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축제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 군포시 '태을제(太乙祭)'를 중심으로

        이명자 한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se days, the festivals after enforcing local autonomous system are being developed differently responding to local traits independently and autonomously by limiting spatial restraint so-called areas in each si and gun. The meaning of local festivals based on inherent or traditional traits, is generat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local culture and history. Local festivals are bases on passed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The local festivals have their meanings when sympathy created and breathed with local citizens together in direct relation to local history and its tradition. Modern local festivals developed centered in cities begin to lose its Routine and sometimes transform into the place of deviation and amusement out of ordinary and work. The symbolic meaning of modern local festivals are festival of ordinary space. Out of theater and closed space, in the time that the religious ceremony of festival was carried out, centering streets and squares is changing into festivalization of ordinary space. Also, it contributes to improve community consciousness, local identifiation, and creative culture production and development. While the collective fun which are comtemporary and consuming is close to events, the local festivals are chances to build cultural sympathy and grounds for the local people's cultural desire satisfaction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audience. Also,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onsciousness enhancement, local identification, and creative culture production. If the temporary and wasteful fun of groups are closer to events, the local festival is a chance to form sympathy and a ground to expose cultural desires satisfaction of local people between classes. The ‘Taeeuljae’ in Gunpo-si which is going to be treated in this paper is for supporting understand the essence of local and cultural art festivals centered in the current status generated for local small city to attract culture and art festival. In the second chapter, the theoretical study on composi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types through the origin of festivals and it s changing process by the understanding of festivals and the organization of concepts. In third chapter, study on the function of festivals, effective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ducational aspects was carried out for the possibility of local festival development. Also, in the fourth chapter, the current status of analyzing about ‘Taeeuljae’ and the contents of festival‘s actual process, and the citizens’ participation into evaluation of festival. In the fifth chapter, intensive studying about the improvement policies and suggestions for the upcoming festival development the local festival ‘Taeeuljae’ in Gunpo-si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rough original concept and changing process the study range of this paper is to deal with compose the concept of local festivals and the function and effects of them. As for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aeeuljae’ in Gunpo-si, classifying the range of study was set from 2001 to 2008, the analysis of current state, processing report, citizens' awareness research and analysis. The range from the necessity of local festivals to the improvement ways including historic study and the impact of festival, and the evaluation of citizen‘s participation on ’Taeeuljae‘ in Gunpo-si by 2005, 2007, and 2008 were limited. The festival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in long-term and systematical way To preserve the value of culture which festival has and get results, naturally. Through sufficient study information and data accumulation about inherent culture and custom in Gunpo area, the festive contents development should come first, considering the study on social and cultural impact, local culture application, and those who are concerned festivals. The creation of local festivals which modern people can sympathize and the modern festivals which reflect the status of life are needed, today. It should be considered what the things which harmonize the local people and what the local people want. The trial of festivalization through re-creation of tradition, modern translation of adherent culture are needed. The pattern of festival in Gunpo-si should be developed , dividing into the representative city festival which citizens and tourists enjoy together and the general local festivals creation. In city brand study which is undergoing actively, as important factors which represent the attraction of sightseeing, Landscape is highlighting. Considering the trend of modern festivals is changing into biological city festivals of environment friendly bio-city sharply, to use the landscape utmost and to advance towards the culture and art festivals are desirable. In case of Gunpo-si, the development of festival which has a trait of bio-art festivals against the landmark, Mt. Suri. Contributing to creative culture production and development, festivals should be grounds of citizens‘ desires for culture and representation. The plans for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audience, the chance of forming cultural sympathy between classes and so on. Also,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of planing festivals and to organize the festival task force for private and government cooperations, to extend the chance of participation, to develop active marketing promotions, to keep consistency for the subjects of representing festivals, and to make a good earnings should be arranged. The systematic bases should be arranged for private citizens to lead the festivals by establishing festival progress committee for which local autonomous group system supports composed of citizens from top-bottom festivals led by government. The Gunpo-si should do only financial supports and out-source some plans to private experts. The specific organization or proceeding of festivals should be prepared and be arranged by private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and led. The institutional base to adopt systematic base to accept festival organization task force should be built actively. The support systems which are considered the cultural traits sufficiently should be found and built.

      • 다문화축제 선택속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 문화축제를 중심으로

        보티홍옥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베트남인들이 다문화 축제를 통해서 한국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지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있다. 축제는 사회구성원이 모여서 일상의 회복과 발전을 모색하는 계기가 된다. 특히 다문화축제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화합을 할 수 있는 길로서 다문화 사회를 지향하는 한국에서 강조되어 왔다. 이를 위해서 한국 내 베트남인을 대상으로 베트남문화축제 축제 선택속성, 만족도, 재방문의도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거주한 베트남인들의 의견을 조사 및 수렴함으로서 먼저 다문화축제, 베트남문화축제 방문한 베트남인들의 축제 선택속성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며, 축제 방문 후 만족도, 재방문의도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한 설문대상은 2022년 9월 5일부터 2022년 9월 2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분석을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설1 "베트남문화축제 선택속성은 축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이는 축제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둘째, 가설2 "베트남 방문객의 만족도는 축제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채택되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3은 t-테스트 통해 직업, 구사능력 부분 채택 검증하였다. 성별, 연령, 결혼여부, 동거가록, 소통가능 지인, 한국 거주기간, 축제참여회수, 축제발견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자가 설문조사를 실시한 페이스북에 맞춤식 베트남어로 제공하는 방법도 제안하는 바이다. 둘째, 베트남인을 한국생활 빨리 적응 위해서는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문화교류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성 문화 프로그램이 필요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베트남문화축제에 대한 베트남인들의 축제 선택속성, 만족도 연구하는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양국 관계진흥을 위한 문화교류 하는 축제, 프로그램, 등 더욱 다양화되고 강화될 전망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find out whether Vietnamese currently residing in Korea can adapt to Korean society. The festival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members of society to gather to seek daily recovery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multi-cultural festivals have been emphasized in Korea, which aims for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way for people from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to harmonize. To this end, we tried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Vietnamese cultural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Vietnamese in Korea.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by investigating and collecting opinions of Vietnamese residents in Korea, we first analyzed how Vietnamese who visited multi-cultural festivals and Vietnamese cultural festivals affect the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nd tri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revisit after visiting the festival. The subjects of the survey for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online from September 5, 2022 to September 27, 2022,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urvey analysis to derive the following major results. First, Hypothesis 1 was adopted, "The Vietnamese cultural festival selection attribute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estival satisfaction." This support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festival selection attribut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Hypothesis 2 was adopted, "The satisfaction of Vietnamese visitor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the festival." Third, hypothesis 3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estival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verified through the t-test. Gender, age, marital status, cohabitation record, communication acquaintance, period of residence in Korea, number of festival participation, and route of festival discovery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also proposes a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Vietnamese to Facebook, wher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Second, in order to quickly adapt Vietnamese to Korean life, a diversity cultural program is need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ultural exchanges and education between Korea and Vietnam.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for Vietnamese people's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and through this, festivals, programs, etc. for cultural exchanges to promote bilateral relations will be further diversified and strengthened.

