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청년영화의 정동 역사 연구

        김충국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한국 청년영화는 한국 사회의 특성에 대한 변용으로서의 과정, 즉 응전과 도전이라는 주체적 실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제로부터의 해방 이후에도 반세기에 걸쳐 지속된 파시즘적 지배, 그로부터 파생된 영화 제도와 규제들이 서구영화의 보편적 발전 궤적 및 양상과는 다른 특성을 발생시켰다. 오늘날의 영화 환경과 미학은 그러한 질곡에 대한 역사적 응전의 결과물로서, 시기별 응전의 자취들이 지금의 한국영화를 특징 짓는 중요한 바탕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년영화의 역사를 통해 오늘날 한국영화의 특성과 그 변화의 동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연구방법론은 스피노자의 정서 개념과 그것을 이어받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정동 이론이다. 정동은 영화 또는 사회의 변화를 이끄는 실체적 힘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 정동을 일으키는 동력인 코나투스를 분석함으로서 영화의 변천을 이끄는 근원적 힘의 양상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 청년영화의 역사적 줄기에서 결절점을 이루는 작품들이다. <맨발의 청춘>(김기덕, 1964)은 청년영화의 맹아적 형태인 청년영화를 대표한다. <바보들의 행진>(하길종, 1975)은 본격적인 청년영화의 출발점이다. 그리고 <파업전야>(장동홍 외, 1990)는 <바보들의 행진>과 대비를 이루는 결절점이다. 이와 함께 한국 청년영화의 주변에서 이형태를 이루고 있는 로드무비와 호스티스 영화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오늘날의 청년영화가 함축하고 있는 정동적 모멘텀을 파악하고 최신의 경향들을 탐색하는 차원에서 <족구왕>(우문기, 2014)과 <벌새>(김보라, 2019)를 통해 21세기 신자유주의 시대 청년영화의 정동을 분석한다. 한국 청년영화의 진화 양상을 세계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고찰한다면, 개체의 개별적 경험과 정서에 기반하고 장르적으로 미완성 상태인 ‘상상적 인식’에서, 집단적이고 보편지향적인 ‘이성적 인식’으로 향한다. 그리고 그 양자의 합으로서 사회적 관계성에 기반한 개체 집합로서의 관점을 바탕으로 직관적인 인식으로 나아간다고 정리할 수 있다. 새로운 세대의 정동은 기존 영화의 내용과 형식에 어떤 방식으로든 자극을 주고 변화를 고무한다. 그 실현의 궤적은 마치 역사의 발전처럼 나선적 상승과 하강으로 구성되며 그 누적은 장르의 진화로 나타난다. 그리고 장르의 진화를 추동하는 변용의 동력은 영화를 통한 능동으로의 이행을 추구하는 창작자의 실천에 있다.

