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교육 방안 연구

        조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지시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필요성 그리고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지시어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지시어 ‘이/그/저’와 중국어 지시어 ‘这/那’에 대해 대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중 지시어의 사전 의미, 구성 체계, 기능, 사용 양상에 대한 대조분석을 통하여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지시어 ‘이’의 용법은 중국어 지시어 ‘这’와 같으며, 한국어 지시어 ‘그’와 ‘저’의 용법은 중국어 지시어 ‘那’가 모두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그/저’는 사용되는 상황 및 기능에 따라 용법이 다르지만, 중국어 ‘那’에는 이러한 한계가 없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3장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의 효과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할 때 반영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관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교재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부산대학교, 강남대학교의 교재였고, 2장에서 살펴본 한·중 지시어의 대조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중 지시어의 대조분석 결과와 한국어 교재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지시어 ‘이/그/저’를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지시어에 대한 이러한 교육 방안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지시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한·중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고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지시어 교육 방안 연구

        장만만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어와 중국어 지시어의 체계와 기능을 대조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이, 그, 저’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어의 지시어 ‘이, 그, 저’와 중국어의 ‘这, 那’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지시어 체계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지시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밝힌다. 또한, 한국과 중국을 통틀어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실린 지시어를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지시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시어는 언어의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로 한국어와 중국어에 다 있는 문법 표현이다. 지시어휘 수는 많지 않은데 사용 빈도는 매우 높다. 한·중 지시어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체계적 측면에서 봤을 때 중국어 지시어는 이원 체계, 한국어 지시어는 삼원 체계이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그, 저’의 사용이 어렵거나 헷갈릴 수 있다. 따라서 지시어에 대한 교육은 무척 중요하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살펴본다. 한국어 지시어 '이, 그, 저'와 중국어 지시어 '这, 那'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중 서로 대조하는 연구와 한국어 지시어 교육 방안의 연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장은 이론 배경이다. 지시어 '이, 그, 저'와 '这, 那'의 기본 체계 및 기능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대조 분석을 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사용되는 교재 중 지시어를 어떤 형식으로 어떤 기능을 기술했는지 살펴본 후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그, 저'가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는 빈도를 제시하여 '이, 그, 저'에 대한 기능별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3장의 한국어 교재 분석한 결과에 따라 각 교재의 장단점을 결합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맞는 교수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제5장은 결론이다. 앞에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고 요약하여 결론을 맺는다.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가 지시어를 더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의미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도 본 연구에서 미처 관찰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ducational method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indicative words ‘i, geu, jeo’ by comparing the system and function of Korean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First of all,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indicative words ‘i, geu, jeo’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zhe, na’ are analyzed. It reveals that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and using Korean indicative words due to differences in the Korean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system. By analyzing the indicative words in Korean textbooks that are actively used in Korea and China, a method of learning indicative word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was produced. The indicative word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language, and it is a grammar that exists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ere are few numbers of indicative words, but they are used very frequently.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Since Chinese has binary system of indicative words while Korean has three, Chinese learners may confuse the use of ‘geu’ and ‘jeo’ when using indicative words. Therefore, education of indicative words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In Chapter 1, the purpose, necessity of the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wer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directive ‘i, geu, jeo’ and the Chinese directive words ‘zhe, na’ were reviewed, and among them, studies on contrasting with each other and studies on Korean indicative words education methods were examined. Chapter 2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analyzing the basic systems and functions of the indicative words ‘i, geu, jeo’ and ‘zhe, na’ were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In Chapter 3 the necessity for functional education on ‘i, geu, jeo’ by examining the form of indicative word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alyzing the problems, and suggesting the frequency of ‘i, geu, jeo’ in Korean textbooks was examined. In Chapter 4, a teaching method suitable for Chinese learners by combin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xtbook which wer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Korean textbooks in Chapter 3 was proposed. Chapter 5 is the conclusion. The contents were organiz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 previous chapter contents. This paper is produced to help Chinese learners using the directive words better. There are also some imperfections in the thesis which need to be improved in the near future. 本研究旨在通过对比韩中指示代词的体系和机能, 探索针对中国韩语学习者关于韩语指示代词“이, 그, 저”的教育方案。为此, 首先通过分析韩语的指示代词 “이, 그, 저”和汉语的指示代词“这, 那”的共同点和差异点, 表明由于韩语和汉语的指示代词体系的差异, 中国韩语学习者在理解和使用韩语指示代词时容易出现错误。其次,通过选取部分韩语教材中的指示代词例句并进行分析, 提出以中国韩语学习者为对象的指示代词教育方案。 在语言体系中,指示代词是一个重要的语法类别,虽然数量不多,但在韩语和汉语中使用频率都比较高。韩中指示代词存在明显差异, 从其体系角度来看, 汉语指示代词是二元体系, 韩语指示代词是三元体系, 在使用指示代词时,中国学习者可能会受到母语的影响,混淆“그”和“저”的用法。因此, 如何以中国韩语学习者为对象,更好地进行韩语指示代词教学显得尤为重要。 本研究主要分为五个章节。第一章是引言,主要阐述了研究的目的与意义,研究的范围和方法。主要对韩语指示代词“이, 그, 저”和汉语指示代词"这, 那"的研究,指示代词相互对照的研究以及韩语指示代词教育方案的研究进行了探讨。 第二章是理论背景。考察了“이, 그, 저”和“这, 那”的基本体系和机能,并对二者的共同点和差异点进行了对比分析。 第三章是教材分析。主要通过梳理韩语教材中出现的指示代词,分析其出现形式及作用,进一步分析其中存在的问题,并统计了“이, 그, 저”在韩语教材中出现的频率, 阐明了韩语指示代词教学的必要性。 第四章根据第三章韩语教材的分析结果, 结合各教材的优缺点, 在教学中把中韩指示代词进行对比分析, 提出了适合中国学习者的教学方案。 第五章结论部分对全文内容进行总结后得出结论。 本文对于帮助中国韩语学习者更好地使用指示代词具有重要意义。在未来的研究中,我们也将补充本研究中未观察到的部分并继续完善。

