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지시어 교수방안 연구 : 중국어 표현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안광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지시어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고빈도 어휘이다. 보기에는 간단해 보이지만 사용양상이나 기능면에서 복잡하고 번거롭다 지시어는 한국어 ‘이/그/저’와 중국어 ‘这/那’외에도 한국어에는 ‘여기/거기/저기, 이렇다/그렇다/저렇다, 이러하다/그러하다/저러하다, 이렇게/그렇게/저렇게/ 이런/그런/저런’ 등이 있으며 중국어에는 ‘这麼/那麼,这样/那样,这里/那里,这儿/那儿’ 등이 있다. 한국어 지시어는 일반적으로 근지, 중지, 원지의 삼원 대립 체계로 구분되어 있고 중국어 지시어는 근지와 원지의 이원 대립체계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에서 ‘이’는 화자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는 대상을 가리키고, ‘그’는 청자로부터 가까이 있는 대상을 가리키며, ‘저’는 화자나 청자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대상을 가리킨다. 중국어에서 지시대상이 화자로부터 가까우면 ‘这’를 사용하고, 지시대상이 화자로부터 멀면 ‘那’를 사용한다. 본고에서는 중국인 초급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지시어교육 방안을 연구했다. 그 방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지시어 체계를 정리하고, 체계에 따라 지시어 체계의 분류 변수를 비교해 보며, 두 언어를 수식관계, 대응형식, 문장에서의 구성방식 등 면에서 비교했다. 교육방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선택하여 교수-활동 내용을 비교하여 중국인들에게 부합되는 교육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도입되고 있는 문법 교수. 학습 모형이 제시훈련 모형(PPP)이다. PPP는 각각 제시(Presentation), 연습(Practice), 생산(Production)을 나타낸다. 본고에서는 PPP 교육 모형을 변형시켜 제시-활동-학습-연습-생산-정리의 순으로 지시어 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생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작성했으며 앞으로 중국인 학생들에게 알맞은 더욱 좋은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대한다. Deixis are regularly used in everyday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t might looks easy to understand seems simple, but the use of methods and functions are rather complex system. ListottheDexisincludesListoftheDexisincludes‘I/Geu/Jeo, YeoGi/GeoGi/JeoGi,IReotDa/GeuReotDa/JeoReotDa, IReoHaDa/GeuReoHaDa/JeoReoHaDa,IReotge/GeuReotge/JeoReotge/ and IReon/ GeuReon/JeoReon etc.’ in Korean and ‘Zhe/Na, ZheMe/NaMe,ZheYang/NaYang, ZheLi/NaLi andZheEr/NaEr etc.’ in Chinese. Korean deixis are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opposite system. That are near refer, middle refer and far refer. Chinese deixis are divided into two opposite system, that are near refer and far refer. In Korean language, ‘ee” refers to the near objects from the speaker, ‘Geu’ refers to the near objects from the listeners, ‘Jeo’ refers to the far objects from the speaker or listeners. In Chinese language, ‘Zhoe’ refers to the near objects from the speaker and “Na” refers to the far objects from the speaker. In this study, we made teaching scheme of Korean deixis for elementary Chinese learners. We organized Korean and Chinese deixis system, compared system of deix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variable system and compared the modification of two languages, the constitution way in the article and the use of language. In order to make new teaching scheme, we selected the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used in China and South Korea. Reminder and training model (PPP) are most commonly used in Korean language learning system. PPP stands for Presentation, Practice and Produ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PP teaching model, according to the prompt – activities – practice – production - sorting order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etter teaching scheme primary to Chinese learners to learn Korean.