      • 외국영화 직배 이후의 한국영화산업 발전 연구

        채창락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영화 산업은 5,6차 영화법 개정과 할리우드 영화의 직배로 영화 시장을 개방하면서 이전과는 매우 다른 상황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할리우드 직배 영화의 수입편수와 시장점유율의 급증은 한국영화산업의 위기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이후 대기업의 진출과 금융자본의 영화산업 유입으로 한국영화 산업은 새로운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전까지 나타나지 않았던 국내 메이져 배급사의 등장, 메이져 제작사와 독립영화의 약진, 외국자본의 국내 영화산업 유입 등은 최근 한국영화산업이 구조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드러내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할리우드 영화 직배 이후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제작, 배급, 상영 부문에 걸쳐 검토하였다. 할리우드 영화 직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직배가 전통적인 한국영화 산업을 변화시키고, 대기업 자본이 진출하면서 시스템의 합리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금융자본이 유입되면서 한국영화산업은 세계화 시대에 어떻게 대응하였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 영화시장에 외국자본의 침투가 현실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내 영화산업의 자생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발전 방안과 대안을 고민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논문을 구성하였다. 제2장에서는 5,6차 영화법 개정을 중심으로 할리우드 영화 직배 이전의 한국영화산업 구조를 검토한다. 제3장에서는 할리우드 영화 직배가 한국영화산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시장 개방에 대한 대응이라고 볼 수 있는 대기업의 영화산업 진출을 검토함으로써 이것이 한국영화산업의 합리화에 어떻게 기여하였는지를 본다. 제4장에서는 세계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금융자본이 한국영화산업에유입되면서 한국영화의 산업적인 시스템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핀다. 제5장에서는 위의 논의를 토대로 과도기에 있는 한국영화산업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한국영화산업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5차 영화법 개정 이전에 한국영화산업은 외화수입쿼터제와 기업화 정책으로 인해 외국영화 중심의 시장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영화 제작은 외화 수입 쿼터를 따기 위한 부수적인 과정으로 존재하였으며, 제작자본은 지방 배급업자의 단매 자금으로 충당되는 형편이었다. 이러한 구조는 흥행자본이 제작으로 재투자되지 못하여 제작-배급-상영의 각 부문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지 못하고 파편화되는 구조를 낳았다. 이런 상황은 5,6차 영화법 개정과 영화시장 개방으로 큰 변화를 맞게 된다. 5차 영화법 개정으로 영화업이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어 제작사가 증가함으로써 기존의 20개 영화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던 독과점 구조가 깨지고 경쟁체제로 전환되었다. 6차 영화법 개정은 할리우드 직배사의 한국영화 시장 진출을 합법화하였다. UIP 등의 직배사는 극장으로의 직접 배급을 시도하였고 이로 인해 지방흥행업자들이 사라지게 된다. 직배사는 상영관을 확보하기 위해 개봉관-재개봉관 순으로 상영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재개봉관에 영화를 직접 공급함으로써 개봉관이 확대되고 전국 동시개봉을 가능하게 하였다. 대기업은 할리우드 직배사의 진출로 비디오 프로그램의 확보가 어려워지고 CATV 사업을 시작하면서 소프트웨어의 필요성이 절실해지자 한국영화 제작에 부분 투자하는 형식으로 영화산업에 진출하였다. 대기업은 이후 전액 투자 형식으로 한국영화 제작에 참여하여 판권을 소유하고 이를 자체 배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기 시작했다. 특히 대기업 자본은 충무로의 새로운 젊은 영화인력과 결합되면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었고, 제작-배급-상영을 통합하는 수직적 통합체계를 갖추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MF로 대기업이 영화산업에서 빠져나가면서 창투사의 금융자본이 영화산업에 뛰어들게 된다. 창투사는 대기업으로 제작과 투자-배급의 역할 분담을 더욱 가속화시켰다. 창투사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로 제작단계의 준비 소홀이나 불합리한 관행이 사라지도록 하였다. 즉 제작과정의 철저한통제를 통한 합리적 제작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메이져 배급사의 출현으로 배급사가 직접 극장에 영화를 배급함으로써 흥행수익이 제작에 재투자되는 자본의 유기적 순환구조가 확립되었다. 한국영화산업의 이와 같은 변화는 한국영화가 진정한 의미의 ‘산업’으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이 한국영화의 장밋빛 미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영화 시장 점유율 40%의 그늘에는 흥행성이 없다는 이유로 개봉관을 잡지 못하거나 일주일도 채 안되어서 극장 간판을 내리는 영화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영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영화의 산업적 발전은 시장자율에 맡기되 영화의 문화적 측면을 보강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영화 전용관은 독립영화나 작품성을 갖춘 저예산 영화, 예술영화를 안정적으로 상영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단기적인 대안보다는 문화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장기적인 대안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영화산업을 이끌어갈 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영화제작을 지원해줄 수 있는 지역영상위원회의 확대구축, 나아가 관객 대중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화 향유를 확대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The Korean movie industry has changed into a very different situation than before, opening a movie market due to the 5th and 6th revise of the movie law and a direct distribution from Hollywood. The number of import of a direct distribution from Hollywood and the fast increase of the occupied rate of market were recognized the crisis of the movie industry in Korea. But the Korean movie industry was put into a new situation, owing to the advance of a big company and the inflow of a movie industry from monetary capitalafter that. The appearance of a domestic major company of distribution that did not appear till then a major producing company, the rush of independent movie company and the domestic movie industry, the inflow from foreign capital showed the structural change of Korean movie industry in recent years. This thesis examined ove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on the change of Korean movie industry after the direct distribution of Hollywood movies. This was trying to grasp how the Korean movie industry has met with the period of globalization with the inflow of monetary capital, how the systematic rationalism attained with the advance of the capital of a big company, and how the direct distribution changed the Korean traditional movie industry with classification of before and after the direct distribution from Hollywood movies. Especially, this thought of developmental ways and alternatives for the self-survival and the competition of domestic movie industry at the point of time of realization of invasion of foreign capital upon the domestic movie market. This thesis was composed as follows : It examines the structure of Korean movie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direct distribution of Hollywood movies with the center of the 5th and 6th revise of the movie law at the 2nd chapter. This analyzes the influence onKorean movie industry of the direct distribution of Hollywood movies, and this shows how this has contributed to the rationalization of Korean movie industry, examining the advance of a big company to the movie industry as the confrontation with the market opening at 3rd chapter.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that industrial system of Korean movies with the inflow of monetary capital to the Korean movie industry at the accelerated situation of globalization at 4th chapter. This presents the developmental ways with the problems of the Korean movie industry in transit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discussion at the 5th chapter. This thesis grasped and arranged the change of the Korean movie industry through this discussion as followed. The Korean movie industry before the 5th movie law was formed as the market structure in the center of foreign movies, due to the quota of foreign movies and the policy of enterprise. In this situation, the production of Korean movies existed as accompanying process for the gain of import quota of foreign movies, and producing capital was supplied by short-term fund of local distributors. This structure gave birth to the dispersed structure without organic connection in each part of production-distribution-screening without re-investment of performance capital to production. This situation met a big change to the 5th and 6th revise of the movie law and the movie market opening. On account of the movie law, the movie industry changed a license system into a registration system, and the monopolizing system formed in the center of existing 20 movie companies by the increase of producing companies was broken and changed into the competitive system. The 6th revise of the movie law made the advance of the direct distribution company from Hollywood to the movie market in Korea legal. The company of direct distribution such as UIP attempted the direct distribution to theaters, and local promoters disappeared. The company of direct distribution escaped from the screening way of a first-run movie theater-a second -run movie theater in order, supplied movies to a second-run movie theater. It made a first-run movie theater enlarged and the nation-wide opening possible at the same time. A big company had difficulty in ensuring a video program, owing to the advance of the direct distribution in Hollywood, and it advanced to the movie industry in form of the portion investment to Korean movie production by the necessity of soft ware. A big company attended the production of Korean movies in form of total amount investment after this, possessed proprietary rights, and started to have a self-distributing system. Especially, the capital of a big company was combined with new young man power of movies on Choong-moo-ro and made its effect large, and held a vertical unity system uniting production-distribution-screening. As a big company was coming out of the movie industry by IMF, monetary capital of the inauguration company was entering the movie industry. The inauguration company made a big company accelerate all the more the role portion of production and investment-distribution. The inauguration company made the preparingnegligence of producing step and the irrational custom disappear by the thorough control of risk. It contributed to build the rational producing system through the thorough control of producing process. With this change, the organic circular structure of capital re-invested for the performance income to the production was established by the distribution company's distributing directly movies to movie theaters with the appearance of major distribution company. The change of the Korean movie industry like this means that Korean movies were developed as the truly meaning industry. But this doesn't ensure the good future of Korean movies. There are still some movies that don't catch a first-run movie theater or put down movie signs within a week by the reason without performance possibility at the shadow in 40% of occupied rate of the Korean movie market. In this point, the policy is needed to reinforce the cultural side of movies, leaving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movies to the self-control at the marke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ovies. The exclusive theater of Korean movies will be an alternative screening independent movies, low budget movies, artistic movies securely with a work. And the long-term alternative more than the short-term one constructing cultural infra is required. For this, the system to raise professionals leading the movie industry is needed, and the social basic composition to enlarge a cultural enjoyment for improving the cultural standard of the public, and the enlarging construction of the regional movie commission to support the movie industry will be needed.

      • 공포인자의 특징에 따른 한국 공포영화의 분류 및 흥행과의 연관성 연구

        이은의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한국영화의 눈부신 성장과 일본 공포영화의 잇따른 헐리웃 진출을 바라보면서 1998년 이후 꾸준히 제작·개봉했던 한국의 공포영화의 산업적 가치나 가능성을 검증하고 독려코자 하는 바램을 가지고, 한국 공포영화의 유형이나 개봉시기가 영화의 흥행 즉, 상업적 성공과 연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검증함으로써 공포 영화의 상품적 가치나 특성을 연구하는데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한국 공포영화는 1998년 〈여고괴담〉 이후 부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고괴담〉이 공포영화 부활의 Turning Point로 지목되는 이유는, 〈여고괴담〉라는 영화의 작품적 가치나 명맥이 끊어졌던 공포영화의 재등장이라는 점 때문이 아니라 〈여고괴담〉의 흥행성공이 한국 공포영화의 상업적 가능성을 일깨워 줌으로써 이후 다른 공포영화들이 제작되고 관객과 조우할 기회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렇듯 상업 영화는, 예술적 가치 뿐만이 아니라 상품으로써의 가치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1998년 이후의 공포영화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둘째, 이런 공포영화의 분류는 영화의 흥행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흥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에서 공포영화를 기획하고 마케팅하는 전 과정에 있어서 합리적인 지침이 될 수 있고자 1998년 이후 개봉한 공포영화 들의 개념과 대상을 한정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후 그 유형을 '여고괴담 형', '살인의추억 형', '장화홍련 형'으로 나누었으며, 다음과 같이 세가지 가설을 세우고 서울관객 수를 기준으로 분석을 하였다. 첫째, 괴물 특성에 따른 영화의 분류가 영화 흥행과 연과성이 있다. 둘째, 1998년 이후 개봉한 한국의 공포영화는 '원귀'를 괴물로 하는 여고괴담형 공포영화의 흥행성공 확률이 높다. 셋째, 영화의 흥행은 개봉시기의 영향을 받으며, 5월~9월까지의 여름에 개봉하는 것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한국에서는 영화 유형이 영화흥행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데, 원귀가 등장하는 여름 개봉작이 흥행에 성공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아직 분석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기존에 떠돌던 '충무로 속설'을 학문적으로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2007년 개봉을 기다리는 한국 공포영화는 케이블TV 방영과 극장 개봉을 동시에 노리는 영화들을 포함해 어림잡아 7~8편이나 된다. 소재나 마케팅, 개봉시기는 각각 조금씩 다르지만, 이렇게 점차 그 산업적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한국 공포영화들이 질적으로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체계적인 후속 연구들이 요구되는 때이다. The research started as seeing that lately, Korean movies have been dramatically popularized and keeping an eye on that Japanese horror movie have continuously succeeded in Hollywood.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valuation and picture of the future of Korean horror movies through industrial approaches. it analysis and verifies if there is a link between the run of the horror movie and its type or when to release. In this situation, Korean horror movies also had been actively produced since 1998, releasing 〈Whispering Corridors〉. The reason why it is pointed out with "Turning Point" of Korean horror movie resurrection is not only because of the comeback since long disappearance of horror movie but because of commercial success. It realized the hope for success and the possibility for earning mone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e matter for discussion as following. Firstly, how are Korean horror movies produced since 1998 classified? Secondly, this grouping has serious implication for the run? What make the run of Korean horror movie better? From like that side, this study would like to be a reasonable guide from the pre-production to the marketing for Korean horror movi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analytical object, through the designation and limitation before, groups into 3 parts, "Goast in the real world","Homicide in the real world", and "Mystery based on the surreal world" and investigates following the constructions based on Seoul spectator measurement. Firstly, there is a link between the grouping and the run. Secondly, Korean audience prefer the horror movie of "Goast in the real world". Lastly the run of the horror movie receives a effect of the seas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se three constructions are demonstrated! There is a limit to verification much more positively due to not enough data. However it has meaning to prove the Chungmuro common talk and to approach academically. Additionally I hope that this study stresses that a more systematic research is necessary.