      • 대학축제 선택속성이 축제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유학생의 생활 적응도를 중심으로

        장우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2020), there are 120,000 foreign students in Korea. Among them, the number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creased from 300 in 1996 to 70,000 in 2019, which is accounting for 44.4% of all international students. However, as the competition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especially centered on quantitative perspective, grow intensifies, various negative aspects are also emerging. For example,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creases, the number of illegal stays in violation of the conditions of stay has also increased. In addition, various psychological, academic, and life problems arose because international students could not adjust to Korea society. Therefore,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need to find short-term strategies for attracting foreign students, especially Chinese students, as well as long-term strategies such as receiving various scholarships or subsidizing dormitory expenses. So, in the real sense of the goal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s increasing,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understand, help,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foreign students while they are stay in the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three aspec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nd adjustment to overseas stud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The main purpose is to find a sustainable strategy for attracting and retaining foreign students by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school festival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desire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study abroad life. Considering the difficulty of meeting in person and distributing questionnaires in the age of COVID-19, we collected data through a survey of international students by using WeChat, which is mostly used by Chinese people on the Internet. Out of a total of 260 copies, 258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and 221 copies (85% of acceptance rat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excluding 37 copies of insincere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Chinese students school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be "festival programs and infrastructure" and "multi-cultural content" as two factors, and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was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adaptation to social life". two types were also extrac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hypothesis 1, 'The university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festival'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festival program and infrastruc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so the hypothesis was adopted. Second, hypothesis 2 tha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revisit university festivals'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ypothesis 2 was accepted. Third, Hypothesis 3 was t-teste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in college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Hypothesis 3-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ccording to social life adaptation among study abroad life adaptations. There will be.' Hypothesis 3-2 was accept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ertain selection attributes among university festiva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and that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festivals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revisit university festiv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by increasing the degree of adaptation to study abroad life, the selection attributes of school festivals, festival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could be increased. 교육부(2020)에 따르면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12만 명에 이르고 있다. 이 중에 1996년에 300명이었던 중국 유학생의 수는 2019년에 7만 명이나 급증했으며 전체 유학생 중에 44.4%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양적 성장 위주의 유학생 유치경쟁이 벌어지면서 각종 부정적인 면도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유학생들이 늘면서 체류 조건을 어기는 불법체류 건수도 늘어났다. 또 유학생들이 적응을 못 해서 각종 심리, 학업, 생활문제들이 생겼다(탕홍위, 2020). 따라서 한국 내 대학들은 각종 장학금 혜택을 받거나 기숙사 실비를 지원하는 등 단기적인 유치 전략은 물론 외국인 유학생들이 특히 중국 유학생들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전략 모색이 필요하다. 그래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목표하는 진정한 의미에서는 대학에 들어온 외국인 유학생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면밀히 살피고 이해하고 도움을 주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라서 학교 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 간의 관계 그리고 유학 생활 적응도에 따라 이 세 가지 측면에 유의한 차이를 분석을 통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고 그들의 유학 생활의 질을 높여주기 위해서 다양한 학교 축제를 개발하고 운영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치 그리고 유지 전략을 모색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코로나 19 시국에 직접 대면적 설문지를 배포하는 어려움을 고려해서 인터넷에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위챗으로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60부 중 258부 설문지를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이 37부를 제외한 221부(85%)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인 유학생이 학교 축제 선택속성이 "축제 프로그램 및 인프라", "다문화 콘텐츠"의 2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유학 생활 적응도는 "학교생활 적응도", "사회생활 적응도", 2개 유형을 추출되었다. 중국 유학생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첫째 ‘대학축제 선택속성은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1은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채택 여부를 검증하였는데 분석결과는 대학축제 선택속성의 2가지 요인 중 축제 프로그램 및 인프라는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채택된 반면 다문화 콘텐츠가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가설1이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대학축제 만족도는 대학축제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채택 여부를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대학축제 만족도는 대학축제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2가 채택되었다. 셋째 ‘유학 생활 적응도가 대학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은 t-테스트를 하였으며 ‘유학 생활 적응도 중에서 학교생활 적응에 따라 대학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1, ‘유학 생활 적응도 중에서 사회생활 적응에 따라 대학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2가 모두 채택되었다. 따라서 대학축제 중에서 어떠한 선택속성이 대학축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을 알 수 있고 대학축제 만족도는 대학축제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실 또 알게 되었다. 또한 유학 생활 적응도를 높임으로써 학교 축제 선택속성, 축제만족도, 재방문 의도 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중국 관광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 칭다오, 하얼빈, 다롄지역 맥주 축제를 중심으로

