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캐릭터 개발 프로세스 연구 : 중국 푸젠성을 중심으로

        이홍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43

        Recently, the popularity of the combination of character design industry and cultural heritage has been increased than ever. Character design of each region has increased the interest of the local area by promoting traditional culture and lifestyles which revitalizes the local economy and enhances reg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in China,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design incorporating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s insufficient, so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characters of four regions, such as East, West, South, and North, according to the geographic location of Fujian Province, which is rich in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nd proposes a regional character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it. Prior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haracters of Fujian Province, the cases of Japan, Korea and China, where local character development is actively taking pla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cultural character designs from three countries, China, Korea, and Japan,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country's character design, and finally to derive common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character designs. As a result of research related to cases of China, Korea, and Japan, first, Korea and Japan are interested in the key industries and folk legends by classifying local cultural heritage resources in depth. China's current cultural resources are simply categorized and utilized than two countries, focusing mainly on local poetry and specialties. Second, China and Korea are similar in choosing the design prototype which is mainly influenced by humanism. China and Korea have relatively many cases which humans are used as design prototypes. However, in the cases of Korea, there are some designs that are based on the key industries, history, and relics. Since Japan worshipped God and sanctified animals, the models of Japan's cultural character species were mainly animals. Third,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sculpture, both China and Korea have high utilization of the prototype, but in case of Korea, the structural changes are much more abundant and the design prototype is well captured. The use of circular sculptures in Japan is rare, and it has a unified feature to create a relatively clean style. Most character designs in the three countries use cute styles with body and head ratio of 1:1. Fourth, in terms of color selection, color preferences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due to cultural differences. China shows a distinct tendency to choose red, and there is no character with achromatic color as the main color. Some characters often use a mixture of red and blue in color design. In Korea, bright colors are preferred and achromatic colors are used a lot, especially white. Japan emphasizes natural beauty, so it does not use bright colors with high chromaticity, but uses many similar and low-chromatic colors. In particular, the use rate of nonchromatic colors is relatively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haracters from Fujian, China were developed using cultural heritage resources. First, the process for character development was presented in a toal of 7 steps. The seven steps can be organized in order of selecting local cultural resources of Fujian Province, selecting local design prototypes for character design, extracting basic structure and body proportions for character design, extracting basic colors for character design, character thumbnail sketch, character development, and final character design. Based on the process manual for local character developmetn and the current status of character design in China, Korea and Japan, the character design was developed by using cultural heritage resources of Fujian, China. After completing the design of the four characters of Fujian, a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 in art and design and a group of experts in the field of design were formed to evaluate these four charac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nal evaluation, it was possible to judge that four character designs were successful. Through the analysis 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of this cultural character, I offer suggestions related to cultural character design experienc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bjective data research on Chinese cultural character design.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presentativeness of Chinese cultural character design.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Chinese cultural character design. Fourth,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of necessity of designing and developing regional representative cultural characters.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ture cultural character marketing system. Sixth, a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for character design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design of cultural characters in Fujian Province, China, and summarized the deficiencies of Fujian character design and design development plans. China has vast land, abundant resources, long history and numerous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s a medium that can contain local cultural heritage resources, character design has infinite possibilities in terms of discovering various cultural resources and creative design. However, successful cultural character design is not easy, and China also lacks a lot in this field. Therefore, character design in China can create successful characters with local symbol and uniqueness only with consistent efforts. Finally, based on this study, I hope to continue to research and develop character designs with local cultural symbol and uniqueness,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designs in Chinese culture, and to succeed this research results. 최근 캐릭터 디자인 산업과 문화유산의 접목은 그 열기가 뜨겁다. 지역별 캐릭터 디자인은 현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동시에 전통문화, 생활 습관 등을 홍보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경쟁력의 상승을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중국은 문화유산 자원을 접목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유산 자원이 풍부한 푸젠성을 대상으로 그 지리적 위치에 따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등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캐릭터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캐릭터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푸젠성의 지역 캐릭터 개발에 앞서, 지역 캐릭터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일본, 한국과 중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국, 한국, 일본 3개국의 문화 캐릭터 디자인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여 각 나라 캐릭터 디자인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성공한 캐릭터 디자인의 공통된 특성을 도출하였다. 중국, 한국 및 일본 사례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첫째, 한국과 일본은 지역 문화유산 자원을 심도 있게 분류하여, 중점 산업, 민간 설화 등에 대해 고루 관심을 두고 있다. 중국의 현재 문화 자원을 단순하게 분류 및 활용하고 있으며, 주로 현지 도시의 시화(市花)나 특산물 등에 집중하고 있다. 둘째, 디자인 원형을 선택함에 있어 중국과 한국은 비슷하다. 주로 인본주의의 영향을 받아 중국과 한국은 인간을 디자인 원형으로 삼는 사례가 비교적 많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중점 산업이나 역사, 유물 등을 원형으로 한 디자인도 있다. 일본은 신을 숭배하고, 동물을 신성시하여 수호신으로 만들기 때문에 일본의 문화 캐릭터 종의 모델은 주로 포유동물이었다. 셋째, 조형의 구조 측면에서 보면, 중국과 한국 모두 원형의 활용도가 높지만, 한국의 경우 다른 조형 구조상의 변화가 훨씬 풍부하고 디자인 원형을 잘 담아내는 편이다. 일본의 원형 조형물 사용은 적은 편이며, 일체화된 특징이 있어 비교적 깔끔한 스타일을 연출한다. 3개국 캐릭터 디자인은 대부분 1:1 정도의 신체 비율로 귀여운 스타일을 사용한다. 넷째, 색채 선택으로 보면, 나라마다 문화적 차이로 인해 색채 선호도가 제각각이다. 중국은 붉은색 선택에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며, 무채색을 주색으로 한 캐릭터는 등장하지 않는다. 일부 캐릭터의 색채 디자인에는 종종 붉은색과 파란색을 섞어 사용한다. 한국은 밝은색을 선호하고 무채색도 많이 사용하는데 특히 흰색을 많이 사용한다. 일본은 자연미를 중시하여 고채도의 밝은 색상을 사용하지 않고 비슷한 색들과 낮은 채도의 색상을 많이 쓰는데 특히 무채색의 사용률이 비교적 높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유산 자원을 이용하여 중국 푸젠성의 캐릭터를 개발하였다. 먼저 캐릭터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총 7개 단계로 제시하였다. 7개 단계는 푸젠성 지역 문화 자원 선정, 캐릭터 디자인을 위하여 지역을 대표하는 디자인 원형 선정, 캐릭터 디자인을 위한 기본 조형 구조 추출 및 신체 비율 설정, 캐릭터 디자인을 위한 기본 색채 추출, 캐릭터 썸네일 스케치, 캐릭터 디벨로프먼트 디자인, 최종 캐릭터 디자인 완성 순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 캐릭터 개발을 위한 프로세스 매뉴얼과 중국, 한국과 일본의 캐릭터 디자인 현황을 토대로 푸젠성 각지의 문화유산 자원 종류와 특성을 조사한 후, 중국 푸젠성의 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푸젠성 4개의 캐릭터 디자인을 완성한 후에, 미술 및 디자인 관련 전문 지식을 가진 대학생, 그리고 디자인 분야와 관련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이 4개의 캐릭터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최종 평가의 결과에 따르면, 이 4개의 캐릭터 디자인은 성공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이번 문화 캐릭터의 디자인 개발 과정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해 문화 캐릭터 디자인 경험에 관련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문화 캐릭터 디자인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 조사를 늘려야 한다. 둘째, 중국 문화 캐릭터 디자인의 대표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중국 문화 캐릭터 디자인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넷째, 지역 대표 문화 캐릭터의 디자인 및 개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 다섯째, 성숙한 문화 캐릭터 마케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캐릭터 디자인의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푸젠성의 문화 캐릭터 디자인을 연구해 푸젠성 캐릭터 디자인의 미비점 및 디자인 개발 방안을 정리하였다. 중국은 광활한 토지와 풍부한 자원, 오랜 역사, 수많은 문화유산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 문화유산 자원을 담을 수 있는 매개체로서 캐릭터 디자인은 각종 문화 자원의 발굴과 창의적 디자인 측면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문화 캐릭터 디자인은 쉽지 않고, 중국 역시 이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중국의 캐릭터 디자인은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야만 지역의 상징성과 독특함을 지닌 성공적인 캐릭터를 만들어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 각 지역에서 현지 문화의 상징성과 독특성을 지닌 캐릭터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하고, 중국 문화의 캐릭터 디자인 개발과 발전에 기여하며, 연구 성과를 이어나가기를 기대한다.

