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행청소년의 인성교육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소년원 교육을 중심으로

        김준환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사회적 일탈행위 정도로 여겨졌던 청소년들의 비행행위가 사회적인 범죄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비행청소년들의 연령대가 낮아지면서 갈수록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비행청소년들의 재비행을 방지하고 건전한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현행 비행청소년 인성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소년원에서 실시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구소년원과 춘천소년원에 근무하는 40명의 선생님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소년원 인성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원의 선생님들과 학생들은 소년원교육에서 인성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인성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그러나 약물교육과 음악 감상지도 등 일부 과목은 과목의 폐지나 조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인성교육프로그램의 운영방식 조사 결과 프로그램별 담당교사의 배치방법과 교재의 적합성 등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문성과 소양을 갖춘 직원이 우선적으로 인성교육을 담당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단기수용 학생에 대한 인성교육의 효과성 조사에서 상당수의 선생님이 부정적인 견해를 표시하였다. 여섯째 인성교육과정의 운영 개선을 위하여 가장 시급한 것은 담당 직원의 직무수행능력향상이라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생님과 학생 모두가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올바르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비행청소년 인성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시행중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의 과목을 축소하거나 일부 조정하여 교육의 내실화를 기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행청소년을 위한 인성교육 교재를 추가로 개발하고 교육기자재 보완 등 교육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셋째 교육의 질적 향상과 효과성 제고를 위해 상담교사 등 관련분야 전공자를 우선적으로 인성교육 담당선생님으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각종 교육과 직무연수를 수시로 시행하여 직무수행능력의 향상을 도모해야 한다. 다섯째 비행청소년에 대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내실 있는 인성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현재 도입 및 정착단계인 비행청소년 인성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 소년보호교육기관의 교육방향을 보완하거나 조정할 때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dolescent delinquent acts,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just a kind of social deviance, have become social crimes. As offenders' ages become lower, it is an ever-increasing serious social problem in today's society.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need appropriate programs to prevent recidivism of juvenile delinquency and help youths grow into adolescents.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research the problems of curren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and seek improvement plan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of two reformatories and analyzed problems by questioning a total of 40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Daegu Reformatory and Chuncheon Reformatory. Analysis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juvenile inmates and their teachers recognized that character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 reformatory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program; however, they responded that some subjects including drug education and music appreciation should be adjusted or abolished. Third, for the operation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especially in staffing by program and suitability of textbooks. Fourth, the teachersresponded that well-trained professional staff should be preferentially placed for the character education. Fifth, many teachers expressed negative opinions of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for short-timers. Sixth, the teachersresponded that job competency development is most urgently required to improve the current operational problem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eventh, the teachersresponded that both staff and inmates should realize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mprovement plan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are as follows. First, partial adjustment or abolishment of subjects of the current character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to substantially qualify the program. Second, educational conditions should be improved by developing more suitable textbooks for juvenile delinquents and complementing teaching devices and materials. Third, related specialists such as counselorsshould be preferentially selected as teachers in charge of character educa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and considering effectiveness. Fourth, job competency enhancement should be promoted by implementing avariety of related instruction and competency training. Fifth, substantial programs should be continually implemented by ful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for juvenile delinquents. The above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 for improving current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or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just been introduced and are getting stabilized. In additio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complement or adjust educational directions of juvenile corrective institutions in the future.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유형 비교연구

        김형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 유형은 무엇이고 여기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를 부모, 공부 및 학교, 시험 및 성적, 친구, 외모, 경제적 문제 등 6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보았으며, 이에대한 대처유형은 과업중심 대처유형, 정서중심 대처유형, 회피중심 대처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2001년 9월부터 약 20일간 일반청소년의 경우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서 남학생 84명, 그리고 비행청소년은 보호관찰소와 청소년상담실에서 남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측정도구는 김준호·이동원이 만든 질문지와 Endler, N과 Parker, J가 개발한 CISS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집단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기초자료인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스트레스와 대처유형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은 시험 및 성적관련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 다음으로 공부 및 학교관련 스트레스, 부모관련 스트레스, 경제적 문제관련 스트레스, 외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반면 비행청소년은 부모관련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 다음으로 공부 및 학교관련 스트레스, 경제적 문제관련 스트레스, 시험 및 성적관련 스트레스, 외모관련 스트레스, 친구관련 스트레스 순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유형을 살펴보면 각 집단 모두 회피중심 대처유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청소년은 과업중심 