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공동체 문화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 학업성취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이연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학습공동체 문화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 학업성취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 이연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 홍재호)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 향상의 한 지도방법으로서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과지도를 위한 효과적이며 매력적인 한 교수·학습 지도방법이 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근거로 하여 설정된 연구문제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학업성취도」 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 [연구문제 Ⅱ] :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 <가설 Ⅰ>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학업성 취도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 <가설 Ⅱ>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남 ○○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그 중 1개 학급은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을 적용하는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1개 학급은 기존의 전통적 수업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을 위한 학습 단원은 6학년 1학기 국어과 다섯째 마당 ‘마음을 나누며’ 이었으며, 실험기간은 2002. 6. 10 ~ 2002. 6. 29 (18차시)이었다. 실험집단은 ‘학습공동체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모두 6학년 담임 동료교사가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에 실시한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검사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t 검증을 사용하였다. 가설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Ⅰ>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학업성취도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 <.01). 즉,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전통적 지도방법보다 학업성취에 더 높은 효과를 보였다. 2. <가설 Ⅱ>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아동들의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의의 있는 효과를 보일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 <.001). 즉, 학습공동체 문화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전통적 지도방법보다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의의 있게 더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에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며, 학생들에게 수업을 보다 유의미하게 받아들이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한 대안적인 교수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은 단순 지식 전달식 교육, 경쟁적 학습 분위기 조성, 이기주의적 성향의 학생 양성 등 우리 교육에 대한 비난을 극복할 수 있는 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둘째,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문화 형성을 통한 지도방법이 초등학교 국어과에서 학업성취 및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에 미치는 효과만을 검증하는 것으로 제한하였으나 앞으로의 후속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력 향상 및 인성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ABSTRACT The Effect of Teaching by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of National Language in Elementary School Lee, Yun-Sook Major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Chung-nam,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ong, Jae-Ho, Ph. D.)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of national language in elementary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oblems and th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ings : [Problem Ⅰ] : Could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FLCC group) be more effectiv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national language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 [Problem Ⅱ] : Could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culture(FLCC group) be more effective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than the conventional approach(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 <Hypothesis 1>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academic achievement of national language between FLCC group and 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Hypothesis 2>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ional meaning between FLCC group and 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To test above hypotheses, learning contents titled 「Sharing of Heart」was selected from national language textbook for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As experimental groups, two groups of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ongju city in Korea. One group(LCCF group) was treated with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the other(CONV group) was treated with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conventional approach. The number of the subjects was 4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LCCF group and CONV group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p<.01). That is to say,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conventional approach on the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ense of class meaningfulness between two groups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p<.001). That is to say,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conventional approach on the sense of class meaningfulness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language.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made. The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learning community cultural form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both for the enhancing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ersonality form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체험중심 글쓰기 지도방법 연구

