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華城의 都市空間構成과 商街配置에 關한 硏究 : 도시입지형태와 도시공간조직을 중심으로

        김호준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city, on the whole, was grown according to the culture, the economy and society of the generation. So, it is haven to reserch in support of the conditions and of the of society. Su-Won palace is important as it was constructed on early Chosun. The study is reserched the form of the city and the siteplan of the shopping area. I distingished the city into the spontaneous element and the physical element and I studied the site style, the road, the character of land of Su-Won palace. I cited a lot of literature. This study formed 5 chapter. In chapter 1, Establishment of the purpose and meaning, the sphere of the study and methods, and the review of the preceding studies. It was consist of the city and architecture. As the result of the review, I found some problums about Su-Won palace. First, Su-Won palace wasn't understand as the whole. Second, We didn't consider the city in relation to the architecture. So, I distingished the city into the spontaneous elements and physical elements and I reserched about site plan of the commerical building. In chapter 2, I studied about the form of location. As the result, the form of the location consist of the natural elements, the mountains, rivers and Han-Yang settled by Poong-Su theory, Hwa palace settled by Shil-Hak and commercial element. In chapter 3, I reserched the composition of the city space about Su-Won palace. It is about the character of road. The rank of road in Su-Won is smaller than Han-Yang but, it is larger than the other. And the rank of road classified 4 rank, 6-9m, 4-6m, 2-4m, 1-2m. I separated transit road and a blind road. A blind road was occupied 4%. Next, I studied about land. This site was from Kwang-Chun bridge to the front of Hang palace. The average area was consisted 87.9m2. In chapter 4. I reserched the siteplan of shopping center. But I think the literature cited was insufficient. I guessed the scale of the shopping center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As the result, I guessed this was 34 building. In chapter 5, I summarized the result to 4 chapter from 1 chapter.

      • 화성처리한 AA1050 알루미늄의 내부식성 변화

        정재홍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화성처리 공정이 AA1050 알루미늄의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화성처리 용액의 조성은 4종의 화공약품을 배합하여 실험하였다. 이 4종의 화공약품은 화성처리 재료 개발을 위해서 선정하였다. 각 화공 약품의 조성변화를 이용하여 AA1050 알루미늄의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화성처리 조건인 용액의 온도, 침적 시간, pH 등의 변화가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Cr2(SO4)3이 0.00076M 이상일 때 AA1050 알루미늄의 내식성이 감소하였다. 중성염수분무 시험결과 K2ZrF6이 0.00035M 이상일 때 좋은 내식성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K2SO4과 Na2SO4의 농도 변화에 따른 화성처리 피막 구성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리고 pH 4.5 이상, 온도 30도 이상, 침적 시간 150초 이상에서 화성처리한 AA1050의 내식성이 증가하였다. AA1050 알루미늄의 화성처리에서 최적의 내식성은 0.00173M K2ZrF6, 0.00025M Cr2(SO4)3, 0.00170M K2SO4, 0.00209M Na2SO4 화학성분 조성일때 나타났다. 가장 양호한 신뢰성을 갖는 AA1050의 화성처리 조건은 pH 4.5, 온도 50℃, 침적 시간 210초에서 나타냈다. The effect of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on corrosion resistance of AA1050 aluminum was studied. The composition of the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solution was tested by mixing four chemicals. These four chemicals were se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materials. After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of AA1050 aluminum, the content of each chemical composition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A1050 aluminum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s of chemical conversio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immersion time and pH on the corrosion resistance we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orrosion resistance of AA1050 aluminum was reduced when Cr2(SO4)3 was more than 0.00076M. For neutral salt spray test, good result for corrosion resistance was obtained when K2ZrF6 was more than 0.00035M. The effect of K2SO4 and Na2SO4 concentration on the chemical conversion coating composition could not be confirme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AA1050, which was chemically treated at a pH of 4.5 or higher, a temperature of 30 degrees or higher, and a immersion time of 150 seconds or higher was increased. In the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of AA1050 aluminum, the optimum corrosion resistance was shown when 0.00173M K2ZrF6, 0.00025M Cr2(SO4)3, 0.00170M K2SO4, 0.00209M Na2SO4 chemical composition. The conditions for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of AA1050 with the best reliability are shown at pH 4.5, temperature 50°C, and immersion time 210 seconds.

