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캄보디아의 관광한국어교육 실태 조사 연구

        진형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to find ways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Cambodia – a popular destination among Korean touris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ambodia's tourism industry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for its touris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and Korean tour guides, as well as teachers in Siem Reap Tourism Office and University of Cambodia. Furthermore, to develop Cambodi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of Siem Reap Tourism office’s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 the only Korean language program for tourism in Cambodia.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methods,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s presented. With these goal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Korea and Cambodia’s active human resource exchange was divided into 3 major categories and among them,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which focuses on tourism industry’s human resources, is discussed. And through prior research about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methods and Cambodia’s tourism industry,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prior studies focusing on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re discussed, in which results are used to di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to three areas: subject, object, and medium. Also, through these stud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s content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Korean-based, tourism-based, and specialized knowledge,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are also examined in this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Cambodia, especially in the case of universities and tourism offices, is investigated. It shows that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has not been introduced at the University of Cambodia. An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teachers, 5 reasons for its absence are identified. Second, among Cambodia's 3 tourism offices, Siem Reap branch is the sole office that off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The motive for th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em Reap's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are also explored in this portion. In the fourth chapter, the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done are explained in detail. And based on their results, specific development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re proposed by dividing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curriculum into education system and facilities, trainee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fifth chapter,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Moreover, few suggestions are made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paths for future research.

      • 단기해외봉사활동 한국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 캄보디아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혜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333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develop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through the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Programs. 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rief history and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Chapter 2 generally describes the present situation of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and Korean education of Cambodia Universities. Chapter 3 shows the survey of the necessity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ambodia. Research producers and subjects on needs analysis are provided, then the written questionnaire are followed. On describing questionnaire, the procedure, content and analysis tool for the data are mentioned in detail. Chapter 4 analyzes the surve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through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The questionnaire analysis has several variables. It is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sex, grade, major, Korean teaching experience, a purpose of Korean study, ect.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differences of nees between groups are also described. Chapter 5 analyzes the statistic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ith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I suggest the new desired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Chapter 6 summarizes this study and the suggested new curriculum based on this analytic results, and provides with the limit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of a following study.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through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Programs. It can also contribute to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local educational situation.

      • 캄보디아 고급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재 연구 : 텍스트 몰입기법을 중심으로

        오현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00575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왔고 지금에 와서는 그 중요성에 대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에 따라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진 편이나 본격적인 문학수업을 위한 전문교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나마도 문학사적 측면만을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교재이거나 읽기자료로서 문학을 소비하고 있는 교재만이 출간되어 있을 뿐 언어적, 문화적, 문학적 측면을 고루 고려하여 구성되어 있는 교재는 전무한 상태이다. 캄보디아는 우리나라 개발협력 사업의 주요 파트너로 매년 수만 명의 캄보디아인들이 EPS-TOPIK을 치루고 있으며 한해 7000∼8000명의 노동자를 한국으로 보내고 있다. 또 캄보디아에서는 호감이 가는 나라를 조사한 순위에서 한국이 1위를 하는 등의 현황들에 기대어 한국어교육에 대한 수요가 빠른 속도로 늘어가고 있는 나라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캄보디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특히 문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여 캄보디아 고급학습자 대상 한국문학 수업교재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밝히고 그에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핀 후, 캄보디아의 한국문학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캄보디아 학습자를 위한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한국문학 교재를 구성하여 보았다. 학습자 중심 교재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문학교재의 개발에 적용하여 생각해 보면 첫 번째 요건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와 맞닿아 문학작품의 선정기준과 깊게 연관되고, 두 번째 요건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로 단원의 구성과 관련되어 있다. ‘어떤 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가 문학교재 개발의 핵심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캄보디아 고급학습자를 위한 문학교재의 변인 요소를 캄보디아의 정치·문화 배경과 학습자의 한국어 단계로 보고 이를 고려하여 문학작품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단원 구성 방안과 관련하여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 유도에 적합한 기법이라 판단되는 텍스트 몰입 기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 실제 단원을 설계해 보았다. 예시 단원으로는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을 이용하였고, 텍스트 몰입 기법의 다섯 단계의 활동- 준비활동, 경험활동, 흡입반응활동, 개발활동, 입력반응활동-을 고루 적용하여 단원을 구성하였다.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문학교육의 목적은 한국문학을 매개체로 언어능력은 물론 문화능력과 문학능력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능력 함양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물이 캄보디아 고급학습자의 문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속담 목록 선정 연구

