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섬유의 축융성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심남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미래학자인 에드워드 바로우(Edward Barlow)는 다문화적인 측면에서 생활양식의 변화에 기초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미래의 조류를 창조하고 나아가 이끌어 갈 수 있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와 같이 빠른 변화와 첨단 기술이 강조되는 디지털 시대에서 소비자들은 새로운 생활 양식의 변화를 원하며 또한 정신적인 만족감과 지속적인 가치를 추구한다. 패션의 문화적인 조류와 그 흐름을 같이하는 섬유 산업에 있어서도 이제는 인간사회와의 조화가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섬유디자이너들은 고감성의 섬유제품 및 고기능성 섬유개발을 통해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야 하며 나아가 국제화 시대에 따른 글로벌 마켓(Global market)을 겨냥한 디자인으로 선진국형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현재 국내 섬유업체들은 고급 교직물, 신합성 소재, 후가공을 한 고감성 소재 등 다양한 직물의 연구개발로 새로운 패션 산업의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모섬유의 특성 중 하나인 축융성을 응용하여 고감성의 새로운 미적 가치를 지닌 직물을 디자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섬유 중에서도 양모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직물 재료로서의 장 · 단점을 이해하고, 섬유의 특성을 이용하는 텍스타일 디자이너들의 작품 제작방법에 대한 고찰을 한 다음, 축융을 이용하여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현대적 감각의 직물 디자인을 하는데 있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우선, 오트만 터키 직물의 문양과 패턴을 디자인 요소로 하여 단순화되고 양식화된 변화를 주어 직물조직을 구성함으로써 지나간 역사와 문화를 재해석하여 새로운 미적 가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능직과 오버샷(Overshot)기법을 이용하여 1차적인 디자인을 하였고, 경사와 위사의 종류를 다르게 사용하여 직조하였다. 직물 제직 후, 약알칼리성의 비누축융방법으로 수축·펠트(felt)화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변형된 조형적인 미와 독특한 질감이 부과된 새로운 감각의 현대적인 직물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제작과정을 통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섬유의 특성을 이해하고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면 디자인이나 기능적인 면에서 보다 개선된 새로운 직물을 창조할 수 있다. 둘째, 모섬유의 축융성은 복잡한 장식적인 요소가 배제된 평면적인 디자인을 전혀 다른 외관과 감촉을 지닌 새롭고 흥미로운 표면감의 현대적인 직물 디자인으로 재구성 할 수 있다.셋째, 오트만 터키직물의 문양과 패턴은 직물 디자인의 요소로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사용할 수 있으며 생략과 단순화를 통해 재해석된 디자인은 현대 패션의 흐름인 에스닉 문화의 연속선 상에서 보편적인 글로벌 마켓에 한걸음 다가선 디자인으로 거듭날 수 있다. Edward Barlow, a futurologist, said that responding to consumers' requests based on changes in their modes of life in multi-cultural aspects played the decisive role of being able to create future current, furthermore, lead it. In digital age when rapid changes and high technology are emphasized like this, consumers want their modes of life to be newly changed and also pursue a spiritual sense of satisfaction and continuous values. Also in fiber industry in parallel with the cultural current and flow of fashion, importance is now being attached to the harmony with human society. Thus, fiber designers should satisfy consumers' desires through developing fiber products with high sensitivity and fiber with high functionality and, furthermore, develop it to advanced-country type industry with high value added with the design of aiming a t global marke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ized age. Korean current fiber companies are presenting the strategies of new fashion industry by researching and developing various textiles such as high mixed weaving, newly synthesized materials, highly sensitive materials post-processed and so on. In this study, as part of meeting such flow of age, I wanted to design highly sensitive textiles with new aesthetic value by applying felting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wools.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ool among wools and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 textile material, investigating the methods in which textile designer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fiber produce their works, and making original, discriminated textile design of a modern sense by using felting. In producing the works, first of all, I wanted to reinterpret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past and present new aesthetic values to them by making Ottoman patterns design elements, effecting simplified changes in mode to them, and constructing textile tissues. I made primary design by using twill weave and overshot techniques, and wove by using the kinds of warp and weft differently. After weaving the textile, I produced modern textile of a new sense on which transformed plastic beauty and peculiar matie're were imposed by using the phenomenon of being shrunken and felted in the way of felting soap with weak alkalinit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through such production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fibers and complementing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an create a new textile more improved in a design or functional aspect. Secondly, felting of wools can reconstruct plane design in which complex and ornamental elements are excluded to modern textile one of a new and interesting surface sense with totally different appearances and feelings. Thirdly, Ottoman patterns can be variously applied and used as elements of textile design, and design reinterpreted through ellipsis and simplification can be born again as design of approaching universal global market one step in line with ethnic culture, the flow of modern fashion.