        왕중제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축제는 관광객들을 특정 지역으로 방문하게 만드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중국에서는 여러 맥주 축제가 열리는데 그 중 칭다오 맥주 축제에 대한 연구만 진행되고 있어 여러 맥주 축제와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3대 맥주 축제인 칭다오 맥주 축제, 하얼빈 맥주 축제, 다롄 맥주 축제를 중심으로 관광브랜드 포지셔닝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 3대 맥주 축제의 발전 과정을 탐구하기 위하여 6개 대조항목을 골라서 사례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첫째, 세 도시의 경제구조와 역사문화는 매우 다르고, 맥주 축제의 발전 세부사항과 발전 정도도 각각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맥주 축제는 지역 경제 발전을 이끌어 내고 관광브랜드의 전략적 입지를 제고하며, 도시 통합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모두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셋째, 맥주 축제는 도시문화 선전의 메카로서 개최 도시에 미치는 영향이 불가피하다. 다음으로 중국 3대 맥주 축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각 축제가 열리는 지역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였다. SWOT 분석을 통해 강점, 열세, 기회, 위협 등 4각도에서 세 도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3개 도시는 각각 장점과 단점이 있어 기회와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3개 도시는 각자 다른 전략과 해법을 가지고 있다. 칭다오는 풍부한 관광자원과 우수한 지리적 위치를 갖추고 있어 지명도가 비교적 높으며 이러한 강점은 칭다오 관광업의 빠른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나, 중국과 외국 관광객의 증가에 따라 환경문제가 특히 두드러진다. 하얼빈은 경제 발전이 상대적으로 낙후되지만, 동시에 비교적 경제 발전의 빠른 단계로 발전전망이 양호하고 기회와 도전이 공존한다. 다롄시는 자원이 풍부하고 시장이 넓어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강점은 다롄 관광사업을 빠르게 발전시키는 직접적인 동력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열세가 있는데, 주로 관광상품의 단일화, 환경 관리 상황의 저하 등의 방면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주요 3대 맥주 축제뿐만 아니라 모든 중국 맥주 축제의 관광브랜드 포지셔닝을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estivals are the key means to attract the trip of tourists to specific regions. China has held several beer festivals, while it only studies Qingdao Beer Festival, so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contrast study with other beer festivals. In view of it,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ositioning strategy of tourism brand by focusing on the three major beer festivals in China, including Qingdao Beer Festival, Harbin Beer Festival and Dalian Beer Festival. Firstly, it selects six control items for case analys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hree major beer festivals in our country.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gets the conclusion that the economic structur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hree cities are quite different, which also exists different details and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the beer festival. Secondly, it i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beer festival is of positive significance to promot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enhance the strategic position of tourism brand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urban integration. Thirdly, beer festival as the holy land of urban cultural propaganda is inevitably under the impact of the host city. Next, it carries out the SWOT analysis on each festival venue, which propos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hree major beer festivals in our country. The results of the three cities are analyzed from four perspectives of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according to the SWOT analysis. As for the three cities, they are facing both opportunities and threats due to the fact that each city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However, the three cities have different strategies and solutions. For example, Qingdao is well-known for its abundant tourism resources and superior geographical location. With this strength, it serves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of Qingdao. Whil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re particularly prominent with the increase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Harbin is also in the relatively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though its economic development is relatively backward, which has good development prospects, as well as faces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With obvious advantages, Dalian is abundant in resources and has broad market, What's more, these advantages are the direct driving force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 Dalian. Besides, some deficiencies also exist, which mainly embody in the aspects such as the unification of tourism products and the deterior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conditions. Based on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o promote the formulation of tourism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for all Chinese beer festivals and the three major beer festivals in China.

      • IPA 분석을 통한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의 만족도가 구매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병욱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의 급속한 변화는 현대인의 여가생활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축제를 선택하는 참가자들의 욕구 또한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관광환경의 변화에 따라 축제를 방문하는 참가자의 니즈를 반영하고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행사내용과 함께 차별화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만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급격하게 변화하는 관광 트렌드와 시장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는 지역특산물축제 관련 중앙부처 및 지방정부는 축제를 선택하는 관광객의 의견 파악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특산물축제를 참가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많은 선택속성 중에서 어떤 속성들이 중요하게 생각되는지와 지역특산물축제 참가 후 얼마나 높은 만족도를 얻었는지에 대한 분석과 이러한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가 특산품 구매의도, 축제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역에 대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으로 지역에 대한 전체적 이미지로 규정되는 지역이미지가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가 특산품 구매의도 및 축제 추천의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여 미흡한 부분을 보완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개인의 축제 만족도에 따라 특산물 구매의도와 축제 추천의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지역특산물축제의 발전 및 활성화 방안과 이와 관련된 실무적 시사점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IPA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25개 문항 중 17개 항목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IPA matrix를 통해 각 사분면에 위치한 변수들을 확인한 결과 중요하지만, 해당 속성에 대해 만족도가 낮아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영역인 제2사분면에는 `상품선택의 용이성`, `행사내용`, `편의시설`의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 영역은 집중적인 개선 및 투자를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의 특산물 구매의도에 대한 유의성을 살펴보면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 중 상품 선택의 용이성, 행사내용, 편의시설 만족도만이 특산물 구매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품 선택의 용이성, 행사내용, 편의시설 만족도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특산물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특산물의 맛과 신뢰, 홍보안내, 축제음식, 접근성 만족도는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의 축제 추천의도에 대한 유의성을 살펴보면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 중 행사내용, 편의시설 만족도만이 축제 추천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사내용, 편의시설 만족도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축제 추천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특산물의 맛과 신뢰, 상품 선택의 용이성, 홍보안내, 축제음식, 접근성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가 특산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역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단계 모형에서 지역이미지가 특산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 지역이미지를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와 특산물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조절변수가 아니라 독립변수로서 특산물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섯째,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가 축제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역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단계 모형에서 지역이미지가 축제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 지역이미지를 지역특산물축제 선택속성 만족도와 축제 추천의도의 관계에 대한 조절변수가 아니라 독립변수로서 축제 추천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특산물축제를 개최하는 중앙 정부 및 지방정부 뿐만 아니라 지역민들까지 지역특산물축제 참가자가 만족하는 축제의 선택속성을 강화하여 특산물 구매의도와 축제 추천의도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이미지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더라도 직접적으로 특산물 구매의도나 축제 추천의도을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결과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지역특산물축제를 개최하는 중앙 정부 및 지방정부, 지역민들은 지역이미지를 강화하여 축제참가자들의 특산물 구매의도와 축제 추천의도를 높여주고 더욱 강화시켜줄 수 있는 전략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최근 지역축제는 치열한 경쟁으로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과 대표성을 보여주는 차별화된 축제보다는 일부 성공한 축제를 일률적으로 모방하면서, 유사한 축제들이 반복되는, 수적으로만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 수익 창출이 어려운 구조이다. 