      • 화성창의지성교육 사례분석을 통한 지속가능 학교문화예술교육 협력모델 연구

        최병창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 발달을 위해 전향적인 학교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국·영·수 교과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예·체능 과목의 수업 시수를 늘리는 등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제고를 위한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창의·융합적 사고력과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문화예술의 저변을 확대하여 문화예술정책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화성창의지성교육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례와 교육협력 거버넌스 자료를 바탕으로 여러 논문과 보고서, 서적들을 참고한 문헌 연구와, 다른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사례도 함께 비교하여 새로운 협력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화성창의지성교육은 화성시청(화성시창의지성교육지원센터)과 경기도교육청(화성오산교육지원청)이 교육협력 거버넌스를 구성하여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여 운영해 오고 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유용한 사례로써 타 지자체들이 벤치마킹을 하고 있다. 화성창의지성교육은‘창의지성교육도시 구축’이라는 지향점을 바탕으로 사업을 구상하여 인적, 공간적 프로그램을 지원하였다. 화성창의지성교육 시즌 Ⅰ에서는 스몰클래스(소규모 학급) 조성 사업과 수업보조교사 인력지원을 통해 학생 밀착형 학습지도로 공교육의 질 향상으로 화성창의지성교육 도시구축 기반을 조성하고자 했으며, 화성창의지성교육 시즌 Ⅱ에서는 학교와 마을이 함께하는 화성창의지성교육을 목표로 교육청, 시청, 창의지성교육지원센터와의 협력체계의 구축과 더불어 각 기관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분담하게 된다. 즉, 경기도교육청은 스몰클래스 구축에 따른 학급 증설에 맞춰 교원배치와 창의지성교육지원센터 사업 운영을 함께하는 고용휴직교사지원에 협력하였고, 지역 사회는 인적·물적·문화적 인프라 구축 및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를 활용할 수 있는 수업을 지원하였다.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은 창의지성교육 행정 전담팀을 구성하여 각종 학교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특히 창의지성교육지원센터와의 연계 속에서 사업운영의 주요 주체 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화성시는 화성창의지성교육 도시사업의 주체로서 예산지원 및 각종 보조금 지급 및 정산을 통해 공동으로 기획하고 운영하는 모든 프로그램의 지원체계를 확립하였다. 창의지성교육지원센터는 각종 프 로그램과 콘텐츠를 개발하여 창의지성교육 도시사업 전반의 기획과 연구개발을 담당하였다. 이는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 강사 등 인적자원의 연계와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교육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화성창의지성교육은 지자체가 학교문화예술교육을 포함한 공교육 지원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지자체가 재정을 지원하여 학교에서의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재정지원형과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지역인프라를 활용한 지역사회연계형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재정지원형은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정책을 기획하고 예산을 지원하여 학생들이 예술강사로부터 전문적인 문화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형태로,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중장기적계획에 근거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여 운영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였다. 지역사회연계형은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인적·물적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학교문화예술교육의 다양성과 특성이 뚜렷한 분야를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이렇듯, 화성창의지성교육의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지속가능한 교육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재정지원형과 지역사회연계형이 통합 운영되어야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지자체의 물적자원인 예산지원과 인적자원인 전문가를 발굴하고 활용하는 통합유형으로 운영성과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특색 있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체험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모델이 교육주체인 학생, 교사, 학교, 지자체, 지역사회가 협력모델의 결과물인 교육의 만족과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예술적 소양 및 감수성 함양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변화와 학교변화, 나아가 지역사회의 변화를 이끌어 낼 것을 기대해 본다.

      • 水原華城(柳川城) 原形景觀에 나타난 버드나무에 關한 硏究

        윤종태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조선시대 화성(수원성의 옛 지명)의 옛 도시경관에 나타난 버드나무에 관한 연구이다. 과거 화성에는 버드나무 식재를 통한 도시 경관 구성원리가 적용되었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는 화성과 버드나무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懿軌), 華城全圖, 은구도(隱溝圖), 동북각루외도(東北角樓外圖), 영화정도(迎華亭圖), 행궁전도(行宮全圖), 연거도(演短圖) 등의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난 화성의 버드나무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화성과 버드나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유추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성전도, 은구도, 동북각루외도, 영화정도, 행궁전도, 연거도 등의 화성 고지도에는 버드나무로 판단되는 수목이 중요한 도시경관을 이루고 있다. 2. 화성에는 버드나무와 관련된 다양한 지명이 있어 화성의 도시 구성에 있어 버드나무(柳)가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즉, 수원천은 유천(柳川)이라 하였고, 윗버드내(上柳川)와 아래버드내(下柳川)는 세류동(細柳洞), 화성은 유천성(柳川城) 또는 유경(柳京)으로 불리었다. 3. 버드나무는 주로 화흥문에서 화산릉까지 제방을 따라 선형의 도시경관 요소로 나타나며, 유천과 광교천 등의 도시하천, 용연과 같은 연못 주변 등에 심겨져, 도시의 수계(氷系)와 밀접한 체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조선의 정조대왕은 화성의 신읍지 조성에 있어 유천골이라 하는 이 고장이 지닌 버들잎 모양의 자연지세를 살펴 도시조성을 하도록 하여, 특별히 화성이 버드나무의 상징성을 깊이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기성(평양)전도에서도 평양의 대동강 강변에는 버드나무로 구성된 십리장림(十里長林)이 나타나듯이 조선시대에 버드나무는 화성을 비롯한 대부분의 도시에 있어 하천주변의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요소이었음이 증명되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버드나무를 통한 도시의 수계경관구성은 조선시대 도시에 있어 하나의 도시경관 구성원리이었음을 알 수 있다. 수원화성의 원형경관에 나타난 버드나무를 조명하는 의미는 화성의 역사 경관의 연구를 통해 화성의 도시경관 구성원리를 밝히고, 잃어버린 화성의 조경유산을 찾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기도한 화성의 보존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성의 원형경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전되기를 바라며, 수원팔경(水原八景), 수원춘팔경(水原春八景), 수원추팔경(水原秋八景), 등 역사경관을 찾는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원한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weeping willows(Salix babylonica) that were planted in the Suwon Castle in Chosun-dynasty as one of the urbanscape func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eping willow planting and principle of urbanscape forma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applies for literature review as secondary data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explores government official documents, books, drawings, and paintings which were published in Chosun-dynasty, including Chosun-Wangjo-Silrok(Chosun-dynasty chronicles), Whasung- Jeondo(old map of Suwon Castle), Whasung-Sungyok Uique(constuction document of Suwon Castel), etc.. Throughout these literature review, several results are found as followings. 1. From analysis of the old maps, willow was a main street tree species for landscaping in the Suwon Castle 2. These were some place name that relates with willow in the Suwon Castle such as Youchun(wi1low river), Webudnae(up stream willow), Araebudnae(d0wn stream willow), Youkyong(Wil1ow Castle). These names would be strong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ow and urban structure of the Suwon Castle. 3. The willows in the Suwon Castle were planted along the rivers, streams, creeks, and lakes in the Castle. These planting pattern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willows and urban hydrology system. Especially, the planting pattern from the Whahongmun to the Whasanruing plays a role of linear function in urbanscape. 4. The geological formation of Youchungol that is old name of the Suwon Castle, was similar to shape of willow leaf. According to this geological condition, the king Chung-Jo built the Suwon Castle with preservation of its original geological formation. In this point, willow would be the symbol of the Suwon Castle. 5.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willow planting pattern in the castle can be found in other castle like as the Siplijarim(4km length willow planting pattern along Dae-Dong river) in Pyong-Yang Castle. This finding would explain that the willow planting pattern of riverside and inside of castle is a major component of urbanscape in Chosun-dynasty. Throughout the study, there were remarkable results which explain a principle of urbanscape formation in Chosun-dynas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finding its originality and history for preservation of the Suwon Castle as one of the World Cultural Heritage.