      •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

        피키오니 클라우디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83

        본 연구는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지시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및 화용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두 언어의 지시어 체계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다수 의미론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에서 다루었는데 본고에서는 조금 더 넓은 시각으로 형태론적, 통사론적 관점도 포함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두 언어의 지시어를 대응하는 연구가 아직까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두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지시어 체계를 유형론적으로 어떤 위치를 갖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는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와 다르다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문의 새로운 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지를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Diessel(1999) 연구 바탕으로 세계 언어의 지시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 그, 저'와 ‘questo, quello’의 지시어 어간, 지시어의 굴절적인 성격, 지시 접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지시어 어간에 관하여 지시 대명사, 지시 한정사, 지시 부사를 살펴보았고 각 언어의 변이형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이, 그, 저’와 이탈리아어 ‘questo, quello’를 비교하였다. 이 장에서 지시어의 범주적 지위, 장소 화시어 그리고 정체 확인 지시어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 의미론적 관점에서 두 언어의 지시어의 화시적 속성과 질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언어의 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각 언어의 지시 한정사의 우측 첫 요소와 어떤 공기 결합을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 화용론적 관점에서 외부 참조와 문맥 참고를 지시어를 통해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현장 지시어, 문맥 지시어와 인지적 지시어를 다루었다. 제7장에서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aim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s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monstatrives of the two languages from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eanwhile this paper, in a slightly sense, includes also morphological and synctactic perspectives. Moreover there is yet no study that compare the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 systems, so this one would be helpful for learners of both languages. In chapter 1 have been presented the two languages systems from a broader typological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rast system presents in Korean demonstratives is different from that of Italian. Also, new point of view has been introduc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and was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ives ​​based on the study of Diessel(1999). Chapter 3 compares and analyzes the stem, the inflectional nature and clitics of Korean demonstratives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stem, pronouns, determiners and adverbs were examined, and were also examinated the variants of the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4 compares Korean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In this chapter were analized the categorical status of demonstratives, place deictics and and identifiers. Chapter 5, has been analized the deictic and qualitative features of demonstratives from the semantic perspective. Also, through the spoken corpus has been analized the words “co-occurence” with the determiner of each language. Chapter 6,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has been analized the exophoric, anaphoric, discourse deictic and recognitional use of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7 summarizes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Questa ricerca è volta ad analizzare le differenze e similitudini tra i dimostrativi coreani e italiani da un punto di vista linguistico tipologico. Lo scopo di questo studio è di comparare 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l punto di vista morfologico, sintattico, semantico e pragmatico. La maggior parte degli studi passati si sono focalizzati sull’aspetto semantico e pragmatico, questa ricerca vuole ampliare il campo coprendo anche gli aspetti morfologici e sintattici. Inoltre non essendoci ancora studi che comparino i dimostrativi coreani con quelli italiani, questo vuole presentarsi come un aiuto per coloro che apprendono le due lingue. Nel capitolo 1 sono stati presentati i sistemi de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 un vasto punto di vista tipologico. Inoltre è stato accennato al fatto che il sistema contrastivo presente nei dimostrativi coreani è diverso da quello italiano. E’ stato inoltre presentato il metodo di ricerca. Nel capitolo 2 sono state esaminate le caratteristiche dei dimostrativi in varie lingue, seguendo lo studio condotto da Diessel(1999). Nel capitolo 3, da un punto di vista morfologico, sono state comparate radici(stem), il carattere inflessivo e i clitici nelle due lingue. Per quanto riguarda le radici sono stati esaminati i pronomi, gli aggettivi dimostrativi e gli avverbi di luogo. Inoltre sono state prese in esame anche le varianti. Nel capitolo 4 sono stati comparati i dimostrativi coreani ‘이, 그, 저' e italiani 'questo, quello' da un punto di vista sintattico. In questo capitolo sono stati trattati gli status categoriali dei dimostrativi la deissi spaziale e gli identificativi. Nel capitolo 5 è sono state analizzate le caratteristiche deittiche e qualitative dei dimostrativi da un punto di vista semantico. Inoltre, tramite il corpus orale di ogni lingua è stata analizzata la ‘co-occorrenza’ semantica di parole con i dimostrativi. Nel capitolo 6 sono stati anallizati gli usi exoforici, anaforici, la deissi testuale e l’uso “recognitivo” dei dimostrativi. Nel capitolo 7 è stato riassunto il contenuto della ricerca.

      • 지시어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이효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35

