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IO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오문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양 한국어 수업에서 문학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SIO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의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학습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연구 방법을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현황과 교양 한국어의 현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으며, 문학을 통한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문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델로 SIOP 모델(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Model)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SIOP 모델이 한국어문학교육에 더욱 적합하게 활용되도록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PPP 모형을 기반으로 수정, 보완함으로써 재구성하여 SIO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모델과 차시별 모형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문학교육에서 활용할 문학 작품으로 김유정의 「동백꽃」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작품 선정 기준을 제안하여 한국어문학교육에서의 활용 가치와 특징들을 정리함으로써 적합성을 서술하였다. 또한 「동백꽃」을 교수-학습 목적에 맞추어 대체, 생략, 각주의 방법으로 재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2장에서 제시한 SIO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모델과 그에 따른 차시별 모형을 「동백꽃」을 통하여 수업의 차시와 단계, 차시별 주요 요소와 목표, 수업 내용을 간략히 요약,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구성한 SIOP 모델을 활용한 한국어문학교육 모델에 따른 「동백꽃」교수-학습 모형을 토대로 구체적인 교수-학습안을 3차시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총 수업 시간은 150/180분으로 설정하고 각 차시별 수업 내용과 분배에 따라 1차시는 40분, 2차시는 70분, 3차시는 40분으로 시간을 배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학습 목표와 수업의 전체적인 구성, 교사의 세부적인 지도 사항을 제시하고 보충 자료의 활용 방법과 단계, 활동지의 구성과 사용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를 간략히 요약하여 서술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전망을 밝히며 마무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specific teaching - learning model and necessity of literary education in general Korean language classes for KAP learners by using SIOP model. The discussions in each chapter are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necessity and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 In Chapter 2,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 analyze and present situation of KAP learners and general Korean language classes, and we emphasize the necess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 Based on these theories, we proposed SIOP model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Model) that can be used in teaching - learning model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order to utilize more appropriately these SIOP mod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PPP model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we reconstructed it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it, and presented the Korean literacy education model and the categorized class model using the SIOP model In Chapter 3, we choose Kim Yu-jung's 「The camellia flower」 as a literary work to be used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 suggest basis of selecting works and present suitability by organizing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lso, we reconstructed 「The camellia flower」 with the method of substitution, omission, and footnot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eaching-learning. Therefore, we present each class, steps, main elements and goals of each class through 「The camellia flower」 model, which suggested Korean language literacy education model to be used SIOP in Chapter 2. In Chapter 4, we propose a specific teaching-learning plan by dividing into three classes based on 「The camellia flower」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follows the Korean language literacy education model constructed in Chapter 3. The total class time is set to 150/180 minutes.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distribution of each class, the time is allocated to 40 minutes for the first class, 70 minutes for the second class, and 40 minutes for the third class. For this program, we present the aims of the lesson, composition, detailed instruction of the teacher, and how to utilize the supplementary materials, the steps and composition of the activity place. Chapter 5, briefly summarizes this research and concludes with the limitations and future prospects of this study.

