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문률 인공 방파제에 서식하는 해조상 및 주기성에 관한 연구

        김양배 강릉대학교 대학원 1991 국내석사

        RANK : 247772

        江原道 注文津 防波堤에 附着, 樓息하는 海藻類를 1989年 8月부터 1990年 7月까지 種 造成 및 季節的 週期性에 關하여 調査하였다. 本 地域에서 採集 同定된 海藻類는 總 70種으로 緣藻類 7종, 褐藻類 21種 및 紅藻類 42種 이였다. 相觀的 優占種은 괭생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도박류 였으며, 이들 優占種에 의하여 모자이크 植生 類型을 보였다. Sørensen의 類似度 指數를 利用하여 群集의 季節 變化를 集落 分析을 한 結果 本 地域의 海藻相은 水溫 上昇期 海藻相 (1 - 7月)과 水溫 下降期 海藻相 (8 - 12月)으로 類似度 45% 水準에서 크계 2개의 集落으로 나누어 진다. 또 水溫 上昇期 海藻相은 다시 겨울 海藻相 (1 - 4月)과 봄 - 여름 海藻相 (5 - 7月)으로 2개의 小 集落으로 區分되었으며 이때 區分 水溫은 14℃ 였다. 또한, Cheney의 R+C/P 數値로 나타난 海藻相의 特徵은 溫帶性 과 寒帶性의 混合海藻相으로 나타났다.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y of a sea bank at Joomoonjin,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monthly in view of floristic composition and seasonal periodicity during from August, 1989 to July 1990. Total number of benthic alga identified were 70 taxa, which composed of 7 species of Chlorophyta, 21 species of Phaeophyta and 42 species of Rhodophyta. The dominant species were Sargassum horneri, Undaria pinnatifida, Laminaria japonica and Pachymeniopsis sp. Vegetation, from the point of phygiognomy, was a mosaic type by these dominant species. The flora was compared with similarity index using Sørensen coefficient and grouped by a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the algal community of this area could be divided into two clusters at similarity level 45% : Flora of water temperature - ascending period (January - July) and flora of water temperature - descending period (August - December). And also, the former flora was subdivided into two clusters at point of the 14℃ sea water temperature: winter flora (January - April) and spring - summer flora(May - July). The flora of this area was characterized as a mixed flora of cold and temperature zone by Cheney's index.

      • 韓國 西南海岸 可居島의 海藻相

        정승욱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742

        본 연구는 한국 서남해안 가거도에 생육하는 해조류를 대상으로 종의 특징을 기재하고 해조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재료의 채집은 2013년 8월부터 2015년 3월까지 가거도 9지점의 조하대 및 조간대에서 SCUBA 잠수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이 동정된 재료에 대해서는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다. 해조상 분석은 기후에 따른 해조상 특성을 나타내는 방법인 Feldmann (1937)의 R/P값과 Cheney (1977)의 (R+C)/P값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 11종, 갈조 30종, 홍조 95종으로 총 136종의 해조류가 동정되었다. 조사시기별 출현종은 2013년 8월에 76종이었고, 2014년 10월에 94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2015년 3월에 19종으로 가장 적었다. 조사지점별 출현종수는 2013년 8월 가무작지 44종, 개린여 49종, 장갓살 23종, 2014년 10월 신여 64종, 장갓살 39종, 3구 29종, 항리 47종, 15년 3월 녹도 10종, 항 1리 10종, 항 2리 4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에서 동정된 136 종 가운데 갈조 Chnoospora minima와 홍조 Leptofauchea rhodymenioides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었다. R/P값과 (R+C)/P값을 사용하여 가거도와 주변 지역(추자도, 흑산도, 홍도, 하태도, 만재도, 진도)과의 해조상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가거도는 두 값이 각각 2.6과 3.0을 보여 추자도, 흑산도, 홍도와 더불어 온대성 해조상 특징을 나타내었다. 종조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이전 연구들과 출현종을 비교한 결과 추가로 밝혀진 종은 녹조류의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 외 2종, 갈조류의 두켜부채(Distromium decumbens) 외 7종, 홍조류의 털보라털(Bangia gloiopeltidicola) 외 32종으로 총 44종이다. 서남해안 해조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가거도를 포함한 인근해역 도서지역에 대한 정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marine algal flora of Gageodo Island located in the west-southern coast of Korea.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by SCUBA diving from August 2013 to March 2015 at the coastal zone of Gageodo Island. The identified species materials were describe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line drawings. In analysis of the marine algal flora, R/P value of Feldmann’s(1937) and (R+C)/P value of Cheney’s(1977) method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algal flora according to the seawater temperature were used. According to the study, 11 species of Chlorophyta, 30 of Phaeophyta, 95 of Rhodophyta, a total of 136 species of marine algae were identified. Annual collections showed 76 species in August 2013, 94 species in October 2014 and 19 species in March 2015,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ollection cites, 44 species at Gamujakji, 49 species at Gaerinyeo, 23 species at Janggatsal in August 2013, 64 species at Sinyeo, 39 species at Janggatsal, 29 species at 3-gu, 47 species at Hangri in October 2014, 10 species at Nokdo, 10 species at Hang 1 ri, 4 species at Hang 2 ri in March 2015 were collected. Among 136 species in this study, Chnoospora minima of Paeophyta and Leptofauchea rhodymenioides of Rhodophyta were revealed as new members to marine algal flora of Korea. By using R/P and (R+C)/P valu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Gageodo Island along with Chujado, Heuksando, Hongdo, Haetaeto, Manjaedo, Jindo was conducted. As a result, Gageodo Island shows 2.6 and 3.0 value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e marine algal flora including Chujado, Hueksando, Hongdo. To find out variation of the species composi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y, 44 species including 4 species of Chlorophyta, 8 of Phaeophyta, 33 of Rhodophyta were ad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algal flora in the West-southern coast, more accurate study on Gageodo Island is needed.