        지시어는 담화 텍스트 차원에서 국어 생활 속의 의사소통과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 비해 학교 교육에서의 지시어 교육은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나타나는 지시어 사용의 오류 실태와 지시어의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시어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국어 생활에서 지시어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지시어 사용의 오류 실태를 살펴보고 그런 양상이 국어 생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러고 나서 지시어 오류 실태의 원인이 학교 교육과 연관이 있으며, 학교 교육에서 체계적인 지시어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국어 생활의 지시어의 오류도 줄어들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지시어의 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지시어의 교육 실태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교 교육에서의 지시어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시어 통합 교육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지시어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통 문법에서의 지시어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 국어 교육의 동향으로 텍스트 언어학적 측면에서 지시어를 고찰하여 지시어와 지시어 교육의 중요함에 대해서 밝혔다. 3장에서는 지시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국어 생활에서 지시어 사용 오류가 많이 발견되고 있음을 국어 교과서 속 텍스트를 분석하여 밝혔다. 4장에서는 3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에서의 지시어 교육의 부재가 그러한 오류들을 초래한다는 관점에서 지시어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되 보편적인 학교 교육 실태의 기본 자료로 적합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4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시어 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지시어 통합 교육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지시어는 담화 텍스트의 응집성과 통일성이 가시화된 결속 기제로서, 글말과 입말에서의 의사소통과 직결되기 때문에 국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문법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시어가 잘못 사용된 경우, 지시 대상의 부재 등 지시어를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그러한 오류의 원인은 학교 교육에서의 체계적인 지시어 교육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 현행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지시어에 대한 국어 지식적 측면의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읽기와 쓰기 영역의 통합 방법에 바탕을 둔 지시어 통합 교육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과서 속에 잘못 사용된 지시어의 수정 작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지시어의 국어 지식적 측면의 교육에서부터 출발하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지시어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그것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교수·학습에 반영하여 앞으로는 국어 생활에서 지시어 사용의 오류가 나타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해야 할 것이다. Demonstratives are essential in the use of Korean sinc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dimension of discourse text. However, compared with their significance, they are not importantly dealt with in school education. Thereup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n textbooks and the phenomena of their education in order to suggest methods of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ttle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nd help students use them appropriately in their Korean language life.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nd verify if such aspects are shown over their whole Korean language life. Next, it investigated the phenomena of demonstrative-educ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s associated with school education and if demonstratives are taught systematically at school,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will reduce in their Korean language life. To examine the phenomena of demonstrative-education, this thesis analyze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and Korean textbooks. Moreover, it suggested integrated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s a method to solve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t school. Chapter 2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 on demonstratives. It studied demonstratives in traditional grammar and look into them in the aspect of text linguistics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of Korean education to prove the importance of demonstratives and the education of them. In chapter 3, this study showed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s frequently found in the overall Korean language life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m through text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in chapter 3, chapter 4 investigated the phenomena of demonstrative-education in the aspect that the absence of teaching demonstratives at school has caused such incorrect use. Separating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this study analyzed the foundational data of general school education based on adequate curricula and textbooks. Grounded on the study result of chapter 4, chapter 5 suggested integrated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s a method to improve the current education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demonstratives are the visualized cohesive mechanism of cohesion and coherence in discourse text and are crucial syntactic elements in Korean language life sinc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either written or verbal communication. However, when demonstratives are incorrectly used, various errors are found in using them such as the absence of the demonstrative object. These errors come from the absence of systematic education of demonstratives in school education. Examining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and textbooks,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systematic education like teaching knowledge on Korean demonstratives has not been conducted. To improve this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integrated education for demonstratives based on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initiate correction of demonstratives wrongly used in textbooks. Furthermore, this article hopefully will be able to induce systematic education starting from teaching knowledge on Korean demonstratives. Also, it will be desirable to prevent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 in Korean language life afterwards as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monstratives properly and reflect how to use them correctly to teaching and learning.

      • 한·중 공간지시어의 의미론적 대조 연구 : - ‘앞, 뒤, 위, 아래’를 중심으로 -

        김윤옥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55

        人类和事物都存在于空间并受到空间和时间的制约。尤为空间指示语可以说是认知世界的一个重要导标,是其他概念或事物认知的基础。韩国语和汉语虽然系属不同,但是都用空间指示语来表达最基本的空间关系。空间域鲜明具体,人们根据自己的躯体即从自身与外界事物互相过程中获得的经验出发,去观察和理解客观的世界,而时间这一物质经历的形式比较抽象,难以把握。把空间感念映射到时间域就为人们把握时间概念提供了捷径。本文以韩中空间指示语‘前,后,上,下’为研究对象,运用对比描写语言学的方法,在对韩语两种语言空间指示语表达形式异同进行双向描写,对比的基础上,借鉴认知的观点对其异同进行解释。