      • 지시어 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연구

        이효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지시어는 담화 텍스트 차원에서 국어 생활 속의 의사소통과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 비해 학교 교육에서의 지시어 교육은 미미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나타나는 지시어 사용의 오류 실태와 지시어의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시어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국어 생활에서 지시어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먼저,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지시어 사용의 오류 실태를 살펴보고 그런 양상이 국어 생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그러고 나서 지시어 오류 실태의 원인이 학교 교육과 연관이 있으며, 학교 교육에서 체계적인 지시어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국어 생활의 지시어의 오류도 줄어들 것이라는 가정 하에 지시어의 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지시어의 교육 실태는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국어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교 교육에서의 지시어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시어 통합 교육을 제안하였다. 2장에서는 지시어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통 문법에서의 지시어에 대해 살펴보고, 최근 국어 교육의 동향으로 텍스트 언어학적 측면에서 지시어를 고찰하여 지시어와 지시어 교육의 중요함에 대해서 밝혔다. 3장에서는 지시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국어 생활에서 지시어 사용 오류가 많이 발견되고 있음을 국어 교과서 속 텍스트를 분석하여 밝혔다. 4장에서는 3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에서의 지시어 교육의 부재가 그러한 오류들을 초래한다는 관점에서 지시어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되 보편적인 학교 교육 실태의 기본 자료로 적합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4장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시어 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지시어 통합 교육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지시어는 담화 텍스트의 응집성과 통일성이 가시화된 결속 기제로서, 글말과 입말에서의 의사소통과 직결되기 때문에 국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문법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시어가 잘못 사용된 경우, 지시 대상의 부재 등 지시어를 사용함에 있어 다양한 오류가 발견되었다. 그러한 오류의 원인은 학교 교육에서의 체계적인 지시어 교육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 현행 중·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지시어에 대한 국어 지식적 측면의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읽기와 쓰기 영역의 통합 방법에 바탕을 둔 지시어 통합 교육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과서 속에 잘못 사용된 지시어의 수정 작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지시어의 국어 지식적 측면의 교육에서부터 출발하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이 지시어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고 그것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교수·학습에 반영하여 앞으로는 국어 생활에서 지시어 사용의 오류가 나타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해야 할 것이다. Demonstratives are essential in the use of Korean sinc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dimension of discourse text. However, compared with their significance, they are not importantly dealt with in school education. Thereup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n textbooks and the phenomena of their education in order to suggest methods of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ttle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nd help students use them appropriately in their Korean language life.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and verify if such aspects are shown over their whole Korean language life. Next, it investigated the phenomena of demonstrative-educa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s associated with school education and if demonstratives are taught systematically at school,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will reduce in their Korean language life. To examine the phenomena of demonstrative-education, this thesis analyze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and Korean textbooks. Moreover, it suggested integrated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s a method to solve problems in the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t school. Chapter 2 considered theoretical background on demonstratives. It studied demonstratives in traditional grammar and look into them in the aspect of text linguistics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of Korean education to prove the importance of demonstratives and the education of them. In chapter 3, this study showed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s is frequently found in the overall Korean language life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m through text analysis of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 of research in chapter 3, chapter 4 investigated the phenomena of demonstrative-education in the aspect that the absence of teaching demonstratives at school has caused such incorrect use. Separating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this study analyzed the foundational data of general school education based on adequate curricula and textbooks. Grounded on the study result of chapter 4, chapter 5 suggested integrated education of demonstratives as a method to improve the current education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demonstratives are the visualized cohesive mechanism of cohesion and coherence in discourse text and are crucial syntactic elements in Korean language life since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either written or verbal communication. However, when demonstratives are incorrectly used, various errors are found in using them such as the absence of the demonstrative object. These errors come from the absence of systematic education of demonstratives in school education. Examining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a and textbooks,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systematic education like teaching knowledge on Korean demonstratives has not been conducted. To improve this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integrated education for demonstratives based on combining reading and writi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initiate correction of demonstratives wrongly used in textbooks. Furthermore, this article hopefully will be able to induce systematic education starting from teaching knowledge on Korean demonstratives. Also, it will be desirable to prevent incorrect use of demonstrative in Korean language life afterwards as both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monstratives properly and reflect how to use them correctly to teaching and learning.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교육 연구

        Zheng, Huilan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Chinese learners to systematically learn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Korean demonstratives, to develop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demonstrativ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real life, and to produce highly cohesive texts. At present, most of the relevant research on demonstrativ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s on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demonstratives, and has not directly proposed an educational methods for the actual use of students. Although there are several studies examining the student's acquisition and error analysis, it is regrettable that they did not propose an effective plan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use of learners in terms of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eatures and semantic functions, and based on this, formulate corresponding educational content and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Chapter Ⅱ,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Korean demonstratives are first examined through theory. Then, according to the indication object as the character, thing, place, time,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cator are analyzed. And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 Korean demonstratives have already been individually mentioned by the strata of deictic use, textual use and conceptual use. And according to the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s system, the different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the indicated objec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demonstratives education, the prompt forms of the demonstratives in Korean textbooks are analyzed.