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TV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 중상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양순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 중․상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본고는 한국어 등급이 중·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TV 드라마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는 1990년대 전후로 국내 체류 외국인과 결혼 이민자들의 급격한 유입으로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 다민족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의 화두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 사회’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 문화를 존중하고 인정하려는 태도를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화적 토대를 제대로 알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행동 양식 및 의식 구조를 이해하게 하는 적극적인 교수·학습이 필요할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한국 사회, 문화를 드러내면서 한국어 학습을 병행케 하고 그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언어·문화 교육의 궁극적 목표라면 굳이 한국 문화 교육을 전형적인 한국적인 것, 전통 문화적인 것들로만 채울 필요는 없을 것이다. 모든 문화 현상의 이면에는 사회 경제적 이유들이 숨어 있으며 이것까지 이해하고 비교하면 그저 논의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문화교육이자 이상적인 언어 교육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중·상급 학습자대상으로 볼 때, 어느 정도 한국어로 표현하거나 토론하는 것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이므로, 한국문화에 대한 좀 더 깊고 전문적이거나 체계적인 내용을 소화할 수도 있고 또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를 통합하는 수업 방식을 통해 더욱 많은 것을 효과적으로 배울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생각에 입각해 본고에서는 중·상급 학습자들에게 전반적인 한국인과 한국 문화의 특징을 보여주기 위해 한국인과 한국 문화에 대해 쓰인 신문, 잡지, 논문, 책 등을 포함한 각종의 텍스트를 편집해 제공해 학습자의 읽기 및 어휘 학습을 겨냥하고 이들 내용과 관련이 있는 TV 드라마의 장면들을 편집해서 혹은 유투브 등의 하이퍼링크를 통해 보게 하여 듣기 위주의 학습을 하고, 이후 읽고 시청한 내용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하거나 감상을 적어보고 토론하게 하여 말하기와 쓰기까지 통합하는 교육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2014년 2월 현재 한국에서 방영중인 TV 드라마 중에서 주말에 방영되는 ‘왕가네 사람들’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드라마의 선정성과 막말 및 비속어 논란, 캐릭터들의 배금주의, 지나친 가족주의 및 속물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를 참고 자료로 이용한 이유는 이 드라마가 근래 한국 드라마가 다루지 않거나 관심을 두지 않았던 평범한 한국인의 일상에서 맞닥뜨릴법한 경제적·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내용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고,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이 이른바 전형적인 서민층이다 보니 현실적으로 사용될법한 생생하고 감칠맛 나는 표현이나 관용구들이 자연스럽게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에는 ‘캥거루족’, ‘연어족’, ‘삼포 세대’, 노후 대책, ‘내 집 마련’, ‘입시 전쟁’,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비정규직, 주부 재취업, 고령자 취업, ‘명예퇴직’ 등과 같은 용어들과 동시대의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분위기를 (과장·왜곡되어 있을망정)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장면들이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특히 “왕가네 식구들”과 같은 드라마를 편집하여 사용할 때는, 극중 할머니의 북한 사투리,매우 친밀한 관계가 아니라면 사용해서는 안 되는 비하어(derogatory expressions)와 속어(slang), 인터넷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신조어(internet slang)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수업 과정에서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받아쓰기나 빈 괄호 채우기 같은 활동을 할 때는 특히 이런 표현들을 피해야할 것이며. 대화의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비속어나 슬랭에 대해서는 의미 외에도 격식성(formality)의 정도, 함의(connotation), 사용 가능한 상황에 대해 반드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등 적절한 언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주의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어느 드라마를 선택하여 수업하든(“왕가네 식구들”처럼 드라마 내용과 관련된 논란이 많은 드라마라면 더욱 더 그러하겠지만), 드라마의 줄거리나 등장인물의 성격 및 인물 간의 관계에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국어 교실에서 이용하는 드라마 장면은 언어 수업을 위해 정교하게 편집된 영상이라는 점을 기억하고, 학생들이 언어 학습이나 문화 학습 이외의 것에 흥미를 느껴 학습 과정이 분산되지 않도록 교사는 꼭 필요한 설명 이외에는 자제하는 식으로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는 항상 한국인의 기저에 있는 문화적 코드에 대해 객관적이고 편견 없는 시선으로 주시하고 이와 관련된 장면이나 현상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부단히 노력해야한다. 실제적인 언어 및 문화 자료(authentic material)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일상성과 동시대성, 구체성을 위해 드라마를 한국어 학습 과정에 활용하기 위해서, 어느 장면을 교수 학습에 이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관련 자료나 참고

      • TV 광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한·중 TV 광고 대조 분석을 중심으로

        조뢰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thods to educate Korean culture more effectively by comparing the TV advertisements of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differences found by our analysis, this paper reveals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suggests the culture education scheme with Korean culture for Chinese. In the first chapter, previous researche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which are used by advertisements are reviewed. The purpose, necessary and method of this study for Korean teaching method are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we tried to analyze the selected Korean cultural teaching contents, and analyzed six Korean culture textbooks which are published only from 2006 to 2009. we also made question areas to Chinese students about teaching contents by advertisements and analyzed the results. In the third chapter, first, standard choice and collecting method of TV advertisements are reviewed. Second, analyzing the results, in the aspect of material civilization including the clothing, food and shelter, the unique aspect of Korean culture was reflected and in the view of mental culture and values.