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2 채집 및 지중 저장, 수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수요 예측 연구

        홍수봉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re is growing interest about the future demand of a CO₂pipeline infrastructure if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 technologies are commercially developed on a large scale. A growing pipeline network is developed to transport CO₂from natural and anthropogenic sources to CO₂- EOR injection points or oil and gas reservoirs. With a growing interest of CCS, there have been some significant advance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that serve to facilitate CO₂transport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guidance on how multi-user transport networks should be organized and financed. Poor planning and initial underinvestment in CO₂pipeline capacity can lead to inefficient networks and higher lifetime costs. An efficient CO₂infrastructure is crucial to reducing the costs of CCS, given the potential for clusters which will facilitate the transition to early market deployment. In conclusion, this paper estimates the scale and location of future CCS infrastructure requirements to help with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 이산화탄소 파이프라인 수송망의 경제성 평가 및 최적화 연구

        강병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난 수백 년 간 전 세계의 에너지·화학 산업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지만, 여러 환경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 중, 온실가스 방출로 인한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교토 의정서 협약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주요 온실 가스 감축에 대한 노력이 전 세계에서 진행 중이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Carbon Capture & Storage)은 전력 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다. 2050년에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이 전 세계 온실 가스 감축량의 19% 이상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산화탄소 수송 기술은 주거 및 산업 지역에 운영되기 때문에 안전성의 확보가 중요하고, 경제성 관점에서 효율적인 수송 수단을 선택하게 되면 전체 공정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기존의 이산화탄소 수송 기술 연구는 파이프라인만을 고려한 독립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파이프라인 수송 기술은 포집, 저장 기술과의 통합성을 고려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기술을 고려한 통합적인 이산화탄소 파이프라인 수송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학적 관점에서 안전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이산화탄소 파이프라인 수송망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의 도입 및 연구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파이프라인 수행을 위한 타일 트래버설 기반 스캔 컨버젼 유닛 설계

        전원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실감나는 3차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빠르고 효율적인 그래픽 가속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래픽 가속기는 각각의 역할이 뚜렷한 파이프라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3차원 그래픽의 특성상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해야만 한다. 따라서, 그래픽 가속기를 설계하는데 있어 파이프라인의 효율적인 구성과 메모리 효율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래스터라이제이션 알고리즘 중의 하나인 타일 트래버설 알고리즘을 적용시킨 스캔 컨버젼 유닛을 구성하였다. 타일 트래버설 알고리즘은 기존의 스캔-라인 알고리즘과는 달리 메모리 페이지 크로싱 발생 빈도가 적고, 텍스쳐 캐쉬의 지역성을 높임으로써 캐쉬의 적중 실패율을 낮추어 메모리 대역폭의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스탬프 이동상에 있어 분기발생으로 인한 파이프라인 지연이 발생하여 파이프라인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어 구성상에 어려움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분기 예측 방법을 적용시켜 파이프라인을 구성함으로써 파이프라인 효율을 최대화하여 파이프라인 효율성과 메모리 효율성에 대한 두 가지 목적을 최대화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타일 트래버설 구조와 스캔-라인 구조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설계한 구조의 성능 측정 및 가속기 설계에 있어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To support real-time 3D graphics scenes, high-performance graphics accelerator is essential. Graphics accelerator is made up of explicit pipeline architecture, and processes 3D graphics data which have huge amount of data set.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of efficient organization of the graphics pipeline and memory systems. In this paper, the tile traversal scan conversion unit based on tile traversal algorithm and branch prediction scheme for pipeline execution of the tile traversal unit is proposed. Tile traversal algorithm has several advantages in comparison with scan-line algorithm. For example, it reduces memory page crossing frequency and improves texture cache performance by decreasing miss ratio through increasing texture locality. So Tile traversal unit saves memory bandwidth. However, it has some problems for constructing traversal pipeline. At first, the algorithm is more complex against scan-line algorithm. So it is need to set the new pipeline stage and require more H/W cost. But,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branch is occurred during triangle traversal. To find next stamp position, current stamp must be passed all traversal pipeline stages. When branch is occurred, traversal unit has pipeline stall and it reduces pipeline efficiency. Therefore branch prediction scheme is proposed to maximize traversal unit performance. The goal is maximization of both pipeline and memory efficiency on tile traversal unit. Through the simulation results, various factor analysis are accomplished and we can 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page crossing frequency and tile size, tile size and branch rate, execution cycle for two algorithms (scan-line and tile traversal) etc. We can find that branch rate can be reduced up to about 77% by branch prediction scheme. As we focus only rasterizer unit, proposed tile traversal unit has less performance than scan-line based scan conversion unit for branch. However, it can overcome these factors through advantages of tile traversal algorithm (reducing page crossing rate and increasing texture cache performance). Therefore we can design the optimized tile traversal scan conversion unit by considering these factors.