또한 공공재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지역특산물축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은 공공재원에 의존하기 보다는 수익구조를 다각화하는 자세의 접근이 필요하며, 지역만의 색을 입혀 축제를 방문하는 참가자들에게 사랑받는, 지속가능성과 자생력을 갖춘 축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재정 자립도를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are also bringing many changes to the leisure life of modern people, and the desires of participants who choose the festival are also becoming very diverse. Therefore we can survive in the intensive competition only if we provide differentiated and diverse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of participants visiting the festival and satisfy their needs. So it is important for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lated to the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which must respond sensitively to rapidly changing tourism trends and market changes to understand the opinions of tourists who choose the festival. So this study aimed to grasp which attributes are considered important among the many selection attributes and how high satisfaction level was obtained after the participation of the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and to understand whether the satisfaction of the selection properties of these local special product festivals affects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special products and the purpose of the festival recommendation.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the regional image, which was formed through experience of the region and defined as the overall image of the region, adjus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of purchasing special products and the intention of festival recommendation. Through these studie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local special product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were identified to provide directions for supplementing insufficient parts, to seek ways to maximize the intention of purchasing special products and recommending festivals according to individual festival satisfaction,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and basic data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the ways for the popularization of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s. Models and hypotheses are set up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nd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IP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selected attributes of the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Of the total 25 questions, 17 items were found to be highly satisfied compared to the importance. The IPA matrix identified variables located in each quadrant and found that the second quadrant proved to be less satisfied compared to the related attribute, and to need more efforts. This is classified with three factors including 'convenience of selection of the goods', 'the contens of the event,' and 'convenient facility'. This area has been shown to require intensive improvement and investment. Second, if we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 purpose of purchasing special products for the attribute of selection of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s, it is found that only the easiness of selecting products, the event contents, and the satisfaction of convenient facility affect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special product in a positive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contents of the even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onvenient facility, the more the intention for the recommendation of the festival will be proved. However, the taste and trust of special products, contents of event, festival food and the satisfaction to accessibility do not statistically affect the purpose of the purchase. Third, if we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 purpose of the festival recommendation to the satisfaction of selecting the local special product festival, it is found that only the event contents and the facility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satisfaction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affect the purpose of the festival recommendation in a positive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content of events and convenience facilities, the higher the intention of recommending festivals. However, the taste and trust of special products, easiness of product selection, promotion guide, festival food and satisfaction to accessibility do not statistically affect the recommended intentions. Fourth, the satisfaction of the selective attribute of regional special products festival on the purpose of purchasing of those products proved no control effect as a result of review on the control effects to the regional image. However, in the two-stage model, the effect of local images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special products is significant, which can be understoo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special product as an independent variable, rather than as a control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selection properties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the special product. Fifth, the effect of regional image control on the purpose of the festival's recommendation was found that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were not affected. However, in the two-stage model, the effect of local images on the purpose of festival recommendations is significant, which can be understood to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festival recommendations as an independent variable, rather than as an adjustm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selection attributes and the festival recommendation’s intention. Therefore, based on these findings, not onl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at hold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s, but also the local people, should strengthen the image of the regions, raise the motivation of purchasing the special goods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for the festiva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empirically that the local image could be a factor that could directly enhance the intention of purchasing special products or recommending festivals, even if it did not show any adjustment effect. The central, local governments, which hold the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 and local residents should devise strategies to enhance the regional image and the motivation for the recommendation of the festival participants including promoting the motivation for purchasing the special goods. Recently, local festivals have been seen expanding only in numbers, with similar festivals repeating themselves, uniformly mimicking some successful festivals rather than the differentiated ones that show the unique identity and representation of the region due to fierce competition. This is a structure that is difficult to generate profits amid fierce competition. There is also a continued reliance on public funds. The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regional special product festivals requires a position to diversify the revenue structure rather than relying on public funds, and the government should raise its own financial independence, be loved by the festival participants through its own local character, and also see that the festival will develop with sustainability and independence.