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eachers and learners, and the limitations of Korean instructional education in the field of practical teaching were summarized. In Chapter III, in order to analyze the use and error of the learner's demonstratives, I developed a variety of tasks and then asked the students to answer the materials as part of the analysis. In addition, the answer sheet of the learner's answer to the 54th ques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I is used as another part of the analysis. The task consists of cloze test, authenticity judgment & oral repair test, translation test. The writing texts of the students are in the Korean writing of the 54th and 60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I), which excludes the composition of not less than 500 words. Finally, 69 writing text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object. The analysis results of tests show that in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the special usage of the indicator object is a character and the problem type error rate indicating that the object is a morphological feature at the place is high. In terms of semantic functions, most learners only understand the usage of pointers based on physical material in the deictic use, and the rest are not fully understood. The error rate displayed in the analysis result of the written text is less than the data analyzed in the results of tests. There have been many errors in the form of mixing ‘i’ and ‘geu’. And I found the usage and error causes are roughly divided into mother tongue interference, the complexity of the meaning of the Korean demonstrativ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curriculum. In Chapter Ⅳ, includes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about the demonstratives for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Chapter Ⅱ and Ⅲ. For instructors to teach the demonstratives more effectively, I proposed teaching approaches and educational plans for each approach. And then, according to these directions, this study constructed actual class and practiced the clas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focusing on Chinese advanced Learners.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nalyzes the usage and errors of demonst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spoken and written language. This ha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not only for morphological & syntactical, but also in semantic function. Moreover, this study does not stop at the analyzes the usage and errors of demonstratives, but also attempts to derive the reasons for the use errors. Organizing contents of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expressive effect and practiced the class constructed based on this discussion and analyzed it is also significant.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지시어의 형태·통사 특징 및 다양한 의미 기능을 체계적으로 학습하여 의사소통 과정에서 상황 맥락에 적절한 지시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높은 응집성을 갖춘 텍스트를 생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기존의 지시어와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면 지시어의 층위별 의미 기능만 밝히고, 실제 학습자들의 지시어 사용 양상에 대한 분석이 없이 교육 항목을 제시하는 데 집중하였다.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 혹은 오류 양상을 고찰한 논의가 몇 편 존재하기는 하지만 양상에 따른 효과적인 방안 제시가 이루어지지 않아 아쉽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형태·통사뿐만 아니라 의미 기능 측면에서 지시어의 사용 양상 및 오류를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해야 할 필요성이 크다고 보았다. Ⅱ장에서는 우선 먼저 이론적 검토를 위해 한국어 지시어의 개념 및 범주를 고찰하였다. 또한 지시어의 형태·통사 특징을 지시 대상이 인물, 사물, 장소, 시간인 경우로 나누어서 검토해 보고, 지시어의 층위별 의미 기능을 현장 지시, 문맥 지시, 상념 지시 세 층위로 나누어서 검토해 보았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지시어 체계, 지시 대상에 따른 형태·통사 특징 그리고 층위별 의미 기능 차원에서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 지시어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재에서 지시어의 제시 양상을 살폈고, 교육 현장에서의 한계점을 도출해 내기 위하여 교사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지시어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과제를 개발한 후 과제 수행 자료 및 한국어능력시험(TOPIK)Ⅱ의 54번 문항에 대한 학습자 쓰기 답안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과제는 빈칸 채우기 테스트, 진위 판단 및 오류 수정형 테스트, 번역 테스트로 이루어졌고 쓰기 텍스트는 제52회, 60회 한국어능력시험Ⅱ의 54번 문항의 답안지 총 140편을 1차적으로 수집하였고 글자수가 500자 미만인 자료를 제외하여 최종 69편의 답안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과제 수행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형태·통사 측면에서 지시 대상이 인물일 때의 특수 용법 및 지시 대상이 장소일 때 오류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의미 기능 측면에서 대부분 현장 지시에서의 물리적 소재에 근거한 지시어 사용에 대해서만 정확하게 인지를 하고 있고, 그 외의 의미에 대해서는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문어 텍스트에 대한 분석 결과 과제 수행 자료 분석 결과보다는 오류가 적게 나타났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형태 측면에서 ‘이’와 ‘이것’ 양자를 혼용하여 사용한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의미적 측면에서 문맥과 어긋난 지시어를 사용하거나 특정된 지시어를 한 텍스트에 과도하게 사용 혹은 불필요한 지시어를 사용하는 오류가 출현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지시어 사용에서 어려움을 겪는 원인을 크게 모국어 간섭, 한국어 지시어 의미 기능의 복잡성, 교육 과정의 한계 세 가지로 유형화하고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에서 살펴 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의 교육 목표와 내용을 수준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육 방안과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국어 지시어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교수·학습의 국면에서 실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한국어 지시어의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담화 차원과 문어 차원에서 동시에 분석하였고, 의미 기능 차원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형태·통사 차원까지 함께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들의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류의 원인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 및 방안을 설계하는 데 기존 연구들과 주안점을 달리 할 수 있다고 보고, 실제 수업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지시어.접속어 지도에 관한 연구

        정오 全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se and synthesize in the viewpoint of syntax and sementics the meaning of demonstratives and conjunctive words used in connecting sentence to sentence and paragraph to paragraph, and to find out the method of guidance which is to swiftly analyse and understand sentence through review of those various types in degree of school grammar. Few sentences which connected without demonstrative and conjunction except simple sentence in Korean. However complex the structure of sentence may be, we become aware of the beginning and ending correspondence of the context exactly and can grasp even the meaning of inner part that the sentence includes, if we investigate the indicative and conjunctive relation with this complex sentence. But reflecting upon the state of learned circles, there are the various theories of many scholars for demonstrative and conjunction. Therefore, it is very urgent problem to study series of items of demonstrative and conjunction in aspect of school grammar and to find out the method of application to school learning and real life.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ing. Chapter I, presents general structure and investigative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Ⅱ, describes rules of diction through word class and component investigation for demonstrative and conjunction, defines it’s range, and provides theory of investigation synthetically. Chapter Ⅲ, looks into characters of syntax and semantics of demonstrative, and provides all conditions, functions, classification, forms and synthetical types of meanning, and at the same time, suggests the method of guidance that is prepared for the suggestion of learning course of understanding sentences by types of indication. Chapter Ⅳ, researches for all conjunction phenomena of Korean arround the character of syntax and sementics of conjunction through various angles, and at the same time investigates the course of paragraph analysis through the comparing conjunctive ending with conjunction, function of conjunction, and the integrated data of conjunction type, and provides the method of guidance. Lastly, Chapter V, froms the whole conclusion through summing up contents researched till now, and refers to a direction and problem that is to be solved in the future.