        홍사화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필은 형식적 구속력이 비교적 적은, 자유로운 형식을 가진다. 시나 소설, 희곡 같은 경우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창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대로 향유하기도 어렵다. 그러나 수필은 자유로운 형식을 지녔기 때문에 학생들이 다른 문학 장르보다는 창작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국어과 교육목표를 살펴보면, ‘일상생활의 문제 인식과 그 문제를 해결하는 기초 능력 배양 및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경험 가지기’ 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것은 자기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함으로써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하는 글쓰기 활동의 목표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글쓰기 활동을 통해 언어능력 표현 신장뿐만 아니라 나아가 수필쓰기의 기반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런 글쓰기 활동의 소재는 어린이들의 생활체험 속에서 이끌어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글쓰기의 소재를 찾아 글로 형상화하기까지에는 그들의 생각을 끌어낼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물론 어린이들의 체험 생활문을 수필이라고 볼 수는 없겠으나, 생활문은 지은이 자신만의 경험을 토대로 하여 세상을 해석하고 바라보는 태도, 그리고 그것을 서술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개성이 드러나는 점에서 수필의 입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에게 글쓰기는 매우 어렵고 복잡한 과정으로 인식되어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글쓰기 과정상의 어떤 점에서 어려움을 느끼며 그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전략과 방법을 사용하는지, 어떤 도움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진단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학생들의 글쓰기과정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없다. 이에 학습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글쓰기를 하도록 1위한 한 방편으로 체험 글쓰기 교육의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를 지도의 주체가 없이 학습자에게 맡겨둘 것이 아니라 글쓰기는 계획적이고 의도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고 보고 장차 수필 쓰기를 위한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글쓰기 능력을 높이기 위해 체험 글쓰기 지도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는 글쓰기에 부담을 느끼고 흥미를 잃어가는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체험활동에서 소재를 찾는 글쓰기야말로 가장 바람직한 글쓰기 교육 방법이라는 판단을 했기 때문이다. 체험중심 글쓰기 지도의 첫 단계로 먼저 체험 과제와 체험 내용을 선정하였다. 체험내용의 선정은 특별활동영역의 계발활동, 봉사활동, 행사활동에서 요구하는 활동들을 학교실정과 지역 여건, 아동의 흥미 및 글쓰기 체험활동으로서의 적합성 여부를 고려해 실천 가능한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체험활동 글쓰기 지도를 위해 미시장르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 과정에 따라 9개의 미시 장르를 설정하고 연간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경인초등교육학회의 ‘전략중심 글쓰기 수업모형’을 근간으로 체험활동 중심의 수업 모형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수업 모형에 따라 체험중심 글쓰기7단계 전략과 그에 적합한 수업안을 구안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글쓰기 활동에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체험중심 글쓰기 방법이 글쓰기 능력 신장 및 글쓰기 태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바, 아동들은 보다 쉽게 의미를 구성하고 효과적으로 글을 쓸 수 있었다. 또한 쓰기 결과물 고찰을 통해서 체험중심 글쓰기가 쓰기 능력 신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 체험 중심 글쓰기 활동은 글의 내용, 주제 설정 및 구상, 글의 구성, 표현 등 쓰기 능력의 다양한 면에서 기여함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관찰, 면접, 질문지 작성을 통하여 체험 중심 글쓰기가 쓰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도 분석하였는데, 본 연구 주제인 체험 중심 글쓰기 지도 방법은 글쓰기에 흥미와 자신감을 갖는데 도움을 주고, 아동들이 쓰기 활동에 즐겁게 참여하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수필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쓰기에 대한 전략적인 지도가 요구 되고, 쓰기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쓰기 행위에 필요한 다양한 언어활동과 지식의 양을 늘려야 한다. 그러나 쓰기 기능이 미숙한 상태의 아동들은 생활과 밀접한 체험 중심의 소재를 선정하고 의도적으로 계획하고 지도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 성과가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긍정적인 아동들의 글쓰기 태도를 갖게 해주고 쓰기능력 신장에 보탬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e essay is free in form, being relatively less restrictive. In other fields such as poem, novel or drama, it is almost impossible to write creatively and also the meaning is not so well understood without professional knowledges about them. But the essay has free form, so students can easier approach to the creative writing than the other literature categories. The educational target of Korea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gram states clearly that children should be trained to show true perceptions about the questions raised in daily life and cultivated for basic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having experiences to express his or her own thoughts or feeling in many ways. These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target which children are to be trained to know the problems in daily life and foster ability to solve them through the activities of writing or expressing his or her own thoughts by language. This will make increase expression ability of language and make become a base for writing essay.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subject matters of such writing activities are to be drowned among children's daily experiences. It needs more positive and strategic activities to draw their thoughts until when the materials are found and become a shape by sentences. Of course, the letters about children's experiences cannot be an essay, but they can be regarded as an entrance into essay from the points of view that they look out and judge the world through his or her own experiences. But the work of writing composition has been considered as very difficult and complicate thing in spite of its importance. As there have been nearly no actions to find concretely what are the difficulties for the children's writing and what are the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s, we cannot get any informations on children's writing. So I tried to find a instructional way for children to write with interests by means of the writing based on experiences. This research, considering that the process of the writing should not be committed to children without any instructors but should be planed and intended, was studied to make basis and improve ability for children to write essays in future. Because I have thought that the works to find a material through experience activities and to write a composition based on them are the most desirable instructional ways for the writing in the primary school which the writing imposes a heavy burden on children and make loose interest. As a first step to write a composition on experiences, I selected a subject and some contents to experience. To select the contents to experience, I selected those ones capable into action, considering school circumstances, area conditions, children's interests and suitability to the experience activity to write a composition. And in this research, I adopted the concept of micro genre in order to write based upon individual experie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process, I have set 9 micro genre and designed yearly experience activity program. For the purpose, 'The instructional pattern for strategic writing' of Kyongin primary education academy was mainly reviewed and adopted. According to this teaching model, I have designed 7 strategic stages to write based on experiences and a suitable teaching manual, and then I tried to approach to the activities for writing in various aspects. The analysis on how much the way of writing on basis of experiences has enhanced the writing ability and affected the writing attitude, showed that the children could easier consist the meaning and write more effectively. From the outcomes of composition, the writing based upon experiences has