      • 캐릭터개발에 있어서의 identity표출에 관한 연구

        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911

        기술혁명의 현대사회, 특히 고도로 발전된 산업사회에서는 확실히 상상력의 힘이 위축되고 있다. 감정과 지성이 분리되고, 생존과 도덕이 분리되고, 실천과 이론이 분열되어 있는 것이 숨길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다. 꿈과 일탈을 동경하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꽉 차여진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고 위안체로서의 역할이야말로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마법의 힘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현대사회에 있어서 캐릭터는 다양한 층의 사람들에게 폭넓게 사랑받고 있으며, 그 유용성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본인은 캐릭터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는 중에 작가와 캐릭터에 관한 유사성을 발견하고 상품단계 이전의 개발차원에 있어서 개발자의 identity표출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캐릭터는 생명을 탄생시키는 작업이다. 자식이 부모를 닮는 것과 같이 캐릭터에서 작가는 자신을 반영하고 있으며 투영된 작가의 개성이 주가 되어 상품화된다. 사람들이 진정 기대하는 것은 공통의 문제에 관한 우리의 이상과 욕구를 독특한 개성을 통해 드러내는 것이므로, 작가의 철학이 다양한 캐릭터의 탄생배경을 뒷받침하고 있을 때, 더욱 생명력을 가지게 되고 대중들에게 폭넓은 사랑을 받게 된다. 본 연구는 캐릭터의 유용성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단 시일내 급상승한 결과로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캐릭터 산업에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캐릭터의 역사와 배경을 통해서 현대사회에서 요구되어지는 캐릭터의 기능적 요소를 새롭게 분류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으며, 특히 캐릭터의 생명을 좌우하는 독창성에 그 촛점을 맞추어 접근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캐릭터의 정의와 역사를 알아 보고, 요구되어지는 기능적 요소를 창조성, 친밀성, 상상력, 시대성으로 분류하여 정의했으며, 캐릭터개발에 있어서 identity표출을 중심으로 조사하면서 필요에 따라 현재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다국적인 캐릭터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자료를 고려해서 본인의 캐릭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알게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릭터는 작가의 과거 여러 가지 경험, 꿈, 개인적 세계관, 인생관, 나아가 작가의 identity, 가치관, 심미적 감각 등의 총체적 통합이요, 반영이다. 둘째, 캐릭터는 의미가 형태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캐릭터는 자신의 독특한 성향에 의하여 내려진 자신의 해석이며, 단순히 사물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에 대한 흥미를 표현한다는 차원으로 이해하고 개발시킬 때, 생명력있는 캐릭터가 탄생된다. 셋째, 대부분이 단 기간에 사용되다가 사라져 버리는 단순 아이캐처(Eye-Catcher)에 그치거나, 비주얼 요소의 하나로 전락해 버리는 한국 캐릭터 산업의 실정을 고려해볼 때, 새로운 표현과 기술습득에 앞서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identity를 효과적으로 표출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앞으로 우리에게 잠재되어 있는 상상력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하여 젊고 활기찬 사고를 멈추지 않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본다. In the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technological revolution, and especially in the highly developed industrial society, the power of imagination is being subsided severly. The undeniable reality of our age is that emotion is now separated from intellect, survival from morality, and practice from theory. The people living in this stifling society cannolp expressing their ardent aspiration for dreams and deviation. The very magical power of characters is to give dreams and hopes to those in unavoidable despair, and thereby to comfort them. Therefore, characters are loved by various people widely in every class, and their usefulness is more and more recognized broadly. While researching characters, I noticed the very interesting similarity between characters and their creators and further concentrated on the study over the manifestation of the developer's identity at the development stage before merchandising. To make a character is to give birth to another life. As the children naturally look after their parents, so a character reflects its artist. It is the personality of the artist reflected on the character that is chiefly merchandised. What people really expect is to reveal our ideals and desires for the common problems by means of distinctive personality. Consequently when the philosophy of the artist support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his/her diverse characters, only then, the characters themselves become more vivified, and loved widely by the public. Now while the usefulness of characters are rapidly expanded, this research will show one constructive direction to the character industry in Korean market which contains many difficulties as a result of booming popularity in a very short period. Particularly Its approach is focused on the originality of characters which almost decides their liv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newly define the functional factors of characters demanded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m from the past and to the present, and thereby, to search for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This study concerns followings: first, look into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characters; second, classify and define the functional factors demanded for characters as creativity, familiarity, imaginativeness, and the sense of times; third, study the manifestation of identity in developing characters, presenting multi-national data of characters utilized in the various field at present if required; finally, characterize a swellfish based on the all the data gathered. Live characters must own their background of birth as well as philosophy. Considering the present Korean character industry which concerns only in the design of characters within the restricted range of utilization, this study on the manifestation of identity in character development will be expected to be a help.

      • Grassroots Sport Development Outcomes with Rural Gambian Youth

        바보우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893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wo distinct but complementary fields of thoughts — Grassroots Sport and Youth Development. The research identifies the links between grassroots sport development and how it affects youths in rural Gambia. In considering three important variables: 1) the perception of rural Gambian youth on grassroots sports development, 2) Identify its roles in youth development and, 3) Critically examine the roles it plays in establishing a structured pattern of youth development.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hrough reviewing extant literature on grassroots sports development and conducting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13 youths of The Gambia for the purpose of data triangula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and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have shown to what extent community grassroots sport development programs have impacted the lives of Gambian youth. The program, the study finds, has had many positive impact on the participants who still live to get the benefits from the initiative in other alternative careers.

