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탄소강의 Nb(C,N) 확산 표면층에 미치는 질화 전처리의 영향

        이경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affect on Nb(C,N) diffusion coating layer growth behavior. The authors control the powder ratio and pre-treated gas nitriding compound layer thickness to observe the coating layer growth. The authors specifically focus on microstructural behavior of nitriding compound layer and its effect on Nb(C,N) growth produced by the thermo-reactive diffusion(TRD) process. In order to observe the powder ratio effect, gas nitriding was performed at 550 ℃ for 6 h and TRD was applied at 900 ℃ for 6 h. Powder ratio(FeNb : FeCl2) was controlled in 2 : 1 and 4 : 1. The Nb-carbonitirde coating layer thicknesses are 9.8 μm for 2 : 1 and 11.2 μm for 4 : 1, repectively. To clarify the pre-treated gas nitriding effect, gas nitriding was performed at 550 ℃ for 3 and 6 h, followed by TRD at 900 ℃ for 6 h. The nitriding compound layers had thicknesses of 10 and 16 μm for nitriding time of 3 and 6 h,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Nb(C,N) layers produced by TRD were 7.2 and 11.2 μm thick, respectively. Reheating at 900 ℃ transformed the microstructure of the nitriding compounds to Fe3O4 and FeN0.0939. As reheating proceeded to 30 min,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initially existing in the nitride layer diffused to 80–90 μm into the substrate. Therefore, the TRD process produced NbN layer at the interfacial area due to intensively dissolved nitrogen from FeN0.0939. As the TRD proceeded, supply of C atoms from the base metal became competitive withthe N diffusion. Thus, the TRD coating layer was grown to above the interface. Reheating at 900 ℃ for the 16-μm-thick nitride layer resulted in nitrogen content ~0.4 at.% higher than that for the 10-μm-thick nitride layer, thereby producing a thicker Nb(C,N) layer.

      • Si가 치환된 인산칼슘계 졸을 이용한 지르코니아 블록의 표면처리법 개발

        차주영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2

        Zirconia has already been used over 40 years for industrial purposes, which is considerably durable and very biocompatible. Also, color of zirconia is similar to tooth. For these reasons, Zirconia is widely used in medicine for applications of crown, bridges, implant and so on. In this study, zirconia is used for the material of dental prosthetics and implants. In dental prosthetics, resin cement is used to bond the zirconia to the tooth. But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resin cement is not physicochemically strong. Thus, bioactive glass coated zirconia block was prepared in this study. Bioactive glass is very biocompatible and different from general glass. Bioactive glass is mainly composed silica, calcium and phosphate which are existent in a proportion that is similar to the bone components. In addition, silica of bioactive glass is used as a material of resin cement. These characteristics can increase adhesive strength between bioactive glass-coated zirconia and resin cement. Bone implants are widely used for bone regeneration and repair in defect sites resulting from aging, disease, or accident. Hydroxyapatite based bioactive ceramics are extensively utilized in bone regeneration and repair applications. And hydroxyapatite has gained importance as an artificial bone implant due to its structural similarity with bone mineral and its excellent biocompatibility with hard and soft tissues. However, the hydroxyapatite does not have sufficient capacity to form an interface with existing bone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new bone. The answer to such problems lies in Si substitution of the hydroxyapatite the effectively overcomes some of these problems. The silic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rapid growth of initial bone(osteoid) as demonstrated by various studies. Therefore, Si substituted hydroxyapatite(Si-HA) has much greater potential than hydroxyapatite for rapid bone growth due to the differences in response to osteoid. The Si-HA has excellent growth ability of osteoid, but Si-HA has low mechanical strength as implant material. Therefore, we prepared Si-HA coated zirconia implant. In this study, Bioactive glass and Si-HA were synthesized by sol-gel method. The composition analysis of bioactive glass was conducted by ATR-FTIR, EDX, XRD. Also, morphology of bioactive glass sol coated zirconia was observed by SEM and AFM. Tensile test was also measured for comparison with non-coated zirconia. The morphology of Si-HA sol coated zirconia was observed by SEM. Cell growth behavior on Si-HA coated zirconia was assessed by MTT assay, ALP assay and ARS staining.

