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캄보디아 카사바 산업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Chhay Sreyleak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Cassav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conomic crops in Cambodia. It is used for domestic human consumption and industrial purposes; therefor, it is recognized as a crop of great potentiality. Nowadays, Cambodian cassava is used for producing starch and exported to Vietnam and Thailand. There are two kinds of cassava, namely bitter and sweet cassava. From 1980 to 2007, the cassava growing area in Cambodia has increased by 41.2% from 19,500ha to 27,535ha. At the same period, cassava yields has increased markedly from about 8t/ha 26.6t/ha which is considerably higher than the world average of 10.76t/ha. In Cambodia, the current production cost of cassava is around 348$/ha. According to this study, elasticity of cassava supply in the SR was 0.93, and elasticity of cassava demand was -0.436. Therefore, in the LR, unless stabilization of cassava supply structure, the cassava industry in Cambodia might be quite unstable. Recently, the world is facing with serious global warming and increasing price of fossil fuels at the same time. Therefore, development of new energy sources, especially renewable energy products such as bio-ethanol and bio-diesel, has been a topic of importance. Bio-ethanol is produced from products such as cassava, maize, palm tree, jatropha, etc. The use of bio-ethanol can contribute to reduction of usage of fossil energ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increase agricultural incom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bio-energy industry in Cambodia is in its stage of infancy. The major countries producing bio-energy in the world currently are Brazil, U.S.A., China and EU. Brazil is using palm tree for producing bio-ethanol and U.S.A. uses maize and soybeans. In general, one bushel of maize can produce 2.8 gallons(=35.239 litters) of bio-ethanol. Cambodia has a lot of land resource that is suitable for production of bio-energy crops. There would be many economic benefits when the bio-energy is developed in Cambodia. Besides its contribution to preservation of environment and reduction of fossil energy use, employment could be improved among other things, not mention the saving of foreign currency used in import of fossil energy from abroad.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the internal rate of return (IRR) was estimated to be around 18.1% over 20-year period. Therefore, the bio-ethanol industry based upon cassava processing could be viable if domestic commercial loan rate should be maintained around 18.1% or less annually. In order to make it profitable, two conditions are necessary: firstly, Cambodia must establish a secure supply base of cassava, and secondly, the price of bio-ethanol should be around or above the current level of $0.49/ℓ. And the price of raw cassava received by the producers should be less than $50/ton. Otherwise, the firm's profitability would be very easily crushed and loss would be inevitable. With the maximum level of $50/ton, if cassava price increases annually by 8% or less, and if the price of bio-ethanol increases by at least 5% annually, then, its profitability would be more than certain. However, considering the current level of cassava in Cambodia is around $38/ton, if its price increases by more than 8% annually, the bio-ethanol industry could be faced with very tough situation indeed and it may not survive after all. 카사바는 캄보디아의 가장 중요한 경제 작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카사바는 국내에서 식용으로 사용됨은 물론이고 국내외에서 산업용으로도 이용되는 작물이기 때문에 캄보디아에서는 잠재적 경제성이 매우 큰 작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 캄보디아에서 생산되는 카사바의 경우 국내에서 전분가공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베트남과 태국으로 수출되기도 한다. 카사바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달콤한 감미종 카사바이고 또 하나는 쓴 고미종 카사바이다. 지난 1980년 카사바의 재배면적은 19,500ha 수준이었으나, 최근 2007년까지 27,535ha로 점차 그 면적이 증가해 왔다. 또한 같은 기간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경우 8.0톤에서 26.6톤으로 크게 증가하였는데, 세계 평균 카사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10.76톤/ha임을 감안하면 캄보디아의 카사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세계의 카사바 단위면적당 생산량 보다 높은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캄보디아에서의 카사바 생산비는 $348.3/ha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캄보디아의 단기적 카사바 공급 탄력성이 0.93인데 카사바 수요 탄력성이 -0.436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서 장기적에서는 카사바 공급 구조을 안정해도 카사바 산업은 상당히 불안정 될 수도 있다. 최근 세계는 지구 온난화의 위협과 화석연료 가격의 증가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 자원을 찾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 에탄올과 바이오 디젤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생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이오 에탄올(bio-ethanol)은 카사바, 옥수수, 사탕수수, Jatropha, 밀 등 곡물로부터 생산되었다. 캄보디아는 현재 바이오 에너지 개발의 초기 단계에 위치하고 있다. 세계에서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는 나라는 브라질, 미국, 중국과 EU 등이 있으며, 브라질의 경우 사탕수수로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지만 미국은 콩과 옥수수로 생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옥수수 1 부셸에서 바이오 에탄올 최소 2.7갤런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미국은 옥수수 1 부셸에서 바이오 에탄올 2.8갤런(35.239ℓ)을 생산할 수 있다. 캄보디아는 카사바와 옥수수 등의 풍부한 자연 자원을 이용해서 바이오 에너지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불 수 있다. 캄보디아에서 바이오 에너지를 생산할 수만 있다면 국가적으로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에너지 시장에 바이오 연료를 판매함으로써 석유의 사용을 줄이고 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캄보디아의 경제적 발전을 불러오고 교통비용 역시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저렴한 에너지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산업 발전과 환경 보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체농업, 즉 농업지향적인 에너지 자원(alternative agro-oriented energy source)의 확대는 유휴 토지 개발할 수 있고 바이오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지역 근로자들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화(foreign currency)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전분 가공을 통한 비교적 안정적인 소득창출기회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에탄올 가공공장의 내구년수를 20년으로 생 카사바의 구입가격이 38$/톤일 때 내부수익률이 18.7% 수준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카사바 가공 기반에서 국내 대출이자율이 매년 18.1% 수준 혹은 그 이하를 유지할 경우 바이오 에탄올 산업에 대한 투자 이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오 에탄올 산업에서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경우가 요구되고 있다. 이는 캄보디아에서 카사바의 안정적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바이오 에탄올의 가격이 $0.49/ℓ 수준 이상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생산자가 받는 생 카사바의 가격이 $50/톤 이상일 경우에는 투자 사업으로 얻는 이익이 불가능하거나 손실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 카사바의 최고 가격이 $50/톤 수준이고, 카사바 가격의 증가율이 매년 8% 정도 유지되고 바이오 에탄올의 가격이 매년 적어도 5%가 증가하는 경우에 수익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판단진다. 하지만 현재 캄보디아에서 카사바의 가격은 $38/톤 수준이고, 생 카사바 가격 상승률이 매년 8% 수준이며 바이오 에탄올 가격이 매년 최소 5% 정도 증가한다면 바이오 에탄올 산업은 수익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A Comparative Study on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s in Cambodia and Korea