      • 日韓兩言語における指示語の對照硏究

        강진문 立正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32254

        일본어와 한국어는 언어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공통점이 많다고 말해지는데, 지시어도 예외는 아니다. 똑같이 「근칭, 대칭, 원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점, 주체의 객체에 대한 관계 개념의 표현 방법과 지시 대상의 차이에 의한 범주의 표현 방법이 같은 점 등으로 보아 당연한 말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세부에 들어가면 여러 가지로 무시할 수 없는 차이점이 보이는데 대략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현장 지시에서, 청자가 없는 「자립형」과 촉각에 의지하는 「촉각형 」에서는 두 언어의 의미-기능이 일치하고 있지만, 「대립형」과 「일치형」에서는 큰 차이점이 보인다. 일본어에서는 대칭의 「ン系」외에 중칭의 「ソ系」가 있지만 한국어에서는 중칭의「그系」는 없다. ② 관념 지시에 있어서, 원칭의 「あ系」에는 종래의 지적과 달리 「이系」「그系」「저系」모두가 대응하고 있다. ③ 문맥 지시에 있어서, 「ソ系」에는 후행 문맥 지시의 기능이 없지만, 「그系」에는 후행 문맥 지시의 기능이 있다. 또, 지시어 복합형의 결합 어순이 정반대인 점도 큰 차이점이다. ④ 대용 지시에 있어서, 「ソ系」에는 선행 대용 지시 용법과 후행 대용 지시 용법이 있지만 「그系」에는 선행 대용 지시 용법 밖에 없다. ⑤ 지시어 유래의 접속에 있어서, 일본어가 한국어보다 그 생성 과정이 다양하다.

      • 한국어 학습자 학술보고서의 지시어 사용 양상 연구

        김여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1606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pattern of demonstratives used in academic reports by Korean learner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the academic reports of native student, and based on this, it seeks implications for Korean demonstratives in academic report genre writing.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ttend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and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has begun to be actively conducted for them. In particular, the need for writing education, which is important for academic purposes learners to take classes and perform assignments, was raised. However, research on the academic report genre frequently encountered by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s insufficient, and demonstratives frequently used in academic genre writing are not important grammar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usage patterns of demonstratives in academic reports of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focusing on the type of demonstratives, semantic functions, range, location, and direction of contextual reference, and academic report structure, and then derive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for Korean learners.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demonstratives were divided into the part of speech of ‘noun, pronoun, determiner, adverb, and predicate’ and the ‘i-’type or ‘geu-’type. The functions of demonstratives were divided into 3 types. Among these functions, textual reference frequently used in the written text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referent and the referring direction(forward, backward) and scop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usage pattern was similar, but in the usage pattern of native speakers, the use of textual demonstratives using as a cohesive device in writing was frequent, and even within the same sentence, the use of textual demostratives was active. In addition, more various types of demonstratives were used compared to the Korean language learner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usage pattern of Korean Language learner group, the use of demonstratives without textual functions such as adverbs that reveal the author's affective attitude or the use of ‘geureo-’ used as negative evaluations was relatively common, and the use of abbreviated forms frequently used in oral speaking such as ‘ireol-’. This use did not appear in the native speaker group, but unlike the native speaker group recognized that the use of these demonstratives was not appropriate for writing academic reports,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Korean language learner group lacked awareness of this point. After examining the usage patterns, the errors in the use of demonstratives by Korean learner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error