      • 축제에 대한 영향인식이 축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애착도의 조절효과로

        박순영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5년부터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문화관광축제 지원 사업은 지역관광 활성화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통한 세계적인 축제 육성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의 전통문화와 독특한 주제를 바탕으로 한 지역축제 중 관광 상품성이 큰 축제를 대상으로 지속해서 지원 육성하고 있다. 문화관광축제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지역의 이미지 제고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폭넓은 문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어 그 중요성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축제는 전통적으로 지역주민들의 단합과 애향심을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탄생하게 된 것을 고려한다면 단순히 최근 부각되고 있는 지방정부의 경제 활성화 도구로만 인식되어서는 안 되며, 지역축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지지를 받아 지역주민들의 관심 속에서 성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변수들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검토를 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축제에 대한 영향인식이 축제 지지도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지역주민의 애착도가 영향 관계에서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유효표본을 획득하였으며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축제에 대한 영향인식과 축제 지지도의 영향 관계 검증에서는 축제에 대한 평가의 하위요인인 사회문화적 영향과 경제적 영향이 축제 지지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영향 인식과 축제 지지도에 관계에서 지역애착도의 조절효과로 사회문화적 영향과 정체성의 상호작용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정체성은 축제영향 인식의 하위요인별 사화문화적 영향과 축제 지지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존성의 조절효과도 사회문화적 영향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축제 영향 인식 하위요인별 사회문화적 영향과 축제 지지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제영향인식의 하위요인인 환경적 영향과 사회적 친분의 상호작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적 영향과 축제 지지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지역축제, 축제 영향인식, 지지도, 지역 애착도 The project to support the culture and tourism festival, which has been pu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nce 1995, is based on the basic direction of fostering global festivals by promoting regional tourism and attracting more foreign tourists, and continues to support and foster festivals with great tourist merchantability among regional festival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unique themes. The cultural and tourism festival has been increasing in importance as it contributes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provides not only enhancing the image of the region but also a wide range of cultural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However, considering that regional festivals have traditionally been born voluntarily based on the unity and affection of local residents, they should not be recognized simply as economic revitalization tools of the local government, which have recently emerged, and it is desirable to grow in the interest of local residents with the support of local residents to succe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of the variable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a demonstration, we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local residents in Wonju, Gangwon Province, to see if awareness of the festival has any bearing on their level of support. It also wanted to verify whether the attachment of local residents plays a controlling rol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urvey of local resid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erification of influence recogni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local residents' festival showed that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and economic impact, which are sub-factories of assessment of festival,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upport. Second,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and identity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lation to festival impact perception and popularity, indicating that the identity was shown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nfluences of each subcomponent of festival impact recognition and the degree of support, and that the adjustment of dependency was also shown to support the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that are subculture factors. In addition,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environmental influence and social acquaintanc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festival influence recogni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influence and support. Keywords : Regional Festiva, Festival impact recognition, Support, Attachment

      • 지역 문화축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 부천 지역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

        서선교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 the cultural industry is the power of Culture Industry as well as paying a ripple effect on the various industries. To do the same location visit or concert tickets as a tourist items, take advantage of the Korean Wave, enhance effectiveness and the country's culture and products for the image accordingly. To have a big impact in the overseas advancement of Korean businesses and improved. Cultural Industry economic high value-added industries, high value-added industries : economic (osmu, one sourse multi use) value added and job creation capacity is a big industry. Considered and cultural content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is borderless considered to be added value and is useful to switch into foreign markets according to the future.The importance of cultural industry is expected to be more emphasis. In the case of a cultural event in 1995, elected by popular vote since the time the number of explosive and for investment is growing. In the case of local festivals local culture as a means of a Regional Economy Activation in their economy makes every effort to cultivate as a means of a local cultural festival the area.The notification that can create high value added at the same time continually need to evolve as the most logical alternative. Nationally, big and small, local culture festival is held and the ingenuity of the region was called but the case for lack of a local festival and similar festivals in flooded and qualitative competitiveness. The festival is a lot of situations of a government-initiated for lack of formal operation. The experience-building by the event was based on populism also be used as a political tool often will stop the festival is a one-off cases, not less. As such local cultural festival is institutional side, operational side, interacting with regional aspects and other factors. Accordingly, the local cultural festival,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is study alone without access to institutional, operational and regional approach in terms of local culture festival successes. Relative importance for several factors and analyze the cultural festival is I wish to present the future that can succeed. To that end, various theories about the festival and soup and success factors to be derived by analyzing examples of cases and, Bucheon-si, cultural festival. Success Factors that was presented in a number of research and leading high level through the case of the festival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And the high level and three sub back to the level of classification, respectively. This study uses a class analysis (ahp) way to a higher level of the three and nine structured and based on surveys of its structure with lower levels of the proceedings.