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신문시사만화사 연구 : 풍자성과 사회비판적 역할을 중심으로

        손상익 중앙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831

        만화(cartoon)와 한국의 신문 발달역사는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 근대 민간신문의 발행은 20세기 초반에 시작됐고 거기에는 역시 한국 최초의 만화가 실렸다. 한국의 초창기 신문에 실렸던 만화는 신문발행부수를 늘리기 위한 상업적 목적의 만화(funnies)가 아니었다. 그 만화(cartoon)들은 당시의 우리 민족이 처했던 암울한 국제적 정치현실을 걱정하고 일본의 무력침공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현실참여의식이 강한 시사만화(political cartoon)였다. 한국의 신문 시사만화는 이런 전통으로 시작돼 1백년이 지난 21세기의 오늘날까지 신문의 주요구성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신문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이 신문에 게재된 기사(article)나 광고・사진에 초점을 맞춰왔던 현상을 극복하고, 시사만화가 한국 신문발달사에 미친 역할을 집중 조명하고자 했다. 한국 신문 시사만화는 우리 근대와 현대의 역사에서 정치적 갈등이 벌어질 때마다 신문 정치논평기사에 못지않은 매스미디어로서의 기능을 수행해왔기 때문이다. 이 연구가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한국만의 독특한 신문 시사만화가 발달하게 된 역사적 배경(historical context)을 분석하는 일이다. 특히 신문의 역사가 시작됐던 20세기 초반부터 20세기 말에 이르는 약 90년간은 일제 식민시대와 해방 후의 독재, 쿠데타정권이 잇달아 등장했던 시기였다. 이 기간동안의 한국 신문 시사만화는 잘못된 정치현실을 고발하고 풍자하는 독특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한국의 정치상황과 언론 상황에서 신문 시사만화가 해왔던 기능을 이 논문은 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 논문이 한국의 신문 시사만화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하나의 주춧돌이 되기를 희망한다. 앞으로 이 분야의 후속연구가 본 논문이 계기가 돼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 한국 신문 1면 특성의 변화 연구 : 1921-2001년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조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언론구조의 지각변동을 가져다 온 컴퓨터와 통신의 결합으로 인한 멀티미디어화, 그리고 주어진 제한된 시간을 맘껏 활용하고자 하는 개인화된 소비자 등으로의 변화, 빠르게 변해가는 오늘날의 사회현실 속에서 우리의 언론은 어떤 모습을 지니고 있는가? 과거의 언론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이 연구는 신문 1면을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사회 산물의 장으로 보고, 80여년 동안의 한국 신문 1면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추적하여 그 의미를 논의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택하여, 1921년부터 10년 단위로 1면 전체기사와 1면 머릿기사의 보도 양식과 편집 양식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면 기사의 전체적인 형식과 주제 변화, 기사량의 비율의 변화, 전체 기사량의 변화와 광고량의 변화, 보도사진의 변화, 사고의 변화, 제호의 변화 등 1면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의 역사적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한국 신문에 부여하는 의미에 대해 논의하여 한국 신문 1면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을 하였다. 80여년 동안 한국 신문 1면은 선택과 강조를 통해 지면의 모습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왔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 뒤에는 신문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 현실의 변화가 자리잡고 있었다. 정치·경제 환경의 변화, 다변화된 사회, 신문 제작 기술의 변화, 멀티미디어화의 전파, 전문 언론인의 등장, 독자의 생활방식과 의식의 변화 등 달라지는 사회 제반 요소들은 신문의 모습을 시대별로 재구성하였고, 신문은 지면의 편집개혁을 통해 변모해온 양상을 사회에 드러냈다. 사회와 신문의 이러한 상호작용은 한국 신문의 1면 변화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신문 1면이 가지는 의미를 해석할 수 있게 해준다. 한국 신문 1면의 변화는 단순히 지면의 변화만을 �飴舊�않고, 한국 신문 1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언론인들의 의식 변화를 나타내주었다. 연구 결과, 신문의 모습은 1921년부터 1930년까지, 1931년부터 1990년까지, 1991년부터 2001년까지의 세 시기로 특징지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징을 통해 한국 신문 1면의 역사적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방향으로 정리되었다. 