      • 미백 처리된 치아의 표면처리법이 레진과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

        최낙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9678

        치아미백제가 치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과 미백 처리된 치아에 레이저 및 인산처리가 레진과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법랑질(E)과 상아질(D)을 대상으로 미백 처리한(BL)군과 하지 않은(NB) 군으로 나누고, 이를 각각 미백 처리하지 않고 레이저 처리한(NBLA) 군, 미백 처리하고 레이저 처리한 (BLLA) 군, 미백 처리하지 않고 인산 처리한(NBAC) 군과 미백 처리하고 인산처리한(BLAC) 군으로 분류하여, 미백 처리 후, 레이저 및 인산 처리 후, 레진 결합 후와 파절 시험 후에 각각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로 관찰하고 레진과 치질간의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BL 군은 ENB 군 보다 20cm 정도 더 깊게 rhodamine B에 염색되었고, DBL 군도 DNB 군에 비해 상아세관의 입구 쪽이 함몰되어 보이고, 직경은 5cm 정도 넓게, 수직적으로는 20cm 정도 깊게 rhodamine B에 염색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ENBAC 군은 EBLAC 군에 비해 레진과 균일하게 결합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DNBAC 군은 DBLAC 군 보다 50cm 정도 깊게 레진이 침투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ENBLA 군과 EBLLA 군 간, DNBLA 군과 DBLLA 군간의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3. 법랑질 시편의 전단강도 측정결과 EBLAC 군이 ENBAC 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합강도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EBLLA 군과 ENBLA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상아질 시편의 전단강도 측정결과 DBLAC 군이 DNBAC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강도를 나타냈으나(p<0.05), DBLLA 군과 DNBLA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치아미백제가 법랑질 및 상아질의 표면 변화와 인산 처리 후 레진과의 결합력 감소를 초래함을 시사하였다. 치아미백제가 치질 표면에 미치는 영향과 미백 처리된 치아에 레이저 및 인산처리가 레진과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법랑질(E)과 상아질(D)을 대상으로 미백 처리한(BL)군과 하지 않은(NB) 군으로 나누고, 이를 각각 미백 처리하지 않고 레이저 처리한(NBLA) 군, 미백 처리하고 레이저 처리한 (BLLA) 군, 미백 처리하지 않고 인산 처리한(NBAC) 군과 미백 처리하고 인산처리한(BLAC) 군으로 분류하여, 미백 처리 후, 레이저 및 인산 처리 후, 레진 결합 후와 파절 시험 후에 각각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로 관찰하고 레진과 치질간의 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BL 군은 ENB 군 보다 20cm 정도 더 깊게 rhodamine B에 염색되었고, DBL 군도 DNB 군에 비해 상아세관의 입구 쪽이 함몰되어 보이고, 직경은 5cm 정도 넓게, 수직적으로는 20cm 정도 깊게 rhodamine B에 염색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ENBAC 군은 EBLAC 군에 비해 레진과 균일하게 결합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고, DNBAC 군은 DBLAC 군 보다 50cm 정도 깊게 레진이 침투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ENBLA 군과 EBLLA 군 간, DNBLA 군과 DBLLA 군간의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3. 법랑질 시편의 전단강도 측정결과 EBLAC 군이 ENBAC 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합강도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EBLLA 군과 ENBLA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4. 상아질 시편의 전단강도 측정결과 DBLAC 군이 DNBAC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강도를 나타냈으나(p<0.05), DBLLA 군과 DNBLA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 치아미백제가 법랑질 및 상아질의 표면 변화와 인산 처리 후 레진과의 결합력 감소를 초래함을 시사하였다.