      • 공기관계를 활용한 한국어 한자어 교육 연구 : 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형문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859

        利用搭配關系進行韓語漢字詞教育的研究 -以中國中級學習者爲中心- 韓語詞彙體系最顯著的特點之一是漢字詞所占比重很大。在作爲第二語言的韓語教學中,不僅要加強對非漢字文化圈的學習者的漢字詞教育,還應該加強對漢字文化圈中中國學習者的漢字詞教育。韓語漢字詞和漢語詞彙的相似性,讓中國學習者比其他外國學習者在漢字詞習得方面更具優勢;但由於兩者在形態、意義、用法上的差異,導致中國學習者在韓語漢字詞使用上會造成很多偏誤。 詞彙並不是作爲單獨的個體存在,在詞彙教學中,我們還應該考慮它所處的敘述結構。特別是當我們通過句子內的詞彙與其他要素的關系讓學習者來理解詞彙時,能極大提高學習者的語言學習效率。本研究試圖利用韓語漢字詞名詞的搭配關系,摸索可行的教學方法和方案,爲中國中級韓語學習者提供有效的漢字詞教育。 首先本研究通過文獻研究方法回顧了漢字詞及搭配關系的現有研究,並在此基礎上重新設定了漢字詞及搭配關系的概念和類型,重新闡釋了搭配關系在詞彙教育中的重要性。爲了解中國國內韓語漢字詞教育的現狀,研究者對中國境內大學韓語系的學生進行了問卷調查,並以調查結果爲基礎對教材和學習者的漢字詞使用偏誤進行了分析。通過問卷調查,確定了中國國內韓語語言教學中漢字詞課程設置、教學內容和教材使用上存在的問題,證明了搭配關系在漢字詞教育中的必要性和實用性。 爲了構建可行的教學內容和教育方案,本研究首先根據韓國國立國語研究所編制的『韓國語教育詞彙內容開發4階段』中列出的詞彙,選定了適用於中國中級韓語學習者的教育用漢字詞詞彙目錄。然後利用‘現代韓語基礎語料庫分析軟件-Hanmaru2.0’,從‘21世紀世宗計劃現代書面語形態意義分析語料庫’提取出了使用頻度最高的漢字詞名詞‘社會07,境遇,政府01,時代’的搭配信息,並將搭配的詞語按級別進行了分類。最後對分類後的搭配詞語進行分析,並把初級和中級中需要進行強化訓練的搭配詞語篩選出來,導入PPP教學模式,利用多種適當的活動制定了教學方案。 本研究的意義在於利用語料庫,構建能加強學習者對於漢字詞的理解且具有實用性的教育內容,並提供可以激發學習者學習興趣的視覺資料和教學活動,使得教學方案切實可行。希望本研究有助於提高中國學習者的韓語用詞能力和語言表達能力。 A Study on Korea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y Using Collocation Relationship -Focusing of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is that its vocabulary involves a lot of Chinese characters(Sino-Korean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for the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other Korean-learners who are non-Chinese-cultural background.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Chinese Korean-learners have more advantages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an other Korean-learners, but meanwhile they make a lot of mistake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 form, meaning and usage of those words in the two languages. Teaching vocabularies in their context in relation to elements that air together in sentences can help learners maximize the learning efficiency in language acqui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by applying Lexical collocations between nouns among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words for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intermediate Korean–learner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nouns among Chinese characters and other w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rethink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s in vocabulary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ze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t regular universities in China. Through questionnaires, w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extbooks and confirmed the necessity and practicability of the Chinese characters’ collocations in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constructing practical teaching contents and preparing teaching methods, the list of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al purposes for Chinese intermediate Korean-learners was selected based on the vocabularies listed in the ‘the 4th Stage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tents’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n we extracts from ‘21st Century Sejong Plan Modern Octopus Type Semantic Analysis Corpus’ the col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hinese character nouns: ‘사회07, 경우, 정부01, 시대’ by using the analysis software ‘Hanmaru2.0’ often used in ‘Modern Korean Basic Corpus analysis’. In addition, we selected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collocations to be taught to the intermediate Korean-learners, introduced the PPP instructional model, and prepared educational programs with diverse and appropriat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by utilizing corpus, to provide visual material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that can motivate learners in order to learn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better, to construct educational contents with practicality and to enable practical learning.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can be a basis for improving the vocabulary acquisition and thu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f Chinese Korean–learners. 공기관계를 활용한 한국어 한자어 교육 연구 -중급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의 어휘 특징 중에서 가장 뚜렷한 것 중의 하나는 한자어의 비중이 많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한자어는 비한자권 외국인 학습자는 물론 한자권에 속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한중 한자어의 유사성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다른 외국인 학습자들보다 한자어 학습에 있어서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한중 한자어의 형태, 의미, 그리고 사용법 등의 차이로 많은 오류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어휘는 원자적인 개별 단위로서가 아니라 그것이 쓰이는 구조와 기술이 함께 고려되고, 특히 문장 내에서 함께 공기하는 요소와의 관계를 통해 이해될 때, 언어 습득에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한자어 교육을 위해 한자어 명사의 공기관계를 활용한 한자어 교육 방법을 모색하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방법을 통하여 한자어와 공기관계에 대한 기존 논의를 살펴보고 한자어와 공기 관계의 개념과 유형을 다시 설정하여 어휘 교육에서 공기관계의 중요성을 정리하였다. 중국 내 한자어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 내 대학교 한국어 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교재를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한자어 사용 시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한자어 교육 과정 및 교육 내용, 그리고 교재에 관한 문제점을 밝히고 공기관계가 한자어교육에 있어서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실용적인 교육 내용 구축과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하여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편찬한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 4단계』에 수록되어 있는 어휘를 토대로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용 한자어 목록을 선정하였다. ‘현대국어 기초말뭉치 활용시스템 한마루2.0’과 ‘21세기 세종계획 현대문어 형태의미분석말뭉치’를 활용하여 빈도가 높은 한자어 명사 4개, 즉 ‘사회07, 경우, 정부01, 시대’의 공기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단계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초급과 중급 공기어 중 학습자에게 교육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선택하고 PPP수업 모형을 도입하여 다양하고 적합한 활동으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고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자어 의미를 잘 이해하도록 하고 실제성이 있는 교육 내용을 구축하며 실제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자들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시각 자료와 교수 활동을 제공해 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런 논의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고 언어 기능 수행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 기반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이영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856