      • 화성의 감각적 체득을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중학교 음악 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서윤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생들이 교과서 및 생활에서 접하는 음악은 대부분 서구 공통 관습시대의 장·단조 체계에 의한 것으로서 그 기저에 놓인 화성에 대한 이해는 음악을 이해함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화성 교육이 단편적 이론 주입에 그칠 경우 음악적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음악성 계발에도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성 교육은 ‘감각적 체득에 의한 실제적 이해’를 목표로 한 ‘청각적 경험을 통한 지각 및 인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주요 3화음을 중심으로 한 화음 상호 간의 관계 및 역할을 설명하고 있는 리만(H. Riemann)의 기능화성(functional harmony) 이론에 기초한 말러(W. Maler)의 표기법을 토대로 연구한 것이며, 실제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학습 대상은 중학교 3학년 학생으로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18종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 중 5종의 교과서에서 제재곡을 선정하였다. 학생들이 제재곡을 바탕으로 한 표현 및 감상 활동을 통해 화성의 기본 원리에 대하여 감각적으로 느끼고 지각하며, 더 나아가 음악에 있어 화성의 역할을 파악하는 인지 단계에 이를 수 있도록 ‘화음의 구성 원리’, ‘조성확립에 있어 화음의 역할’, ‘화성적 종지와 프레이징(phrasing)’, 단순한 선율의 ‘화음 진행 유형’, 그리고 ‘조바꿈’ 등의 각 학습 주제에 따른 활동을 통한 실제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개인별 음악적 소양에 따른 학습 능력의 차이를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 및 반음계적 화성, 현대 화성 등 교육범위가 확대된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 화성재인청춤의 전승과 특성 연구

        김라희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의 무용예술은 오랜 세월 동안 시대와 역사의 흐름에 따라 그 맥을 함께 하였으며, 그 중 ‘화성재인청’은 한국춤예술 전반을 체계화하고 새롭게 잉태시켰던 곳이자 근대이후 많은 예인을 배출해낸 곳이다. 재인청(才人廳)은 재인이나 광대 등이 구성한 자체조직으로 각 도의 도대방이 관할한 곳으로, 재인청 예인들은 민속의 무속의례는 물론 국가기관의 제사와 의식 ‧ 의료업 등 전 계층의 문화예술 행사를 주도한 이들이다. 그들은 궁중춤과 민속춤의 교통을 이루었고, 궁중과 민속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춤으로 재창출해 내었다. 재인청 춤의 대표적 예인으로 한성준과 이동안을 꼽을 수 있다. 한성준(韓成俊, 1875~1941)은 한국전통춤을 집대성한 인물로 한국무용의 교육적 체계를 확립하였다. 그는 한국의 전통춤을 무대화시키는 데에 큰 공헌을 한 인물이며, 광대나 기생들을 축으로 하여 전승되어 오던 전통춤을 전문적인 교육체계와 전수체계를 고안하여 후대에 널리 보급될 수 있는 터전을 만들어 놓았다. 특히 한성준류 태평무가 갖는 복식이나 춤사위는 궁중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지만, 그 장단은 무속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은 재인청춤의 특징을 잘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동안(李東安, 1906~1995)은 화성출신으로 조선왕조 마지막 도대방이었다. 화성재인청의 춤 스승인 김인호(金仁鎬)선생으로부터 직접 춤을 전수 받은 이동안은,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유랑생활로 고단한 생을 살아오면서도 줄타기와 춤으로 삶을 지탱하고 유지하였으며, 많은 시련 속에서도 춤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않고 제자들에게 그 맥을 잇게 한 예술가이다. 발탈을 비롯해 줄타기‧승무‧살풀이춤‧진쇠춤 등 그의 춤은 재인계열의 무속성과 원형을 다분히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근·현대를 거치며 한성준과 이동안으로 이어온 화성재인청류 춤은 기존의 전통춤과 대별되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우리 춤 문화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인청춤은 그 가치 또한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한국 전통춤 예술의 초석이 된 재인청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연구는 한국춤의 역사와 그 정체성을 찾는데 있어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부분이다. 이상을 토대로 한성준과 이동안을 통해 본 화성재인청류의 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성재인청은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을 연결시켜주는 ‘교량역할’을 하였다. 둘째, 전통춤에 있어서 가장 ‘원형적’이다. 셋째, 경향류 또는 기호지방춤까지 화성재인청이 아울렀다. 넷째, 배경설화를 근거로 한 ‘극적 춤구성’으로 되어있다. 다섯째, 춤사위는 투박하고 단순하며 힘차면서 고고하고 담백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근대에 이르러 한국춤은 신무용이라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되었고 민속춤과 궁중춤마저 새롭게 정리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전통예술의 큰 줄기를 지켜온 화성재인청의 가치를 재고하고자 하는 계기에서 비롯되었으며, 재인청춤의 전승과 특성연구를 토대로 한국춤 전반에 대한 이해가 좀 더 폭넓은 시각에서 다루어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화성동탄지역 NGO 활동과 인덕원선전철 정책변동 요인 : 이슈관심주기(Issue Attention Cycle)분석을 중심으로

        김형남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동탄신도시는 정부가 수도권 집중 억제 및 국토균형발전 실현을 기치로 내걸고 2001년 4월 25일 화성동탄지구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고시(건교부 고시제2001-104호)에 의거하여 화성시 동부지역에 조성된 신도시이다. 이후 정부는 첨단산업과 주거 교육 문화 비즈니스 기능이 조화된 자족적 중핵 거점도시 조성 및 수도권 남부 주택수요를 흡수하여 주택시장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정책목표에 따라 2007년 12월 20일 화성동탄2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고시(건교부 고시 제2007-601호)에 의거하여 수도권 최대 신도시로 확대 개발 중이다. 그런데, 계획도시인 동탄신도시는 신도시 중 유일하게 전철 없는 신도시의 오명을 뒤집어쓰고 있고, 동탄1,2신도시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교통문제는 악화일로를 걷게 되면서 이러한 시민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교통복지차원에서 화성동탄지역 NGO 단체가 인덕원선 복선전철 유치활동에 나서게 되는데, 왜 어떤 단체는 정부 정책을 변동시키는데 실패하고, 또 어떤 단체는 성공하게 되는지 본 연구에서는 화성동탄지역 NGO 활동을 중심으로 이슈관심주기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슈관심주기이론은 Downs(1972)가 제시한 정책의제설정과정에 대한 이론으로서 하나의 이슈가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장기간 유지되기 어렵다고 주장하며, 이슈가 생성하여 쇠퇴할 때까지 5개의 단계를 거쳐 종결된다고 하였으나, 본 연구 사례 분석을 통해 인덕원선 복선전철사업에서 ‘동탄 전철 이슈’와 관련하여 화성동탄지역 NGO들의 활동을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Downs의 주장과는 달리 하나의 이슈가 장기간 유지되면서 정책에 일부 반영, 일부 미반영 요인에 의해 세 번째 싸이클까지 순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사회적 이슈와 달리 철도와 같은 국책사업 관련 정부 정책 이슈의 경우 이슈특성 및 이슈 주도자의 특성이 다름으로 인해 이슈관심주기가 첫 번째 싸이클에서 종결되지 못하고 여러 차례 순환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를 ‘순환형 생존주기’ 모형이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 단체는 2011년 4월에 활동한 ‘동탄전철추진위원회’, 2011년 12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동탄전철비대위’,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화성동탄참여연대’로 구분하여 3개 단체를 중심으로 Downs의 이슈관심주기 이론을 수정한 수정모형을 적용하여 3단계를 ‘비용인식 또는 대안제시단계’로, 4단계를 ‘쇠퇴 또는 문제해결단계’로, 5단계를 ‘문제이후 또는 재점화단계’로 설정하고, 3번째 싸이클까지 진행되는 이슈관심주기 특성에 따라 이를 ‘순환형 생존주기’ 모형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분석한 것이다. 