      • 한국문학의 해외소개 연구

        곽효환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ulture and economy have become a new central axis in modern society which lost the antagonistic point, the ideology. Especaially, the present culture is very different from the past one. Developing countries sued to accept the advanced countries' culture in many ways. However, that has been changing. Both "accepting" countries and "giving" countries are now able to develop their culture through exchange programmes. Cultural exchange has been improved through various means, but the most effective and classic way to build cultural identification is through publication exchange. Literature among the publication exchange programme plays the main role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Literature is not only the basis of culture by expressing life, ideology and history of a race but also the most effective intermedium between cultures. In any countries, we can find that the most active area in internatioal exchange in publication is literature. So, I suggest we introduce and activate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to other countries through finding out the characters, current and gistory of international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We have had exchanged programmes and accepted advanced cultures through publication, especially literature, in the modern times. We did not adopt dther countries' literature. We started to introduce our literature 100 years ago to other countries but accelerated the introduction, because of increased interest and want in literature, in 1980s. International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has been activated to be a known Korean culture over a short period. Korean Tales was first published in America in 1889. Since then, there have been 497 publcations in 31 countries (in 19 languages). The Cloud Dream of Nine was published in the UK, traslated by James S. Gale. Among the modern literary works, Chosun's Representative Novels was first published in Japan in 1940 and Proud, the nobel written by Kim Nam-Chun, a member of KAPF, was published in Czech in 1947. Up until the 60s, Korean literary works published and translated were classic literary works, but the range was broadened to modern literary works in 1970s. Since 1980s, international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was accelerated by increasing on interest in Korea through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and support from The Korean Culture & Arts Foundation and UNESCO-Korea. Moreober, The Daesan Foundation, a provate foundation, took a part in supporting translation and publication under the motive of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1990s. The current number of publications by countries are 107(USA), 80(France), 78(Japan), 51(Germany), 45(Russia), 24(UK), 24(China), 16(Czech) and 10(Poland), with other countries below 10 publication. MOre modern literary works than classic ones, and core modern novel than poems have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8 works have been translated over 3 times- classic works(3) and modern works(5). The classic work Choonhyang was translated 5 times in 5 languages. The Silence of Lover, a modern poem, written by Han Yong-Un, was published 2 times in English, and 2 times in French and Czech. The modern novel. The Poet written by Yi Mun-Yol has been translated 5 times in 5 languages. So Chong-Ju(poet), Yi Mun-Yol(novelist)'s works are will known abroad. The present number of translations and publications shows works written by Korean modern writer will be translated and published more in the future. 147 Korean literary works have been published in Einglish, but it is very rare to be reprinted or published and sold by a famous publishing company. There are 83 Korean literary works translated in French, of which 54 works were published in 1990s which demonstrates a huge increase in popularity. In German, Korean classics were introduced gradually by 1970s, modern works were introduced in 1980s and have become more popular in 1990s. Compared with other languages, Korean literary works, modern poem, were only translated into Spanish from the 1980s and modern novel from 1990s. However, there are no publications of Korean classics in Spanish. 72 books have been traslated into East European languages such as Russian. Czech, etc. They have been translated without any special support gradually since 1950s. 49 classics were translated, besides 23 modern works were translated. Korean literary works in China were published based on the translator's interest and preference without any support from Korea. The works published in Peking and Shanghai translated by Chinese and whereas the works published around Yanbian, a parts of China, were translated by Chinese Korean. Korean literary works translated into Japanese after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developed in early 1970s. Many work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1980s. A large number of publications published before and after 1988 have shown a profit. However, we did not consider copyrights issues as our main focus was on letting people know about Korean literary works. The importance of copyrights was first realised when 2 writers, Lee Chung-Joon and Yi Mun-Yol, made a contrant a contract with a French publication company, Actes sud in 1990s. This was shocking to Korean society where the concept of copyrights had not been addressed. After the contract w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pyright and tried to secure copyrights. We have faced problems. The problems on translation and publication are: 1. which works should be translated 2.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translation skills and train the translators 3. how to publieze and publish In connection with supporting programme, there are several problems: 1. how to support the project systematcally 2. the shortage of specialist in this area 3. duplicated support from the different organizations 4. no education policy for new translators The problems concerning translations are as follows: 1. how we spread our literature abroak 2.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translators 3. poor working environment for full-time translators I suggest that how we can make Korean literature popular in the world is through analyz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policy for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2. Support programmes to aid the above 3. There should be cooperation between supporting organizations. 4. It is very improtant to spread Korean literary works 5. Educate new translator. 6. We should try to keep the spirit of Korean literature alive.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사 교재 연구

        리, 메이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에서 존재하는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하여 교육의 인프라가 되는 이론적 연구의 지속과 심화로서의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재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중국 내 대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문학사 교육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를 세우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교육 현장에서 교재로서 쓰인 한국문학사 저술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본 것이다. 이 연구는 서론 부분에서 현행 한국문학사 교육의 제반 문제점을 제기하여 연구의 필여성을 논하고 연국 목적을 밝혔다. 본론 부분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문학사 교육이 문학교육과 문화교육 등의 방면에서 대체할 수 없는 교육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중국 내 대학교 한국문학사 교육 과목의 양상과 중국인 학습자의 실제를 부합하는 명확한 교육 목표를 재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문학사 교재의 역사를 간명하게 살피고 교육 목표에 비추어 수집된 기존 한국문학사 교재 7권이 교육 목표에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반영하는 데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한국문학사 교재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술 방식과 교재의 내용 구성에서 개선해야 할 점들을 제시하였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재 연구를 포암하여 한국문학사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 활동이 한층 더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일정하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와 문학 과제활동 분석 연구 - 문학 문식성을 중심으로 -