      • 용접부 균열이 존재하는 파이프라인의 변형률 기반 파괴역학 매개변수 및 인장변형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장윤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Strain-based design (SBD) is known as an appropriate design method when the main load type is a displacement-controlled load condition such as ground deformation. Since SBD allows plastic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the pipeline performance can be utilized more economically than the traditional stress-based design method. In the SBD, deformation performance is generally divided into the compressive strain capacity (CSC) and the tensile strain capacity (TSC). The main fracture mechanism of CSC is a buckling failure, whereas that of TSC is tensile rupture due to the girth weld crack. To quantify the TSC of pipeline, the crack assessment for the pipeline with a girth weld crack should be performed, and elastic-plastic fracture mechanics parameters need to be calculated. Elastic-plastic fracture mechanics parameters are generally considered as J-integral and crack-tip opening displacement (CTO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alculation of fracture mechanics parameters considering various design factors of the pipeline. However, the current CTOD definitions are divided into a 90° virtual displacement criterion and an initial crack tip location, and it is unclear which the CTOD definition accurately represents the crack behavior. When performing crack assessment for predicting TSC of a pipeline, CTOD of the same defin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one of the pipeline material properties, the Lüders strain known to affect the discontinuous behavior of the fracture mechanics parameters increases the complexity of crack assessment for the pipeline. Accordingly,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the TSC of the pipelin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thod to calculate the fracture mechanics parameter considering various pipe geometry, crack sizes, material properties and internal pressure loading condi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ngineering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calculation of strain-based elastic-plastic fracture parameters for pipelines with a weld defect. The elastic-plastic fracture parameters were calculated through a systematic finite element (FE) analyses considering the pipe geometry, crack size, material properties, internal pressure loading conditions, and the strain range of interest.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each design factor on the elastic-plastic fracture parameters. Based on the results of FE analyses, we develop the closed-form of engineering prediction equation for elastic-plastic fracture parameters through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prediction equations, tensile testing of the curved-wide plate (CWP) specimen was performed. And the CWP tensile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dictive results. Furthermore, by comparing the TSC evaluation results for each of the elastic-plastic fracture parameters, we examine the effect of the definition of the parameters on the TSC assessment results.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prediction equations was examined using the tensile test results of the full-scale pipe (FSP) from the PRCI (Pipeline Research Council International) technical report. The differences between TSC assessments from the tensile tests and the prediction equations were investigated. Inherent experimental factors that were not considered in the developed prediction equations were analyzed and the safety factors were determined to consider the uncertainty from the tensile test of FSP. 변형률 기반 설계는 파이프라인이 받는 하중 형태가 지반 변형과 같은 변위 제어 조건일 경우에 적합한 설계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조물의 소성 변형을 허용하기 때문에 응력 기반 설계법보다 경제적으로 파이프라인 성능을 활용할 수 있다. 변형률 기반 설계 시, 설치 지반 환경 조건에서 발생되는 요구 변형률(Strain demand)과 파이프라인의 저항 특성을 의미하는 변형성능(Strain capacity)을 비교하여, 변형성능이 더 크도록 설계된다. 변형성능은 크게 압축변형성능(Compressive Strain Capacity, CSC)과 인장변형성능(Tensile Strain Capacity, TSC)으로 나뉘게 되며, CSC는 좌굴에 의한 파손, TSC는 용접부 균열에 의한 파손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용접부 균열이 존재하는 파이프라인의 TSC는 파괴역학 기반 균열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탄소성 파괴역학 매개변수 계산이 필요하다. 탄소성 파괴역학 매개변수는 J-integral과 균열선단 열림 변위(Crack-Tip Opening Displacement, CTOD)가 있으며, 파이프라인의 다양한 설계 인자가 고려된 파괴역학 매개변수 계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CTOD 정의는 90°가상변위 기준과 초기 균열선단 위치 기준으로 나뉘어 있으며, 어떤 CTOD 정의가 균열 거동을 정확히 나타내는지에 대해 불분명한 상황이다. 파이프라인의 TSC 예측을 위한 균열 평가 시, 동일한 정의의 CTOD를 사용해야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정의의 CTOD 계산식이 개별적으로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균열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파이프라인 재료 특성 중 하나인 뤼더스 밴드(Lüders band)는 하중에 따른 파괴역학 매개변수의 불연속적인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균열 평가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배관 형상, 균열 크기, 내압 조건에 대한 정확한 파이프라인의 TSC 평가를 위해서, 각 파괴역학 매개변수 정의와 뤼더스 밴드 재료 특성이 고려된 파괴역학 매개변수 계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접부 균열이 존재하는 파이프라인의 변형률 기반 탄소성 파괴역학 매개변수 계산을 위한 공학적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탄소성 파괴역학 매개변수는 파이프라인의 주요 관심 배관 형상, 균열 크기, 재료 물성, 내압 조건, 변형률 범위를 고려한 체계적인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계산되었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각 설계 인자가 파괴역학 매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기반으로 다변수 회귀 분석을 통해 각 파괴역학 매개변수 별 Closed-form 공학적 예측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측식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휜 광폭 평판(Curved-Wide Plate, CWP) 시편의 인장 시험이 수행되었으며, CWP 인장 시험 결과와 예측식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각 파괴역학 매개변수 별 TSC 평가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매개변수의 정의가 TSC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해외 파이프라인 기술 보고서에 제시된 실배관 인장 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 개발된 예측식 평가의 적용성을 검토하였으며, 실배관 인장 시험 결과와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 검토하였다. 개발된 예측식에 고려되지 못한 내재적 실험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불확실성을 보완하기 위한 안전계수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안전계수는 파이프라인의 보수적인 TSC 평가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업의 리더십 파이프라인 사례연구