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civic experts and civic as survey conducted among the 34 and survey analysis is microsoft excel in using the 2010 program. The survey results for each key success factors to think among groups through the reclassification and about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reviewed. The conclusions drawn in through the process on final as follows : First, the top levels of relative importanc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Second, lower level of importance overall outcome is ‘the differentiation of program topics’ and ‘budgets’, ‘accessibility’, ‘diversity of the program components,’, ‘dedicated system organization’,.‘Citizen Participation,’,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attractions’, ‘convenience’ and ‘Assessment and feedback system construction’ in that order. Third, while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part of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on expert group of subject matter expert group vice versa if the low importance. For the three groups are overwhelmingly high importance ‘the differentiation of program topics’ was chose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clusion, a local carnival in this study :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would like to come up. The first topic, the festival program should strengthen the brand through other parts of the differences with the festival. In the case of a local festival similar festival is flooded and purpose and theme are not clear. Not a brand in order to be a one-off in accordance with the festival, he should be deployed. Second, effective budget should be a festival. Multiple redundant with the United States in a strong personality integrated to cut budgets by looking for hosting of the festival can be used efficiently and at the same time, should be required. Third, appropriat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proposer's necessary.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introduced in other areas where tourists can come easy as place of the festival is also important. With additional digital content sharing festival promotion is required. Highly scalable advertising content created offline, not just continuous publicity should be in the Internet. This study to analyze the success of the local culture festival abroad as well as intern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estival. Analysis of various festivals, not only a local festival success stories, Subject Matter Expert groups, with comparative analysis and that the administration expert groups. Classified as ordinary citizens with meaningful in that they analyzed. Leading research findings based on the success of a variety of study, although it led us to conclude the regional constraints of research, generalizations about the restraints.That directly with festival at the scene of the working group of local culture, but the limits of this study is not reflecting the success to one.The direction that relevant. 오늘날 문화산업의 힘은 비단 문화산업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에 파급효과를 내고 있다. 한류를 활용한 관광 상품으로 촬영지 방문이나 공연 관람 같은 연관 효과가 증대되고 있고 그에 따라 그 나라의 문화나 상품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문화산업은 경제적 고부가가치 산업(OSMU, One Sourse Multi Use) 경제적 고부가가치 산업 :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능력이 큰 산업 으로 평가 받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문화 콘텐츠는 국경 없는 부가가치로 평가되고 있고 그에 따라 해외시장으로의 진입이 유용하여 앞으로도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문화축제의 경우 1995년 민선 단체장 시기 이후부터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투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자체의 경우 자신들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지역 문화축제를 경제 활성화 수단으로 육성에 힘쓰고 있으며 지역문화 축제는 지역을 알림과 동시에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대안이므로 지속적으로 발전할 필요가 있다.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지역 문화축제가 개최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지역의 독착성 부재로 타 지역 축제와 비슷한 축제가 난립하고 질적인 경쟁력의 부재로 관 주도적인 형식적 운영의 축제가 많은 상황이다. 또한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어 포퓰리즘에 입각한 선심성 행사가 되는 경우가 많아 축제가 일회성에 그치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처럼 지역 문화축제는 제도적 측면, 운영적 측면, 지역적 측면 등 여러 요인들이 상호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 문화축제를 제도적 측면에서만 접근하지 않고 제도적, 운영적, 지역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지역 문화축제 성공에 관한 여러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고 지역 문화축제가 성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축제에 관한 여러 이론과 국·내외 사례 및 부천시 문화축제 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여러 선행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성공요인 및 축제의 선행 사례를 통해 상위수준을 ‘제도적 특성’, ‘운영적 특성’, ‘지역적 특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상위 수준은 각각 3개의 하위 수준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계층분석방법(AHP)를 활용하여 3개의 상위수준과 9개의 하위수준으로 구조화 하였고 그 구조도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행정전문가, 실문 전문가, 시민으로 분류하여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조사 분석은 Microsoft Excel 20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각 집단 간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공요인에 대해서 재분류하고 조사 결과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위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수준의 상대적 중요도는 ‘운영적 특성’, ‘지역적 특성’, ‘제도적 특성’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하위수준 중요도 종합결과는 ‘프로그램 주제의 차별성’, ‘예산확보’, ‘접근성’, ‘프로그램 구성의 다양성’, ‘전담 조직체계 구성’, ‘주민참여도’, ‘주변 관광지 연계성’, ‘편의성’, ‘평가 및 환류시스템 구축’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정 전문가 집단의 경우 ‘예산확보’의 부분의 중요성을 강조한 반면 실무전문가 집단의 경우 반대로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프로그램 주제의 차별성’ 의 경우 세 집단이 모두 압도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보여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선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축제 프로그램 주제의 브랜드화를 통한 타 지역 축제와의 차별성을 강화 하여야 한다. 국내 축제의 경우 목적과 주제가 명확하지 않고 비슷한 축제가 난립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일회성 축제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하나의 브랜드를 구축해야한다. 둘째, 효율적인 축제예산 편성이 되어야 한다. 다발성으로 진행되는 중복적 성격이 강한 축제의 경우 통합개최 등을 모색하여 예산을 절감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적절한 지리적 위치 선정이 필요하다. 대중교통과의 접근성 등 타 지역에서 유입되는 관광객들이 쉽게 올 수 있는 곳을 축제의 장소로 지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부가적으로 디지털 콘텐츠 공유를 통한 축제 홍보가 필요하다. 확장성이 높은 홍보 콘텐츠를 생성하여 오프라인만이 아니라 인터넷 매체에 지속적인 홍보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축제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 축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 지역의 축제만을 분석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축제의 성공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과 더불어 행정전문가 집단, 실무전문가 집단, 일반시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요인을 도출하였지만 지역적인 제약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제약을 가지고 있는 점과 직접 축제 현장에서 근무하는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지만 지역문화 축제를 성공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역사문화형 축제의 주제반영성 비교연구 : 2012년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를 중심으로

