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들만의 리그'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한국 금융투자업계의 젠더화된 네트워크에 관한 비판적 분석

        이영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thesis critically explores the labor culture and perceptions of workers in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and how financial capitalism operates based on it. The thesis argues that gender functions as an axis of a new accumulation strategy driven by global financial capitalism and seeks to capture it from a gender perspective revealed explicitly in the labor performance of industry worker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demonstrates how such a gendered labor culture in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highlights the inequality problem of Korean society, where financial capitalism is prevalent. With the rapid expansion of global capitalism, neoliberal financialization, the driving force, has firmly established itself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the domestic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has grown, giving hope to countless people while also encouraging economic desires. Workers who entered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by building various high specifications have been reborn as steady workers who embody the workers' image required by these specifications and move financial capitalism. However, becoming these “steady workers” differs depending on gender. As a result, experience is linked to practical labor inequality, making it difficult for female workers to gauge where their identity fits into the industry quickly. The “their league” structure, which is implicitly inherited and sensed, is maintained while strengthening the male centrality of the sector, which also shares context with the entire accumulation structure of Korean society. To carry out this thesis, the researcher met and talked with a total of 32 research participants from August 2019 to February 2021, conducted pilot research and full-fledged field research, 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industry workers. Newspaper articles, legal and statistical data and related research papers were carefully reviewed and used to interpret empirical data obtained during field research. While conducting research, the researcher positioned herself as a "close outsider" in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by witnessing various significant changes and crises in the Korean capital market. Participants in the thesis entered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for various reasons, were connected by performing different tasks in multiple fields, and left the industry for various reasons. The intended arguments revealed in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is constructed on the capital market. The division of functional areas within the industry leading to the front-middle-back is the basis for the fundamental accumulation of financial capital profits. The 1997 IMF financial crisis,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enactment and subsequent revision of the Capital Markets Act are critical factors in the evolution of the Korean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Second, these changes in markets and industries have established "ideal" workability that suits them. This workability includes the daily performance of unpaid labor in light of “autonomous” labor, the internalization of heavy work intensity, performance-based contractual employment, and the acquisi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informal networking. This workability applies to many male workers located near the “front”(investment department) in the overlapping structure of the gendered industry labor network. Gender factors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tering the industry—labor and moving—and leaving the industry, resulting in inequality. Third, these gendered industry network structures and ideologies that