        This research aims to elucidate the necessity for the teaching of Sino-Korean words, the largest portion of Korean vocabulary, and to provide efficient and suitable methods for teaching them in order to enhance the lexic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direct method of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using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o-Korean words, and argues that the direct method is highly useful for teaching them. In Chinese characters, the morpheme of Sino-Korean words has its own meaning, so after learning the basic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ith the highest word formation ability, expanding Sino-Korean words (word family) related to and derived from their respective Chinese characters is meaningful. Thus,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link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an be of great service.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y with this methodology has two effects on learning Korean vocabulary. The first effect is that students can learn by classifying 'meaning relations', that is, Sino-Korean words based on the same meaning. The second effect is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long-term memory through learning Sino-Korean words by recognizing similar forms (spelling). The outline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thesis reviews the state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programs and textbook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Second, this paper surveys the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target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the purpose of finding the most efficient Sino-Korean vocabulary teaching methods. Having reviewed the current situation and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e dissertation moves to the core of its research. The third section of this thesis focuses on methodologies and materials for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t examines different teaching methods such as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y through derivatives with high frequency affixe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and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using semantic mapping; it presents a university-level course,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I revamped for train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introduces a Sino-Korean vocabulary list and Sino-Korean textbook, both of which I developed, for non-Chinese cultural learners and intermediate level students. Lastly, the dissertation tests the effectiveness of these teaching methods through a one-month long experimental study on non-Chinese cultural intermediate level learners using the textbook I developed. As the result of reviewing domestic Korean Language programs, five universities have elective Sino-Korean vocabulary classes based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build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students from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participate in the classes. Korean language programs in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have many courses on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which are compulsory subjects for their major. Korean language programs in Chinese cultural countries instead have some courses on reading Sino-Korean and contrastive analysis. So Korean language programs in non-Chinese cultural countries are more active in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based on Chinese characters as a part of Chinese literacy education. In this survey of the educational needs of Sino-Korean vocabulary, 92%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was very close. So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need to develop their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for efficient teaching of Sino-Korean vocabulary. Regarding students'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and their lexical competence, more than 90%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stu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Thus, it would be advisable to raise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to expand Sino-Korean vocabulary in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is survey, Chinese cultural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undergone difficulties in learning Native Korean words most, but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answered that it was the most difficult for them to learn Sino-Korean vocabulary. Therefore,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need the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linked t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ecause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s more urgent for non-Chinese cultural students. Both teachers and students pointed out that the best textbook for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ies would be one based upon the word formation a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s the result of examining textbooks, this dissertation argues for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ino-Korean vocabulary textbooks to teach Sino-Korean vocabulary on the basis of word-formation units. In light of the survey, my research presents goals and contents of the course, "The Theory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t degree and non-degree levels for training Korean instructors as one of various strategies for raising their Chinese character competence. I also develop a Sino-Korean vocabulary list with word-formation ability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drawn from word entries listed in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2006). For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connected to Chinese character education, my thesis selects 595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according to eight key criteria. On the foundation of this Sino-Korean vocabulary list, I also created a textbook for expanding Sino-Korean vocabularies using the word-formation ability of Chinese characters and present efficient pedagogical methods for teaching Sino-Korean vocabulary. Lastly, this research tests the effectiveness of this teaching method by using the researcher developed textbook on the subjects of non-Chinese cultural intermediate level learners for a month. This experimental study showed that the teaching method of focusing on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 formation principles and to use them for learning vocabulary was very effective for expanding and memorizing Sino-Korean vocabularies. Learners could improve their long-term memory of the words by learning the form and meaning of learned Sino-Korean words through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learners could build up thei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infer unknown Sino-Korean vocabularies by learning Sino-Korean words (word family) with similar meaning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s: to provide the Sino-Korean vocabulary list according to the word formation ability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suggest methods to utilize the Sino-Korean vocabulary list for teaching to develop a textbook to expand Sino-Korean vocabularies using the word formation ability and Sino-Korean word formation principles of Chinese characters for non-Chinese cultural learn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an experimental study.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한국어 어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자어 교육은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이용한 직접적인 방법이 유용하다는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중심으로 관련 한자어를 유의미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이때 한자 교육과 연계한 한자어 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한자어 교육의 효과를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한자어 형태소가 가지는 의미를 이용하여 유사 의미가 들어간 관련 한자어들을 ‘의미 관계’에 따라 분류하여 익힐 수 있는 효과이다. 둘째, 유사한 단어의 형태(철자)를 인식하여 한자어를 익혀서 장기 기억으로 가져가는 효과이다. 한자어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국내?외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어 교육 실태를 알아보고, 한자어 교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효율적인 한자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자어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국내 한국어 교육 기관을 살펴본 결과, 다섯 개 대학에서 주로 중급 이상의 비한자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선택반’의 형태로 한자 교육에 바탕을 둔 한자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살펴본 결과, 비한자권 대학들은 한자어 교육과 관련된 강좌를 전공필수로 개설하는 등 한자권 대학보다 훨씬 더 적극적이었다. 교육 내용을 보면, 한자권 대학들은 주로 ‘한자음 읽기’와 ‘어휘 대조’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비한자권 대학들은 ‘문자 교육’으로서의 한자 교육을 기반으로 한 한자어 교육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번 요구도 조사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92%가 교사의 한자 능력과 한자어 교수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응답하여, 효율적인 한자어 교육을 위해서 한국어 교사는 일정 수준의 한자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의 90% 이상이 학습자의 한자 능력과 어휘력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한자 교육은 중급에서 실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한국어 어휘 중에서 한자권 학습자들은 고유어를, 비한자권 학습자들은 한자어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응답하여, 한자어 교육은 비한자권 학습자들에게 보다 절실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자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에 대하여, 교사와 학습자 모두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하여 한자어를 확장할 수 있는 교재를 1순위로 꼽았다. 한자어 교재를 검토한 결과, 조어 단위로서 한자어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요구도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의 한자 능력 제고를 위해 정규 및 비정규 과정으로 개설된 한국어 교원 양성 과정에서 ‘한국어 한자교육론’에 대한 교육 목표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자의 조어력을 이용한 한자어 확장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 효율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에 제시된 한자어를 교육용 한자어로 삼아, 한자의 조어력과 위치별 빈도를 산출하여, 한자어 학습 목록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한자의 조어력을 비롯한 여덟 가지의 기준에 따라 595개의 교육용 한자를 선정한 후, 비한자권 중급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재를 개발하였다. 또한 한자권과 비한자권 학습자들이 한자어 교육에서 공통으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과 별도로 교육되어야 할 부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한자어 어휘 교수법으로는 유사 의미 관계 고빈도 접사 목록을 이용한 한자어 파생어 교수법, 의미 지도 그리기를 이용한 한자어 교수법, 뉴스를 활용한 한자어 교수법, 한자성어 교수법, 학습 단계별 한자 읽기 교수법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자어 교재를 이용하여, 비한자권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달간 한자어 어휘 확장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번 실험 연구를 통하여, 한자의 의미와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익히고, 이를 한자어 어휘 학습 전략으로 개발하도록 지도하는 방법이 한자어의 확장 및 기억에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학습자들은 한자라는 문자를 통해 기학습된 한자어들의 형태와 의미를 정확하게 익히게 되어, 장기 기억으로 가져갈 수 있었으며, 의미가 유사한 관련 한자어를 익힘으로써, 새로운 한자어에 대한 의미 유추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어 교육을 위하여 한자의 조어력 빈도와 위치별 빈도를 이용한 교육용 한자어 목록을 마련하고 한자권과 비한자권 모두에 유용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는 점, 한자어의 어휘 형성 원리를 이용한 교재를 개발하여, 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청소년 봉사활동의 역사적 전개와 교육적 성격 연구 : 시혜적 봉사활동에서 복지교육으로의 변화를 중심으로