      • 한국영화의 흥행변수별 트렌드분석 연구 : 2000년대 전반기 흥행작품을 중심으로

        이상모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industrial mechanism and determining factors of the successful box-office sales of Korean films with a view to how the success of the films has been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production and promotion throughout its dramatic transformation in 2000's. The study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and data about the success mechanism and profit structure of major trends in Korean films by discussing and analyzing a range of topics from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ntertainment films in early 2000’s to the developmental trends of major success factors that can be identified from representative box-office hits. Estimation statistic analysis model was used as the basic methodological approach in this study. Particularly, the "An Analytical Study Model for the Success Expectation of Cinema Movies" proposed by Barry Litman (1983) and correlation analysis model of success factors and interpretation variables by Justin Wyatt in his "High Concept"(1994) were used as the basis on which this study set forth its research directions and analytical ground with reference to the literature relating to the success factors of the film industry and statistical data from movie yearbooks. In addition, newspaper articles and internet data about box-office hits were also used. This paper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as follows: Chapter 1, Introduction, describes research goals and methods used. Chapter 2 analyzes changing trends based on the analysis of historical data about 50 top-10 box-office hits and the movies that had sold over one million tickets for the first five years of the 2000's, and identifies major trends of success in recent Korean films. The codes of success of the films were built from annual best hit films, directors, actors and trends of genre by year and analysis of subjects of the successful films as a variable is described in a separate section in detail to provide annual overview of production trends and success by subjects. Chapter 3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overall sample index representing success facto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of sample index analysis, identifies the success criteria of Korean films and suggests a success cycle of hit films appearing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is chapter also looks into the sub-market of domestic movie industry to diagnose its current slackness and to identify industrial problems in the annexed copyright market and proposes a way to build a stable, secondary structure of reproduction for movie industry as an alternative system that can be utilized as a stable recoup system for the film promotion system. Chapter 4, the conclusion, provides general summing-up of this study and its justification as well as limitation. In short, this study raises the awareness of the major success trends of the film industry and provides strategic know-how about box-office profit generation in the perspective of risk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ontext and trends of the most recent productions that are monumental in the history of movie production in the country. This paper, produced when there have been no previous systematic studies on the success variables of Korean movies in 21C, sh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will provide a bird's eye view of the success codes in view of movie marketing as well as a reference in view of the recent history of promotional movies.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국내 영화산업의 변천사에 있어서 한국영화가 어떤 형태의 흥행 트렌드와 제작경향에 따라 흥행을 좌우하는지에 대한 흥행의 산업적 메커니즘과 흥행결정인자(변수)를 검토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범위는 2000년대 전반기 국내 흥행영화의 유형과 특징에서 대표적인 흥행작품을 통해 시대적 흥행변수의 발전추이와 경향에 이르기까지 연구분석해 봄으로써 한국영화의 주요 트렌드에 대한 흥행메커니즘과 수익구조에 관한 개요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방법론적 접근방식은 기본적으로 추정통계분석 모델을 적용한 가운데, 특히 배리 리트먼(Litman)의 ‘극장영화의 성공예측 분석연구 모델’(1983)방법론과 저스틴 와이어트(Justin Wyatt)가 <하이컨셉>(1994)론에서 제시한 흥행요인에 관한 해석변수와의 상관성분석모델을 토대로 주로 영화산업의 흥행변수와 관련된 전문서적과 영화연감의 통계데이터를 참조하여 연구방향과 분석근거를 마련했으며, 각 시대별 주요 흥행작품에 대한 신문기사와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이 연구논문의 구성은 4개의 장으로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목적 및 연구의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제2장은 우리나라 영화산업에 있어서 2000년대 전반기 5년간에 걸친 흥행TOP10순위 50여편과 관객동원수 100만명이상 작품의 데이터분석을 토대로 흥행변수별 변화추이를 분석한 다음, 최근 한국영화의 주요 흥행트렌드를 살펴본다. 특히 각 연도별로 한국영화계의 흥행베스트작과 감독, 배우, 장르적 경향 등을 중심으로 흥행코드를 분석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흥행영화의 소재변수에 관한 분석을 별도의 절로 세분하여 연도별 제작경향과 소재변수에 따른 흥행추이를 살펴보고 있다. 제3장에서는 흥행변수에 관한 개괄적인 전체표본지표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는 한편, 표본지표분석 결과로 본 한국영화의 흥행성공조건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분석기간 중에 나타난 대표작들의 흥행주기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국내 영화산업 부가시장의 침체현황을 진단하고 부가판권시장의 산업적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영화산업의 안정적인 2차적 재생산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흥행시스템의 안정적인 리쿠프시스템으로서 활용해야할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제4장의 맺음말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전체적인 요약 및 연구 타당성, 그리고 한계점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요컨대 본 논문에서는 흥행산업의 변천사를 장식했던 흥행영화의 대표작에 대한 텍스트분석과 변화추이를 통해 가장 최근의 제작경향을 살펴봄으로써 영화산업의 주요 흥행트렌드에 대한 인식재고를 도모하는 한편, 향후 흥행수익 창출에 대한 리스크매니지먼트 차원의 전략적 노하우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직까지 최근 21세기 한국영화의 흥행변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논문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작성된 이 연구논문은 영화마케팅차원의 흥행코드에 대한 조감도의 역할과 동시에, 흥행영화사적 관점의 개괄적인 연구사료로서 가치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두고 있다.