        조수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의 문학 텍스트와 문학 과제활동을 분석하고 문학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과제활동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학 텍스트를 유형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둘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문학 과제활동을 목적별, 유형별 기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셋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된 문학 과제활동 중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과제활동은 무엇이 있는지 그 예를 통해 살펴본다. 연구 문제를 밝히기 위해 분석 대상으로 세 개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출판된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 6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문학 텍스트의 유형별 분석 기준과 문학 과제활동의 목적별, 유형별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문학 텍스트는 문학적 텍스트와 문학 작품으로 나눈 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문학 과제활동의 목적별 분류는 한국어문학교육의 네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의사소통 능력 신장, 상호문화적 태도 함양, 문학능력 향상 그리고 개인의 성장으로 분류하였다. 문학 과제활동의 유형별 분류는 8가지의 분류 기준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서 제시한 문학 문식성의 개념과 내용을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의 구성 요인을 상호문화적 태도, 문학능력 그리고 개인의 성장으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과제활동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문학 과제활동의 세 가지 유형 <유형6: 창작>, <유형7: 개작> 그리고 <유형8: 추론>을 중심으로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수록된 문학 과제활동 중 문학 문식성 교육을 위한 과제활동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에 나타난 문학 텍스트는 문학 작품이 문학적 텍스트보다 빈번하게 등장하였다. 특히 수필, 시, 소설 유형의 텍스트가 가장 높은 빈도로 수록되어 있었으며 전체 문학 텍스트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기행문, 전기문, 감상문 등과 같은 문학적 텍스트는 자기성찰적인 정서 표현의 글로 그 필요성이 뚜렷함에도 적게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문학 과제활동의 목적별 분류에서 ‘개인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 과제활동이 절반에 해당하는 비율로 가장 많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유형별 과제활동 분류에서는 <유형5: 개인적 반응>이 가장 빈번하게 수록되어 있었다. 이는 같은 맥락의 결과로 단순 말하기 활동의 비중이 크기 때문이었다. 반면 학습자의 경험과 정서를 바탕으로 심화된 문학적 표현을 요구하는 과제활동은 비중이 적었다. 셋째,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문학 과제활동 중 <유형6: 창작> 과제활동으로는 ‘수필 쓰기’, ‘기행문 쓰기’ 등이 있었다. <유형7: 개작> 과제활동으로는 ‘모방시 쓰기’, ‘극본 쓰기’, ‘역할극 하기’ 등이 수록되어 있었으며 <유형8: 추론> 과제활동으로는 ‘결말 예측하기’가 수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문학 문식성 향상에 효과적인 네 가지 한국어문학교육의 목표를 뚜렷하게 달성하고 있는 과제활동은 적었으며 특히 <유형8: 추론> 과제활동은 한 가지의 활동만이 제시되고 있어 그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급 한국어 읽기 교재의 문학 텍스트와 문학 과제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문학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몇 가지 개선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문학 문식성의 구성 요소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 문식성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과제활동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세 기관의 교재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 학습 전과 학습 후의 단순 학습활동을 분석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terature text and literature task activities of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as well as to suggest what task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ry literac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to analyze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focusing on literary literacy. First is to examine the type of literature text presented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Second is to examine literature task activities presented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by purpose and type. Third is to suggest examples of literature task activities that are effective in developing literay literac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roblem, six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published by thre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for analysis. Next,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criteria for literature text type analysis as well as criteria for literature task activity analysis by purpose and type were set. Literature texts were classified by type after being divided into literary texts and literature works. The classification of literary task activities by purpose was classified focusing on the four goal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hich are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developing intercultural attitude, improving literary ability and individual growth. Classification by type of literary task activity was based on eight criteria. In addition, based on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literary literacy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constituent factors of literary literacy were summarized into intercultural attitude, literary ability, and individual growth. Based on the constituent factors,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task activities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ry literacy were established. Focusing on <Type 6: Creation>, <Type 7: Adaption>, and <Type 8: Inference> task activities, examples of task activities for literary literacy education included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were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literature text as a literature work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literature text as a literary text. In particular, essays, poems, and novels appeared most frequently and accounted for half of all literarture texts. On the other hand, literary texts such as travel journals, biographies, and book or film reports were less included, even though the need for writing reflective emotional expressions was clear. Second, in the classification of literary task activities by purpose, literary task activities aimed at 'individual growth' were most frequently included. In the classification of task activities by type, <Type 5: Personal Reaction> was most frequently included. These two results were because the proportion of simple speaking activities was large. On the other hand, intensified task activities that require literary expressions based on learners' experiences and emotions were less emphasized. Third, among the literary task activities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ry literacy, <Type 6: Creation> task activities included 'writing an essay' and 'writing a travel journal'. <Type 7: Adaption> task activities included 'writing an imitation poem', 'writing a script', and 'role-playing', while <Type 8: Inference> task activities included 'predicting the ending'. However, there were few task activities that clearly achieved the four goals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education. Moreover, only one kind of activity was presented as the task activity of <Type 8: Inference> so its diversity was insufficient. By analyzing the literature text and literature task activities of advanced Korean reading textbook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as manifested and some improvement points were found.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literary literacy were presented and accordingly, examples of task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literary literacy education were suggested. This approach, however, has limitations sin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ly on the textbooks of three institutions. Another drawback of this study is that simple pre-reading activities and after-reading activities were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target.