      • 고무 인상채득시 지대치재료와 표면처리법의 영향

        정도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77

        본 연구는 4종류의 고무인상재를 이용한 인상채득시 치아와 지대치재료에 따라 나타나는 기포 수의 차이를 확인하고, 각 인상재에 사용된 표면처리제가 경석고 주모형의 표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고무인상재료는 Polyether계 인상재로 Impregum F^�가, Polyvinyl siloxane계 인상재로 Provil novo^�, Zerosil^�, Imprint^�가 이용되었다. 발거된 상악 제 1대구치에서 3/4 crown과 onlay를 위한 지대치 형성을 하였다. 형성된 지대치를 복제하도록 주형을 제작한 후, 콤포짓트 레진, 아말감, 주조용 합금을 이용하여 지대치를 제작하였다. 각각을 인상채득하였고, 인상체 표면에서 기포 수를 세었다. 표면처 리제로 Spannex II^�와 Cohere^�를 사용하고, 경석고를 부었다.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군과 각각의 표면처리를 행한 군 사이에서 주모형 및 인상재상의 기포 수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상채득 후, 인상체 표면에서 기포를 관찰한 경우 기포 수가 가장 적은 것은 Zerosil^�이고, Provi1 novo^�, Impregum F^�, Impint^�의 순으로 기포 수가 증가하였다. 2. 경석고 주모형의 표면에서 기포 수는 Impregum F^�와 Zerosil^�에서 가장 적 게 나타났고, Povil nono^�, Imprint^�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3. 각 지대치재료에 따른 기포의 수는 치아에서 가장 적었고, 주조용 합금, 아말감, 콤포짓트 레진의 순서로 증가했다. 4. 경석고 주모형의 표면에서 기포 수는 Spannex II^�를 처리한 경우 가장 적게 나타났고, Cohere^�를 처리한 경우, 표면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의 순으로 증가했다. 이상의 결과는 고무 인상재료 및 지대치를 이루는 각 수복재료의 종류가 기포 수에 영향을 주며, 경석고를 붓기 전의 표면처리가 정확한 주모형의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is to evaluate the wettability of 4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on tooth and different kinds of filling materials. The other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opical surfactants sprayed on the surface of each impression. The elastomeric impression materials used in this experimental study were one polyether(Impregum F) and three polyvinyl siloxanes(Provil novo, Zerosil, Imprint). The abutments were prepared for 3/4 crown or onlay on the extracted human first molar. The filling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for the duplication of prepared abutment were composite resin, amalgam, and casting metal. Impression was taken by manufacturer’s recommendations and the number of voids on the impression surface was counted. The topical surfactants were Spannex II^(r) and Cohere^(r). The wettabil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voids between non-treated group and treated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Zerosil^� showed the least number of voids on the impression surface. The number of voids increased in order of Prod novo^�, Impregum F^�, and Imprint^�. 2. Impregum F^� and Zerosil^� showed the least number of voids on the surface of dental stone master cast. The number is increased in order of Provil novo^� and Imprint^�. 3. When abutment material is tooth, the number of voids on the surface of master cast was smallest compared with that of other abutment materials. The number of voids increased in order of casting metal, amalgam and composite resin. 4. The number of voids on the surface of the dental stone master cast was smallest when Spannex II^� was used, followed by Cohere^� treated group and non-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 in wettability caused by the types of rubber base impression materials as well as abutment materials can affect the number of voids. And the use of topical surfactant for rubber base impression materials can improve the wettability of the materials and enhance the accurate master cast which has fewer surface voids.