drive labor culture include risk-taking and performance-based meritocracy. Risk-taking ideology maximizes profits while transferring the responsibility associated with it to the outside of a male-dominated investment network. Taking these as steppingstones, exclusive and speculative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of profits occur among workers, which are also linked to the polar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problem of predatory financial capitalism related to economic inequality. This thesis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critical cultural studies of finance by revealing that financial capitalism and the labor culture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reinforce the new gender order. This study deals with the dynamics of financial capitalis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y critically examining the gendered labor culture of the Korean financial investment industry and its “league of their own” by interpreting the experiences, desires, and life stories of those “who feel they do not belong to it.” 본 연구는 한국 금융투자업계 노동자들의 노동 경험과 인식을 분석하여 업계 노동문화와 그에 기반한 금융자본주의의 작동 방식을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연구자는 젠더가 글로벌 금융자본주의가 추동하는 새로운 축적 전략의 한 축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하며,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그러한 전략이 구체적으로 업계 노동자들의 노동 수행에서 드러나는 지점을 젠더 관점에서 포착하고자 했다. 덧붙여 이러한 금융투자업계 젠더화된 노동문화가 금융자본주의가 만연한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와 만나고 있음을 보여주려 하였다. 글로벌 자본주의의 급속한 팽창과 함께 한국 사회에서도 그 원동력인 신자유주의 금융화가 공고하게 자리 잡았다. 그 영향으로 국내 금융투자업계는 성장 가도를 달리며 수많은 이들에게 모종의 희망을 부여하고, 동시에 경제적인 욕망을 부추겼다. 각종 고스펙을 쌓아 금융투자업계에 입성한 노동자들은 그 안에서 요구하는 노동자상을 수행하며 금융자본주의를 굴러가게 하는 착실한 일꾼으로 거듭난다. 그러나 이 일꾼이 되는 과정은 젠더에 따라 다르게 경험된다. 경험은 결과적으로 노동의 장에서 실질적인 불평등 문제와 연결되고, 이로 인해 여성 노동자들은 업계 내에서 자신이 어떤 정체성으로 어디에 위치하는지 쉽게 가늠할 수 없게 된다. 암묵적으로, 혹은 은연중에 계승되며 감각되는 ‘그들만의 리그’ 구조는 업계의 남성 중심성을 강화하면서 유지되는데, 이는 금융이 주도하는 자본주의 사회로 접어든 한국 사회의 배타적인 축적구조와도 맥락을 공유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는 2019년 8월경부터 2021년 2월까지 파일럿 연구, 본격적인 현장연구, 업계 노동자 심층 인터뷰 등을 진행하며 총 32명의 연구 참여자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신문기사, 법률 및 통계자료, 관련 선행연구 논문 등을 꼼꼼하게 검토하여 현장연구 때 획득한 경험적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활용했다. 연구자는 한창 연구를 진행하는 중에도 한국 자본시장의 여러 굵직한 변화와 위기를 경험하면서 금융투자업계에 ‘가까운 외부자’로 자신을 위치시켰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 다양한 이유로 금융투자업계에 진입했고, 여러 방면에서 다른 일을 수행하며 연결되었으며, 또 별개의 이유로 업계를 떠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내고자 했던 논지 및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금융투자업계는 자본시장을 토대로 구성되며, 프론트-미들-백으로 이어지는 업계 내부의 기능적인 영역 구분은 가장 기본적인 금융자본 이윤 축적의 기반이 된다.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09년 자본시장법 제정과 이후 개정은 한국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계의 발전과정에서 손에 꼽을 수 있는 핵심적인 변화 국면이다. 둘째, 이 같은 시장과 업계의 변화는 그에 걸맞은 ‘이상적인’ 노동자성을 구축하게끔 했다. 이 노동자성에는 ‘자율’노동으로 비추어지는 무급노동의 일상적인 수행, 그에 따른 과중한 업무강도의 내면화, 성과에 따른 계약직 형태의 고용, 비/공식적인 네트워킹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획득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노동자성은 젠더화된 업계 이중 노동 네트워크의 중첩된 구조 속에서 주로 투자부서인 ‘프론트’에 위치한 다수의 남성 노동자들에게 적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업계 입성-노동 및 이동-이탈 과정에서도 젠더 요인이 유의미하게 개입되며 결과적인 불평등을 발생시켰다. 셋째, 이러한 젠더화된 업계 네트워크 구조와 노동문화를 움직이는 이데올로기로는 위험 감수(Risk taking)와 성과에 따른 능력주의가 있다. 위험 감수 이데올로기는 이익을 최대화하는 동시에 그에 수반되는 책임을 남성 중심적인 투자 네트워크의 외부로 이전시켰다. 이를 발판 삼아 다시 한번 노동자들 사이에 배타적이고 투기적인 이윤 축적과 분배가 발생하며, 이는 한국 사회의 양극화, 경제 불평등과 관련된 약탈적인 금융자본주의의 문제와도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전 지구적으로 확장하는 금융자본주의와 그 안에서 태동하고 구성된 금융투자업계의 노동문화가 새로운 젠더 질서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을 금융의 젠더화 등의 개념적 논의를 통해 학문적으로 규명하고 드러냄으로써 비판적인 금융문화연구의 외연 확장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한국 금융투자업계의 젠더화된 노동문화를 살펴 한국 사회와 글로벌 금융자본주의의 연결과 그에 따라 구축된 ‘그들만의 리그’를 비판적으로 살피고, 그 바깥에서 노동하고 살아가고 있는, ‘그들이 아닌’ 이들의 경험과 욕망, 삶의 이야기를 학문의 장에서 더욱 심도 있게 논의함으로써 금융자본주의의 역동을 젠더 관점에서 새롭게 사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