        윤혜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841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사회의 청소년 봉사활동의 역사적 전개와 교육적 성격을 청소년관과 청소년정책 그리고 교육정책의 변화와 관련지어 밝히는데 있다. 또한 ’60년대 이후 본격화된 근대산업사회와 관련된 청소년 봉사활동과 ’90년대 이후 정보사회로의 전환에 따른 청소년 봉사활동 활성화 정책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한계를 규명함으로써 복지교육론으로의 개념 전환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근대적 의미의 청소년 봉사활동은 3.1운동이후 독립운동차원의 계몽운동에서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일제가 주도하였던 전시체제기의 봉사활동은 ‘수련’, ‘교화’, ‘수양’의 수사적 표현을 사용하였지만 학교나 청년단 등을 통해 황국신민으로서 전시동원을 강제한 것이었다. 해방이후 미군정과이승만 정부에서의 봉사활동은 민주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계몽운동이었다. 청소년들은 정부의 문맹타파사업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민주, 자주, 통일 등을 계몽하면서 정부와 대립하였다. 정부는 건전육성을 명분으로 반정부적인 봉사활동을 비정치적인 봉사활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봉사활동을 어용화하는 전례를 남겼다. ’60년대부터 ’90년대 이전은 본격적인 근대산업사회로 대부분의 청소년이 학교에서 유예기를 보내면서 입시경쟁에 얽매여 자발적이기보다는 국가정책사업에 동원되는 봉사활동이 대부분이었다. 국가 주도의 새마을봉사활동은 학교가 계획하거나 ‘새마을청소년회’를 통한 동원형으로서 식민지의 유산을 답습한 것이었다. 봉사활동은 단순노동력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미숙하고 불안한 존재로 보고 사회체험욕구나 사회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덕육하고 관리하려는 청소년정책과도 관련된다. 둘째, 1990년대 이후 정부는 정보사회에 따른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실천위주의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봉사활동을 입시에 반영하여 활성화하였다. 문서상으로는 근대화에 따른 국가를 위한 봉사나 산업화과정에서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일방적인 봉사보다는 지역사회에서의 체험을 통한 개인적인 학습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봉사활동은 청소년을 권리와 책임의 주체로 여기는 청소년관과 지식위주 학교교육을 보완하고자 하는 청소년육성정책의 변화와도 맥락을 같이한다. 그러나 청소년문제와 청소년의 사회진출욕구를 통합하고 관리하려는 의도를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봉사활동은 입시를 위해 편법적으로 또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졌다. 청소년 분야와 교육분야는 서로 다른 봉사활동 정책추진체계와 프로그램을 갖고 있어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봉사활동은 실제로 기존의 단순노동력 제공과 자선과 시혜의 봉사활동을 답습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제7차 교육과정 개정을 통한 봉사활동의 위상 강화와 이론적 근거로 제시된 봉사학습론은 봉사활동의 문제점을 제대로 해결할 수 없었다. 이는 무엇보다 청소년을 미숙한 존재라고 여기고 인성교육을 저해하였던 입시라는 유인체제로 봉사활동을 활성화했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셋째, 봉사활동의 방향으로 제시된 복지교육론은 봉사활동의 복지적인 성격에 주목하면서 복지교육의 실천 개념으로 봉사활동을 자리매김한다. 복지교육의 목적은 기존의 ‘자선’이나 ‘시혜’의 봉사개념을 비판하면서 민주복지사회를 사회적 비전으로 제시하고 권리요구와 문제해결과정에서 주체를 형성하는 데 있다. 그런데 복지교육 논의는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이 봉사활동을 통해 어떻게 권리와 참여의 주체로서 스스로의 복지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주체형성에 대한 관점이 명확하지 않으며 청소년 복지교육을 논하고 있으면서도 청소년복지를 제외한 다른 영역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결국 청소년 봉사활동을 둘러싼 논의와 정책은 기존의 근대산업사회의 패러다임에 따라 청소년을 미숙한 존재로 보는 청소년관과 정보사회에서 청소년을 권리와 참여의 주체로 보려는 청소년관의 갈등과정이었다. 근대교육의 역사에서 객체로 소외되었던 청소년이 주체로 나아갈 때 복지국가는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the educative role of youth volunteerism in Korean society from the 1920s to 1990s by looking at the changes in a view of youth in society, and the shifts in youth and educational policie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youth volunteerism following the realization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after the 1960s, and youth volunteerism activation policies brought about by the shift to an information society after the 1990s. By examining closely the educative significance and the limits of youth volunteerism in these two periods, the study proposes a transition to the concept of welfare education the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Youth volunteerism before the 1990s: It is possible to trace youth volunteerism in Korean society, in its modern sense,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for achieving independence from colonial rule, following the March First Movement. However, volunteerism initiated by the Emperor of Japan during the war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expressions like personal training, moral enlightenment, and cultural refinement. It was an exercise in compulsory wartime mobilization of the Korean people as subjects of the Emperor through schools and youth groups. Eve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volunteerism under the US military regime and the Seungman Lee government was part of an enlightenment movement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n independent, democratic nation. Korean youth did not go against the government's effort at combating illiteracy through the mobilization of youth in volunteer activities but in their advocacy of democracy, self-reliance and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y stood in opposition to the government. In the name of promoting sound volunteerism, the government converted anti-government volunteer activities into non-political ones and left a precedence of misusing the name of volunteerism. From the 1960s until 1990, most of the youth attended schools and were too occupied with the competitive entrance examination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ctivities. Most of the volunteer activities were mobilized through policies initiated by the government. In this sense, volunteer activities conducted in the name of modernization by national policies followed the footsteps of volunteer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a mobilization exercise through programs organized by schools and educational social groups. Youth were not only viewed as mere labor force, but as an immature and unstable presence in society. Volunteerism initiated by the government was also related to youth policies that sought to control youth and educate them on social virtues in order to eradicate their wish for social experience and dissatisfaction toward society. Youth volunteerism in the 1990s: In the 1990s, as part of educational reform under an information society with the aim of putting education as character-building into practice, the government activated volunteerism by incorporating it into the entrance examinations. In formal terms, instead of the purpose of providing service for rights-assertion and problem-solving. However, the welfare education debate fails to consider how the youth in Korean society act as rights-holders, how they participate as subjects and how they can solve their own welfare problems through volunteer activities. Besides, the view of the subjective formation of the youth is ambiguous and while discussing on youth welfare education, instead of youth welfare, other fields become the main targets of consideration. As a result, debates and policies surrounding youth volunteerism involve the conflict between views of youth as an immature presence under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paradigm and as the subjects of rights and participation in an information society. The realization of the welfare state will be made possible when youth whose subjective role has been ignored in the history of modern education become the real subjects of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modern industrial society, information society.

      • 게임 캐릭터 의상에 나타난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 : 온라인 게임 속의 여자캐릭터를 중심으로