      • 여러 가지 표면처리법이 금 전극에서의 글루코즈 산화반응에 주는 효과에 관한 연구

        조상은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glucose at a gold electrode with different treatments was examined in a neutral solution. Electro-oxidation of glucose was performed without using a glucose oxidase enzyme. The different treatment methods were annealing, mechanical polishing with alumina powder (0.05 ㎛, 0.3 ㎛), and amalgamation by simply immersing in murcury for different times (10 s, 30 s, 60 s). The amalgamation of the gold electrode gave large surface area, rough surfaces, and high catalytic sensitivity. The O_(2) reduction, the presence of the chloride ion, and unwanted oxidations of interfere materials such as ascorbic acid, acetamidophenol and uric acid, gave problems for an amperometric glucose oxidation. To determine the glucose concentration, a glucose calibration curve with a range between 0 and 60 mM was obtained using chronoamperometry avoiding oxidations of ascorbic acid, acetamidophenol, and uric acid.

      • 질화 표면처리된 신장기를 이용한 수평적 골신장술후 효과에 관한 연구

        박철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 to evaluate the osseointegration at implant after horizontal distraction osteogenesis in narrow alveolar bone and compare that if there is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Titanium distraction device and TiN coated device. Four adult mongrel dogs, weighting about 9-10kg were used in this study. The lower premolars were extracted and horizontal distraction with conventional Titanium distraction devices(group 1) and TiN coatd devices(group 2). After 8 weeks of consolidation period, implants were installed and the dogs are sacrificed after 4 and 8 weeks. For the evaluate the osseointegration around implants, histomorphologic analysis was performed. There was 1 failure in experimental group 1 because of fracture of the device. Direct bone contact was achiev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1 and group 2 of osseointegration around implants at 4 and 8 weeks. As a result, Intraoral distraction osteogenesis can be a good option fo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of the severely atrophied ridges and TiN coated device may be more useful for its advantages for example surface hardness, corosion residence, reduction of bacteria etc.

      • (The) biocompatibility of the precipitation-enhancing anodic oxidation on titanium implant material