      •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최기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분야는 한국어 의사소통 기능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문화교육은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위한 부수적인 수단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언어는 단독적으로 형성될 수 없으며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도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는 크게 문화교육의 방향, 문화교육의 내용, 그리고 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로 진행되었다. 특히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는 TV드라마, K-POP, 문학텍스트, 웹툰 등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공간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한 연구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민속촌이나 박물관, 미술관을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연구에 비해 문학관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비해 문학관이라는 공간은 숫자, 접근성, 인지도 등에서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은 인천문화재단이 인천광역시 개항장 거리에 조성한 공간으로 한국 근대문학 관련 3만여 점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 교육, 연구, 문화행사 등을 진행하는 곳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특성으로는 다양한 근대문학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문화예술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다는 점, 역사문화 교육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한국근대문학관의 전시콘텐츠, 문학작품, 문화예술 프로그램 활동과 주변에 위치한 근대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효과적으로 한국문화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국근대문학관의 특성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교실 내 활동, 문학관 전시 관람을 통해 입체적으로 문학작품의 내용을 접할 뿐만 아니라 역사문화 프로그램 활동까지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가 한국문화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에게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한국근현대문학 소설 그래픽 노블 개발

        임다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근현대문학의 김유정 소설 「동백꽃」을 그래픽 노블(Graphic Novel)의 장르로 결합하여, 새로운 그래픽 노블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한국근현대문학 소설의 서사적인 이야기와 이야기가 전달해주는 분위기를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에 있어, 깊이 고찰하였다. 그래픽 노블은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서로 다른 개념으로 서술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기존 문헌들을 토대로 하여, 개념 및 특성을 종합하였고, 이를 서술 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작품 기획 및 구현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로, 그래픽 노블의 개념 및 특성과 한국근현대문학 소설의 특성을 중심적으로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무한한 표현의 다양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래픽 노블과 한국근현대문학 소설이 기본적으로 서사적인 이야기를 갖춘 문학이라는 특성과 한국근현대문학 소설은 그래픽 노블의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적 표현들을 지니고 있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두 장르간의 결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오늘날 새로운 형태의 그래픽 노블 사례들을 분석하여 이를 작품에 응용하였다. 본 작품은 「동백꽃」소설문학이 지닌 서사적 이야기의 흐름을 화면으로써의 칸 구성으로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하였고, 곡선이 사용된 단순한 그림체와 한국적인 색감으로 「동백꽃」소설문학이 지닌 분위기 및 연구자만이 지닌 독창성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이 한국근현대문학 소설의 새로운 그래픽 노블을 개발하는 것에 맞춰져 있기는 하지만, 소설문학을 바탕으로 그래픽 노블을 제작하는데 있어, 본인만이 지닌 서사적 표현과 독창적인 일러스트 표현 기법을 구현해내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나아가 그래픽 노블의 다양한 매체와의 결합과 다채로운 시각적 표현 확장에 있어,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로써 활용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esearch is about a development process of new graphic novel by combining a Korean modern literary novel, "The Camellias" by Kim You-Jeong into a genre of graphic novel. Especially, it studied deeply on how to deliver the narrative story and atmosphere of the story in Korean modern literary novels. Graphic novels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nd described in different concepts according to the viewpoint. Accordingly, the researcher put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together and described them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s for theoretical background - the basic data required for planning and realizing the work - the study focused 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graphic novel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literary novels, based on which, an infinite variety of expressions was suggested. Considering that graphic novels and Korean modern literary novels basically have narrative stories and Korean modern literary novels have various visual expressions that can be realized with graphic novels’ images, the study verified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 two genres. Additionally, it analyzed new types of graphic novels these days and applied them into the work. The work was organized freely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narrative story of "The Camellias" in the format of sections. With simple drawing styles using curves and Korean-style colors, the unique atmosphere of "The Camellias" and the researcher’s own creativity were described. Alth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cused on developing a new graphic novel using a Korean modern literary novel, the researcher also concentrated on realizing her own narrative expression and original illustration technique in creating a graphic novel based on a literary novel. Furthermore,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for following research in combining graphic novels with various media and expanding colorful visual expressions.

