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프리미엄급 신용카드의 디자인 선호도 연구

        임가현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943

        제3의 통화 또는 플라스틱머니(Plastic money)라고 불리는 신용카드는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카드사들 간의 치열한 경쟁구도를 보이고 있다. 신용카드의 혜택과 서비스의 차이가 비슷해지면서 카드업계는 우량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력을 키우고 있다. 선택의 폭이 넓어진 소비자들은 서비스와 혜택 외에 디자인을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생각한다. 이에 카드사는 소비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신용카드 디자인을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는 국내 신용카드사의 프리미엄급 신용카드의 디자인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국내 프리미엄급 신용카드의 디자인현황과 소비자의 선호도는 대부분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현황에서 두 번째로 낮은 비중을 차지했던 단순형은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로고 및 심벌중심형은 현황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선호도조사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로고 및 심벌확대형은 현황과 선호도 조사에서 모두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다. 색상계열은 디자인현황에서는 무채색계열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전체적으로는 붉은색계열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남성 소비자들은 무채색계열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색은 금색으로 나타났다. 디자인현황에서는 낮은 비중을 차지했던 금색은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검은색은 현황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선호도 조사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신용카드사의 프리미엄급 신용카드 디자인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주제어 : 프리미엄급 신용카드 , 신용카드 , 신용카드 디자인 , 신용카드 색상 , 신용카드 선호도 Credit card, known as the third currency or a plastic money, became a necessity among contemporaries that credit card corporations are showing fierce competition between themselves. They are developing competitiveness to secure the good customers since the differences of benefit and service between companies have been narrowed. Consumers regard the design as the important element besides service and benefit with the choices being widened. Thus, credit card companies need to pursue the card design reflecting consumer’s preference. In this study, the design of the premium credit cards among domestic credit card compani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demonstrate the discordance between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mium credit cards and the preference of consumers. Simple type took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preference research while it took second low in the current status. Logo and symbol type took the second highest percent in the current status, it took high percentage in the consumer preference research. Black colors took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current status while it took the second highest among preference research. Logo and symbol enlargement type took the lowest percentage both in the current status and preference research. When preferred color was being examined, achromatic colors took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current status while red colors took the highest in overall in the preference research. The most preferred color was gold in overall. Despite of the low percentage gold colors took help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credit card companies towards premium credit card design. This study attempt to provide materials which are stage in the research while it took the highest in the current status.

      • 프리미엄 커피전문점의 업종특성이 고객만족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엔제리너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병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국내 고가 커피전문점의 매출하락 및 전년대비 역 신장, 중저가의 매출 강화, 경쟁사의 경쟁심화로 가맹본부 자신만의 차별화 전략이나 경쟁우위 요소를 갖추지 못한다면 사업의 지속 가능성 및 존속하기가 어려워 졌다. 신규점포도 출점해야겠지만 기존 가맹점을 지속 성장시키고 안정적으로 관리유지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점포 업종속성들을 제대로 파악하여 어떻게 고객에게 만족과 재구매 할 수 있는지를 이끌어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프리미엄 고가 커피전문점 업종속성이 고객만족에 대한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가맹본부와 가맹점 상호간의 지속적인 우호관계 유지 및 효율적인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프리미엄(고가) 커피전문 프랜차이즈인 엔제리너스 매장 내점 고객을 대상으로 업종특성과 고객만족 그리고 재구매의사에 대한 설문을 통해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9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최종 293부를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분석방법은 연구모형에 있는 가설설정을 검증하기 위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가설 검증을 위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SPSS 22.0(ver)을 이용하여 분석 결과를 도출 하였다. 척도 척도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요인추출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주성분분석(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인회전은 직각회전인 varimax 방식을 이용하였다. 문항별 응답수준과 정규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인구 사회적 특성 요인 분석 결과로는 메뉴의 다양성 서비스 항목의 설명력은 37.261%로 가장 높았고, 가격적절성 11.534%, 메뉴의 다양성 7.212%, 품질 4.942%, 매장분위기 4.487%, 커피 경쟁력 3.338%로 조사됐다. 설명력들은 충분한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프리미엄 커피전문점 업종특성 6가지 항목 중 서비스, 분위기, 고가 싱글오리진의 커피 경쟁력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가격 적절성, 메뉴의 다양성, 품질은 고객만족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셋째, 고객만족이 재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프리미엄(고가)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재구매의사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고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격을 무조건 적으로 낮추는 전략보다는 주로 방문하는 20대 여성들이 만족할만한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매장분위기를 20대 여성들이 만족할 수 있게 한다면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재방문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확인할 수 있었다.