      • 한국 남해안 도서지역의 해조상

        최건희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79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ies were examined at four sites on the southern islands of Korea in May and August. A total of 93 species (10 Chlorophyta, 22 Ochrophyta, 61 Rhodophyta) appeared during the study period. For each study area, the number of marine algal species was appeared 44 species (6 Chlorophyta, 10 Ochrophyta, 28 Rhodophyta) in Chujado, 39 species (6 Chlorophyta, 11 Ochrophyta, 22 Rhodophyta) in Mijodo, 44 species (4 Chlorophyta, 12 Ochrophyta, 28 Rhodophyta) in Maemuldo, 55 species (3 Chlorophyta, 3 Ochrophyta, 16 Rhodophyta) in Jisimdo. The mean standing crop was 749.36 g․dw․m-2 (Chlorophyta 99.14 g․dw․m-2, Ochrophyta 528.54 g․dw․m-2, Rhodophyta 121.69 g․dw․m-2) in Chujado, 1321.76 g․dw․m-2 (Chlorophyta 2.38 g․dw․m-2, Ochrophyta 1257.56 g․dw․m-2, Rhodophyta 61.83 g․dw․m-2) in Mijodo, 2291.38 g․dw․m-2 (Chlorophyta 0.64 g․dw․m-2, Ochrophyta 1079.66 g․dw․m-2, Rhodophyta 1211.069 g․dw․m-2) in Maemuldo, 1739.2 g․dw․m-2 (Chlorophyta 27.37 g․dw․m-2, Ochrophyta 263.63 g․dw․m-2, Rhodophyta 1448.20 g․dw․m-2) in Jisimdo. The representative dominant species based on importance value were Ulva australis, Ulva linza, Sargassum thunbergii, Sargassum fusiforme, Ishige okamurae, Myelophycus simplex,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Hypnea pannosa. The R/P, C/P, (R+C)/P values ranged from 2.00-5.33, 0.33-1.00, 2.55-6.33, three islands of algal flora belong to the warm temperate to cold temperate (Chujado, Mijodo, Maemuldo). The community indices, among the study site, the richness (R), evenness (J') and diversity (H') indexes of Chujado Island were the best at 2.80, 0.60, 3.40, and the Jisimdo Island were the worst at 5.33, 1.00, 6.33. 이번 연구는 남해안 도서지역 해조류의 기초생태학적 자료를 위해 해조상, 우점종, 군집구조를 구명하고 주변 인근해역 다른 도서지역들의 선행연구와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22년 5월(춘계)와 8월(하계)에 한국 남해안 4개 도서지역인 추자도, 미조도, 매물도, 지심도의 조간대 해조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종은, 총 93종으로 녹조류 10종, 갈조류 22종, 홍조류 61종이 출현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추자도가 총 44종으로 녹조류 6종, 갈조류 10종, 홍조류 28종이며 미조도는 총 39종으로 녹조류 6종, 갈조류 11종, 홍조류 22종이고 매물도는 총 44종 녹조류 4종, 갈조류 12종, 홍조류 28종이었으며 지심도는 총 22종으로 녹조류 3종, 갈조류 3종, 홍조류 16종이 출현 하였다. 지역별 평균 현존량은 추자도가 총 749.36 g․dw․m-2로 녹조류 99.14 g․dw․m-2, 갈조류 528.54 g․dw․m-2, 홍조류 121.69 g․dw․m-2, 미조도는 총 1321.76 g․dw․m-2로 녹조류 2.38 g․dw․m-2, 갈조류 1257.56 g․dw․m-2, 홍조류 61.83 g․dw․m-2, 매물도는 2291.38 g․dw․m-2로 녹조류 0.64 g․dw․m-2, 갈조류 1079.66 g․dw․m-2, 홍조류 1211.09 g․dw․m-2, 지심도는 1739.20 g․dw․m-2로 녹조류 27.37 g․dw․m-2, 갈조류 263.63 g․dw․m-2, 홍조류 1448.20 g․dw․m-2로 나타났다. 중요도를 기준으로 한 이번 조사지역들의 우점종은 녹조류인 구멍갈파래(U. australis), 잎파래(U. linza)와 갈조류인 지충이(S. thunbergii), 톳(S. fusiforme), 패(I. okamurae), 바위수염(M. simplex) 그리고 홍조류인 작은구슬산호말(C. pilulifera), 개서실(C. crassicaulis), 애기가시덤불(C. ustulatus), 덩어리가시우무(H. pannosa)로 나타났다. R/P값은 2.00-5.33, C/P값은 0.33-1.00, (R+C)/P값은 2.55-6.33으로 나타나 추자도, 미조도, 매물도는 한대에서 온대 해조상, 지심도는 열대에서 온대 해조상으로 판단된다. 풍부도(R), 균등도(J'), 다양도(H')는 추자도가 각각 2.8, 0.6, 3.4로 가장 군집지수가 높았고, 지심도가 각각 5.33, 1.00, 6.33로 군집지수가 가장 낮았다.