대처유형, 정서중심 대처유형 순으로 사용하고 있고, 비행청소년은 정서중심 대처유형, 과업중심 대처유형 순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유형간의 상관관계의 전반적인 경향은 모든 영역에서 대체적으로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스트레스와 대처유형간의 상관은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각 하위영역마다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관련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그 대처유형의 사용은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사회복지사는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이라는 집단의 차이에 유의하여 이들의 스트레스 감소와 건전한 대처유형 사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을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s of coping with stress put on the common juveniles and delinquent ones, and difference between them. First of all, the orientation is divided into 6 group such as parents, school, school grades, friends, appearance, and financial problem. In addition, the types of coping is also divided into 3 group such as task oriented, emotion oriented, and avoidance oriented type. The period of the study is 20 days in September, 2001. The common juveniles consist of 84 boy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ong-Ki province and the delinquent ones consist of 63 boys in juvenile probation office and juvenile consultation office. The instruments are questionaire made by Kim Ju-Ho and Lee Dong-Won, and CISS developed by Endler. N and Parker. J.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 standard diviation,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mon juveniles are put mostly on school grades stress, and then school, parents, financial problem, appearance, and friends stress. On the other hand, delinquent juveniles are put mostly on parents stress, and then school, financial problem, school grades, appearance, and friends stress. Second, both of juvenile groups mostly turn out to use avoidance oriented method. And after that as for common juveniles, they use task oriented and emotion oriented method. While the delinquent juveniles use avoidance oriented method, and then emotion oriented, task oriented. Third, common and delinquent juveniles' types of stress and coping method have low correlation on the whole, but, they show differences in lower-ranking criteria. The social workers have to try to help those juveniles improve their ability to take their coping methods and reduce their stress, according to the groups where they belong to, because it turns out to be different between common juveniles and delinquent ones in types of stress and coping methods.

      • 非行靑少年에 대한 矯正福祉서비스 方案 : 少年保護制度 改善을 中心으로

        廉圭成 淸州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 나라는 그 동안 경제성장을 최우선 정책과제로 삼아 눈부신 경제발전을 이룩하였으나, 빈곤계층이나 소외계층에 대한 복수정책은 소홀히 취급함으로써 많은 사회문제가 야기되었다. 특히, 최선문제는 학교교육제도의 모순과 국민의 이기주의 행태와 청소년비행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다. 결국 청소년비행은 성인범죄율을 능가하였으며, 더불어 저연령화, 탈계층화 흉폭화, 다원화 유0화 조직화됨으로써 사회의 기본질서 위협하는 상태에 이르렀다. 이와 같이 청소년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자 정부의 청소년 관계기관과 청소년 전문가들은 기존의 단편적인 청소년비행 및 재비행 예방대책만으로는 간주해결이 쉽지 않음을 인식하고 보지 복잡한 시대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차원을 활용한 지역사회교정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청소년비행 및 재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이 재정립 되어야 하며 인성교육 중심으로 학교교육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또한 비행청소년에 대한 선도에 보호 활동과 더불어 비행청소년 처리제도의 개선 및 소년보호기관(소년분류심사원, 소년원, 보호감찰원, 법원수탁시설 등)의 사회복귀지수기능이 확대되어야한다. 청소년들은 또래집단의 하위문화에 익숙하고 충동적 성향이 강하여 비행에 쉽게 빠질 수 있는 만큼 예방적 차원에서 중. 고등학교에 학교사회사업을 조속히 실시하여 비행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어야 하며 불량청소년의 그릇된 성행을 개선하여 건전한 청소년으로 성장하도록 해야 할 수 것이다. 또한 방해소년을 장기간 사회로부터 격리된 상태에서는 아무리 우수한 교정 프로그램을 실행한다고 해도 그 효과는 미미할 것이며, 교정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완전한 사회복귀실현을 위해서는 시설 내 처우 중심에서 탈피해 다양화. 전문화된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이용한 사회 내 처우를 확대 실시하여야할 것이다. 교정교육의 효율성 측면에서 보호소년의 보호 기간의 적정여부를 검토해야 할 것이며 시설 내 처우와 사회 내 처우의 체계적인 운영방법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어야 한다. 사회적 관점에서 개별적 처우와 사회 내 처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비행청소년에 대한 교육. 지원. 사회복귀지원을 수행하는 소년보호시설(소년분류심사원, 소년원)과 보호 관찰소의 역할을 지역사회전체와 지역주민에게 이해시켜 풍부한 인적. 물적차원의 지원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내 처우의 확대실시에 앞서 전문성을 갖춘 교정사회복귀사를 영입하여 사회내 처우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급변하는 주변환경과 다양한 시대적 요청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획기적인 제도개선과 개방적으로 시설을 운영하고자 하는 보호시설장의 의지, 그리고 지역사회의 적극인 참여가 있어야한다. 그리고 비행청소년 전문교육기관으로서 위에서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시설의 특성화, 처우의 과학화, 직원의 자질향상, 시설의 개방화 등으로 기관운영의 투명성과 합리적 과학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Our country has remarkable achieved economic development, most of all, making the best policy of economic growth, but raise a lot of social problems owing to neglection the welfare policy such as the solution of the poverty class or alienation class. Especially the juvenile delinquency is face with a crisis because of the irony of the system of a school education, the selfish aspect, and the indifference of the juvenile delinquency. In the end the juvenile delinquency exceeds the adult criminal rate, and became the conditions of threatening the conditions of basic social order by becoming low-age, a post-class, a atrocity, a pluralism, a game, and a gang organization. As the result of these aspects, the juvenile institutions in the government and specialists have recognized the difficult of solution about these problems with only the protection counter plan in juvenile delinquency and re-delinquency, and have been concerned about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us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our community that can correspond to the complicated condition of the times. To protect juvenile delinquency or re-delinquency, the first, we should reestablish the role of parents and reorganize school education centering a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expand the function of social welfare support such as juvenile's protection service that is to say, the institution of juvenile classification judgement, a reformatory, a probation office, and the institution of the court trust. As juvenile one familiar infra culture of the age group, and have an impulsive tendency, they are apt to run into easily the delinquency, we should carry out quickly the social educational work to protect and to improve juvenile delinquency for making sound juvenile. And this writer thinks