      • 대화중심교수·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김리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화중심교수·학습법을 활용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 연구: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본고는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문학 감상능력 향상과 사회 갈등 해결을 위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는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에서의 부적응, 가족 갈등, 자녀 문제 등이 한국 사회 적응을 위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것에서 시작되었고, 그에 대한 방안을 대화를 이용한 한국 문학작품 감상 교육에서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을 위한 문학작품 목록을 선정하였고, 국어과 문학교육 방법인 대화중심 교수·학습법의 교육절차와 내용을 수정하여 교육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이모의 결혼식』과 『반말 왕자님』을 활용한 수업안으로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이 가지는 언어, 문화, 자기성찰 기능을 통해 언어, 문화교육뿐만 아니라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문제를 고려한 한국어 문학교육으로 이어간 데 의의가 있다.

      •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연구

        하 밍 타잉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에 나타난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최근 5~10년 동안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 수는 급격히 증가했다. 19세기 말 20세기 초부터 번역이 시도된 영어를 비롯한 몇몇 다른 언어에 비해 시작은 꽤 늦었으나 짧은 시간에 이미 60종에 가까운 한국문학작품들이 번역 출판되었으니 나름대로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에 대한 본격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국과 베트남을 막론하고 겨우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의 제목을 거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을 뿐이다. 한편, 베트남에서 한국문학작품이 번역 출판되면 무조건 귀한 도서라고 대우를 받던 시대도 끝났다. 한국문학이 처음 소개되기 시작하던 1990년대와 달리 이제는 번역 작품에 대한 베트남 독자나 연구자들의 요구와 기대가 훨씬 높아졌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번역의 양 못지않게 질을 중요하게 여기는 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문학번역의 질을 논의할 때 문학번역비평(Literature Translation Criticism)이 자주 언급된다. 문학 작품은 언어의 창조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한 예술로서 수용이나 효능의 차원을 넘어선 보다 종합적인 인식 활동의 산물이므로, 그 작품의 고유한 의미와 구조를 존중해 작품의 향취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번역이 지향하는 최종목표라 하겠다. 번역비평은 철저히 이를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한국문학작품의 베트남어 번역에 관해서는 번역비평 자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렇듯 번역비평이 부재하거나 그 비중이 극히 낮은 현실에서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작품은 독자층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이고 전문가들에 의한 생산적인 연구도 기대하기 어렵다. 베트남 국내에서 학술지, 전문 비평지, 전문 신문, 단행본, 심지어 일반신문과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틀어서도 이들 작품을 대상으로 한 번역비평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필자는 2012년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만세전>에서 나타난 베트남어 오역 문제」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다. 간략한 소개 정도의 소논문이었지만 그것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근대문학 작품들에 대한 최초의 번역비평이었다. 본 논문은 그 연장선상에서 대상 작품들의 원본 텍스트(ST)와 번역 텍스트(TT)를 동시에 비교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논문은 먼저 베트남에서 자국어(Quốc ngữ, 꾸옥 응으) 사용의 상승과 번역의 관계를 조명하면서, 번역이 근대 민족국가(네이션) 형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베트남에서 번역은 근대와 거의 동시에 형성된 개념이기 때문에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측면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즉 번역이라는 행위는 베트남의 근대를 상징하는 시대적 의미를 지닌다. 근대의 격변기에 많은 신개념, 신문화, 신사상이 난해한 중국의 한자(한문)도 아니고 프랑스의 프랑스어도 아닌 꾸옥 응으로 번역되어 소개되었기 때문에 베트남의 일반국민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베트남의 근대문학 역시 이런 바탕에서 형성되기 시작하는 바, 이런 정황들에 대한 이해는 한국근대문학을 대상으로 하는 본 논문에도 일정한 참고를 제공한다. 이어서 본 논문은 근대 이후 베트남과 한국의 상호 문학 교류와 번역작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과 베트남이 서로 상대국의 문학을 언제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살피는 것은 본 논문의 주제를 다루기 위한 필수적인 선행 작업이기 때문이다. 