먼저 ‘동탄전철추진위원회(이하 동전위)’ 활동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2011년 4월 동전위 출범식 및 연명부 전달 등 ‘문제증폭단계’에서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연대서명부를 관계기관에 제출한 이후 추가 활동이 이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3단계 ‘비용인식 및 대안제시단계’에서 국토해양소위의 부정적인 지적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동탄전철 유치에 실패하고 결국 4단계 ‘쇠퇴 또는 문제해결단계’에서 이슈가 쇠퇴하지도 못하고, 문제가 해결되지도 못하는 가운데 이슈는 재점화하게 된다. 2011년 11월 정부의 인덕원선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공개되는데, 동전위와 지역 국회의원이 추진한 노선은 실패하면서 온라인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정치인들에게 맡겨 놓고 당하지 말고 이제는 시민들이 직접 전철유치에 나서야 한다는 여론에 따라 온라인을 중심으로 ‘동탄전철추진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가 결성되고 2011년 12월부터 활동에 들어간다. 비대위는 ‘비대위 공식노선도’를 제안하고 화성시 민관정 협의를 통해 비대위노선을 화성시단일안으로 확정하여 화성시와 공동으로 대한교통학회 타당성용역보고서를 첨부하여 국토부에 건의한다. 또한 제18대 대선을 앞두고 약 2달간 화성시 17개 읍면동, 22개 단체에서 동탄전철유치 연대서명을 받아 연명부와 대선정책질의서를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대선캠프에 전달하게 된다. 그 결과 인덕원선 전철사업이 박근혜 새누리당 당선자의 경기지역 공약에 반영되면서 인덕원선 사업 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2년이 지난 2014년 11월 기재부 타당성재조사 결과 동탄전철비대위가 추진한 ‘기산반월역’과 ‘메타역’이 반영되는 성과를 거두게 된다. 반면, 미 반영된 능동역, 나루역 지역 주민들이 능동역 및 나루역 유치활동에 ‘화성동탄참여연대(이하 참여연대)’에서 나서 줄 것을 요청하면서 2014년 12월 8일 화성동탄참여연대는 “능동역-나루역” 대안노선을 제안하고 연대서명운동에 돌입한다. 연대서명부 집계결과 1,2차 합계 약 2만 2천명이 참여했고, 화성동탄참여연대는 이 연명부를 동탄2동, 동탄3동 입주자연합회와 함께 국토교통부, 경기도, 화성시에 전달하고 노선변경 및 정거장 설치를 건의한다. 이에 국토부는 주민제안 노선을 본타당성조사에 반영하기로 했고, 검토결과 기존 재타안보다 더 환경성 및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2015년 10월 국토부 기본계획수립안에 능동역 설치 및 나루역 선형변경이 반영됨으로써 다시 한 번 화성동탄지역 NGO 활동이 성과를 거두게 된다. 이러한 세 가지 단일사례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이슈 주도자의 정책적인 대안제시 능력 및 온. 오프라인에서 이슈 파이팅 능력과 꾸준한 활동 유무가 정부의 인덕원선 전철 정책 변동에 있어서 성패를 가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전위는 이벤트성 서명부 전달 활동에 그쳐 이슈주도자의 정책 역량부족 및 단발성 활동으로 인해 정부 정책 변동을 이끌어 내지 못한 반면, 그 이후 활동한 화성동탄참여연대(산하, 비대위)는 처음부터 대안노선을 제시하고 그 노선의 타당성을 경제적 측면, 정책적 측면, 기술적 측면, 지역균형발전적 측면 등에서 설득논리를 개발하고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전략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정부 정책을 변동시킬 수 있었다. 어떤 점에서 본 사례연구를 진행하면서 이론적 측면에서 정부정책과 관련된 NGO 단체의 정책 활동에 대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고 그나마도 이슈관심주기이론을 적용한 사례는 본 논문이 처음이라는 점에서 선행연구에 대한 직접적인 사례 비교나 연구가 어려운 점도 있었지만, 그러한 한계점 속에서도 본 연구가 Downs의 이론을 수정한 ‘순환형 생존주기’ 모형이라는 새로운 모형을 발견하고 이를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성과가 있었다고 본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사회에 화성동탄지역 NGO와 같이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정책지향적인 풀뿌리 시민단체들이 민심을 대변함으로써 조세, 교육, 외교, 통일, 국방, 문화, 산업, 복지, 환경, 노동, 인권, 과학, 경제, 교통 등 정부 정책 전반에 주민 의견이 정책에 반영되어 국민이 행복해 지기를 기대해 보면서 2015년 하반기 국토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된 ‘동탄~세교 복선전철건설사업’에서의 화성동탄지역 NGO의 활약도 기대해 본다. A Study on Policy Change Factors of NGO Activities and the Indeogwon Line in the Hwaseong Dongtan Area Focusing on Issue Attention Cycle Analysis Dongtan New Town is a new town developed in the Eastern district of Hwaseong-si based on the designated notification of Planned Area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in Hwaseong Dongtan Area (designated no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1-104) on April 25, 2001, in order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ease the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realize balanced national land development. Subsequ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developing Dongtan New Town to expand it as the largest new tow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designated notification of Planned Area of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in Hwaseong Dongtan Area 2 (designated notific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7-601) on December 20, 2007, with the policy objectives of contributing to developing self-sufficient core cities in harmony with high-tech industry and various functions such as residence, education, culture, and business in addition tostabilizing the housing market with the absorption of the demand for housing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owever, the planned city of Dongtan New Town has been stigmatized as simply a new town without railroads. Furthermore, traffic problems have gone from bad to worse since residents started tomove into Dongtan New Towns 1 and 2. In order to resolve such complaints from citizens and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NGOs in the Hwaseong Dongtan Area started activities to attract the Indeogwon-Suwon Line at the level of transportation welfare. This study analyzed these NGO activities in the Hwaseong Dongtan Area on the basis of the issue attention cycle theory, why some organizations failed to change government policy and others succeeded in changing it. The issue attention cycle theory, proposed by Downs (1972), is a theory of agenda-setting processes which shows that an issue is difficult to maintain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cycle has