that although, we carry out a good program that protects a juvenile under the isolated condition from society for a long time, the effect is very slight and it is impossible to come true perfect return to the society that is our ultimate purpose of social education To come true the perfect return to the society, we should carry out the social treatment in th society by using a community program that has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breaking from the treatment in the institution. As a personal and social treatment increases the importance in the side of social welfare. there are much concerning of the local residents about the institution for protecting a juvenile such as the institution of juvenile classification judgement and a reformatory that take charge a juvenile delinquent's education, treatment, return to society, but we have reduced the effect of the correct education because of the standstill of the closed condition of the past in the management of facilities. For dealing activity with the opening change of environment and various requires of the times, the community should positively take part in this project through the epoch-making improvement of a system and opening the facilities by government. And to establish the status as the specialized institution of a juvenile delinquency of the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 and a rational science system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facilities, the ration of treatment the development in quality of the status, and opening of facilities, etc.

      • MBTI를 통해본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성격유형 비교연구

        김원예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오늘날 청소년문제는 어느 나라이고 문제시되지 않는 나라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비행청소년들을 ‘어떻게 하면 바른길로 인도 할 수 있을까?’ 또는 ‘어떻게 하면 사전에 비행에 빠지지 않게 할 수 있을까?’ 라는 사회적 또는 국가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이 비행을 범할 경우 그 성격적인 성향이 있는지 등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그 결과를 토대로 행동지침과 처우를 한다면 보다 현명한 교정교육이 될 것이라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비진단적 성격측정도구인 MBTI를 통해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과의 성격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고, 비행청소년중 남학생과 여학생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1.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성격유형이 차이를 보일 것이다. Ⅰ-1. 내향형(I)보다는 외향형(E)에 많이 분포되어 있을 것이다. Ⅰ-2. 직관형(N)보다는 감각형(S)에 많이 분포되어 있을 것이다. Ⅰ-3. 감정형(F)보다는 사고형(T)에 많이 분포되어 있을 것이다. Ⅰ-4. 판단형(J)보다는 인식형(P)에 많이 분포되어 있을 것이다. Ⅰ-5.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성격유형중 기질간의 차이를 보일 것이다. 2. 비행청소년 중 남학생과 여학생이 성격유형의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성격유형들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기초연구를 실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청소년들의 비행을 비롯한 다양한 행동특성들과 관련이 있는 성격유형을 확인하고 취약한 성격유형을 보완하여 그들의 문제나 갈등상황을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6개의 성격유형 중 비행청소년에서 뿐 아니라 일반청소년에서도 성격유형 분류는 각 특성별로 매우 잘 구분되는 유용한 분류였으며 두 집단 모두 성격유형에 따라서 특징적인 양상을 드러냈다. 즉, 비행청소년은 ESTP, ISTP 일반청소년은 ISTJ, ISFP, ESFP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청소년에 비해 비행청소년에서 성격지표 중 외향형(E)·감각형(S)·사고형(T)·인식형(P)이 비율적으로 높았고, 비행청소년중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격지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기질적 차이에서는 비행청소년이 외향적인 인식형이 많으며 일반청소년은 내향적인 판단형이 많이 보여졌지만, 비행청소년중 남학생과 여학생의 기질적 차이는 찾아볼 수 없었다. 위의 검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비행청소년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격유형의 기질적인 차이는 뚜렷이 보여지지 않지만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성격유형의 기질적인 차이는 분명하게 보여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어느 정도 문제의 소지가 있어 보이는 외향형, 사고형, 인식형 청소년에 대해서는 좀더 관심을 가지고 주의 깊게 관찰하여 자칫 비행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효율적인 비행 예방차원의 하나가 될 것으로 본다. 또한 비행청소년 시설 내에서의 교정교육에 각자의 성격유형을 참고로 하여 각 유형에 맞는 적성과 진로지도 및 상담이 이루어 질 수 있다면 더욱 효과적 볼 수 있을 것이다. These days the problem of adolescent is very serious globally. So it is going on many efforts for practicing social or national subjects that how we can educate juvenile delinquents on the right way or how we can prevent not to fall into misdeed. Therefore it is sure that a wise remedy education will be realized if the studies about their characteristic inclination are researched and do a acting guide and treatment on treatment on base this result. This study, through MBTI which is not diagnosing character measurement, looks into the difference of the character type and for looking into the differenc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t sat up concrete study contents as follows. 1. A common adolescent and juvenile delinquent will show the difference of the character type. Ⅰ-1. A extroverted type will be distributed more than a introverted type. Ⅰ-2. A sensitive type will be distributed more than a intuitive type. Ⅰ-3 A thinking type will be distributed more than a feeling type. Ⅰ-4 A perceive type will be distributed more than a judgmental type. Ⅰ-5 It is showed clearly the temperamental difference of juvenile delinquents and common adolescents' character type. 2. A male and female student among juvenile delinquents will show the difference of character type. As this study practices a basic study that compares juvenile delinquent and common adolescent's difference of character type, it finally confirms character types related diverse behavioral characteristic including the misdeed of adolescents and it is in order to seek devices which can solve their problems and trouble situation with complement week character types.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research questions is as follows. Among sixteen character type, at not only juvenile delinquents but also common adolescents, the classification of character type was useful classification which is divid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very well. And all two groups showed characteristic aspects in accordance with character types. Just juvenile delinquents were exposed in order of ESTP and ISIP and common adolescents were exposed in order of ISTJ, ISFP and ESEP. At juvenile delinquents, a extroverted(E), sensitive(S), thinking(T) and perceive type of character indexes were high percentage compared with common adolescents and female students' character indexes among juvenile delinquents didn't show big differences. Also, at a temperamental difference, juvenile delinquents were many a extroverted perceive type and common adolescents showed many a introverted judgmental type. It couldn't seed male and female students' temperamental difference among juvenile delinquents. Through upper verification, it can know that the character type of male and female is not showed clearly but it is showed clearly the temperamental difference of juvenile delinquents and common adolescents' character type. Therefore as observing a extroverted, thinking and perceive type which seem to have some problems attentively, it will be one of effective plan among misconduct preventive measures to educate not to fall into misconducts. At the end, in juvenile delinquents establishment, if the education of remedy is practiced for reference each character type and it is realized a course guidance and consultation which are suitable for each type, it will be more effective.