      • 동해안 조하대 해조상 및 해조군집

        우병찬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77

        이번 연구는 2020년 5월과 8월, 한국 동해안의 4개 지역(후진, 죽변, 축산, 오류)의 해조상을 조사하였다. 이번 연구의 출현종 수는 총 75종으로 녹조류 7종, 대롱편모조류 22종, 홍조류 46종이 출현하였으며, 각 지역별 출현종 수는 후진에서 46종(녹조류 6종, 대롱편모조류 9종, 홍조류 31종), 죽변에서 38종(녹조류 5종, 대롱편모조류 9종, 홍조류 24종), 축산에서 39종(녹조류 4종, 대롱편모조류 15종, 홍조류 20종) 그리고 오류에서 22종(녹조류 3종, 대롱편모조류 8종, 홍조류 11종)이 출현하였다. 조사지역별 평균 현존량은 후진에서 총 1,135.53 g dry wt m-2으로 녹조류 4.24 g dry wt m-2, 대롱편모조류 345.26 g dry wt m-2, 홍조류 786.04 g dry wt m-2, 죽변에서 총 467.03 g dry wt m-2으로 녹조류 9.87 g dry wt m-2, 대롱편모조류 175.63 g dry wt m-2, 홍조류 281.54 g dry wt m-2, 축산에서 총 795.21 g dry wt m-2으로 녹조류 28.93 g dry wt m-2, 대롱편모조류 667.67 g dry wt m-2, 홍조류 98.61 g dry wt m-2, 오류에서 총 683.53 g dry wt m-2으로 녹조류 1.59 g dry wt m-2, 대롱편모조류 405.59 g dry wt m-2, 홍조류 276.36 g dry wt m-2으로 나타났다. 평균 현존량을 기준으로 우점종을 나타냈을 때, 조사지역별 대표종은 후진에서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죽변에서 마디잘록이, 미역(Undaria pinnatifida), 축산에서 미역,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오류에서 미역, 긴까막살(G. elata)로 나타났다. 춘·하계 각각 중요도 지수 우점종은 조사지역별로 후진에서 그물바탕말(D. dichotoma)과 검은담서실(Palisada intermedia), 죽변에서 참가죽그물바탕말(D. coriacea)과 돌가사리(Chondracanthus tenellus), 축산에서 미역과 가시뼈대그물말, 오류에서 개그물바탕말(Rugulopteryx okamurae)과 긴까막살로 나타났다. R/P값과 (R+C)/P값은 조사지역별로 각각 후진에서 3.44와 4.11, 죽변에서 2.67과 3.22, 축산에서 1.33과 1.60, 오류에서 1.38과 1.75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동해안 4개 지역 해조상은 온대 해조상 또는 한대성이 강한 한온대 해조상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the marine algal flora of four areas (Hujin, Jukbyeon, Chugsan, Oryu), east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in May and August 2020. The number of marine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seventy five species (7 Chlorophyta, 22 Ochrophyta, and 46 Rhodophyta) in total. For each study area, the number of marine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46 species (6 Chlorophyta, 9 Ochrophyta, 31 Rhodophyta) in Hujin, 38 species (5 Chlorophyta, 9 Ochrophyta, 24 Rhodophyta) in Jukbyeon, 39 species (4 Chlorophyta, 15 Ochrophyta, 20 Rhodophyta) in Chugsan and 22 species (3 Chlorophyta, 8 Ochrophyta and 11 Rhodophyta) in Oryu. The mean standing crop was 1,135.53 g dry wt m-2 including 4.24 g dry wt m-2 Chlorophyta, 345.26 g dry wt m-2 Ochrophyta and 786.04 g dry wt m-2 Rhodophyta in Hujin, 467.03 g dry wt m-2 including 9.87 g dry wt m-2 Chlorophyta, 175.63 g dry wt m-2 Ochrophyta and 281.54 g dry wt m-2 Rhodophyta in Jukbyeon, 795.21 g dry wt m-2 including 28.93 g dry wt m-2 Chlorophyta, 667.67 g dry wt m-2 Ochrophyta and 98.61 g dry wt m-2 Rhodophyta in Chugsan and 683.53 g dry wt m-2 including 1.59 g dry wt m-2 Chlorophyta, 405.59 g dry wt m-2 Ochrophyta, 276.36 g dry wt m-2 Rhodophyta in Oryu. The representative species based on standing crop were Lomentaria catenata, Dictyopteris prolifera in Hujin, L. catenata, Undaria pinnatifida in Jukbyeon, U. pinnatifida, Gelidium elegans in Chugsan, and U. pinnatifida, G. elata in Oryu.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important value (IV) in each study area were D. dichotoma, Palisada intermedia in Hujin, D. prolifera, Chondracanthus tenellus in Jukbyeon, U. pinnatifida, D. prolifera in Chugsan, Rugulopteryx okamurae, G. elegans in Oryu, respectively at spring and summer. R/P and (R+C)/P value indicating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in each study area was 3.44 and 4.11 in Hujin, 2.67 and 3.22 in Jukbyeon, 1.33 and 1.60 in Chugsan, 1.38 and 1.75 in Oryu, respectively. Therefore benthic marine algal flora at this study area on the east coast was typical temperate or cold temperate marine algal flora.