five stages from its development to decline. Activities of NGOs in the Hwaseong Dongtan Area related to the ‘issue of Dongtan Railroad’in the Indeogwon-Suwon Line project were analyzed through case analysis in this study. Contrary to Downs's theory, the results showed an issue circulated to the third cycle by factors partially reflected and unreflected in policy while being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issues and issue initiators of government policy issues related to national projects such as railroads differed from those of general social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issue attention of government policy circulated several times without being able to be completedin the first cycle. Thus, this author aims to name this as a ‘cyclical survival period’ model. This study analyzed ‘Promotion Committee for Dongtan Railroad’ in April, 2011, ‘Emergency Committee for Dongtan Railroad’ from December, 2011 to November, 2014, and ‘Hwaseong Dongtan Participatory Union’ from December, 2014 to November, 2015. ‘Realizing the Cost of Significant Progress’, ‘Gradual Decline of Intense Public Interest’, and ‘The Post-Problem Stage’were respectively set as third, fourth, and fifth stages by applying the revised model of issue attention cycle theory by Downs to the three organizations. According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sue attention cycle advancing to the third stage, this was classified into a new category called a ‘cyclical survival period’ model for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activities of ‘Promotion Committee for Dongtan Railroad (PCDR)’, additional activities have not been carried out since they submitted the co-signature list to the related organizations with local members of parliament in the ‘Alarmed Discovery and Euphoric Enthusiasm’, such as inauguration of PCDR and delivery of the joint name list in April, 2011. They failed to attract the Dongtan Railroad because they could not respond appropriately to negative identification by the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Subcommittee in the third stage of ‘realization of the cost or alternative proposal stage’. Eventually, the issue could not decline in the fourth stage of ‘gradual decline of public interest or problem-solving stage’ and was reignited without solving the problems. In November, 2011,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were opened to the public. The route promoted by PCDR and local members of parliament ended in failure. Dueto public opinion that citizens should be involved in attracting the railroad without leaving important issues to politicians, the ‘Emergency Committee for Dongtan Railroad (ECDR)’ was founded based on online activities and was active from December, 2011. ECDR proposed the ‘ECDR official route map’ and determined it as a single proposition of Hwaseong-si through the government-public-private collaboration with Hwaseong-si. Then, ECDR made proposalsto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in partnership with Hwaseong-si with the attachment of a feasibility service report issued by th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In addition, ECDR collected co-signatures to attract the Dongtan Railroad from 17 eup, myeong, and dong and 22 organizations for approximately two months before the 18th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n delivered the joint signature list and policy questionnaire to presidential camps of Park Geun-hye, Moon Jae-in, and Ahn Cheol-soo. As a result, the Indeogwon-Suwon Line project was reflected in the election pledge in Gyeonggi Province of President-elect Park Geun-hye, and ECDR gained a foothold for the normalization of the Indeogwon-Suwon Line project.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other feasibility stud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n November, 2014, ECDR achieved an outcome that ‘Gisan Banwol Station’ and ‘Metapoils Station’ promoted by ECDR were reflected in the feasibility restudy. On the other hand, residents around unreflected Nuengdong Station and Naru Station asked the Hwaseong Dongtan Participatory Union (HDPU) to embark on activities to attract both stations. HDPU proposed an alternative route of ‘Nuengdong Station-Naru Station’ and then started a signature campaign on December 8, 2014. According to the aggregated results, a total of approximately 22,000 people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campaigns. HDPU delivered this joint signature list to MOLIT, Gyeonggi-do, and Hwaseong-si with the federation of residents from Dongtan 2 and 3-dongs to propose to change the route and install the stations. Thus, MOLIT decided to reflect the route proposed by the residents in this feasibility study. Moreover, the installation of Neungdong Station and linear changes in Naru Station were reflected in the master plan drafted by MOLIT in October, 2015, because it was considered that this route was more environment-friendlyand economical than various alternatives. NGO activities in Hwaseong Dongtan Area achieved success again. The study on these three cases enabled us to confirm that the ability to propose policy alternatives of issue indicators ability to diffuse