        강경남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기업이나 조직의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과거와는 달리 기업의 전반적인 변화와 혁신과제를 추진할 수 있는 전략적 사고 및 이를 위한 리더십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과거의 일반적인 교육이 기업의 특수상황을 고려한 맞춤식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념과 개념 위주의 교육이 보다 다양하고 혁신적인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과거 개인 위주의 교육이 팀 단위 혹은 조직 전체에 파급효과가 큰 교육으로 바뀌고 있으며 국제적인 환경에서의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리더십 파이프라인은 조직 전체의 구성원이 각 직책에서 요구하는 리더십 핵심역량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로서 최근 리더십이 강조됨에 따라 리더십 개발에 대한 조직의 관심도 크게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시대별 리더십 이론의 특징과 유형을 살펴보는 것은 물론, 조직에서 탁월한 리더를 어떻게 양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리더십 파이프라인을 토대로 한 사례를 연구하여 국내외 기업에서 리더 양성을 위한 리더십 파이프라인은 무엇이며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고자 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업의 리더십 파이프라인이 개인 및 조직 차원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이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기업의 핵심인재 개발 프로세스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각 단계별 세부적인 내용은 기업의 사정 등으로 인해 공개가 제한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어 구체적인 내용 및 교육방법 등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조직에 필요한 리더를 스스로 양성해야 한다는 점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은 물론, 이제는 이와 같은 리더십 파이프라인을 조직의 핵심가치 및 조직문화와 연계시켜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에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Educational is emphasized to strategic think and leadership for this that can proceed with a general change and an innovative assignment of a company unlike the pasts, and recent company or leadership educational program of an organization are trend. And the order that historic general education took a special situation of a company into consideration gets cold, and I am converted by education, and I am changed by an ideology and conceptual-oriented education educational, more various, and to be innovative. Too historic personal-oriented education is changed by a team unit or organized large education all over effective a reaching, and educational of the student center is emphasized in international environments. As recent leadership is emphasized as models to do it so as to be able to study ability key leadership organized all the member requiring of at each titles, an interest of an organization regarding leadership development is increased greatly, and the leadership pipe line that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rend. Therefore, I try to have would be worried about I studied the reward that was based on a leadership pipe line how this study was training a leader to excel you in it not to mention watching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theory by the times and a type through literature study in organizations, and a leadership pipe line for leader training was what, and what kind of future directions I should go forward to in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y at individuals and organized dimensions a leadership pipe line of too this company will light up to thing that play it, and had to race with an interest regarding this and effort. And this study is the core of a company develop again it, and is treating a process, but contents to be detailed by each step are carrying critical point limited open by circumstances of a company etc., and presentation is done concrete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 etc. was inferior. But form sympathy regarding point, and I will light up to thing that I had to train in person a necessary leader through this study at an organization that you had to lean to special interest and effort to what you let you connect now this leadership pipe line with valu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key of an organization, and you develop it, and you apply.