특히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중에서도 한국소설의 면모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이 베트남어로 번역된 한국근대소설을 분석 대상 텍스트로 삼고 있기 때문에 번역을 시도한 번역자에 대한 연구 역시 빠뜨릴 수 없다. 번역비평은 ST와 TT를 비교 분석하기 때문에 주로 TT 중심의 비평(book review)을 하는 일반 독자와는 다른 전문번역가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이때 번역자의 개인적인 자질은 물론, 번역자와 번역 방식의 유형은 번역 결과에도 일정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무엇보다 번역연구이기 때문에 본문에서는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에서 나타난 문제들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는 문학번역에서 가장 큰 문제가 ‘오역’이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ST와 TT를 비교하여 잘된 부분보다는 이상하거나 틀린 부분을 위주로 지적하고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는데, 이 때문에 자칫 공정한 번역비평이 아니라는 오해를 살까봐 염려되는 측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이는 좀 더 나은 번역과 생산적인 번역문화 조성을 위한 학문적 검토와 분석의 과정일 뿐이라는 점을 미리 밝힌다. 오역의 여부를 살피고 오역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제대로 해명하는 것이 번역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오역이 많으면 독자들에게 작품 본래의 내용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를 온전히 전달하지 못하는 위험성도 그만큼 커질 것이다. 오역이라면 흔히 어려운 단어나 숙어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쉽다고 여기는 말에서 틀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누락 역시 오역의 일부로서, 의외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때로는 번역자의 성의를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경우마저 없지 않다. 물론 오역은 대부분의 경우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역사․문화적 차이, 언어적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역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유형별로 짚어보면서 이러한 여러 종류 오역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점검하고자 했다. 필자는 『운수 좋은 날』, 『김유정 단편선』, 『메밀꽃 필 무렵』,『김동인 단편선』, 『만세전』,『삼대』,『상록수』 등 대상으로 삼은 7종의 베트남어 번역본 텍스트에 대해 첫째, 고유명사 표기 불일치 및 오류, 둘째, 어휘 오역, 셋째, 문장 오역, 넷째, 누락 등의 문제점들을 짚어나갔으며, 각 부분에서 오역의 구체적인 양상을 표로 정리하여 이해를 도왔다. 특히 표에서는 번역자가 번역한 베트남어를 <필자의 번역문> 칸에서 필자가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였기 때문에 ST와 바로 비교해서 오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거듭 말하지만, 본 논문은 한국근대소설의 베트남어 번역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오역의 근본 원인을 살펴보고 나아가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과제로 삼았다. 완벽한 번역본이 없고 어떤 번역자도 오역을 피하기 어렵지만 어쨌든 오역을 최소한으로 줄이고자 노력해야 하는 것이 번역자로서 가장 중요한 의무이자 미덕이다. 한국문학의 베트남어 번역, 그중에서도 근대문학번역은 양과 질 모두에서 아직 멀고 험한 길을 가야 할 형편이지만, 본 논문을 계기로 좀 더 충실한 번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문학과지성』의 이론적 기반과 미학적 실천

        인아영 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theoretic basis and literary practices of Moonhak-kwa Jisung (Moonji) (Literature and Intelligence), one of the leading Korean literary magazines of the 1970s. The first step of this thesis is to focus on the standpoint regarding Moonji as the coherent embodiment of literarism or aesthetic autonomy, based on the mistake accrued in preceding researches that resolves the theoretic root of Moonji in French structuralism. This point of view not only results in 1970s literature reverting to the 1960s literary controversy between Changbi and Moonji , or “participation literature” and “pure literature,” but also overlooks that Moonji was a dynamic field in which diverse stances struggled with one another.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theoretic basis of Moonji as composed of various foreign theories, such as French structuralism,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and literary sociology. In addition, this work attempts to examine the theoretic basis that contributed to forming the intrinsic aesthetic standard of Moonji connected to the literary criticism of the middle and late 1970s. Restoring theoretic basis would help understand the true nature of Korean literature in this period. To achieve these ends, the second chapter of this thesis