        황선홍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박사

        RANK : 233310

        임플란트 표면처리법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골유착 과정을 빠르고 견고하게 이루려는 데 있다. 초기의 기계가공된 면에서 중등도의 거친 표면이 선호도를 갖게 되었다. 티타늄은 산화막의 생체 불활성의 성질 때문에 최선의 재료로 선택 되었다. 중등도로 거친면을 갖는 티타늄 임플란트는 주로 기계적인 결합에 의해 즉 거친 표면과 골간의 결합에 의해 골유착을 이룬다. 생화학적인 결합력을 얻기 위해서 금속표면에 Hydroxyapatite를 입히는 방법등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의 문제점은 Hydroxyapatite의 결정구조가 일정치 않은 것과 생체내에서 표면이 떨어져 나오는 점이 생긴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티타늄표면의 화학적 변화를 주는 표면 처리법이 연구되었고, 알카리 열 처리법, 양극 산화법 등이 그 예이다.$$a$$a이 번 연구의 목적은 양극 산화법에 화학적 변화를 발생한 침전강화 양극 산화법으로 처리한 티타늄 금속의 생체 친화성을 기계가공된 표면과 양극 산화법으로 처리된 표면과 비교하여 연구함이다.$$a$$a시편은(10mm×10mm×1m, 5mm×5mm×1mm) 상업적순수 티타늄으로 제작되고 표면처리는 기계 가공면, 양극 산화법, 침전강화 양극 산화법으로 처리하였다.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상 분석, SEM, 세포 증식도, 생체 활성도, 세포 독성검사 등이 이용되었다.$$a$$a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a$$a1. 상 분석 결과 Group 2 와 Group 3에 분석된 산화막의 결정구조는 Anatase로 나타났으나. Group 1의 경우는 Anatase구조가 발견되지 않았다.$$a$$a2. Group 2 과 Group 3의 SEM 분석결과는 형성된 pore의 크기가 직경 0.2µm 에서 3µm 까지 다양하고 주로 1-2µm의 크기가 관찰되었다. 관찰된 pore의 분포는 방향성을 갖지 않고 날카로운 구조는 보이지 않았으며, 분화구 모야의 형태를 보여준다. 산화막의 두께는 7-10µm 정도로 관찰 되었다.$$a$$a3. 세포 증식도, 생체 활성도, 세포 독성검사의 결과는 침전강화 양극 산화법이 초기에 생체 반응에 우수한 결과를 보이나 장기적 관찰결과에는 차이가 없고, 용출액을 이용한 세포 독성검사에도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a$$a이번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침전강화 양극 산화법이 골유착에 유리한 조건을 갖는가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고, 툭히 침전물이 표면에 어떻게 부착되는지 임플란트 식립 후에도 침전물이 남아있고, 골유착 과정에 어느 역할을 담당하는 지 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a$$a The studies regarding the surface of titanium implant have focused on reducing the healing period of osseointegration from the early machined surface to the modified surface of numerous methods. Titanium as a bioinert material is material of choice due to bioinertness of titanium oxide. Moderately roughened surface of titanium is mainly anchored by biomechanical bonding. In order to achieve biochemical bonding, coating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However, hydroxyl apatite coating as a biochemical bonding has potential drawbacks like inconsistency of the crystallinity and delamination from the titanium surface.$$a$$aChemical modification of titanium surface is studied in vitro such as alkali heat treatment, and anodizat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biocompatibility of a novel anodic oxidation, which is called precipitation-enhancing anodic oxidation, compared with anodized and machined surface of titanium.$$a$$aSpecimens (10mm×10mm×1m, 5mm×5mm×1mm) are fabricated with commercially pure titanium and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are done such as machined, anodic oxidation, and precipitation-enhancing anodic oxidation. Phase analysis, SEM, cell proliferation, bioactivity, and MTT test are examined to compare the biocompatibility of the specimens.$$a$$aThe results of the studied showed as follow$$a$$a1. Phase analysis showed that anatase form of TiO2 was found in Group 2 (anodic oxidation) and Group 3 (precipitation-enhancing anodic oxidation), not in Group 1 (machined surface)$$a$$a2. SEM photographs of Group 2 and Group 3 revealed that the size of the orifices was varied from 0.2µm to 3µm, predominantly in the range 1-2µm. The pore structures were arranged irregularly without any direction and the periphery of the pores were erupted slightly. The thickness of TiO2 were expected to be around 7-10µm.$$a$$a3. Cell proliferation, Bioactivity test, and MTT tests in this study confirm that precipitation-enhancing anodic oxidation has potential affinity and non-toxic to cell attachment and growth.$$a$$aThis preliminary work tried to observe the biocompatibility in novel anodic oxidation compared with anodic oxidation and machined titanium. After this preliminary study was done, more questions like what is the composition of precipitant, how well dose the precipitant remain in bone after the insertion of the implants, and what is the role of precipitant to enhance the osseointegration in living bone, need to be answered in the future study.$$a$$a

      • AIP법에서 증착변수가 TiN 코팅 고속도강의 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해지 慶尙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33295

        The effects of deposition parameters in arc ion plating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iN-coated high speed steel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various arc ion plating coating parameters are considered including the deposition temperature in the range of 350 to 550 ℃, the deposition time in the range of 10 to 180 minutes, the bias voltage in the range of -10 to 200 V, and N2 gas pressure in the range of 0.1 to 2 Pa. The microparticles, surface roughness, micro-hardness, coated layer thickness, adhesion, and the atomic distribution of Ti, N, and Fe elements are measured and quantified to evaluat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TiN-coated layers. Through the experimental study, the following deposition conditions is proposed as the reference deposition conditions: the deposition temperature of 450 ℃, the deposition time of 120 minutes, the bias voltage of -100 V, and the N2 gas pressure of 1 Pa. The reference deposition conditions are validated through their application to a cold forging process of an axisymmetric bearing part found in a cold forging company. It is concluded that the effects of deposition parameters in arc ion pla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N-coated products were revealed in detail through this experimental study and that the reference deposition conditions validated through application to actual cold forging dies were proposed to help process engineers determine their optimal deposition conditions with the product quality and cost considered.