      • 파이프라인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파이프랙의 동적 특성 분석

        김관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2016년 경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한반도 지진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지진이었으며 그 이래로 내진설계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맞추어 국내 내진 성능 수준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개정을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항만 및 어항설계기준(KDS 64 17 00)”의 구조물 중 하나인 파이프랙은 유류 및 가스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을 지지하는 구조물로, 손상 시 파이프라인 관내 유체 유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파이프라인이 손상되면 관내 수송물질 유출로 인하여 화재 및 폭발, 심각한 환경오염 등을 초래할 수 있어 높은 내진 성능 수준을 요하므로 설계 간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파이프랙과 파이프라인은 서로 동적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국내 내진설계 기준에서는 파이프랙과 파이프라인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파이프랙 내진설계에 있어 파이프라인과의 동적 상호작용을 고려할 경우 나타나는 파이프랙의 동적 특성을 분석하여 현행 내진 설계 기준에 의해 설계된 파이프랙을 개선 및 보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기존 대비 경제적인 설계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현행 국내 내진설계 기준에 따라 다양한 조건의 파이프랙을 모델링하고 현행 절차에서 고려하지 않는 파이프라인-파이프랙 상호작용을 적용해 그 여부에 따른 파이프랙의 동적 특성을 수치로 나타내어 검토하였다. 파이프라인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경우, 동일 하중 입력 시 구조물 피해 완화가 예상된다. 파이프랙의 다양한 구조 형상 및 부재 단면을 적용하여 파이프랙의 변위 감소 효과의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Ever since the earthquake that occurred in Gyeongju in 2016, the importance of seismic design has been increased because it was the largest earthquake ever observed o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domestic seismic performance level. Pipe rack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pipelines that transport oil and gas, and is one of the important structures of the “Port and Fishing Port Design Standard (KDS 64 17 00)”. This current study is carried out to review the performance of pipe rack carrying oil and gas, which has a huge possibility to lead to a disaster. If the oil and gas pipeline is damaged, it may lead to fire, explosion, and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leakage, hence requiring a high level of seismic performance. Although pipe racks and pipelines have different dynamic characteristics, the current domestic seismic design standards do not consider the interaction between pipe racks and pipeline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pipe-racks that appear while considering pipeline interaction in the design of pipe-racks, and finally suggesting ways to improve and reinforce pipe-racks designed under current seismic design criteria an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economic design compared to the existing ones. In this study, pipe racks under various conditions were modeled according to the current domestic seismic design standards,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pipe rack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pipeline-pipe rack interactions are expressed numerically and are examined.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pipe rack was carried out considering with and without the interaction with the pipeline. By applying various structural shapes and member cross-sections of pipe racks, we tried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 pipe rack displacement reduction effect.