        AKASY, LACH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Cambodia's educational environment is generally poor, and the human resources of education are evaluated at a level of concern. Due to the civil war, which lasted for 30 years, the education system was demolished. Therefore, a top priority is promoting a stable and systematic teacher training system to secure human resources in the education sector. Recently the Cambodian government has set up polici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s improving the system. However, to what extent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has improved remains a question,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roblems and degree of improvement to examin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Cambodia, point out its limits and problems, overview the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and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ambodia by comparing the two countries' systems. This study'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current state, and the limits and problems of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2. What ar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e of the current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Korea? 3. Which implications does the Korean system give for Cambodia's future reform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n this study, the system of Cambodia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he system of Korea was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temporary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using the 'comparative study method in education' and 'policy borrowing framework;’ last, the final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surveying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significant actors of the temporary implications. The comparison focu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selection into training (attracting competent candidates and selecting the most suitable candidates), progress through training (curriculum),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two countries had the same type of initial training, a closed training system, and their systems had developed similarly. Through gradual development, Cambodia has progressed to a step that resembles Kore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during the 1980s. At this stage, the training institutions started to be promoted to 4-year universities; there was a tighter entrance to the institutions, but the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systems remained loose, and the demand for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Despite making significant development in recent years,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is still subject to limitations. After the comparison, the following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ambodia's primary school training system were found: 1. The PTTC (2-year institution) has difficulty implementing the new curriculum due to time shortages and declining learning outcomes. 2. The curriculum has little flexibility and diverse subjects and does not have liberal arts and intensive courses. 3. Cambodia emphasizes more scholastic and teaching abilities than teaching aptitude and personality. As a result,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aptitude and personality are not considered in the admission screening,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processes. 4. Cambodia has a loose graduation examination and recruitment, making becoming a teacher uncompetitive, which leads to low teacher quality. 5.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have limited effectivenes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 conclusion was made as follows. Cambodia can learn from Korea to promote competition rates and emphasize outcomes rather than inputs to promote evidence-based improvement. Cambodia is focusing on tight admission while leaving the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loose, making improving the quality of training less likely to be accurate. With the weak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systems, the teacher candidates see no need to work hard on developing their capacity, as the chance of employment is secured,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do not have to work hard to produce quality teachers, and they do not have an evidence-base for their improvement. Firs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aching force, Cambodia needs to ensure that the process of becoming a primary school teacher must be competitive for teacher candidates and training institutions. Therefore, the certification (gradation exam) and recruitment (probationary teacher evaluation) must be stricter to ensure that teacher candidates work hard for the teaching positions and the training institutions work harder to produce quality teachers. To promote competition rates, Cambodia must maintain the attractiv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Second, by focusing on outcomes—how teacher candidates can pass the strict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tests—training institutions can make practical improvements in their training programs. By supporting beginning teachers in the probation and recruitment tests, training institutions can strengthen their connections with unit schools and obtain evidence-base for their improvement, as they know what is needed in the schools and what their teacher candidates lack. Based on the results and conclusion, implic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of Cambodia's prim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and subsequent studies were derived as follows: 1. Cambodia should prepare a document evaluation and an interview for admission to ensure the candidates have appropriate personalities and aptitud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2. The curriculum should have liberal arts courses, intensive courses, elective subjects, and volunteer activities. 3.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tests must be strict and comprehensively evaluate teacher candidates' teaching ability, philosophy, knowledge, personality, and aptitude appropriate for teaching. 4. There should be a regular support program and training for beginning teachers to ensure they adapt well to the school field. 5. Fo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frequent follow-ups,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unit schools, and more productive and effective Thursday technical meetings are necessary. 6. There should be more in-depth studies on improving student teachers' learning achievement, how certification and recruitment reforms can affect the whole training system, and ICT training for schoolteachers. 캄보디아의 교육환경은 전반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으며 특히 교육 인적자원 부분은 우려되는 수준으로 평가되는 실정이다. 30년간 지속된 내전은 더욱 이러한 상황을 악화시킨 원인으로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과 함께 교육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교원양성 체계를 추진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캄보디아 정부는 정책을 세웠고 제도를 개선하고 있는데 그 새로운 정책과 제도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으로 이 주제에 중점을 두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연구는 캄보디아 초등교사 야성 및 재교육 제도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한국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발전과정 및 현황을 고찰한 후 양국의 제도를 비교하여 캄보디아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 개선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야성 및 재교육 제도의 역사적 특성, 현황, 한계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2. 