analysis, Korean learners who have difficulty using demonstratives in academic report tend to not use the most important textual reference in writing properly, and are not familiar with the form of demonstratives in writing with strong genre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reports, or use them without clearly considering what they want to referenc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cultivating the functional recognition of the demonstratives in consideration of explicit instruction of semantic function of demonstratives and creating learners' meta-awareness of the semantic function of demonstrativ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analyze and examine grammatical items called demonstrativ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type, semantic functions, academic report structure and error analysi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rough comparison with the use of native Korean speak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demonstratives in academic reports of the Korean learner group were more clearly captured,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sought based on this.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보고서에서 나타나는 지시어의 사용 양상을 모어 화자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지시어 교육의 시사점을 모색한 연구이다. 2000년대부터 국내 고등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수는 꾸준히 증가해왔고, 이들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특히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수업 수강, 과제 등 학업 수행에 중요한 쓰기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학문 목적 학습자들이 자주 접하게 되는 학술보고서 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학문 목적 글쓰기의 응결장치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지시어 역시 한국어교육에서 교육대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문법 항목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의 학술보고서에 나타나는 지시어 사용 양상을 지시어의 종류, 의미기능, 기호적 지시의 범위·위치 및 지시 방향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고에서는 지시어의 품사를 ‘명사’, ‘대명사’, ‘관형사’, ‘부사’, ‘용언’으로 나누고 지시어의 의미기능을 ‘실재적 지시’, ‘기호적 지시’, ‘상념적 지시’로 나누었다. 그런 후 ‘기호적 지시’를 다시 ‘지시대상의 위치·범위 및 지시 방향’에 따라 구분하였다. 이렇게 설정한 기준에 따라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가 산출한 학술보고서에 나타난 지시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사용 양상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한국어 학습자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모어 화자의 사용에서는 글의 응결장치로서 지시어를 사용하는 기호적 지시의 사용이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같은 문장 안에서도 전술 언급된 대상을 지시하는 문장 안 선행 지시를 자주 사용하는 등 기호적 지시를 활발하게 사용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또 한국어 학습자 집단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지시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반면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사용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필자의 정의적 태도를 드러내는 부사어나 부정적 평가로 사용된 ‘그렇-’의 활용형 등 지시기능이 없는 지시어 사용이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용언의 활용형 중 ‘이럴-’과 같이 문어체가 아닌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축약된 형태로의 사용이 나타났다. 모어 화자 집단은 이러한 지시어의 사용이 학술보고서 쓰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시어 종류별, 의미기능별, 기호적 지시의 범위·위치 및 지시 방향별 사용 양상을 살핀 후에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사용에 나타난 오류를 살펴보았다. 오류 분석 결과, 학술보고서 쓰기의 지시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기호적 지시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학술보고서와 같이 장르적 특성이 강한 글쓰기에서 지시어가 사용되는 형태에 대해 익숙하지 못하거나, 지시어를 사용하여 지시하고자 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적시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사용 양상 분석과 오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지시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 방안을 지시어의 의미기능에 대한 명시적 교수 차원과 학습자의 메타인식 조성의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보고서에서 나타나는 지시어 사용의 특성을 보다 명확하게 살펴보았다는 점과 학술보고서에 나타난 지시어의 사용 양상을 종류, 의미기능, 기호적 지시의 방향과 범위 그리고 오류 양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지시어 교육 내용 연구