        최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638

        Due to the expansion of the online game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users today, the value of online games is becoming an important cultural content beyond the concept of simple entertainment. It can be said that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game is paramount so that a successful game can be appealed to the users. On the other hand, game characters in online games are valuable as another self of the user, and in industrial terms, they symbolize the nature or image of the game, making them more valuable for marketing or promotion.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fashion of female characters in online games was analyzed, character works were produced using the analysis results, and imag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online game users for the produced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men's characters in online games, develop design works using the analyzed design elements, and evaluate the image of the works by Korean and Chinese gamers. Research methods included content analysis methods, production of works,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0 male and female game users in their 20s in Korea and China. The measurement tool was a questionnaire, and the contents were about image evaluation question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nline game use behavior. On the other hand, adjectives for image evaluation were surveyed with 35 questions developed by preliminary surveys, prior studies, and researchers, and were investigated on a 5-point scale. The evaluation of the produced works was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using questionnaires, respectivel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of online game female characters, develop design works, and evaluate the image of each work. The research methods were content analysis, production,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and 240 male and female game users in their 20s in Korea and China participated in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 content analysis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ashion of six online games and 30 characters in Korea and China, Korea had many fashion images in the order of warrior, cute, traditional, surreal, and sexy images, and China had many cute, warrior, surreal, traditional, and sexy images. Clothing items were in the order of mixed skirt and pants style, skirt style, and pants style. As for clothing colors, blue and purple were the most frequent, Korea had more achromatic colors than China, and China had more yellow and green colors than Korea. The materials were silk and leather, and the patterns were plain and geometric. Second, six fashion designs of game characters were produced by reflecting content analysis and the 2023 S/S fashion trend. The themes of the six works were romantic, company-wide, sexy, surreal, dismantling, and traditional images. Third, in order to understand how actual game users evaluate six works, game users in Korea and China were evalu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for each work, game users in Korea and China differ in the image evaluation of the work. In addition, for image works of the design intended by the researcher, game users produced results that were generally similar to the researcher's intention, but in some designs, conflicting images were derived together.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using complex images to create a differentiated design with high appeal to game users because game characters affect game select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milar or different image evalu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game users for the online game character fashion design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n individual's preference for design influencing or differences in each cultural experience and social background. Therefore, the state has found itself to be an influential variable in the image evaluation of online game fashion,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tail the evaluation or preference of game characters of gamers in countries that want to enter other countries in the future.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image evaluation of character fashion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gamers, various consider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yer are needed when planning to enter the new game market. Second, interest in character fashion is also expand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game industry and the expansion of user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game users, the character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as another self in the virtual space, and character fashion contains the image they want to pursue. In addition, in terms of online game companies, character fashion is effective in marketing and promoting games as it contains character roles in games. I believe that the importance of character fashion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just as the sales of character figures are activated due to the activation of online games, I think character fashion will also gain attention as a new trend by expanding its impact on general fashion. 오늘날 온라인 게임산업의 확대와 이용자 수의 증가로 인해 온라인 게임의 가치는 단순한 오락의 개념을 넘어 중요한 문화컨텐츠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성공적인 게임이 이용자들에게 소구될 수 있도록 이용자의 게임에 대한 만족도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게임에서의 게임캐릭터는 이용자의 또 다른 자아로서 가치가 있고, 산업적인 측면에서는 게임의 성격이나 이미지를 상징하여 마케팅이나 홍보시 활용 가치가 더욱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게임의 여자캐릭터의 패션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캐릭터 작품을 제작하며, 제작된 작품에 대하여 온라인 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의 여자캐릭터의 패션에 대한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한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디자인작품을 개발하며, 작품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 게임 이용자에 의한 이미지평가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용분석방법, 작품제작, 준실험연구법 등이었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과 중국의 20대 남녀 게임이용자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설문지였으며, 그 내용은 이미지 평가 문항, 인구통계적 특성, 온라인 게임 이용행동에 대한 내용이었다. 한편 이미지 평가를 위한 형용사는 예비조사와 선행연구 및 연구자가 개발한 35개 문항으로 조사하였고,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제작된 작품에 대한 평가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게임 여자캐릭터의 패션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디자인작품을 개발하며, 각 작품의 이미지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내용분석방법, 작품제작, 준실험연구법이었고, 준실험연구법에 참여한 대상은 한국과 중국의 20대 남녀 게임이용자 240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6개 온라인 게임, 30개 캐릭터의 패션의 조형적 특징에 대해 내용분석한 결과, 패션이미지는 한국은 전사, 귀여운, 전통적, 초현실적, 섹시한 이미지 순으로 많았고, 중국은 귀여운, 전사, 초현실적, 전통적, 섹시한 이미지의 순으로 많았다. 의복아이템은 스커트와 바지스타일의 혼합형, 스커트 스타일, 바지스타일의 순이었다. 의복색은 파랑, 보라계열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한국은 중국보다 무채색이 많았고, 중국은 한국보다 노랑색, 초록색 계열의 색이 더 많았다. 소재는 실크와 가죽소재가, 무늬는 민무늬, 기하학 무늬가 다수였다. 둘째, 내용분석 및 2023년 S/S 패션트렌드를 반영하여 게임캐릭터의 패션디자인을 6개 제작하였다. 6개 작품의 테마는 로맨틱, 전사적, 섹시한, 초현실적, 해체주의, 전통적 이미지였다. 셋째, 6개 작품에 대하여 실제 게임 이용자가 어떻게 평가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게임 이용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각 작품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게임이용자는 작품의 이미지 평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자가 의도한 디자인의 이미지 작품에 대하여 게임이용자는 연구자의 의도와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내었으나 일부 디자인의 경우는 상반된 이미지가 함께 도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캐릭터가 게임선택에 영향을 주므로 게임이용자에게 소구력 높은 차별화된 디자인을 연출하기 위해 복합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나타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온라인 게임 캐릭터 패션디자인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게임이용자 간에는 이미지 평가에 있어 유사하거나 혹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디자인에 대한 개인의 선호도가 영향을 미치거나 각 문화적 경험 및 사회적 배경에 차이가 있어 나타난 결과로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는 온라인 게임패션의 이미지 평가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을 알게 되었고, 향후 다른 나라로 진출하고자 하는 게임의 캐릭터개발을 위해서는 진출하고자 하는 나라의 게임 이용자의 게임 캐릭터의 패션이미지에 대한 평가나 선호도를 세밀하게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캐릭터 패션에 대한 이미지 평가가 게임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신규 게임시장 진출을 계획할 경우 플레이어의 특성에 대해 다각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온라인 게임 산업의 발전과 이용자 확대로 인해 캐릭터 패션에 대한 관심 또한 확대되고 있다. 즉 게임 이용자의 경우 캐릭터가 가상공간에서 또 하나의 자아로서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며, 캐릭터 패션에는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미지가 담겨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 업체 측면에서 보면, 캐릭터 패션은 게임 속에서 캐릭터 역할이 담겨 있어 게임에 대한 마케팅과 홍보에 효과적이다. 향후 캐릭터 패션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 활성화에 따른 캐릭터 피규어의 판매가 활성화 되는 것처럼 캐릭터 패션 또한 일반패션에 미치는 영향이 확대되어 새로운 트렌드로서 주목 받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대학생의 교내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와 인성발달 수준과의 관계

        이현숙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635

        대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고 오랜 시간 노출되는 환경인 대학환경 속에서 참여하는 교내활동 참여도, 대학생들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인 외부활동 참여도, 일상생활 속에서 참여 가능한 여가활동 참여도가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2,3,4학년의 남녀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고 최종 317개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변수인 교내활동, 외부활동, 여가활동 참여도가 종속변수인 대학생의 인성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교내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그 하위요인 7개(긍정적 생활태도, 심미적 소양, 도덕적 판단력, 타인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용서와 관용,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세계시민정신)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활동 참여도는 심미적 소양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세계시민정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도는 인성발달 수준과 타인에 대한 존중, 심미적 소양,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책임, 긍정적인 생활태도, 도덕적 판단력, 세계시민정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대학생들의 인성발달 수준과 관련 깊은 활동요소들이 이후 대학생의 인성발달을 위한 환경과 기회제공의 방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 방법, 내용을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out-of-class activities, leisure activities and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undergraduate students from 33 universities based in Seoul and its satellite cities. 317 except 11 incomplet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grees of university students' class activities and leisure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However, the findings show that the degree of out-of-class activiti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level. In specific,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ree activities and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positive attitudes, pursuit of the common good, moral judgment, understanding and love for others, forgive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sense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a community member, and world citizenship)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class activit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seven sub-constructs of character development while their out-of-class activities are associated with only two sub-constructs: pursuit of the common good and world citizenship. Second, the findings show that the students' leisure activities are correlated with the six sub-constructs except forgiveness and compassion for ot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ors should develop students' class, out-of-class, and leisure activities tailored to the purpose and needs for students' character development and universities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s many opportunities as possibl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meeting their needs.