첫째, 한국 신문 1면은 의견 보도 중심에서 사실 보도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1면의 기능이 계몽적 설득의 도구에서 사실전달의 도구로 변화하였음을 나타내준다. 또한 이러한 사실 보도 중심으로의 1면의 변화는 전통적으로 한국 언론에서는 지사적 기자가 강조되었으나, 현대로 오면서 전문 기자가 강조되었으며, 설득자로서의 기자에서 전달자로서의 기자로 변화하였음을 알게 해준다. 둘째, 한국 신문 1면은 정치 기사 위주의 공간에서 점차 다양한 주제들의 기사가 공존하는 종합면으로 변화하였다. 한국은 정치사회적 변화의 폭이 컸던 격동의 세월을 보냈기 때문에 초기부터 한국 신문 1면의 주요 내용은 정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도 이러한 사실은 확인되었다. 그러나 경제적 환경이 급변하고, 사회가 다원화되고, 독자들의 관심이 다양해짐에 따라 1면은 정치면에서 종합면으로 변화되었고, 정치 기사 이외에 경제기사, 사회 기사 등 다양한 주재의 기사가 1면에 자리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1면은 보다 다양한 주제들의 현실이 재구성되어 작동하는 상징적인 공간이 되었다. 셋째, 한국 신문 1면은 시각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고, 이러한 신문의 편집 혁명은 결국 시장중심 신문의 산물이면서 독자위주의 신문 운동의 일환이다. 한국 신문 1면에서 확인된 가로산기로의 변환, 지면 안내란의 강조, 활자 크기의 확대, 섹션화의 등장, 다양한 컬러의 사용, 사진의 빈번한 게재 등의 편집 변화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신문의 지면 변화를 종합하면, 한국 신문 1면은 공적인 공간 활용보다 상업적 공간 활용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을 반영한다. 앞서 논의한 사실 보도 위주의 기사 편집이나 시각적인 요소를 중시하는 독자 위주의 신문 편집은 모두 신문이 저널리즘적 목적을 성취하기보다는 기업으로서의 영리 추구를 위한 행동들이라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the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have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ont page of Korean newspapers. This thesis analyzes major changes of the newspaper front page in Korea over 80 years from 1921 through 2001. In particular by describing what information editors select in front page and how to edit them for about 80 years, this thesis is designed to show the broader trends of the front page desig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921 to 2001. The method used was content analysis The Chosun Ilbo and the Dong-A Ilbo were used. These two papers were chosen because they have been in publication with little stoppage over the past 80 years Front pages of these papers were selected at 10-year intervals. For each selected year, six front pages were sampled to complete a constructed week, balancing among seasons. The formal properties of each item on each page were examined Each front page was coded for number of news stories, illustrations(photo, drawing, cartoon, etc.), advertisements, announcements of a newspaper company and proportion on the page. Each news story was coded for story type, topic and byline. During the period of analysis, the front page, like all public media, changed with the times The pattern of chang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1921-1930, 1931-1990, 1991-2001). And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The Korean newspaper front page shifted its emphasis from opinion centered make-up to straight news oriented design. 2. The front page has gradually diversified its story types from political news concentration to include increasingly divergent topics of stories. 3. more recent changes illustrate the dominant tendency of visualization carrying more pictures with colors and fewer numbers of news items. From these results conclusions of this thesis can be obtained as follows Instead of journalistic purposes, the contemporary front page in Korean newspapers pursued commercial profits. This emphasis on commercial profits is rooted in changes in journalistic ideas.