      • 비행청소년의 자아성장 프로그램의 효과

        김진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청소년 비행문제의 심각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오늘날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비행 문제는 단지 그 수의 양적 증가만이 아니라, 갈수록 낮아지는 비행연령과 이후 성인범죄로의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심각성으로 인해 사회문제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관련 전문직의 적절한 대응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비행청소년에 대한 교정 처우를 실시하고 있는 제도 및 기관이 전문성과 그 개입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보호관찰제도는 다양한 현실적 문제들로 인해, 비행청소년의 사회적 기능 회복 및 적응을 돕고 바람직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제도 본래의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정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교정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비행청소년들의 보다 친 사회적인 기능과 적응을 돕고 심리적 안넘감을 증진할 수 있도록 자아성장프로그램을 구성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자들의 심리적 안녕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참가자들의 심리적 안녕, 즉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에 의미있는 차이를 주는 변인은 무엇인가? 셋째,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실시효과는 어떠한가? 즉 자아존중감, 불안, 우울의 측면에서 사전-사후검사간에 어떠한 의미있는 변화가 있는가? 넷째, 참가자들의 전반적인 프로그램 만족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자아성장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보호관찰소 수강명령자 21명을 대상으로 2박 3일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spss pc+를 이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참가자들의 자아존중감은 높게 나타났고, 불안과 우울도 낮게 나타나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참가자들의 자아존중감에 의미있는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 나이와 부의 양육태도가 나타났지만 불안과 우울에서의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프로그램 실시 후 불안과 우울이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아성장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 즉, 불안과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비행청소년을 위한 기존의 프로그램들이 치료적 프로그램이기 보다는 선도나 교육위주의 프로그램들로서 비행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접근은 부족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가 비행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이므로 모든 비행청소년에게 일반화시켜 적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본 언구의 한계로 남아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집단상담을 통하여 심리적 안녕이 어느정도 증진되었으나, 이러한 효과가 더 지속되기 위해서는 참가자들 각각에 대한 개인상담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2박 3일동안의 단기 개입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개인별 장기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6, 12개월 후의 추후관리를 통한 장기적인 효과성을 파악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서는 체육활동을 첨가해 참여자들에게 활력소를 주고 지루함을 덜어주었으나 참여자들이 보다 더 다양한 활동을 원하였다. 따라서 청소년들을 위한 프로그램에서는 집단성원들의 성장과 발달단계에 맞추어 역동적이고 활동적인 프로그램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본다. 넷째, 본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은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기 보다는 보호관찰 수강명령을 받아 프로그램에 참여했기 때문에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해주기 위해 강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다섯째, 자아성장 프로그램은 비행청소년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청소년기의 일반 학생들에게 적용해 보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학교나 청소년 단체와의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흐자 교육이 병행되어 비행청소년의 자아성장에 부모들이 정서적 지원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것도 바람직하다. Nowadays, people are getting worried about juvenile delinquency. Korean juvenile delinquency today increases in number and the delinquent are getting younger and grow to adult delinquency. It tends to be seriously social poblems in various aspects which require the related specialists to deal with proper. But, there is a confutation concerning expertness and interventional properness of system and institute that remedy juvenile delinquents. Especially, the preexisting treatment system doesn't go with its original purpose and aim which help juvenile delinquents with social function's retrieval and adaption and support them to grow as members of the society. To correct the problems of this remediation system,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apply specialized and effective program. This study, depending on this point of view, constitutes and conducts a group program using positive thinking to reduce the recurrence of their misbehavior and to help their pro-social function and adjustment and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questions are the followings in the study. First, how i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ttendees? Second, what variablers mak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ttendees-self-esteem, anxiety, depression - meaningful differences? Third, how was the effect of the program?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part of the self-esteem, anxiety, depression? Fourth, how was the their general satisfaction about the process of our program? With this study questions, the study constituted self-growth program based on positive thinking to carry it out to 21 trainee place for three days and two nights. Spss pc+. was used to measure the result. The resuit showed high self-esteem of the attendees, and low anxiety and depression. The age and father of bringing-up attitude is factors showing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art their seif-esteem. However, there isn't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spect of anxiety and Nowadays, people are getting worried about juvenile delinquency. Korean juvenile delinquency today increases in number and the delinquent are getting younger and grow to adult delinquency. Ittends to be seriously social poblems in various aspects which require the related specialists