        이정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4191

        최근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캄보디아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학문 목적의 유학생, 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을 꾸리려는 여성, 캄보디아의 한국 기업이나 한국에서의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근로자, 아직 꺼지지 않은 한류 열풍에 K-Drama와 K-POP을 생생하게 느끼고 싶어하는 젊은이까지, 캄보디아인 사이에서 한국어 교수-학습의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고 그만큼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차별화된 학습 방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학습 방안의 한 방법으로 속담을 활용하는 것은 꽤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속담은 한 나라의 문화가 가장 잘 녹아있는 언어의 한 형태이며 그 문화를 들여다보는 거울이 된다. 또한, 언어를 배우는 것은 그 언어권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고 문화라는 것은 언어 속에서 창조된다. 즉, 속담과 문화, 속담과 언어, 언어와 문화는 서로 떼어 놓고 생각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속담을 통하여 언어를 교수-학습하는 것은 그 문화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언어를 더 빨리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속담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더욱 쉽게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더욱 빨리 한국 생활에 적응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법이 된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최적의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여 제시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각 장의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며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언어와 문화, 한국어 교육과 속담에 관해 서술하였다. 언어와 문화에서는 제2 언어를 교수-학습하는 데에 있어 문화의 중요성과 제2 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그 언어권의 문화적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2 언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논의하였다. 한국어 교육과 속담에서는 속담의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의 교육적 가치와 학습자 수준별 속담 교육의 초점을 짚어봄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이 되는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 선정의 기본적 이론을 마련하는 장이 되었다. 제3장에서는 양국 속담 현황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한국 속담의 경우 한국어 교재, 한국어 평가, 한국 속담 전문가와 서적의 한국 속담 전문, 이 세 가지 측면에서 교육용 한국 속담 현황을 살펴보았다. 캄보디아 속담의 경우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배경 지식으로써 작용할 수 있는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화되는 속담이 필요하므로 캄보디아인이 자주 사용하는 속담 현황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캄보디아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실생활에서의 사용 빈도수가 높은 속담을 조사한 것이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선정한 양국의 속담을 중심으로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속담의 비교·분석은 어휘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고려하였는데 어휘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에 포함되지 않는 상태 묘사의 범주까지 포함하여 7개의 범주- (1) 동물, (2) 사람, (3) 말(言), (4) 의식주(衣食住), (5) 자연·날씨, (6) 기타 정신문화, (7) 상태 묘사-로 구분하였다. 각 범주에서는 해당하는 양국의 속담을 나열하고 양국 속담의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본 장에서 분석한 양국 속담의 유사성은 제5장에서 활용하였는데 캄보디아인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는 요소로 반영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이 되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 목록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속담의 기본 목록은 제3장 한국 속담 현황에서 제시한 속담으로 한국어 교재, 한국어 평가, 한국 속담 전문에서 거론되었던 속담이다. 여기에 1) 어휘 및 문형의 난이도, 2) 캄보디아 특수성을 반영하였는데 어휘 및 문형의 난이도에서 정한 기본 난이도를 캄보디아 특수성의 각 요소에 의해 조정하였다. 캄보디아 특수성은 세 가지 요소-제4장에서 도출한 양국 속담의 유사성, 캄보디아인 학습자 속담 인식 난이도, 캄보디아 문화를 경험한 한국인의 추천도-를 반영하였다. 속담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단계별로 제시하였고 해당 단계에서 교수-학습이 반드시 필요한 교육 ‘필수 속담’과 교육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용’ 속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해용 속담은 학습자의 능력이나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다. 이렇게 선정한 학습자 수준별 교육용 한국 속담은 제5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캄보디아인을 위한 특수성을 반영한 것으로 타 언어권 학습자보다는 캄보디아인 학습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속담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 통하여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의사소통에 있어서 자연스럽고 재치있고 세련된 표현을 구사하고 한국과 한국인, 한국 문화를 편견 없이 이해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Nowadays, the number of Cambodians who desire to learn Korean is steadily increasing. Including students who study for scholarly attaintment, women who wish to form multi-cultural families, laborers who desire to have jobs in Korea or Korean companies in Cambodia, and teenagers who are interested in K-Drama and K-POP, lots of people in Cambodia feel the need to learn Korean. Therefore, differentiated and competitive learning strategies are required for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One method of these strategies is learning through proverbs, which can be a very effective way of acquiring a new language. A proverb is one form of a languag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e. And it is a mirror that reflects the culture of the country. In addition, learning a language is in fact learning the culture of the country, and the culture i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language. In other words, proverbs, culture and language are close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acquiring a language through proverbs is not only an effective way of learning the culture but also a more successful method of studying the language. Therefore, learning Korean through Korean proverbs is the effective approach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language easily and adapt to the lif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most efficient educational list of Korean proverbs for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different levels.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the followings. In chapter on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suggested, the previous studies are researched, and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introduced. In chapter two, som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erbs are stated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language and culture’ part, the importance of culture in studying the second language and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background information o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re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erbs’ section, the definition and features of proverbs are stated. And the educational Korean proverbs are stated by focusing on the educational value of proverbs and the proverbs education in different levels. In chapter three, some proverbs from both countries are introduced. First, Korean educational proverbs are introduced in three aspects; Korean textbooks, Korean evaluation, and Korean proverbs experts & proverbs in publications. Next, some frequently used Cambodian proverbs are suggested since they would work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real life situations. And these proverbs were selected from the questionnaires Cambodian citizens answered. In chapter four,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roverbs from both countries that are suggested in chapter three are analyzed. The analysis considered the aspect of vocabulary and the content characteristics. The proverbs a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including proverbs that are not related in vocabulary or content aspect; (1) animals (2) human (3) utterance (4) food, clothing and shelter (5) nature, weather (6) moral culture (7) state description. In each category, relevant proverbs from both countries are listed 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analyzed.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proverbs are used in chapter five to select the list of Korean proverbs for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In chapter five, the list of Korean proverbs for different levels of Cambodian learners is suggested, which most of the proverbs are discussed in chapter three, the current Korean proverbs. And the two aspects, (1) the difficulty levels of vocabulary and sentences, (2) the characteristics of Cambodia; similarities of two countries proverbs, Cambodian learners’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proverbs, the opinions of the Koreans who experienced Cambodian culture are reflected. The proverbs are suggested step by step, considering the abilities of the learners. In this process, proverbs are distinguished into two parts; ‘essential proverbs’ that are required to study definitely and ‘selective proverbs’ that are less important ones comparatively and can be chose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abilities of the learners. The proverbs selected by this process would b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for the Cambodian learners than other people from different language groups because Cambodian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Hopefully, Cambodian Korean language learners would become more fluent in communication in Korean by using witty and polished style of speech, and understand the culture of Korea without any prejudice through this research.

