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葛藤原因과 解消方案에 관한 實證的 考察 : 製藥會社 營業社員을 中心으로

        노언필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32269

        This paper was written to solve conflit cause and get an answer centering around salesmen of 250 persons in kwangju and Chonnam area to get an answer on conflict in organization. In the first chapter, we delt with study purpose, objects, range and study method about discord. In the second chapter, we delt with conflict cause, process, type, function and solu- tion method theologically. In the third chapter, on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positive consideration was tested by 1) T-test method 2) F-test method 3) Chi-square method at the level of p<0.05 In the fourth chapter, we delt with analysis summary of study and solving method of the cause. Solving methods are as follows. 1) Managers of the companies should present goals by examining employees opinions rather than by a one-sided plan of the companies. 2) Managers of the companies should give a self confident manner in order to dissolve a feeling of un easiness to general employees. 3) Managers of the companies should dissolve conflit and prejudice that they have to employees. 4) Managers of the companies must not love with partiality and disregard personality of employees, but must make mutual cooperation one another. 5) Managers of the companies should dissolve the employees conflict cause through public plan so that employees may be satisfied. In the fifth chapter, finally in equal modern times, I think that conflict decrease gradually. In order to solve conflict actually, and regularly, any persons, communities, and organizations should have concern with development problem, and also persons and cooperations one another should keep in the method and strategy.

      • 관세공무원과 고객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김춘수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266

        The human society continues to change. Such changes are necessarily accompanied by the social conflicts. Social changes and conflicts are cycled with each other, effecting each other, and such a relationship of cycle may be vicious or auspicious. If it is vicious, social changes and conflicts affect each other negatively, causing the social problems, disintegrating and destroying the society. In contrast, if the relationship is auspicious, social changes and conflicts affect each other positively, innovating and developing the society. Hence, our society would develop only when social changes are in an auspicious cycle with social conflicts. So, it is essential to manage the conflicts effectively in order to promote their positive functions and minimize the effects of their negative functions.Such a relationship between change and conflict exists on the field of custom administration in Korea. Custom officials are always in conflict with the tax payers who want to have their exported or imported goods custom-cleared, or with the travelers leaving from and arriving at the airport.The problems or conflicts arising from the item classifications or taxed prices during custom clearances or from checking travelers' baggages are very diversified.In the past, most of such conflicts involving taxations used to be resolved at Administrative Tribunal or according to Administrative Court procedures, but lately, as the number of the packsack travelers or the petty peddlers increases, group conflicts have been increasing. Such group conflicts may well paralyze the customs border management, while causing serious problems such as economic losses, administrative wastes or external distrus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flicts arising between customs officials and tax payers on the field of customs administration and thereby, explore their solutions.