현재 한국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역사적 특성과 현황은 어떠한가? 3. 한국의 제도가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향후 개선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가? 연구 방법에 있어서,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는 문헌 탐구와 면담을 통해 분석되었고, 한국의 제도는 문헌 탐구를 통해 검토되었다. 연구자는 ‘비교교육방법(comparative study method in education)’을 이용하여 비교연구를 실시한 후 1차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마직막으로 1차 시사점에 대한 교육구성원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거쳐 최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연구의 비교 대상은 교사양성기관 입학(유능한 학생 유치 및 가장 적절한 후보생 선발), 교사양성과정(교육과정), 교사자격 및 임용 제도, 신임교사 지원, 재교육 제도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캄보디아와 한국은 같은 유형의 초등교사 양성제도(폐쇠적인 양성제도)를 가지고 있으며, 양국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는 비슷하게 발전해왔다. 점진적인 발전을 통해 캄보디아는 1980년대 한국의 초등교사 양성 제도와 비슷한 단계로 발전하였다. 이 단계에서 양성기관들은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기 시작했는데, 입학제도는 엄격해졌지만 교사자격과 임용제도는 느슨했고, 상대적으로 교사 수요가 높았다. 최근 몇 년 동안 발전을 이루었음에도 볼구하고,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한국의 제도와 비교한 후 캄보디아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제도는 다음과 같은 한계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PTTC(2년제 양성기관)는 시간 부족과 예비교사의 학습성과 저하로 인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시행하는 데 어려움을 격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은 유연성이 부족하고 과목이 다양하지 않으며, 교양과정과 심화과정이 없다. 셋째, 캄보디아는 교직 적성과 인성보다 교수능력과 수학능력을 강조한다. 그 결과, 입학제도, 자격제도, 임용제도에서 교직 적성 및 인성이 고려되지 않는다. 넷째, 캄보디아는 교사자격 및 임용제도가 는슨해 교사가 되기에는 경쟁률이 낮아 교사의 자질 문제가 야기된다. 다섯째, 신임교사 지원과 재교육제도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캄보디아가 한국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은 경쟁률을 높이는 것과 근거 기반으로 한 개선(evidence-based improvement)을 촉진하기 위해 투입(input)만 집중하기보다 성과(outcome)를 강조하는 것이다. 캄보디아는 엄격한 입학제도에 집중하고 교사자격 및 임용을 느슨하게 하기 때문에 양성과정의 질을 향상하는 데 정확하고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자격제도 및 임용제도가 취약해 예비교사는 취업기회가 확보되기 때문에 노력을 안 하고, 교사 양성기관들은 양질 교사를 양성하는 데 노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교사 양성기관들은 예비교사의 임용에 대한 관심이 낮기 때문에 학교 현장과의 연계성이 낮아 양성과정 향상을 위한 근거기반(evidence base)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첫쩨. 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 캄보디아는 초등교사가 되는 과정에 경쟁률을 높여 예비교사와 양성기관이 노력하게 해야 된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이 임용되기 위해 노력하고 양성기관들이 양질의 교사를 배출히기 위해 노력하도록 교사자격시험(졸업시험) 및 임용(수습교사 평가)은 엄격해져야 한다. 아울러, 경쟁률을 안정적으로 높이기 위해 캄보디아는 교직의 매력성을 계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둘째, 교사양성기관들은 성과, 즉 예비교사의 임용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양성과정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사양성기관들은 수습과정과 임용평가에서 수습교사를 지원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예비교사가 무엇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단위학교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개선 근거 기반(evidence base)을 확보할 수 있다. 연구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캄보디아의 초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향후 개선과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첫째, 캄보디아는 후보생들이 교직에 적합한 인성과 적성을 갖추도록 서류평가와 입학 면접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캄보디아는 초등교사양성 교육과정을 향상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교양과정, 심화과정, 선택과목을 설계하며 봉사활동을 요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격시험(졸업시험)과 임용평가(수습교사 평가)는 예비교사의 교수능력, 교직에 대한 철학과 지식, 교직에 적합한 적성과 인성을 엄정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신임교사들이 학교 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지원 프로그램과 연수가 있어야 한다. 다섯째, 재교육제도에 있어서는 잦은 후속조치, 단위학교에서의 교사학습 공동체, 보다 생산적이고 효과적인 목요일 기술미팅이 필요하다. 여섯째, 예비교사의 학습성취도 향상, 교사자격 및 임용 제도 개혁이 전체 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교사를 위한 ICT 연수 등에 대한 심도적인 연구들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 캄보디아와 한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비교 분석

        라시 아카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과 캄보디아의 초등학교 국가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두 나라 교육과정의 공통점 및 차이점, 그리고 캄보디아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지적하는 데 목적을 두고, 반성적 절충주의(reflective eclecticism)에 입각하여 교육과정 분석 이론을 제시한 Posner의 분석 질문을 기반으로 한국과 캄보디아의 초등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Posner가 제시한 교육과정 분석 이론의 4가지 범주 중 ‘교육과정의 고유영역(the curriculum proper)’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캄보디아 교육과정과 한국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 및 그 근거가 되는 가정은 무엇인가? 2. 캄보디아 교육과정과 한국 교육과정의 조직 방법 및 그 근거가 되는 가정은 무엇인가? 3. 캄보디아 교육과정과 한국 교육과정의 목적, 내용, 조직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4. 캄보디아 교육과정에 필요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의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캄보디아의 Curriculum Framework of General Education and Technical Education이며,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위해 관련 보조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도구는 Posner(2004)가 ‘Analyzing the Curriculum’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의 고유 영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정한 분석틀은 4가지의 분석질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8개의 구체적인 질문으로 나눠져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의 목적과 내용에 있어서, 양국 교육과정은 모두 교육적 의미와 훈련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공통점 있으나, 캄보디아는 한국보다 훈력적 의미를 더 많이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양국의 추구하는 인간상 서두에 제시된 목적(이념)은 Posner의 사회적 목적과 교육적 목적에 해당하며, 학교급별 교육 목적은 Posner의 교육목표에 관련하고, 학교급별 교육 목표와 교과별 목표는 Posner의 학습목표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과정 목적에서 가장 강조되는 목적에 있어서 한국은 개개인의 개인적, 사회적 삶에 필요한 보편적 능력이며, 캄보디아는 기본적인 기능, 가치적, 도덕적, 인지적, 신체적 역량으로 나타났다. 4. 교육목표 형태에서 양국 교육과정은 인지, 심리운동, 정의적 영역이 모두 골고루 나타났다. 5. 아동에게 교과를 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국의 교육과정은 공통적으로 편제된 시간에 의해 교과를 분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6. 다문화교육에서는 한국은 다문족주의의 관점에, 캄보디아는 동화정책의 관점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평가에 있어서, 한국은 수행평가를 중시하는데, 캄보디아는 결과 지향적 평가를 중시한다. 8. 교육과정 기준의 진술 방식에 있어 한국의 경우는 활동 중심, 이해 및 성장 중심으로, 캄보디아는 활동 중심, 학습결과 중심으로 진술하고 있다. 9. 교육과정에 과학기술의 영향에 있어, 한국은 캄보디아보다 과학기술에 관련된 내용이 더 많이 들어가 있고, 교수ㆍ학습 활동 및 평가에서도 과학기술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학습, 목표, 교육과정, 교수 진술의 배경 개념에 있어서는 양국 교육과정의 개념과 목표는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행동주의의 관점보다 구성주의의 관점에 더 기울이는 경향 있다. 11. 교육과정의 다양성과 가능성의 측면에서는 한국과 캄보디아 교육과정은 공통적으로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다양성을 확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12. 거시적 수준의 수직적 조직과 수평적 조직에 있어 한국은 캄보디아보다 내용을 더 유연하게 운영 및 조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3. 미시적 수준에서 내용 조직의 기본적인 내용구성 방식에서는 양국은 직선적 구조, 나선형 구조, 비연속적 구조로 조직된 교과에 있어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한국은 캄보디아보다 위계적 구조로 조직된 교과가 더 많이 있다. 14. 교육과정 실행을 위해 활용되는 매체와 과학기술의 부분에서는, 양국 교육과정은 공통적으로 교과용 도서의 평행적 구조, 교수학습 자료의 평행적 구조, 한 차시 수업의 수렴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15. 교육과정 조직 원리에는, 교육과정 내용에 있어 양국 교육과정은 교과별로 공통적인 조직 원리로 조직되었다. 