      • OECD 국가 및 한국 주식시장의 위험프리미엄 결정요인 비교 분석

        박희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Bloomberg and FnGuide provide equity risk premium in the Korean equity market to their customers. Using the Bloomberg equity risk premium of the 17 OECD countries, we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the equity risk premium which have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panel analysis confirm that the unemployment rate, dividend yield, long term government yield, and VIX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equity risk premium. In the Korean stock market, however, the equity risk premium provided by FnGuide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these determinants. The Bloomberg equity risk premium is not explained by any of these variables.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에서 위험프리미엄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검토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먼저, Bloomberg가 산출한 17개의 OECD 국가 주식시장 위험프리미엄을 패널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에서 주장한 결정요인들 가운데 실업률, 배당수익률, 장기 국채 수익률 그리고 VIX가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요인들이 한국시장에서도 동일한 설명력을 가지는지 검증한 결과, 해당 요인들은 한국주식시장의 위험프리미엄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FnGuide가 제시한 한국시장 위험프리미엄에 대해서는 실업률과 TED 스프레드가 설명력을 가졌다. 또한 OECD국가를 사용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배당상승률과 장기 국채 수익률과의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주식위험프리미엄 결정요인을 설명하는 재무이론과 기존의 실증분석에 일치하는 결과로,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FnGuide의 위험프리미엄 추정치가 Bloomberg 추정치보다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환위험프리미엄과 국내외 주식 및 외환시장의 관련성 : 선물환시장을 중심으로

        윤일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외환위기를 전후로 한국 경제에서는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고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보여왔다. 금융시장 개방화로 인한 국내 자본시장에서 외국인의 참여는 외환시장 및 국내의 증권시장 수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자산의 자격은 정부규제 아래 독자적으로 형성될 수 없으며, 자산 가격간 상호관련성을 맺고 변동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최근 연구경향은 이러한 자산 가격간 상호 연계에 있어서, 어떠한 시장의 2차 모멘트로 측정되는 자산의 변동성, 즉 불확실성의 증대가 다른 시장에 미치는 효과에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들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특히 외환 및 주식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환율변동 및 주가 변동의 원천과 換위험프리미엄에 관한 이슈들을 살펴 보았다.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의 관계를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연구의 확장으로 그랜저 인과관계를 검증해 본 결과 표본기간 전체에서는 환율과 주가가 양방향의 관계를 갖고, 외환위기 이후에는 주가가 환율에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換위험 프리미엄은 선도환율의 예측오차를 의미하므로 선도환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선도 프리미엄이 원/달러 환율의 不偏추정치 인가 검정해 보았는데 역외 NDF 1개월물과 국내선도환 2주일물 모두 외환시장 효율적 시장 가설을 기각하였다. 이는 비합리적인 기대 또는 위험프리미엄의 존재를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론적인 근거를 통해, 외환의 초과수익은 주식시장 위험프리미엄과 상호관련성을 맺고 있으며, 환율변동성 뿐 아니라 해당 통화국의 주가변동성이 換위험프리미엄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 또한 위험프리미엄은 비선형이 될 수 있으며, 환율의 시간에 걸친 조건부변동성을 GARCH-M 및 EGARCH-M으로 모형화했을 때, 이는 외환의 초과수익에 유의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였다. A number of papers in Economics and Finance recently deal with the spillover effect of volatility in one market on another asset market. In these papers, the volatility in one market in another asset market. In these papers, the volatility is measured by second-moment and the increasing volatility is equivalent to rising uncertainty. This paper is in line with these studies and is especially focused on the currency and stock market. Followings are main features of this paper. First, several issues are discussed; what makes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 volatile, what is the foreign exchange risk premium. Furthermore, the empirical analyses on Granger Causality test between exchange rate and equity price show that during the sample period (1992.1.4-2000.12.4),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 at lag three, have feedback interactions and during the period after financial crisis(1997.10.17-2000.12.4), the stock price takes a lead in the exchange rate. Second, EMH(efficient market hypothesis) in Foreign exchange is test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of forward exchange rate. Since, the foreign exchange risk premium means the forecast error of forward exchange rate. The offshore NDF(Non-Deliverable Forward Exchange) market and the onshore domestic forward market are respectively used as forward prices. In both cases, EMH is rejected. It can be ascribed to the existence of irrational expectation or the risk premium. Finally, empirical tests based on Jiang and ching(2000)'s paper are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excess return of ₩/$ exchange rate is related to volatility in the currency market and volatility in the stock market. The results indicate that volatility from currency markets is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excess return, suggesting that the excess returns are indeed reward for risk-taking. Shocks in the equity market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rrency risk premium as well. Nonlinearity in the risk premium is found and time-varying conditional volatility of currency retur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cess return, when GARCH-M and EGARCH-M are applied.