        왕학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160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지시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기인하여, 중국어 지시어 체계의 대조언어학적 연구, 한국어 지시어 사용의 오류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지시어 교육 내용과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Ⅱ장에서 지시어와 관련된 개념들을 정리하고 지시어의 교육 내용을 위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1절에서 한국어 지시어의 분류와 지시어의 기능을 정리하기 위해 국어학계에서 이루어진 대표적인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2절에서 화시적 지시, 문맥적 지시, 상념적 지시 분류에 따라 3절에서 한국어 지시어의 체계적인 교육 방법을 마련하기 위하여 한 ·중 지시어의에 대한 대조분석을 통해 두 언어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4절에서는 한국 국내와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살펴는데 지시어 교육을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각 교재에서 화시적 지시나 문맥적 지시만 포함되어 있고 상념적 지시를 다루지 않고 있다. Ⅲ장에서 모국어화자의 지시어 사용 양상을 대조해서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하였다. ‘문법 판단 테스트’ ‘교육 실태 조사’ ‘ 사후 인터뷰’를 통해 학습자들이 지시어를 공부하는 과정와 사용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을 존재하는지, 알아보았다. 시험 대상자는 중국인 학습자 50명, 그리고 한국인 모어 화자 30명을 이루어졌다. 1절에서는 학습자 집단을 중급과 고급 학습자로 나누어서 화시적 지시, 문맥적 지시, 상념적 지시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이 지시어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취약한지, 어떤 부분을 잘못 파악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2절에서는 1절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지시어를 사용할 때 나타난 오류와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오류의 원인은 크게 ‘모국어의 영향’, ‘목표어 복잡성의 영향’ 및 ‘교육과정의 영향’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Ⅳ장에서는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시어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1절에서 민현식(2008)의 교육 목표에 따라 학습자의 단계별로 이해차원과 사용차원을 나누어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2절에서 학습자의 레벨에 따라 지시어의 기능에 관한 교육 내용과 맥락을 활용한 지시어 교육 내용을 설정하였다. 그 다음에 상황별 교육, 단계별 교육과 통합적 교육 방법을 어떻게 지시어 교육에 적용하는지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향식 교육’과 ‘하향식 교육’의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