      • 신문 스포츠 기사에 나타난 내셔널리즘에 관한 연구 : 한국·일본신문의 월드컵 축구 기사 비교를 중심으로

        이와타유끼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1997년 가을에 실시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 관한 한일 양국 신문의 스포츠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한일 양국 언론의 내셔널리즘의 특성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신문이 객관보도를 표방한다고 해도 그 국가의 언어로 쓰여지고, 저널리스트도 그 국가의 국적을 가지고 있는 한 내셔널리즘의 표출은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겠다. 특히 내셔널리즘을 가장 단순한 형태로 나타내는 기사가 스포츠 기사라고 하겠다. 스포츠는 승패가 명백하게 나타나는 만큼 이긴 자(국가)가 우월하고 진 자(국가)가 열등하다는 도식(圖式)을 만들어 내기 쉽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과 일본은 역사적으로 피지배 - 지배의 관계에 있었으며, 이러한 사실이 양국 신문의 월드컵 예선 기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문제로 선정한 것은 첫째로 한일 양국 내셔널리즘의 성격은 무엇이며, 언론의 보도가 내셔널리즘 형성에 어떠한 역할을 했으며, 둘째로 양국 신문의 국제 경기(프랑스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 관한 기사에 나타난 내셔널리즘의 특성은 무엇이며,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에 관한 것이었다. 우선 첫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문헌을 검토했다. 그 결과 한국의 내셔널리즘은 일본 제국주의 내셔널리즘에 대항하는 항일(抗日) 내셔널리즘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국에서는 내셔널리즘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일본은 전쟁 전에는 천황을 중심으로 통합되는, 특수한 내셔널리즘을 형성했다가 패전 이후 선진국을 따라잡자는 내셔널리즘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문제의 결과를 염두에 두고 실제적인 프랑스 월드컵 예선 기사의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은 승리 기사와 무승부 기사로 나누어서 실시했으며, 한일전은 따로 분석하기로 했다. 또 한일전은 승리 기사, 패배기사, 사설·칼럼으로 나누어서 분석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우선 조선일보의 승리 기사부터 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로 형용사, 비유 등을 구사해서 자국 팀을 칭찬하는 표현을 많이 볼 수 있고, 둘째로 한국 선수들의 높은 기술 앞에 상대 선수가 압도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으며, 셋째로 응원단의 열광적인 응원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고, 넷째로 선수들에게 별명을 붙이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었다. 한편 아사히신문은 개인의 기술을 칭찬하는 것보다 팀의 전술이나 선수들의 태도를 평가하며, 그날의 경기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거나 팀에게 제언을 한다는 입장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일전에 관한 기사의 분석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조선일보의 한일전 승리 기사는 대체로 위에서 본 승리 기사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다만 여기서만 볼 수 있던 특성이 있는데 그것은 첫째로 역사에 대해 언급을 하는 점, 둘째로 일본을 특별히 의식하는 점, 셋째로 '민족'을 특별히 강조하는 점 등이다. 아사히신문의 승리 기사에는 일반 승리 기사와 별다른 점이 없었다. 또, 조선일보에 볼 수 있는 한일전 패배 기사의 특징은 첫째로 선수의 이름까지 들어 실책을 비난하고 있다는 점, 둘째로 일본이 이날의 승리로 얼마나 열광했는지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편 아사히신문의 한일전 패배 기사에는 자국팀에 대한 비난은 있는데, 개인을 비난하는 논조는 없었다. 한일전 사설·칼럼의 논조를 보면 조선일보에는 과거에 식민지 지배를 당했던 역사에 대한 언급이 있는 반면, 아사히신문의 사설·칼럼에는 과거에 한국의 대일(對日) 내셔널리즘이 얼마나 강했는가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조선일보의 내셔널리즘이 아사히신문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또 월드컵 예선을 보도하는 스포츠 기사에도 역사적, 정치적 문제를 보도할 때와 똑같은 보도틀이 적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rticles appearing in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regarding the issue of the preliminary 1998 France World Cup Soccer matches. It also seeks to find nationalistic expressions contained within the contents of these articles. While newspapers claimed to have higher standards of objectivity, journalists can not avoid expressing nationalistic emotion due to the fact that these articles are written a journalist's native language. Especially in the case of sports journalism, above mentioned tendency is very much evident. Such favoritism toward one's own nationalism revealed in sports arena is called "sports nationalis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Journalistic Sports Nationalism exhibited during the preliminary matches of 1998 France World Cup Soccer in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nationalism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and the roles each nation's newspapers play in their formations? Second. what are the contextu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reporting of World Cup Soccer match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ism?