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various types of conflicts arising across the customs administration, focusing on the group conflicts involving customs-clearance of travelers' baggages accounting for the absolute majority of the customs services and attracting much social attention. Thus, the general administrative remedies specified in Administrative Lawsuit Procedure Act and Chapter 5 of Customs Act (tax payers' rights and appealing procedures) we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this study.For this study, the types of conflicts were divided in large into personal and group conflicts, each of which was analyzed by cause in legal, institutional, economic and cognitive terms.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sources and coping skills of conflicts and explored the ways to resolve them. In order to resolve the conflicts, it was deemed necessary to prevent them pre-emptively, while operating a conflict prevention program for each cause of conflict.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personal conflict from developing into a group conflict,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customs clearance processes. Namely, it is deemed required to change the current open-desk baggage checking system into a closed cubicle system. And this study also reviewed the ways to effectively check those who raise disturbances during customs clearances. 인류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필연적으로 사회갈등을 유발한다. 사회변동과 사회갈등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순환관계에 있으며, 이러한 순환관계는 악순환이 될 수 있고 선순환이 될 수도 있다. 악순환 관계는 사회변동과 사회갈등이 서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사회병리를 유발하고 사회를 분열시키고 사회파괴를 초래하는 악성의 성질을 가진 관계인 것이다. 반면에 선순환관계는 사회변동과 사회갈등이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사회혁신을 초래하여 사회발전을 증진시키는 성질을 가진 것이다. 그러므로 사회변동과 사회갈등은 선순환관계를 형성하도록 해야 사회발전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갈등의 순기능을 조장하고 역기능의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갈등 관리의 효율적인 방안은 어디서나 필요하다 하겠다우리나라의 관세행정의 현장에서도 그러한 갈등 양상이 언제나 존재하고 있다. 수출입화물 통관과정이나 해외여행자 입출국 수속 과정 등 에서 세관공무원과 그 고객간의 갈등이다.수입물품 통관 시 적용되는 품목분류 또는 과세가격 결정과 관련되는 문제나 해외여행자의 휴대품 검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등 등 그 양태도 매우 다양하다.과거에는 주로 세금 부과와 관련된 개인 갈등으로서 대부분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절차에 의해서 해결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특히 생계형 보따리 상들에 의한 집단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집단 갈등은 세관의 관세 국경관리 업무를 마비시키면서 경제적 손실은 물론 행정낭비, 또는 대외적인 신뢰하락 등 심각한 문제를 양산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당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관세행정 현장에서의 세관공무원과 그 고객간에 발생되고 있는 갈등 양상을 분석하고 그 개선책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그리고 그 범위는 관세행정 전반에 걸쳐 발생되는 각가지 갈등양상을 일단 대상으로 했으며, 특히 최근에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사회적으로 커다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관세행정에서도 많은 부담으로 나타나고 있는 여행자 휴대품 통관과정에서의 집단갈등에 중점을 두었다.갈등이론 중 갈등의 유형을 크게 개인갈등과 집단갈등으로 나누고 그 각각을 다시 갈등의 요인별로, 법적, 제도적, 경제적, 인지적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갈등 원천과 관리기술을 살펴보고 합리적인 그 개선책을 모색해 보았다.첫째로 갈등관리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세부실천 방안마련이다. 여기에는 갈등의 사전 예방책을 포함해서 갈등의 요인에 따른 체계적인 매뉴얼 등 갈등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효율적인 갈등관리 시스템 구축과 갈등관리센터 운영, 갈등관리 전문가 양성, 갈등관리 동아리 모임 활성화, 갈등관리 정보공유체계마련 등이 포함된다.둘째로 개인적인 갈등이 집단갈등으로 발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행자 휴대품 검사구역을 현재의 개방형에서 패쇄형의 CUBICLE 구조로 변경해서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것이다.셋째로 입국장내 집단 소란 행위를 예방하고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대응 조치를 마련한다.