      • 90年代 韓國映畵의 女性再現에 關한 硏究

        韓京仙 中央大學校 藝術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지위의 향상과 더불어 페미니즘 이론의 대두와 발전에 힘입어 90년대의 영화에서 여성재현의 변화가 감지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의 한국영화에 재현되는 여성 이미지와 여성의 역할은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유교 중심적인 남성 이데올로기에 의해 영향을 받고 적용되어 왔다. 사회적 구조 속에 영화의 영향력은 대중들의 정신적인 사상을 형성하고 실생활을 살아가는 하나의 방식을 형성하는 제도로써 기능해왔다. 90년대의 한국은 극단적인 산업화와 도시화라는 발전적인 요소와 IMF라는 최악의 상황을 동시에 경험한, 대중들에게는 치명적인 상처를 지닌 시기로 인식된다. 하지만 대중문화의 연속체 속에 존재하는 요소들이 대중을 선도하고 위안하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영화 역시 사회적 위치를 상실하지 않고 유지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영화 내에 여성이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할 것이다. 학문적으로도 탈식민주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이데올로기의 변화를 유도하는 가운데 여성 역시 피지배적 분위기와 사상을 탈피할 수 있는 여건과 바탕을 마련하는데 여성 이미지의 재현의 발전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사회는 봉건사회가 해체된 이후 근대사회가 형성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관심도와 시각이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했다. 여성의 위치가 공적영역이라고 불리는 사회 속에 자리하게 되고 직업을 소유하며 경제적으로 자립함에 따라 지위향상과 남녀간의 관계의 발전이 도모되었다. 영화가 허구적인 소재를 다룬 시각 표현물이지만 현실을 토대하지 않고서는 적용되거나 형성될 수는 없기에 영화 내의 여성의 이미지 또한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속의 여성의 모습은 현재에 이르기 까지 역사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어 왔는가가 본고의 논점의 중심이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이미지 형성에 있어 질적으로 파격적인 변화를 경험한다. 90년대 이전 시기의 영화들에서 보여주던 전형적인 여성상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여성을 재현하는 시도를 보여주게 된 것이다. 한국에 영화가 제작되기 시작한 초창기부터 여성은 시각적 재현물의 중심이 되어왔다. 한국사회는 여성을 남성의 전유물로 여겼고 타자화(他者化)하는데 가부장적 지배 이데올로기로 무장한 유교사상을 중심으로 여성을 억압해왔다. 이러한 사상들이 영화에 그대로 전이되어 여성의 이미지 역시 피지배적이고 수동적이며 억압된 모습으로 재현되어 왔다고할 수 있다. 산업화를 시작으로 경제적 부흥을 경험하는 시기인 60년대에는 여성의 산업의 역군으로 모습한 남성의 보조적인 역할이나 값싼 노동력을 제공하는 단순직의 여성으로 제시된다. 79-80년대에는 독재정부의 엄격한 검열 속에서 역립적인 이미지로 자신의 육체를 상품화하여 성을 매개로 생활하는 매매춘 여성의 모습이나 불륜의 관계 속에 자리한 여성을 재현하였다. 여성을 시각화하는 카메라는 남성적 성향을 담지하고 있으면서 관객의 대상을 남성으로 규정하여 여성의 육체를 상품화. 물신화하고 관음적인 시선으로 여성을 재현했다. 영화 내의 서사는 여성이 성적 이미지로 재현됨과 동시에 이미 없어지고 단순한 하나의 ‘볼거리’로써의 기능만을 형성한다. 여성관객의 입장과 존재는 무시당하고 남성의 전유물로 영화가 자리잡게 되어 남성 연출자와 남성 촬영감독 눈으로 보여지는 여성의 모습을 강요당했다. 90년대의 사회적, 정치적 변화가 여성의 모습을 어느정도 변화하기에 이른다. 특히 90년대에는 여성 감독과 여성 촬영감독의 등장으로 영화계에서도 여성의 역할이 증대되고 여성영화제의 개최와 여성의 법적 지위 향상에 따른 변화의 가능성이 부분적으로 모색되었다. 이데올로기에 의하여 사회적 분위기가 만들어낸 고착화된 여성의 이미지가 영화 내에서 남성 지배사상을 거부하며 주체적인 모습으로 재현되기 시작한 시기도 90년대로 볼 수 있다. 이전 시기에 여성이 체감하지 못했던 경제적 지위향상도 여성을 사회적 직업여성으로 표현하는데 무리가 없으며 결혼제도 속에서 주부로 자리잡았던 여성을 사회로 이끌어내는데 영화 속 인물 재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끊임없이 여성다움을 강요받아온 한국에서의 여성은 영화 속에서 더이상 여성적이지도 순종적이지도 않다. 오히려 남성을 장악하거나 남성에 못지않은 경제력과 자립심을 지니고 있다. 성적 욕망은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왔던 고전적이고 정형적인 형식에서 탈피하여 여성 스스로가 성적 욕망을 드러내며 소유한다. 주체적인 모습으로 재현된 여성이 종족번식의 기능을 지닌 생명을 재생산하는 운명을 벗어나 자아를 찾는 작업을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모한다. 하지만 완전한 여성의 독립적인 이미지 재현에는 무리수가 있으며 여전히 잔존하는 가부장 이데올로기와 남성의 관음적 시선에 따른 여성의 육체 상품화는 없어지지는 않았다. 많은 부분 변화가 있으나 서사상의 결말부에 이르러 여성의 무력함이나 제도적인 안주-행복한 결혼에 여성을 감금함으로써 완전한 해방된 여성 이미지의 재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여성 스스로가 주체적인 입장을 감안하고 인식하여 기존의 영화 속에 남성 중심의 성차별 이데올로기에 의해 형성된 왜곡되어버린 여성의 이미지들을 변화시킬 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영화 속 여성 이미지 재현에 있어 남성위주의 성차별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여성의 입장에서 여성의 문제를 다루는 진정한 의미의 여성영화, 여성 이미지의 재현이 속출하여 대중매체 뿐 아니라 사회전반에 걸쳐 여성주의의 실현을 선도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본고에서 기술한 영화 속 여성 인물의 이미지 재현에 보여준 새로운 가능성을 토대로 한국영화 속에 한계를 극복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여성의 이미지의 보다 쇄신된 변화를 모색해 나가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영화 제작자본의 투자 활성화 정책에 대한 연구 : 대기업 영화제작자본의 투자모델을 중심으로