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of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nationalisms revealed following items. Due to the preoccupation of Korea by the Japanese during the 1910 to 1945,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nationalism appears to be that of anti- Japanese sentiments. However, Japanese nationalism is of a different type in comparison. Historically, before the World War Ⅱ, Japan held expansionism as its goal with the Emperor as the central ruling figure. After the war, Japan formed a different kind of nationalism in order to catch up with rest of the advanced nation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lso support that each country's newspapers played crucial and leading roles of formation of nationalism. The articles were separated into three categories so as to find a news frame; first, the articles of winning games, second, games in which it was drawn, and third, specific soccer matches between Korea and Japan. According to the result, the nature of the Korean newspaper, Chosun Daily, is very positive and enthusiastic in reference to games in which Korea won the match. It praised players with the use of various modifiers, create nicknames for the players thus promoting idolization and identification, and emphasized the supporting cheering section for the Korean team.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newspaper, Asahi shimbun, did not display such enthusiasm in comparison. The Korean newspaper articles reporting the maches between Korea and Japan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reference to the past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second, acute consciousness of Japan as a nation, and third, the focus on the concept of "race". The analysis of editorials on those games present a wide gap in the perspectives held by the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as what the Korean newspaper refers to the oppression in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newspaper refers to it as Korean's anti-Japanese nationalism. In conclusion, it was evident from the above findings that Chosun Daily not only exhibited high nationalism in comparison to Asahi Shimbun, but it applies its political and social news frame in reportage of sports.

      • 한국신문 1면의 사진보도 양식 변천에 관한 연구 : 1920-2000년 조선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오윤정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15

        이 연구는 한국 신문에서 사진보도 양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그러한 변화가 한국 포토저널리즘의 역사에서 갖는 의미는 어떤 것들인가에 대한 논의이다. 이 연구는 사진을 그것을 만들어낸 역사적 상황에 따라 영향받는 사회ㆍ문화적 산물로 보는 시각에서 접근하였고, 특히 뉴스전달매체로써의 사진에 주목하였다. 연구를 위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1면을 대상으로 192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단위로 표집하였고, 그렇게 얻어진 사진들은 내용분석방법(content analysis)을 통해 분석되었다. 한국신문사진의 역사와 그 변천양상을 조망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는데, 보도된 사진의 수량적 변화, 사진의 내용과 성격상의 변화가 나타내는 특성, 사진의 역할과 위상 변화의 측면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내용들을 축으로 사진보도의 변화 경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신문사진들은 점차로 시각적 효과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사진은 점차 넒은 지면공간을 차지하면서 신문의 시각화를 견인하였는데 예를 들어, 기사면적 중 사진에 할당되는 지면의 비중은 1920년에 비해 1950년에는 7.8배로, 1970년에는 15.1배로, 그리고 2000us에 이르면 45.7배로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사건의 전체적인 상황과 배경을 전체적으로 아우르던 사진의 초점이 보다 세밀한 부분으로 좁혀지면서 피사체의 동감과 표정을 강조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동감과 표정의 각ㅇ조와 더불어 1990년대 급속히 진행된 1면 사진의 컬러화는 사진의 생동감을 배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둘째, 사진의 내용적 측면에서 1면 사진은 다양화되고 민주화 되어왔다. 해방이후 1950년부터 정치관련 주제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1960년에 이르러 최고조에 달했으며, 1면이 정치면으로 인식되어온 1950년부터 1980년까지 정치적 사건과 정치관련 인물은 가장 일반적인 사진보도의 소재였다. 그러나 1면에 대한 인식이 정치면에서 종합면으로 바뀌어감에 따라 1면 사진은 보다 다양해지고 있다. 사진의 주제 뿐 아니라 보도대상이 된 사람들 또한 그렇다. 1980년까지 대통령, 정치인, 외교관, 군인은 가장 지배적인 등장인물이었지만 1990년부터는 일부 권력층 분 아니라 일반시민들을 촬영한 사진게재가 크게 증가하면서 1면 사진은 보다 개방되고 민주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한국 신문사진들은 독립적인 뉴스매체로 발전해 왔다. 1920년에서 1940년에 이르는 사진보도 초기에는 기사를 동반하지 않은 사진의 비율이 60-80%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기사로부터 독립되어 있었으나 당시는 기사와의 관련성이 채 정립되지 않은 상태였고, 독자들에게 사진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조차 제공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단순한 풍경스케치나 선전적 목적의 전쟁관련사진이 많아 사건을 보도하는 뉴스매체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다. 1950-80년대는 뉴스매체로의 사진사용이 활발했으나 기사에 종속되어 기사를 꾸미기 위한 장식물이나, 기사가 부족한 지면을 메우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으로 올수록 다시 독립적 사진 게재량이 20-30%를 상회하는 한편, 사진이 보다 설명력 있는 캡션과 시선을 그는 캐치라인과 결합되면서 뉴스전달 매체의 독립적인 한 단위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상의 사진보도 변화는 1980년까지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으나 그 이후로 변화의 속도는 크게 가속되었다. 따라서 사진의 사용으로 인한 신문 시각화의 중요한 전환점은 1980년과 1990년 사이의 어느 지점으로 추정되다. 그런데 한국의 신문사진이 일제 식민지 시대와 1970, 80년대 군사정권 하에서 정치적 통제를 위한 일종의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는 한국적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사진보도 변화의 방향은 시간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미국을 중심으로 복된 해외 뉴스사진 연구들의 결과와 매우 유사했다. 