      • 한국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에 대한 언어유형론적 연구

        피키오니 클라우디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지시어와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있다.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및 화용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두 언어의 지시어 체계를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다수 의미론적 관점과 화용론적 관점에서 다루었는데 본고에서는 조금 더 넓은 시각으로 형태론적, 통사론적 관점도 포함하여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두 언어의 지시어를 대응하는 연구가 아직까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서 두 언어의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와 이탈리아어의 지시어 체계를 유형론적으로 어떤 위치를 갖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는 이탈리아어 지시어의 대립적 관계와 다르다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본문의 새로운 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는지를 소개하였다. 제2장에서는 Diessel(1999) 연구 바탕으로 세계 언어의 지시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 그, 저'와 ‘questo, quello’의 지시어 어간, 지시어의 굴절적인 성격, 지시 접어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지시어 어간에 관하여 지시 대명사, 지시 한정사, 지시 부사를 살펴보았고 각 언어의 변이형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통사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이, 그, 저’와 이탈리아어 ‘questo, quello’를 비교하였다. 이 장에서 지시어의 범주적 지위, 장소 화시어 그리고 정체 확인 지시어를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 의미론적 관점에서 두 언어의 지시어의 화시적 속성과 질적 속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언어의 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각 언어의 지시 한정사의 우측 첫 요소와 어떤 공기 결합을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 화용론적 관점에서 외부 참조와 문맥 참고를 지시어를 통해서 어떻게 표상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현장 지시어, 문맥 지시어와 인지적 지시어를 다루었다. 제7장에서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This Study aim to reveal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s from a typological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monstatrives of the two languages from morphological,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semantic and pragmatic perspectives, meanwhile this paper, in a slightly sense, includes also morphological and synctactic perspectives. Moreover there is yet no study that compare the korean and italian demonstrative systems, so this one would be helpful for learners of both languages. In chapter 1 have been presented the two languages systems from a broader typological point of view.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rast system presents in Korean demonstratives is different from that of Italian. Also, new point of view has been introduc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y and was introduc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emonstratives ​​based on the study of Diessel(1999). Chapter 3 compares and analyzes the stem, the inflectional nature and clitics of Korean demonstratives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morphological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stem, pronouns, determiners and adverbs were examined, and were also examinated the variants of the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4 compares Korean '이, 그, 저' and Italian 'questo, quello'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In this chapter were analized the categorical status of demonstratives, place deictics and and identifiers. Chapter 5, has been analized the deictic and qualitative features of demonstratives from the semantic perspective. Also, through the spoken corpus has been analized the words “co-occurence” with the determiner of each language. Chapter 6,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has been analized the exophoric, anaphoric, discourse deictic and recognitional use of demonstratives of each language. Chapter 7 summarizes what has been discussed so far. Questa ricerca è volta ad analizzare le differenze e similitudini tra i dimostrativi coreani e italiani da un punto di vista linguistico tipologico. Lo scopo di questo studio è di comparare 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l punto di vista morfologico, sintattico, semantico e pragmatico. La maggior parte degli studi passati si sono focalizzati sull’aspetto semantico e pragmatico, questa ricerca vuole ampliare il campo coprendo anche gli aspetti morfologici e sintattici. Inoltre non essendoci ancora studi che comparino i dimostrativi coreani con quelli italiani, questo vuole presentarsi come un aiuto per coloro che apprendono le due lingue. Nel capitolo 1 sono stati presentati i sistemi dei dimostrativi delle due lingue da un vasto punto di vista tipologico. Inoltre è stato accennato al fatto che il sistema contrastivo presente nei dimostrativi coreani è diverso da quello italiano. E’ stato inoltre presentato il metodo di ricerca. Nel capitolo 2 sono state esaminate le caratteristiche dei dimostrativi in varie lingue, seguendo lo studio condotto da Diessel(1999). Nel capitolo 3, da un punto di vista morfologico, sono state comparate radici(stem), il carattere inflessivo e i clitici nelle due lingue. Per quanto riguarda le radici sono stati esaminati i pronomi, gli aggettivi dimostrativi e gli avverbi di luogo. Inoltre sono state prese in esame anche le varianti. Nel capitolo 4 sono stati comparati i dimostrativi coreani ‘이, 그, 저' e italiani 'questo, quello' da un punto di vista sintattico. In questo capitolo sono stati trattati gli status categoriali dei dimostrativi la deissi spaziale e gli identificativi. Nel capitolo 5 è sono state analizzate le caratteristiche deittiche e qualitative dei dimostrativi da un punto di vista semantico. Inoltre, tramite il corpus orale di ogni lingua è stata analizzata la ‘co-occorrenza’ semantica di parole con i dimostrativi. Nel capitolo 6 sono stati anallizati gli usi exoforici, anaforici, la deissi testuale e l’uso “recognitivo” dei dimostrativi. Nel capitolo 7 è stato riassunto il contenuto della ricerca.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지시어 교육 방안 연구