        최혜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축제의 주제는 그 축제를 함축적으로 표현한 상징적 개념으로 지역의 문화관광자원과 축제의 가치성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재의 역사문화축제는 역사성이 고증되지 않은 연출, 프로그램 운영, 민간 사업체 참여 등으로 역사축제의 본질인 역사 주제반영성이 흐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역사축제인 공주·부여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의 방문객의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비교하고, 각 축제의 방문객을 성별, 방문 여부, 거주민/방문객, 방문동기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특성별 그룹의 백제문화제를 통한 주제반영성 항목에 대한 만족수준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 된 자료는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 총 544부의 유효표본이 수집되었으며,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316부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투입되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의 주제반영성 만족수준 평균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축제장 분위기’, ‘주변시설물’, ‘박물관’, ‘프로그램’, ‘복장’, ‘기념품’, ‘식음료’의 순위로 만족수준이 조사되었다. 한성백제문화제는 ‘축제장 분위기’, ‘복장’, ‘박물관’, ‘주변시설물’, ‘프로그램’, ‘기념품’, ‘식음료’의 만족 수준으로 순위가 도출 되었다. 둘 째, 축제 방문객 그룹(성별, 신규/재방문객, 거주민/방문객, 방문동기) 간 주제반영성 7개 항목 만족도를 차이분석 하였다. 주제반영성 만족도 측정변수인 축제장 분위기를 차이검증 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모두 성별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제반영성 만족도 측정변수 프로그램에서는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 재방문객과 신규방문객의 축제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인지하는데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남성과 여성 그룹간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주제반영 식음료에서는 한성백제문화제의 성별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념품을 차이검증 한 결과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에서는 재방문객과 신규방문객 그룹간에서,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성별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복장에서는 한성백제문화제에서만 성별 그룹 간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인지하는데 통계적인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와 한성백제문화제 방문객의 방문동기 그룹별 주제반영성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주변시설물, 프로그램, 식음료, 기념품, 복장에서 집단별 만족수준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성백제문화제 방문객의 방문동기별 그룹 간에 주제반영성 만족도를 차이 검증한 결과, 박물관에서 방문객 동기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하여 공주·부여 백제문화제는 신규방문객과 재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보안 및 개발이 필요하며, 한성백제문화제는 여성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강화를 해야 한다. 또한 두 축제 모두 박물관의 훌륭하고 다양한 소재와의 연계를 통한 주제반영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주제반영과 연계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점은 개선해야 하며, 프로그램의 역사를 고증하는 절차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 지역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 전라북도「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김종국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제 1절 연구의 종합 지역 축제는 그 기원이 고대 부족 국가시대의 제천의식을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러서는 전국적으로 1,000여개의 축제가 치러지고 있음을 볼 때 가히 축제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축제가 지역의 정체성 확보와 문화 알리기에 크나큰 역할을 하는 것은 틀림없지만 축제마다 대동소이한 프로그램, 이벤트성 종목의 증가 등으로 축제의 무용론도 제기되기도 함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을 가지고 있는 남원 춘향제를 사례로 하여 지역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지역의 축제의 유형을 보면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경우가 강하며 공동적으로 각종 미인선발대회, 경연대회, 전통음악공연, 제사재현, 지역특산물의 행사가 치러지고 있으며 지역축제가 종합축제와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행히, 1996년부터 정부에서 지역축제의 문화관광축제로 선정하여 행정적인 지원을 강화하여 축제의 관광 상품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평가 할만 하다고 본다. 2005년도 정부에서 선정한 27개 문화관광축제 중에서도 해외관광객 유치 등에 적합한 10대 집중육성 축제로 선정된 남원 춘향제는 그 규모면에서나 내용면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임에 틀림없다. 춘향제는 일제시대인 1931년 처음으로 여성이 주축이 되어 시작한 지역향토 축제이다. 일제시대에는 지역 민속 문화의 계승과 나라의 독립을 소원하는 지역주민들의 의식을 통합하는데 기여했으며 해방과 함께 계속된 춘향제는 해방 후 혼란기에도 지역주민의 화합과 단결을 강화하는 축제로 꾸준히 발전해 왔으며 1985년까지 관주도 하에 추진되면서 규모면에서 매년 꾸준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왔다. 1986년 민간단체인 사단법인 춘향문화선양회의 발족과 함께 민·관이 협력하여 추진하게 되었다. 금년에는 가정과 사랑의 달 축제를 구현하는 축제로서 5. 4~5. 9일까지 남원시내 일원에서 다양하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명실공히 전통문화예술 축제로서 손색 없이 치러졌다. 본 연구에서는 제 75회 춘향제 행사 결과 보고서를 참고하여 축제의 사례연구와 중앙정부에서 지향하고 있는 문화관광축제의 정책방향 등을 분석하여 지역축제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도약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춘향제가 성공적인 행사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보환사항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첫째로는 성공적인 축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경주세계문화엑스포와 같이 '개성있는 지역축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역사가 오래된 지역사회라면 반드시 전통적인 문화가 있기 마련이며, 새로 조성된 신도시에서도 몇 년이 지나면 자연발생적이거나 인위적이라도 축제가 생겨나게 된다. 축제는 말할 것도 없이 즐거운 모임이고, 사람과 사람들이 서로 만나게 되는 마당이다. 그래서 춤이나 갖가지 예능들이 축제와 더불어 발전되어 왔던 것이다. 그러므로 축제는 어느 의미에서 지역문화 창조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춘향제가 지역만의 특색 있는 문화의 장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북한 『민족 가극 춘향전』 초청공연추진을 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과 북의 민족화합을 이룰 수 있는 춘향제 기념의 공연을 통한 문화교류를 실시함으로써, 매스컴을 주목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춘향제라는 행사는 한층 격상된 지역축제가 될 것이다. 실제로 2001년에는 남원시립국악단의 〈창극 춘향전〉 평양공연을 실시한 적도 있었다. 이것을 어느 정도 북한팀의 초청이 가능하지 않나 판단이 된다. 또한 춘향제선발대회의 참가자를 확대해야한다. 이번까지만 해도 춘향선발대회는 해외 동포가 참가할 수 없었다. 하지만 해외동포에게도 참가의 기회를 줌으로써 해외동포에게도 춘향제라는 행사가 한층 더 다가가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둘째, 상업화의 딜레마에 빠져서는 안된다. 지역축제를 개회하는 동기중의 하나는 지역사회 및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인데 재정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지역축제는 결국 상업화가 가지고 있는 패러독스에 의해서 오히려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남원시는 지금의 지역주민의 참여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주민참여 프로그램의 형성과 다세대의 주민의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하겠고, 상업화 측면만을 살펴 일회성 이벤트의 형식을 쫒아 예산을 오히려 낭비하는 과오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남원시는 이벤트에 얽매이지 말고 춘향문화선양회의 역할을 재고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 된다. 이것은 곧, 축제에 대한 전문적인 인력과 추진력이 있는 시민단체·예술단체 인사의 춘향문화선양회(제전위원회)참여로 선양회에 대한 시민 의식 변화가 요청된다. 또한 연중 지속적인 춘향제 기획활동전개와 사무국의 인적 자원 활용 등을 통해 보다 한층 더 격상된 행사가 되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구성원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가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지역구성원들의 참여는 춘향제 축제의 주민의 행사를 참여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기획단계에서부터 운영, 평가에 이르기까지 지방정부와의 긴밀한 네트워크 하에서 끊임없이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 되어야 한다. 과거 관주도에 의한 지역축제는 효율성의 측면이나 내용적인 측면에서 지역의 문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었고 있었다. 따라서 지방분권화 시대에 걸맞춰 기획 및 운영을 민간단체가 주도하고 이를 지방정부가 지원해주는 긴밀한 상호보안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 부분은 남원시 춘향제에서 축제의 주관자로써 참가하였다. 남원시는 지역 행사의 주체와 지속적으로 문제점의 해결모색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지역단체 및 시민단체에 귀를 귀 기울여야 하는 지혜를 가져야 할 것이다. 우리는 먼저 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왔고 두 번째는 사회적으로 미친 영향, 세 번째는 문화적으로 미친 영향, 네 번째는 환경적으로 미친 영향에 대해서 알아봤다. 춘향제라는 축제가 보다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연구투자와 더불어 주민들의 지역 열등감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특색 있고 자랑할 만한 지역축제를 만들기 위해 장기적으로 안목을 갖고 민·관·학의 꾸준한 노력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제 2절 연구의 한계 전라북도 「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한 이번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가장 먼저 이번 연구는 주로 참고자료 위주로 조사되거나 인용되었다는 것이다. 연구내용을 살펴보더라도 대부분 타 논문에서 인용이 많이 되었고, 참고자료 등에서 내용을 수렴하여 작성한 것이 잘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현지조사를 통한 그 지역의 정확한 이해가 필수일 것이다. 현지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그 지역 주민과의 인터뷰가 될 것이다. 하지만 무조건 아무나 인터뷰의 주인공이 되어선 안된다. 충분히 그 지역에 대한 관련지식이 풍부한 사람이어야만 지역문화를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뷰 할 주민을 선정하는 데 많은 고민을 해야 한다. 그리고 일방적인 질문과 무조건적인 사실 수용보다는 상대방과의 자연스런 대화를 통해서 그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그 지역 내의 자치단체 등을 이용하면 되는 것이다. 지방자치 단체는 지역 내의 행정, 사회, 문화, 경제, 환경 등 모든 분야를 전담하는 곳이다. 그런 기관에서 활동하는 전문적인 사람들은 역시나 그 지역문화를 어느 정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로 연구 내용의 주제에 비해 지역축제에 관련된 역사적 배경이 너무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조금 개선하자면, 지역축제의 궁극적 주제에 적절히 부연 설명하는 식으로 역사적 배경을 추가시키는 것이 옳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정리를 하자면, 어떠한 연구를 하여도 중요한 것은 연구의 정적인 자세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활발히 활동하고 적극적인 자세를 요구하는 동적인 자세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한국언어문화교육 방안 : 고령대가야체험축제를 중심으로