      • 만 3세 유아의 언어능력에 따른 갈등원인과 해결방식의 차이

        류지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159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conflict and how to solve it according to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8 3-year-old children recruited from 13 kindergartens and child-care in Iksan City. To assess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Kim, Young Tae et al., 2009) was used. In order to observe the causes of conflict and solution of conflict infant conflicts, 12 categories of conflict causes and 12 categories of conflict solution we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Ko In-ok, 2001; Moon Yoon-kyung, 2003; Malloy & Murray, 1996). The categories of conflict causes are conflicts of ownership, teasing, invasion of play space, violation of rules, interference with play, intervention in play, decision on role in play, bullying, disagreement, accidental accident, rejection of suggestion or help. Conflict resolution categories include assertion, suggestion, apology, informing a teacher, request help for friend, asking, ignoring, moving, crying, hitting, robbing, throwing or crushing object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using SPSS 19 program. After analyz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language ability, the cause of conflict, and conflict resolution of the subjects, t-test and F-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language ability, conflict causes and conflict resolution methods according to infant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use of conflict and the way of solu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age of month of infant. 53 ~ 50 month old infants had the highest language ability, 49 ~ 46 month old infants were the next highest, and 45 ~ 42 month old infants had the lowest language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sex and birth order. Second, the cause of conflicts of children according to gender differed in possession disputes, invasion of play space, role decision in play, and solution of conflicts methods apologize, ignore, move, cry, Or crushed. The boys were high in possessing conflict causes, apologizing for solution of conflicts, ignoring, moving, depriving, throwing or crushing objects. Girls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confrontation with play space, decision to play in play, and crying for solution of conflicts. The causes of conflicts according to birth order differed from those in the play space and accidental occurrences. The first child showed high in the accidental accident of the cause of the conflict, the apology of the solution of conflicts, and the second child showed high in the invasion of the play space caused by the conflict. The causes of conflicts according to age were different in teasing. Resolving conflicts differed in apology, informing teacher, and moving. Infants age of month 53 ~ 50 months were more likely to apologize for conflicts than those who were distracted by conflicts. Babies born between 45 ~ 42 months were most likely to migrate to conflict resolution, while infants aged 49 ~ 46 months And the highest level in informing teacher of resolution. Third, the causes of confusion among young children, involvement in play space, violation of rules, distress, disagreement, role decision in play, rejection of suggestion or help differs according to language ability. Disagreement, role decision in play, rejection of suggestion or help appeared mainly in children with language score, and involvement in play space was mainly in infants with low language scores. Teasing, rule violation, and bullying are interpreted to occur between infants with low language scores and high infants.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ildren's solution of conflicts methods such as assertion, suggestion, informing teacher, beating, abandoning language ability. Assertion and suggestion appeared mainly in infants with high language scores and mainly in infants with low language scores of informing, moving, banging, and robbing teachers. As a result, the children 's language ability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and the children' s conflicts and ways of solution differed according to language ability.