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wo countries was revealed. The scheme for culture education by TV advertisements based on this comparison results was suggested. In the fourth chapter, we observes careful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research analysis that were viewed above, and look through cultural contents as well as the purpose and fields of cultural education. For example, in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and methods related to cultural instructions to educate learners about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last chapter, we summarized all of the cases, presented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found out the problem for future investment. For more effective Korean cultural education, interests in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active improvements of real materials for cultural education are necessary. Futhermore, teachers are required to research in various teaching ways and to produce various texts and materials.

      • 태국 현지 중등학생 대상 한국 설 명절 문화의 교육 방안 연구

        노하나한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태국 현지 중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바람직한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설계하는 일환으로 한국의 설 명절 풍속을 교육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국의 설 명절과 태국의 ‘송크란’의 풍속을 비교하여 두 명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태국 현지 중등학교에서 사용률이 가장 높은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교재에 수록된 설 명절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한 뒤, 양국의 설 명절 풍속 비교 결과와 한국어 교재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설 명절 관련 주요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장한업(2020)에서 제안한 상호문화교육 6단계를 본 연구에서는 설 명절 문화의 상호문화교육 4단계로 수정하였다. 그리고 이 단계에 맞춰 실제적인 설 명절 교육 방안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의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태국 현지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 및 설 명절 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또한 태국 현지 중등학생 대상의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기존의 연구를 살피며 태국 현지 중등학생 대상의 설 명절 문화교육에 대해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과 태국의 설날과 송크란 풍속의 특징을 복식문화, 음식문화, 생활문화, 놀이문화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한국과 태국의 설날과 송크란의 복식문화를 비교한 결과, 두 나라 모두 새해에 묵은 것을 버리고 새롭게 출발을 한다는 의미로, 명절을 맞아 새해를 맞이하는 기쁨으로 새 옷이나 깨끗한 옷을 입는다. 양국의 설 명절 음식문화에 대해 비교한 결과, 한국 설날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떡국을 먹고 태국에서는 주로 국수의 한 종류인 카놈찐 남야를 먹는다. 한국과 태국의 설 명절 생활문화의 특징으로 한국에서는 세배하기, 세뱃돈, 덕담 등이 있으며 태국은 관불의식, 물 맞이, 모래탑쌓기, 새나 물고기 방생하기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설 명절 놀이문화에 대해 비교한 결과, 한국 설날의 놀이문화는 윷놀이, 연날리기, 널뛰기 등이며 태국 송크란의 놀이문화는 싸바 놀이, 물 뿌리기, 낭 송크란 선발대회 등이 있다. 3장에서는 교재분석을 통하여 현재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교육 내용과 빈도가 높은 설 명절에 관한 교육 내용,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태국 현지 중등학교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재 속 설 명절 문화교육 내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태국 현지 중등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수업 방안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설 명절 문화에 대한 모습을 보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문화자료를 제시한다. 둘째,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와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설 명절과 관련한 어휘와 문법은 토픽 초급(2급)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 넷째, 설 명절 풍속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4장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태국 현지 중등학교의 한국어 학습상황을 고려하여 장한업(2020)이 제안한 ‘상호문화교육 6단계’ 과정을 채택하여 설 명절 문화의 상호문화교육 4단계로 재구성하였다. 1단계는 목표문화 이해 단계, 2단계는 상호문화 이해 단계, 3단계는 목표문화 경험 단계, 4단계는 내면화 단계로 각 단계에 맞춰 한국어 능력 초급 상 수준의 태국 중등학생을 대상의 설 명절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태국 중등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 증대됨에 따라 태국 중등학교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의 설 명절 문화를 태국의 송크란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설 명절 문화교육 방안을 논의하였다. 태국 문화교육에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태국 중등학교 학습자들은 한국문화교육을 비교문화적 방법으로 학습하길 희망하므로 본 연구는 태국 중등학교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수·학습방안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과 태국의 세시풍속에 대해 비교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뉴미디어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 한류 기반 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소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Korean Wave, which was popular in Asian countries, is spreading around the world in the 2010s. Whereas the current Korean wave was referring to the trend of K-DRAMA and K-POP, the recent Korean wave is showing strength in various fields including games, beauty, and movies, including drama and music. This Korean wave is called ‘Shin-Hallyu' as opposed to the existing Hallyu, the Korean Wave. Thanks to the Korean