이러한 사진보도의 변화경향은 영상시대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세계적인 추세로 보인다. 오늘날 한국 포토저널리즘은 확대된 지면 공간과 개선된 기술장비, 고급인력, 그리고 사진을 취재하고 편집하는 데 있어서의 상대적 자유가 부여된 상황에서 중요한 발전의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 그러데 사진을 장식물이나 기사에 대해 2차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인식과 관행이 여전히 잔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진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아직까지 독자들의 사진 열독(readership)과 선호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지 않아 바람직한 포토저널리즘의 발전을 위한 몇몇 과제를 남기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rends in the way of reporting the news using pictures from 1920 through 2000 in korean newspaper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photographs as news communication media. For this study, photographs were sampled at intervals of ten years from two daily newspapers, The Choson Ilbo and The Donga Ilbo, and content analysis was selected as the method of study. By analyzing them, three findings were revealed. First, the Korean news pictures have increased their visual effect by degrees. The newspapers have devoted more space to photographs and preferred larger size pictures to smaller ones, including mug shots. At the same time, they have increased the vitality of photographs by laying greater emphasis on the action and subject's facial expression and through the transition to color. Second, in terms of content, photographs on the front page have been diversified and democratized. The percentage of political subjects started to increase from 1950, after the emancipation from Japan, and in 1960 it reached the highest peak. From 1950 to 1980, when the front page was perceived as a politics page, picture reporting of political events and people have become more diverse, including the people reported in photographs as well as the subjects of photography. By 1980, presidents, politicians, ambassadors, soldiers, and professionals, almost exclusively male, had become the most dominant characters. But from 1990, by opening the front pages to lesser-known people, including women, front-page photographs have been democratized quantitatively little by little. Finally, korean news photography has developed from being mere decoration of stories into an independent news media. Until the 1980s, most photographs had been used as a kind of accessory in order to decorate the stories, or as fillers to take up space, in that they were completely dependant in accompanying stories or were published without concern for their news value and didn't provide readers with even minimal information. By contrast, these days newspaper photographs are being used as an independent unit of news communication media, incorporating more informative captions and attractive catchlines. These trends had been gradual until 1980, but since that time the speed of change has accelerated. Therefore, the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visualization for newspapers by using photographs can be inferred to be some time between 1980 and 1990. One of the motive forces for these changes is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reporting news pictures, that is, the increase of newspaper pages and introduction of new printing presses, due to intensification of competitive press between the newspaper publishing companies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cartels in the late 1980s. Another force is the change in the way of taking in information due to the change of media surroundings and the rise of the "visual generation". Today, photojournalism in korea is faced with a potentiality for development, enjoying enough space, improved technological equipment, well-educated staff, and relatively liberal situation for publishing photographs. Undeniably, there still exists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regarding photographs as a decoration for or secondary thing to stories. For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photojournalism, it is an essential requirement that the selection of photographs has to be considered carefully for effective news communication, not for merely decorative purpose. As well, the size and composition of photographs has to be decided not by quantity of stories or mere visual effect but by taking consideration into the news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photographs.