      • 연근해어업의 업종 간 분쟁원인과 예방방안

        김재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15631

        우리나라에서 어업분쟁 조정업무를 맡고 있는 동해어업관리단과 서해어업관리단에 2009년도부터 2017년도까지 9년간 어업분쟁조정을 신청한 48개의 안건을 분쟁의 원인, 조정 방법 및 기간 등을 분석 · 검토하고, 실제 사례를 들어 일련의 과정을 살펴본 후에 업종 간 분쟁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9년간 어업분쟁 조정을 신청한 건수는 48건으로 연간 5.3건에 불과하고, 최근 것인 3건을 제외하고는 1건밖에 종결처리를 하지 못하고 나머지 모두가 해결되었다. 광역단체별 분쟁건수는 어업허가건수가 많은 경남, 전남과 충남이 많았으며, 어업별로는 연안어업이 50건으로 가장 많았고, 근해어업과 구획어업이 각각 28건과 12건이었으며, 업종별로는 통발어업이 20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자망어업과 구획어업이 각각 14건, 12건으로 많았다. 분쟁조정이 완료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평균 13.5개월이며, 이를 세분하여 보면 12~24개월 걸리는 기간에 종결되는 경우가 14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12개월에 9건이 종결되었다. 분쟁원인은 같은 어장에서 조업하다가 발생되는 경우가 28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어구어법상 발생하는 경우가 11건이었으며, 같은 어종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6건이었다. 거제 연안자망과 낙지 주낙 간 조업구역 분쟁 사례에서 어업조정위원들의 역할과 노고를 알 수 있었고, 협약이 체결되어 종결되었을 때 양측 어업인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인력, 시간과 어구 손실을 줄일 수 있었고, 조업구역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어업인들 간의 협력 강화 등이 있고, 부가적인 효과로는 조정 기준 제시로 자율적 분쟁조정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자율적 수산자원을 보호하고, 타어업종과의 분쟁해결 능력도 생기며, 심리적으로 어장확보 부담감을 줄일 수 있었고, 어업인의 주인의식 강화로 자율적 어업질서를 정착시킬 수 있다는 것이었다. 분쟁예방 방안은 첫째로 현재 우리나라에는 어업허가건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하루 빨리 축소를 실행하고, 둘째로 수산과련 법규를 지키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어업인 전체에 확산되어 있는데, 준법정신을 강화시켜 어떠한 일이 있어도 법은 지켜져야만 한다는 생각을 갖도록 하며, 셋째로 조업 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역지사지의 생각으로 타인의 어구를 손상시키지 않고, 넷째로 연안의 어장은 우리 어업인 모두의 것이므로 내가 조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어구를 철거하여 다른 어업인도 안전하게 조업할 수 있도록 허가어업의 면허어업화를 금지하고, 다섯째로 규모가 작은 연안 어선들이 연안 가까이에서 편안하게 조업할 수 있도록 근해어선들은 일정 거리 밖에서만 조업할 수 있도록 한다면 어업분쟁은 대부분 사라질 것이다. The 48 events submitted to East Sea Fisheries Management Service and West Sea Fisheries Management Service, which are in charge of fisheries conflict adjustment work in Korea, for nine years from 2009 to 2017, are analyzed and reviewed for the cause of the conflict, the adjustment method and period. And the following is a brief summary of the measures that can be taken to prevent conflict among fishery types after examining a series of processes. The number of fishery conflict adjustment applications over the past nine years was 48 cases per year, only 5.3 cases per year, and only one case can be concluded except for the recent three cases, and all the others were resolved. The number of conflicts by metropolitan council was the highest in Gyeongnam with 14 cases, followed by Jeonnam with 9 cases, and Chungnam with 8 cases. The number of conflicts by fisheries was the highest in coastal fishery. Next, there were 28 and 12 cases of offshore and demarcated fishery respectively. The number of conflicts by fishery types was the highest in pots fishery. Next, there were 14 and 12 cases of gill net and demarcated fishery respectively. The average period for completing the conflict adjustment is 13.5 months. The most frequent cases were terminated in 12~24 month period, followed by 9 cases in 6~12 months. The cause of conflict was the 28 cases were occurred while fishing in the same fishing ground, 11 cases were occurred in the fishing gear & method. In case of the conflict between the Geoje coastal gill net fishery and Octopus longline, we could know the role and the work of the fishery coordinators. When the agreement was concluded, the expected effect of the two side fishermen could reduce manpower, time and loss of fishing gear,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ishing area and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the fishermen. As an additional effect, it is possible to create an autonomous conflict adjustment environment by presenting the adjustment criteria, protect autonomous fishery resources, and the ability to psychologically reduce the burden of securing fishing grounds, and that the autonomous fisheries order could be settled by strengthening the owner's sense of the fishermen. The conflict prevention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number of fishery permits in Korea is too much,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fishery permits in a day, and secondly, it is not necessary to abide by fisheries laws and regulations. Third, when problems arise during fishing, we do not damage the fishing gear of other people with the idea of ​​walk in someone's shoes. Fourth, the coastal fishing ground belongs to all of our fishermen. therefore, when we do not operate, allow other fishermen to operate safely by removing fishing gear. therefore prohibit permissive fisheries from being licensed. Fifth, fisheries conflict will largely disappear if offshore fishing vessels are allowed to operate only at a certain distance, small coastal fishing vessels can operate comfortably near the coast.