come to a result that it has contributed to improvement in writing ability. And also the activities of writing on basis of experiences has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various aspects such as contents, subject, plot, framework, expression, etc. Next, through various means such as survey, interview and questionnaire, I have also analyzed how much it has influenced the writing attitude. As a result, I came to know that the instructional way 'Writing a composition on basis of experiences,' as it is the subject in this research, helps children have interest and confidence in writing and also it contributes for them to participate delightfully in writing activities. In order to foster the ability to write an essay, a strategic instruction for writing is demanded, likewise, the various usage of language are needed and plentiful knowledges are to be learned for effective practice of writing. However, the children needs some helps in selection of materials on experiences and intensive planning and instructing, because they are now under inferior condition in writing ability. As a consequence, if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dopted in educational field, I expect this will make positive attitude and increase ability for children's writing.

      • 동시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옥수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동시는 언어나 소리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해주며 유아들의 감정과 생각을 잘 표현하며 심미감을 주는 문학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교사가 동시에 대해 열의를 가지고 유아들이 좋아하는 다양한 동시를 선택하여 바람직한 방법으로 지도하게 되면 유아들은 동시를 좋아하고 즐길 수 있으며 유아들의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시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수방법을 조사하여 동시지도가 효과적으로 운영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동시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동시지도에 과한 유아교사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김해, 부산 지역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14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 처리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지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서 동시 지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 볼 때 동시지도에 대한 필요성 및 목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시 지도에 대한 관심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방법을 살펴보면 동시지도 계획을 세울 때는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지도내용이고 동시의 중점적인 선정 기준은 생활 주제와의 연관성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지도 시 주로 사용하는 자료는 그림 자료로 나타났다. 동시지도 시 사전활동을 하는 교사는 과반수를 넘었는데 사전활동 방법으로는 놀이 활동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동시지도는 일주일에 1~2회 정도 실시한다가 가장 많았고 동시지도에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 10분 미만인 것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하루 일과 중 이야기 나누기 후에 활동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집단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 활동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 번 낭송하는 방식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언어영역에 동시 활동 자료를 제공하는 방법을 많이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시의 소개 방법에 대해서는 동시를 크게 여러 번 읽어 주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동시지도 중 가장 많이 하는 질문에는 느낀점과 재밌거나 기억나는 시어에 대해서 질문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지도 시 사후 활동은 과반수 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로 그림그리기와 동작으로 표현하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에서 동시 활동을 가정과 어떻게 연계하느냐에 대해서는 동시 활동을 가정과 연계하여 실시하지 않는 유아교육기관이 많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동시지도를 할 때 힘든 점은 전달매체나 보조자료가 부족해서 동시지도의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hildren's verse is highly evaluated as a literature which enables us to feel the beauty in language and voice. And also feeling and thought of infants can be easily expressed by children's verse. If a teacher eagerly instructs infants with various children's verse, the children's verse is also being not only pleasure to the infant but also positive aspect to the mental development of the infa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in effectiveness of the children's verse instruction by researching the recognition and teaching method of the infant's teacher. To achieve research's goal, I set the following subjects 1. What's the main recognition of a infant teacher about teaching children's verse. 2. What's the teaching method of a infant teacher about children's verse instruction. This study is targeted to the 148 teachers working at the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and represent with percentage by processing statistically data. To sum up the conclusion as following First, In case of teaching children's verse, it was shown that the recognition gap between infant teachers appear to be high as to the necessity and purpose in teaching children's verse, on the other hand the concern is not. Second, In case of teaching method of a infant teacher, first of all, The most considerable thing when we make a plan to teach children's verse is instruction contents and also the main selection standard is appeared to the similarity with a daily subject and the main material used in teaching children's verse is picture data. Over a half of teacher apply the act before the fact. The playing activity as an act before the fact is the most preferable of the infant teacher. The frequent number of conducting times of children's verse instruction is from one time to two times a week, the average time spent in teaching children's verse is below 10 minutes. During daily activity, after having conversation most group activities happen. Reciting a children's verse many times with various ways is the most preferable method in children's verse activity. To activate the children's verse activity, the infant teacher choose a method providing children's verse with language field. In case of children's verse introduction, reciting a children's verse many times is the most preferable method and the frequent asked questions during instruction are a feeling and an interesting poetic words or memorable poetic words. The act after the fact is appeared to be used over an half in teaching children's verse; drawing and expressing motion is used. There are mor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that is utilizing homemaking than not utilizing one. It is appeared that when they teach children's verse, the most difficult thing is the lack of the teaching material.