      • 위험프리미엄에 대한 기업특성변수의 설명력 연구

        이종화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위험프리미엄을 추정함에 있어서 사후 실현 수익률을 통해 추정하지 않고, EBO모형과 주가를 등식으로 하여 자본 비용을 구하고 있다. 이렇게 구한 자본비용에서 무위험 이자율을 차감한 위험프리미엄과 기업특성변수들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설명력을 확인해보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모형의 설명력이 연도별로 균등한 결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여, 예측모형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하여도 추가적으로 검증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사후실현수익률을 이용하여 구한 자본비용과 EBO모형과 주가를 등식으로 한 자본비용을 비교할 때 EBO모형을 통해 구한 자본비용이 사후실현수익률을 통해 구한 자본비용보다 평균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이러한 결과는 EBO모형에서 여러 예측자료를 적용하여 나온 결과이므로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어 보인다. 둘째는, 사후실현수익률을 이용하여 구한 자본비용과 EBO모형과 주가를 등식으로 한 자본비용에서 무위험 이자율을 차감하여 구한 위험프리미엄과 기업특성변수들과의 단일 변량 분석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변수가 예상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변수의 경우는 예상과 다른 결과를 보였는데 내재위험프리미엄의 경우 베타가 클수록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오히려 그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장기 이익 성장률처럼 CAPM에서 유의하게 판명되지 않은 변수들이 내재위험프리미엄에서는 유의하게 판명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CAPM을 통해 추정하는 것보다 내재위험프리미엄을 통해 추정하는 것이 해당 변수들이 내포하고 있는 시장 위험을 보다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는 내재위험프리미엄과 기업특성변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B/P비율, 전년도 산업별 내재위험프리미엄의 평균, 기업규모, 수익률의 분산 등으로 모형을 구축했을 경우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네가지 변수 중에서는 B/P비율이 가장 유의한 변수로서 위험프리미엄의 예측에 가장 유용한 변수로 판명되었고, 기업규모와 수익률의 분산은 연도별로 일관되게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다변량 모델 구축시 설명력을 높이고 있다. 넷째는 위험프리미엄에 대한 기업특성변수들의 설명력은 B/P비율, 전년도 산업별 내재 위험프리미엄의 평균, 기업규모, 수익률의 분산으로 구축된 모델의 경우에 모든 자료를 pooling했을 때는 47.4 %의 높은 설명력을 보였고, 평균적으로도 IMF시대인 97년을 제외하면 43.8%로 연도별로도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연도별로 모형의 안정성(robust)을 검증하기 위해, t-1년의 예측모형에 당기의 변수를 대입하여 t연도의 위험프리미엄을 예측하였을 때도 예측치와 실제치의 회귀모형이 원점을 통과하고 기울기가 1에 근사하는 모델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변수들이 높은 예측력을 보이는 결과를 간접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위험프리미엄의 예측 모형 구축, 즉 기존의 사후실현수익률을 통한 예측 방법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estimate returns without relying on average realized returns or traditional asset pricing models. Specifically I use a discounted residual income model to estimate an implied cost-of-capital, defined as the internal rate of return(IRR) that equates the current stock price to the present value of all future cash flows to common shareholders. I then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se implied discounted rates and various ex-ante firm characteristics that have either been suggested as risk proxies, and test explanatory power of regression. Besides, I examine whether the implied risk premium estimated from multivariate regressions can predict the subsequent year's actual implied risk premium.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ied risk premium for the marke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stimate obtained from ex-post returns. Second, the results of the univariate test is consistent with expectation in case of most, but some is not. For example, market beta is no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plied risk premium. There seems to be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beta and the implied risk premium. Third, In this multivariate test, the moel that involves B/P ratio, the mean implied risk premium of its industry from prior year, firm size, earnings variability have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of cross-sectional variation in implied costs-of-capital. B/P ratio is the single most important variable in explaining cross-sectional variations in next year's implied cost-of-capital. Fourth,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el that involves B/P ratio, the mean implied risk premium of its industry from prior year, firm size, earnings variability is robust over time, with the adjusted R-square ranging from 33% to 53% except foreign exchange crisis. I regress next year's implied cost-of-capital on the implied cost-of-capital predicted from this year's regression, and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rcepts are close to zero and the slope coefficients are close to 1. In other words, the prediction regression does a good job of forecasting next year's implied cost-of-capital.