      • 3차원적 직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가공에 의한 2차 표현 중심으로

        이순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1

        오늘날 직물 디자인은 신소재 개발의 눈부신 발전과 예술, 디자인과 기술 공학 그리고 과학과의 긴밀한 관계에서 진보된 모습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발전은 직물 디자인의 관점에서 소재의 응용에 따라 하나의 직물에 색과, 질감 그리고 형태면에서 복잡한 변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패션 디자이너의 고유함과 독창성을 나타내는 역할과 함께 소비자의 고정된 시각을 다양성으로 이끌며 새로운 수요 창출을 가져오고 있다. 현대 직물 산업의 중요한 문제는 무수히 많은 재료와 도구, 사용 가능한 기술들의 적절한 선택과 조합에 있다. 직물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재료와 기법의 선택과 조화는 근본적인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물 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관한 것으로 섬유의 일반적 특성과 화학적 성질에 따른 반응에 기초하여 합성섬유의 열가소성(Thermoplastic)과 화학적 처리(Chemical treatment)에 의한 가공으로 2차원적 평면 직물에서 그 범위를 넓혀 다양한 질감(Texture) 및 부조 효과와 3차원적(Three-dimentional)인 표현으로 패션 직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합성섬유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타이다이(Tie-Dye)와 시보리(Shibori) 등 전통적인 기법과 플리츠와 몰딩으로 입체감과 불규칙한 조화를 직물의 표면에 구성함으로서 자연스러우며 유동적인 표현과 감정적이고 촉각적인 질감으로 3차원적 특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작품 제작과 실험을 위한 이론으로는 섬유의 성질과 특성, 화학적 성질(특성)을 기초로 하였으며 제직과 실험에 있어서 섬유의 가소성(Plasticity)의 차이와 열과 수분 작용에 의한 수축률, 산과 알칼리에 대한 반응에 따라 계획적인 제직 설계와 제직물의 가공 처리로 직물의 3차원적 표현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소재 사용에 있어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교직과 제직 밀도, 가공 기법의 혼합에 따른 다양성을 통해 3차원적(Three-dimensional)인 표현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섬유의 가소성(Plasticity) 차이에 의한 제직과 타이다이와 시보리의 응용으로 직물의 불규칙한 표면의 부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합성섬유의 열가소성의 특성으로 플리츠의 응용과 몰딩에 있어서 3차원적 표현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또한 플리츠 가공직물에 반복된 열전사 프린팅 효과는 매우 흥미로운 것으로 2차원적 제직구조로 완결되는 직물에서는 볼 수 없는 우연성과 색의 변화와 깊이를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번 아웃(Burn-out)을 위한 레이온-폴리에스터/마-폴리에스터 제직위에 프린트한 복잡한 서체 문양은 저밀도의 교직 물에서도 식물성 섬유 분해가 가능하였다. 양모 섬유의 번 아웃은 처리 과정에서 의도한 수축으로 부피감 및 부조 효과와 함께 판염이나 타이다이 기법에 의한 패턴 표현이 가능하였다. 시보리 응용의 경우 자연스러운 주름과 함께 강한 부조 효과가 있었으며 울-폴리에스터 교직물의 염색에 의한 색상 변화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메탈릭과 폴리에스터 교직물의 금속성 용해('Melt-off')는 일반적으로 화학 용제에 노출되지 않은 부분은 알루미늄 금속성분이 뚜렷하게 남아야하지만 알루미늄은 산, 알칼리에 모두 민감하기 때문에 처리에 있어 까다로움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민감성으로 제직물에 여리게 남은 금속 성분은 봄의 잔설과 같은 느낌으로 직물의 색상과 조화를 이루었다. 그리고 시보리 기법에 의한 주름은 강한 탄력성과 직물 전체 표면의 3차원적 표현이 깊이 있게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3차원적 표현의 직물은 감성적이고 촉각적인 질감(Texture)으로 패션 직물로서의 바디 프로포션에 대한 자유로움과 다양한 방향 제시가 가능하다. 가공 처리 과정에서의 형태와 질감, 색의 복잡한 변형으로 그 응용 범위는 매우 넓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직물의 가공(Aesthetic Finish)이 하나의 응용 디자인(Applied Design)으로서 그 중요성이 크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부가 가치를 높이는 직물 디자인이기에 앞으로 더 많은 실험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oday's fabric design advances as the technology advances. Also it shows the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dazzling new materials, arts and design as well as the technological and science. These advancements are made, in terms of fabric design, in colour and texture of fabric by applying of materials and there is a complex transformation has been going on in terms of form. The fabric design also has the role of expressing the uniqueness and the originality of the fashion designers and making the new demands for consumers by leading the consumers with the variety to their fixed view. The important problem of the modern fabric industries is to harmonise the endless of materials with apparatuses as well as the appropriate choice of the useable techniques. The choice of materials and the techniques and their combination is the basic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fabric. Hence their importance is great. This study is abo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abric itself. The variety of textural expressions ranging from the 2-D fabric such as relief effects and 3-D expression researched. The effects due to the thermoplastic of synthetic fibre and the finishing process by the chemical treatment are pre-planned on the basis of the reac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fibre and the chemical structure. The possibility for the fashion fabric by applying these techniques was also studied. The relief effects and irregularities were constructed on the surface of textile due to the thermoplastic of synthetic fibres, tie-dye technique as well as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shibori, pleats and moulding techniques in order to emphasises liberation of movements and the emotional and tactile 3-D characteristics. The theoretical back ground for weaving and experiments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nature and the characteristes as well as the design of weabing by considering the variance due to the plasticity of fibre, contractility due to the heat and washing of textile and also the reaction to acid and alkali. The possibility to expand the textile in terms of 3-D expression was also the objective of the study. The 3-D expression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use of various materials and techniques such as the combination of natural and synthetic fibres, weaving density and mixture of the finishing techniques. The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 Firstly, the irregularities of the surface effects contribute to deep and flexible relief effects on the textile surface was obtained by considering the variance of the plasticity of fiber in the weaving design stage and also applying the tie-dye and shibori techniques to the textile. The 3-D expression was emphasised due to the thermoplastic of synthetic fiber and the application of pleat and the moulding techniques. Secondly, the dessolve of the plant fibre on the textile, which has the complex typographic pattern printed on the surface, was possible even on the low densely combined textile made for the burnout such as rayon-polyester/linen-polyester combinations. The volume and the relief effects could be given to the wool fibre due to the shrinkage of the text in the burnout process. The expression of pattern was possible by applying the screen printing or tie-dye techniques. In the application of shibori, the natural pleat as well as the strong impression of the relief effects was obtained. Also it showed the new possibilities of the colour transformation when the dyeing was applied to the wool-polyester combination. Thirdly, in the 'melt-off' of the metallic and polyester combination, the aluminium metallic characteristic should remain on the part that was not exposed to the chemical in general. Due to the sensitiveness of aluminium to acid as well as to alkali, it was very difficult to process. But the lightly remained aluminium due to the sensitivity gave the impression of snow in early spring and reconciles well with the colour of the textile. The pleat made by shibori technique gave the strong elasticity to the textile and gave the deep 3-D expression all over the textile. Hence it was possible to give the liveration to the body proportion as a fashion textile and indicate various ways due to the sensual and tactile texture of the 3-D expression of the textile. The range of application was very wide since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 texture and colour due to the finishing process. It was conclud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finish as one of the applied design had to be recognised. Since the textile design supplements the value of the textile, there should follow more research and experiments has to be done on this field.