학습자와 학습과정의 측면에는 한국은 학생의 경험과 흥미를 중시하고 있는 반면에, 캄보디아는 그렇지 못하다. 교사와 교수과정의 측면에는 양국 교육과정은 교사에게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의 환경에 있어서는 사회적 요구가 양국의 교육과정조직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정 조직에 과학기술의 역할에 있어서 한국 교육과정은 캄보디아 교육과정에 비해 과학기술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6. 과학기술의 사회적 정치적 영향에 있어 양국은 공통적으로 ‘역량’이 강조됨으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교육과정조직이 변화한다. 17. 능력별 학급 편성의 가능성에는 한국과 캄보디아 교육과정은 공통적으로 능력별 학급 편성보다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개별 학생에게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것을 강조한다. 18. 교육과정 조직의 가정에 있어서 인식론적 가정에서는 한국과 캄보디아는 공통적으로 하향식 접근에 해당하고, 심리학적 거정에서는 한국은 프로젝트식 접근 방식을, 캄보디아는 상향식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기타 가정에서 양국은 전인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프로젝트식 접근에 해당한다고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했을 때 양국 교육과정의 뚜렷한 공통점은 전인교육이라는 하나의 목적을 향해 나아간다는 점이다. 교육과정 조직에는 양국 교육과정은 유사한 방식과 원리로 조직되었다. 그리고 양국 초등교육과정은 교육이념, 초등교육을 바라보는 관점, 교육과정의 강조점, 평가, 교육과정 진술하는 방식, 학습할 내용의 폭과 깊이, 매체와 과학기술의 활용, 평등교육 제공의 측면에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교육이념에 있어 한국은 교육이념이 있는 반면에 캄보디아는 그렇지 못하다. 초등교육을 바라보는 관점에는 한국은 초등교육을 ‘국민 전체의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교육’으로 명시하고 있는 반면, 캄보디아는 ‘중등교육을 준비하는 교육’으로 명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강조점의 경우, 한국 초등교육은 아동 개개인의 학습 경험을, 캄보디아는 교과의 기본적이 지식을 강조하고 있다. 평가에서 한국은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를 중시하고 있는 반면에 캄보디아는 결과 지향적인 평가를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정 진술하는 방식에 있어서 한국은 명세하고 자세하게 진술하고 있는 반면, 캄보디아는 간략하게 진술하고 있다. 학습할 내용의 폭과 깊이에 있어서, 한국의 초등교육과정은 깊이와 폭이 있는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지만, 캄보디아 초등교육과정은 포괄적으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매체와 과학기술의 사용에 있어서, 한국은 캄보디아에 비해 더 다양한 매체와 과학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평등교육에 있어서, 한국은 평등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캄보디아는 평등교육을 제공하기가 제한이 있다. 이상의 논의가 캄보디아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은, 캄보디아는 첫째로 교육이념을 구성할 필요 있고, 둘째, 초등교육을 ‘국민의 사회적 삶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교육’의 관점으로 전환하고, 셋째, 교육과정의 강조점으로 학습자의 경험을 중시하고, 넷째, 평가로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다섯째, 교육과정문서를 더 명확하게 진술하고, 여섯째, 학습할 내용의 폭을 넓히고 학습 내용을 더욱 심도 있게 제시하고, 일곱째,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도입하고, 여덟째, 통합교과를 경험ㆍ주제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of Cambodia and Korea, point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urriculums of the two countries and suggestions for the curriculum of Cambodia. This study is conducted using Posner’s curriculum analyzing questions based on reflective eclecticis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t up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curriculum proper’, one in the four sets in the analysis theory proposed by Posner. 1. What are the purposes and content of Cambodia’s curriculum and Korea’s curriculum? What are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the two curriculums’ approach to the purposes and content? 2. How are the two curriculums organized? What assumptions underlie the curriculums’ organization? 3.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rriculums? 4. What are the suggestions for Cambodia’s curriculum?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Korea’s ‘2015 revived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ssue No.2015-74,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and Cambodia’s ‘Curriculum Framework of General Education and Technical Education’. Not merely these two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various complementary materials have been appl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wo curriculums.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are used by adapting and revising ‘the curriculum proper’ presented in ‘Analyzing the curriculum’ written by Posner(2004). The revised framework is composed of four analysis questions, and is divided into 18 detailed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wo curriculums are intended for both education and training, but Cambodia’s curriculum has more aspects intended for training than Korea’s. 2. Both curriculums express their purposes at the same levels; both curriculums’ purpose (ideology) of education corresponds to Posner’s societal goals and education aim, the education aims by school level are related to Posner’s education goal, school level education goals and goals of the subjects are related to Posner’s learning objectives. 3. In the aspect of the most emphasized purposes of the curriculum, Korea emphasizes universal ability for individual and social life while Cambodia emphasizes basic functions, value, moral, cognitive, and physical competence. 4. In the types of learning objective, the two curriculums include cognitive, psychomotor, Affective aspects equally. 5. In the way of presenting subject matter to students, the two curriculums present subject matter segmentally by the organized time. 6.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s curriculum is considered a multiethnic, and Cambodia’s curriculum is considered an assimilationist. 7. In the evaluation, Korea places emphasis on performance evaluation, oppositely Cambodia emphasizes results-oriented evaluation. 8. In the case of curriculum standards statement, Korea’s curriculum is presented based on activity, understanding, growth of student, Cambodia’s is presented based on activity and result. 9. In terms of the effect of technology on the curriculums, Korea’s curriculum has more contents related to technology and uses more technology in class activities and evaluation compared to Cambodia’s. 10. In the conceptions of learning, objectives, curriculum, and teaching underlie the curriculum, the two curriculums have similar meanings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the two curriculums tend to be more inclined to the constructivist viewpoint than the behaviorist viewpoint. 11. In terms of the diversity and possibilities of curriculum, the two curriculums both have features that extend the possibilities and diversity of curriculum. 12.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organization at macro level, Korea’s curriculum is possible to operate and organize more flexibly than Cambodia’s. 13. At the microscopic level, in the basic figurations of content, the two countries showed similar results about the subjects organized in linear structure, spiral structure, and discrete structure. However, Korea has more subjects organized in hierarchical structure than Cambodia. 14. In the media structures, both curriculums have parallel structure of textbook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convergent structure of one-hour classes. 