to dealwith proper. But, there is a confutation concerning expertness and interventional properness ofsystem and institute that remedy juvenile delinquents. Especially, the preexisting treatment systemdoesn't go with its original purpose and aim which help juvenile delinquents with social function'sretrieval and adaption and support them to grow as members of the society. To correct theproblems of this remediation system,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apply specialized andeffective program. This study, depending on this point of view, constitutes and conducts a groupprogram using positive thinking to reduce the recurrence of their misbehavior and to help theirpro-social function and adjustment and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The questions are the followings in the study.First, how i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attendees?Second, what variablers mak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끓e attendees - self-esteem,anxiety, depression - meaningful differences?Third, how was the effect of the program?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re-testand post-test in the part of the self-esteem, anxiety, depression?Fourth, how was the their general satisfaction about the process of our program?With this study questions, the study constituted self-growth program based on positive thinkingto carry it out to 21 trainee place for three days and two nights. Spss pc+. was used to measurethe result. The resuit showed high self-esteem of the attendees, and low anxiety and depression.The age and father of bringing-up attitude is factors showing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arttheir seif-esteem. However, there isn't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spect of anxiety and depression. After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anxiety and depression decreased, self-esteem is the same as before. And the attendees'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is generally high. That means self-growth program has an effect on increasing self-esteem and decreas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juvenile delinquents. The existing programs for juvenile delinquents is rather closer to the one for guidance and education than the one for cure so that it has lacked approach to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e study is a concrete and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juvenile delinquents. I suggest the followings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it. First, this program couldn't confirm personal long-term change because of short run intervention for three days and two nights so that it need long term effectiveness to be proved. Second, this program added physical exercises to vitalize and to reduce boredom. The attendees, however, wanted more various activities. Therefore, in the program for teens, it is reguired need to operate active and vivid programs flexibly according to growth and developing level of the members of the group. Third, it is effective to apply this program not only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but also for general students in psychologically unstable teen age. So, we need to utilize the program positively in connection to schools or teen organizations. Fourth, on carrying on the program, as the attendees reacted negatively without regard to themselves(i.e. drug), it is needed to motivate them to attend it positivelyto attract interests by giving concrete contents related to themselves. Fifth, it is considered to use some kinds of reinforcements to motivate the attendee to attend because they took part in it by the probation command not by their own will.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Results are based on a small sample size. Replication with a largers sample is clearly warranted. The study is designed without control group. Future studies showed clarify more refined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for more informa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 非行靑少年의 自我尊重感 向上을 위한 集團프로그램의 效果性 硏究

        정미란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Adolescents, who have to complete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tasks and accomplish social demand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re more likely to be tempted into delinquency due to conflicts and identity confusion than in any other time. Thus, it is urgently necessary for intervention of a program or worker that can help the adolescents grow and develop healthily. However, not only the programs for general adolescents but also those for juvenile delinquents are currently not specialized in our country. The programs for the juvenile delinquents in reformatories have not only a temporary effect on raising their lowered self-esteem but also the effect on reducing their repeated delinquency by influencing their ability of self-control that is helpful to control the impulse of delinquency in the long term. Therefore, these programs are also socially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what influence the intervention of the specialized programs for juvenile delinquents in reformatories has on their self-esteem. Regarding the way of intervention, group work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when influencing each other in peer groups is preferred to being advised by the older generation.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effect on improving juvenile delinquents self-esteem.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school self-esteem and home self-esteem. In addition, smoking self-efficacy, which was examined to measure the change in ability to control smoking, one of the delinquencies, also showed improvement.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for future applications in the field and subsequent studies, the conclusion is that first of all, group work as shown in this study should not simply be conducted one time, which means it is very important to help their improved self-esteem continue even after they return to home or society. Regarding the ways to do this, community resources such as schools, social welfare centers and consultation offices for adolescents will steadily develop systematic programs and provide open spaces for juvenile delinquents. Then, it is urgent above all to secure reformative social workers or professional counselling personnel for these programs to be implemented autonomically within reformatories.