        노지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의 방법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여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한국어와 문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2011년 문화관광축제 현황 목록’을 토대로 하여 대구․경북 지역 내에서 개최되는 축제에 한정하였으며, 일부 대학교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의 문화 강좌와 문화 교육 교재를 검토하여 문화 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문화통합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문화축제’를 통한 문화 교육에 일차적인 목적이 있기에 문화중심의 언어문화 통합교육을 따랐다. 대학 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문화 강좌와 교재를 검토한 결과, 대부분 한국의 전통문화 수업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이 실생활과 연계가 되어야 하기에 생활문화 수업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체험을 활용한 수업을 구성하였다. 프로젝트를 활용한 수업이란 학습자가 수업의 주체가 되어 목표 과제를 계획하고 완성해나가는 과정 중에 한국어를 습득하는 방법을 말하는데, 소그룹별 상호작용을 통해 한국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향상시킴으로써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수업에 적용한 프로젝트의 유형으로 통제된 프로젝트 작업을 선택하였는데, 이것은 자율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할 정도의 한국어 실력을 갖춘 학습자의 수가 많지 않은 한국어교육기관의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수업의 실시 단계는 계획 및 준비단계, 수행단계, 발표 및 평가단계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한 이유는 학습자의 요구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의 지식 습득에만 머물지 않고 경험을 통하여 실생활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수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접 경험을 통해 앎을 실천하는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방법과 프로젝트 수업의 진행 방식이 잘 접목된다는 점에서 수업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고령대가야체험축제의 경우는 기존의 역사 축제가 공연, 전시 위주인 점에 비해서 대가야의 문화를 발굴 현장과 무덤 탐방 등 고령에서만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이 있기에 다양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한 한국언어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의 구성은 계획 및 준비단계에서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지역문화축제에 관한 학습을 실시한 후, 고령대가야체험축제에 참가하여 교실 내에서 이론적으로만 배운 것을 실생활에 적용한 다음, 이를 토대로 발표 및 평가단계에서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이야기하고 역할극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이를 참고하여 수업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축제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함으로써 지식을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교육 방안이 수업에 실제적으로 적용되어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화와 우리의 문화가 함께 어우러져 상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좋은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eaching plan fo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utilization of a regional cultural festival as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Based on the “List of Current Cultural Tourism Festivals in 2011”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an examination of festivals being held in the Daegu-North Gyeongsang Province region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teaching materials used in culture lectures and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affiliated to universities. In this way the current state of culture education was assessed,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a combin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esson was devised. A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ultural education through ‘regional cultural festivals’, it deals with combined language/culture education with a focus on culture.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culture lectures and teaching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t was found that in lessons traditional Korean culture tends to be emphasized. Nevertheless, there needs to be a connection between Korean language study and daily lif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Therefore, a lesson based on providing students with personal experience of Korean culture was design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daily life culture needs to be increased in Korean language lessons. The project was designed with students as the subject and with the goal that they would acquire Korean language as they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lanning and completing the project. The significance of this method is that through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small groups, the students’ fluency and accuracy is improved while at the same time their communicative ability is increased. Furthermore, project tasks that could be adapted to Korean language lessons were chosen. This decision was made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there are not many learners at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with sufficient Korean language ability to engage in autonomous projects. The lesson is constructed so that it can be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stages: a planning and preparation stage, an implementation stage, and a presentation and assessment stage. The reason for applying this method wa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analyzed students’ demands and their tendency to prefer classes that do not just teach language but also help them to adapt to daily life in Korea through direct experience. It was therefore anticipated that a lesson that combined a class project wit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a regional culture experience festival would be highly effective. Compared to the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of other existing history festivals, the Goryeong Daegaya Experience Festival, which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lore Daegaya archaeological sites and examine Daegaya tombs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in Goryeong,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is purpose, a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various programs and apply them to Korean language classes. On the basis of this kind of theoretical background a plan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presented based on a regional cultural festival. The structure of the lesson is such that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stage is conducted as a brainstorming session. After studying about the regional cultural festival in class, students then attend the Goryeo Daegaya Experience Festival and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ory to a real-life practical situation. Then on the foundation of this experience, the students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in the presentation and assessment stage of the project. An actual example of such a class is then presented. By conducting a class project utilizing a regional cultural festival, a study was made of a class plan that enables knowledge to be applied to a real-life situation. It is hoped that this type of educational plan will provide a useful found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promotes the mutually enriching, harmonious interaction between the cultur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culture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