15. In terms of organizational principles, in the aspect of subject matter, the two curriculums are organized in common organizational principles. In the aspect of learners and learning, Korea emphasizes student’s experience and interest while Cambodia does not. In the aspect of teachers and teaching, both curriculums present directions to teachers. In the milieu, social demands affect the organization of the two curriculums. In the aspect of the role of technology i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technology plays more important role in Korea’s curriculum than Cambodia’s. 16. In the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 of technology in curriculum organization, both curriculums’ organization changed, a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increased according to the emphasis on ‘competence’. 17. In the likelihood of using tracking, the two curriculums provide personalized education for individual students in an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rather than tracking. 18. In the aspect of the assumptions that underlie the curriculum organization, in the epistemological assumptions, Korea and Cambodia share the common top-down approach. In psychological assumptions, Korea adopts project approach while Cambodia adopts bottom-up approach. In the other assumptions, both curriculums are based on the whole-person education, therefore, they are assumed to correspond to project approach.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the similarities of the two curriculums are that they are moving toward a single goal of whole-person education, and in organization, they are organized in similar principles. However, the two curriculums have differences on education ideology, viewpoint about elementary education, emphasis of curriculum, evaluation, method of stating curriculum, breadth and depth of content, utilization of media and technology, and equity education provision.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ideology, Korea has an educational ideology while Cambodia does not. In the viewpoint about elementary education, Korea states that elementary education is 'basic education for the all citizens', whereas Cambodia states that elementary education is ‘ preparation for secondary education'. In the emphasis of curriculum, Korea’s curriculum emphasizes the learning experience of individual children, but Cambodia’s emphasizes basic knowledge in the subjects. In the evaluation, Korea emphasizes performance evaluation while Cambodia emphasizes results-oriented evaluation. In the method of stating curriculum, Korea states the curriculum specifically and in details, oppositely Cambodia does it briefly and simply. In terms of the breadth and depth of content, Korea presents concrete and detailed content, while Cambodia seems to offer simple and comprehensive content. In the utilization of media and technology, Korea has been shown to be using more diverse medias and technology than Cambodia. In equity education provision, Korea appears to be able to provide equity education while Cambodia has limited access to it. According to above discussion, appropriate suggestions for Cambodia’s curriculum are that first, Cambodia needs to form an education ideology. Second, it should switch the current viewpoint of elementary education to ‘basic education for social life of the citizens’. Third, it should emphasize on learner’s experience. Fourth, it needs to carry out performance evaluation. Fifth, the curriculum document should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Sixth, the learning content should be broadened. Seventh, it should introduce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La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basing it on experience and topic.

      •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상대높임법 교육 연구

        껜 짠다로앗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는 대화를 이루어질 때 상대방과의 관계, 화자의 의도, 대화 상황에 따라 표현을 하고자 하는 것을 달라질 수 있고 대화를 진행하면서도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 특히 화자와 청자의 관계 등을 비롯한 발화의 높임 표현은 한국어의 특징으로 소통할 때 상대방의 나이, 관계, 사회적 지위에 따라서 정확한 높임 표현을 사용한다. 그러나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문법적인 높임 표현에 대한 차이가 있다. 캄보디아어 높임법과 달리 한국어에서 높임법은 발달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법적 요소에 의한 한국어 높임법을 학습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는 주로 현지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모국어와 달리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또는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표현해야 하며, 한국어에는 높임 표현의 등급 체계로 인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이 모어의 간섭 때문에 한국어 높임 표현을 잘 못 사용하거나 지나지게 활용하여 쓰는 경우가 많다.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해 올바른 높임법을 활용하는 익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익히며 자신의 생각을 막힘없이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높임법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어 높임법의 체계를 정하는 연구부터 시작하고 다른 언어와의 대조 분석 연구, 또는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한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높임법 교육 방안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원활히 이루어져 왔다. 그렇지만 따른 언어와 달리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높임법에 대한 연구를 아직 미흡한 편이다. 특히 한국어 높임법 중에서 주체높임법이나 객체높임법은 문법적으로 이해하기 쉽고 어휘면에서도 복잡하지 않지만, 상대높임법은 그와 달리 담화 상황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큰 어려움일 것이라고 가정하고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상대높임법에 관련된 인식 실태 조사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간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연구의 미흡한 부분인 문법적 요소에 의한 높임법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기준 연구에서는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높임법에 대한 교육 방안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아직 학습자의 한국어 높임법을 대조하여 이의 사용 오류를 분석하는 부분이 미흡한 편이며, 상대높임법에 대한 교수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캄보디아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높임법을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높임법 교육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기준 연구에서 아직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들을 보완하면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과 순서를 그대로 진행하고자 한다. I장에서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연구 목적을 제기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며 연구 방법을 밝히고자 한다. 그 다음 II장에서는 두 언어의 상대높임법에 대해서 대조할 수 있도록 먼저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높임법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기술한다. 더불어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상대높임법에 대하여 대조 분석할 때 기준 연구를 기반으로 두 언어의 상대높임법에 관련된 어휘적 요소와 문법적 요소에 대해 대조 분석을 하고 고찰하며 살펴보고자 한다. III장에서는 한국어와 캄보디아어의 상대높임법을 중심으로 대조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상대높임법을 사용 실태에 대한 조사를 하고자 한다. 한국어 상대높임법의 인식 조사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들의 상대높임법을 사용 오류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캄보디아 왕립프놈펜대학교 한국어학과 한국어 학습자를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IV장에서는 왕립프놈펜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재를 분석하여 교재에 제시된 한국어 상대높임법의 구성 및 지도 방법을 살펴 보고, 상대높임법에 대한 학습내용 제시, 문법 설명, 문법 연습량이 적당한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4 개의 교재에서 제시하는 한국어 상대높임법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교수-학습 실제를 모색하였다. 그리하여V장에서는 캄보디아인 학습자들의 상대높임법에 대한 인식 조사의 결과와 교육 기관의 교재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캄보디아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상대높임법 교육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VI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할 내용을 정리하고 논문을 요약하며,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의 과제를 기술하였다.