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신체적, 정신적 발달과업을 완수해야 하고, 사회적 요구를 수행해 나가야 하는 청소년들은 생애의 그 어떤 시기보다 갈등과 정체성 혼란으로 비행의 유혹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 발달 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워커의 개입이 절실히 필요한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까지도 전문화 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교정시설에 재원중인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단순히 그들의 낮아진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켜주는 일시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비행충동 억제에 도움이 되는 자기조절 능력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비행청소년들의 재비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재원중인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전문프로그램의 개입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되었고, 개입방법은 기성세대의 충고보다는 또래집단 속에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선호하는 청소년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교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또 비행 행동 중에 하나인 흡연에 대한 통제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검사한 흡연 자기조절 효능감 역시 향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차후 임상실천 현장에서의 적용과 후속연구를 위한 결론을 말하자면, 먼저 본 연구와 같은 교정시설의 비행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집단프로그램이 단순히 일회성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그들의 향상된 자아존중감이 가정, 또는 사회로 복귀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 방법으로는 학교, 지역복지관, 청소년 상담실 등의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들을 꾸준히 개발하고, 비행청소년들에게 열린공간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정시설내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교정사회복지사 또는 전문상담인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유한규 숙명여자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요인들 중에서 심리적 요인들인 비합리적 자기기대 신념, 비합리적 타인배려 신념, 대인관계 신뢰, 자존감, 자기도피를 선택하여 비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느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또 비행을 여러 가지 하위영역으로 나누어서 어떤 심리적 요인이 각각의 비행 영역을 예측해 주는지를 보려고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원에 소재한 세 개의 보호관찰소에서 수강명령을 받은 비행청소년 185명과 서울 강남과 강서에 소재한 세 개의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로 구성된 일반청소년 250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모두 여섯 개의 측정도구로서 Joe가 제작한 비합리적 신념 검사를 박재황이 번안 제작하고 여춘자가 선별 수정한 것을 비합리적 자기기대 신념과 비합리적 타인배려 신념 척도로 사용하였다. 대인관계 신뢰 척도로는 Rotter의 척도를 김향구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자존감 척도로는 Rosenberg의 자존감 질문지를 김문주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기도피 척도는 Baumeister의 이론에 입각하여 신민섭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고 비행척도는 김하연의 것을 김정원이 수정한 것이다. 이들 중 예비조사를 통하여 문항이나 단어를 이해하기 쉬운 것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일반 청소년 집단과 비행 청소년 집단과의 비행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심리적요인들 중에서 어떤 요인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비행의 각 하위 영역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일반청소년 집단과 비행청소년 집단은 비행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았다. 둘째, 대인관계 신뢰, 자존심, 자기도피가 청소년 비행과 관계가 있는 요인임이 분석 결과 밝혀졌다. 그 중에서 대인관계 신뢰와 자기도피는 일반청소년 비행과 관계가 있고, 자존감과 자기도피는 비행청소년 비행과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셋째, 비행의 각 하위 영역을 예측하는 심리적 요인을 알아본 결과 불량행위 비행, 성관련 비행, 침해적 비행, 가족이탈적 비행, 집단폭력적 비행등 모든 비행은 자기도피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청소년에게는 대인관계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대안책이 필요하고, 비행청소년에게는 자존감을 높이는 대안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juvenile delinquency. Th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 the irrational belief of self-expectation, the irrational belief of others consideration, the reliance of personal relationships, the self-esteem, and the escape from self. The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which of these factors are most closely relevant to the juvenile delinquency in general, and, subsequently, which type of delinquency, e.g., misdeeds, violences, sexual offences, separation from family, mob-violences, is the most influenced by a given factor.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chosen 185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presently placed under probation in Seoul and Soowon areas, and 250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Kangam-gu and Kangsuh-gu, Seoul. Six kinds of measurement scales were employed : the scale of irrational self-expectation-belief and irrational others-consideration-belief which were originally been constructed by Joe, and later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by J.-H. Park and C.-J. Yeo, repectively; the scale of personal -relationship reliance by Rotter which were translated by H.-K. Kim; the scale of self-esteem, designed by Rosenberg and translated by M.-J. Kim; the scale of escape-from-self, constructed on the basis of Baumeister by M.-S. Shin; latent delinquency questionnaire designed by H.-Y. Kim and modified by J.-W. Kim.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all the related questionairs was appropriately modified to be easily understood by the sample juveniles.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means such as percentage, frequency,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the followings : (ⅰ) The juvenile delinquents are apparently higher than the normal juvenile in degree of delinquency. (ⅱ) The personal relationship reliance, the escape-from-self, and the self-esteem are the most related, among other psychological factors, to juvenile delinquency in general. Particularly, the juvenile deliquents are more heavily influenced by the escape-from-self and the self-esteem, while the normal juveniles by the personal relationship reliance and the escape-from-self. (ⅲ) It is, therefore, strongly suggested that a means should be taken to enhance the personal-relationship-reliance for the normal juveniles, the potential deliquents, and the self-esteem for the juvenile deliquents.