      •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방안 연구 -신체 관용어를 중심으로-

        MERN SOKNA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02255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울 때 어려워하는 분야 중 하나로 다양한 표현과 의미를 내포하는 관용어가 있다. 대부분의 외국인 학습자들이 관용어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어휘가 다른 어휘와 결합하면서 원래의 뜻을 가지지 않고 제3의 의미를 갖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관용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한다면 다른 일반적인 표현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정을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고 한국인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어나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체 관용어를 중심으로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관용어 교육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매 장에 짧게 요약해서 제시하도록 한다. 제1장에서는 필자가 캄보디아인을 위해 신체 관용어 교육방안을 연구하는 원인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관용어에 대한 개념 및 특징을 살펴봤다. 여기에서 양국의 신체 관용어 개념의 의미는 거의 비슷하지만 관용어의 특징은 조금씩 다른 차이를 보였다. 제3장에서는 4개 대학교 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각 대학교의 제시한 신체 관용어를 분석하였다. 먼저 교재에서 제시한 신체 관용어의 목록을 정리한 뒤 부위별 외부 신체 및 내부 신체에 대한 관용어를 각 표로 구분하여 빈도수가 높은 신체 관용어를 찾아봤다. 이후 4개의 대학교 한국어 교재에 신체 관용어를 제시한 비율을 퍼센트로 도출했을 때 고려대학교가 38%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대학교마다 단원 구성 및 학습 목표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라는 원인을 발견했다. 마지막으로 캄보디아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 양국 공통 신체 관용어 그리고 한국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를 표로 목록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신체 관용어의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수업지도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먼저 캄보디아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는 A 단계로, 양국 공통 신체 관용어는 B 단계로, 그리고 마지막인 한국에만 있는 신체 관용어는 C 단계 순으로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위 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다시 요약한다. One of the areas that foreign learners find difficult when learning Korean Language is a great number of idioms that contain various expressions and meaning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one vocabulary is combined with another, it no longer carries its original meaning but obtains a new third meaning. However, if this meaning is understood and used properly, idioms could be a great help for language users. Compared to general expressions, idioms are more effective when conveying emotions and also they help to have a smoother communication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idiom teaching methods for Cambodian students, specifically focusing on body idioms. This paper consists of five chapters and it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1 identifies the main reason for conducting a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s of body idioms to Cambodian students.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ambodian idioms. This chapter proves that despite the similarities in body idioms’ concept in both languages, there are still some differences in these idioms’ characteristics. Chapter 3 focuses on body idioms that ar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used by four different universities. First, we make the list of body idioms presented in each textbook and classify all the idioms by their usage for external and internal bodies. Moreover, we point out some body idioms with high-frequency usage. Thus Korea University has the highest percentage (38%) of body idioms used in their language textbooks. The reason for this lays in the different learning approach and goals made by each university. Lastly, we compile a list of body idioms used only in Cambodia, a list of body idioms used only in Korea as well as the body idioms used in both countries. Chapter 4 introduces a course guide for Cambodian students for Korean body idio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most effective class guidance, the body idioms used only in Cambodia are presented in step A, the body idioms used for both countries are listed in step B, and body idioms used only in Korea are compiled in step C. Chapter 5 presents a summary of Chapter 1 to 4 respectively.

      •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망점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85887