      • 형태초점 지도방법에 따른 초등영어 의문문 지도 연구

        이소영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영어 의문문 발화에서 나타나는 오류의 유형을 살펴보고, 형태초점 지도방법으로 의문문을 지도하였을 때 문법 이해도 및 말하기 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학습 지속성을 가지는가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5학년 2개반 4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반 1개 학급, 동질성을 가진 비교반 1개 학급으로 나누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5월 4주부터 7월 2주까지 주 2회 총 12시간 지도하였다. 실험반과 비교반의 독립변인은 형태초점 지도방법 중 입력 강화(input enhancement)및 협상(negotiation)의 방법이다. 종속변인은 문법이해도 및 말하기 능력과 영어에 대한 흥미, 자신감 등 정의적 영역의 변화이다. 이에 따라 사전, 사후, 후속평가 설계를 적용하였다. 형태초점 지도방법에 따른 의문문 지도방법이 학습자의 문법 이해도 및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전, 사후평가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형태초점 지도방법으로 지도하였을 때 실험반 학습자들이 비교반 학습자들에 비하여 의문문에 대한 이해도 및 학습지속력을 가지는가에 대한 판단을 위하여 실험 처치 후 10주 뒤 후속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형태초점 지도방법에 따른 실험반 학습자들의 의문문 발달 단계의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5학년 실험반 학생들의 영어 의문문 발화에서 나타나는 오류는 다음과 같았다. 하위권 학습자들은 문장의 끝을 올리는 것으로 의문문을 발화하고 있었다. 중위권은 어휘 수준에서 벗어나 문장을 구성하고 있으나 영어 의문문의 어순을 파악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었다. 상위권 학습자들도 의문문의 어순에 대한 오류가 아직 남아있으며 도치의문문을 이해한 경우도 전치 및 도치의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형태초점 지도방법으로 의문문을 지도하였을 때 문법이해도 및 말하기 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학습 지속성을 가져왔다. 실험반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교반과의 사전, 사후, 후속 검사 점수를 비교하여 보았을 때, 후속 검사에서 실험반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p<0.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실험반 중위 집단의 후속 평가 점수가 통계적으로 p<0.01 수준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자연입력으로 의문문을 지도한 비교반의 사후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영어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특히 처치 후 학생들의 자신감이 높아졌으며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교과서에 의사소통에 중심을 둔 형태초점 지도방법에 관련된 활동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환경에서 주당 2~3시간 주어진 영어시간에 게임형식의 의사소통적 활동만으로는 의문문을 습득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저학년의 경우는 청크 중심의 암시적 기법의 형태초점 지도방법이 적합할 것이며 고학년의 경우 간단한 형태나 구조에 관한 설명이 더해진 의사소통적 활동을 한다면 우리말과 다른 영어를 이해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영어 교사들을 대상으로 형태초점 의사소통적 접근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수 및 연구가 필요하다. 형태초점 지도방법은 전통적인 문법 번역식 수업이라는 편견을 버리고 형태초점 의사소통적 접근 방법을 통한 통합적인 수업설계 능력을 키우기 위한 연수뿐만 아니라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활동들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태초점 지도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현재 교과서가 다양한 이론들을 여러 측면에서 접근하여 통합적인 교과서로 제작되기를 기대한다.