      • 고흥지역 조간대 해조상

        강정민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해조 생육에 대한 자료가 미흡한 고흥지역 조간대의 해조상과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생태학적 특징을 구명하고자, 고흥지역 9개소를 선정하여 조간대 해조상과 군집구조에 대한 조사를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관찰된 해조류는 녹조 4종 , 갈조 6종, 홍조 24종으로 총 34종이 동정되었다. 출현종 수는 시산에서 18종, 오천에서 14종, 용암에서 10종, 지죽에서 10종, 염포에서 10종, 우두에서 8종, 취도에서 3종, 상오에서 3종, 고라금에서 3종 이었다. 계절별 현존량은 봄철에 9964.7g/㎡, 여름철에 14656.3g/㎡, 가을철에 3464.2g/㎡, 겨울철에 3791.7g/㎡ 이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죽의 현존량이 16136.3g/㎡로 가장 높았고 염포에서 11924.9g/㎡, 시산에서 10822.8g/㎡, 취두에서 10276g/㎡, 오천에서 6880.4g/㎡, 우두에서 5797.4g/㎡, 용암에서 4608.8g/㎡ 이었으며, 가장 낮은 지역은 고라금으로 3756.3g/㎡ 이었다. 종별 현존량은 녹조류에서는 구멍 갈파래(Ulva pertusa)가 가장 높았고, 갈조류에서는 괭생이 모자반(Sargassum horneri)이 가장 높았고, 미역(Undaria pinnatifida),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톳(Hizikia fusiformis)의 순이었으며, 홍조류에서는 풀가사리(Gloiopeltis tenax)가 비교적 높았다. 연중 우점종은 구멍 갈파래로 대표될 수 있으며, 봄, 여름, 겨울에 괭생이 모자반, 가을에는 지충이가 준우점하는 식생변화를 나타냈다. 전 조사지점의 조사 기간 동안 나타난 해조류에 대한 (R+C)/P값은 4.83으로, 고흥지역의 해조상은 온대지역으로 생각된다. (Abstract) In order to analysis seasonally the marine algal flora and investigate the ecological characteries of marine algae crowding construction in Goheung where was not well informed of the data of reproduction of marine algae, 9 sampling points were choiced and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The number of appeared species during the investigation were 34 species in total, including 4, 6 and 24 species of Chlorophyra, Phaeophyta and Rhodophyta, respectively. There were 18 species in Sisan, 14 species in Ocheon, 10 species in Yongam, 10 species in Chichuk, 10 species in Yeompo, 8 species in Udu, 3 species in Chwido, 3 species in Sango and 3 species in Gorageum appeared during the investigation. Ulva pertusa was appeared in the 8 sampling points except Sisan. The biomass of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was 9964.7g/㎡, 14656.3g/㎡, 3464.2g/㎡ and 3791.7g/㎡, respectively. The biomass of Chlorophyra, Phaeophyta and Rhodophyta was 9.2 g/㎡, 68.7 g/㎡ and 8.1 g/㎡, respectively. During the investigation, Ulva pertusa had most biomass among Chlorophyra species and the biomass of Phaeophyta species decreased in the order of Sargassum horneri,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thunbergii, and the biomass of Gloiopeltis tenax was relatively more than the other species of Rhodophyta. Ulva pertusa was the dominant species during the year, and except Ulva pertusa, Sargassum horneri was relative dominant species in spring, summer and winter, Sargassum thunbergii was relative dominant species in fall. The value of (R+C)/P of the marine algae appeared in the sampling points during investigation was 4.83, so the marine algal flora in Gogeung area could be thought as temperate type.