      • 캄보디아 초등교육 현황 분석 및 기독교 세계관 작용가능성 탐색

        선삼낭 고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록 본 논문연구는 캄보디아 초등교육 현황 분석 및 기독교 세계관 적용에 대한 캄보디아의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미션스쿨과 공립학교의 교육과정을 교재로 사용였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신이 속한 학교의 기독교적 가치와 신념 에 기초 목적을 두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 에 따라 달성하려는 노력에 입각하여 연구를 시작 하였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에 입각한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교사와 학생의 이해, 교과과정의 내용인 지식, 교과과정의 가치를 중점적으로 작성하였다. 기독교학교라면 예배와 기도 성경말씀과목만이 아니라 모든 교과목에서 기독교적 관점으로 가르침을 지향하며 학교의 모든 교육행정가지도 기독교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다. 그러므로 기독교 세계관을 통해 일관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기독교 학교 교육을 공부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은 캄보디아 초등교육의 현황분석 및 기독교 세계관 적용가능성에 대한 선교관에 관련하여 여러 가지 주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캄보디아 교육현황과 교육과정개선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기독교 세계관에 입각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 글을 통해 세계관에 대한 일반적인과 기독교 세계관 이론가들과 기독교세계관을 기록하는 초등교육에 대한 성경적 관점에서 살펴보려고 한다. 세계관이 무엇인지 그 정의, 세계관과 종교, 교육철학, 그리고 기독교교육과 학문철학의 결과 형성된 방법론으로 교육현상의 법칙을 논의하는 방식을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더불어 캄보디아의 교육역사의 이해에 대해서도 살펴보려고 한다. 각각 시대 교육에 대해 살펴보고 장단점에 대해 연구하고 캄보디아에 현재 교육 상황, 현 커리큘럼의 장단점에 대해 기독교교 세계관에 입각한 연구를 통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캄보디아 초등학교를 위한 기독교 세계관 적용 방법에 대한 몇 가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특별히 교육과정에서 교과서를 통해 기독교 세계관에 작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교사와 학생, 학부모에 대한 기독교세계관에 대한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한 올바른 교육을 살펴보려고 한다. 캄보디아 초등교육을 위한 기독교세계관과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 기독교교육의 변혁을 위한 필요성을 제언해 보려고 한다.

      • 캄보디아 농촌마을종합개발 사업 모델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이승원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캄보디아 농촌개발 현황 및 정책분석, 조사 분석, 사업사례 분석을 종합적으로 시행하여 캄보디아의 현황에 적합한 농촌마을종합개발 모델과 수립과 이를 위한 단계별 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2000년대 들어 캄보디아의 높은 경제성장률에도 불구하고 경제‧사회적 불평등과 도시와 농촌간의 극심한 소득격차는 캄보디아의 빈곤 문제 해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여전히 약 90%의 빈곤층이 거주하고 있는 농촌의 개발은 캄보디아 국가전반의 발전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정책 과제이다. 이에 캄보디아 농촌개발부는 농촌기반시설 및 농촌종합개발에 절반 이상의 예산을 책정하여 적극적으로 농촌개발에 나서고 있다. 농촌개발부에서 시행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농촌개발은 캄보디아 국가전략적개발계획(NSDP) 목표 전반의 성과 지표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주민참여 활성화, 사업시행 모델 구축 등이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지속가능한 농촌개발을 위한 기초 개발 역량과 경험이 미비한 현재 캄보디아의 상황에서는 기본 단위인 마을개발 사업이 우선 정비되고 향후 상위 규모 사업으로의 확대를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개발도상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빈곤 해결을 위한 농촌개발 방식과 같은 흐름을 보이며, 마을 단위 새마을 운동에서 광역 농촌지역종합개발로 확대되었던 한국의 흐름과도 유사함을 보였다. 캄보디아에서 마을 단위로 시행된 성공적인 농촌개발 사업 분석 결과 사업 수행을 위하여 마을조직 및 교육훈련, 마을기금 설립, 영농 개발을 포함한 소득증대사업 및 소규모 마을융자사업, 인프라 및 생활환경 개선사업 등 S/W 및 H/W 개발이 복합된 종합개발 방식으로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마을 단위의 캄보디아 농촌종합개발 모델과, 성공적인 마을단위 사업을 기반으로 농촌개발의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단계별 정책 방향을 결론으로서 제시하였다. 농촌마을종합개발을 위한 사업 구성요소를 영농, 기반시설, 사회 공동체 발전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캄보디아의 농촌 지역을 지리적 여건을 고려하여 평지, 중간지, 산간지의 세 지역으로 나누었다. 이들 사업구성요소 항목과 지역적 구분의 조합으로 농촌마을종합개발 사업 기본 모델을 삼는다. 이를 토대로 농촌개발을 위한 단계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단기 계획은 농촌개발 기본 모델 구성이다. 세부 사업 구성 요소는 기존의 모든 영역의 사업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구성하며 기본적으로 주민참여형 사업을 위한 마을개발위원회의 구성을 필수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정학적 접근성과 확산효과를 고려하여 성공 가능성이 높은 곳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시범사업의 성과를 환류, 기본 모델을 보강한다. 마을모델개발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상위 규모인 면단위 혹은 동일 생활권 마을들을 대상으로 한 권역단위 농촌종합개발 사업체계 개발을 위한 기본 모델 구성과 시범사업지구 선정 및 타당성 조사를 동시에 진행한다. 중기 계획은 단기 계획 시행의 성과를 점검 및 평가하고 환류하여 개선된 농촌마을종합개발 모델을 확립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시범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각 주(州)별 상황에 맞는 농촌마을종합개발 모델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마을 단위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이 있는 마을 또는 마을개발위원회가 원활하게 운영되고 있는 마을들을 대상으로 마을 상위 규모의 농촌종합개발 모델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한다. 장기 계획은 지속적인 점검 및 평가, 모니터링으로 개선된 중기 계획까지 추진된 사업들을 보완하고 지속적으로 전국에서 시행될 수 있도록 운영 및 보완한다. This study implemented analysis on current situation and policy of Cambodia rural development, survey, and project case for suggesting integrate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model and policy in stages suitable to Cambodia’s current situation. In 2000’s Cambodia had achieved remarkable growth of economy. Nonetheless, socio-economical inequality and serious income differential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still disturbs to solve the poverty problem in Cambodia.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rural area where 90% of the poor resid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y subject for Cambodia’s national development. Regarding the situation, the Ministry of Rural Development of Cambodia(MRD) positively implements policy and projects for rural infrastructure and rural development division with more than half of its budget. The result of survey analysis implemented in MRD represented that the rural development can contribute to improve most indices of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NSDP) of Cambodia. It also represented that the importance of activ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nd of establishing rural development project model. In addition, the set up of development model for a village, a basic living unit, is needed first with consideration on upcoming upper scale projects, regarding Cambodia’s current situation with insufficiency of experiences and basic capacity for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This represents similar tendency with the way of rural development that have been implemented in developing countries for poverty alleviation, and also with the development flow of Korea that started from Saemaul Undong(New Village Movement) with village unit to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in wide area.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 of successful rural development project by village unit in Cambodia, the project had been implemented by integrated way of H/W and S/W with components as follows : community organization, training, village fund, income generating projects including agricultural development, micro credit, improving project of infrastructure, living circumstance and etc.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uggests the basic village unit model of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project of Cambodia, and policy in stage for widening the scope of rural development based on the successful projects with village unit. The project subcomponents consists of three parts: agriculture; infrastructure;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regions are divided into three areas based on geographical conditions: plain area; middle area; upland area. The basic model of integrate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will b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se project subcomponents and regional divisions. The policy in stages for rural development is suggested focusing on establishing project model. The short-term plan is for constructing basic project model of rural development. The subcomponents of the model are to be formulated in accordance with analysis of all the projects implemented so far, particularly including organizing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VDC) as an essential subcomponent. With the basic model, pilot projects are to be implemented regarding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spread effect; the basic project model is to be reinforced by feedback of the pilot projects’ result. In accordance with achievement result from integrate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ilot projects, the basic implementation system for upper scale(by a unit of commune or several villages with same living zone) integrate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s to be constructed. For upper scale project system, the following have to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set up the basic project model; selecting pilot project sites; and feasibility studies and etc. The mid-term plan is for establishing improved project models by Monitoring & Evaluation(M&E) and Feedback of the achievement of the short-term plan’s implementation. In addition, set up of project model and pilot projects are to be implemented considering each province’s circumstances. The upper scale integrated rural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re to be implemented for villages with active VDC or experiences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village unit project. The long-tern plan is to reinforce the implemented projects by the mid-term with sustainable M&E for extending the model and projects nationwide.