        남지원 東國大學校 文化藝術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영화는 독특한 영상상품이다. 여타의 영상상품보다도 가장 높은 불확실성(uncertainty)을 내재하고 있는 영화상품은 그 불확실성으로 인한 투자가 역설적인 수익을 보장하기도 하고, 혹은 그만큼의 거대손실을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영화라는 영상상품은 여타의 연관산업으로의 연계효과(synergy effect)가 높아 그 불확실성의 잠재적 가치를 배가시키는 독특한 성격을 내재한다. 영상상품의 불확실성을 가장 많이 잠재하고 있는 영화상품은 그러한 전제적 조건 때문에 다른 여타의 영상상품보다도 외부성(extemalities)이 극도로 발생하는 문화상품이며, 결국 높은 위험에 높은 수익, 낮은 위험에 낮은 수익(High Risk - High Return Low Risk - Low Return)이라는 절대적인 모델링을 매번 반복하는 산업구조를 보인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시장의 시장실패가 결국 영화산업에 진입하는 제작자본의 영세성과 비지속성에서 비롯된다고 전제하며, 한국영화제작의 활성화를 위한 제작자본의 투자활성화 모델의 제시가 정부정책과 연계되어 보다 적극적인 한국영화의 대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본 연구의 1차적 목적은 한국영화제작의 활성화를 위한 저작자본의 투자활성화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2차적 목적은 국내영화 제작자본의 투자활성화를 위하여 기존 투자사례의 구조적 문제점과 행위차원의 모순점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에 의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현재 국내 영화시장을 분석해 볼 때 영화제작자본의 반복적인 영세성은 영화산업 전체의 어떤 구조적 메커니즘에 의해 지속적으로 반복되고 있는가? 또한 그러한 구조적 메커니즘은 내부 행위자들내에 어떠한 구조를 역으로 양산시키고 있는가? 연주문제 2 현재 국내 영화산업에 투자되는 대기업자본의 투자모델이 기존 충무로자본의 투자모델과 어떠한 구조적 연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연계시스템이 국내 영화산업에 어떠한 투자 메커니즘을 지속적으로 양산시키는가? 연구문제 3 국내 영화산업에 대한 대기업의 투자모델이 시장실패를 발생하지 않고, 지속적인 양성투자자본으로 순환할 수 있는 정부정책적 모델링은 어떠한 메커니즘을 전제해야 하는가? 본 연구는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영화 제작담당 실무자들과의 직접 인터뷰를 통해 1차자료를 확보하며, 대기업 및 영화관련기관, 그리고 기존 영화산업 연구들의 2차자료를 수집, 활용하였다. 특히 주된 분석방법으로는 산업조직론을 설정하였는데, 이러한 산업조직론은 영화산업론과 영화경제학적 측면에서 매체경제학에 접근하기 위한 하나의 중간매개적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97년이후의 IMF시대는 한국 영화산업으로는 하나의 기회이다. 고환율로 인해 외화수입량이 급감하고, 국내여유자본이 한국영화 제작시장으로 흘러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의 거품시장이 제자리를 찾아가며 A급영화의 제작 투자가능성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대기업과 투자전문회사를 중심으로 한 국내영화산업 투자자본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상황적 조건내에서 그러한 투자행위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체계적인 시장정책과 시장개입 및 관리가 절실하다고 조사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인 한국영화 제작자본의 투자 활성화 전략은 다음과 같다. 영화제작사는 영화제작에 따른 위험을 투자자들에게 이전시키거나 분산시키고 싶어한다. 즉 위험회피적인 태도(risk averser)를 취하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에 영화자본 투자자들(대기업, 창투회사 등)은 고수익률(또는 판권)을 노리며 기꺼이 영화제작사의 리스크를 떠맡으려는 태도(risk lover)를 취한다. 따라서 영화제작사와 영화투자자들간에 계약이 성립하였다는 것은 리스크 분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계약은 영화제작 전에 미리 행해진다. 그렇다면 영화제작자본 분야에서는 이와같이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하는 위험분담 행위를 제도화하는 정책이 절대적으로 바람직하다. 영화제작자는 새영화에 대한 아이디어(영화기획안, 파일럿 프로그램)를 미리 투자자들에게 일정가격에 판매한다는 계약을 체결한다. 계약은 영화가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체결되지만, 판권의 양도 시점은 영화가 제작된 직후 개봉되기 직전이다. 이러한 계약을 통상적으로 선도계약(forward contract)이라고 한다. 선도계약이란 계약 체결후 일정기간이 지나서 그 계약조건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즉, 계약일에 가격을 미리 정해주고 실제의 수도결제(受渡決濟)는 일정기간 경과 후에 행해지는 계약이다. 이러한 선도계약은 미래의 수도결제시에 적용될 가격을 미리 정하므로 생산자의 입장에서 보면, 미래의 불확실성으로부터 오는 위험을 미리 피할 수 있게 해준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그 계약 자체도 매우 단순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와같은 선도계약의 필요성이 기존 고려되어 진행되고 있는 사례도 있으나 결과적으로 미미하고, 장단점이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선도계약의 제도화'를 추진해야 한다. 첫째, 선물거래(future contract)와 같이 조직화된 거래소를 설립하는 것이다. 이 거래소는 회원들로 구성된 비영리 단체여야 한다. 따라서 거래소의 설립주체는 영화 진흥공사와 같은 단체가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계약을 표준화해야 한다. 거래소는 영화상품의 특성에 알맞게 표준화된 계약을 확립해서 일반화시켜야 한다. 셋째, 이러한 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거래소는 선물 거래소와 같이 청산기관(clearing house)을 운영해야 한다. 영화제작자는 이러한 계약을 통해 영화의 흥행여부와는 무관하게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 영화자본 확대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와같은 대안의 부작용과 경제적 외부성을 관리하기위한 중간관리정책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거래소의 청산기관이 선지급해주는 방법(투자자들이 계약시점에서 청산기관에 투자액을 맡기는 경우와 그렇지 않고 청산기관의 자체운영기금으로 사용하고 나중에 회수하는 경우로 나뉠 수 있음), 거래소에서 체결된 계약서를 담보로 하여 은행에서 융자하는 방법 들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계약에 따른 권리와 의무확정 문제가 그리 단순하지는 않다는 점이다. 아직 우리나라의 영화유통과정은 선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화 마케팅 비용 분담, 수익배분 둥의 문제는 영화제작자와 배급업자 또는 극장주의 협상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따라서 매우 복잡한 계약관행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협상력에 따라 수익과 비용분담액이 달라지기도 한다. 영화에 대한 권리와 의무에 대한 명확한 책임설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만약 영화배급업자가 아닌 기업이나 일반투자자가 영화의 판권을 인수했다면, 이들이 손쉽게 시장에서 수익을 회수할 수 있는 유통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배급업자들에게 판매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해 보이지만 영화시장에 익숙하지 않은 투자자들의 경우 쉽지 않은 일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또다른 대행서비스업체가 필요할 수도 있게 되며 이는 불필요한 유통단계의 증가를 가져 올 수도 있다.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바로 이러한 미시적인 관리대안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라고 볼 수 있다. Film is unique motion-picture commodity. It included the highest uncertainty among motion- picture commodities. However an investment made in spite of high uncertainty may guarantee enormous profits and can also bring about much loss. Above all, as film has a great synergy effect on the related industries, its potential values can be extended with no limit. With this characteristics, films are cultural goods which may generate extreme, positive externalities. Thus, the industrial stucture of films has reproduced the model(High Risk - High Return, Low Risk - Low Return). This thesis assumes that the market failure of the Korean film market is resulted from the small-scale capital of production and inconsistent investment. For the developement of the Korean films, it is necessaty to present a new model of investment in production capital with the efficient governmental policies. The first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model of investment in production capital and the second one is to find out the contradictory problems between the investment structure and the investment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ubject 1 : In analyzing the Korean film market, in what structural mechanism is the small-scale capital of production repeated? Also, what structure is reversely produced by the performers? Subject 2 : How is the investment made by large enterprises related with the one made by pre-established chungmoo-ro capital? How has this relationship changed the investment mechanism for the Korean film industry? Subject 3 : To prevent the market failture of the film invested by large enterprises and to convert the investment into the consistent accumulation of production capital, what policy should be made by the government? To solve these problems, the researcher had interviews with the workers of film production.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conducted by the large enterprises and related institutions are refered as the second data. The analysis method applied for this study is the theory of Industrial Organization, which is used as the mediated method for the approach to the media economics in the aspect of the theory of film industry and film economics. The IMF system we are facing can be an opportunity for the film industry. Since the IMF, the import of overseas films is decreasing due to the rise of foreign currency and so more domestic capital can be invested in the Korean film market. Morever, the possibility of the production of A-rate film is reinforced as the bubble economy is disappearing. Therefore, for the activation of investment in film production, we desperately need the systematic market policy and the management of the market by the government. The strategy to activate the investment of production capital is as follows. The film producers, as risk averser, have the tendency to transfer the risk to the investor, while investors of film capital expect the high profits( or royalty) and are willing to take the risk of film production. So the consent between the film producers and the film investors can be made under this assumption. This kind of contract is mostly made before the production of film.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stitutionalize this behavior of risk division generated naturally. The film producers make contract with the investors at a certain price after presenting ideas(planning notes, pilot program) about a new film. The contract is made before the production, but the transfer time of royalty is after the production of film. So it is called "forward contract". When making forward contract, the producer has advantages because the transfer price is determined in advance and can evade the uncertainty. However the results of forward contracts are not powerful at all and there appear many defects. S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orward contract' is needed. First, the transaction organization like future contract must be established. This organisation should be non-profit or neutal one. Second, the contract must be standardized. The transaction organization must generalize the standard contract. Third, to guarantee activated contract, clearing house like future contract must be operated for fair deals. Thus, the film producers can guarantee the stable income regardless of the success of their films and make it for the accumulation of production capital. Furthermore, the manegement policy is required for the internalize the economic externalities and side effects. As, the flow process of the domestic films is not developed, the matters such as the share of marketing cost, the distribution of the profits are not simple as expected. Also there are very complicated contract behaviors and the profit vary depending on the negotiating ability. Though the enterprise and ordinary investor buy the film royalty, it is not easy to pioneer the distributing flows in the market. The best alternative is to sell the film royalty to the distributor. However, this method is not simple matter at all for the new investor. Otherwise, there 'can be unnecessary procedures of flows. So, the successful method to solve this problem must be sough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to present for the methods of managements more specifically.