      • 이집트 예술양식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 능직을 이용한 기하학적 선의 형태를 중심으로

        탁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31

        직물디자인은 섬유산업의 상품생산과 판매에 관련되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모든 디자인 상품의 부가가치를 실현하려면 제품 디자인의 향상도 중요하지만 이에 사용되는 섬유서재를 비롯한 직물디자인인 제품의 질적 향상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갈수록 감성의 고도화가 강조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감성표현의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집트의 예술을 생각할 때 우선 나일강과 광대한 사막, 그 위를 비추는 영원한 듯한 태양에서 자연히 우러나올 수밖에 없는 영혼불멸의 종교 관념이 함께 연상되며, 그들의 관습과 신비한 분위기는 고대 이집트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매력을 준다. 지형, 종교, 사회관습 및 가정생활과 오락 그리고 이집트 주위의 민족들 등의 여러 요소들이 혼합되고 밀접하게 통합되어 이런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었으며 이는 현대인에게 미적인 영감을 준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이질적인 것 같으면서도 독창적인 조형미를 이루어 응용적 가치가 놓은 이집트 예술양식의 특징을 분석하여, 현대직물에 접목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을 시도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이집트 시대의 문화와 예술의 전반적이 배경에 대해 고찰하고 이집트 예술의 기저에 흐르는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그대 이집트인들의 건축, 회화, 의상, 직물, 장신구 등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규칙성과 태양의 광선을 형상화한 직선적인 담각, 평면적이고 단순하면서도 균형과 강조의 미를 잃지 않는 이집트의 예술양식의 특징들은 현대직물에 응용될 수 있는 독창적인 요소를 무한히 내포하고 있다. 작품을 제작한 배경으로는 앞에서 분석 연구한 이집트 예술의 미의식과 디자인 요소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제작하였다. 첫 번째, 이집트 예술의 모든 선과 배열에 있어서 직선과 직각의 기하학적 감각을 기초로 하여 선의 반복, 배열의 변화를 통하여 직선의 시각적인 효과를 연구하였다. 두 번째, 이집트의 대표적인 유물인 피라미드와 의상의 형태 등에서 사선의 기하학적 형태를 분석하여 지그재그의 연속된 사선의 반복, 사선의 방향변화 등을 통해서 다양한 현대 직물디자인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세 번째, 깃털의 문양인 임브리퀀트(Imbriquent) 문양에서 보여지는 곡선의 기하학적 형태를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곡선의 변형을 직조패턴으로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이집트의 예술 양식은 독특하면서도 다양성을 지니고 있어 디자인 연구에 있어서 응용되어질 수 있는 분야가 넓으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 이집트 예술 양식에 의한 직물디자인을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 번째, 이집트 예술의 대표적인 기하학적인 감각은 간결하고, 단순화된 형태의 직성, 사선, 곡선이지만 선의 형태와 배열, 방향의 변화를 통하여 강렬함과 강조의 미를 느낄 수 있다. 두 번째, 수직선과 수평선의 반복된 직선변화, 지그재그의 연속된 사선변화, 임브리퀀트 문양의 곡선변화는 능직(Twill Weaves)의 변화직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어지며, 공간적 입체감을 형성하여 시각적인 표현효과를 확대시킨다. 세 번째, 색상에 있어서 단순한 흰색에서부터, 원색의 화려함까지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균형과 조화의 미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집트의 예술양식의 특징이 직물디자인에 있어서 다양한 표현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응용, 연구되어지기를 바란다. Textile design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fiber industry related to product manufacturing and selling. To realize the added value of each design product, improving product design is important but improving quality of textile design should precede first. Especially, considering the trend of high sensitivity, unique design development of sensitivity expression is needed. When we think of Egyptian art, we are remained of the Nile, vast desert and eternal religious mind derived from the Sun over the desert and their custom and mysterious mood attracts a lot of people who studies ancient Egypt culture. This unique atmosphere is made combined with various elements such as topography, religion, social customs, home life, entertainment and nations around Egypt and gives aesthetic inspiration to modern men. This study has a purpose to try a new design by analyzing Egyptian art and its characteristics which have unique modeling beauty and applicable value and applying them to modern textil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 the overall background of Egyptian art and culture to understand aesthetic thoughts based on it. Egyptian art and its characteristics including geometrical regulating in Egyptian architecture, painting, clothing, textile and accessories, straight-lined sense imaging the sun rays and plane and simple but balanced beauty of emphasis, involve unique factors. As a background of producing a work, the Egyptian aesthetic thoughts analyzed above and characteristics in design components are divided into four an made into a production. First, based on geometrical sense of a straight line and a right angle in every arrangement and line in Egyptian art, the visual effect line through the repetition and arrangements changes is studied. Second, various modern textile design effect is studied through the repetition of biased line and the direction change of a biased line, and the geometrical from of a biased line in Pyramid and clothing from-Egyptian representative heritage is also analyzed. Third, based on the geometrical from of curved lines in Imbriquent pattern, the transformation of various curved lines are studied with weaving pattern. As a result of this study, Egyptian art mode is unique and diversified and expected to be variously applied to design study. Frist, geometrical sense in Egyptian art is simple straight line, biased line and curved line, but its line from, arrangement and direction change makes us feel the beauty of intensity and emphasis. Second, the repeated change of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consecutive change of zigzag lines, and curved line change of Imbriquent pattern are variously expressed into twill weaves, and their expand visual expression effect forming space cubic sense. Third, colors are variously expressed from white to primary colors, and they make the beauty of balance and harmony. I hope this study will be a good opportunity to bring Egyptian art and its characteristics into textile design for various expression effect.