      • 한국 연안 바다숲 조성 해역의 해조상 및 군집 천이에 관한 연구

        장재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62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12월까지 4계절에 걸쳐 한국 연안의 바다숲 조성 기반 해역의 해조상 및 군집 천이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각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해조류의 종 수는 동해 사근진에서 녹조류 4종, 갈조류 20종, 홍조류 45종으로 총 69종, 서해 파도리에서 녹조류 7종, 갈조류 9종, 홍조류 34종으로 총 50종, 남해 거제에서 녹조류 5종, 갈조류 7종, 홍조류 35으로 총 47종, 제주 사계리에서 녹조류 4종, 갈조류 10종, 홍조류 28종으로 총 42종의 해조류가 각각 출현하였다. 4계절에 걸쳐 출현한 종은 동해 사근진에서 구멍갈파래(Ulva pertusa), 개그물바탕말(Dilophus okamurae), 부채분홍잎(Acrosorium flabellatum), 잔금분홍잎(A. polyneurum), 돌가사리(Chondracanthus tenellus), 진두발(Chondrus ocellatus),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참지누아리(Grateloupia filicina), 엇가지풀(Heterosiphonia japonica), 쩍속의 1종(Lithothamnion sp.),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참곱슬이(Plocamium telfairiae), 붉은까막살(Prionitis cornea), 개우무(Pterocladia capillacea), 두갈래분홍치(Rhodymenia intricata)로 나타났고, 서해 파도리에서는 떡청각(Codium adhaerens), 청각(C. fragile), 구멍갈파래,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톳(Sargassum fusiformis),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진두발, 돌가사리, 참산호말(Corallina officinalis), 작은구슬산호말, 우뭇가사리, 잎꼬시래기(Gracilaria textorii), 미끌지누아리(Grateloupia turuturu), 혹돌잎속의 1종(Lithophyllum sp.), 쩍속,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애기마디잘록이(L. hakodatensis),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로 나타났다. 또한, 남해 거제에서는 구멍갈파래, 참가죽그물바탕말(Dictyota coriacea), 곰피(Ecklonia stolonifera), 주름붉은잎(Callophyllis crispata), 돌가사리, 우뭇가사리, 미끌지누아리, 쩍속, 개우무(Pterocladia capillacea)로 나타났고, 제주 사계리에서는 누운청각(Codium coactum), 구멍갈파래, 감태(Ecklonia cava), 큰열매모자반(Sargassum micracanthum), 톱니모자반(S. serratifolium), 넓은게발(Amphiroa dilatata), 붉은뼈까막살, 넓은사슬풀(Champia expansa), 혹돌잎속, 쩍속, 방황게발혹(Marginisporum aberrans), 둘레게발혹(M. crassissimum), 자루바다표고(Peyssonnelia caulifera), 참곱슬이었다. 각 조사지에서 채집된 해조류의 연평균 현존량은 동해 사근진에서 녹조류 80.7 g wet wt m-2, 갈조류 428.4 g wet wt m-2, 홍조류 354.4 g wet wt m-2으로 총 863.5 g wet wt m-2, 서해 파도리에서 녹조류 85.0 g wet wt m-2, 갈조류 1,673.2 g wet wt m-2, 홍조류 241.4 g wet wt m-2으로 총 1,999.6 g wet wt m-2, 남해 거제에서 녹조류 14.7 g wet wt m-2, 갈조류 1,410.4 g wet wt m-2, 홍조류 105.1 g wet wt m-2으로 총 1,530.2 g wet wt m-2, 제주 사계리에서 녹조류 611.5 g wet wt m-2, 갈조류 828.5 g wet wt m-2, 홍조류 462.9 g wet wt m-2으로 총 1,902.9 g wet wt m-2이었다. 모든 조사지에서 갈조류의 현존량 비율이 녹조류와 홍조류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현종량에 근거한 각 조사지를 대표하는 종은 동해 사근진에서 구멍갈파래,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미끈뼈대그물말, 참그물바탕말(Dictyota dichotoma), 다시마, 알쏭이모자반(Sargassum confusum),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마른나무(Tichocarpus crinitus), 서해 파도리에서 다시마, 괭생이모자반, 미역(Undaria pinnatifida), 진두발, 남해 거제에서 곰피, 제주 사계리에서 누운청각, 감태, 톱니모자반, 게발, 산호말속의 1종(Corallina sp.)이었다. 각 조사지에서 해조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R/P, C/P, (R+C)/P 값을 보면, 동해 사근진에서 R/P 2.25, C/P 0.20, (R+C)/P 2.45, 서해 파도리에서 R/P 3.78, C/P 0.78, (R+C)/P 4.56, 남해 거제에서 R/P 5.00, C/P 0.71, (R+C)/P 5.71, 제주 사계리에서 R/P 2.80, C/P 0.40, (R+C)/P 3.20으로 나타나다. 각 조사지에서 출현한 해조류는 해조생태계의 환경 지표를 나타내기 위하여 외부 형태와 내부 구조에 따라 6가지 기능형(엽상형, 사상형, 성긴분기형, 다육질형, 유절산호말형, 각상형)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긴분기형에 속하는 해조류들이 다른 기능형 군에 속하는 종들보다 더 많이 출현하였고, 각 조사지에서는 서식지의 환경 상태를 나타내는 생태학적 상태 그룹인 ESG Ⅱ (54.7-78.7%)가 ESG Ⅰ (21.3-45.3%)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제주 사계리의 갯녹음 해역에서는 유절산호말형이 다른 기능형 군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각 조사해역별 천이과정을 보면 동해 사근진의 경우, 갯녹음 해역서는 기회종인 구멍갈파래, 다년생 갈조류인 미끈뼈대그물말, 알쏭이모자반, 일년생 홍조류인 마디잘록이와 참곱슬이, 다년생 홍조류인 우뭇가사리와 붉은까막살, 유절산호조류와 무절산호조류와 같은 다양한 해조류가 초기 단계에 고정방형구 내의 갯닦기 암반에 입식하였고, 일년생 녹조류인 떡청각과 청각, 일년생 갈조류인 괭생이모자반, 다년생 갈조류인 가시뼈대그물말과 감태, 그리고 애기돌가사리, 진두발, 참도박, 개우무, 두갈래분홍치와 같은 다년생 홍조류가 천이의 후기 단계에 입식되었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갯녹음 해역과 유사한 천이과정을 보였다. 또한 동해안의 주요 종으로 알려진 야키시리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은 두 해역에서 조사기간 중 후기단계에 입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 파도리의 경우, 갯녹음 해역에서는 기회종인 납작파래(Ulva compressa)와 잎파래(U. linza), 일년생 사상형 녹조류인 솜대마디말(Cladophora albida), 유절산호조류와 무절산호조류가 초기 단계에 입식하는 종으로 나타났고, 일년생 대형 갈조류인 괭생이모자반, 다년생 소형 홍조류인 잎꼬시래기(Gracilaria textorii)와 참까막살이 후기 단계에 입식되는 종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갯녹음 해역과 유사한 천이과정을 보였다. 남해 거제의 경우, 갯녹음 해역에서는 천이의 초기단계에 구멍갈파래, 우뭇가사리 그리고 진두발과 같은 해조류가 입식하였고, 다년생 대형 갈조류인 괭생이모자반은 후기단계에 입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초기단계에 기회종인 구멍갈파래의 입식을 제외하고는 갯녹음 해역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제주 사계리의 경우, 갯녹음 해역에서는 초기단계에 일년생 사상형 녹조류인 갈색대마디말(Cladophora wrightiana), 다년생 대형 갈조류인 톱니모자반(Sargassum serratifolium) 그리고 다년생 홍조류인 붉은뼈까막살(Carpopeltis angusta)이 입식하였고, 이후의 조사기간 동안 다른 해조류의 입식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초기단계에는 갯녹음 해역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후기단계에는 갯녹음 해역과 달리 일년생 녹조류인 누운청각(Codium coactum)이 새롭게 입식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통영 영운리 연안의 해조상