      • 한국영화 성장기의 토대에 대한 연구 : 동란기 한국영화 제작을 중심으로

        정종화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그간의 연구에 있어서 소외되었던 동란기의 영화사적 가치를 읽어내어 한국영화사의 빈틈을 메우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실증적인 근거 자료를 통한 동란기 영화사의 충실한 복원을 시도하는 단초로 Ⅱ. 동란기의 한국영화, Ⅲ. 동란기 영화인의 활동, Ⅳ. 동란기의 영화 환경, 세 장으로 본문을 구성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영화총서』를 비롯한 기존 한국영화관련 자료집의 오류들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바탕으로 동란기에 제작된 한국영화의 면면을 살펴보았다. 그동안 동란기 영화제작 편수는 1950년 5편, 1951년 5편, 1952년 6편, 1953년 6편 등 총 22편으로 기록되었으나 본 논문에서는 1950년 4편, 1951년 7편, 1952년 8편, 1953년 7편 등 총 26편으로 고쳐 기록했다. 당시의 영화 제작 경향은 지역에서의 영화 제작 열기, ‘코리안 리얼리즘’의 시도, 방첩영화와 군사영화의 제작, 극영화와 기록영화의 양식 혼용 등으로 간추려질 수 있고, 특히 기술적으로는 16밀리 발성영화의 시대로 정리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동란기 한국영화의 제작 주체인 영화인들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영화인들의 종군 활동 중 특히 <정의의 진격> 2부작을 제작한 국방부 정훈국 촬영대를 주목하였고, 사람이 테크놀러지 그 자체였던 동란기의 영화 기술 전반을 짚어 보았다. 동란기는 한국영화사의 어느 때보다도 영화기술인의 활약이 전면에 드러나는 시기였다. 각 군과 기관에 소속된 한국영화 기술인들은 수공업적 기재와 시설에도 불구하고 제작 의지를 불태웠고 그들은 이후 한국영화 성장의 진정한 토대가 되었다. Ⅳ장에서는 영화 수입, 상영, 정책 등 동란기의 전반적인 영화 환경을 살펴보았다. 동란 3년간 170편이라는 외국영화가 수입되었고 영화 상영의 99%는 외국영화에 의존하였다. 30사 가까운 외화수입사의 활동은 본격적인 외화 수입 및 배급 체계가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막대한 외화 유출로 인해 상공부의 외국영화 수입 쿼터가 실시하게 된다. 피난지였던 대구 지역의 실제 상영 문화 분석을 통해서는 변사의 활동, 뉴스 영화의 역할, 전시 시민의 위안 행사, 관객을 모으기위한 다양한 영화 홍보 방식 등을 살펴보았다. 동란기는 영화 검열이 영화 정책의 전부인 시기였다. 본 논문에서는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1955년 정부 조직 개편까지 영화 검열을 담당한 기관은 공보처 영화과이며, 같은 기간 군사 관련 영화에 한해서는 국방부 보도과에도 검열권이 주어졌음을 새로이 밝혀내었다. 동란기의 영화 시책으로는 주간 흥행의 금지와 극장 최고 요금 제정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1954년 이후를 한국영화사의 ‘성장기’로 일컬으며 그 단초로 1954년3월 31일 국산영화 입장료 면세 조치와 1955년 1월 <춘향전>의 흥행 성공이 제시된다. 하지만 한국영화가 성장기로 진입하는 진정한 동력은 사람이었다. 성장기의 도래에는 동란기라는 전 역사가 있었고 그 중심에는 한국영화인의 영화 제작에 대한 끊이지 않은 의욕과 노력이 있었다. 특히 동란기를 거쳐 준비된 영화기술인들은 한국영화 산업의 디딤돌이 되었다. 동란기는 6.25 전쟁의 혼란 속에서도 한국영화 성장의 토대가 구축되고 한국영화 산업의 맹아들이 싹트는 귀중한 시기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ll up the gap of Korean film history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historical value of Korean films produced during Korean War that has been estranged from the relevant study of Korean films so far. The thesis is prepared with the clue of the faithful restoration of the Korean film history during Korean War through the actual ground materials in those days. The thesis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and chapter 2 of Korean films during Korean War, chapter 3 of movie men activities during Korean War and chapter 4 of the environments of the films during Korean War with the lead to restore Korean film history during Korean War through documentary fundamental materials, In chapter 2, the author of the thesis has considered the aspects of Korean films produced during Korean War on the basis of the work to correct and complement the errors of the material collections related with the existing Korean films including Korean Film Collections. Although number of Korean films produced during Korean War has been recorded to be total 22 films of five films in 1950, five films in 1951, six films in 1952, and six films in 1953, the author of the thesis has rewritten the record to be 26 films of four films in 1950, seven films in 1951, eight films in 1952, and seven films in 1953. Characteristic tendencies of Korean film during the period of Korean War can be summarized into district film production enthusiasm, trial of Korean realism, production of anti-espionage and military films, and mixing use of play films and documentary films and technically they can be summarized into the period of 16mm sound films. In chapter 3, the activities of movie men who were the main bodies of Korean films during Korean War have been considered. The author of the thesis has considered the camera team of the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Ministry of Defense that produced the two parts of Charge of Justice among the activities of Korean movie men and made a general study of film technologies of Korean movies with the consideration that the movie men were regarded as the technologies themselves in those days. It was the period of Korean War that the activities of Korean movie men were disclosed to the fore more than any other periods in Korean film history. Korean film technicians that belonged to the military organizations and governmental authorities practiced the will to produce quality films in spite of the handicraft manufacturing facilities and materials and they have been the real fundamentals of the growth of Korean films. In chapter 4, the general environments of film import, screening, and policies of Korean film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War have been considered. 170 films were imported during the three years of Korean War and 99% of the screening depended upon foreign films. The energetic activities of 30 odd foreign film import companies resulted in the real establishment of the import and distribution of foreign films. However, that brought enormous drain of foreign currency, which caused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to practice the import quarter system for the fil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actical showing culture of the films in Daegu, one of the main refuges in those days, the activities of silent-film narrators, roles of news films, comfort events of the citizens during the war time, and various kinds of public relation methods for the gathering of the audiences have been considered. The film censorship was the only one and all of the film related policy for the period of Korean War. The study of the thesis has disclosed that the authorized organization for the film censorship was the Movie Section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from 1948 when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to 1955 when the system of Korean government was reestablished and the Report Section of the Ministry of Defense was granted the censorship in case of military related films during the same period. Another characteristic policie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War were the prohibition of daytime playing and establishment of maximum admission fee. Generally, the period after 1954 has been called the Period of Growth. Thus, the tax exemption for Korean films on Mar. 31, 1954 and the success of the Love Story of Choonhyang could be the clues of the growth period of Korean films. However, it was the manpower that has advanced Korean films really into practical growth period. The period of Korean War was followed by the coming of growth period of Korean films and the continuous desire and efforts of Korean movie men to produce quality films centered on the situation. Especially, the movie men prepared throughout the period of Korean War have been the step stones of Korean film industry. In conclusion, the thesis can state that the period of Korean War was a valuable period during which the groundwork of Korean films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buds of Korean film industry was sprouted.