        한국기업의 진출과 관광, 더 나아가서 한국과 캄보디아의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교류로 인해 현재 캄보디아 한국어 학습자들의 목적은 다양해졌다. 이러한 다양해진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캄보디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은 단순한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에 이르기까지 함양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유학과 한국어 교육자 및 관광·서비스에 종사하는 직장인, 통·번역가, 양국정부 간 교류에 필요한 국제 관계 전문가 등 다방면에서 한국 전문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캄보디아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현지에 적합하고 학습 목적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요구에 부합한 한국어 교육은 미약한 상태이며 캄보디아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도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첫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현재 캄보디아 내 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과 부족한 점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앞으로 캄보디아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인 한국어 전공 학습자와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습자와 교사들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요구 사항에 맞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논의의 토대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는 두 가지로 나누어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와 다른 언어권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를 상세히 살펴보고 전반적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가 무엇이 있는지, 캄보디아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 어떤 관점을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점을 찾고 연구의 범위를 정하고 연구 방법을 모색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의 질적인 논의를 위해 기존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 검토를 통해서 외국어 교육과정 이론에서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의 개념과 교육과정의 구성요소 및 개발 절차를 밝히어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에는 어떤 점을 고려하여 학습 초기부터 체계적으로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연구의 범위를 분명히 하였다. 3장에서는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고 대학의 한국어 교과과정과 교과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각 대학교의 교과과정과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서 대학교들의 교육과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밝혔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캄보디아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태국과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의 시사점을 살펴보고 각 나라 교육과정의 교과목이 캄보디아 현 교육과정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들과 비교하였고 태국과 베트남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이 캄보디아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그 차별성을 밝혔다. 5장에서는 220명의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와 18명의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 현지에서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맞는 교육이 무엇인지와 교육과정 개발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5장의 요구분석과 지금까지 각 장에서 논의한 내용을 통해 캄보디아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의 구성 원리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과정과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해야 하며, 의사소통 상황의 실제성을 갖춘 내용과 과제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 간에 한국어 수준을 고려한 교육과정, 한국어능력뿐만 아니라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교육과정 평가 시 구체적으로 교육과정을 명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과정의 등급 체계와 교육 내용 구체화에 대한 설정하고 실제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평가 영역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7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어 학습 목적과 교육 환경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만이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확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캄보디아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에서 일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설학원과 교회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이후 대학교에서 교양과목과 외국어과목으로 채택되었고, 최근 대학의 전공과목으로 개설되기까지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이 이룬 발전을 미루어봤을 때 얼마나 빠른 속도로 한국과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상승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짧은 시간에 양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캄보디아의 한국어 교육이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캄보디아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 목적에 따른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과 학습방법 연구, 교재 개발로 이어져야 한다. 더 나아가서, 캄보디아에 우수한 교사 파견과 현지인 교사 양성을 위해 한국 대학교 내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며 캄보디아 내 대학의 한국어과에서는 앞으로 한국어 교육이 학사 학위 과정으로만 그치지 않고 대학원과정까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캄보디아 내 대학교의 한국어과 교과과정 현황을 살펴보고 태국과 베트남 내 대학교의 한국어과 교과과정과 비교하여 필요한 부분을 수용했다는 것과 대학교의 한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자료를 정리 및 제공했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둘째, 캄보디아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캄보디아 학생들과 한국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관련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각 4개 대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의 개발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셋째,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전반적인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캄보디아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고 앞으로 본 연구가 후속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를 시작으로 캄보디아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비롯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가 심도 있고 체계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며 논의를 마친다. 1988 Seoul Olympics was the most important drive behind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turn of the millennium, Korean language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to Southeast Asia, U.S.A., and Europe, riding the Korean wave. Interest in Korean language rose in proportion to the popularity of Korea’s popular culture content, which in turn increased the number of peopl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Cambodia is no exception. The year 2000 saw the init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the objective of which was to certify learners for employ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also grew. Subsequently,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ambodia are also offer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mployment purposes. In 2002, most notably, Royal University of Phnom Penh (RUPP) located in - Phnom Penh, Cambodia’s national capital-began to offer Korean language classes as part of its liberal arts curriculum. Cambodian universities implemented Korean language