      • 한국신문의 인터뷰기사 도입과 변천에 관한 연구 : 1890년대-1990년대

        김소형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15

        이 연구에서는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가 어떻게 도입되었으며, 현재에 이르는 그 변화의 흐름은 어떠한지를 역사연구의 형식으로 접근했다. 언론보도형식으로서의 인터뷰에 주목하여,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의 등장과 지난 100년여에 걸친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초기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의 성격과 그 도입 배경은 어떠한가’와 ‘한국신문에서 인터뷰 기사는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라는 두 가지 연구문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초기 한국 신문의 인터뷰 형식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표집을 통한 사례연구 방법을 택했고 인터뷰 기사의 역사적 변천에 대해서는 192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일간지를 대상으로 인터뷰 기사의 주제별·형식별 분류에 따라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초기 신문의 인터뷰 기사는 정형화된 틀이 성립되지 않았었고, 당시 신문의 성격상 사실의 전달보다는 계몽적인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는 주관적인 어휘들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적 다양한 기사형식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이로부터 인터뷰 기사가 관행으로 확립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린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초기 인터뷰 기사의 도입 과정에는 독립신문의 발행인이었던 서재필의 역량이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간신문의 도입을 통해 관급보도의 한계를 넘어설 현장취재의 보편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 미국 유학당시의 새로운 저널리즘 사조를 독립신문에 적용했다는 점, 영자신문 The Independent의 도입을 통한 영문 기사형식의 도입, 신문의 한글전용으로 언문일치를 시도해서 인용의 사실성을 강화했다는 점 등이 인터뷰 기사도입에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초기 인터뷰 기사형식은 1920년대에도 이어지는데, 1950년대까지는 구한 말 신문의 인터뷰 기사 유형들과 많은 특징을 공유했다. 일단 인터뷰 기사가 정례적인 관행으로 정착되지 않았고, 기사형식 변에서 상당부분에 개화기 기사형식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현장취재의 보편화 움직임과 함께, 인터뷰를 통한 확인과정에 대한 인식은 진전된 모습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과도기격인 1960년대를 지나 1970년대 이후로는 인터뷰 기사의 정착과 확산과정이 뒤따른다. 그리고 1990년대에 이르면 인터뷰 기사가 양적으로 급속한 증가를 보이며 그 위치를 공고화한다. 이러한 인터뷰 기사의 변천과정은 ‘인터뷰 기사의 표준화된 관례화’와 ‘인터뷰 기사의 다양화 및 용도확장’, ‘인터뷰 기사에서의 기자 역할 변화’ 등으로 요약된다. 양적으로는 증면, 내용 면에서는 인터뷰 대상자와 주제의 확장과 인물 보도의 감소, 성격 면에서 의견보도의 감소 등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들은 한국 신문 언론관행의 일면을 대변한다. 이러한 변천양상은 인터뷰 기사가 기본적인 읽을거리(Feature)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보다 공식적이고 신뢰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여 왔음을 시사한다. 즉 정치적 압력과 상업화 등으로 인한 한국언론의 성격변화와 함께, 기사쓰기가 객관적인 방향으로 전환되고, 다양한 취재방식과 기사틀의 확립을 통해 독자의 이해와 동의를 얻는 방향으로 진전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신문의 인터뷰 기사는 독립신문의 기본적인 틀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고, 기사쓰기 형식면에서는 획기적인 전환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양적으로 엄청난 증가를 보이며 정착과 확산의 과정을 거쳤고, 인터뷰와 인터뷰 기사에 대한 시각에서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개화기에 계몽적인 성격의 기사 일변도였던 인터뷰 기사는, 1920년대를 거쳐 읽을거리(Feature)로서의 성향을 강하게 나타내게 되고 1960년대를 기점으로 보다 확장된 사용영역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현장취재관행의 확립과 언론규제 완화 둥으로 인해 인터뷰 기사는 확고부동한 보도양식으로 자리잡았다. 결국 시대적인 언론상황의 맥락과 그 영향을 고려해 볼 때 인터뷰 기사는 한국 언론사의 흐름에서 대표적인 하나의 관행으로 굳어져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언론에 대한 정치권의 통제와 이에 적응 혹은 대응하기 위한 언론의 취재보도 방식이 인터뷰 기사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인터뷰 기사의 변천은 관제화 및 기업화의 과정을 거치는 언론의 변화와 그 맥락을 함께 한다. 일제 시대 이후 지속되어 온 언론에 대한 탄압과 회유정책의 변천사는 물론, 거시적인 매체변화와 사회변화를 엿볼 수 있는 하나의 지표로써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y of 'Korean interview story'. It is focused on the interview story as reporting convention which has been changed over the century, from 1896 to 1996.