and lead issues online and offline combined with the presence of constant activities determine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government policy changes in the Indeogwon-Suwon Line. In other words, PCDR failed to cause changes in government policy because their activities were limited to an event-like delivery of a signature list due to the lack of indicators' policy capacity and solitary activity. Conversely, HDPU (affiliated with ECDR),which has been active since the NGO, succeeded in changing the government policy by proposing the alternative route for the first time, developing a persuasive theory of the route's feasibility in terms of economy,policy, technology,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responding strategically through continuous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this case study, it was difficult to study or compare with previous studies due to the fact that adequate studies have not been conducted on NGOs' policy activities related government policy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and this paper firstly applied the issue attention cycle theory to th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found a new model named ‘cyclical survival period model’ to revise the theory of Downs (1972) and applied this even within the limitations. As we have seen above, it is expected that community-based policy-oriented grassroots citizen groups such as NGOs in Hwaseong Dongtan area represent the public and the people will be happy by reflecting their opinions in government policy areas such as taxation, education, diplomacy, unification, national security, culture, industry, welfare, environment, labor, human rights, science, economics, and transport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NGOs in the Hwaseong Dongtan area will succeed in creation of the 'Dongtan-Segyo Line Project', which has been selected as a project of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mplemented by MOLIT in the second half of 2015.

      •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한 화성학습 지도방안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정유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화성은 음악을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화성을 이해하는 것은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까지 여러 번의 개정을 거친 음악과 교육과정에도 화성학습은 일관성 있게 제시되어 있어 음악교육에서 화성학습을 중요하게 다루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통해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화성학습에 대한 연구는 필요성에 비해 부족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오르프 교수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화성학습의 지도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14종의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1에 나타난 화성학습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화성지도를 제안하기 위해 오르프 교수법을 적용하여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구성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중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표>를 중심으로 학년 군별로 나타난 화성의 개념 체계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중학교 1학년의 화성지도에 필요한 화성학습의 세부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화성학습의 세부 요소는 ‘가락(장음계, 단음계), 화음(음정, 장조의 주요 3화음, 단조의 주요 3화음, 딸림 7화음), 화성(악곡의 구성 안에서 나타나는 화음의 변화, 종지)’의 총 8가지로, 이는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표>에 나타난 ‘장음계, 단음계, 음의 높고 낮음, 주요 3화음, 딸림 7화음, 다양한 소리의 어울림, 종지’의 개념을 화성학습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다. 둘째, 14종의 2015 개정 중학교 음악 교과서 1에 제시된 화성학습의 세부 요소와 합창 및 합주곡을 분석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화성학습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음악 교과서 1에 나타난 화성학습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화성학습의 세부 요소와 관련한 분석을 통해, 대다수의 교과서에서‘단음계’, ‘단조의 주요 3화음’, ‘악곡의 구성 안에서 나타나는 화음의 변화’ 등의 세부 요소가 충분히 나타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 1에 나타난 합창곡과 합주곡을 ‘화성 진행과 종지의 명확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 화성 진행의 명확성과 종지의 명확성이 잘 드러나는 곡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앞서 살펴본 교과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화성학습의 세부 요소 중 충분히 나타나지 못한 세부 요소를 보충하고 합창과 합주를 통해 ‘화성 진행과 종지의 명확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합창과 합주 각 1곡을 선정하여 오르프 교수법의 오스티나토와 보르둔을 적용하여 편곡하고 지도전략을 제시하였다. 넷째, 앞서 제시한 지도전략을 토대로 중학교 음악 교과서 1에 나타난 제재곡 중 한 곡을 선정하여 오르프 교수법의 다양한 요소가 적용된 화성학습의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7차시 수업으로 구성하여 지도안과 함께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오르프의 교육철학, 학습활동 매체, 교수법적 요소 및 음악적 요소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학생들이 합창과 합주 등으로 이루어진 실음중심 활동을 통하여 화성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르프 교수법이 적용된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흥미로운 화성학습을 할 수 있도록 활동중심 화성학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효과적인 화성학습 구성을 위한 영감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 특성 요인이 관람객의 만족,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현숙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effect of the content characteristic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on audience satisfaction, word-of-mouth intention and economicachievement Jaeincheong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activities of the clowns with the craft of