      • 교사의 지도방법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나희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영아적응 연구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교사의 지도방법이 만 1, 2, 3세 영아들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와 교사 각 198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변인에 대한 교사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3.0을 사용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α를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 하였다. 셋째, 교사의 지도방법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넷째, 교사의 인식과 부적응 행동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적응 및 적응의 하위요소들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각의 변인들이 갖는 적응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분석방법에 의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경우 하위 요인별로 하루일과에 대한 적응, 긍정적 감정, 또래관계, 자아강도, 친사회적 행동 순으로 적응 역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지도방법과 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지도방법과 적응의 하위요인들 간에는 각 요인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적응 행동은 적응의 모든 하위 요소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교사의 인식은 적응의 하위요소 중 친사회적 행동에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교사의 지도방법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적응 전체와 5개의 하위요인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들에 대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적응 전체에 대한 관련변인들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적응 행동(F=18.475, P<.001) 8.6%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사의 인식 (F=12.150, P<.001) 이 2.5%의 설명력을 추가하여 11.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끝으로 넷째, 교사의 지도방법이 적응의 하위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사의 지도방법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F=35.408, P<.001)로 설명력은 15.3%를 나타냈다. 교사의 지도방법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F=8.289, P<.01)였으며 설명력이 4.1%로 나타났다. 교사의 지도방법이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F=10.689, P<.01)을 나타냈으며 설명력은 5.2%로 나타났다. 교사의 지도방법이 자아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적응 행동(F=5.681, P<.05) 2.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사의 인식(F=9.291, P<.001)이 5.9%의 설명력을 추가하여 8.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교사의 지도방법이 하루일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적응 행동(F=12.355, P<.01) 5.9%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사의 인식 (F=12.369, P<.001)이 5.4%의 설명력을 추가하여 11.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교사들은 적응의 중요성에 대해 잘 인식 하고 있으며 대부분 적응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교사들은 영아의 초기 부적응 행동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으며 처음 적응을 하는 영아들의 적응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교사의 지도방법은 어린이집 적응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데 어린이집의 이용 연령이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있는 현 시대에 교사의 지도방법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영아의 발달과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 바이이며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의 중요성에 알아봄으로써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돕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following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that the teaching methods have on the adapt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at the age of 1, 2 new nursery school based on the importance of infants' adaptation studies. The data for this study―evaluations on teachers―was collected from the 198 children and teachers that attend a child care institution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The data evaluation was done with SPSS WIN 13.0. First, Cronbach's α was utilized to certify the credibility of this experiment's judgment criteria. Secondly, a frequency analysis was done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subjects―the children and the teachers. Third, we fou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data to explore the pedagogical effects on children's adaptation at nursery schools. Fourth, we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 to study the relative effects that each criterion has on children's adaptation. For this, we set 'teacher's recognition' and 'discordant behavi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daptation' and its subordinate criteria as dependent variables. First as one of the results, the data showed that the teachers' recognition of students in the early adaptation period of infants and toddlers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the levels of 'adaptation', 'positive emotion', 'peer relations', 'self-consciousness', and 'pro-social behavior' were measured high in respective orders under each of the subordinate circumstanc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adaptation of the instructors; however,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subordinate criteria differ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o be specific, 'discordant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subordinate criteria of adaptation. However, out of all the sub-criteria, only the 'pro-social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recognition. Third, to find out whether the pedagogy has an effect on children's adaptation, we ran a regression analysis using adaptation and five of its sub-criteria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substituting each of the sub-criteria for adaptation, we found the regression analysis had a 8.6% correlation to 'discordant behavior' (F=18.475, P<.001) and 2.5% of extra correlation to 'teacher's recognition' (F=12.150, P<.001) which adds up to 11.1% correlation to the topic. Finally, the result regarding the pedagogical effects on sub-criteriat such as 'pro-social behavior' (F=35.408, P<.001) had a 15.3% link. The effects had a 4.1% link on 'positive emotions' (F=8.289, P<.01) and a 5.2% link on 'peer relations' (F=10.689, P<.01). The pedagogical effects on 'self-consciousness' had a total of 8.7% link; a 2.8% link of 'discordant behavior' (F=5.681, P<.05) plus a 5.9% link of 'teacher's recognition' (F=9.291, P<.001). The pedagogical effects on a daily task and adaptation had a total of 11.3% link; a 5.9% link of 'discordant behavior' (F=12.355, P<.01) plus a 5.4% link of the 'teacher's recognition' (F=12.369, P<.001). In conclusion, the instructors we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early adaptation and most of them were running a special program to promote a smooth adaptation process. Furthermore, the instructors seem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early discordant behaviors and a good knowledge on how to help the infants and the toddlers adjust themselves to the new environment better. It is clear that a teaching methods have a big impact on children's adaptation to the institution. With the current trend of admitting infants at earlier ages, we cannot emphasize enough how crucial the role of teaching methods are to the development and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at the day care institutions. I am looking forward to the day this study raises awareness to the importance of early adaptation of the children and is used as the fundamental tool for helping the infants and the toddlers adjust themselves easier at their day care institutions.