        이화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1년 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통영시 산양읍 영운리 연안의 해조군집에 대한 연중 생물계절학적 변화를 매월 line transect에 따라 방형구법으로 조사하였다. 출현 종수는 총 106종으로, 녹조류(Chlorophyta) 14종, 갈조류(Phaeophyta) 29종, 홍조류(Rhodophyta) 63종으로 나타났다. 그 중 36종은 연중 출현하였다; 녹조류에서는 청각(Codium fragile), 잎파래(Ulva linza), 구멍갈파래(U. pertusa), 갈조류에는 불레기말(Colpomenia sinuosa), 가시뼈대그물말(Dictyopteris prolifera), 곰피(Ecklonia stolonifera), 패(Ishige okamurae), 외톨개모자반(Myagropsis myagroides), 톳(Sargassum fusiforme), 괭생이모자반(S. horneri), 지충이(S. thunbergii), 홍조류에는 잔금분홍잎(Acrosorium polyneurum), 누운분홍잎(A. yendoi), 부챗살(Ahnfeltiopsis flabelliformis), 넓은게발(Amphiroa anceps), 에페드라게발(A. ephedraea), 볏붉은잎(Callophyllis japonica), 참사슬풀(Champia parvula),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 진두발(Chondrus ocellatus),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애기돌가사리(Gigartina intermedia), 돌가사리(G. tenella), 잎꼬시래기(Gracilaria textorii), 참까막살(Grateloupia affinis), 참도박(G. elliptica), 참지누아리(G. filicina), 미끌도박(G. turuturu), 참가시우무(Hypnea charoides), 마디잘록이(Lomentaria catenata), 애기마디잘록이(L. hakodatensis), 참곱슬이(Plocamium telfairiae), 모로우붉은실(Polysiphonia morrowii), 개무우(Pterocladia capillacea),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가 출현하였다. 최대 현존량은 894.4 g/㎡로 12월에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최소값은 364.5 g/㎡로 1월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상대피도와 상대빈도로부터 얻은 연중 출현한 우점종의 중요도값은 구멍갈파래가 45.0, 지충이가 44.5로 나타났다. 성숙개체가 출현한 홍조류에는 잔금분홍잎, 누운분홍잎, 부챗살, 굵은석묵(Campylaephora crassa), 참까막살, 참사슬풀, 개서실, 진두발, 누른끈적이(Chrysymenia wrightii), 우뭇가사리, 돌가사리, 잎꼬시래기(Gracilaria textorii), 참도박, 미끌도박, 각시잇바디가지(Herpochondria elegans), 반달타래(Leveillea jungermannioides), 마디잘록이, 애기마디잘록이, 쐐기꼴도박(Pachymeniopsis yendoi), 모로우붉은실, 왜잎송진내(Portieria japonicus), 두갈래분홍치(Rhodymenia intricata), 넓은보라색우무(Symphyocladia marchantioides)였다. 출현종의 R/P값과 (R+C)/P값은 각각 2.17과 2.66이었다. 따라서, 통영 영운리 연안의 해조상은 전형적인 온대계 해조상이라 볼 수 있다. The phenology of a marine algal community at Yeongunri, Tongyeong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s investigated monthly by quadrat method along the line transect from February 2011 to January 2012. The numbers of species appeared were 106 species in total, including 14, 29 and 63 species of Chlorophyta, Phaeophyta and Rhodophyta, respectively. Among these species, 36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i. e. Chlorophyta: Codium fragile, Ulva linza, U. pertusa, Phaeophyta: Colpomenia sinuosa, Dictyopteris prolifera, Ecklonia stolonifera, Ishige okamurae, Myagropsis myagroides, Sargassum fusiforme, S. horneri, S. thunbergii, Rhodophyta: Acrosorium polyneurum, A. yendoi,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Amphiroa anceps, A. ephedraea, Callophyllis japonica, Champia parvula, Chondria crassicaulis, Chondrus ocellatus, Corallina pilulifera, Gelidium amansii, Gigartina intermedia, Gigartina tenella, Gracilaria textorii, Grateloupia affinis, G. elliptica, G. filicina, G. turuturu, Hypnea charoides, Lomentaria catenata, L. hakodatensis, Plocamium telfairiae, Polysiphonia morrowii, Pterocladia capillacea, Symphyocladia latiuscula. Maximum standing crop was recorded at December as 894.4 g/㎡, whereas minimum value was observed at January as 364.5 g/㎡. Year-round occurrence of dominant species of important value obtained from relative coverage (RC) and relative frequency (RF) was Ulva pertusa 45.0 and Sargassum thunbergii 44.5 was showed in sampling site. The red algal species with reproductive organs are Acrosorium polyneurum, A. yendoi, Ahnfeltiopsis flabelliformis, Campylaephora crassa, Carpopeltis affinis, Champia parvula, Chondria crassicaulis, Chondrus ocellatus, Chrysymenia wrightii, Gelidium amansii, Gigartina tenella, Gracilaria textorii, Grateloipia elliptica, G. turuturu, Herpochondria elegans, Leveillea jungermannioides, Lomentaria catenata, L. hakodatensis, Pachymeniopsis yendoi, Polysiphonia morrowii, Portieria japonicus, Rhodymenia intricata, Symphyocladia marchantioides. The value of R/P and (R+C)/P of appeared species was 2.17 and 2.66, respectively. Therefore benthic marine algal flora at Yeongunri, Tongyeong was typical temperate-type.