      •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Malevich)의 기하학적 조형요소를 응용한 직물디자인

        곽정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20세기에 들어오면서 미술사에서는 이전에 보지 못했던 비 재현적인 회화인 기하학적인 형태의 예술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그 중 하나로 러시아에서 시작된 절대주의를 말 할 수 있다. 절대주의에서의 기하학적 형태는 단순한 형태의 구성에 의한 순수한 기하학적 형태의 표현에 기반을 두고 있다. 기하학적 형태는 시각적 효과를 즉각적으로 유발시키고 단순화 될수록 보는 이에게 명확하게 인식되며 동시에 패턴을 통한 기하학적 형태는 리듬감과 양감, 공간감을 나타낸다. 이러한 생각들은 현대에 와서 회화, 건축, 디자인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카지미르 말레비치(Kazimir Malevich)의 절대주의 시기의 작품의 조형적 특징인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의 구성을 연구하여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과 말레비치가 사용했던 흰색, 검정, 빨강, 파랑, 노란 색을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직물 디자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카지미르 말레비치의 기하학적 추상의 미술사적 의의와 기하학적 조형요소인 형태와 색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20세기에 나타난 예술과 디자인의 관계를 고찰하고 기하학적 추상모티브를 활용한 직물 디자인에 대해 연구 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말레비치의 작품에서 보여 지는 기하학적 형태, 단순하고 선명한 색채의 특징을 응용하여 직물을 디자인 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수직기를 사용하고 가장 기본적인 구조인 평직을 이용해 형식의 단순화와 조직의 최소화를 이루고자 하였으며 이중직으로 제직하여 기하학적인 형태와 색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광택이 있는 비스코스 레이온과 견사를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고 유동적인 느낌을 지닌 기하학적 형태를 지니게 하였다. 또한 울 등의 소재를 위사로 사용함으로 경사와 다른 질감의 효과를 나타내어 단순한 형태에 변화를 주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말레비치의 절대주의 기하학적 형태는 그의 작품 기간 중 짧은 시기에 나타났지만 구성주의와 미니멀리즘 등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의 특성이 조형예술에 있어 중요한 디자인 원리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말레비치의 작품에서 표현되는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를 반복, 강조, 조화 등의 구성방법으로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다양함을 표현할 수 있었으며, 현대적 감각에 부합 할 수 있는 새로운 패턴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셋째, 이중직기법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패턴의 표현을 나타내기에 적합하였으며 이중직 픽업(Pick up)과 엠브로이더리(Embroidery)기법으로 제직된 작품은 기하학적 패턴의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구성 할 수 있어 기하학적 형태와 색채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었다. 넷째, 단순한 색채의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소재의 변화로 다양하게 나타내어 직물 표현의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었으며 레이온과 모노필라멘트사의 사용과 이중직을 이용하여 전체적 이미지를 2차원적인 기하학적 형태에 빛의 흡수에 따라 달라지는 시각적 현상을 가져와 투명함과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수직기에 의해 제작된 직물 디자인으로 많은 한계를 나타냈지만 평면으로 느껴지는 기하학적 형태를 겹침의 효과, 일정한 배치, 자유롭고 유동적인 배치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중직 픽업과 엠브로이더리 기법을 이용하여 디자인의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었다. 직물은 인간의 생활과 문화를 풍요롭게 하고 감수성을 만족시켜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현대의 직물디자인의 특징을 말레비치의 조형적 특징인 기하학적인 조형원리와 단순하고 제한된 색채의 사용을 직물디자인에 적용함으로 창의적 디자인 전개에 있어서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주려 하였다. Modern textile design is recognized of it's value by it's plastic and creative point of view in expressing it's thought and shows changes of the forms of expression in connection with art. The non-figurative Geometrical form of art started to emerge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which was not seen until the time and suprematism sprouted from Russia is the one. Geometrical form is based on expression of intact geometrical shape by constructing simple figure. Such geometrical forms arouse instant visual effect and give as much clearer perception as it is simplified to its viewer while its patterned geometrical form shows senses of rhythm ,volume and space. These ideas are affecting to many different fields including painting, architect and design in the modern world. I chose Kazimir Malevich who is suprematist artist and expressed its plastic and artistic characteristic in many ways. His works during suprematist period are mainly chosen to be analysed and applied to the textile design among his other works. I used four methods for this study. First, I examined geometrical form and color which is the plastic feature during the suprematist period, focusing on the formation process and development methods of Malevich's suprematism. Secondly, I researched on the art history of early 20th century where shows distinctiveness of geometrical forms and analysed features of geometrical forms in modern textile design. Thirdl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mentioned above, I applied the simplistic vivid color as well as the geometrical forms shown in M's works on my works. Lastly, I used handloom for production and plain fabric which is the most basic structure to simplify form and minimize structure and also weaved doubly to express geometrical form and color. Glossy viscose rayon and silk thread are chosen as major materials to give two dimensional geometrical form with natural and fluid touch. Wool is also chosen as to express different fabric touch in order to give diversity to the simple form. This study finally drew four conclusions as below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ss. First, Malevich's suprematism influenced constructivism and minimalism even though it is shown shortly in his career and characteristics of his works became an important principle in the world of plastic art. Secondly, the visual diversity in production of fabric was realized and presented as a new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modern sense by applying repetition, emphasis and symmetry as composition method of the geometrical form and color which was shown in M's work. Thirdly, geometrical pattern was aptly represented by using the very basic plain fabric and applying double fabric technique. Double fabric pick up and brocade technique used in <workⅡ><workⅢ> deliver presentation of geometrical form and color effectively for they could constitute diverse size and place of geometrical pattern freely. Lastly, representation of simply colors was enriched by diverse modification of materials to show potentialities in fabric design and especially <workⅣ>shows transparency and profundity resulted from using rayon and mono-filament thread and double fabric that brought visual phenomenon to the whole image to vary according to the absorption of light from just two dimensional geometrical form. Today textile design has brought richness to the living and culture of modern world through it's advanced production technologies and carried out it's role of protecting privacy from the artificiality of city life and satisfying sensibilities. Another possibility of design development is presented by means of application of these Malevich's plastic features, the geometrical plastic principle and simple and limited use of color, to the modern textile design.