      • 영화산업보호정책에 관한 경제적 분석 : 스크린쿼터제를 중심으로

        김재범 중앙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스크린쿼터제란 극장주들이 연간 전체상영일수의 일정기간동안(146일) 한국영화를 상영해야만 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한국영화의 상영기회를 확보함으로써 영화산업의 발전을 꾀하자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스크린쿼터제는 일반수입쿼터제와는 달리 수입량을 직접적으로 제한하지는 않지만 한국영화의 상영을 의무화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수입물량을 제한하는데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보호무역적 산업정책은 영화산업의 근본적인 발전을 저해할뿐더러, 한미투자협정에서 문제되었듯이 스크린쿼터제를 유지하는데 따르는 한국경제의 기회비용은 매우 높다. 국제무역체제에 있어서 문화적 보호는 논쟁적인 이슈이다. 문화를 보호하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크게 반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크린쿼터제에 따른 찬,반 논쟁이 발생된 원인은 경제학적 측면에 따르는 보호정책은 진정한 의미의 해결책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헐리우드의 독과점적 폐해를 견제하기 위해서 스크린쿼터제가 존속되어야 한다던가 혹은 영화산업의 시장실패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크린쿼터제가 존속되어야 한다는 논리는 단순히 영화산업의 보호를 위하여 개발된 피상적인 논리일 뿐이다. 한국영화산업내의 이러한 문제점을 스크린쿼터제를 통해 치유하려는 정책은 문제점을 직접적으로 해결하기보다 시장내의 질서를 더욱 왜곡시키는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스크린쿼터제는 한미투자협정을 통한 경제위기상황을 극복하려는 차원에서 최대 걸림돌이 된 바 있다. 한미투자협정을 통하여 얻게될 한국경제의 실익과는 별도로 이 제도 자체가 한미투자협정을 가로막는 요인이 되었다는 사실은 전세계 가장 큰 영화시장인 미국에 있어서 한국영화산업의 커다란 손실이 아닐 수 없다. 한국영화산업의 보호무역적인 이미지가 미국시장 내에서 매우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기 때문이다. 영화인들이 주장하는 바와는 달리 최근 한국영화는 스크린쿼터제와 같은 정책적 보호를 통해 발전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오히려 1988년부터 시행된 수입쿼터제 폐지, 외국인 국내영화업 허용 등 개방정책을 통해 경쟁력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영화는 쿼터제와 같은 보호장치가 없이 발전할 수 있을 만큼 자생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현시점이야말로 쿼터제라는 보호막에서 벗어나 시장경제체제를 도입하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야할 시점으로 판단된다. 헐리우드의 성공요인 중 하나는 산업초기부터 시장을 개방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정책관련자들은 최근 한국영화의 성장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여 과거 수입쿼터제와 같은 정책적 오류를 범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국내여론의 높은 지지율로 인해 스크린쿼터제의 단기간의 폐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단계적 축소와 더불어 영화제작지원금 확대, 한국영화전용극장 개설 등 신축적인 운용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한국 범죄 영화의 폭력성 연구

        왕, 루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장르 영화 중 범죄 장르 영화는 이미 국제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한국 범죄영화는 약간의 침체기도 있었지만,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발전해 왔으며 1999년 이후에는 스크린을 사로잡는 주류 장르로 인정받게 되었다. 한국 범죄영화 장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범죄 장르를 다루는 감독에 관한 감독론이 주를 이룬다. 본 고는 한국 범죄영화에서 나타나는 폭력 미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폭력 미학은 오늘날 더 이상 새로운 단어가 아니다. 홍콩의 오우삼 감독, 미국의 쿠엔틴 타란티노, 일본의 기타노 다케시 뿐 아니라 한국의 많은 유명 감독의 영화에는 폭력 미학으로 묶을 수 있는 폭력 이미지가 자주 등장한다. 그 중 한국영화는 미국과 홍콩의 폭력 미학을 흡수해 예컨대 김기덕, 박찬욱, 봉준호 등의 작가들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미학을 발전시켰다. 특히 한국 범죄 영화에는 '복수, 구원, 자학'이라는 요소가 종종 등장하는데, 이는 대부분 폭력으로 승화되어 나타난다. 폭력 미학은 여전히 연구의 필요성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폭력 미학은 범죄영화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서도 폭력 미학의 자취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분 논문의 제 2장은 폭력에 대해 개괄적으로 연구하고, 제 3장은 한국 범죄영화의 장르적 특성을 연구할 것이다. 제 4장은 주로 장면 조정의 사운드, 색채, 공간, 그리고 캐릭터와 사회적 요소를 통해 폭력 미학이 한국 범죄영화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드러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제 5장은 장르별 폭력 미학을 다루는 연구로 한국 범죄영화는 다른 장르와의 융합을 통해 어떻게 폭력 미학이 제시되는지를 밝힌다. 폭력 미학이 예술 창작에 끼치는 영향은 주로 형식주의적인 부분에서 나타난다. 이는 영화적 표현의 발달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영화가 시각적 스펙터클과 상업성을 갖게 돕는다. 폭력 미학이 대중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관객을 심미적 주체로서 인정하는 데 있다. 한국 범죄영화의 발전이나 폭력 미학의 미래는 본래의 훌륭한 길을 바탕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며 끊임없이 혁신적으로 나아가고 있다.