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the alteration of the interview story in Korean press, then to clarify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se changes. In this study, 'news as a cultural product' must be preconceived. It is based on Michael Schudson's notion. He noted that press conventions of narration and form are changed since the politics and press practice have modified. This point of view is adopted to this study for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interview story which is related to the Korean press circumstance. The interview story must be conceived as a kind of news format, here. Therefore two methodologies were set up. First, 'Case study' was selected from the early stage of Korean press. The interview stories were sampled from The Independent and The Korea Daily Mail. Second, 'Content analysis' were done on the stories written after the period of 1920s. In this section of the study, interview stories from Chosun-Ilbo and Donga-Ilbo were sampled, which were coded according to some categories that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iew story. Although writing interview stories were not widely practiced in the early stage, there were various formats of the articles. It is an outstanding improvement in Korean press history that news coverage could be done from the field instead of reporting rumor. In that process, Seo, Jae Phil who was the publisher of The Independent seems to be the contributor of the introduction to interview stories. Regarding his background, it was possible to infer that he contributed to introduce American new journalism, the penny press style. The trial of publishing bilingual paper and newspaper written in Korean language only could be another contribution. From 1920s, interview storie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changed. This alter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cluding interview stories in the paper became a convention. Second, The range of interviewees, themes, and usages were expanded. Third, the reporters' point of view were changed. They tried to write objectively. Most of them appeared during 1960s-1970s. Due to Government pressure, the genuin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 have been changed. It has become passive and commercialized. Control against news sources, interference of editing, limitation of publishing newspapers, and increasing tendency of sensationalism of the press were major factors. In conclusion, there was just little improvement in the writing formats of interview. But the perspective for the interview story has been changed with the gradual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press.

      • 한국신문 문화보도의 변화경향연구 :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81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신문 문화기사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 한국사회 문화현상이 기사화되는 과정에 개입하는 여러가지 요인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한국사회에서 문화에 대한 점증하는 관심과 신문에서 문화기사가 차지하는 위상의 변화는 주로 정치적 측면만을 신문의 본질적 요소로 간주했던 기존의 신문사(新聞史)연구 흐름과는 달리 신문의 주요한 측면으로서 신문의 문화면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부각시켰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택하여, 발행면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1965년, 1975년, 1985년, 1995년의 10년 간격으로 문화기사의 변화경향을 살펴보았다. 단, 1990년의 문화기사 역시 분석 대상에 포함시켜 1995년 기사와 함께 1990년대의 문화기사 보도경향을 파악하는 자료로 삼았다. 문화기사의 역사적 변화를 문화기사의 비중과 편집면에서의 변화, 문화기사의 보도경향, 문화기사가 다루어지는 방식으로 나누어 고찰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기사는 현대로 올수록 그 비중이 증가하는데, 이는 사회전반적으로 문화를 중시하게되는 역사적 맥락이 작용한 결과라고 보여진다. 흔히 한국사회 대중문화 현상의 초창기로 인식되는 1960년대의 경우, 정치부문에서의 통제와 함께, TV의 보급과 주간지의 속출, 상업성을 표방한 일간지의 등장으로 각 일간지의 상업성 추구가 문화기사의 증가로 이어졌다. 1970·80년대의 경우는 정치적 언론통제가 심하여 각 신문마다 획일성을 탈피하고자 문화기사를 증가시켰으나 1970년대는 문화면마저 획일화된 경향을 보였다. 1987년 6.29선언을 이후로 각 언론사들이 무한경쟁에 뛰어들면서 1990년대는갑작스러운 증면에 의한 ‘지면메우기’에 문화기사가 동원되는 현상도 보였다. 일간지에서는 문화기사비중이 늘어났을 뿐 만 아니라 기사를 편집하는 방식도 바뀌는데 본문기사량은 현대로 올수록 줄어드는 반면 사진크기는 계속 늘어난다. 이러한 기사게재경향의 변화방향은 TV등 전파매체와 영화등의 영상매체의 영향으로 젊은이들의 신문 구독을 기피하는 현상을 보임에 따라, 잠재적 독자확보라는 사명하에 <읽는 신문>에서 <보는 신문>을 표방하는 문화기사의 잡지화 경향을 낳는다. 