Wave, interest in Korean and Korean culture is more intense than ever. This study proposes a way to educate Korean culture on people who have become interested in Korea, Korean, and Korean culture through the Korean Wave. On the other hand, the flow of the Shin-Hallyu is also consistent with that of the new media era. In this study, new media is defined as a media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based on the Internet, rather than the existing mass media, and among them, this study propose a Korean culture education plan using YouTub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concept of “Korean Wave Based Learners,” which has been used in various meanings, is divided into four stage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new media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a major Korean wave consumer. Chapter 2 consisted of setting up the development model by referring to the ADDIE and ASSURE models. In Chapter 3, we analyzed existing content. Korean cultural-related contents posted on TTMIK(Talk to Me in Korean), Korean Unnie, and DKDKTV, which are channels cove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or K-POP news, are providing their cultural contents, their viewers.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that Korean Wave based learners are interested in. As a result of analysis, if the instructors present the contents of daily life, region, and social culture in accordance with learner's interests and learning purpose using Korean Wave contents, meaningful and useful contents can be developed for Korean Wave based learners. This study found out that it would be convenient for the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while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learning through the YouTube, which transcended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Based on this, Chapter 4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contents targeting ARMY, as a fan of the Korean Wave-based learners. This study surveye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Korean culture among overseas fans who are active on Twitter.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of Korean language learners based on the K-POP and their learning needs. The study discussed ways to explor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By using new media,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and to interact in real time even when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can provide a rich indirect experience using audio-visual materials to learners from abroad who have little opportunity to have a practical experience in Korea. 아시아 국가에서 유행하던 한류가 2010년대에 들어 전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기존의 한류가 K-DRAMA와 K-POP의 유행을 일컫는 말이었다면, 최근의 한류는 드라마와 음악을 포함해 게임, 뷰티,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한류를 기존의 한류와는 대비되는 ‘신한류’라고 한다. 한류의 활약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도 열렬하다. 본 연구는 이처럼 한류를 통해 한국과 한국어, 한국문화에 관심을 갖게 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국문화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한편 신한류의 흐름은 뉴미디어 시대의 흐름과도 일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를 기존의 매스미디어가 아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양방향적 소통이 가능한 미디어로 정의하고, 그중에서도 유튜브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던 ‘한류 기반 학습자’의 개념을 4단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또한, 뉴미디어의 개념을 정리하고 주요 한류 문화 소비자인 Z세대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콘텐츠 개발을 위한 모형으로써 ADDIE 모형과 ASSURE 모형을 참조하여 개발 모형을 설정하는 것으로 2장을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기존의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육 또는 K-POP 뉴스를 다루는 채널들인 TTMIK(Talk to Me in Korean), 한국 언니(Korean Unnie), DKDKTV에 게시된 한국문화 관련 콘텐츠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어떤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며, 한류 기반 학습자들이 관심 있는 한국문화의 내용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관심사와 학습 목적에 맞춘 일상생활, 지역, 사회 문화에 대한 내용을 한류 콘텐츠를 활용하여 제시한다면 한류 기반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하고 유용한 콘텐츠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유튜브를 활용한다면 학습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물리적 거리를 초월하는 한편 교육 내용의 구성 및 제시에서도 편리할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한류 기반 학습자 중 방탄소년단의 팬덤인 ARMY를 타겟으로 하여 한국문화 교육 콘텐츠의 개발을 논의하였다. 트위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해외 팬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학습과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상 콘텐츠를 구성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류, 그중에서도 K-POP을 기반으로 발생한 잠재적, 실재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현황과 그들의 학습 요구를 살펴보고, 뉴미디어 시대와 Z세대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 즉 한류 기반 학습자들에게 가장 친화적인 방식을 채택하여 한국문화 교육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모색하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뉴미디어를 활용한다면 시간적 제약과 공간적 제약을 탈피하여 물리적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가 거리가 있어도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되며, 한국에서 실제적 체험을 할 기회가 거의 없는 국외의 학습자들에게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풍부한 간접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범주 설정 내용 연구