      • 그린 프리미엄 묶음제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그린 자아표현동기와 적합성의 영향

        Hang, Vu Thanh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2

        비가격 홍보는 학자들로부터 주목할 만한 관심을 끌었지만, 여전히 가장 잠재적인 판매 촉진 수단 중 하나인 그린 프리미엄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다. 이 논문은 소비자가 그린 프리미엄을 가지고 번들 제품을 구매하려는 의도에서 그린 자아 표현 적 동기와 그린 프리미엄과 제품 간의 적합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두 가지 주요 결정 요인이 인식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묶음판매(번들) 에 호의적인 태도를 만들어내고 구매의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태도를 취한 다음 구매의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게다가 그린 프리미엄에 대한 인식된 가치와 묶음에 대한 태도의 영향도 조사하며 공변량으로 매개 변수 및 제품 태도도 조사하였다. 이 맥락에서, 그린 프리미엄은 저렴한 가격이나 무료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정의되며, 소비자에게 추가 인센티브로 사용된다. 그린 자아 표현 동기는 그린 환경 프리미엄 소비가 개인 환경 문제를 표현하고 가치관을 느끼며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는 능력을 말한다. 그린 프리미엄과 제품 간의 적합성은 프로모션 제품과 그린 프리미엄 간의 일치 또는 근접성에 대한 것입니다 묶음과 구매 의도에 대한 태도는 절대평가와 비교평가에서 모두 측정되었다. 문헌조사를 토대로 베트남 3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스타벅스의 2가지 샘플 번들 제품에 대한 평가를 입증하도록 요청 받았다. 한 묶음의 커피는 커피 한 잔과 재사용 가능한 컵과 짚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한 묶음은 커피 한 잔과 열쇠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유효하지 않은 응답을 제거한 후 243 개의 응답이 최종 데이터로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그린 자아 표현 동기와 그린 프리미엄과 제품 간의 적합성은 그린 프리미엄에 대한 인식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이것은 다시 묶음에 대한 태도를 개선시켜 그린프리미엄으로 묶음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의 의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공변량(covariate)으로서의 제품 태도에 관하여 절대 추정에서는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비교 추정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 연구의 결과는 그린 프리미엄과 제품 구매 의도 사이의 적합성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그린 프리미엄 동기와 구매 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그린 프리미엄에 대한 인식 된 가치와 묶음에 대한 태도의 완전한 조정 효과를 보여준다. 비교측정 두 경우 모두 제품의 태도와 구매의도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묶음에 대한 태도의 매개 효과를 보여준다. 전반적으로 프리미엄 기반 프로모션 전략을 수립 할 때 그린 자체 표현과 그린 프리미엄과 제품 간의 적합성이 두 가지 주요 요소가 되는 것이 요구되었다. 후속연구에서는 그린 보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을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 브랜드 개성이 호의적 태도와 가격 프리미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아파트 브랜드를 중심으로