      • 비행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형윤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terms of national interest, young people are the potential human resources and in view point of individual, they are in the critical period of their life. So the nation and society are supposed to lead the youngsters to the way each can get the sound soul and body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Welfare Services for Juvenile is expected to be concerned not only with the well-being of those in trouble, but also with that of the general ones.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service activity is to be the kind of this : the professional one that can provide all kinds of services carried out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domestic and social method. The Juvenile Delinquents are those who looks seemingly determined and imposing but actually have never been respected or considered seriously at home, at school and in society-nowhere. In this way, they are likely to lack of confidence in their behaviour and belief in their own future. They are inclined to avoid getting involved in serious consideration and object to any retrospect for themselves. In this point, this study can provide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improving the Juvenile Welfare Services as follows. First, for juveniles, a ho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ir building their own personality and developing themselves as the members of society. So it is required that parents treat them as an individual identity and provide a domestic discipline. And domestic discipline is oriented to have the element of belief, moderate punishment and toleration. Thereby parents could consider their children as individual with their own identities. Especially in the following cases~ loss of parents at the early age, getting divorced parents or poverty, they needs the facilities which can be the same as their original ones. Secondly, we need to provide students the education focused on philosophical discipline based on "Hongik Ingan"-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 And we are supposed to activate the after school activities for the students to build up their own character. Moreover the provided programs are not to refer to simple punishment method and rather depend on the individual situation the students get involved in. In addition to this, it would be helpful if we could give them the ways they could get the job training through group guidance. This could make them get the sense of self-confidence and accomplishment. It costs much more endeavor to correct a juvenile delinquent than to guide some scores of normal ones. That's because we'd better employ the welfare expert to reduce the burden from the teacher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delinquents and improve their welfare. Thirdly, in terms of social circumstances, we ought to eliminate the harmful elements around vicinity and provide more facilities which could make them more creative and healthy. And it's preferable to issue good written material and make helpful mass media for keeping them from recommitment the misconduct. And to build up the effective cross checking system with the community organizations, there are to be the patrol in criminal zone and more facilities to house the luveniles leaving their homes. Effectiveness of these all action depends on the qualified Juvenile Guidance Board members. The members are required to get the professional qualities related, the insight based on the love for them and the ability to make appropriate decisions. Fourth, in suitable legislative system, when the misdeed is not serious and the guardian is qualified for protection, thereby it is possible for the youngster to be corrected by the guardian without probation, it is preferable to employ the Judgement in not being on a trial or no action measure.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Good Faith Action for the profit of the juveniles be on the Court and the prosecutor make a non-prosecution or transit all cases except for summary orders. And the Juvenile Court Judge should make a decision of probation or criminal verdict through scrutinized consideration of materials related. Making a judgement on parole or temporary leave permission, the board should consist of verified professional members. Also they are to be devotional and specialized in the matter. Meanwhile we can get more effective through the social support as a whole. Thereby the judgement of the board could be convincing. In this way we can secure the quality of overall probation and guidance for the juvenile. Fifth, as an alternative for the guide oriented method, the judicial authorities concerned continue to run programs like the Self Accomplishment Class and the Class of Love. For the efficiency of correction for the juvenile who has no sign of continual misdeed, the civilian Inquiry Board is expected to get involved at the stage of under investigation by police for various verification of the seriousness of misconduct and possibility of habitual misdeed. And It Is desirable that for the correctable delinquents, the juvenile have a tendency to be apt not only to commit a mischief but also to be ameliorated by themselves. So even if a juvenile is a serious one, it's preferable for them not to be sent to the juvenile detention home. Instead, they are to be in guidance of the honourable and professional in crime prevention. Also we should prepare the social system that prefers to make the delinquency end up in probation instead of verdict and in court, the case ought to be in the good faith of court, not in the prosecutors'. In addition to the intensification of the protection and psychological examination of the delinquents, the existing prob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Lastly, in terms of correction facilities, juvenile detention home is ideologically supposed to mean the one which is focused on education, not on the restriction. So we provide the circumstance that could make systematical and human support for the detention home. So it is expected to be this kind: Not by restricting or surveillance, but by psychological and individual treatment for changing the character itself, it is supposed to be oriented in this kind of program. Also qualified personnel in the correction is required and the scale of the facilities is expected to be small. If so, there can be the advantages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er and the delinquents out of humanity and thereby the reduced possibility of absent without notice, the increase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ore easy after-caring system. The Welfare Services for Delinquents based on human rights is the mutual complex relationship among homes, schools and society. So we should make all our efforts to enhance the level of the services with responsibility for the equal treat of the delinquents as ours.