      • 미국-캄보디아 섬유무역협정이 캄보디아 노동현실에 미친 영향

        이진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국-캄보디아 섬유무역협정이 캄보디아 노동현실에 미친 영향 An Effect of the US-CAMBODIA BILATERAL TEXTILE AGREEMENT on the Cambodian Labour Market. 동북아 지역 및 통상전공 이 진 우 지도교수 황 기 식 1990년대 국제통상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노동기준을 무역조건에 연계시키려는 사회적 조항(social clause)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이 사회적 덤핑을 통해서 저임금과 낮은 노동기준을 기초로 “부당하게” 우위를 선점하고 “불공정한” 경쟁을 야기하여 다른 나라에 피해를 줄 수 있고 이러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서 선진국의 국내 노동기준마저 경쟁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고 주장하여 갈등을 빚어왔다. 이러한 사회적 조항을 둘러싼 이러한 갈등은 1996년 싱가포르 WTO 각료회의 선언문을 통해 “무역 제재보다는 무역 자유화에 의해 촉진되는 경제 성장 및 발전이 노동기준의 신장에 기여할 것”이라는 성명을 통해 개도국의 입장을 옹호하는 동시에 “국제 노동기준에 관한 문제는 국제노동기구(ILO)의 관장 사안”이라는 점을 확인을 하였고 갈등은 해소되었다. 96년 이후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 전 지역에서의 경쟁조건의 동일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국제통상 협약에 최소한의 노동기준 또는 공정한 노동기준을 규정하는 사회적 조항(Social Clause)을 포함시키기 시작하였다. 미국-캄보디아 무역협정에는 이러한 사회적 조항이 포함되었다. 19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미국은 무역과 인권을 연계시키는 법안과 협정에서 협정당사국이 노동기준을 준수하지 않는다면 보복조치를 취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미국-캄보디아 섬유 무역협정에서는 다른 모습이 나타난다. 캄보디아가 ILO 국제핵심노동기준(CLS)을 준수하여 노동인권을 향상시키면 섬유 의류 수출쿼터를 매년 14%씩 늘려주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협정을 맺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캄보디아 섬유 무역협정은 캄보디아 노동기준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가? 캄보디아 노동 현실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는가? 협정의 구체적 조항이며 국제핵심노동기준인 ①아동노동 ②강제노동 ③차별금지 ④결사의 자유 4가지사항과 2가지 항목인 성희롱 및 부적절한 행위 및 노동시간 어떠한 항목이 개선 혹은 퇴보 되었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를 살펴보려하였다. 실제로 미국-캄보디아 섬유무역 협정이후 캄보디아 노동기준에는 변화가 일어났고 캄보디아 노동현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 다른 국가들과 FTA를 준비 중이며 특히 다수의 개도국과도 FTA에 대한 협상 중이거나 개시를 앞두고 있다. 무역을 통한 노동기준의 제고 방식은 향후 한국이 개발도상국들과의 무역협정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조항이라고 생각하며 본 연구는 좋은 사례를 제공할 것이라 판단한다. 주요어: 미국-캄보디아 섬유협정, 사회적 조항, 국제 노동기준, 인권, 노동법

      • 캄보디아 농촌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에 관한 연구

        김재연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Cambodia is on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where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rural women is limited. There are so many restrictions in Cambodia that affect rural women’s participation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of the country. Rural women that have got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also involve in simple jobs like the sewing industry. In this scenario, it was difficult to raise professionalism and social careers, making it difficult for women to meet the level required by the labor market.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rural women in Cambodia. And the other objective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rural women participation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n rural Cambodia.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rural women in Cambodia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o collect primary data. The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to examine the current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rural women. As a result, most of the women participated in Village Development Committee (VDC), but due to male-dominated policies, the involvement of women in the VDC was limited. In decision-making, women can make their decision-making in the area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defined as women's duties, such as housework or parenting. However, according to ou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decision-making power was not given to women. However, rural women have a hig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recommended to encourage rural women participation social and economic. The first step is to establish rural women's policies, including cross-sector issues. Even though the public policy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to solve related problems; the problem still exists in rural Cambodia. To avoided gender bias in rural communities, rural women should be encouraged to exercise their rights. Second, to empower rural women and to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t is essential to improve education access and improve the educational level of rural women .Educational programs for rural women should also provide technical and professional training and management consulting considering the level of technology and awareness of rural women. Third, in rural Cambodia, there is gender inequality in social and economic participation. Hence, to improve gender equality and improve their participation in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it needs designing appropriate policy and awareness created by the government and concerned body. 농업·농촌에서 여성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여성은 전 세계 농업 노동력의 43%를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식량의 절반 가까이를 생산하며 다양한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농촌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의 농촌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농업생산 및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며, 인적자원을 쌓을 수 있는 기회 또한 부족하다. 농촌여성은 조직에 참여하거나 대표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할 힘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활동을 통해 혜택을 얻고 조절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기회도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캄보디아는 농촌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가 제약되는 개발도상국가 중 하나다. 