      • 여수 가막만 항대지역의 수하연을 이용한 해조상 및 부착생물상 월별변화

        신현수 全南大學校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0

        In order to grasp the changes of marine algal flora and attached fauna, in Hangdae area, Gamak Bay,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 DO and chlorophyll a were measured monthly, and COD, alkalinity, DIN, PO4-P and Si(OH)4-Si were analysed every other month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The appearance species and biomass of marine algae and other attached organisms on hanging ropes were investigated; three ropes were set at 3 meters' intervals in one site monthly and investigated after 3, 6 and 9 months since the ropes were set. The water temperature, salinitiy, and pH were 4.9~27.4℃, 29.3~35.1 psu, and 7.76~8.54. The DO concentration was 6.1~11.4 ㎎/L, it showed the grade Ⅰ(more than 6.0 ㎎/L). The COD concentration was 0.6~2.0 ㎎/L, it showed the grade Ⅱ. The alkalinity was 60~131 ㎎/L. Th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as 1.4~16.8 ㎍/L (6 ㎍/L in average), lower than the eutrophic standard (10 ㎍/L). The DIN concentration was 0.007~0.112 ㎎/L, it showed the grade Ⅰ~Ⅱ. The PO4-P concentration was 0.001~0.058 ㎎/L, it often showed the grade Ⅲ(below 0.03 ㎎/L) for its high concentration in winter. The Si(OH)4-Si concentration was 0.009~0.350 ㎎/L. The species number of marine algae attached to the hanging ropes from April 2007 to March 2008 was 39 in total, and the species number of green, brown and red algae was 8, 3 and 28 , respectively. The hanging rope which was set in November 2007 had the least species of marine algae, and there were 2 species of green algae, 1 species of brown algae and 1 species of red algae after 3 months(February 2008) since the rope was set, and there was only one species of green algae after 6 months(May 2008), and after 9 months(August 2008) there was only one species of green algae. The hanging rope which was set in June 2007 had the most species of marine algae, and there were 1 species of green algae and 2 species of red algae after 3 months(September 2007) since the rope was set and there were 2 species of green algae and 6 species of red algae after 6 months(December 2007), there were 2 species of green algae and 10 species of red algae after 9 months (March 2008). The rope which was set in February 2008 had the least biomass of marine algae, and that was 25.8 g·wet·wt in total in November 2008 after 9 months since the rope was set. The most biomass was 4683.2 g·wet·wt in total in June 2008 after 9 months in the rope which was set in September 2007, and the biomass of green and red algae was 4586.2 and 97 g·wet·wt, respectively. The importance value of marine algae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he rope which was set in September 2007 as 75.8% for Codium fragile after 9 months(June 2008) since the rope was set, and the least importance value was 1.4% for Grateloupia turuturu.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f attached organisms on the hanging ropes showed that the most biomass was a total of 10,152 g·wet·wt for Styela plicata after 3, 6 and 9 months since the rope was set in June 2007, and the biomass of the rope which was set in December 2007 was zero. The most biomass of Mytilus edulis showed in the rope which was set in March 2008 and that was 6315.2 g·wet·wt after 3, 6 and 9 months since the rope was set, anf the least biomass of it showed in the rope which was set in July 2007 and that was 64 g·wet·wt. Ciona intestimalis temporally appeared after 6 months(January 2008) on the rope which was set in July 2007. 가막만 항대지역의 암석역이 아닌 해중의 해조상과 부착생물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가막만 항대지역에서 수질환경(수온, 염분, 수소이온농도, 용존산소, 클로로필-a)을 월 1회, 화학적산소요구량, 알칼리도, 영양염류(용존무기질소, 인산성인, 규산규소)를 격월로, 해조류 및 그 외 부착생물의 출현종 및 생물량을 월 1회씩 수하연을 한지점에 3m간격으로 3연씩 설치해서 3, 6, 9개월 후에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수온(Water temperature)은 4.9~27.4℃, 염분(Salinity)은 29.3~35.1 psu, 수소이온농도(pH)는 7.76~8.54이었다. 용존산소(DO)는 6.1~11.4 ㎎/L로 1등급(6.0 ㎎/L이상)수준이었고, 화학적 산소요구량(COD)는 0.6~2.0 ㎎/L로 2등급(2㎎/L 이하)수준 이상, 알칼리도(Alkalinity)는 60~131 ㎎/L이었다. 클로로필-a(Chlorophyll a)는 1.4~16.8 ㎍/L(연평균 약 6 ㎍/L)로 부영양화 기준인 10 ㎍/L 이하 이었다. 용존무기질소(DIN)는 0.007~0.112 ㎎/L로 1등급~2등급 수준이었고, 인산성 인(PO4-P)은 0.001~0.058 ㎎/L로, 겨울철에 인의 농도가 높아 종종 3등급(0.03이하) 수준이었다. 규산 규소(Si(OH)4-Si)는 0.009~0.350 ㎎/L이었다. 2007년 4월 ~ 2008년 3월까지 수하연에 착생한 해조류의 출현종을 조사한 결과, 39종(녹조류 8종, 갈조류 3종, 홍조류 28종)이 출현하였다. 조사시 가장 적은 출현종수는 2007년 11월 설치후 2008년 2월조사시에 녹조류 2종, 갈조류 1종, 홍조류 1종이, 5월조사시에 녹조류 1종이, 8월조사시에는 녹조류 1종이 출현하였다. 가장 많은 출현종수는 2007년 6월 설치후 9월조사시에 녹조류 1종, 홍조류 2종이, 12월조사시에 녹조류 2종, 홍조류 6종이, 9개월 후인 2008년 3월조사시에는 녹조류 2종, 홍조류 10종이 출현하였다. 해조류의 생물량은, 2008년 2월 설치후 11월조사시에 녹조류만이 25.8 g·wet·wt로 가장 낮았다. 2007년 9월 설치후 2008년 6월조사시에 4683.2 g·wet·wt(녹조류 4586.2 g·wet·wt, 홍조류 97 g·wet·wt)로 가장 많았다. 해조류의 중요도(IV: Importance value)는 2007년 9월에 설치한 수하연에서 9개월경과 후인 2008년 6월에 청각(Codium fragile)이 75.8%로 가장 높았으며, 미끌지누아리(Grateloupia turuturu)가 1.4%로 가장 낮았다. 수하연에 착생한 부착생물 조사결과, 주름미더덕(Styela plicata)의 생물량은 2007년 6월 설치분(3, 6, 9개월후 조사)에 총 10,152 g·wet·wt으로 가장 많았고, 2007년 12월에 설치분(3, 6, 9개월후 조사)에는 생물량이 없었다. 진주담치(Mytilus edulis)는 2008년 3월에 설치분(3, 6, 9개월후 조사)에 총 6315.2 g·wet·wt으로 가장 많았고, 2007년 7월 설치분(3, 6, 9개월후 조사)에는 64 g·wet·wt으로 가장 낮았다. 유령멍게(Ciona intestimalis)는 2007년 7월 설치분의 6개월 경과 후인 2008년 1월에 일시적으로 출현하였다.