        장만만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어와 중국어 지시어의 체계와 기능을 대조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이, 그, 저’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어의 지시어 ‘이, 그, 저’와 중국어의 ‘这, 那’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지시어 체계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지시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밝힌다. 또한, 한국과 중국을 통틀어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실린 지시어를 분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지시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시어는 언어의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로 한국어와 중국어에 다 있는 문법 표현이다. 지시어휘 수는 많지 않은데 사용 빈도는 매우 높다. 한·중 지시어는 뚜렷한 차이가 있는데 체계적 측면에서 봤을 때 중국어 지시어는 이원 체계, 한국어 지시어는 삼원 체계이기 때문에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그, 저’의 사용이 어렵거나 헷갈릴 수 있다. 따라서 지시어에 대한 교육은 무척 중요하다. 제1장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살펴본다. 한국어 지시어 '이, 그, 저'와 중국어 지시어 '这, 那'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중 서로 대조하는 연구와 한국어 지시어 교육 방안의 연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장은 이론 배경이다. 지시어 '이, 그, 저'와 '这, 那'의 기본 체계 및 기능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대조 분석을 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사용되는 교재 중 지시어를 어떤 형식으로 어떤 기능을 기술했는지 살펴본 후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그, 저'가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는 빈도를 제시하여 '이, 그, 저'에 대한 기능별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3장의 한국어 교재 분석한 결과에 따라 각 교재의 장단점을 결합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맞는 교수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제5장은 결론이다. 앞에 살펴본 내용을 정리하고 요약하여 결론을 맺는다.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가 지시어를 더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그 의미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도 본 연구에서 미처 관찰하지 못한 부분을 보완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ducational method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indicative words ‘i, geu, jeo’ by comparing the system and function of Korean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First of all,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indicative words ‘i, geu, jeo’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zhe, na’ are analyzed. It reveals that Chinese learn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and using Korean indicative words due to differences in the Korean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system. By analyzing the indicative words in Korean textbooks that are actively used in Korea and China, a method of learning indicative word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was produced. The indicative word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parts of language, and it is a grammar that exists in both Korean and Chinese. There are few numbers of indicative words, but they are used very frequently.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dicative words. Since Chinese has binary system of indicative words while Korean has three, Chinese learners may confuse the use of ‘geu’ and ‘jeo’ when using indicative words. Therefore, education of indicative words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In Chapter 1, the purpose, necessity of the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wer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directive ‘i, geu, jeo’ and the Chinese directive words ‘zhe, na’ were reviewed, and among them, studies on contrasting with each other and studies on Korean indicative words education methods were examined. Chapter 2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analyzing the basic systems and functions of the indicative words ‘i, geu, jeo’ and ‘zhe, na’ were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In Chapter 3 the necessity for functional education on ‘i, geu, jeo’ by examining the form of indicative word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alyzing the problems, and suggesting the frequency of ‘i, geu, jeo’ in Korean textbooks was examined. In Chapter 4, a teaching method suitable for Chinese learners by combin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textbook which wer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Korean textbooks in Chapter 3 was proposed. Chapter 5 is the conclusion. The contents were organiz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 previous chapter contents. This paper is produced to help Chinese learners using the directive words better. There are also some imperfections in the thesis which need to be improved in the near future. 本研究旨在通过对比韩中指示代词的体系和机能, 探索针对中国韩语学习者关于韩语指示代词“이, 그, 저”的教育方案。为此, 首先通过分析韩语的指示代词 “이, 그, 저”和汉语的指示代词“这, 那”的共同点和差异点, 表明由于韩语和汉语的指示代词体系的差异, 中国韩语学习者在理解和使用韩语指示代词时容易出现错误。其次,通过选取部分韩语教材中的指示代词例句并进行分析, 提出以中国韩语学习者为对象的指示代词教育方案。 在语言体系中,指示代词是一个重要的语法类别,虽然数量不多,但在韩语和汉语中使用频率都比较高。韩中指示代词存在明显差异, 从其体系角度来看, 汉语指示代词是二元体系, 韩语指示代词是三元体系, 在使用指示代词时,中国学习者可能会受到母语的影响,混淆“그”和“저”的用法。因此, 如何以中国韩语学习者为对象,更好地进行韩语指示代词教学显得尤为重要。 本研究主要分为五个章节。第一章是引言,主要阐述了研究的目的与意义,研究的范围和方法。主要对韩语指示代词“이, 그, 저”和汉语指示代词"这, 那"的研究,指示代词相互对照的研究以及韩语指示代词教育方案的研究进行了探讨。 第二章是理论背景。考察了“이, 그, 저”和“这, 那”的基本体系和机能,并对二者的共同点和差异点进行了对比分析。 第三章是教材分析。主要通过梳理韩语教材中出现的指示代词,分析其出现形式及作用,进一步分析其中存在的问题,并统计了“이, 그, 저”在韩语教材中出现的频率, 阐明了韩语指示代词教学的必要性。 第四章根据第三章韩语教材的分析结果, 结合各教材的优缺点, 在教学中把中韩指示代词进行对比分析, 提出了适合中国学习者的教学方案。 第五章结论部分对全文内容进行总结后得出结论。 本文对于帮助中国韩语学习者更好地使用指示代词具有重要意义。在未来的研究中,我们也将补充本研究中未观察到的部分并继续完善。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기능 발달 양상 연구