      • 농촌관광사업에서 마을주민들이 인식하는 갈등의 원인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이병원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15578

        국 문 초 록 세계 농업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농촌의 총체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농촌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정부기관이나 지자체, 관련 기관이 주도적으로 농촌관광을 추진하고 있다. 농촌주민들이 관의 지원을 받아서 스스로 농촌체험 관련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곳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마을 내부에서 다양한 갈등을 겪고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지역주민간의 위화감이 조성되어 마을공동체가 붕괴위험에 처한 곳도 있다. 또한, 농촌관광사업은 공동사업이라는 명목 하에 주민참여를 기본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마을 주민들의 대부분은 책임의 분담은 적게, 이익의 분배는 많이 받길 원한다. 본 연구는 농촌관광마을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중, 사업의 성패를 떠나 농촌마을의 존폐위기를 야기 시킬 수 있는 갈등 문제의 원인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마을에서 일어나는 갈등의 유형을 지도자그룹과 마을주민,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집단 갈등과 마을주민들이 느끼는 개인 갈등으로 구분하여 갈등 원인의 집단간 차이 및 영향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갈등의 원인과 갈등의 정도를 측정하는 변수는 갈등이론 검토와 사례조사, 마을의 현장 조사를 통한 주민의 면담을 토대로 설정하였다. 갈등을 측정하기 위한 구분은 크게 갈등의 원인, 갈등의 현상, 갈등의 정도로 분류하였다. 갈등의 원인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목표의 차이, 인식의 차이, 상호의존성, 의사소통의 왜곡, 농촌사회의 특성으로 크게 구분하고, 목표의 차이는 사회적 목표, 경제적 목표로 나누고, 인식의 차이는 이익의 분배, 농촌관광마을사업의 평가에 관한 주민의 인식을 측정하였다. 상호의존성은 마을조직과 주민참여로 구분하였고, 의사소통은 회의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과정으로 구분하였으며, 농촌사회의 특성은 혈연과 지연으로 구분하였다. 갈등의 현상은 사례조사와 마을 현장조사에서 주민과 마을지도자들의 면담을 통해서 결정하였는데, 대표적인 내용으로 지도자의 사업추진방식에 불만, 사업과 관련해서 마을지도자의 교체, 특정 주민에 대한 안 좋은 감정, 주민간의 말다툼이나 싸움, 마을주민 참여수의 변화, 갈등의 정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이 중 마을주민의 참여수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의 평균값을 갈등 정도의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지로는 농촌관광과 관련한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와 교수의 자문을 얻어 마을에서 갈등이 심각하게 대두 되었거나 현재 갈등이 일어나고 있는 충북 2곳, 강원도 1곳, 경기도 1곳 등 총 4곳을 선정하였고,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위의 측정변수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응답자들은 마을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의 우선순위를 정부/지자체의 계속적인 지원, 적극적인 주민참여, 조직/운영체계 확립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집단별 갈등원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도자그룹과 주민그룹,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을 구분하여 집단간 평균비교를 실시하였다. 우선 지도자그룹과 마을주민의 결과를 살펴보면, 농촌다운 모습을 살려 아름답게 꾸미는 목표를 주민들보다는 지도자들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사회적인 목표에 차이를 보였으며, 지도자들이 주민들보다 마을 주민들 사이에 목표의 차이가 크다는 인식이 더 높아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인식의 차이에서 지도자들은 여건이 되지 않아서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소득분배를 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았지만 주민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익분배 방식에 있어서는 주민들이 부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갈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업의 평가에서는 주민들이 사업의 성과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상호의존성에서는 주민들이 마을지도자의 추진방식에 만족하지 못하였고, 주민참여에 있어서도 부정적으로 생각하여 지도자들과 차이를 보였다. 의사결정에 있어서 주민들은 회의에서 자유롭게 토론하고 의결하지 못했다고 하여 지도자들과 상반된 차이를 보였으며, 의사결정과정에 대해서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연과 지연, 외부인 고용에 대해서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특히 외부인의 고용은 두 집단 모두 반대의 입장을 나타냈다. 또 다른 집단인 참여와 비참여집단에서는 지도자와 주민들의 차이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비참여집단이 훨씬 더 부정적인 성향이 강했다. 각 원인별 변수가 갈등의 정도와 상관이 있다는 검증에서는 목표의 차이가 큼, 이익분배방식, 사업평가의 전 항목, 추진위원회의 신뢰, 추진위원회의 단합, 마을지도자의 사업추진 평가, 실제 이익을 얻는 사람이 사업을 함, 마을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음, 자유롭게 토론하고 의결, 회의 공지/기간 횟수, 의사결정방식의 불만, 의사결정과정의 적절성 등의 변수들이 갈등의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갈등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갈등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목표의 차이, 참여정도에 따른 이익분배, 적극적인 주민 참여와 단결, 사업을 위한 자유토론과 결과 공지, 의사결정의 투명성 등의 요인이 농촌관광마을사업에서 주민들간에 갈등을 유발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본 농촌관광마을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에 관한 실증 분석은 농촌관광에서 일어나고 있는 갈등의 원인을 구체화하고 집단간에 어떠한 원인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본 연구는 농촌과 관련한 마을 공동사업을 준비 할 때 마을별 갈등요인을 분석하여 갈등의 관리방안을 연구하고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주요어 : 농촌관광사업, 갈등의 유형, 갈등의 원인, 공동체 사업

      • 예술중․고등학교 무용강사의 갈등과 대처전략

        문하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15563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중?고등학교 무용 강사들이 교사 사회화 과정을 통해 경험하는 개인적 갈등, 개인과 개인 간의 갈등, 개인과 집단 간의 갈등과 대처전략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예술중?고등학교에서 무용을 지도하는 강사 7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무용 강사들의 갈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질적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무용 강사들이 경험하는 갈등원인은 첫째, 개인적 갈등으로 경제적 어려움, 시간적 문제, 사회적 인식과 지위, 권리, 앞날에 대한 불안함, 수업 이 외에 다양한 역할 병행의 갈등을 경험하였다. 둘째, 개인과 개인 간의 갈등은 동료 및 상급자, 지도 학생들, 그리고 학부모와의 상호관계에서 경험하는 갈등이다. 셋째, 개인과 집단 간의 갈등은 학교장, 교감, 관리자, 시설 및 환경에서 경험하는 갈등이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들은 갈등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기개발 및 자기관리, 배려와 순응, 대화와 타협, 동료 간의 화합, 회피 등의 전략을 이용하고 있었다.