      •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에 관한 연구

        김필종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5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의 제작공정은 제작기술의 발전과 예산의 대규모화로 인해 그 구조가 더욱 복잡화, 세분화, 비선형화되고 있으며, 프로덕션 타입, 제작규모, 제작방식과 같은 유형에 따라 제작 파이프라인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성은 제작기간과 예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며, 프로젝트의 성패를 좌우 할 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의 많은 3D 컴퓨터애니메이션 프로덕션들이 제작 파이프라인을 구성하는데 있어 정작 그 개념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구성 방법에 대한 정보의 부재로 인해 많은 시행착오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며, 때문에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개념과 그 구성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할 때이다. 이러한 연구의 배경을 주목하여 본 연구는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의 제작 파이프라인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국내 프로덕션 실정에 맞는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성 방안을 모색 하고자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1차적 연구로 제작 파이프라인의 예비적 고찰을 통하여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개념을 정리하고,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성요소들을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으로 나누어 살펴봄과 동시에 12개의 연구대상 프로젝트들을 중심으로 각 제작 단계에서의 주요포지션들의 직무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2차적 연구로는 국내 저예산 프로젝트에 맞는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기위하여 3B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프로덕션의 타입과 창의적 지향점, 예산과 스케줄, 그리고 구성원,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사양과 같은 자원에 대하여 연구하여 파이프라인 구성에 있어서 이러한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증명한다. 그리고 12개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를 프로덕션의 타입, 제작규모, 제작방식에 따라 유형별로 분석하여 국내의 3D컴퓨터애니메이션 프로덕션을 위한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성 방법론을 살펴보고, <큐빅스>와 <슈렉2>의 제작 사례를 통하여 제작 파이프라인이 실무에 있어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성방법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의 제작 파이프라인 구성 모델과 방법론은 프로젝트의 성향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충분히 변화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만은 아니며,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의 구성을 위해서는 그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고, 프로덕션내의 작업자간의 정보의 공유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덕션의 환경(예산, 스케줄, 구성원 등의 자원)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추어 구성해야 할 것을 주장하며 결론을 도출한다. A production process of 3D computer animation is getting more complicated, segmented and non-linear with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ies and increased budget. Depending on production type, scale and method, production pipeline has gone through numerous changes in terms of form. In addition, making 3D computer animation tends to influence production period and budget and is also a decisive factor for failure or success. Nevertheless, many 3D computer animation producers at home and abroad have experienced trials and errors as well as difficulties since they lack understanding of 3D computer animation per se and information about how to make. Hence the urgent need for redefining what 3D computer animation's production pipeline is and how 3D animation is made of. At this juncture, this study hopefully will boost understanding of 3D 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pipeline and seek a method of how to make 3D 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pipeline suitable for domestic climate.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3D 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pipeline will be discussed through a preliminary inquiry into production pipeline, and structural elements of 3D 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pipeline will be put into 3 categories and discussed;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At the same time, with focus on 12 projects of study subject, major positions' tasks at each production level will be shown, too. On top of that, to seek a way to make a 3D computer animation for low-budget project in Korea, production type, a goal of creativity and resources such as budget, schedule, staff, software and computing power, which can have an effect on formation of 3D 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pipeline, will be covered, and what impact these factors will have in the formation of pipeline will be proven in this study. And then, 12 animation projects will be analyzed case by case according to production type, production scale and method, and structure methodology of production pipeline for 3D computer animation will be discussed. With production examples such as <Cubix> and <Shrek 2>, how production pipeline is applied in real will be dealt with. By doing so, this thesis will explain formation methodology of a 3D computer animation production pipeline. The production pipeline formation models and methodology of 3D computer animation suggested by this thesis should not be an absolute guide since it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In other words, formation models and methodology of each project can differ depending on the nature of a certain project and its surroundings. At the end of this study, to form a production pipeline of 3D computer animation, this thesis argues that project participants should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ir project and share information on their project actively. To guarantee this, in the process of formation, taking production environment including resources such as budget, schedule and staff into consideration is imperative.