      • 환자복 직물디자인 개발 연구

        장성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830

        본 논문은 현재 국내의 종합병원, 개인병원, 종합요양시설에서 사용되고 있는 환자복의 직물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만족도와 선호하는 색채&#8231;배색&#8231;문양의 종류를 규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심리적 치유에 도움이 되는 환자복의 직물디자인 시안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현 환자복 직물디자인 만족도, 색채&#8231;배색&#8231;문양의 선호도, 시안의 선호도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설문을 이용한 조사연구에 의해 이루어졌다. 표본은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는 종합병원과 개인병원 8개소의 환자와 의료인, 일반인으로 이루어졌으며. 392부의 설문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환자복의 직물디자인 개선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개선 지침의 설정을 위한 색채&#8231;배색&#8231;문양의 선호도 조사 결과, 바탕색은 연한 분홍(18.9%), 연한 연두(16.1%), 연한 파랑(15.8%)의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고 문양색은 주황(16.1%), 연두(12.5%), 남색(12%)/분홍(12%) 순으로 높았다. 배색에서는 파란 바탕에 남색 문양(23.2%), 분홍 바탕에 녹색 문양(16.1%), 연두 바탕에 녹색 문양(15.8%)의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으며 선호 원인은 바탕색(47.8%), 문양색(37.0%), 배색(36.5%) 모두에서 ‘온화한 느낌’ 때문이라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문양의 크기는 중간 크기(71.2%)의 문양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문양의 종류에서는 기하학문양(25.8%), 식물/과일문양(23.2%), 혼합문양(20.2%)의 순으로 선호율이 높았다. 이상의 선호도 조사 결과와 색채치료 효과 관련, 문헌 고찰 결과에 근거하여 환자복의 직물디자인 개발 지침을 설정하고 이 지침에 의한 시안을 개발, 소비자의 시안 선호도 평가를 거쳐 최종적으로 남녀 공용 2점, 여성용 1점, 총 세 가지 시안을 제시 하였다. 시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시안 1의 주조색은 연두계열의 고명도/저채도(5G 8/4)의 맑은 색조(P)로 디자인하였다. 병원 명칭을 상징하는 알파벳으로 S와 H를 가정하고 보조색으로 S에는 청결한 이미지의 흰색(N9.5)을, H에는 녹색(7.5G 5.5/9)의 선명한 색조(V)를 겹쳐 조합하였다. H의 가로 면을 연장, 강조색인 주황색(5YR 6.5/14)을 선명한 색조(V)로 배색, 의료기관의 크로스를 상징하는 마크를 고안하였다. 알파벳 S와 H는 선의 느낌으로 마크와 조합하고 크기를 축소, 패턴화하여 40% 어슷하게 배치함으로써, 기하학문양의 모티브인 직선과 곡선, 수평과 수직의 리듬감을 주었다. 주조색과 보조색은 차지 않은 중성색계열인 녹색의 동일색상배색, 보조색인 흰색의 부드러운 곡선은 ‘청결한 느낌’, 강조색의 주황색은 난색계열로 ‘온화한 느낌’을 주는 남녀 공용 환자복 직물의 시안이다. 시안 2의 주조색은 파랑계열의 고명도/저채도(2.5B 8/4)의 맑은 색조(P)로 디자인하였다. 보조색은 주조색의 명도와 채도를 낮춘 동일색상(5B 4/9)의 선명한 색조(V)로 여러 겹의 자유 직선에 의한 대각선의 사선을 교차시켰고 문양은 원을 두 개 겹친 기하학의 모티브로 디자인하였다. 두 개의 원은 각각 밝은 색조(B)의 중명도/고채도의 파란색(5B 7/7)과 선명한 색조(V)의 중명도/고채도의 자주 기미의 보라(5RP 4.5/13)로 배색, 변화와 강조를 주었다. 문양의 주위에 흰 선을 둘러 주조색과 분리, 40-50대가 배색의 이미지로 선호한 ‘깨끗한 느낌’을 더했다. 이 시안은 주조색과 보조색은 한색계열로 자유로운 선과 원의 불규칙한 배치, 강조색은 난색계열의 문양을 배색, 찬 느낌을 중화시킨, 부디러운운 분위기를 주는 남녀 공용 환자복 시안이다. 시안 3의 주조색은 연한 분홍계열의 고명도/저채도(5RP 8/4)의 맑은 색조(P)로 디자인하였다. 병원 명칭을 상징하는 영어 알파벳으로 가정, E와 H를 임의 선정하고 이를 식물의 모티브로 표현하기 위해 필기체의 장식적인 서체로 하였으며 강조색인 녹색계열의 중명도/고채도(10G 5.5/9)와 강한 색조(S)의 보색으로 배색하였다. 병원의 한글 서체는 문양과 조합하여 가로와 대각선으로 배치하였다. 여백 부분은 주조색의 명도를 낮춰 동일색상(5RP 7/8) 밝은 색조(B)의 점의 형태로 불규칙하게 배치하여 단조로움을 줄였다. 주조색은 연한 톤의 난색계열로, 강조색 녹색은 중성색계열로 반대색이면서 ‘온화한 느낌’을 주었다. 점과 선, 문자와 식물의 이미지의 혼합문양은 40-50대에서 선호하는 문양으로 여성용 환자복의 시안이다. 시안 3점과 현재 환자복 직물 중, 색채&#8231;배색&#8231;문양이 시안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제품 3점, 총 6점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를 Likert형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안3점 모두가 비교 견본들 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안의 색상&#8231;문양&#8231;배색이 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디자인은 감성에 소구하는 분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 환경별, 시기별로 각각 다르다. 같은 색상 내에서도 명도별, 채도별, 또 명도와 채도가 합쳐진 색조(tone)별 조합에 따라 그 이미지가 매우 다양하여 일률적인 선호의 순위를 측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현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풍부하게 반영되어 환자의 심리적, 정서적 안정과 치료에 최대한으로 도움을 주는 환자복의 직물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항상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양한 색채와 문양의 환자복이 전문 제조업체에 의하여 끊임없이 개발되고 경제성이나 편의성에 의해 환자의 물리적, 심리적 측면을 소홀히 하기 쉬운 의료기관에서 기능적요소와 심미적요소가 조화되어 질병의 치유에 도움을 주는 환자복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 된다. 연구의 조사 대상이 경기도와 서울에 국한된 점과 설문 대상 및 연령 분포의 불균형이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연령 별 및 타 지역과의 비교 연구를 향후 연구 과제로 제언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안의 선호도가 그다지 높은 평균치를 보이지 못하여 지속적인 수정 보완이 필요함을 밝힌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sumers' satisfaction, and the kind and element of their favored patterns, colors and color combinations of the fabrics designs for patient's uniforms currently in use at general hospitals, private clinics, or general nursing establishments in Korea, an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developed the fabrics designs for patient's uniforms which will be more effective for the psychological or physical treatments of patients. For the evaluation of th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colors, color combinations and patterns of fabrics designs of current patient's uniforms, and also for the evaluation of the draft fabrics design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urvey researches by using the stimulants and questionnaire with the subjects of patients, healthcare personnel, and general public at eight general hospitals and private clinic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 total of 392 copies of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necessity was confirmed to exist for the improvement of fabrics designs for patient's uniforms. According to the findings on the preference for the colors, color combinations and patterns for the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directions, the preference for the base color was high in the order of light pink(18.9%), light green(16.1%) and light blue(15.8%), and that for the pattern color was high in the order of orange(16.1%), green(12.5%), purplish blue(12%) and pink(12%). The preference for the combination of base colors and pattern colors was high in the order of a purplish blue pattern on a blue base(23.2%), a green pattern on a pink base(16.1%), and a green pattern on a light green base(15.8%) and, as for the preference factor, 'warm feeling' was most favored in all of the base color(47.8%), the pattern color(37.0%), and the color combination(36.5%).