        왕교하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어의 기능을 살펴보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기능 발달 양상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지시어 사용 양상을 비교하여 그들 간의 차이를 고찰한 다음 지시어의 사용에 있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지시어의 기능 습득 연구, 한국어 지시어 기능의 국어학적 연구,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지시어의 내용 등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연구 범위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학습자 언어와 국어학에서 한국어 지시의 분류와 지시어의 기능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알맞은 지시어 기능을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장에서는 실험 피험자의 선정과 지시어 사용을 알아보는 실험 과제의 문항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비 실험과 본 실험으로 이루어진 연구 절차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을 밝혔다. 4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습득한 지시어 기능의 범위는 현장 지시에서 물리적 거리감에 의한 것과 문맥 지시에서 전술언급 기능에 편중되어 있어 한국어 모어 화자가 습득한 다양한 기능 범위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기능 발달 양상에 있어 숙달도 변인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이 연구가 갖는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지시어 기능 발달 양상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작업은 한국어 교육적 차원에서 지시어 교수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험 피험자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로 한정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어 기능 발달 양상으로 일반화할 수 없다. 또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제된 실험 도구들을 사용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가 외국인 학습자의 실생활 지시어 사용 양상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이 단 하나의 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졌고 피험자의 인원수도 많지 않아서 본 연구의 결과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전체에 일반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전술한 한계점을 반영하여 실제적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학습자 발화를 바탕으로 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지시어 기능 습득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Korean demonstratives and examining Chinese learners' development on functions of Korean demonstratives. For this purpose, Chinese learners' use of Korean demonstratives is examined in two ways: we first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use of Korean demonstratives. Secondly, we examined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process based on their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like followings below. In Chapter 1, it identifies the aim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reviews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demonstrativ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functions of demonstratives in Korean linguistics, then analyses the content of demonstratives which are presented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2, it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earners' interlanguage, the classifies and functions of Korean demonstratives. Through such a process, it sets categories of demonstratives' functions to be used in this study. In Chapter 3, it describes research methods. It gives a concrete illustration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articipants and the test items for examining subjects' use of Korean demonstratives in the study. In addition, it shows the research process of the preliminary and main experiments with the analytic methods of the collected data. In Chapter 4, it presents research results. First, the range of demonstratives' functions that the Chinese leaners acquired was very limited to the Situational demonstratives which was according to the physical distance and to the Textual demonstratives which was about the above-mentioned function and so was not comparable to the wider range of functions that the Korean native speakers acquired. Second, there were proficiency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nstratives' functions of Chinese learners. Finally, in Chapter 5, it identifies research results and shows its meanings and limitations.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hat it explores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n the functions of Korean demonstratives which have not been previously studied in gained mainstream atten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for the future Korean demonstratives education in that it explored Korean learners' development of Korean demonstratives. However, as all of the tests of this study were controlled, it has a limitation that there may be different from leaners' use of Korean demonstratives in real life. What's more, this study has an another limitation in that it just only examined Korean leaners who were from one school and the number of experiment subjects was not enough. So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ard to be a generalization for all of Chinese learners.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on acquisition of Korean learners' demonstratives who are from different schools based on their utterance in the actual communications.