majors beginning in 2006, resulting in four universities with Korean language majors at present, and five others offering Korean language classes as a liberal arts or foreign language cours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are progressing, which points to a need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programs with clear objectives and structur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identify problems and weaknesses, and propose measures for further development and cultivation. To this end, Korean majors and educators were surveyed, and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plores effective and systematic curricula development measures. Chapter 1 clarifies the need and objective of the study, and reviews existing scholarship to establish the baseline. The content of the review comprises two categories; the first approach takes a detailed look into discussions on Korean curricula in Cambodia, and the second expands the scope to other countries. The chapter investigates the overall oeuvre of scholarship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what perspectives could be reflected in developing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based on which the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are established. Chapter 2 presents existing theoretical frame works to ensure the qualitative aspect of the study. By reviewing the theoretical frameworks, the chapter illuminates the curricula, the concept of the syllabus, and the components of and development process for the curricula, establishing the need for systematic learning from the early stages and clarifying the scope of the study. Chapter 3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 and analyz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courses in universities. The chapter identifies the problems found in existing university curricula based on analyses of university curricula and course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Chapter 4 looks at university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land and Vietnam based on the findings in chapter 3, comparing them to the courses in Cambodia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icula in the three countries. Chapter 5 presents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through 220 Cambodian students of Korean language and 18 Korean language educators, exploring the demand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Based on the findings, the chapter identifies the weaknesses in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investigates ways to develop customized curricula for Cambodian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Chapter 6 proposes new development measures for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based on the content of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s and the demand survey results in chapter5. First, the chapter presents the objective and goal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nd proposes that the curricula must be developed around learners and focus on facilitating communication as basic principles of curricula development, comprising content and assignments that aptly recreate the actuality of communication needs and situations. Lastly, the chapter proposes that curricula must take the learners’proficiency level into consideration, and enhance the learners’understanding of Korea and Korean culture rather than solely focus on cultivating language proficiency. Also, the chapter suggests that evaluations must clearly indicate and describe the curricula in concrete detail. Also, the chapter presents measures for establishing grades for the curricula, concretizing the content of the curricula, designing the actual syllabi, and identifying the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Chapter 7 offers a summary of the study and reflections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s of the study, concluding with suggests for follow-up studies. As explained above, the learning goals of Cambodian learners of Koreanlanguage can be reached only by developing curricula that align with theKorean language learning objective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As such,there is a need to seek measures for expan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mbodia.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mbodia began at private language institutes and churches, aiming to facilitate employment in Korea. Later, universities began to offer classes as part of their foreign language or liberal arts curricula, leading up to the creation of university majors. The rapid expa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mbodia attests to the fast-growing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In order for Cambodia’s quantitative expans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ffectively establish footing, there is a need for more foundational research on Cambodian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hould serve as the launching pad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objective-oriented curricula, catalyzing - the cultivation of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studies on learn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the Korean government or universities’ active support to dispatch highly qualified teachers and train Cambodian educators. Also, the Korean departments at Cambodian universities should expand their bachelors’ degree program to graduate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overall statu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 and compares them to cases in Thailand and Vietnam, proposing measures to benchmark effective aspects while collecting and presenting data on university Korean language curricula at large. Second, the study conducts a demand survey, reflecting the needs of Korean language students and educators in Cambodia across four universities, proposing measures to further develop and cultivate future curricula. Third, the study attempts to explore, examine, and develop comprehensive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Cambodian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drive and base lin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n universities, hopefully supporting and catalyzing future studies. The study concludes with expectations for more in-depth, multi-faceted, and systematic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Cambodia.