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the size and kind of patterns, the middle size was most favored(71.2%) and the preference for the kind was high in the order of geometric patterns(25.8%), plant/fruit patterns(23.2%), and mixed patterns(20.2%).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e preference survey and those of existing studies, the development directions were set up for the fabrics designs for patient's uniforms, which responded to the requisites in line with color therapy effects, and the draft unifor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directions. Three draft uniforms were finally presented for women and both sexes through the consumers' preference evaluation. The contents of the draft uniforms are as follows. The draft uniform 1, with a design for both sexes, was selected to carry the major color in the light green line of pale tone with high luminosity/low chroma, the first subsidiary color in the green line of vivid tone with mid luminosity/high chroma, and the second subsidiary color of white color of N9.5, and the emphasizing color in the orange line of vivid tone with mid luminosity/high chroma. The pattern used the English letter S in a white curved line with a clean image, extended the horizontal side of the English letter H in a green straight line, and included an orange mark implying a cross, a symbol for a medical institution. The hospital logo, with a feeling of a line, was combined with the mark, patterned into a geometric image, and arranged in 40% drop repeat, thus carrying the feelings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nd a horizontal and vertical rhythm. The draft uniform 2, with a design for both sexes, was selected to carry the major color in the blue line of pale tone with high luminosity/low chroma, the first supporting color in the dark blue line of vivid tone with mid luminosity/high chroma, the second supporting color of white of N9.5, the first emphasizing color in the blue line with mid luminosity/high chroma, and the second emphasizing color in the purplish red line of vivid tone with mid luminosity/high chroma. The pattern was arranged irregularly with the diagonal lines, crossing free lines of several layer, overlapped with circles, with the soft images of geometry. The uniform presented a clean feeling, being separated from the major color by the white lines around the patterns. The draft uniform 3, with a design for women, was selected to carry the major color in the pink line of pale tone with high luminosity/low chroma, the subsidiary color in the pink line of bright tone with mid luminosity/high chroma, and the emphasizing color in the green line of strong tone with mid luminosity/high chroma. As for the pattern, the combination of a mark with a soft plant image of the cursive English capital letters E and H in the ornate writing style and the hospital logo in the Korean writing style, was arranged in the horizontal and diagonal lines. The blank space was arranged with a shape of dots in the major color of the reduced luminosity, and a mark in the emphasizing color of green, the opposite color, providing the senses of a change and a rhythm.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the draft uniforms, the six uniforms were selected, which were the three proposed ones and the other three products among ready-made patient's uniforms with the colors, color combinations and patterns similar to the study findings, and they were evaluated along the Likert 5-point scale. The evaluation results confirmed the improvement in the colors, patterns and color combinations of fabrics materials, with the higher preference for the draft uniforms 1, 2, and 3 over the existing fabrics materials. The studies about colors and patterns have been conducted only for the sensibility and pattern preference with a few single colors even in the field of fabrics designs for general clothing. So the studies, including the color combination and pattern development, are very insufficient. The study findings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patient's uniforms with various colors and patterns by professional manufacturers, and also to the enhancement of interest in patient's uniforms, which will assist disease treatment, through the harmony of functional elements and esthetic elements at the medical institutions where the considerations for the economy and convenience easily cause the pati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neglected. The study has the limits, including the restrictions of the subjects to those in Gyeonggi-do and Seoul and the imbalance in questionnaire respondents and their age distribution. Thus, the comparative study by the age and with other regions is suggested for further study issues.