      • 對外漢語教學中漢語四字格成語研究 : 以《發展漢語》教材為例

        리원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634

        중국어 故事成語는 오랜 역사를 거쳐오면서 세련되게 다듬어지고 관습처럼 사용되어 온 결과 마치 하나의 단어처럼 편리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중국 문화 고유의 매우 풍부하고도 독특한 含意를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중국의 언어 곧 중국어는 오랜 발전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및 보급되어 왔고, 중국어 어휘 체계 중의 故事成語 역시 독특한 격식을 갖추고 오랜 역사를 거쳐오는 동안 그 종류와 수량이 매우 많아졌으며 심오한 含意나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故事成語는 중화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 전통, 법률 정책, 경제 활동 및 사회적 제반 풍속 습관 등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중국 민족의 문화적 특징을 매우 뚜렷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故事成語의 보급과 발전 과정을 통해 중화 민족 문화의 精髓를 엿볼 수 있으며, 몇 자 되지 않는 아주 짧은 故事成語 속에 담긴 매우 풍부한 내용이나 철학적 이치 등과 함께 탁월한 표현력과 포용성 등도 아울러 확인할 수 있다. 어휘 구사와 형식 면에서 볼 때 중국어 故事成語는 그 구조가 안정적이고 嚴整 緊密하며, 내포된 의미 역시 함축적이고 세련되어서 기억하기에 아주 용이한 강점을 지니고 있다. 글자 수는 일반적으로 네글자 형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간혹 세 글자로 된 故事成語나 심지어열 글자를 초과하는 경우도 더러 보인다. 故事成語는 그 독특한 구조 때문에 전파되기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특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따라서 일반 대중들이 일상 생활과 상호 교제 및 학습 과정 등 다방면에서 이러한 故事成語를 즐겨 사용하게 되었고 그 사용 정도나 빈도 역시 상당히 높아지게 되었다. 故事成語의 유래를 살펴보면 대부분 古代 經典 등 서적들이나 널리 유포된 역사 관련 逸話들 또는 사람들 사이에 口傳되어온 이야기 들에서 비롯된 것들이다. 문장 속에 사용되는 故事成語들은 주어 목적어 술어 등과 같은 중요 성분 기능을 담당하여, 다른 품사의 단어들보다 더풍부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故事成語에는 천 년 이상의 중국 문화와 유구한 중국 역사가 농축되어 있으며, 그런 점에서 故事成語는 중국 전통 문화와 思想의 외적인 표현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故事成語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없다면, 중국어 학습 및 활용 수준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절대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중국어를제2외국어로 학습하는 경우이든 일상 생활 중의 교류나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이든, 故事成語를 잘 숙지하고 있으면 중국 언어의 형성 및 발전의 시대적 변천 양상을 이해하고 중국의 역사 상황이나 문화적 핵심 등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故事成語를 숙지한 기초 위에서 이들 成語를 정확하고 능숙하게 잘 사용할 수있다면 풍부한 언어 표현 능력을 제고시키는 동시에 중국어의 言語的 매력을 체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치 畵龍點睛 단계에 도달하듯 언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고 話者의 수준 높은 문화적 소양과 고상한 인품까지도 나타내 보일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외국 고위 인사들이 중국을 방문하여 연설을 할 때 故事成語를 사용하여 문장을 꾸미는 경우가 자주 있었는데, 이 역시 자신의 뛰어난 언어 능력을 과시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含意를 확실하게 드러내면서 상대방과의 교류에 대한 진정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할 수 있다.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육 활동에 있어서 『發展漢語』는 활용 범위가 상당히 넓고 매우 널리 인정받고 있는 중국어 학습 교재이므로, 이『發展漢語』를 연구 주제로 삼는 것은 나름대로 뚜렷한 보편성과 대표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시리즈의 교재들을 중점 연구하는 동시에, 참조할 만한 가치가 있는 기타 다른 계열의 교재들 역시 일부 참고 자료로 채택하여 이들에 대한 분석을 병행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아래의 몇 개 부분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 배경을 시작으로 본 논문의 주제 선정 목적 및 의의를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故事成語 자체와 故事成語 교수법에 관한 기존 연구 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정리를 가한 다음,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기본적인 틀을 구성하였다. 제2장에서는 故事成語의 개념 정의에 관한 서술과 함께, 故事成語의 특징에 대한 개괄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3장에서는 주로 3가지 관점 곧 문화적 기원, 문법 구조, 수사 기법등 측면에서 네 글자 형식 故事成語의 유형에 대한 상세한 분류를 가한 다음 해당 成語들을 열거하고 논술을 덧붙였다. 제4장에서는 주로 음식, 의복, 지역 및 종교 등 네 가지 문화적 차원을 선택하여 네 글자 형식 故事成語에 내포되어 있는 심오한 문화적 의미를 분석 연구하였다. 제5장에서는『新HSK詞彙等級大綱』과『漢語水平詞彙與漢字等級大綱』 을 모델로 삼아, 이들 중의 네 글자 형식 故事成語 전체의 수량과 종류에 대한 상세한 통계와 분류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發展漢語』 교재를 연구 주제로 설정하여 이 시리즈 교과서의 네 글자 형식 故事成語들 전체 배열에 대한 통계 및 분석 작업을 진행하고, 故事成語 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한 다음 외국인 대상 중국어 교육 시의 효과적인 故事成語 교수 방법을 모색한 바탕 위에서 나름대로 도출해낸 교육 방법과 제안 사항들을 기술하였다. 제7장에서는 결론 부분에서는 네 글자 형식 故事成語들과 관련된 연구를 총정리 하고,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교과서 중 네 글자 형식 故事成語들의 배열 상황을 분석 해설하는 과정에서 얻어낸 본 논문의 결론과 독창적 견해 및 미진한 부분들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외국인들에게 네 글자 형식 故事成語를 교육하는 합리적인 방안을 나름대로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 내용이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故事成語 교육에 있어 새로운 방법과 새로운 아이디어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成语,是汉语语言中经过历史锤炼、约定俗成的固定短语,蕴含着丰富而 独具特色的中华文化内涵。中国语言的形成与传播经历了漫长的发展历程,汉 语词汇系统中的成语独具一格、历史悠久、种类和数量繁多,且往往具有深刻 的涵义和寓意。成语与中华民族的历史进程、文化传统、法律政策、经济生活 和社会风俗习惯等等息息相关,具有浓厚的民族文化特色。我们可以在成语的 流传与发展历史中窥探中华民族的文化精髓,成语虽然只有短短几个汉字,却 蕴含着无比丰富的内容和哲理,具有强大的表现力和包容性。从构词结构和形 式上看,汉语成语的结构稳定、严整紧密、涵义凝练、易于记忆,构词字数一 般以四字格居多,也有三字的甚至十几个字组成的情况。成语独特的结构使其 具有易于传播和使用的特性,人民群众乐于在生活交际和学习过程中使用成语, 成语的使用程度和频率也相对较高。从成语来源上看,大部分源自古代经典著 作、流传广泛的历史故事或人们的口头。使用在语句中的成语,承担着主语、 宾语、谓语等重要成分,而且比其他词类的含义更加丰富。成语在一定程度上浓缩了中国的千年文化和悠长的历史,是中国传统文化和思想的外在表现形式。 不会适当地使用成语,汉语的学习和运用就永远无法完成质的飞跃。所以说, 无论是将汉语作为第二语言学习时,还是在日常生活的交流沟通中,熟悉汉语 成语有助于了解中国语言形成与发展的时代变迁,有助于理解中国的历史风貌 和文化内核。在熟悉的基础上若能准确巧妙地使用成语,不仅能增加语言的丰 富程度,也能体现汉语的语言魅力,而且可以起到画龙点睛的作用,使语言表 达更加具有表现张力,体现说话人高级的文化修养和文化品位。近年来许多外 国政要来华访问演讲时经常采用成语点缀在语句中,既展示了高超的语言水平, 也彰显了文化内涵,表达对双方交流的诚意。 在对外汉语教学活动中,《发展汉语》是应用范围相对较广且得到广泛认 可的对外汉语教材,以《发展汉语》教材为研究主体具有一定的普遍性和代表 性。在研究此系列教材的同时,也可以为其他系列教材提供一些借鉴,具有一 定的参考价值。 本论文全文主要从以下几个部分进行论述: 第一章绪论部分,从研究背景入手,阐释了本篇论文选题的目的及选题意 义。在此基础上对成语本体和成语教学的研究现状进行综合梳理,然后结合不 同的研究方法构建出本篇论文的基础框架。 第二章对成语的概念界定进行阐述,并对成语的特征进行概括分析。 第三章四字格成语的分类部分,主要从三个不同的角度(文化来源、语法 结构、修辞手法)对四字格成语的类别进行详细区分和例举论述。 第四章四字格成语的文化内涵,主要选取了饮食、服饰、地域、宗教四大 文化维度,分析、研究四字格成语蕴含的深层文化涵义。 第五章以《新 HSK 词汇等级大纲》及《汉语水平词汇与汉字等级大纲》为研究范本,对两项大纲中的四字格成语从数量和类型两方面进行详细统计、梳 理和分析。 第六章以对外汉语教材《发展汉语》为研究主体,统计、探析此系列教材 中四字格成语的整体编排情况,阐述成语教学的必要性,探索性分析对外汉语 成语教学的方法,并在此基础上提出相应的教学策略和建议。 第七章为本论文的总结部分,通过对相关四字格成语研究的梳理以及对外 汉语教材中四字格成语编排的分析和阐述,提出本篇论文的结论、创新点与论 文存在的不足,提炼出对对外汉语四字格成语教学的合理性建议,希望研究内 容可以为对外汉语成语教学提供新方法和新思路。 