      • 정보통신윤리교육 지도방법의 비교연구

        정혜전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발표한 2004년도 자료에 의하면 100 명당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수가 한국이 23.3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지만, 그 이면에는 인터넷 게임 중독, 불건전 정보 유통, 사생활 침해, 사이버 범죄 등 정보사회 역기능의 피해가 심각하다. 더우기 초등 아동도 일찍부터 정보사회 역기능에 노출되어 부작용을 앓고 있는 가운데 있어, 그 어느때 보다 정보통신윤리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필요성과 함께 정보통신윤리교육이 텍스트 위주의 설명식이며 가치주입식이고, 소양교육의 일부로 치부해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을 지적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교과서에서 해결 방안을 찾고자 경기,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서울, 울산, 인천, 충북 등 10개 지역 초등 컴퓨터 교과서에 나타난 지도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지도방법이 주입식, 텍스트 위주의 설명식 지도방법으로 펀향된다는 점과 함께 다양한 지도방법의 부재를 지적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윤리 교육의 지도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범형, 활동형, 탐구형 지도방법의 효과성을 비교ㆍ분석하는 학습 시스템을 설계ㆍ구현하여 정보통신윤리교육 지도방법이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다음은 연구 결과이다. 첫째, 사고를 통해 지식을 탐색하는 것이 특징인 탐구형 지도방법은 가장 높은 학습 성취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설명형 지도방법이 아닌 탐구형 지도방법이 정보통신윤리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둘째, 탐구형 지도방법은 학습 성취도가 높은 동시에 학습자간 편차도 높았다. 그러므로 초등학생 인지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탐구형 지도방법을 적용할 때에 효과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이 될 것이다. 셋째, 고른 학습 성취도와 학습자간 펀차가 적은 시범형 지도방법을 탐구형 지도방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활용한다면, 더욱 더 효과적인 정보통신윤리교육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저학년 대상으로 시범형 지도방법을 적용하여 관찰을 통한 탐구학습을 연마할 때에 탐구형 지도방법의 학습자간 편차는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data publish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n 2004, the number of high-speed Internet users is 23.3 per 100 persons in Korea, the highest level in the world, but this also results in various dysfunctions including addiction to Internet games, the spread of unhealthy information, the invasion of privacy, and cyber crimes. In this situ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s required more strongly than ever. Despite its high necessity, curr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s criticized for its text-based explanatory style where ethical values are crammed into students and for perfunctory teaching as a part of cultural education. Thus, in order to find solutions in textbooks carrying the contents of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teaching methods appearing in elementary computer textbooks in 10 regional areas including Gyeonggi-do, Gyeongsangbuk-do, Gwangju, Daegu, Daejeon, Busan, Seoul, Ulsan, Incheon and Chungchongbuk-do.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ound that teaching methods used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are mostly cramming and text-based explanatory in style, and lack diversity. In addition,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learning system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demonstrative, inquisitive and action-centric teaching methods applicable to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 ion,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eaching methods on students' achievement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inquisitive teaching, which is characterized by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knowledge exploration through thinking, should be applied actively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econd, while inquisitive teaching brought high academic achievement, it also results large variations among the learners. Accordingly, for effect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quisitive teaching methods should b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tage. Third, if inquisitive teaching is complemented by demonstrative teaching, which shows even academic achievement and small variations among the learners, we may expect more effective information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other words, variations among the learners resulting from inquisitive teaching may be reduced if low-grade students practice inquisitive learning through observation using demonstrative learning methods.