      • 여성복 직물 디자인을 위한 헤링본 조직 연구 : 샘플 제작을 중심으로

        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815

        현대사회는 사회적,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와 다양함이 내재되어 있으며, 의상은 이러한 변화를 표현하는 시각적인 표현수단이다. 오늘날의 모든 산업은 패션성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직물산업에서는 특히 패션성이 중요시된다. 패션은 한 시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즉, 사회가 복잡해지고 세분화 됨에 따라서 패션도 이에 따라 변화하고 다양해지는 것이다. 이제 의상직물은 단순히 신체를 보호하는 수단이 아닌 한 사람의 감정과 가치관을 표현하는 매체인 것이다. 세계적으로도 사양산업으로 간주되었던 섬유산업은 신소재의 개발과 기술의 진보와 함께 개성화된 개개인의 표현 도구로써, 회복의 단계에 들어섰으며, 우리나라의 섬유산업도 침체된 직물산업의 호황을 위해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되는 시점에 있다. 과거의 대량생산에 의한 저가품 생산체제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의 전환은 개성화, 다양화, 차별화 경향을 띠는 오늘날의 추세에 부합되는 방향이다. 아울러 늘어나는 여성의 사회진출, 그리고 거기에 따른 사회적인 역할 변화와 물질적인 풍요로움은 고품질의 세련된 직물을 원하며, 감각적 직물 디자인의 개발과 부가가치 높은 직물의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국내 여성복 업계는 심리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지식집약적 산업의 특징을 가진다. 과거 정장위주로 전개되었던 여성복 시장은 유행을 따르기 보다는 자기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데 주력하는 소비자들의 변화에 의해 시장 세분화가 이루어졌으며, 많은 브랜드들이 출시되었다. 가격이 싸거나 유명 브랜드라 하여 구입하지 않으며, 자신의 감성에 따라 상품을 선택하는 소비의식과 연령에 관련 없이 패션에 민감한 소비자의 경향은 국내 여성복 시장을 확대하고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를 받쳐줄 감각적인 고급 직물은 미흡한 상황이다. 오늘날 여성복이 남성적인 스타일을 흡수하고 받아들이면서 헤링본은 여성복 직물로 그 활용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모방위주의 획일적인 직물 디자인의 개선 방안으로 본 연구자는 현재의 트랜드를 반영한 차별화된 감각적인 헤링본 조직의 직물연구를 그 목적으로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헤링본의 특징과 여성복으로의 그 유형을 나누어 여러 가지 용도로 헤링본을 제시하였으며, 샘플제작에 있어서도 다양한 스타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제작에 임하였다. 작품제작에서는 다양한 표면효과와 터치(touch)와 두께감을 살려 개성있고 독창적인 직물제작을 시도하였으며, 색상에서는 전반적으로 그레이(gray), 부라운(brown), 불루(blue)계열을 사용해 점잖고 차분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헤링본의 다양한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자아 만족과 자기 표현의 수단으로의 직물 디자인 연구에 발전이 있기를 바란다. Today, our society is full of various social and cultural diversities and clothes are a visual expression of those. Every industry is related to fashion, and for the textile industry,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Fashion is an expression of our time. As the society gets complicated and subdivided, the fashion also changes and verifies. Textile for clothes is not only a method to protect the body but to express one’s feeling and value. Worldwidely, the textile industry used to be the declining industry but for the development of new fiber and advance of technology, it recovered quickly as a tool for individuality. And now Korean textile industry must seek a solution for prosperous future. Conversion from a mass production with low price to a small quantity with multi-production is needed for today’s individuality, multiplicity, and differentiation. The increase of women’s role in the society, the changes of social status, and the plentitude of materials made today’s consumers to want sophisticated high quality textiles and as a result, sensual and high value added textile designs are strongly needed. Today’s domestic textile industry has characteristics of intensified knowledge industry, for it adds psychological value to the product. Women’s wear market in the past developed mainly by formal clothes but now consumers, rather than following popular fashion, are putting all their effort to express their originality. Therefore, by the changes of customer's behavior, the market subdivided and many apparel companies aroused. Low price and names of brand no longer make people to purchase. Buying products by individualism and ageless sensitive consumers gave an opportunity for the domestic industry to grow and develop. But, the interest and attention for highly sensitive fabrics is treated lightly. As for multi-mixed trend,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ast influenced by ecology and recycling theory made herringbone structures to boom again. And as women’s wear started to borrow men’s characteristics, the use of herringbones increased. Therefore, for the improvement of textile design which used to be standardized, this study is focused on differentiated sensible herringbones with reflection on today’s fashion trend. In this study, herringbones are classified by their usage and their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For making samples, various styl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Various surface, touch, and volume are used for creativity. In colors, gray, brown, and blue are mostly used for emphasize on gentle calmness. By this study, it would help in developing various herringbone structures and it is expected as a guide line in the textile design industry to make a product as a tool for self-satisfaction and self-expression.