Changak(Korean traditional narrative song), Kiak(instrumental music), Mooak(dance music), Jaedam(witticism), Jultagi(funambulism) in the Joseon dynasty. Hwasungjaeincheong is a geographical environment as factor located in Suwon, Gyeonggi Province and was mobilized at various events held in the central offices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dancers and characters of Hwasungjaeincheong derived from the above are in charge of important roles in performing art history. According to this, academic researches on the dances of Hwasungjaeincheong are actively carried out,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wasungjaeincheong dance, the character of dance and the related person are mostly studied. However, Hwasungjaeincheong dance is a performing arts content in which the core factors of the performance itself and the factors that accompany viewing the work are complex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factor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contents and to clarify the effect of viewer `s behavior structure after watching on Visitor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In this study, six characteristic factors of content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were extracted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ing arts, and measured the universally valid and trustworthy factors that could be used to promote the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reflecting the three behaviors structure of the audience from the viewpoint of the work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382 audience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of Hwasungjaeincheong dance, such a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reliability, immediacy, innovativeness, visitor's behavior structure, audience satisfaction,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are 150 male and 235 female total out of 382 audience were visited and was revealed that visitors of high age group with highly educated and consistent income visited the theater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such a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reliability, immediacy, innovativeness have positive(+) influence on audience satisfaction and only playfulness was rejected becaus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udience satisfaction. Third, the audience satisfaction of Hwasungjaeincheong danc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Fourth, the intention of word of mouth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conomic achievement (intention to re–visi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characteristics factor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roved in this study were adopted with significant influence except playfulness. The rejection of playfulness may also be related to the absence of the performance planning professionals of the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of visitors can be further enhanced through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by recruiting professional performers who can understand and utilize the content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of Hwasungjaeincheong dance performance, leading to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intention to re – visit). Second, I would like to suggest a policy alternative to select Hwasungjaeincheong dance as a municipal arts organization in the hardware of Suwon Hwaseong which is listed as UNESCO in Suwon city. It is to secure the publicness that Hwasungjaeincheong dance has given importance of meaning and value. Hwasungjaeincheong Dance has a public character meaning that it has public benefit and the public is satisfied convenience through Hwasungjaeincheong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c implications of Hwasungjaeincheong dance, which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to secure public value and artistic value, which will lead to positiv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economic achievement as well as audience satisfaction. Keywords : Hwasungjaeincheong, characteristics factors, price, playfulness, ease of use, immediacy, reliability, innovativeness, word-of-mouth intention, economic achievement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 특성요인이 관람객의 만족,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인청은 조선시대 창악·기악·무악·재담·줄타기 곡예 등의 기예를 가진 광대들의 예능활동을 행정적으로 관리하던 곳이다. 화성재인청은 경기도 수원에 위치했던 지리적 환경 요인으로 조선시대 중앙에서 개최되었던 여러 행사에 동원이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파생된 화성재인청의 연희와 인물들은 공연예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화성재인청 춤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화성재인청 춤의 이론적 배경과 춤의 특성 및 관련 인물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화성재인청 춤은 공연작품자체가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요인들과 작품 관람에 따르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콘텐츠이다. 