (50.7%) being the most prominent news frame. The People's Daily exhibited a negative (84.0%) attitude towards the United States and a neutral (53.8%) or positive (46.2%) attitude towards Russia. In contrast, the Pengpai Newspaper showed a neutral (55.7%) stance towards the United States and a negative (43.8%) stance towards Russia. The People's Daily emphasized political confrontation and blame attribution (35.4%) in its articles about the United States, whereas the Pengpai Newspaper highlighted economic impact (36.7%), marking a difference in their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