        박지양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문화를 학습하는 데에 있어 일반적인 외국인 학습자와는 달리 특수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외국인 학습자와 구분하여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에게 이루어져야 할 한국문화교육 내용 범주를 설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재외동포는 학습동기 및 목적, 언어적, 문화적으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한국어 교육에서는 재외동포와 일반적인 외국인 학습자를 차별화 시키지 않고 동일한 범주 내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및 국외의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 교육기관은 재외동포와 외국인이 같은 교육과정에서 같이 수업을 받고 있으며 수업 교재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살펴보면 재외동포를 위한 뚜렷한 기준이나 체계적인 순서 없이 제시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와 일반적인 외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구분하고 재외동포가 반드시 알아야 할 문화 항목을 찾아 구체적으로 재외동포 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 선정하기 위한 범주화 설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재외동포와 계승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와 재외동포 대상 문화교육의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연구의 내용 및 방법에서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본 연구의 전반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재외동포의 분포 현황과 재외동포의 교육의 현황에 대해서 살펴본 후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 및 목적을 알아본 후 재외동포의 언어적, 문화적으로 다른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재외동포 대상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재외동포 한국어 교재 구성 및 교재에 제시된 문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문화교육 범주 설정을 위한 사전 조사로서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동일한 내용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 및 그 학습자를 가르치고 있는 현직 교사 집단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재외동포 문화교육 범주를 설정하고 학습자 변인에 따라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의 수준별, 연령별로 세부적인 범주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 및 의의를 정리하고 본 연구의 내용이 실제로 활용되었을 시 나타나는 기대 효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cope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that is required to be provided to overseas Koreans learning Korean language, as opposed to ordinary foreign language learners, as there are unique characteristics observed when expatriate Koreans study Korean culture whi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Expatriate Koreans have different motivation, purpose for learning, and linguistic and cultural perspectives than do other learners. Nevertheless, thus far,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provided for them in the same category as that for other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domestic and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eigners and expatriate Koreans learn Korean language using the sam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in classes are presented without clear criteria or a systematic order for expatriate Korean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mong expatriate Koreans from those of ordinary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categories to identify specific cultural items that expatriate Koreans must know, as well as select those as items for 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expatriate Koreans.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First, Chapter I presents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study by raising issues in the research contents and method sand reviewing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then reviewing preceding studies on expatriate Koreans and heritage language as well as on cultural education for expatriate Koreans. In Chapter II, the distribution and education status of expatriate Koreans are examined. In addition, expatriate Koreans’ motivation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nd their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when learning Korean, which are different from other language learners’, are also presented. In Chapter Ⅲ, the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expatriate Koreans is reviewed, and the composi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expatriate Koreans, along with the cultural contents presented in those textbooks, are analyzed. Additionally, this chapter looks at in-depth interviews that were conducted with Korean language learners among expatriate Koreans as part of a pre-investigation to set the cultural education category for them. To support thi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both expatr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Chapter Ⅳ focuses on a cultural education category that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and survey spresented in Chapter III, and subcategories are presented by level and age of expatr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depending on learner variables.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ults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describes the expected effects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ed in practice.