focuses on the meaning of Moonji accepting Western Europe theory in the context of 1970s Korean literature. The increasingly vocal critics of the 1970s criticized the existing literary circle for their impressionist criticism and accepted foreign literary theory as the inevitable measure that enabled objective reflection on the problems in the Korean literary field. For Moonji, the meaning of “foreign” signified “Western Europ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critical thinking, as well as a spiritual homeland, in contrast to “the United States,” which was considered materially wealthy, with a culture of consumption. Although French structuralism and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have developed respectively in the Western history of intellectual movements, Moonji accepted the two in the same period because the critical mind must introspect and analyze Korean society and Korean literature objectively. Additionally,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fact that French structuralism was accepted as the scientification of literary study or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rather than the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and it was applied to Kim Yoonsik and Kim Hyun’s Korean Literary History (1972–1973), the literary practice of Moonji that was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texts regarding structuralism in early Moonji were the main writings that criticized Sartre’s existentialism. Meanwhile, in the middle and late 1970s, writings increased remarkably in Moonji that emphasized structuralism not as a literary trend, but an objective methodology of literary criticism. However, structuralism was barely applied to literary criticism individually.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Moonji’s involvement with structuralism was not only related to aesthetic autonomy along with the French literary field, but also, more importantly, to the literary,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in Korea at the time. Moonji accepted structuralism not as a methodology for literary criticism, as Moonji ostensibly insisted, but as a sort of modernization discussion alongside terms such as “objectivity” or “literary science.” It was an abstract discussion for a literary theory, but it had an opportunity to take concrete shape when connected to Lucien Goldmann’s genetic structuralism applied to Kim Yoonsik and Kim Hyun’s Korean Literary History (1972–1973). The fourth chapter of this work analyzes the fact that Moonji’s interest in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originated from the attempt to introspect regarding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from Marxist social criticism or the resistance to the dictatorial government. As of the late 1970s, a mid interest in an industrial society and mass culture in the academic world, Moonji accepted the critical theory of the Frankfurt School in earnest. Among the critics and writers of Moonji, they easily agreed on an industrial society; however, their perspectives on mass culture was different, since the mass culture served as momentum to contemplate the status and role of Korean literature in an industrial society. It appeared in Kim Hyun’s The Evolvement and Coordinate of Korean Literature, which defines “real” literature as critically reflecting the suppression of society, creating distance from both “participating literature” and “popular literature.” This standard became the grounds on which critics such as Kim Byung-ik, Kim Chi-soo, and Oh Sang-geun spoke highly of the literature, which criticized an industrial society. 