      • 아동의 귀납적 추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방법에 관한 연구

        안승학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아동의 귀납적 추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귀납적 추론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귀납적 추론을 지도하기 위한 발문을 분석하고 학습자료를 추출하고 난 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귀납적 추론 지도방법을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귀납적 추론 지도방법이 학습자의 귀납적 추론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수학과 학습태도와 귀납적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연구 대상으로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G초등학교의 4학년 11개 학급 중에서 2개 학급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학생수는 실험반, 비교반 모두 46명이다. 실험기간은 1998년 10월 4주 동안이고, 실험반은 정규 수학 수업시간에 8차시에 걸쳐 귀납적 추론 활동의 수업을 하였으며, 비교반은 통상적인 수업방법에 따라 교과서와 수학 익힘책을 이용하여 수업을 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 절차로는, 먼저 귀납적 추론능력 검사지와 수학과 태도 검사지를 이용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이 동질집단인지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에 귀납적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여 8차시에 걸쳐 실험 처치하였다. 실험 처치가 끝난 후에 귀납적 추론능력 검사와 수학과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가 있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귀납적 추론 교수-학습지도 방법은 상집단 아동의 귀납적 추론능력을 향상시킨다. 특히, 문제 해결시 규칙을 찾고 적용해 보는 능력과 어떤 사실에 대한 새로운 예를 통해 반증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킨다. 둘째, 본 연구의 귀납적 추론 교수-학습지도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중·하집단 아동에게 맞는 적절한 발문을 사용하여 지도한다면 중·하집단 아동의 귀납적 추론을 안내하고 이끌어 나갈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귀납적 추론 교수-학습지도 방법은 상집단에서 어떤 사실을 반박할 수 있는 비판능력과 새로운 사실을 합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귀납 태도에 영향을 준다. 넷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교수-학습지도 자료는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며 귀납적 추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귀납적 추론능력은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이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친 계속적인 지도가 요구되며, 귀납적 추론에 관한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교사의 발문방법에 관한 연구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on teach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inductive reasoning ability.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we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inductive reasoning, analyzed questions for inductive reasoning and analyzed the mathematics text on the base of the model and question-analysis. And then we designed the method for teaching the inductive reasoning, and applied it to the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how the teaching method that we developed will improve learner's inductive reasoning ability, and affect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and inductive learning attitude. As object of this study, 2 classes among 11 ones of fourth grade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Metropolis are selected, and these 2 classes a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respectively. The number of students of two groups was each 46. The term of study was 4 weeks during October. During this period,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class were applied for inductive reasoning activity for 8 school units in the regular mathematics lessons, while children of the comparative class solved the mathematical problems in the textbook and training books according to the usual method of lesson. To perform the research purpose, above all, we tested if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are group of equal quality by using paper test for inductive reasoning ability and paper test for attitude of mathematical learning. We devi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inductive reasoning, and applied them. Then we tested inductive reasoning ability and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From this research, we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method on teaching the inductive reasoning used in this research improves inductive reasoning ability of the high-ranking group's children. In particular, it improves the ability to cognize and apply the pattern in problem solving and to offer the counter-example. Second, in process applying the teaching method, if a teacher asks questions appropriately, he can guide inductive reasoning ability of the middle and low-ranking group's children. Third, the method on teaching the inductive reasoning used in this research have an influence on the high-ranking group's ability to criticize a fact and to accept new fact rationally. Four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used in this research can serve to stir up children's interest and improve their inductive reasoning ability. Because the inductive reasoning ability is the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we need to instruct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More study will be conducted on how the teacher question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on the inductive reasoning.