      •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Cloth Simulation의 제작 파이프라인에 관한 연구

        곽동민 동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5

        그 동안 콘텐츠 영상으로서 애니메이션은 수많은 발전을 해왔다. 더욱이 디지털화된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의 제작공정은 제작기술의 발전과 예산의 대규모화로 인해 그 구조가 복잡해지고 세분화되며 비선형화 되고 있다. 그리고 제작 스튜디오의 제작규모나 제작방식과 같은 형태에 따라 제작 파이프라인은 다양하게 변화 되어가고 있다.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에 있어 제작 파이프라인은 제작사의 일정과 밀접한 관계에 있고 이는 결국 제작 예산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가 좌우될 만큼 중요한 것이다. 더욱이 최근에 들어 클로스 시뮬레이션(cloth simulation)이라는 기술이 발달하여 기존과 달리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제작 상에 참여도가 높아지고 접근성이 높아짐에 3D 컴퓨터 애니메이션에서 높은 품질의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 클로스 시뮬레이션이 추가되었고 제작 파이프라인에 전반적인 영향을 보여 메인프로덕션(Main-Production) 단계의 공정인 모델링부터 라이팅(lighting) 공정의 이전까지 영향력을 끼치므로 제대로 된 제작 파이프라인의 필요성이 강구되고 있다. 또한 cloth 속성은 캐릭터의 의상뿐만 아니라,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깃발이나 망토와 같은 천이나, 끈, 간단한 머리카락, 동물의 큰 귀나 꼬리 등도 클로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생성이 가능하며, 이는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라인에 대한 부족한 점에 대해서 그리고 보완하기 위해서 이러한 클로스시뮬레이션에 대한 최적화된 제작 파이프라인을 연구하고 실제적으로 이러한 제작 파이프라인을 적용하여 어떠한 효율을 가져 오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nimations as visualized contents have developed a lot in the meantime. For the more, the structure, a production process of digitalized 3D animation through developed of making skills and increased budgets, has became complex, departmentalized, and nonlinear. And then, it has changing variously that a production pipeline gets influence of shames through a production scale of a studio or a manufacture process. As producing 3D animation, a pipeline is important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schedule related budgets and a success of a project. Recently, the technique of cloth simulation has developed as a tool, as well accessibility and participation of 3D animating process become higher. For a high-quality image of 3D animation, cloth simulation has added to a pipeline. It affects a production pipeline in general from modeling, a part of main production, to lighting process. Therefore, a necessity of a well made production pipeline is demanded. Properties of cloth in the cloth simulation are able to simulate not only a character’s clothing but various things those are hair, flags, ropes, cloaks, and big ears and tails of animals. So that can make a practical application of 3D animation. In this study, to complement short things of the existing 3D animation pipeline research an optimized production pipeline about the clothe simulation. Applying the researched pipeline in an actual project will investigate what efficiency of it is.

      • 온도하중을 받는 해저 파이프라인의 횡변위 산정

        신유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4

        이 연구에서는 해저 파이프라인에 온도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의 횡방향 변위를 산정하는 유한요소 해석 기술을 개발하고 불규칙하게 발생하는 횡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snake-lay 방법을 적용하여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온도 하중에 의해 도입되는 축력에 의한 횡변위 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seabed 파이프라인의 횡변위를 산정하였다. 온도하중은 파이프라인의 운용에 따른 주기 특성을 가진 반복온도하중을 적용하였다. 파이프라인은 초기 굴곡을 가진 모델을 사용하였고, 지반 저항은 축방향 쿨롱 마찰 모델과 횡방향 탄소성 스프링 모델을 적용하였다. 특히, 횡방향 지반 저항의 경우, 파이프라인의 반복적인 횡방향 운동에 의한 모래턱 생성을 적용한 모델을 사용하여 상세한 지반 저항을 고려하였다. 초기 굴곡을 가진 파이프라인의 경우 변형 후 형상이 매우 불규칙하다. 따라서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snake-lay 방법을 사용하였다. 해석 예제를 통해 snake-lay 적용에 따른 파이프라인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 최적 snake-lay 형상을 찾기 위해 가상앵커간격과 굴곡 높이에 대한 설계 매개변수 연구를 진행하였다. Snake-lay를 적용함으로써 균일한 변형 형상을 얻을 수 있었고, 응력 감소 효과도 얻었다. 가상앵커간격을 고정하고 굴곡 높이에 대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한 결과 가상앵커간격에 대한 굴곡 높이의 비가 2% 이상이 되면 초기 굴곡과 관계없이 파이프라인의 일체성이 유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