이 논문의 목적은 1970년대 문학 계간지 『문학과지성』(이하 『문지』)의 이론적 기반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당대의 문학 장 속에서 어떠한 문학적 실천으로 이어졌는지 밝히는 것이다. 본고는 『문지』가 문학주의 혹은 언어의 미적 자율성을 일관적으로 옹호했다고 보는 시각이, 『문지』의 이론적 뿌리를 프랑스 구조주의로 환원하는 오류에 근거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러한 시각은 1970년대 문학 장을 『창작과비평』 대 『문지』 혹은 정치성 대 문학성으로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문지』가 여러 필진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길항하는 역동적인 장이었다는 사실을 간과하게 한다. 따라서 본고는 『문지』의 이론적 토대가 단지 프랑스 구조주의라는 단일한 요소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 및 문학사회학 등 여러 이론적 입장과 상호작용하였다는 사실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문지』의 고유한 미학적 기준이 만들어졌으며 이를 토대로 형성된 문학관이 1970년대 중후반의 소설비평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지』의 외국이론 수용에는 1970년대 비평가들의 고유한 사상적·문학적 지향 및 한국문학에 대한 문제의식이 짙게 깔려있기 때문에 이를 복원하는 것은 1970년대 문학의 실체와 그 문학사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고의 2장에서는 1970년대 문학 장 속에서 『문지』가 외국이론, 그 중에서도 서유럽의 이론을 수용한 양상과 그 의미를 고찰한다. 1970년대 신진 비평가들은 1950-60년대에 월간지를 중심으로 권력화된 기성문단이 주관적인 인상비평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그 극복방안으로써 외국의 문학이론을 수용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 있었던 『문지』 역시 「창간호를 내면서」부터 한국사회 및 한국문학의 병폐로 ‘패배주의’와 ‘샤머니즘’을 제시하며 문학에 대한 객관적인 성찰과 분석을 가능케 하는 외국이론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때 『문지』에게 있어 ‘외국’이란, 당대에 물질적인 풍요와 소비문화라는 이미지로 수렴되었던 미국과 달리 정신적 고향이자 비판적 이성(理性)의 현현으로 여겨졌던 서유럽이었다. 서구지성사에서 프랑스의 구조주의와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은 거의 교류를 맺은 바 없이 각각 발전해왔지만, 『문지』는 한국사회와 한국문학을 객관적으로 성찰해야 한다는 문제의식과 그 극복방안으로 여겨진 비판적 이성에 대한 지향 아래 두 이론을 동시기에 수용했던 것이다. 3장에서는 『문지』에서 구조주의가 문학비평의 방법론이라기보다는 문학연구의 과학화 및 근대화담론으로서 수용되었으며, 이것이 1972-1973년에 연재되었던 김윤식, 김현의 「한국문학사」(7-14호)를 통해 근대문학사 서술이라는 문학적 실천으로 이어졌음을 밝혔다. 『문지』에 제출된 구조주의 관련 텍스트들은 초기에는 롤랑 바르트를 통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직접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1970년대 중후반에 이르러 구조주의가 사조가 아닌 방법론으로서 수용되었다는 입장으로 선회한다. 그러나 『문지』에서 구조주의는 문학비평의 형태로 거의 실현되지 않았다. 그 까닭은 구조주의가 문학연구를 객관적인 과학으로 자리매김하려는 기획, 그리고 당대의 근대화담론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문지』의 구조주의 수용은 내재적 발전론과 함께 문학사에 대한 관심이 대두된 1970년대의 분위기와 조우하여, 김윤식과 김현의 「한국문학사」로 결산되었다. 「한국문학사」는 루시앙 골드만의 발생론적 구조주의라는 방법론을 통해 한국만의 개별적인 근대문학사를 서술함으로써 한국문학의 주변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골드만의 구조주의는 『문지』가 한국근대문학이라는 개념을 1970년대식으로 설정하기 위한 일종의 조주(助走)였던 셈이다. 본고는 이를 통해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언어화해야 한다는 『문지』의 고유한 미학적 기준이 태동했다는 점 또한 밝히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에 대한 『문지』의 관심이 마르크시즘적인 사회비판 혹은 당대 독재 정권에 대한 저항적인 인식에서 비롯하였다기보다는 한국문학의 위상을 성찰하기 위한 시도에서 비롯하였다는 점에서 『문지』가 구조주의를 수용한 이유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가설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 수용을 통해 정리된 ‘문학’의 정의 및 외연이 1970년대의 구체적인 문학작품에 대한 현장비평으로 이어졌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산업사회와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이 인문사회학계 전반에 고조되면서 『문지』도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론을 본격적으로 수용하였다. 이때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는 필진들이 비교적 뚜렷한 합의점에 이르고 있는 것과 달리 대중사회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였는데, 이는 그만큼 대중문화가 『문지』의 촉수를 건드리는 주제였기 때문이다. 대중문화는 산업사회 속에서 존재하는 한국문학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서 새롭게 고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김현의 「한국문학의 전개와 좌표」(22-28호)로 이어졌다. 이 글은 참여문학과 대중문학이라는 두 영역과 비판적 거리를 둠으로써‘사회의 억압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문학’을 ‘진짜’문학으로 새롭게 정의한다. 문학이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억압을 반성케 해야 한다는 입장은 1970년대 후반 김병익, 김치수, 오생근 등의 비평가들이 산업사회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보인 문학을 고평하는 근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1970년대 문학 장에서도 통용되는 비평적 기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