      • 이주민의 다중문해력 함양을 위한 웹툰 활용 한국문화교육 연구 : 6차시 교수-학습 설계와 실제

        하민정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Korean society is about to enter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over the past 15 years. Accordingly, since the multicultural society became a hot topic in Korean society in 2005, discussions o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have been active and developed rapidly. This included not only Korean as a communication function, but also Korean culture, which is considered necessary to help Immigrants adapt quickly to Korean society with the goal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for various reasons, the number of immigrants wishing to stay longer in Korea is increasing. The longer the period of stay means that you will encounter a more diverse and in-depth culture of Korean society, so diversification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xisting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also required. This is because, until now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we have provided assimilationist and ethnic-centered culture by itemizing, listing, and introducing without any major problem. After the basic literacy needed for early immigrants has been developed to some extent, they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knowledge and values shared in the society, compare their own with those of Korean society, and select, analyze, criticize, and accep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express them crea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star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how to cultivate multiliteracie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considering that immigrants need to be members of identity in Korean society. To study this, first, we examine what sub-concepts of multiliteracies are needed for immigrants first, select a medium to teach and learn them effectively, and then explore the usefulness of webtoons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to cultivate multiliteracies. Second, the direction of the future Korean culture curriculum is explored by studyi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Korean culture textbooks. Third, the possibility and usefulnes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using webtoons to cultivate multiliteracies of immigrants' is explored by designing an independent teaching-learning plan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and implementing it through actual class cases.  Regarding the first and second research questions,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direction that cultural education should pursue through the exploration of existing discussions. Cultural education should pursue mutual exchange and integration for the coexistence of cultures and should include not only cultural knowledge but also emotional cultivation and attitude areas, an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have independence from language education. And, the specific content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multiliteracies of migrants include multi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media literacy, and emotional literacy. In addition, media-based teaching-learning, in which interactive communication can occur, is recommended as such an educational method of multiliteracies, and in particular, it was derived through existing discussions that webtoons may be appropriate. In order to explore the third research question, a class was planned, a location was selected, an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a face-to-face Korean culture class. In order to find out the usefulness of the clas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articipants' existing cultural class experiences and webtoons perception before class and a satisfaction survey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the 6 classes-Webtoons understanding as the media, Comparative reading,  , Critical reading, Responsive reading, Understanding my identity, My Webtoon Drawing and Presentation. ᅠ As a result, immigrant learners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is class, and although the class was a Korean culture class, they recognized that it was helpful not only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Korean culture, but also for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and confirmation of identity, and Korean language skills were naturally improved. And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ourse of Korean culture classes with independence from language classes. Second, education on Korean culture using webtoons should include contents on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webtoons themselves. Third, discussion-style classes is good for cultivating multiliteracies on Korean culture class. Fourth, in this process, the instructor should play the role of a moderator rather than a knowledge transmitter. Fifth, immigrant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emotional literacy classes that deal with identity and attitudes in Korea are high.