캄보디아의 농촌여성은 사회·경제적 참여에 대한 많은 제약에 부딪히고 있다.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이 80%에 육박하고, 가계경제에 대해 큰 비중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캄보디아 여성의 상당수는 의류산업과 같은 단순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으며, 대부분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일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성이나 사회 경력을 키우는 것이 어려워 여성의 역량을 노동시장이 요구하는 수준에 맞추기 쉽지 않다. Keth Mardy, 2016. Girls’ Status and Policies in Cambodia,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제 8차 아태개발협력포럼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해」발표자료 그러므로 농촌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사회·경제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앞으로 캄보디아 농촌여성의 참여를 높이고 나아가 농촌발전을 위한 정책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농촌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현황을 파악하고, 사회·경제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캄보디아의 농촌여성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국제사회의 범분야 젠더이슈와 농촌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캄보디아의 농촌여성을 대상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캄보디아 농촌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캄보디아 농촌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참여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대부분의 여성들은 VDC에 참여하고 있으나 참여정도가 미미하여 또한 의견제안이나 의견 수렴에 있어서도 낮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캄보디아 농촌개발부(MRD)의 VDC 여성참여정책은 여성의 사회적 참여를 가져왔으나 남성위주의 정책 등으로 인해 참여정도나 의견제안 등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에 있어서도 생활비(가사)나 양육 등 전통적으로 여성의 역할로 규정되어 온 부분에 있어서는 여성 스스로 의사결정이 가능하나 고액 지출, 진료, 직업 참여 결정, 외부행사 참여 등에는 1/3 이상의 여성들에게 의사결정권이 주어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촌여성의 참여의사에 있어서는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드러났다. 이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에 대한 지원 등 참여여건을 마련할 경우 여성의 참여를 증대시키는데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캄보디아의 농촌여성들이 농촌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주요 요인에는 교육, 권력관계, 성역할 및 공공정책이 포함되며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농촌여성들은 남성보다 낮은 교육수준으로 인해 사회, 경제적, 정치적 부문에서 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여성고용, 권익신장사업 등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어려운 실정이다. 캄보디아 농촌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첫 번째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범분야 이슈를 포함한 농촌여성 정책의 수립이다. 캄보디아에서는 관련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정책이 수차례 개정되었으나, 농촌여성이 가지고 있는 문제에 관해 관련이 없을 수 있다. 남녀차별이 남아있는 캄보디아 농촌사회에서 농촌여성이 능력을 발휘하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농촌여성 정책은 단독정책으로 수립되기보다 농업정책 중 성인지적 관점에서 농촌여성을 우대하는 것이므로 관련 부서 및 부처의 협의와 합의를 통해 전담부서를 구성하여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둘째, 사회·경제적 활동의 적극적 참여를 위한 여성의 역량 강화에 관한 내용도 필요하다. 분석결과 교육수준은 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를 증대시켰다. 교육을 통한 여성의 역량강화는 농촌여성정책 수립 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농촌여성의 기술 및 인식 수준을 고려하여 기술 및 전문 교육, 경영 컨설팅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남녀평등 촉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조사지역 농촌여성들은 사회·경제적 참여에 있어서 성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농촌사회 양성평등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여성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남성의 참여독려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캄보디아 같은 남성중심의 사회에서는 남성의 역할변화에 따라 여성의 사회·경제적 참여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남성이 가사와 육아를 분담하여 여성농민이 농업 및 기타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 평등을 독려하면 여성의 의사결정 및 경제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가능 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 훈센이후 캄보디아 政黨政治의 制度化 연구

        홍가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정치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점으로 정당정치의 취약성에 있다고 판단하고 캄보디아 정당정치의 제도화 수준을 분석함으로서 민주화 이후 캄보디아 정당정치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자율성 측면에서 캄보디아의 정당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제도적 기틀에 의해서 외형상 자율성을 갖추고 있으나 정당을 기반으로 권력을 얻는 것이 아니라 특정권력에 의한 정당의 결합 또는 해체됨으로서 인물과 권력에 종속되는 취약성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응집성차원에서도 인적관계에 의한 조직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캄보디아정당의 특성상 이념이나 정책보다는 당을 이끄는 특정인물에 의해 운명이 결정되었다. 더구나 정당에 대한 일체감 내지 동질성의 결여 및 파벌정치가 만연되어 온 현상에서 보면 매우 낮은 제도화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복합성의 측면에서 캄보디아의 정당은 의회의원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고도의 의원중심적인 원내 정당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정당의 하부조직들은 당지도자와 연결된 지방관료, 지방유지가 중심으로한 후원-수혜관계를 기반으로 조직된 사조직의 성력을 가지고 기능적인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외에도 당의 실제운영이 집행기관을 통해 하향식으로 상의하달식 지시위주로 되었기 때문에 복합성측면에서도 제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적응성측면 대신에 살펴본 정당 기능의 효과성은 캄보디아정당의 대부분이 특정정치지도자를 중심으로한 정당의 사유화에 있으며, 이러한 사유화를 통하여 각 정당 나름대로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념적 측면에서도 시민사회의 진정한 대표성을 갖기 위해서 정당체계가 사회 내에 존재하는 이념의 스펙트럼을 가진 정당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정당이 보스에 의한 파당적 성격이 강해 본질적으로 권위주의적인 정치지도자들에 의한 정치적 도구로서 어떠한 자율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지도자의 정치적 생명과 그 운명을 같이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캄보디아 정당정치의 제도화 수준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캄보디아의 정당정치과정상 특징으로 ‘패쇄적인 정당 내부구조’, 둘째, 외형상으로 대중정당의 조직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실제로 정당 활동에 참여하는 당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부재, 셋째, 정치권력을 중심으로 하는 이합 집산하는 캄보디아 정치엘리트들의 행태, 넷째, 특정정당에게 유리하게 적용되어 왔던 선거가 정치인들의 ‘정치적 책임부재’ 등이다. 이러한 캄보디아정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정치발전을 위해서는 정치적 제도화가 필수 요건이며, 이에 동력 기제는 정당에 의한 정치의 제도화라고 볼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