        임세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2

        1998년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 이후 처음 등장한 아파트 브랜드는 소비자들이 아파트를 선택하는 구매의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잡았으며, 현재 약 60여 개에 달하는 브랜드가 치열한 마케팅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홍수속에서 차별화를 통해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최근 주택시장에도 ‘세련된’ ‘똑똑한’ ‘따뜻한’ 등 브랜드개성을 내세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에게는 적정 프리미엄을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주거 만족도 및 자산가치 향상에 도움을 주는 브랜드 개성을 발굴, 강화해 나가고자 국내 주요 아파트 브랜드의 브랜드 개성요인을 도출하여, 각각의 브랜드 개성과 호의적 태도 및 가격 프리미엄의 상관관계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아파트 브랜드 상위 5개 업체의 브랜드 개성에서 추출된 아파트 브랜드별 브랜드 개성 요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래미안’은 ‘최신유행추구적 세련미’, ‘아이파크’와 ‘이편한세상’은 ‘합리적 실용성’, ‘자이’는 ‘여성적 화려함’과 ‘최신유행추구적 세련미’, ‘푸르지오’는 ‘정직/전문성’ 요인에서 차별적 브랜드 개성요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특정 브랜드개성 요인이 호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브랜드신뢰성과 구전을 위한 타인추천 의향, 구매의도를 측정변수로 설정하여 각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정 브랜드 개성요인이 세 항목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특정 브랜드 개성요인이 브랜드 가격 프리미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특정 브랜드 개성요인이 가격 프리미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호의적 태도가 브랜드 가격 프리미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호의적 태도는 브랜드 가격 프리미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결과, 브랜드 개성조사에서 도출된 4가지 아파트 브랜드 개성 요인 중 호의적인 태도 및 가격 프리미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는‘정직/전문성’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택시장이 일반 상품에 비해 첫째, 소비자가 소비하는 상품 중 가장 고가(高價)상품이고, 둘째, 선(先)분양에 의해 공급되는 현 제도상 소비자가 꼼꼼히 기능 및 속성을 따져볼 수 없는 정보의 비대칭성이 큰 상품이며, 셋째 다른 상품에 비해 생산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다는 특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구매시 높은 신뢰감을 주는‘정직/전문성’의 개성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풀이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향후 브랜드 전략 수립시 다양한 브랜드 개성 요인중에서 특히 정직과 전문성을 확보한 브랜드 개성을 강화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자사 브랜드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구축과 함께 적정한 가격 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partment house brand that first appeared in 1998 with the system of autonomous price of apartment house has been fixed as an important factor of purchase by which consumers select apartment house. Currently some 60 brands are vehemently competing for marketing. In this flood of brands, brand communication recently becomes active, presenting brand personality such as ‘sophisticated’ ‘smart’ ‘warm’ to acquire the advantage in competition through differentiation. Drawing the brand personality factors of main domestic apartment house brands to provide appropriate premium to enterprise and to find and enhance brand personality for consumers by contributing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of asset value,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each brand personality, favorable attitude and price premium. The result of corroborative analysis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checking the difference between brand personality factors of each apartment house brand chosen in those of 5 top makers of domestic apartment house, ‘Raemian’ constructs distinctive brand personality factor in ‘elegant beauty pursuing the latest fashion’, ‘I-Park’ and ‘e- comfortable world’ in ‘rational practicality’, ‘Xi’ in ‘feminine brilliance’ and ‘elegant beauty pursuing the latest fashion’, ‘Prugio’ in ‘honesty/expertise.’ Second, to analyze the influence that certain brand personality factor has on the favorable attitude, the researcher established intention to recommend to others for brand reliability and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as well as intent to purchase as measurement values. By analyzing each correlation, it was found that certain brand personality factor positively affects all of 3 items. Third, analyzing ‘the influence that certain brand personality factor has on the brand price premium’, it was found that certain brand personality factor positively affects price premium. Finally, analyzing the influence that favorable attitude has on the brand price premium, it was found that favorable attitude positively affects brand price premium. Further, according to the research, among the 4 apartment house brand personality factors drawn in the survey of brand personality, honesty/expertise factor affects most favorable attitude and price premium. This may be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compared to general commodity, the house market has following properties; first, the most expensive commodity among those consumed by consumer; second, owing to present system in which apartment house is supplied by prior contract, consumer is unable to meticulously check the function and attributes- the commodity with large asymmetry of information; third, longer production time compared to that of other commodity. Thus, the personal factor of honesty/expertise that gives high reliability may play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e. Thus, enterprises may construct favorable attitude to their brands and acquire proper price premium by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with honesty and expertise among diverse brand personality factors and constantly communicating when establishing brand strategy later.