둘째, 문화기사의 보도경향에서의 변화의 경우, 지난 30년간 한국신문 문화면은 해설기사, 문학기사에 치우쳐 지면을 구성해 왔으나 이러한 현상은 1990년 증면경쟁을 이후로 많이 완화되어 문화 제 분야로 문화기사가 확장되는 현상을 보였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1990년이후 문화기사 형식에서는 인터뷰 기사가, 문화기사 내용에서는 대중문화기사 특히 방송·연예기사가 증가하였다. 이는 사회전반적인 대중문화 심화현상과 언론조직 내부에서의 오락적 가치추구, 손쉬운 지면메꾸기의 필요성 등이 맞물려 지면구성에 반영된 결과였다. 셋째, 문화기사가 다루어지는 방식의 경우, 지난 30년간 한국신문 문화기사들은 주요대상을 예술가와 예술작품이라는 좁은 범위내에서 운위해 왔다. 또한, 문화기사 주제의 대부분이 인물중심의 문화기사보도인 ‘유명인의 혈통’ 유목이었다. 이같은 보도방식은 독자들에게 강력하며 감동적으로 다가오지만, 요점과 정보가 없다고 한다. 상대적으로 전문성이 부족한 취재기자가 이러한 인물 중심의 보도를 한 결과, 문화보도는 호의적인 기사가 늘어나는 보도경향을 보인다. 이는 비판과 토론의 문화가 자리잡지 못한 한국신문 문화지면의 한계를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everal important factors which intervene in the process of a korean cultural situation becoming a cultural news story. This has been done through positive analysis of the historical process of Korean cultural news stories. The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the changing position of cultural news stories in the press make this a worthy subject of study, because in the existing study of press history, there has been a stronger focus on political news stories. This study has chosen 12 newspapers for each year, from 1965 through 1995 and every 10 years in between. The 2 newspapers used were the Chosun Ilbo and Dong-A Ilbo. But, This study has included one more year, 1990, because after this time the situation in Korean journalism has changed so rapidly. This study tried to find trends of how Korean cultural news stories have changed based up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changing importance of cultural news stories, second, the cultural story itself and third how the media has chosen to treat that story. The importance of cultural news stories in the press has increased for 30 years. This is because, generally, the importance of culture in Korea has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Specifically, in the 1960's the situation of popular culture was in an early stage, there was government control of political issues in the press and television and weekly magazines began to spread. These factors caused an increase in cultural news stories. In the 1970's and 80's, government control of political issues in the press increased. Newspapers were very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y tried to shed uniformity through unique cultural stories. Through the 70's uniformity remained, even in these cultural stories. The cultural stories of the 1990's were suddenly successful and flourished. After the 6·29 Declaration of 1987, press companies gained freedom from government control and plunged into unlimited competition. This caused an unexpected increase in the number of pages of newspapers and cultural stories were utilized in filling up the extra space. The second point is the cultural story itself. For 30 years, cultural stories in the press utilized an explanatory writing style among the many possible styles available, and literature was the most popular subject. But this situation weakened in the 1990's. During this time, among writing styles, the interview was utilized more and among the subjects, popular culture stories, especially entertainment, increased. This is because of the flourishing of popular culture in the 1990's and the utilization of popular culture stories in filling up space of larger newspapers. Finally, concerning how the media has chosen to treat cultural stories, for 30 years korean cultural stories were written about artists and artistic production. Their theme focused upon the artist's life rather than the work itself. In these stories, the desire was to create interest in the artistic figure, but there was a lack of information and no specific point. So, there was an increase of positive attitude towards art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