      •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자기본위적인 긍정적 착각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비교

        김혜영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를 극복하지 못하고 폭력과 자살과 같은 비행으로 이어져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것에서 문제의식이 시작되어 비행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간에 정신건강 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비행 청소년들과 일반 청소년들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두 집단 간에 새로운 정신건강의 규준으로 부각되고있는 자기본위적인 긍정적 착각과 내적으로 스트레스를 중재할 수 있는 자기 효능감에 있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긍정적 착각과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비행청소년들은 일반 청소년들에 비해 (a) 자기 본위적인 긍정적 착각이 더 낮을 것이며, (b) 자기효능감도 낮을 것이고, (c) 자기 본위적인 긍정적 착각과 자기효능감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낼 것이다. 이 연구는 여러 차례의 보호 관찰 이후 법정 판정으로 강원도 소재의 소년원과 경기도 소재의 소녀원에 수감 중인 남녀 비행청소년 188명과 비슷한 연령대에 있는 서울과 경기도 5개 남녀 중·고등학교 학생들 207명을 합한 총 3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기본위적인 긍정적 착각의 측정을 위하여 Weinstein(1980), Anderson(1968)이 개발한 연구를 참고하여 Lee, Park 및 Uhlemann(2001)이 개발한 긍정적 착각 척도(Positive Illus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측정을 위하여 김아영·차정은(1996)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착각 척도에 대해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의 각 하위 요인 구성과 비교해 보기 위해 전체 24문항에 대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으며, 긍정적 착각과 자기 효능감간의 관계 정도를 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들과 일반청소년들의 자기 본위적인 긍정적 착각에 대해 t검증을 한 결과, 비행청소년들이 일반청소년들에 비해 긍정적 착각의 세 가지 하위 영역 모두에서 유의수준 .05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 견해를 측정하는 성격묘사질문지 (Rating of Self and Others : RSO), 개인의 통제력을 측정하는 사건에 대한 영향성 질문지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 PCPNE), 자신의 미래에 관한 낙관적인 견해를 측정하는 사건 가발성 질문지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Checklist : PNEC)에서 비행청소년들은 일반청소년들보다 더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사건에 대한 영향성에서 가장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도 비행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부 요인 중 자기조절 효능감은 비행청소년이 일반청소년보다 훨씬 낮았다. 셋째, 자기본위적 긍정적 착각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비행청소년은 사건에 대한 영향성과 자기효능감 간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일반청소년은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연구자의 가설과 전부 일치하였으며 비행청소년은 일반청소년과 비교해볼 때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와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미래에 대한 낙관적인 견해를 적게 가지고 있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인지적인 중재를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도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were compared on the degree of self-centered (positive) illusion and self-efficacy. It was predicted that delinquent adolescents (a) would demonstrate a lower degree of self-centered illusion, and (b) self-centered illusion and self-efficacy would positively correlated. Three hundred and ninety five adolescents (188 delinquents and 207 nondelinquents) were group-administered the Positive Illusion Questionnaire (Lee, Park, & Uhlemann, 2001) and the self-efficacy scale (Kim & Cha, 1996).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by student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as compared to the nondelinquents, the delinquents showed significantly (p< .05) lower self-centered illusion. To be more specific, the adolescents were less self-aggrandizing, were less optimistic about his/her future, and had less sense of personal control. Second, the delinqu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p< .01) self-efficacy than that of the adolescent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illusion and self-efficacy.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