      • 미용서비스상품 쇼핑성향에 따른 판매촉진 효과 : 프리미엄카드 사용을 중심으로

        전성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942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윤추구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판매 측면에서의 성공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이를 위해 다양한 판매 촉진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용서비스상품의 판매촉진 중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일환인 프리미엄카드(선불권)에 초점을 맞추어 뷰티샵에서 프리미엄카드(선불권)의 이용에 따른 판매 촉진 효과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프리미엄카드(선불권)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각 개인별로 미용서비스상품 쇼핑성향이 다를 것이라 가정하여 쇼핑성향을 분석하고, 프리미엄카드(선불권)를 이용하는 고객의 미용서비스상품 쇼핑성향에 따른 판매 촉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판매촉진의 개념과 형태, 고객보상 프로그램의 개념과 활용 그리고 쇼핑성향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실증적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맞게 이론적 배경과 기존의 연구문헌의 조사를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프리미엄카드(선불권)를 판매촉진 활동으로 사용하는 뷰티샵을 이용하는 소비자 335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해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 t - test, 회귀분석 등이 이용되었다. 실증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사 대장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뷰티샵을 이용하는 소비자는 여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31-40세, 전문직, 월평균 소득 20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대상자의 51.9%가 프리미엄카드(선불권)를 이용해 본 적이 있거나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서비스상품의 쇼핑성향을 ‘충성적 쇼핑’, ‘계획적 쇼핑’, ‘탐색적 쇼핑’, ‘충동적 쇼핑’, ‘시간절약적 쇼핑’, ‘경제적 쇼핑’, ‘소극적 쇼핑’으로 명명하여 7개의 쇼핑성향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분류된 7개의 쇼핑성향을 ‘충성적 쇼핑형’, ‘경제적 쇼핑형’, ‘탐색적 쇼핑형’, ‘계획적 쇼핑형’의 4가지의 쇼핑성향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본 쇼핑성향 집단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 결혼여부, 직업, 월 평균 총수입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경제적 쇼핑형’은 제휴카드 가격할인 혜택, 프리미엄카드(선불권)에 대한 인식이 다른 쇼핑성향 집단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충성적 쇼핑형’은 다른 쇼핑성향 집단에 비해 프리미엄카드(선불권)에 대한 인식도와 만족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프리미엄카드(선불권)를 이용한 적이 있는 경우 쇼핑성향 집단 모두에서 다른 서비스 혜택보다 프리미엄카드(선불권)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모든 쇼핑성향 집단에서 프리미엄카드(선불권)의 이용도가 증가할수록 프리미엄카드(선불권)의 이용후 만족도와 구전/재방문 의도가 증가하는 정적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실증적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프리미엄카드는 다른 분야에서 사용하는 고객보상프로그램이 나타내는 결과와 같이 뷰티샵의 판매촉진에 있어서도 매우 효과적인 판매촉진 활동임을 밝혔고, 앞으로 고객의 특성에 맞춤한 프리미엄카드와 같은 고객보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함을 제언한다.