      •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2014)과 나고르노-카라바흐 2차 전쟁(2020) 연구 : 영토분쟁 지역에서 전쟁의 원인과 징후를 중심으로

        한주성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166441

        최근 영토분쟁을 겪고 있는 지역에서 2건의 전쟁이 발생했다. 2014년 크림반도를 차지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대립하였고, 결국 크림반도는 러시아의 실효적 지배하에 들어갔다.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두고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이 44일간의 전면전을 치렀다. 국제사회가 침략행위를 비난하고 중재에 나섰지만, 군사력이 강한 나라가 분쟁 중인 영토를 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21세기에 다른 나라의 영토를 차지할 목적으로 전면전이 가능한 일인가? 하는 의문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영토분쟁 지역에서 전쟁의 발생 원인을 상세하게 연구하기 위해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과 나고르노-카라바흐 2차 전쟁에 관해 영토분쟁이 시작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쟁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신현실주의 이론을 접목하여 ‘분석틀’을 만들고 여기에 두 가지 사례를 대입하여 전쟁의 원인들을 도출해 내었다. 전쟁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신현실주의 주창자인 케네스 월츠 교수가 제시한 세 가지 이미지인 인간의 행동, 국가의 국내정치구조, 국제정치의 무정부적 속성에 ‘세력균형’을 추가하여 4개의 분석 단위를 가지고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두 가지 사례에서 도출한 전쟁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행동’ 측면에서 전쟁의 원인은 국가지도자의 의지, 분쟁지역 주민들의 정부와의 불화, 독립에 대한 열망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두 번째, ‘국가의 국내정치구조’ 측면에서는 국내 정치적 상황, 경제적 어려움 등 돌파구가 필요한 불안한 국내 분위기가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세 번째 ‘국제체제의 무정부적 속성’에는 국제체제의 구조적 변화와 강대국의 무분별한 국경 획정 등이 있으며, 네 번째 ‘세력균형’에서는 분쟁 당사국간의 군사력 불균형과 국력 차이에 의한 한 국가의 과도한 군비증강 등이 전쟁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양극체제가 무너지고 다극체제로 변화하면서 안보불안을 느끼고 군사력을 증강하였으며, 결국 전쟁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쟁의 원인을 분석하면서 전쟁을 준비하는 국가들의 특징적인 행태를 전쟁 징후로 정리하였으며, 이는 유사한 영토분쟁지역에서 전쟁을 예측하고 미연에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를 통해 초국가적 중앙권력이 존재하지 않는 무정부적 속성의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영토를 지키고 국가 의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결국 강한 군사력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wo wars have recently broken out in territorial disputes. Ukraine and Russia were at odds to occupy Crimea in 2014, and Crimea eventually fell under effective Russian control. Armenia and Azerbaijan played a 44-day all-out war over the Nagorno-Karabakh region in 2020.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demned the invasion and intervened, but a country with strong military power occupied the disputed territory. Is it possible to wage an all-out war in the 21st century for the purpose of occupying other countries' territory? The study began with this question. In order to study the causes of the war in the territorial dispute area in detail,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Russia's annexation of Crimea and the Nagorno-Karabakh Second War was examined. In addition,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auses of the war,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created by combining the neo-realist theory, and two cases were applied to derive the causes of the war To find out the cause of the war, an analysis frame was created with three images presented by Professor Kenneth Waltz, the advocate of neo-realism. The three frameworks are human behavior, the domestic political structure of the country, and the anarchic attributes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 causes of the war derived through the two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human behavior', the causes of the war were the will of the state leader, the discord with the government of the residents in the conflict area, and the desire for independence. Second, in terms of the "domestic political structure of the country," the unstable domestic atmosphere that needed a breakthrough, such as the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contributed to the war. The third "anarchy of the international system" includes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indiscriminate border planning of powerful countries, and the fourth, in terms of "power balance", the imbalance of military power and excessive military buildup was the causes of the war. In both cases, as the balance of bipolarity was broken and changed to a multi-polar system, the unstable situation led to an increase in military power, causing the war. Analyzing the cause of the war, it wa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preliminary signs of the war. The characteristic behaviors of countries preparing for war are summarized as signs of war, which will help predict and prevent war in similar territorial disputes. Studies have shown that it is ultimately a strong military force to protect its territory and realize the will of the state in an anarchic international community where supranational central power does not 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