      • 고구려 고분벽화의 연꽃문양을 응용한 직물디자인 연구

        최은승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815

        직물디자인은 산업혁명 이후 섬유 산업이 발달하게 되면서 다양한 소재의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패턴 디자인은 시대에 맞게 변화하였다. 오늘날 섬유산업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대량 생산된 획일화 된 제품보다는 직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독창적이고 다양한 디자인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있다. 이와 같이 직물디자인은 사회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생환양식 등에 의해 각기 문화 에 맞는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면 모든 문화적 기반과 마찬가지로 찬 시대와 문화에 따라 직물디자인 또한 그 문명의 패러다임에 따른 양식을 까지 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각 문명의 영향력이 그 시대의 문화를 규정한다는 일반적인 원칙에 입각하여 한반도에서 가장 막강한 국가이었던 고구려의 부장문화인 고분(古墳) 벽화에 나타난 연꽃문양을 통하여 현대의 직물디자인에 적용하며 그 시대에 이미 문화 선진국 이었던 고구려의 미적 감각이 현재에 재현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보여지는 여러 문양들 가운데 연꽃문양을 선택한 이유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은 같은 시대에 나타난 연꽃문양 들과 다른 독특한 미적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사라지는 이미지가 아니고 현대 까지 일관된 형태로 남아있기 때문에 고구려고분(古墳)벽화에 나타난 연꽃문양의 조형적 미의식과 특징을 응용하여 다변화되는 국제화 속에서 경쟁력 있는 직물디자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한국적인 이미지의 모티브의 하나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을 이용하여 우리 미의식의 윈초적 동일성에 대한 재조명, 재해석, 재구성하여 오늘날의 시대상황에 맞는 디자인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연꽃문양의 배경과 상징적 의미를 문헌과 실증적 자료를 통하여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의 연꽃문양의 특징과 변화를 분석하여,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재구성함으로써 현대적 표현 가능성을 모색한다. 셋째, 고구려 고분벽화의 표현방법과 벽화의 색채를 고찰하고 벽화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 한다. 넷째,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작품 제작에 응용하였다. 고구려고분 벽화에 표현된 연꽃문양의 표현양식을 통한 이미지를 재구성함으로써 현대적 가능성을 모색하고 보다 새로운 직물디자인을 을 제시해 보았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textile design has been developed as verity material development, and pattern design has been changed along to the times. Now the industrial of textile is needed to develope the unique textile design as added value instead of mass-production for being satisfied consumers' verity needs. Also textile design has been developed by the facts of society and culture, living style step with each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se situations, textile design has a form of the cultural paradigm as like each the times and culture effect cultural found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general rule that each cultural influence laid down as the times all cultures. The main purpose is to show the powerful country, sense of beauty throughout the burial culture, the pattern of a lotus flower on the wall of an ancient tomb to apply to the modern textile design.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the choice of the lotus flower pattern was not only disappeared with the times but also to be existed as the form consistently. The other purpose is to develop the competitive the textile design of upholstery to adapt speedily changed international culture. So, we tried to develop the design that is adapted to re-explanation and re-construction on the identity of original aesthetic sense. On theoretical, the first we consider the definition of pattern and background of origin and the meaning of symbol through literature and actual proof in historically. The second, we grope for possibility of modernistic expression from that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the times and reconstruction of image and kinds of a lotus flower. The third, to analysi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and molding of wall painting, further to consider the technique of production and the meaning of the wall painting of Kokuryo's tomb. The forth, to adapt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facts of a lotus flowers design expressed into the wall painting to produce a work. From the reconstruction of the image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s pattern in the wall painting in tomb, to grope the traditional pattern to create up to modem design for new upholstery textile of sofa desig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shows the image of a lotus flowers pattern from the transformational twill cloth and the colors were shown such are black and yellow, red, egg plant, blue, green, and also to use boucle yam and loop yarn to maximize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s pattern. The conclusion of process this studying is as follow. The first, the traditional pattern has been recreated to simple pattern as follow the sense of modern. The second, whenever to show the traditional pattern, people ordinarily use fundamental colors, but we tried to use new colors from the lotus flowers and new technique of expression. The third, to express the natural touch of wall painting to the textile and produce comfortable and soft textile for sofa. We hope this studying is a trial to adapt the textile design from our traditional pattern like the lotus flowers on the wall painting in the Kokuryo's tom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