ᅠ This study explores the usefulness of the culture-centered, independent, multi-chambered Korean culture class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e classes, and implements it as a concrete class, while verifying the possibility and usefulness of Korean culture classes for cultivating multiliteracies skills using webtoon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intended to apply the teaching-learning goals, contents, and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to actual classes and to obtain educational implications through them. 한국 사회는 지난 15년간 꾸준히 국내 거주 외국인 수가 늘면서 다문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2005년, 다문화 사회가 한국 사회의 화두가 된 이후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고 빠르게 발전해 왔다. 이들의 사회 통합을 목표로 의사소통기능으로서의 한국어뿐만 아니라 이주민의 한국 사회로의 빠른 적응을 돕기 위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한국문화 내용이 이에 포함되었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서는 다양한 이유로 한국에서 더 오랜 기간 체류를 희망하는 이주민 비율의 수치가 높아지고 있다. 체류하는 기간이 늘어간다는 것은 한국 사회의 더 다양하고 심층적인 문화를 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기존의 한국문화교육의 내용과 방법에도 다변화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한국어, 한국문화교육 현장에서는 큰 문제의식 없이 동화주의적, 자민족 중심적 문화를 항목화하여 나열하고 소개하는 것으로 문화교육을 해왔기 때문이다. 초기 이주민에게 필요한 기본 문해력이 어느 정도 길러진 후에는 그 사회에 공유되는 지식, 가치관 등을 이해하고 자신의 것과 한국 사회의 것을 서로 비교하며, 또 다양한 방식의 정보를 선별, 분석, 비판, 수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이주민들이 한국 사회에서 주체성을 가진 구성원으로 함께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다중문해력이라 여기고 이를 한국문화교육 안에서 이를 어떻게 함양할 것인가 하는 고민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첫째, 이주민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다중문해력의 하위개념이 무엇인지 살피고, 이를 효과적으로 교수-학습하기 위한 매체를 선정한 뒤 다중문해력 함양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에서 웹툰의 유용성에 대해 탐구한다. 둘째, 한국문화 교재에 대한 기존 논의를 연구하여 앞으로의 한국문화 교육 과정의 방향을 탐구한다. 셋째, 앞서 탐구한 것을 토대로 문화 중심의 다차시로 구성한 한국문화교육 교수-학습안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구현하여 ‘이주민의 다중문해력 함양을 위한 웹툰 활용 한국문화교육’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탐구한다. 첫 번째, 두 번째 연구 문제에 관해서는 기존 논의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문화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알아낼 수 있었다. 문화 교육은 문화 간의 공존을 위해 상호 교류와 통합을 추구하는 방향이어야 하고 문화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정서 함양, 태도의 영역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언어 교육을 잘하기 위한 보조로서 문화교육이 아닌 그만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주민의 다중문해력 함양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구체적 내용으로는 다문화 문해력, 비판적 문해력, 매체 문해력, 정서적 문해력을 꼽을 수 있다. 또, 이러한 다중문해력의 교육 방법으로 쌍방향적 소통이 일어날 수 있는 매체 기반 교수-학습이 추천되는데, 특히 웹툰이 적절할 수 있다는 것을 기존 논의를 통해 도출하였다. 세 번째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기획, 장소를 섭외하고 한국문화 대면 수업 참가자를 모집하였다. 수업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 시작 전 참가자들의 기존 문화수업 경험과 웹툰 인식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제 6차시 수업-미디어 웹툰 이해하기, 비교하며 감상하기, 비판적으로 감상하기, 공감하며 감상하기, 나의 정체성, 나의 웹툰 그리기와 발표-을 진행 후 수업 만족도 조사 및 추가 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주민 학습자들은 본 수업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리고 해당 수업이 한국문화 수업이지만 한국문화에 대한 지식과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를 대하는 태도, 정체성 확인에도 도움이 되며 한국어 능력도 자연스럽게 신장되었다고 학습자들이 인식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문화수업 과정은 현재 언어 중심 교육과정보다 비중과 시간을 늘려서 여러 차시로 설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웹툰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시에는 웹툰 자체에 대한 이해 및 활용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다중문해력 함양 한국문화수업은 토론식 수업이 좋고 넷째,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지식 전수자가 아닌 사회자 역할을 해야 한다. 다섯째, 한국에서의 정체성과 태도를 다루는 정서적 문해력 수업에 대한 이주민들의 만족도와 요구가 높다. 본 연구는 한국문화수업 현장에서 문화 중심 교육과정이면서 다차시로 구성한 한국문화수업의 방식의 유용성을 탐색하고 이를 구체적인 수업으로 구현해 내는 한편 웹툰 활용 다중문해력 함양을 위한 한국문화수업의 가능성과 유용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목표와 내용, 그 방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얻어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방안 : 호랑이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장천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호랑이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여 호랑이에 관한 한국 문화의 특수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는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어떤 문화적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은 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에게 친숙하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호랑이를 소재로 한 문화요소를 선정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호랑이는 여러 가지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매우 흥미롭고 실용적인 문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인 학습자에게 있어 호랑이는 매우 친숙한 동물이다. 그러나 중국 문화 속 호랑이의 의미가 한국과는 차이가 있어 오히려 혼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호랑이의 상징적 의미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시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기술한 뒤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교육의 원리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상징 의미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속담, 전래동화, 회화 속에 나타난 한국과 중국의 호랑이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 교육 모형을 선정하고 호랑이의 상징의미를 활용한 문화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에 대해 밝혔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문화를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고 한국문화의 특수성도 알아볼 수 있다.