이 연구에서는 화성재인청 춤 공연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특성요인을 추출하고 관람 후 관람객의 행동 구조인 관람객 만족과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연작품 관점에서 화성재인청 춤 공연 콘텐츠의 특성 요인 6가지를 추출하였고, 작품관람 관점에서 관람객의 행동 구조 3가지를 반영하여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보편 타당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관람객 382명을 대상으로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특성 요인으로서의 가격성, 유희성, 이용용이성, 신뢰성, 즉시성, 혁신성과 관람객의 행동 구조인 관람객 만족과 구전의도 및 경제적 성과에 관한 실증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실증적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총 382명 중 남성이 150명, 여성이 235명으로 고학력이면서 소득이 일정한 높은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공연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특성 요인 중 가격성, 이용용이성, 신뢰성, 즉시성, 혁신성은 관람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희성만이 관람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 셋째, 화성재인청 춤의 관람객 만족은 구전 의도와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넷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구전 의도는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검증한 화성재인청 춤 특성 요인 중 유희성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영향으로 채택이 되었다. 유희성의 기각은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공연기획 전문인의 부재와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콘텐츠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연기획 전문인 영입으로 차별화 된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기획 및 개발을 통해 관람객의 만족도는 더욱 높아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구전의도와 경제적 성과(재관람 의도)로 이어져 화성재인청 춤 공연의 공공의 가치 및 예술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수원시가 유네스코로 등재된 수원 화성이라는 하드웨어 안에 화성재인청 춤 이라는 소프트웨어를 공공기관인 시립 예술 단체로 선정하는 정책적 대안도 제시하고자 한다. 화성재인청 춤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가치의 중요성을 부여하여 공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화성재인청 춤이 공공성을 갖는 다는 것은 공공적 편익을 갖는다는 의미로 편익은 화성재인청 춤을 통해서 대중들이 만족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화성재인청 춤이 공공의 가치와 예술성을 확보하여 관람객의 만족은 물론 긍정적인 구전 의도와 경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주제어 : 화성재인청, 특성 요인, 가격성, 유희성, 이용용이성, 즉시성, 신뢰성, 혁신성, 관람객 만족, 구전 의도, 경제적 성과

      • 수원화성의 풍수지리적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박종필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요약 조선시대 도읍의 입지환경은 교통 등 지역적 특성, 방어의 용이성, 물의 공급, 국지기후 등 지형적 특성, 정치 · 사회적 조건 등 다양하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 수원화성에 대한 풍수지리적 입지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풍수적 입지특성은 당시 사회에 내면적으로 흐르고 있던 관습과 사상을 동시에 살펴 볼 수 있고, 향후 도시계획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계획 신도시’로 알려진 수원화성의 도시입지 환경과 도시성격을 역사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도읍풍수 이론의 용세(龍勢), 사세(砂勢), 수세(水勢), 향(向)을 기준으로 풍수지리적 입지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도시 건설의 계획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통지식으로서의 풍수지리의 원리는 조상들이 지역 사회에 한정된 자원을 지속할 수 있도록 관리해온 생활과학과 철학을 담고 있다. 이는 인간과 도시, 자연의 공존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데 밑거름이 된다. 연구의 범위는 도시와 생산기반 시설을 포함한 신도시 전체를 지칭하는 의미로서의 화성이고,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과 현장답사로 진행하였다. 도읍의 입지특성을 풍수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요인을 용세, 사세, 수세, 향으로 구분하였다. 용세는 조종산과 주산으로, 조종산은 조산(祖山)에서 도읍 배후의 주산으로 이어지는 내맥(來脈)의 연결성과 내룡의 역량을 파악하고, 주산은 주산 용맥의 형세와 산세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사세는 사신사와 명당으로, 사신사는 전후좌우로 도읍을 에워싸고 있는 현무, 주작, 청룡, 백호의 국면 및 주객상대(主客相對), 외산환포(外山環抱) 등을 파악하고, 명당의 규모 및 역량을 분석하였다. 수세는 용세, 사세와 밀접히 관련되면서도 뚜렷이 구분되므로 득수(得水), 취수(聚水), 파구(破口) 등을 파악하였고, 마지막으로 도읍전체 및 시설물의 좌향, 도로와의 관계 및 경제생활과 관련한 도시의 향을 분석하였다. 수원화성의 입지특성에 대해 용세, 사세, 수세, 향으로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화성의 용세는 속리산과 칠현산에서 광교산으로, 광교산에서 다시 한 쪽 기슭이 팔달산으로 이어진 평지낙맥의 내룡맥세이다. 이 용맥이 낮게 내려오며 광교산 자락에서 발원한 서호천과 유천 사이로 유유히 행룡하다가 수원화성의 주산인 팔달산으로 크게 기봉(起峰)하였다. 또한 그 여기(餘氣)가 남아 뒤쪽에 귀성(鬼星)으로 숙지산을 만들어 그 맥세와 주산의 기상이 크다. 둘째, 화성행궁을 기준으로 보면 청룡과 백호가 짧아 크게 환포하지 못하는데 허결한 부분을 건축물의 비대칭으로 비보하거나, 물과 영화역, 외청룡 및 외백호로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수원화성을 둘러싼 광역의 국세는 북으로 광교산, 남으로는 화산, 동쪽에 청명산, 서쪽에 칠보산이 겹겹이 보호해주고 있고 광교산에서 발원한 서호천과 원천리천이 유정하게 감싸주고 있는 형국이다. 셋째, 수세는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한 광역의 자연적인 물줄기와 화성 내외부의 인위적인 물길, 만석거와 축만제 등의 관개시설, 은구와 연못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수원화성의 수구가 넓다는 점을 알지만 도회지로서의 국세를 염두에 두고 나무숲으로 비보하였다. 즉, 화성행궁을 중심으로 봤을 때는 수구가 열려 있으나, 광역의 국세를 보면 광교산에서 발원한 서호천과 유천, 원천리천 등 세 줄기의 물길이 모두 사창(社倉)이 있는 안녕(安寧)에서 합수(合水)되어 독산성 쪽으로 흘러가 잘 관쇄되고 있다. 넷째, 수원화성의 향은 조선후기 상업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삼남을 잇는 우로의 역할이 증대되는 가운데 풍수적 지형과 도로와의 관계 등 경제활동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입지를 결정한 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계획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이는 경제성장이 가속화되면서 자연 파괴가 문제시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커다란 시사점을 준다. 둘째, 자연순환체계를 중시하는 도시를 설계해야 한다. 이는 생물다양성을 포함하여 인간활동이 도시의 수계 및 대기계, 자원 및 에너지 순환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도시계획이 필요한 현대 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셋째, 인간중심의 도시계획과 효율적인 토지이용계획을 통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 이는 역사성과 장소성을 살리고 효과적인 토지이용계획을 통하여 도시환경을 개선해야 하는 현대 사회에 큰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넷째, 자급경제의 원칙을 실현하는 도시조성이 요구된다. 자급경제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시 내의 생산적 자원이 지역의 필요에 최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현대 도시계획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주제어: 수원화성, 입지특성, 풍수지리, 용세, 읍성, 읍치, 도읍풍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