      • 영일만의 해조상에 관한 연구

        이재완 淸州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0

        1985년 5월부터 1986년2월까지 한국동해안의 영일만의 해조상을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남조류4종, 녹조류19종, 갈조류37종 및 홍조류108종으로 총168종이었다.이중 Calothrix codicola 및 Anotrichium tenue 는 한국미기록 종으로 밝혀졌다.해조류 출현종수는 영일만 내부해안보다 그 인근해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출현종수가 가장많은 채집지는 감포로 93종이 출현 하였고, 가장적게 나타난 채집지는 송도로 39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 지역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공통점은 녹조류1종,갈조류1종 및 홍조류 10종으로, 이는 Ulva pertusa, Desmarestia viridis, Gelidium amansii, Grate loupia prolongata, G. turuturu, Pachymeniopsis lanceolaba, Schyzymenia dubyi, Gymnogongrus flabelliformis, Chondrus ocellatus, Lomentaria catenata, L. hakodatensis 및 Acrosorium polyneurum 이다. The flora and phenology of marine algae in Yong-il Bay, eastern coast of Korea, a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12 sites during May, 1985-February, 1986. As a result, 168 species in total - 4 species of Cyanophyceae, 19 species of Chlorophyceae, 37 species of Phaeophyceae and 108 species of Rhodophyceae - are identified. Among them, Calothrix codicola and Anotrichium tenue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algal flora of the inside coast of Yong-il Bay is more or less poorer than that of the outside coast. The common species occurring frequently in this area are Ulva pertusa, Desmarestia viridis, Gelidium amansii, Grateloupia prolongata, G. turuturu,. Pachymeniopsis lanceolata, Schyzyitlenia dubyi, Gymnogongrus fla belliformis, Chondrus ocellatus, Lomentaria catenata, L. hakodatensis and Acrosorium polyneur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