      • 한·중 지시어 대역 분석 :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因为痛,所以叫青春」을 중심으로

        진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6

        지시어는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이며 주로 어떤 대상을 가리키거나 확인해 내는 언어적 기능이다. 다른 표현으로, 지시어는 문맥을 이해하거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언어적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시어는 한국어와 중국어를 비롯한 많은 언어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언어 현상이다. 실존하는 현실 공간에서 화자 또는 청자의 정신세계 또는 상상의 공간에 존재하고 있는 대상을 특정하는 지시어는 화자뿐만 아니라 청자가 현실 및 정신세계 영역에서 특정 대상을 확인하거나 가리킬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 즉, 사물이나 현상을 지시하거나 대용함으로써 특정한 공간, 사건, 사람, 사물, 시간, 정도 등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형성해주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그, 저’와 ‘這, 那’의 대역 관계를 밝히기 위해 출발어 텍스트인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도착어 텍스트인 「因为痛,所以叫青春」에 나타나는 한·중 지시어의 대역된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그, 저’와 ‘這, 那’의 대응 상황들과 비 대응 상황들을 개별적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제1장에서는 지시어의 개념과 중요성을 간략하게 소개한 후,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 대상을 정하며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지금까지 한·중 언어의 가장 대표적인 지시어인 ‘이, 그, 저’와 ‘這, 那’에 대한 이미 이루어진 선행 연구과 체계를 살펴보고 대조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지시어와 관련된 논문들과 저서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因为痛,所以叫青春」에 나타나는 한·중 지시어의 대응하는 상황들을 각각 분류해서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보면, 한국어에서는 ‘그’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중국어에서는 ‘這’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한·중 지시어 대응에서 ‘이’와 ‘這, 那’, ‘그’와 ‘這, 那’, ‘저’와 ‘這, 那’는 모두 대응시킬 수 있다. ‘이’는 주로 ‘這’와 대응하고, ‘그’는 ‘那’보다 ‘這’와 대응하는 비중이 더 크다. ‘저’는 ‘這, 那’와의 대응이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어의 가장 대표적인 지시어인 ‘이, 그, 저’와 중국어의 가장 대표적인 지시어인 ‘這, 那’의 대역 관계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결과가 나타났다. 제3장에서는 ‘이, 그, 저’와 ‘這, 那’의 비 대응 관계를 고찰하였다. 대응하는 부분보다 비 대응하는 상황이 더 높은 비중으로 통계결과가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 대응 상황들을 ‘지시어 생략’, ‘지시어와 지시하는 부분 생략’, ‘대체’, ‘부연 설명’ 4개 유형으로 각각 분류해서 분석하였다. 1. 문장이나 담화의 앞에서 언급한 유일성을 가진 대상 자체를 다시 가리킬 경우, 지시어의 기능이 이미 약화하기 때문에 중국어로 번역할 때 ‘這, 那’를 사용하지 않아도 지시 대상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2. 원문 텍스트는 사람, 사물, 장소의 명사 앞에 ‘이’와 ‘그’를 사용하여 지시대상을 강조할 경우, 중국어로 번역할 때 지시어 ‘這, 那’를 생략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한국어에서 지시어와 명사를 결합한 표현들은 문장의 주어 성분이 될 수 없다. 지시나 대용하는 대상이 불분명할 경우, 중국어로 번역할 때 지시어 ‘這, 那’를 생략하여 그저 문장의 적당한 위치에 그 지시 대상을 언급한다. 3. 원문 텍스트를 그대로 번역하면 번역문 텍스트 자체가 자연스럽지 않아서 유창하게 번역하기 위하여 지시어나 지시하는 대상을 전체적으로 생략한다. 4. 원문 텍스트의 내용을 더 생동감 있게 서술하기 위해 ‘這, 那’로 대역하지 않고 표현을 바꿔서 번역한다. 5. 원문 텍스트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지시 대상을 다른 구체적인 표현으로 부연 설명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하고,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지시어는 표면적으로 보기에는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실제로는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한·중 지시어의 상호 번역에 관한 대조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효율적인 한·중 지시어의 대역에 대한 학습을 위해서 특정한 텍스트의 대조 분석은 향후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부분들이 한·중 지시어의 상호 번역에 대해 필요성과 의의가 있다고 사료한다. 이러한 학계의 꾸준한 노력에 이 논문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 demonstrative pronoun is a universal language phenomenon and is primarily a verbal function that points to or identifies an object. In other words, a demonstrative pronoun is a verbal function used to understand context or to communicate well. The demonstrative pronoun is a language phenomenon that occupies a very high proportion in many languages including Korean and Chinese. A demonstrative pronoun that specifies an object that exists in a spiritual world or imaginary space of a speaker or listener in an actual reality space is an expression used not only by the speaker but also by a listener when he or she identifies or points to a specific object in the real and mental world domains. 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as a means of directly forming a relationship with a specific space, event, person, object, time, degree, etc. by directing or substituting a thing or a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monstrative pronouns i (this), geu (it), jeo (that), and '這 那' (zhe [this], na [it or that]). The analysis of the cases in which the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ppear in the cause and the cause and the reason of the inequality are analyzed separately to analyze the correspondence situations and the noncompliance situations of 'Lee, He, I' and '這 那' individually. In Chapter 1, we briefly introduce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the demonstrative pronouns, present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paper, define the research subjects, and introduce the research methods. This paper examines and contrasts the preceding studies and systems of the most representative demonstrative pronouns of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namely, 'this,’ ‘it,’ and ‘that,’ '這 那'. In Chapter 2, based on the theories of both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nd the theories of the books, we classify the corresponding situations of the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s used by youth in both countri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and 'th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nd in the Korean /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correspondence words 'this', 'it', and ‘that;’ 'this' and 'that' can relate to each other. 