      • 한·중 대학 한국어교육 교재 비교 : 한국문화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이성례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27

        為了提高韓國語專業的中國學習者對韓國文化的理解能力,本研究對韓中兩國出版的教材中的文化內容進行比較分析,目的在於提出今後韓國語教材開發中,韓國語文化教育中的各項文化內容應占多大比重。 到目前為止的研究表明,中國的韓國語教材中關於文化的內容不系統,文化內容的分佈也不均勻.但是把必需的文化內容寫入教材,提出要提高文化教育水平的研究卻為數不多。 因此,本研究以韓中兩國大學使用的6本韓國語綜合教材和4本文化教材--共10本教材為基礎,旨在比較分析韓國語教育中的文化內容,從而提出韓國語教育中的文化內容。 首先第一章里,考察了以理解韓國文化為目的的文化教育的研究目的和必要性,研究方法,前人研究,在查閱前人研究時,考察了韓語教育中韓國文化教育的必要性以及文化的分類,教材開發的方向等前人研究成果,以及關於韓中教材分析結果的論文。 第2章說明了韓中兩國大學韓語教的材選擇標準和理由,考察了韓語教育文化教材的主題和文化內容。韓中大學韓語教材中考察的主題和文化內容,每所大學都呈現出些許差異。為了更好地了解目標語國家的文化,悠久的歷史積澱下形成的傳統文化的脈絡相關的觀念文化等文化內容也要均勻地編入教材。 第3章將第2章中提到的教材的主題和內容,按照文化分類的標準,運用권오경(2009)的文化分類方法,即把文化範疇化為成就文化,行動文化,觀念文化,每種文化又重新劃分 為大分類,小分類,進行了比較分析。 最後,以韓中兩國大學的6本綜合教材和4本文化教材--共10本教材為基礎,將韓國語教育中的文化內容進行比較分析,結果表明:綜合教材中,生活文化占最大比重.由此可見,韓國現代文化中必需的內容與韓國固有的傳統文化內容十分不足。在編寫韓國語教育文化教材時,應收錄韓國文化中的哪些內容,需要我們更認真地加以思考。 希望除了韓國語以外,還能將韓國的現代文化和美麗的傳統文化和諧地融為一體,讓學習韓語的中國學習者自然地接觸到韓國文化。所謂文化,原本就主題寬泛,內容龐大,因而是一門很難研究的學問。韓國語教育中文化教育具有較高的研究價值,今後也值得期待出現更有深度的研究成果。儘管存在一些不足之處,但還是希望本論文能對韓國語教育中以學習文化為目的的教材的選擇和開發提供一定的幫助。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가치문화교육 연구

        권정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일환으로 한국인의 특징적인 의식과 가치관을 교육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 사회는 취업, 학업, 이민과 결혼 등 여러 목적으로 국내 상주하는 외국인이 증가 추세에 있고 한국의 국제 위상과 대중문화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외국인 학습자가 많아지고 있다. 현재 이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국내·외 여러 기관과 온·오프라인 방식의 교육 방법을 통해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가 많아질수록 이들의 학습 목적과 상황에 맞는 한국어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의 세분화가 필요하다. 한국문화교육은 ‘문화’의 개념이 추상적이고 범위가 넓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교육의 논의가 많았지만, 주된 논의는 문화교육의 당위와 필요성, 내용과 방법으로서 제재의 제안 등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문화를 반영한 담화와 화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적 필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문화교육 내용이 일상생활문화의 정보적 기능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문제는 어떤 유형의 학습자에게는 유용한 문화교육일 수 있으나 어떤 유형의 학습자에게는 미흡한 문화교육에 그친다는 것이다. 예컨대, 언어 습득 이상의 목적을 가진 재외동포 학습자, 정주민의 자격으로 한국 사회에 정착해 살아갈 외국인 학습자 및 학문 목적 학습자 등 문화적 동기의 학습자들이 이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고는 학습자 학습 목적과 필요에 따라 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달라야 함을 강조하며 일상생활문화의 기저를 이루는 한국인의 가치관 교육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가 깊이 있게 한국문화를 이해하고‘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 교육의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문화교육의 목표를 검토하였고 한국어교육 교재에 실린 문화교육의 내용 범주와 세부 항목, 제시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 자국 문화와 비교하여 경향성이 더 강하다고 느끼는 한국인의 의식·가치관을 묻는 설문 조사를 기초로 교육 주제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빨리빨리 문화, 정 문화, 효 문화가 이들에게는 인상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빨리빨리 문화, 정 문화, 효 문화의 형성 요인, 한국적인 특수성과 내재한 가치 지향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제안하였으며 5차시 토론 수업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교육의 주제가 확대되고 한국문화의 기저를 교육의 주제로 삼는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어지기를 바란다.