      • 초등학교 고학년의 음악적 성장을 위한 지도방법 연구 : Kodaly 교수법을 중심으로

        문영아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1

        초등학교 고학년의 음악적 성장을 위한 지도방법 연구 - Kad□ly 교수법을 중심으로 문 영 아 淸州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初等音樂敎育專攻 (指導敎授 蔡 完 秉) 코다이 음악교수법은 가창 학습을 중심으로 한 솔페이지 학습을 요체로 한 교수법이다. 코다이는 학교에서 누구나 체계적인 가창 교육을 받고 음악적인 지성을 갖추어 모든 사람이 음악을 향유하므로서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조기 교육을 강조하여 어렸을 때부터 음악을 접하고 성장단계에 따른 단계적인 학습과정에 의해 어린이들로 하여금 솔페이지 능력을 개발하여 자발적이고 창조 적으로 음악 학습을 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자국의 민요를 교육의 소재로 삼아 민족문화의 함양에 공헌하고 민족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래동요와 민요를 가르칠 방법의 하나로 코다이 교수법을 제안하고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코다이 교수법의 방법과 내용을 고찰하였고 코다이 교수법을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전래 동요와 민요를 교재곡으로 선정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순서로 나열하였다. 이렇게 하여 코다이 교수법에 따라 전래동요와 민요를 가르칠 13곡의 교재곡을 선정하여 지도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존의 교육과정에 나와 있는 교재곡 중 전래동요와 민요를 사용하여 코다이 교수법을 통한 지도방법을 연구하여 통합학습의 체제를 이루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전래동요와 민요에 나타난 코다이 교수법 중 이동도법에 의한 계명창(Movable Do System of Solmization), 손기 호(Hand Signs), 리듬 음가 음절(Rhythm Duration Syllables), 그리고 내청 훈련(Inner hearing), 합창 솔페이지(Solf□ge) 등을 활용하여 지도방법을 연구해 보며, 코다이 교수법의 특징적 요소를 우리 현실에 알맞게 적용함으로써 음악 교과 교육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에 연구자는 코다이 교수법에 따른 단계적인 학습지도의 경험이 없는 고학년에서부터라도 이 교수법에 따른 음악교과 학습지도를 적용할 때 음정감이라든지 리듬감 등의 음악적인 감각을 길러 주어 음악적인 감수성과 자신이 느낀 아름다움을 기악 연주와 창작으로까지 표현함으로써 ‘창조성 개발’이라는 가창, 기악, 창작 등 음악과 표현학습의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하리라고 보며 음악적 경험이 풍부해질 것이라는 가설에 기초를 두고 있다. Hungarian musical educator Kodaly asserted the importance of an early education in his principles of education, and he mainly used folk music as his teaching materials, and which are used as systematic tool for his main objective in music education to achieve maximized increasement of read score. He made a great progress and success through his instruction method to increase read score using movable do system, hand sign, and rhythm duration syllables, inner hearing. Those kinds of Kodaly's principles of education and its teaching method have attracted not only Hungarian education but also international music education. There would be much benefit if we successfully apply Kodaly' s movable Do system to our music education system, also, we expect great progress of an ability of reading score through singing education, also expect it's easy adoption to our education circumstances due to the similarity of music education system. Among characteristic theory of Kodaly, tendency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folks music and traditional music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tendency of current increasing interes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and considered the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applying KodaIy's instruction method to teach traditional children song and folks song to the higher grade primary school student. This investigation considered the way of detailed instruction to apply Kodalys instruction to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investigator used and selected Korean folks song and traditional children's song in text book to apply and teach by way of Kodaly's instruction. And these songs are listed and enumerated to fit to the proper grade of each primary school student from 4th grade to 6th grade, and 13 songs instruction method has devised to apply Kodaly's instruction. Kodaly's instruction method cannot be considered as the most ideal one, but we should use and apply the merit of his unique component to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and then we expect the improvement of both teacher's instruction Skills and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And to have the most effective effect, the following suggestion are given: First, Based on Kodaly's method of Music Education, We should identify the Importance of solfege education in basic music education also through execution of these should be educated by training, and trained teacher should utilize these method properly Second, Various kind of investigation on Korean folks song and traditional song is indispensable, and text book should contain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song, folks song, and the other modern song which contain traditional inclination. And, musical composers should be encouraged to investigate and write a Folks music and Traditional music which are helpful to the children’s psychological and Musical ability Thir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n music instruction should be continuously extended including Kadaly's method, So, it should be connected and improved to systemized and scientific music education system which can improve children's expression ability and creativeness Fourth, Students should have much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feel the attractiveness of Korean traditional songs. Thus, instruction method of Kadaly using traditional song is very effective way to access and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students. So, adopting these kinds of instruction method to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can expedite and make great progress for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to innovate current depressed music education circumstances. Teachers have to study the creative education methods which were explained in this study with a complete understanding of Kodaly system based on the children's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