'This (Korean)' mainly corresponds to '這 [this]' and 'that (Korean)' corresponds to '這' [this] more than '那' (it and that). 'That' (Korean) showed similar responses to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Therefore, Korean demonstrative pronouns 'this, it, and that' and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demonstrative pronouns of Chinese, do not necessarily match. In Chapter 3, we examine the non - correspondence relationship of Korean 'this, it, and that' and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higher in the non-corresponding situations than in the corresponding parts.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se noncompliant situations into four types: omission of demonstrative pronouns, omission of demonstrative pronouns and its object, substitu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s. 1. When referring to the object with the uniqueness mentioned above in the sentence or the discourse, the function of the demonstrative pronouns is already weakened. Therefore,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we do not use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2. In the original text, when Korean 'this' and 'it' are used in front of nouns that are people, objects, and places, the demonstrative pronouns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is omitted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In addition, expressions combining demonstrative pronouns and nouns in Korean cannot be the subject matter of a sentence. If the instruction or substitute object is unclear, omit the demonstrative pronouns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when translating into Chinese and refer to the fore concluded object 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sentence. 3. If you translate the original text as it is, the translation text itself is not natural, so you omit the demonstrative pronoun or the entire object to translate fluently. 4. To translate the original text more vividly, the translator does not translate it into '這, 那' (Chinese ‘this,’ ‘it,’ and ‘that’). 5. In order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clearly, the translator must further explain the indication of the noun in other specific terms. In the conclusion, I summarized the contents reviewed so far and briefly mentioned future research subjects which have not been covered in this study.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seem simple on the surface but are actually very complex and difficult. So far, there is still little research on the mutual translation of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In order to study the efficient correlations of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a lot of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for the analysis of specific texts. I think that these parts are necessary and meaningful for mutual translation of Korean and Chinese demonstrative pronouns. I hope this article will help a little bit in the steady efforts of this academic community.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교육 방안 연구

        조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 중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지시어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필요성 그리고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지시어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지시어 ‘이/그/저’와 중국어 지시어 ‘这/那’에 대해 대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중 지시어의 사전 의미, 구성 체계, 기능, 사용 양상에 대한 대조분석을 통하여 두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지시어 ‘이’의 용법은 중국어 지시어 ‘这’와 같으며, 한국어 지시어 ‘그’와 ‘저’의 용법은 중국어 지시어 ‘那’가 모두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어 ‘그/저’는 사용되는 상황 및 기능에 따라 용법이 다르지만, 중국어 ‘那’에는 이러한 한계가 없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3장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의 효과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할 때 반영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행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관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교재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부산대학교, 강남대학교의 교재였고, 2장에서 살펴본 한·중 지시어의 대조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중 지시어의 대조분석 결과와 한국어 교재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지시어 ‘이/그/저’를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지시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어 지시어에 대한 이러한 교육 방안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지시어를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고, 한·중 지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고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