      • 프로그램에 의한 국내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실내공간 특성

        민은정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2

        현대사회는 인구 구조와 유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소비 스타일이 대두하면서 상품만 구매하는 시대에서 가치를 함께 구입하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에서 차별화된 프로그램에 의한 실내공간을 갖춘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출현을 촉진시켜 소비자에게 특별한 체험과 함께 안전하면서 희소성 있는 제품을 판매하는 공간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램에 의해 차별화된 국내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실내공간 특성을 분석, 파악하는 데에 있다. 프리미엄 슈퍼마켓은 상품, 기능, 디자인이라는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지니고 있기에 해외사례를 통해 확인한 프로그램 요소를 바탕으로 기능 복합성, 상징성, 접근성, 체험성, 차별성의 실내공간 특성을 도출, 분석틀로 삼아 2009년도 이후의 국내 프리미엄 슈퍼마켓 사례를 5곳을 대상으로 분석, 종합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의한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실내공간 특성인 기능 복합성은 프로그램의 복합화에 따른 특성으로 휴식을 위한 공간과 세미나, 이벤트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다양한 식음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식음 공간을 통해 기능 복합성을 표현하고 있었다. 상징성은 브랜드의 이미지를 스토리화하여 공간 구성, 마감재, 색상 등의 공간 전체 분위기를 표현하는 것으로 콘셉트에 맞는 이미지나 마감재를 통해 실내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거나 브랜드의 로고나 패키지 디자인, 유니폼과 쇼핑백 등 통일된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접근성은 출입과 동선, 다양한 기능, 서비스, 이벤트 등에 의한 즐거움과 편리함으로 소비자의 접근을 유도하여 표현하였다.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체험성은 공간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더해 요리 강연 및 푸드 쇼 등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얻어 구매로 이어지는 체험의 특성이 나타난다. 이외에도, 차별성은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적인 우위점을 만들기 위해 프로그램 요소가 특화되어 나타난다.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 요소를 도입, 실내공간에 적용하여 단독 건물로 차별화를 나타내거나 패션 및 라이프스타일의 개념을 공간화하고, 매장의 특화된 공간 구성이나 동선으로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차별성을 보이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의한 프리미엄 슈퍼마켓의 실내공간 특성은 기능 복합성, 상징성, 접근성, 체험성, 차별성 등이 연관되어 나타나는 곳으로 프리미엄 슈퍼마켓 실내디자인에 적용,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As various consumption styles rai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population structure and contribution environment, the modern society is altered from the era which customers purchased only the product, to the era which customers purchases the product along with its value. These change promoted an emerge of premium supermarket that has interior space based on differentiated program domestically. and it attracted public attention as a space where gives special experience to the customers and also a space where sells both scarcity and safe products.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both analyze and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domestic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As the premium supermarket has differentiated programs, such as product, function, and design. It drew a characteristic of function complexity, symbolism, accessibility, experienceability and differentiated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element that is verified through foreign cases. Also made analysis frame by program element, then we analyzed and synthesized the cases of 5 domestic premium supermarkets that are opened after 2009. As a result, the function complexity,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The function complexity provides a space for resting, seminar, and events according to the composite characteristic. And expresses the function complexity through food and drink space where people can learn about various cultures of food and drink. The symbolism constitutes the space by storytelling the image of the brand. By expressing the mood of whole space with finishing material, color, and etc. It expressed the interior mood symbolically through image or finishing material that fits to the concept or expressed by unified designs in brand logo or package designs, uniforms and shopping bag, and etc. Accessibility is expressed by inducing the access of customer through pleasure and convenience due to enter and moving line, various functions, services, events and etc. The experienceability of premium supermarket 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experience, which lead customers to purchase products by get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programs, such as cooking lecture and food show and etc. Above this, the differentiation is presented by specializing the program element to create differentiated superiority among other brands. In addition, introduced new program element, and by applying to interior space, it presents differentiation by constructing isolate building or spaces the concept of fashion and lifestyle. With store's composition of specialized space or moving line, the premium supermarket shows the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abov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based on program can be applied to the place where associated with function complexity, symbolism, accessibility, experienceability, and differentiation, such as premium supermarket's interior space. And we hope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applicable 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