      • HD디지털영화 활성화를 통한 한국예술영화 발전 가능성 연구 : 방송산업과 영화산업의 공조방안을 중심으로

        조한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영화산업의 르네상스 시기라 불리울 만큼 현재 한국영화는 전성기를 맞고 있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 보면 한국영화 위기설, 망령설, 거품론 등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상업주의식의 대박만을 쫓는 한탕주의 불록버스터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코미디와 같은 성공한 몇몇 장르만을 쫓아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아닌 편향된 작품만 제작되는 현상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곧 대작위주의 제작풍토를 버리고 다양한 장르의 영화가 제작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블록버스터 몇몇 작품에만 한국영화의 미래를 거는게 아니라, 다양한 예산규모의 영화와, 창이적이고 작품성 높은 대안영화에서도 한국영화의 희망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술영화라는 큰 틀안에서 저예산영화, 디지털장편영화, 독립영화, TV영화 등 비주류영화를 활성화 시킬때 한국영화산업은 균형적인 성장과 함께 장기간의 안정적인 풍요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새롭게 대두되는 대안으로 디지털 영화를 꼽을 수 있다. 21세기 화두 디지털은 영상산업에서도 엄청난 발전과 성장, 그리고 대중적인 보급을 가져왔다. 최근 국내에서도 6mm DV영화의 보급으로 <꽃섬><죽어도 좋아>등과 같은 평단과 세계영화제에서 동시에 호평을 받은 좋은 작품이 나왔었다. 그러나 6mm DV영화의 기술적인 한계인 화질문제가 높아진 관객의 눈높이를 맞추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이 컨텐츠의 발전을 앞서고 있는 21세기이고 보면 이런한 기술적인 문제점은 HD출현으로 이미 해결 됐다고 봐야 할 것이다. 아직 원활하게 HD작업을 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을 격고는 있지만 이는 새로운 작품에 도전하려는 의지만 있다면 곧 해결될 문제로 본다. 방송사의 HDTV를 시작으로 발전된 HD기술은 영화, CF, 뮤직비디오 등에서 필름을 대체할 기술로 보고 있고 해외에서는 이미 검증을 거치고 실용화 된 싱황이다. 현재 HD기술은 방송사가 많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만큼 영화계의 영화제작 능력과 방송사의 자본과 HD기술력이 결합될 수 있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겠다. 방송산업과 영화산업은 영상컨텐츠라는 공통 소재를 공유하고 있는 만큼 프랑스, 영국, 미국, 일본, 중국 등의 사례와 같이 영화와 방송의 공조정책을 연구하고 적극 추진해야할 것이다. 방송은 그 출생부터 상업적인 측면보다는 공익적인 측면이 더 강하고, 영화는 한 나라의 문화를 대변화는 얼굴로 국가가 적극 보호 육성해야할 분야이다. 이는 영화에 대한 방송쿼터제와 같은 장치를 통해 지켜나가야겠다. 방송사의 영화방영쿼터제 확대와 예술영화 방영쿼터제 추가가 필요하며, 방송사 년 매출의 일정 %를 영화제작에 투자하는 영화제작쿼터제 도입이 필요하다. HD영화 활성화를 위해 TV영화를 적극 도입해 비주류권 영화와 신인작가 등용문으로 활용한다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현재영진위에서 추진하고 있는 예술영화 전용관을 전국에 고른 분포로 확대해야 하며, 예술영화 전용관에 디지털영사기를 설치하거나 랜탈해 쓸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이상과 같이 예술영화의 활성화를 위해 HD시스템이 적극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방송사와 영화사의 적극적인 공조로 영화산업의 새로운 활력소를 찾을 뿐 아니라 비주류권 영화에 대한 투자와 제작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반 움직임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정책수립이 없이는 그 어떤것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다방면에서 이루어져야 겠다. 이러한 현실과제가 하나씩 이루어지고 문제점이 해결될 때 한국영화는 다양성이라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될 것이고 그 미래는 밝게 다가 올 것이다. Currently, the Korean film industry is in its a golden age which may be called a period of Renaissance. However, if we look deep inside, we cannot but be haunted by the arguments about 'crisis, dotage or bubble of the Korean films'. Such arguments seem to be attributable to extreme commercialism or pursuit of blockbusters. In other words, such successful genres as comedy are being promoted, while little efforts are being made to diversify the genres of film. Namely, the Korean film industry is obliged to depart from the blockbusters and instead, produce a variety of genres of film. The future of nation's films will depends not on several blockbusters but on creative or artistic films produced with various scales of budget. When such non-mainstream films as low-cost films, digital long-story films, independent films and TV films are actively produced within the framework of arts film, nation's film industry will grow in a balanced way only to enjoy a stable prosperity. A new but potential alternative may be the digital film. The topic of the 21st century or the digital has served to develop, grow and spread the films enormously. Recently, such 6mm DV films as "Flower Island" and "It's OK if I Die" are reputed in Korea and as well as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However, the problem of these 6mm DV films is the poor quality of screen, a main obstacle to attraction of the audience. In the 21st century, technology outruns contents, and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s may have been solved already with emergence of HD. Since the infrastructure has yet to be constructed, HD works may require high costs as well as technical solutions. But such problems may soon be solved if the producers are willing to challenge new works. The HD technology developed from the HDTV of the broadcasting companies is regarded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for films, CF and music videos. The technology has already been proven to be applied in foreign countries. Since broadcasting companies have much knowhow about the HD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capacity of the film industry with the HD technology and capital of the broadcasting companies. Since broadcasting industry has the same resources or image contents as the film industry, the two industries are required to cooperate positively with each other as in France,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Broadcasting is inherently more public than commercial, while films should be protected and promoted by the nation because they represent nation's culture. Therefore, films should be protected by such mechanisms as a broadcasting quarter system for films.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film broadcasting quarter system and add the arts films to the quarter system. In addition, broadcasting companies should be obliged to invest a certain percentage of their revenues in film production, which may be defined as a film production quarter system.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mote HD film production, TV film programs should be open to non-mainstream or new film producers. Moreover, the theaters dedicated to arts films, which is reviewed by the Film Promotion Committee, need to be built evenly throughout the nation, while digital projectors should be installed or rented for such theaters. All in all, the HD system should be introduced and used for activation of arts films. To this end, broadcasting companies and film productions should join hands to promote the film industry, while investing more in non-mainstream film production. Since such policy alternatives cannot be implemented without a political suppor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nto them in various ways. When such problems or challenges can be solved one by one, the Korean films would be promoted being diversified, and then, their future would be b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