      •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상대높임법 교육 연구

        껜 짠다로앗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53119

        우리는 대화를 이루어질 때 상대방과의 관계, 화자의 의도, 대화 상황에 따라 표현을 하고자 하는 것을 달라질 수 있고 대화를 진행하면서도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 특히 화자와 청자의 관계 등을 비롯한 발화의 높임 표현은 한국어의 특징으로 소통할 때 상대방의 나이, 관계, 사회적 지위에 따라서 정확한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 그러나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문법적인 높임 표현에 대한 차이가 있다. 캄보디아어 높임법과 달리 한국어에서 높임법은 발달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법적 요소에 의한 한국어 높임법을 학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는 주로 현지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모국어와 달리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또는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표현해야 하며, 한국어에는 높임 표현의 등급 체계로 인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이 모어의 간섭 때문에 한국어 높임 표현을 잘 못 사용하거나 지나지게 활용하여 쓰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해 올바른 높임법을 활용하는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익히며 자신의 생각을 막힘없이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높임법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어 높임법의 체계를 정하는 연구부터 시작하고 다른 언어와의 대조 분석 연구, 또는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한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높임법 교육 방안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원활히 이루어져 왔다. 그렇지만 따른 언어와 달리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연구를 아직 미흡한 편이다. 특히 한국어 높임법 중에서 주체높임법이나 객체높임법은 문법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어휘면에서도 복잡하지 않지만, 상대높임법은 그와 달리 담화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큰 어려움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상대높임법에 관련된 인식 실태 조사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간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연구의 미흡한 부분인 문법적 요소에 의한 높임법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기준 연구에서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높임법에 대한 교육 방안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아직 학습자의 한국어 높임법을 대조하여 이의 사용 오류를 분석하는 부분이 미흡한 편이며, 상대높임법에 대한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높임법을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높임법 교육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기준 연구에서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면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과 순서를 그대로 진행하고자 한다. I장에서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연구 목적을 제기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연구 방법을 밝히고자 한다. 그 다음 II장에서는 두 언어의 상대높임법에 대해서 대조할 수 있도록 먼저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높임법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기술한다. 더불어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상대높임법에 대하여 대조 분석할 때 기준 연구를 기반으로 두 언어의 상대높임법에 관련된 어휘적 요소와 문법적 요소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고 고찰하며 살펴보고자 한다. III장에서는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상대높임법을 중심으로 대조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상대높임법을 사용 실태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한다. 한국어 상대높임법의 인식 조사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상대높임법을 사용 오류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캄보디아 왕립프놈펜대학교 한국어학과 한국어 학습자를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IV장에서는 왕립프놈펜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재를 분석하여 교재에 제시된 한국어 상대높임법의 구성 및 지도 방법을 살펴 보고, 상대높임법에 대한 학습내용 제시, 문법 설명, 문법 연습량이 적당한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4 개의 교재에서 제시하는 한국어 상대높임법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교수-학습 실제를 모색하였다. 그리하여V장에서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들의 상대높임법에 대한 인식 조사의 결과와 교육 기관의 교재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캄보디아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상대높임법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VI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할 내용을 정리하고 논문을 요약하며,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의 과제를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