      •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5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장미란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This study aims to explore Korean language culture education using TV advertisements and help learners adapt to Korean society in the fifth st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KIIP). The underlying learning objectives of the KIIP Phase 5 learners are permanent residency and nationality acquisition. Therefore, appropriate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by systematically designing training content, tools, and methods appropriate for their particular learning motivation. However, "Korean Social Understanding (basic)" and "Korean Social Understanding (deepening)", which ar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are considered in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tools to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As their learning tool, we will adopt TV commercials that have a familiarity with our daily lives. Through this, we seek to explore the practical goals of learners: education that helps qualif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education rather than unilateral education, education that deals with practical and modern cultural topics, and education that motivates learning. For this purpose, Chapter I will review the existing prior research and then present the educational value of this study. TV commercials are recognized for their value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are used in a variety of ways, but most studies only analyze and select advertisements and suggest educational plans.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not being able to grasp learners' educational performance or satisfaction due to failure to conduct classes in the actual classroom. In fact, it is regrettable that even if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as verified, the cultural content was not valid, the appropriateness of TV advertisements could not be determined, and the objectivity could not be guaranteed because it did not reflect learners' needs.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we reveal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and present the need for this study. Chapter II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this work. In this study, we believe that the policies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s are insufficient in terms of textbooks, subjects, and social integration, and we will look at overseas social integration cases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Also, I would like to look at the culture class methodology using advertising and design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Chapter III will select cultural content and advertisements for cultural education and present a class model utilizing them. Cultural content will be cataloged by comparing the cultural categorie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iz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ith the themes of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basic) and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deepening). Based on these cultural contents, we conduct pre-requisit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earners to examine demand and reflect the results on the subject of the class model. It will then design the criteria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and secure TV commercials based on cultural content. Based on these materials, I will present a guide for Korean culture classes. Chapter IV will examine the result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objectivity of Korean culture classes using TV advertisements may be guaranteed through qualitative surveys, such as results of learners' learning activities, study journals, satisfaction surveys, etc. after classes. 본 연구는 TV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탐구하고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5단계 학습자의 한국사회의 적응을 돕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사회통합프로그램 5단계 학습자의 근본적인 학습 목표는 영주권 및 국적 취득이다. 따라서 이들의 특수한 학습 동기에 걸맞은 교육 내용, 도구 및 방법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적절한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법무부에서 지정한 주교재인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기본)』,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심화)』는 이들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절하지 않은 교수‧학습 도구라고 본다. 이에 일상생활에서 친근함을 가지는 영상매체 중 하나인 TV 광고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실질적인 목표인 적격심사에 도움이 되는 교육, 일방적 교육이 아닌 상호문화 의사소통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실제적이고 현대적인 문화 주제를 다루는 교육, 흥미 및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교육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Ⅰ장에서는 기존 선행 연구를 검토한 뒤 본 연구의 교육적 가치를 제시할 것이다. TV 광고는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에서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광고 분석 및 선정, 교육 방안 제시에 그치거나 실제 교실 현장에서 수업을 진행하지 못하여 학습자들의 교육 성과나 만족도 등을 파악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실제로 수업의 효과를 검증했더라도 문화 내용이 타당하지 않거나 TV 광고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없고,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아 객관성을 담보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표와 부합하는 이론적 배경을 알아본다. 본고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정책이 교재, 대상, 사회통합 측면에서 미흡하다고 보고 해외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사례를 살펴 개선 방안을 찾을 것이다. 또한 광고를 활용한 문화 수업 방법론을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방향성을 설계하려고 한다. Ⅲ장에서는 문화 내용과 문화 교육용 광고를 선정하여 이를 활용한 하나의 수업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문화 내용은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문화 세부기술 범주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기본)』,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한국사회 이해(심화)』의 주제를 추출하여 공통되는 문화 내용을 목록화할 것이다. 이러한 문화 내용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사전 요구 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여 수요를 살피고, 결과를 수업 모형의 주제에 반영하려고 한다. 이후 광고 선정 기준을 설계하여 문화 내용에 기반한 TV 광고를 확보할 것이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화 수업 지도안을 제시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교수‧학습의 결과를 살필 것이다. 수업 후 학습자의 학습활동 및 결과물 관찰, 학습일지 분석, 만족도 조사 등의 질적 조사를 통하여 TV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 수업의 효용성을 담보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