      • Evaluation of composite repair with various surface treatments and bonding systems

        황선웅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9 국내석사

        RANK : 233292

        실패한 수복물의 재수복은 진료실에서 가장 흔히 시행되는 술식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재수복은 부분적인 수리만 시행할 경우에 비해 건전한 잔존치질을 더 많이 제거하게 되며, 더 많은 치료 시간을 소비하게 된다. 하지만, 수리를 시행하게되면, 기존의 복합레진 부위와 새로운 복합레진간의 결합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복합레진 수리시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이아몬드 버를 이용하여 표면을 거칠게 하거나, 알루미나를 이용한 샌드블라스팅, 실리카 처리된 입자를 이용한 샌드블라스팅, 또는 표면 활성제의 이용 같은 많은 방법들이 실험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세 전단 결합 강도 시험을 통해 다양한 표면 처리법과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노화된 복합레진의 수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총 108개의 복합레진 시편(직경 8mm, 높이 2mm)을 Ceram-X mono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각 시편의 윗면을 POGO를 이용하여 연마하고 열순환으로 노화처리하였다. 노화처리 후 시편은 무작위로 표면처리법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알루미나(50mm) 샌드블라스팅 처리 군 : (1) 실란전처리제 도포, (2) 실란전처리제 미도포 - CoJetTM 샌드블라스팅 처리 군 : (3) 실란전처리제 도포, (4) 실란전처리제 미도포 -초미세 입자 다이아몬드 버 처리 군 : (5) 실란전처리제 도포, (6) 실란전처리제 미도포 표면 처리후, 다음의 접착시스템중 - 1) Heliobond 2) AdperTM Single Bond 2 and 3) XP Bond - 하나를 적용한 후. 새로운 복합레진을 Tygon tube안에 채웠다. 시편은 다시 술후 노화(5-55도,5,000 회 열순환) 시행 그룹과 술후 노화 미시행 그룹으로 나누고, 미세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 양상은 10배의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되었다. 표면 처리 후 시편의 표면 변화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통계 분석은 결합 강도 결과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별군을 비교하기 위해 Tukey test를 사용하였고, 각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LSD multiple comparisons을 사용하였다.(=0.05)36개 실험군들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p>0.05) 표면 처리법, 실란전처리제 처리, 그리고 술후 노화 과정 요소들은 결합강도에 유의할만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Heliobond 처리군은 가장 높은 수리 결합 강도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 XP Bond 처리군과 AdperTM Single Bond 2 처리군의 순서였다.(p<0.05) 파절 양상은 대부분 접착성 파절 또는 혼합 파절을 보였다.본 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노화된 복합레진의 수리시 접착 시스템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otal replacement of the failed restora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done in daily practice. This approach may remove more sound tooth structure and consume more time than partial repair. However,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old and new composite restorations have been lower than the new ones. For recovering the bond strength, many methods have been tested, such as roughening the surface with a diamond bur, sandblasting with aluminum oxide particles, sandblasting with the silica coating particles, or surface activ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ged composite repair ability using various surface treatments and bonding systems through micro-shear bond test.108 composite specimens (diameter 8mm, height 2mm) were made with Ceram-X mono. The top surface of each specimen were polished with POGO and aged by thermocycling. After aging, the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surface roughening methods. - Al2O3 sandblasting (50 mm) with (1) and without (2) silane application - CoJetTM Sandblasting with (3) and without (4) silane application - Extra-fine grit bur grinding with (5) and without (6) silane application After roughening the composite surface, one of the following bonding systems were applied - 1) Heliobond 2) AdperTM Single Bond 2 and 3) XP Bond - and composite was packed into Tygon tube. The specimens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postaging (5,000 thermocycled, 5-55℃) and non-aging groups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Fracture modes were examined under the microscope (x10). The morphological change of the specimens after surface roughening procedure was observed using SEM. For statistical analysis, bond strength data were submitted to one-way ANOVA. Tukey test (for comparing the individual group) and LSD multiple comparisons (to analyze each factor) were made (=0.05)36 experimenta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Surface treatment procedures, silane treatment, and post-aging facto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bond strength. Heliobond showed highest repair bond strength, followed by XP Bond and AdperTM Single Bond 2 respectively. (p<0.05) For the fracture mode analysis, adhesive and mixed failures were the most frequent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air of the aged composite was affected only by the bonding system