Idiom is a fixed phrase tempered by history and established by convention in Chinese language, which contains rich and unique Chinese cultural connotation. The formation and dissemination of Chinese language has experienced a long development process. Idioms in the Chinese vocabulary system have a unique style, a long history, a wide variety and quantity, and often have profound meaning and implication. Idioms are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process, cultural tradition, laws and policies, economic life and social customs of the Chinese nation, and have strong nat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We can explore the cultural essence of the Chinese nation in the history of the spread and development of idioms. Although idioms have only a few Chinese characters, they contain incomparably rich content and philosophy, and have strong expressiveness and inclusiveness. In terms of word formation structure and form, the structure of Chinese idioms is stable, neat and compact, the meaning is concise and easy to remember. The number of words in word formation is generally four characters, and there are also three characters or even more than a dozen words. The unique structure of idioms makes them easy to spread and use. The people are happy to use idioms in the process of life communication and learning. The degree and frequency of idioms are also relatively high. From the source of idioms, most of them come from ancient classic works, widely spread historical stories or people's oral. Idioms used in sentences bear important components such as subject, object and predicate, and have richer meanings than other parts of speech. To a certain extent, idioms condense China's Millennium culture and long history. They are the external manifestation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Without proper use of idioms, the learning and application of Chinese will never achieve a qualitative leap. Therefore, whether learn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 or in the communication of daily life, being familiar with Chinese idiom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language and the historical style and cultural core of China. On the basis of familiarity, if idioms can be used accurately and skillfully, it can not only increase the richness of the language, but also reflect the language charm of Chinese, but also play the role of the finishing touch, make the language expression more expressive and reflect the speaker's advanced cultural cultivation and cultural taste. In recent years, many foreign dignitaries often use idioms to decorate the sentences when they visit China for speeches, which not only shows their superb language level, but also highlights the cultural connotation and expresses their sincerity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ides. In the activities of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developing Chinese" is a teaching material of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with a relatively wide range of applications and widely recognized. Taking the teaching material of "developing Chinese" as the research subject has a certain universality and representativeness. While studying this series of textbooks, it can also provide some reference for other series of textbooks, which has a certain reference value. The full text of this paper is mainly discussed from the following part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which explain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topic from the research background. On this basis, this paper comprehensively combs the research status of idiom ontology and idiom teaching, and then constructs the basic framework of this paper combined with different research methods. The second chapter expounds the definition of idioms, and summariz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idioms. The third chapter classifies Four-Character Idioms, which mainly distinguishes and illustrates the categories of Four-Character Idioms from three different angles including cultural source, grammatical structure and rhetorical devices. The fourth chapter introduces the cultural connotation of Four-Character Idioms, mainly selecting diet, clothing, region and religion, these four cultural dimensions to analyze and study the deep cultural meaning of Four-Character Idioms. The fifth chapter takes The New HSK Vocabulary Level Outline and The Chinese Level Vocabulary and Chinese Character Level Outline as researching model, and makes a detailed statistics, combines and analyzes the Four-Character Idioms from two aspects of quantity and type. The sixth chapter takes the textbook Developing Chinese as the research subject, collects and analyzes the overall arrangement of Four-Character Idioms in such series of textbooks to expound the necessity of idiom teaching and analyze the method of idiom teaching as a foreign language under exploratory perspective, then puts forward corresponding teaching strategies and suggestions on this basis. The last chapter is the overall summary. On the combing of the research on relevant Four-Character Idioms and the analysis and elaboration of the arrangement of Four-Character Idioms in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this paper puts forward the conclusions, innovations and shortcomings, and extracts the reasonable suggestions for the teaching of Four-Character Idioms as a foreign language.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ing content can provide new methods and notions for further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 Character Strengths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Negative Health Outcomes

        Wallace, Norah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Fairleigh Dickinso 2021 해외박사(DDOD)

        RANK : 2607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refer to a range of negative experiences of childhood. A substantial body of research has established and examined the negative impact of ACEs on adult mental and physical health, but far fewer studies have examined potential moderators of this relationship. The current study assesses the role of character strength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Es and nega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utcomes in adulthood. Individuals in this study, which included 1,491 adult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character strengths, exposure to ACEs in childhood, as well as several measuremen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While results replicated previous findings that AC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health outcomes, and that character strengths are also related to health outcomes, character strengths did not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health outcomes remained significant across all analyses when controlling for ACEs suggesting that character strength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variables, over and above the effects of ACEs. There were several specific strengths that consistently exhibited a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 than the ACEs coefficient including hope, gratitude, self-regulation, zest, and perseverance. These findings may add to existing research that conceptualizes character strengths as a form of resilience, or a promotive factor in terms of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