      • 질화티타늄 처리가 니켈-티타늄 전동파일의 피로파절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황인자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278

        1. 목 적 근관치료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니켈-티타늄 전동파일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나, 반복사용으로 인한 피로도 증가는 기구의 파절을 야기한다. 본 연구는 질화티타늄 처리가 반복적인 굽힘 응력에 대한 니켈-티타늄 전동파일의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시행되었다. 2. 방 법 본 실험에서는 K3 (SybronEndo, Daegu, Korea, #25/.06taper)와 Helix (Diadent, Daegu, Korea, #30/.06taper) 니켈-티타늄 파일이 각각 24개씩, 총 48개 사용되었다. 실험군으로 사용된 절반의 파일에는 기화시킨 질화티타늄 막을 코팅하는 물리증착법이 적용되고, 대조군으로 사용된 절반의 파일에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다. 실제적인 근관의 모습과 파일의 운동을 재현하기 위하여 고안된 장치인 Endo tester (Denbotix, Bucheon, Gyeonggi-do, Korea)를 이용하여 모든 파일이 파절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각 자료의 결과는 맨-휘트니 분석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표면처리가 파일의 표면 특성에 미친 영향과 일어난 파절의 메커니즘을 알기 위해 개의 실험군 (n=12)과 개의 대조군 (n=12)에서 임의로 한 개의 파일을 선택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표면을 관찰하였다. 3. 결 과 질화티타늄 처리는 K3 파일과 Helix 파일의 피로파절 저항성에 있어 상반된 효과를 보였다. 질화티타늄 물리증착 처리는 K3 파일의 NCF(Number of cycle to failure) 값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킨 반면, Helix 파일의 NCF값은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실험군의 경우 표면에 질화티타늄 막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SEM 관찰결과 파일의 파절 단면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전형적인 피로파절의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질화티타늄 처리는 두 가지 니켈-티타늄 전동파일의 피로파절 저항성에 있어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각 파일의 성질에 따른 질화티타늄 물리증착법의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1.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itanium nitride coating treatment on the cyclic fatigue resistance of two nickel-titanium rotary instruments. 2. Methods A total of 48 Nickel-titanium files from two brands (K3, SybronEndo, Daegu, Korea, #25/.06taper; Helix, Diadent, Daegu, Korea, #30/.06taper) were tested. Experimental group (12 files from each brands) was treated with titanium nitride through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method. There was no treatment to control group. A Endo Tester (Denbotix, Bucheon, Gyeonggi-do Korea) that is simulated actual canal configuration and pecking motion of files allowed the instruments to rotate freely inside and move up and down along the artificial canal. The time to fracture takes place is recorded and is multiplied by RPM (revolution per minute) for getting the NCF (number of cycles to Failure). SPSS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analyze each results with Mann-Whitney U test that is one of the non-parametric test. Total 4 files randomly selected from each groups were examined using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is fractography provides information of fracture mechanism and influence on each files of the surface treatments. 3. Results The titanium nitride coating had offered conflicting results to cyclic fatigue resistance of K3 and Helix files. NCF of K3 files coated with titanium nitrid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Helix fil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presences of titanium nitride coating membrane were observed under SEM. Typical fatigue fracture mechanism was occurred to every groups. As a results, titanium nitride treatment showed conflicting effects to fatigue fracture resistance of two brands, so further research for this treatment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